WO2019054694A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4694A1
WO2019054694A1 PCT/KR2018/010376 KR2018010376W WO2019054694A1 WO 2019054694 A1 WO2019054694 A1 WO 2019054694A1 KR 2018010376 W KR2018010376 W KR 2018010376W WO 2019054694 A1 WO2019054694 A1 WO 20190546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ose
check valve
main body
valve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03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기형
Original Assignee
조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형 filed Critical 조기형
Publication of WO20190546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46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to be worn for suppressing the inhaling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respi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having good assemblability and capable of increasing recycling efficiency.
  • the mask is intended to block entry of harmful substances into the respiratory system, and various structures are known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and application.
  • the mask in the case of a mask made of a filter cloth for harmful substances, the mask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spiratory apparatus, and breathing is inconvenient and permeation of harmful substances is easy.
  • a mas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skin such as a filter nonwoven fabric is fused in a shell formed by a synthetic resin.
  • the wearer may also infiltrate into the inner skin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And the exhalation is also discharged into the mask.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ake air and the exhaust air are mix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respiration space of the mask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halation is not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sk, It is difficult to keep it smoothly.
  •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applied to the mask as a material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t is required to easily separate the main body, which is contaminated by repeated use, from the wearer's nose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recyclability of the nose wear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device which can easily assemble and detach a nose wearing part and a main body to be worn on a nose, And to provide a mask that can be simplified.
  •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k for preventing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air from being sucked in during respiration, comprising: a breathing space which can cover the face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of a human body, A main body which is formed to be able to supply external air and which filters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 wearer adapted to wear the main body to a human body; A nose cover portion having a nose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enclosing a nostril of the human body and a nose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n internal air intake port capable of sucking air in the respiratory space of the main body into the nose accommodating space, A nose wearing portion having a discharge tube extended to discharge the exhalation discharged from the wearer's nose; A first check valve provided on the inside air inlet so that air can be sucked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nose receiving space inside the nose wearing part from the breathing sp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check valve installed to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remove the discharge
  • the second check valve is open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third check valve is inhibited,
  • the pressure is made larger.
  • the first check valve includes a first inner valve plate formed of a first flexible material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inlet, and the third check valve opens / closes the sub- And a second inner valve plate formed of a first material, wherein a thickness of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the first inner valve plate.
  • the first horizontal bar is formed to be gradually higher in he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formed with the first insertion pi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first horizontal bar is gradually increased,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valve plate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outer valve plate is seated, And the first outer bar plate is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during the exhausting process of the wearer, and the second outer bar plate is detached from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during the exhaust process of the wearer,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support the first outer valve plate is formed.
  • the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exhalation from the mouth is simplified, and the increase of the adhesive holding force by the moisture of the valve is suppressed, and the exhalation discharge can be facilita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check valve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FIG. 2,
  •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check valve unit of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check valve unit of FIG. 3,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to which a first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third check valve together with the mask of Fig. 6.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in FIG. 1
  • FIG. 3 is a cross-
  •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check valve unit of FIG. 3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heck valve unit of FIG. 3.
  • a mask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a nose fitting unit 130, a first check valve 140, a second check valve unit 170, A check valve 190 and a binding strap 201.
  • the main body 110 is capable of filtering the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while allowing the outside air to be inhaled.
  • the main body 11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nose fitting part 130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nose wearing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main body 110 can cover the face of the human body including the nose and the mouth in close contact, And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cap shape so as to provide a breathing space (116).
  • the main body 11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ucking outside air and filtering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of a cloth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that are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capable of breathing.
  •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utually different materials are stacked.
  •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with a shape retaining band 114 which is formed in a thin strip of a metal material and which is joined along the edge to enhance shape retention force.
  •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10 and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nostrils of the human body and the nose.
  • the nosepiece cover portion 136 has a nosepiece cover portion 136 having a nose accommodating space 132a in the form of a triangular groove so that the nose and nose of the human body can be inserted and wrapped around the nose cover portion 136, And a tight contact portion 137 formed to bend inward to enlarge the space between the nose and the head while increasing the adhesion with the face.
  • the nose cover portion 136 is formed with an air suction port 135 through which air in the breathing spac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sucked into the nose receiving space 132a.
  •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has a discharge pipe 15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nose cover portion 136 corresponding to the nostril so as to discharge the exhalation discharged from the wearer's nose and communicating with the nose accommodating space 132a Structure.
  • the air suction port 13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nose cover portion 136 and one in the center.
  • the first check valve 140 is formed on the inner air intake port 135 of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in the radial direction across the air intake port 135 at the center, A plurality of binding fingers 138 are provided.
  • the nose-wear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 soft synthetic resin, or other material that can be easily worn while maintaining its shape.
  •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is coupled through a second check valve unit 17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check valve 140 is installed in the air intake port 135 formed in the nose cover portion 136 of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to allow the air in the respiration space 116 of the main body 110 to pass through the nose accommodating space 132a As shown in Fig.
  • the first check valve 140 is provided to allow air to be sucked only from the respiratory space 116 of the main body 110 to the inside of the nose accommodation space 132a of the nose wear part 130, A first internal valve plate 141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ize capable of opening or closing the internal air inlet port 135 inside the internal air inlet port 135 and a first internal valve plate 141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fixing pin 142 in the form of an arrowhead which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ing pin 142.
  • the first check valve 241 includes a first inner valve plate 241a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second inner valve plate 241b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nner valve plate 241a,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trusion 241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me material so as to be fitted into the hole 139 of the coupling piece 138.
  • Reference numeral 243 denotes a hole insertion guide portion extend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hole 139 so as to easily enter the hole 13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ody 138,
  • the stopper portion 246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insertion guide portion 243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opper portion 245.
  • the stopper portion 246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139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nner valve plate 241a to the stopper portion 245 And is restrained in the hole 139.
  • the first check valve 140 and the first check valve 14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nternal valve plate 141 and 241a are bent inward to open the fresh air intake port 135 to allow intake, The valve plates 141 and 241a are unfolded to close the air suction port 135.
  • the discharge tube 150 extends obliquely in a tube shap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at a lower portion opposed to the wearer's nostril of the nose wearing portion 130,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alve unit 170.
  • the discharge pipe 150 is formed with a sub-inflow outlet 154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inflow inlet 135 and which is opposed to the mouth of the wearer, on which a third check valve 190 described later is mounted.
  • the discharge pipe 15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exhalation discharged from the wearer's nose and the exhalation discharged from the mouth through the third check valve 19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And has a discharge flow path.
  •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is mounted on the main exhaust port 118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10. One end of the check valve unit 17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charge pipe 150 of the nose- A second check valve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exhalati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0 of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is divided into a first coupling body 171, a first outer valve plate 174 and a second coupling body 172.
  • the first coupling body 171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body 172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10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discharge port 118, So that they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 the insertion guide tube portion 171a is a portion extending to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tube 150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150, and is formed to be ventilated.
  • an insertion groove 150 is formed at the terminating end of the insertion tube 150 in which a fitting piece 152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can be inserted 171h.
  • the first flange portion 171b has a circular plate shap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main flange portion 171b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guide tube portion 171a so that the edge of the main air outlet 118 form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seated. Respectively.
  •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1c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lange portion 171b a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flange portion 171b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exhaust outlet 118,
  • the first insertion groove 171k for engagement is formed to be drawn in the cent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 first flange portion 171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171c1 on which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of the first coupling guide ring 171c is mounted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Which is formed so as to be drawn inwardly toward the inner side.
  •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171c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height thereof increase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from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to which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is joined.
  •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extends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main air vent 171f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150 of the first engaging main body 171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adial shapes to allow ventilation .
  •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serves to support a first outer valve plate 1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restrict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engaging body 171 within a certain range.
  • the first insertion pin 171e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n increased height gradually toward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guide ring 171c from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first insertion pin 171e is formed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171c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surface 171c1 on which the edge region of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171c is seated.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is protruded upward so that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171c in the exhaust process of the wearer, 174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171c.
  • Reference numeral 173 denotes an auxiliary horizontally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1c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pin 171e.
  • the auxiliary horizontal bar 173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as it gets closer to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171c, 171c are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171c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first engagement guide ring portion 171c.
  • the supporting protrusion 175 described above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rizontal bar 173.
  • the support protrusions 175 are formed in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so as to minimize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bar 171d and the auxiliary valve bar 173 of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from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guide ring portion 171c.
  •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hole 174a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in 171e by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air passage 171f.
  •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is size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171c.
  •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nding, such as a circular sheet made of a rubber material.
  • first outer valve plate 174 functions as a second check valve.
  • the second engaging main body 172 includes a first pin guide bar portion 172a, a first upper cover portion 172c, a first aeration 172d, a second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2e, And a second flange portion 172f.
  • the first pin entry guide bar portion 172a is formed with an entrance groove 172m into which the first insertion pin 171e can enter and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ngagement hole 174a, to be.
  •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172c is a disk-shaped portion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n entrance guide rod portion 172a.
  • the first ventilating fins 172d ext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n entrance guide bar portion 172a from the edge of the first upper cover portion 172c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72e.
  • the second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2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and has the ends of the first airstream 172d engaged and the first engaging groove 171k of the first engaging body 171
  • a first circular fitting protrusion 172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pin entry guide bar portion 172a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 the second flange portion 172f is formed in a disc shape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2e is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2e so as to be seated at the edge of the main exhaust port 118 formed in the main body 110 Is formed.
  •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portion 172f opposite to the first flange portion 171b is provided with a press-fit pin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enter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en engaged with the main body 110 172s are protruded in a number of directions.
  •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includes a first engagement body 171 and a second engagement body 172 which are dispos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 the outer valve plate 174 is inserted, the outer valve plate 174 is engaged with the main body 110.
  • the discharge tube 150 of the nose fitting portion 130 is inserted.
  • the third check valve 190 is coupled to the sub-inflow outlet 154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wearer's mouth on the discharge tube 150 of the nose wearer 130, And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50.
  • the third check valve 190 is installed to allow air to be sucked only from the breathing space 116 of the main body 110 toward the discharge flow path of the discharge pipe 150.
  • the third check valve 19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heck valve 140.
  • the third check valve 190 includes a second inner valve plate 191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size large enough to open or close the sub-inflow outlet 154 inside the sub-inflow outlet 154, And a fixing pin 192 in the form of an arrowhead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191 through a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olt 198.
  • the third check valve 291 includes a second inner valve plate 291a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second inner valve plate 291b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291a,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trusion 291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me material so as to be fitted into the hole 159 of the coupling knob 198.
  • Reference numeral 293 denotes a hole insertion guide portion extending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hole 159 so as to easily enter the hole 15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body 198.
  • Reference numeral 295 denotes a hole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le 159
  • the stopper portion 296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insertion guide portion 293 to have an outer diameter that allows the stopper portion 295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159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291a to the stopper portion 295 And is restrained in the hole 159.
  • the restricting portion is a restricting portion.
  • the third check valves 190 and 291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191 and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191a ar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assage is opened, Can be discharged.
  • the third check valve 190 (291) is closed so that the opening of the third check valve 140 (241)
  • the second open pressure required for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90 and 291 is formed to be larger.
  • the first inner valve plate 141 (241a) of the first check valve 140 (241) is formed of a flexible first material, for example, a rubber material, and the third check valve 190 (291) 6 and 7 when the second inner valve plates 191 and 291a are formed of the same first material as the first inner valve plates 141 and 241a of the first check valves 140 and 241
  • the thickness d2 of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191 and the second inner valve plate 291a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d1 of the first inner valve plate 141 and the first inner valve plate 241a.
  • the auxiliary shielding sheet 180 is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81 through which the nose portion of the wearer can be exposed and a second through hole 181 through which the mouth portion can be exposed while the respiratory space 116 of the main body 110 can be close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A second through hole 182 is formed.
  • the auxiliary shielding sheet 180 is joined along the edge of the main body 10.
  • the binding strap 201 is applied as a wearing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worn on the human body.
  • the mask 100 When the mask 100 is inhaled, the mask 100 is filtered through the main body 110 into the respiratory space 116 and sucks the introduced air through the air intake port 135. When the mask 100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so that the exhalation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0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filtered air in the breathing space 116, This provides an easy advantage.
  • the suction port 135 is provided at both sides and the center of the nose cover portion 136 to sufficiently extend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discharge pipe 150 is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second check valve unit 170 Therefore, since the main body 110 can be reused after replacing only the main body 11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efficiency of recycling can be improved.
  •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the exhalation from the mouth through the third check valve 190 (291)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150, thereby supporting both the exhalation from the nose and the mouth
  • the structure is simplified.
  •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and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first coupling guide ring portion 171c, An inlet groove 171c2 formed between the outer valve plate 174 and the upper surface 171c1 of the first engaging guide ring portion 171c and an inclined upper surface 171c1 and a first horizontal bar 171d extending obliquely, An increase in the adhesive holding force can be suppressed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by the support protrusion 175 formed on the first outer plate 173.
  • the first outer valve plate 174 is bent in a concave shape to block the inflow of the outside air. Then, when the suction force of the wearer is attenuated, The separation from the auxiliary horizontal bar 173 is made smoothly, and the opening at the time of expiration is made smooth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메인바디 내에 수용되며 내기 흡입구가 형성된 콧등커버부분과, 날숨을 배출할 수 있게 연장된 배출관을 갖는 코착용부와, 내기 흡입구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제2체크밸브가 설치된 제2체크밸브 유니트 및 착용자의 입에 대향되게 배출관에 형성된 서브 내기 배출구에 설치된 제3체크밸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마스크
본 발명은 호흡시 유해물질의 흡입을 억제하기 위해 착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좋으며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유해물질의 호흡기 내로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환경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유해물질 여과용 천을 주 소재로 한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의 천이 호흡기에 밀착되어 호흡이 불편하고 유해물질의 투과가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호흡공간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캡형태로 형성된 외피 내에 필터용 부직포와 같은 내피가 융착된 구조의 마스크가 있으나, 이 역시 착용자가 호흡시 외피 상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내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며, 날숨 또한 마스크 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상호 혼합됨으로써 마스크의 호흡공간 내에서의 산소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날숨의 마스크 외부로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165806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호흡시 들숨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내피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날숨 상태에서 배출되는 공기 상호간이 섞이지 않음으로써 여과된 신선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마스크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마스크에 대해 메인 바디를 이물질 여과용 소재로 적용하는 경우 반복 사용에 의해 오염되는 메인바디를 코착용부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코착용부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또한, 조립효율도 좋은 마스크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사용 경과에 따라 마스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밸브의 접착유지력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시켜 날숨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코에 착용하는 코착용부와 메인 바디의 조립 및 착탈이 용이하고, 입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날숨의 배출에 적용되는 밸브의 습기에 의한 접착유지력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시켜 날숨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호흡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인체의 코 및 입을 포함한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인체의 안면과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면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부재와; 상기 메인바디 내에 수용되어 인체의 콧구멍과 콧등을 감싸도록 코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바디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상기 코수용공간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내기 흡입구가 형성된 콧등커버부분과,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배출할 수 있게 연장된 배출관을 갖는 코착용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호흡공간으로부터 상기 코착용부 내부의 상기 코수용공간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상기 내기 흡입구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메인 내기 배출구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코착용부의 배출관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착용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메인 바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체크밸브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크 밸브 유니트는 상기 배출관에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삽입가이드관부분과, 상기 삽입가이드관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분과, 상기 제1플랜지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1플랜지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결합용 제1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과,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메인 통기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가로바와, 상기 제1가로바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삽입핀을 갖는 제1결합본체와; 상기 메인 통기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삽입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홀이 형성된 제1외부 밸브판과; 상기 제1삽입핀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과,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 부분의 상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상부커버부분과, 상기 제1상부커버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통기살과, 상기 제1통기살의 종단들이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1결합본체의 상기 제1삽입홈에 억지끼움될 수 있게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원형끼움돌기가 형성된 제2결합가이드링부분과, 상기 제2결합가이드링부분의 종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부분을 갖는 제2결합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상기 내기 흡입구와 이격되며 착용자의 입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된 서브 내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체크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코를 통한 공기 흡입시에는 상기 제3체크밸브의 개방이 억제되게 상기 제1체크밸브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1개방압력보다 상기 제3체크밸브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2개방압력이 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내기흡입구를 개폐하며 플렉서블한 제1소재로 형성된 제1내부 밸브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3체크밸브는 상기 서브 내기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소재로 형성된 제2내부 밸브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2내부밸브판의 두께는 상기 제1내부밸브판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가로바는 상기 제1삽입핀이 형성된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상기 제1외부밸브판의 가장자리영역이 안착되는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내면과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외부밸브판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플랜지부분을 향하는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로바의 상면에는 착용자의 배기과정에서의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외부밸브판의 분리가 원할하게 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외부밸브판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의하면, 입으로부터의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고, 밸브의 습기에 의한 접착유지력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시켜 날숨의 배출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메인바디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체크밸브가 적용된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마스크와 함께 제3체크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메인바디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2체크밸브유니트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메인바디(110), 코착용부(130), 제1체크밸브(140), 제2체크밸브 유니트(170), 제3체크밸브(190) 및 결속끈(201)을 구비한다.
메인바디(110)는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면서 외부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메인바디(110)는 후술되는 코착용부(1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코착용부(130)보다 크게 형성되어 코 및 입을 포함한 인체의 안면을 밀착되게 덮을 수 있으면서 착용상태에서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호흡공간(116)을 제공할 수 있도록 반구 형태의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바디(110)는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면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
메인 바디(110)는 부직포와 같은 천소재, 또는 다공성 소재로 되어 호흡이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는 상호 다른 이종의 소재가 다수 적층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인 바디(110)는 형상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금속소재로 얇게 띠형태로 형성된 것을 가장자리 부근을 따라 결합한 형상유지띠(114)가 결합되어 있다.
코착용부(130)는 메인바디(110) 내에 수용되며 인체의 콧구멍과 콧등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착용부(130)는 인체의 콧구멍과 콧등이 삽입되어 감쌀수 있게 삼각홈 형태의 코수용공간(132a)을 갖게 형성되어 있는 콧등커버부분(136)과, 콧등커버부분(136)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안면과의 밀착력을 높이면서 콧등과의 사이 공간을 확장시킬시킬 수 있게 형성된 밀착부분(137)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콧등커버부분(136)은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코수용공간(132a)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내기 흡입구(135)가 형성되어 있다.
코착용부(130)는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배출할 수 있게 콧구멍과 대응되는 콧등커버부분(136)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수용공간(132a)과 연통되는 배출관(150)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내기 흡입구(135)는 콧등 커버부분(136)의 양측에 2개 및 중앙에 1개가 마련되어 있다.
코착용부(130)의 내기 흡입구(135)에는 중앙에서 내기 흡입구(135)를 가로지르는 방사 방향으로 코착용부(130)에 지지되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제1체크밸브(14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살(138)이 마련되어 있다.
코착용부(130)는 실리콘 소재,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그 밖의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코착용부(130)는 후술되는 제2체크밸브유니트(170)를 통해 결합된다.
제1체크밸브(140)는 코착용부(130)의 콧등커버부분(136)에 형성된 내기 흡입구(135)에 설치되어 메인 바디(110)의 호흡공간(116) 내의 공기를 코수용공간(132a)내로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체크밸브(140)는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116)으로부터 코착용부(130)의 코수용공간(132a) 내부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내기 흡입구(135) 내측에 내기 흡입구(135)를 개방 또는 폐쇄 시킬 수 있는 크기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된 제1내부 밸브판(141)과, 제1내부 밸브판(141)을 결합살(138)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하는 화살촉 형태의 고정핀(142)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크밸브(241)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1내부밸브판(241a)과 제1내부 밸브판(241a)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고정핀(241b)이 일체로 동일 소재로 사출되어 결합살(138)의 홀(139)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243은 결합살(138) 중앙에 형성된 홀(139)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홀(139)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연장된 홀삽입가이드부분이고, 참조부호 245는 홀(139)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게 홀삽입가이드부분(243) 하부에 형성되어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부분이며, 246은 제1내부 밸브판(241a)의 중앙에서 스토퍼부분(245)까지 홀(139)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게 연장되어 홀(139)내에 구속되는 구속부분이다.
이러한 제1체크밸브(140)(241)는 들숨시 제1내부 밸브판(141)(241a)이 내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내기 흡기구(135)를 개방시켜 흡기가 가능해지고, 날숨시에는 제1내부 밸브판(141)(241a)이 원상태로 펴지면서 내기 흡입구(135)를 폐쇄시킨다.
또한, 배출관(150)은 코착용부(130)의 착용자의 콧구멍과 대향되는 하부에서 코착용부(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관형태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메인 바디(110)에 장착된 제2체크밸브유니트(17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출관(150)에는 내기 흡입구(135)와 이격되며 착용자의 입과 대향되는 부분에 후술되는 제3체크밸브(190)가 장착되는 서브 내기 배출구(154)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관(150)은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 및 제3체크밸브(190)를 통해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제2체크밸브유니트(170)를 통해 메인바디(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갖게 되어 있다.
제2체크밸브 유니트(170)는 메인 바디(110)의 중앙부근에 형성된 메인 내기 배출구(118)에 장착되며 일단은 코착용부(130)의 배출관(150)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코착용부(130)의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을 메인 바디(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2체크 밸브 유니트(170)를 구분하면, 제1결합본체(171), 제1외부 밸브판(174), 제2결합본체(172)를 구비한다.
제1결합본체(171)는 메인 내기배출구(118)를 기준으로 메인바디(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메인바디(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결합본체(172)와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결합본체(171)를 구분하면, 삽입가이드관부분(171a)과, 제1플랜지부분(171b)과,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과, 제1가로바(171d) 및 제1삽입핀(171e)을 갖는다.
삽입가이드관부분(171a)은 배출관(150)에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되어 배출관(150)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통기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가이드관부분(171a)의 후술되는 제1플랜지부분(171b)와의 경계부분에는 삽입관(150)의 종단에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끼움편(152)이 삽입될 수 있는 인입홈(171h)이 형성되어 있다.
제1플랜지부분(171b)은 메인바디(110)에 형성된 메인 내기 배출구(118)의 가장자리가 안착될 수 있게 삽입가이드관부분(171a)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은 제1플랜지부분(171b)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제1플랜지부분(171b)으로부터 메인 내기 배출구(118)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링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용 제1삽입홈(171k)이 원주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인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후술되는 제1외부밸브판(174)이 안착되는 상면(171c1) 중앙에는 제1외부밸브판(174)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제1플랜지부분(171b)을 향하는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홈(171c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은 후술되는 제1가로바(171d)가 접합되는 내측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따라 높이가 높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로바(171d)는 제1결합본체(171)의 배출관(150)과 연통되는 메인 통기구(171f)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지지살 형태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가로바(171d)는 후술되는 제1외부밸브판(174)이 흡기시 제1결합본체(171) 내측으로의 휨허용정도를 일정범위 내로 제한하면서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제1삽입핀(171e)은 제1가로바(171d)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가로바(171d)는 제1삽입핀(171e)이 형성된 중앙부분으로부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되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제1외부밸브판(174)의 가장자리영역이 안착되는 상면(171c1)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과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1가로바(171d)의 상면에는 착용자의 배기과정에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으로부터 제1외부밸브판(174)의 분리가 원할하게 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외부밸브판(174)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75)가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73은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에서 중앙을 향하되 제1삽입핀(171e)과는 이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보조 가로바이다.
보조 가로바(173)도 제1가로바(171d)와 마찬가지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과 가까워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내면과 접합되어 있다.
보조 가로바(173)의 상면에도 앞서 설명된 지지돌기(1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175)는 제1외부 밸브판(174)의 제1가로바(171d) 및 보조가로바(173)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면서 날숨시 제1외부 밸브판(174)의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으로부터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제1외부 밸브판(174)은 메인 통기구(171f)를 개폐하며 제1삽입핀(171e)에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홀(17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외부 밸브판(174)은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1외부 밸브판(174)은 구부림이 가능한 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원형시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여기서 제1외부 밸브판(174)이 제2체크밸브 기능을 한다.
제2결합본체(172)는 구분하면,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172a)과, 제1상부커버부분(172c)과, 제1통기살(172d)과, 제2결합가이드링부분(172e)과, 제2플랜지부분(172f)을 갖는다.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172a)은 제1삽입핀(171e)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172m)이 형성되며 제1결합홀(174a)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1상부커버부분(172c)은 제1핀진입가이드봉 부분(172a)의 상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원판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1통기살(172d)은 제1상부커버부분(172c)의 가장자리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172a)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결합가이드링부분(172e)에 결합되어 있다.
제2결합가이드링부분(172e)은 원형링 형태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제1통기살(172d)의 종단들이 결합되며 하단에 제1결합본체(171)의 제1삽입홈(171k)에 억지 끼움될 수 있게 내주면을 따라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172a)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원형끼움돌기(172n)가 형성된 부분이다.
제2플랜지부분(172f)은 메인바디(110)에 형성된 메인 내기 배출구(118)의 가장자리에 안착될 수 있게 제2결합가이드링부분(172e)의 종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제2플랜지부분(172f)의 제1플랜지부분(171b)과 대향되는 저면에는 메인바디(110)와 결합시 메인바디(110)의 표면에 진입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압입핀(172s)이 돌출되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체크밸브 유니트(170)는 제1결합본체(171)와 제2결합본체(172)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를 중심으로 내외측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제1외부밸브판(174)이 삽입되게 상호 억찌 끼움결합하면 메인바디(110)와 함께 결합되며 여기에 코착용부(130)의 배출관(150)을 삽입하여 조립하면 된다.
한편, 제3체크밸브(190)는 코착용부(130)의 배출관(150)상에 착용자의 입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서브 내기 배출구(154)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배출관(150)을 통해 제2체크밸브유니트(170)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체크밸브(190)는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116)으로부터 배출관(150)의 배출유로 내부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체크밸브(190)는 제1체크밸브(14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3체크밸브(190)는 서브 내기 배출구(154) 내측에 서브 내기 배출구(154)를 개방 또는 폐쇄 시킬 수 있는 크기로 플렉서블한 소재로 형성된 제2내부 밸브판(191)과, 제2내부 밸브판(191)을 결합살(198)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하는 화살촉 형태의 고정핀(192)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체크밸브(291)는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2내부밸브판(291a)과 제2내부밸브판(291a)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연장된 고정핀(291b)이 일체로 동일 소재로 사출되어 결합살(198)의 홀(159)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293은 결합살(198) 중앙에 형성된 홀(159)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홀(159)보다 작은 외경을 갖게 연장된 홀삽입가이드부분이고, 참조부호 295는 홀(159)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게 홀삽입가이드부분(293) 하부에 형성되어 이탈을 억제하는 스토퍼부분이며, 296은 제2내부 밸브판(291a)의 중앙에서 스토퍼부분(295)까지 홀(159)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게 연장되어 홀(159) 내에 구속되는 구속부분이다.
이러한 제3체크밸브(190)(291)는 입으로부터 날숨이 배출시 제2내부 밸브판(191)(291a)이 내측 방향 즉, 배출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날숨의 배출관(150)으로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착용자의 코를 통한 공기 흡입시에는 제3체크밸브(190)(291)의 개방이 억제되게 제1체크밸브(140)(241)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1개방압력 보다 제3체크밸브(190)(291)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2개방압력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체크밸브(140)(241)의 제1내부 밸브판(141)(241a)을 플렉서블한 제1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하고, 제3체크밸브(190)(291)의 제2내부 밸브판(191)(291a)도 제1체크밸브(140)(241)의 제1내부 밸브판(141)(241a)과 동일한 제1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도 6 및 도 7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내부밸브판(191)(291a)의 두께(d2)를 제1내부밸브판(141)(241a)의 두께(d1)보다 더 두껍게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면된다.
보조차폐시트(180)는 메인바디(110)의 호흡공간(116)을 외부에 대해 폐쇄할 수 있으면서 착용자의 코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제1관통구(181)와 입부분이 노출될 수 있는 제2관통구(182)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차폐시트(180)는 메인바디(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다.
결속끈(201)은 메인바디(110)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결합된 착용부재로서 적용된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100)는 흡입시에는 메인바디(110)로부터 호흡공간(116) 내로 여과되어 진입된 공기를 내기 흡입구(135)를 통해 흡입하고, 배출시에는 코착용부(130)로부터 배출관(150) 및 제2체크밸브 유니트(170)를 통해 메인바디(110)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날숨이 호흡공간(116) 내의 여과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배출관(150)을 통해 원할하게 배출될 수 있어 호흡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콧등 커버부분(136)의 양측 및 중앙에 내기 흡입구(135)가 마련되어 있어 흡입 유로를 충분히 확장할 수 있고, 배출관(150)은 제2체크밸브 유니트(170)를 통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 이후 메인바디(110)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입으로부터의 날숨을 배출관(150)에 형성된 제3체크밸브(190)(291)를 통해 배출할 수 있어 코와 입으로부터의 날숨의 배출을 모두 지원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경과에 따라 호흡과정에서 습기가 발생하여 제1외부밸브판(174)과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 사이에 충진되어도 제1외부밸브판(174)과 제1결합가이드링부분(171c)의 상면(171c1) 사이에 형성된 인입홈(171c2)과 경사지게 형성된 상면(171c1)과 경사지게 연장된 제1가로바(171d) 및 보조 가로바(173) 위에 형성된 지지돌기(175)에 의해 제1외부밸브판(174)과의 접촉영역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접착유지력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흡입과정에서 제1외부밸브판(174)이 오목한 형상으로 휘어져 외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고, 이후 착용자의 흡입력이 감쇠될 때 지지돌기(175)에 의해 제1가로바(171d) 및 보조 가로바(173)로부터의 분리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면서 날숨시 개방도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4)

  1. 호흡시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에 있어서,
    인체의 코 및 입을 포함한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인체의 안면과 이격되는 호흡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면서 외부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를 인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착용부재와;
    상기 메인바디 내에 수용되어 인체의 콧구멍과 콧등을 감싸도록 코수용공간을 갖게 형성되되 상기 메인바디의 호흡공간 내의 공기를 상기 코수용공간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내기 흡입구가 형성된 콧등커버부분과, 착용자의 코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배출할 수 있게 연장된 배출관을 갖는 코착용부와;
    상기 메인 바디의 호흡공간으로부터 상기 코착용부 내부의 상기 코수용공간 방향으로만 공기의 흡입이 가능하게 상기 내기 흡입구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와;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메인 내기 배출구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코착용부의 배출관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착용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메인 바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체크밸브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크 밸브 유니트는
    상기 배출관에 삽입될 수 있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삽입가이드관부분과, 상기 삽입가이드관부분의 종단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분과, 상기 제1플랜지부분보다 작은 외경을 갖으며 상기 제1플랜지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외주면에 결합용 제1삽입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가이드링부분과,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메인 통기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가로바와, 상기 제1가로바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제1삽입핀을 갖는 제1결합본체와;
    상기 메인 통기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삽입핀에 삽입될 수 있는 제1결합홀이 형성된 제1외부 밸브판과;
    상기 제1삽입핀이 진입될 수 있는 진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홀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과,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 부분의 상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상부커버부분과, 상기 제1상부커버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의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통기살과, 상기 제1통기살의 종단들이 결합되며 하단에 상기 제1결합본체의 상기 제1삽입홈에 억지끼움될 수 있게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핀진입가이드봉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원형끼움돌기가 형성된 제2결합가이드링부분과, 상기 제2결합가이드링부분의 종단에서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상기 메인 내기 배출구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부분을 갖는 제2결합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관의 상기 내기 흡입구와 이격되며 착용자의 입과 대향되는 부분에 형성된 서브 내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배출되는 날숨을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코를 통한 공기 흡입시에는 상기 제3체크밸브의 개방이 억제되게 상기 제1체크밸브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1개방압력보다 상기 제3체크밸브의 개방에 요구되는 제2개방압력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내기흡입구를 개폐하며 플렉서블한 제1소재로 형성된 제1내부 밸브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3체크밸브는 상기 서브 내기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제1소재로 형성된 제2내부 밸브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2내부밸브판의 두께는 상기 제1내부밸브판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로바는 상기 제1삽입핀이 형성된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되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상기 제1외부밸브판의 가장자리영역이 안착되는 상면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내면과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의 상면에는 상기 제1외부밸브판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플랜지부분을 향하는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로바의 상면에는 착용자의 배기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가이드링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외부밸브판의 분리가 원할하게 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외부밸브판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PCT/KR2018/010376 2017-09-12 2018-09-05 마스크 WO20190546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64A KR101810184B1 (ko) 2017-09-12 2017-09-12 마스크
KR10-2017-0116464 2017-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694A1 true WO2019054694A1 (ko) 2019-03-21

Family

ID=6092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0376 WO2019054694A1 (ko) 2017-09-12 2018-09-05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0184B1 (ko)
WO (1) WO2019054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7B1 (ko) * 2018-01-15 2019-06-24 윤형완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JP2022546804A (ja) * 2019-09-04 2022-11-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フェイスマスク
KR102193162B1 (ko) * 2020-07-03 2020-12-18 김순라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및 호흡이 편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464B1 (ko) * 2003-06-13 2005-10-10 유의성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100773460B1 (ko) * 2006-09-22 2007-11-06 노영도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100912233B1 (ko) * 2008-12-12 2009-08-14 (주)피앤티디 마스크
KR20110102768A (ko) * 2010-03-11 2011-09-19 김경진 호흡저항을 최소화한 운동용 방진마스크
KR101729639B1 (ko) * 2017-01-26 2017-04-24 조기형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49Y1 (ko) 2008-02-04 2009-12-17 주식회사 모아세이프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464B1 (ko) * 2003-06-13 2005-10-10 유의성 흡배수단 다용도 마스크
KR100773460B1 (ko) * 2006-09-22 2007-11-06 노영도 방진 및 방독 마스크
KR100912233B1 (ko) * 2008-12-12 2009-08-14 (주)피앤티디 마스크
KR20110102768A (ko) * 2010-03-11 2011-09-19 김경진 호흡저항을 최소화한 운동용 방진마스크
KR101729639B1 (ko) * 2017-01-26 2017-04-24 조기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84B1 (ko)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639B1 (ko)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US6550479B1 (en) Personal respirator
WO2016167495A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RU2089228C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нос для пациента, которому сделана операция трахеотомии
WO2017142126A1 (ko) 기능성 마스크
WO2019054694A1 (ko) 마스크
WO2020184993A1 (ko) 개인용 공기청정기
WO2016186249A1 (ko)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WO2010064862A2 (ko) 마스크
JP2012511987A (ja) ろ過媒体を有する呼吸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
KR101628323B1 (ko) 마스크
WO2020054913A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US20210386136A1 (en) Adjustable face mask
CN104757711B (zh) 防护型环保口罩
WO2014173320A1 (zh) 气体过滤器
US7363925B2 (en) Gas-treatment devices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WO2019050091A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CN209714045U (zh) 口鼻分隔防护面罩
WO1997001366A1 (en) Respiratory aid appliance
CN115485035B (zh) 双向可重复使用过滤面罩
CN209711604U (zh) 一种防护面罩
WO2015023033A1 (ko) 휴대용 미니 마스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6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56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