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45451A1 -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45451A1
WO2019045451A1 PCT/KR2018/009996 KR2018009996W WO2019045451A1 WO 2019045451 A1 WO2019045451 A1 WO 2019045451A1 KR 2018009996 W KR2018009996 W KR 2018009996W WO 2019045451 A1 WO2019045451 A1 WO 20190454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tilage
hapln1
protein
regeneration
proteogly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9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경
장지민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849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24727A/ko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ES18851068T priority Critical patent/ES2913411T3/es
Priority to CN201880056630.7A priority patent/CN111295194A/zh
Priority to CN202311567985.1A priority patent/CN117731758A/zh
Priority to JP2020512483A priority patent/JP7078712B2/ja
Priority to EP18851068.9A priority patent/EP3677269B1/en
Publication of WO20190454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45451A1/ko
Priority to US16/805,420 priority patent/US1121357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4Peptide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Derivatives thereof, e.g. bleomycin, phleomycin, muramylpeptides or vancomyc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regeneration of cartilage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HPLN1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 articular cartilage made of hyaline cartilage abuts against each other and exerts pressure and tensile force.
  • Each joint has a synovial capsule (synovial fluid) )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joint motion.
  •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of the cartilage tissue is composed of collagen type II (type II collagen), aggrecan, , Hyaluronic acid (hyaluronan), 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 and the like have an aggregate structure as a main component.
  • HAPLN1 binds more strongly to the hyaluronic acid chain, and thus physically and chemically stabilizes the aggregate.
  • the thickness of the cartilage in the knee joint is about 2 mm. If the area is damaged by 1 ⁇ 4 mm2 due to trauma or disease, it can be regenerated by natural healing. However, if it is damaged by 20 mm2, It usually involves a great deal of pain. Further, when articular cartilage is completely lost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umor, necrosis, etc., treatments such as implantation of artificial joints at the relevant sites are performed in order to restore joint func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biocompatibility because artificial joints are artificially constructed similarly to joint functions and foreign bodies in living bodies.
  • the articular cartilage regeneration has been reported by perforating the joint surface and placing collagen containing bone morphogentic protein (BMP) at a desired site.
  • BMP bone morphogentic protein
  • the regenerated articular cartilage is not formed continuously with adjacent articular cartilage, and thus can not be said to be a complete regeneration.
  • Collagen also tends to avoid application to living organisms due to problems such as 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so-called mad cow diseas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ovel composition for regenerating cartilage using only a material which is recognized to be applied to a living bod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Reagent composition.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Reagent composition.
  • HPLN1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regenerating cartilage tissue in vitro by treat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 HPLN1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 the HAPLN1 protein promotes cartilage formation and cartilage regeneration, increases the expression level of TGF-beta receptor I in chondrocytes, increases the composition ratio of cartilage-forming cells and induces regeneration of cartilage tissue .
  • the HAPLN1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or a reagent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as a novel composition for regulating TGF- ⁇ signaling.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cartilage forming ability of repeated regeneration of HAPLN1 protein in the degenerated growth plate of aged mice.
  • FIG. 1 (A)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proteoglycan in the tissue on the growth of Safranin O / Fast Green FCF ).
  • Fig. 1 (B) shows the presence of cartilage cells having cartilage-forming ability by immunohistochemistry.
  • FIG. 2 shows immunofluorescence of the cartilage regeneration ability of HAPLN1 protein administered into the joints of the injured knee joint tissue of the mouse.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ability of HAPLN1 protein to promote cartilage formation in human articular cartilage cells.
  • FIG. 3 (A) shows the amount of gene expression of cartilage-specific gene SOX9 and aggrecan and collagen type II
  • 3 (B) shows the proteoglycan accumulated in the extracellular matrix by the saprinin O / fast green FCF staining method.
  • FIG. 4 shows the ability of HAPLN1 protein to regulate TGF- ⁇ signaling in mouse articular cartilage cells.
  • FIG. 4 (A) shows the ability of HAPLN1 protein to regulate TGF- ⁇ receptor I by western blot
  • 4 (B) and 4 (C) show TGF- ⁇ receptor I stabilization of HAPLN1 protei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 FIG. 4 (D) shows cell surface TGF- ⁇ receptor I expression by HAPLN1 protei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firmed the ability of HAPLN1 protein to promote cartilage formation and cartilage regeneration in aged mice and articular cartilage damaged mice.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promoting cartilage formation by HAPLN1 protein in cartilage cells and regulating signal transduc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TGF-beta receptor I presented in cartilage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HPLN1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 the HAPLN1 promotes cartilage formation and protects the articular cartilage.
  • the HAPLN1 increases the expression level of TGF-beta receptor I, thereby increasing the composition ratio of cartilage-forming cells and inducing regeneration of cartilage tissu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it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ample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or the like, or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or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 it when formulating, it can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weights, binders, humectants, disintegrants, surfactants and the like which are usually used.
  • Solid form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 Such a solid prepara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liquid paraffin, and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and task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a base for suppositories it is possible to use witepsol, macrosole,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the appropriat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the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and the time, bu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0.001 mg / kg to 50 mg / kg,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to several times per day as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ood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food composition, it may contain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heavies such as cheese, chocolate, ,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It may also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synthetic fruit juice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ny one of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 confectionery, pizza, ramen, gum, ice cream, soup, beverage, tea, functional water, drink, alcohol and vitamin complex .
  •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food additive, and the suitability of the food additive as a food additive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the General Rules and General Test Methods approv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ndards and standards.
  •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food additives include natural products such as ketones, chemical products such as glycine, potassium citrate, nicotinic acid and cinnamic acid, detainable extracts, licorice extracts, crystalline cellulose, high-melting dyes and guar gum, A mixed preparation such as a sodium preparation, a noodle-added alkaline preparation, a preservative preparation, a tar coloring preparation and the lik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dded to foods in the course of manufacturing a health food com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agent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a reagent composition for cartilage regeneration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generating cartilage tissue in vitro by treating hyaluronic acid and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HAPLN1) to chondrocytes.
  • HPLN1 proteoglycan-linked protein 1
  • Example 1 Analysis of cartilage regeneration by HAPLN1 protein in in vivo degenerated cartilage tissue
  • HAPLN1 protein was treated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Diluted and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daily at a dose of 0.1 mg / kg for 2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with PBS by the same method.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mice femur and knee joints of each group were fixed with neutral buffered 10% formalin (NBF) for 48 hours and successively treated with 10%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Daily demineralization was performed.
  • Paraffin blocks were prepared by embedding each sample in paraffin, and tissue slides with a thickness of 5 ⁇ m were prepared in the sagittal direction.
  • the growth plate of the old control was degenerated and only the traces of the cartilage tissue could be confirmed when compared with the Young Control, whereas the HAPLN1 protein was repeatedly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 the aging group (Old HAPLN1), cartilage was formed on the degenerated growth plate (arrow head).
  • Example 2 Analysis of cartilage regeneration by HAPLN1 protein in injured cartilage tissue in vivo
  • mice Seven week old male C57BL / 6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 the control group (sham control group) was a sham operation for 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 (DMM) and was maintained for 4 weeks after the procedure.
  • Vehicle treatment group (DMM control group) was maintained under the existing condition for 8 weeks after DMM treatment, and PBS was intra - articularly administered once a week for the last 4 weeks.
  • the HAPLN1 treated group (DMM HAPLN1 group) was maintained in the conventional condition for 8 weeks after the DMM treatment, and the HAPLN1 protein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to the PBS at a concentration of 1 ⁇ g / mL per week for the last 4 weeks.
  • the knee tissues to which the procedure and treatment were applied were extracted and fixed with NBF for 48 hours, followed by 7 days of demineralization with 10% EDTA solution.
  • Each specimen was embedded in paraffin to prepare paraffin blocks, and tissue slides with a thickness of 5 ⁇ m in the sagittal direction were prepared.
  • Example 3 In vitro chondrogenesis promoting ability analysis of HAPLN1 protein
  • Human articular chondrocyte was prepared by mixing 10% fetal bovine serum (FBS), 1% penicillin / streptomycin (Gibco), 1% non essential The cells were cultured in a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 F12 1: 1 mixture (DMEM / F12; Gibco) medium containing 5% CO 2 at 37 ° C.
  • a three-dimensional culture system for embedding cells in alginate beads was used as a model for testing the cartilage capacity of HAC.
  • HAC was uniformly mixed in a 1.25% alginate solution to contain 30,000 cells per bead. These cells were cultured by adding 50 ⁇ g / mL L-ascorbic acid 2-phosphate, 1% ITS (insulin-transferrin-selenium; Gibco) and 10 ng / mL TGF- And 50 ng / mL HAPLN1 was added to the HAPLN1-treated group. The culture was continued for 7 to 28 days at 37 ° C, 5% CO 2 .
  • alginate was dissolved in 55 mM EDTA solution and centrifuged at 500 xg for 3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the obtained cells were subjected to RNA extrac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 First-strand cDNA was synthesized from 0.1 ⁇ g of the obtained RNA using oligo-dT20 primer and SuperScript III First-Strand Synthesis Supermix (Invitrogen).
  • the obtained cDNA was subjected to PCR using iQ SYBR Green Supermix (Bio-Rad) with 200 nM primers for each gene of interest.
  •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95 ° C for the first 5 minutes, followed by 45 cycles of 95 ° C for 10 seconds, 62 ° C for 15 seconds, and 72 ° C for 20 seconds.
  • the amplified signal was measured in real time by CFX Connect (Bio-ra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of interest was calculated relative to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GAPDH.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A), and the primer sequences for each human gene used in the PCR are as follows.
  • HAPLN1 protein induces HAC to increase expression of SOX9 gene and increase gene expression of aggrecan (ACAN) and collagen type II (type II collagen; COL2A1) .
  • TGF- ⁇ receptor I T ⁇ R1
  • Immature murine articular chondrocytes were isolated from both leg joint cartilages of ICR mice at 5 days of age. Obtained iMAC is 10% FBS (Gibco), 1 % penicillin / streptomycin (penicillin / streptomycin; Gibco), 1% NEAA (Gibco) with DMEM / F12 (Gibco) 37 °C in the medium, 5% CO 2 containing the Lt; / RTI >
  • TGF- ⁇ receptor I TGF- ⁇ receptor I
  • ALK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 T ⁇ R2 TGF- ⁇ receptor II
  • Gapdh Gapdh
  • TGF- ⁇ receptor I T ⁇ R1
  • ALK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 T ⁇ R2 TGF- ⁇ receptor II
  • TGF- ⁇ Receptor I T ⁇ R1
  • TGF- ⁇ receptor I (T ⁇ R1) protein level by the HAPLN1 protein shown in Example 4-1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in stability, from the cells cultured for 24 hours and 72 hours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T ⁇ R1) protein levels by HAPLN1 in an environment where protein synthesis (de novo synthesis) is limited.
  • RNA extraction and PCR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 First strand cDNA was synthesized from 0.1 ⁇ g of the obtained RNA using oligo-dT20 primer and SuperScript III First-Strand Synthesis Supermix (Invitrogen).
  • the obtained cDNA was subjected to PCR using iQ SYBR Green Supermix (Bio-Rad) with 200 nM primers for each gene of interest.
  • the reaction conditions were 95 ° C for the first 5 minutes, followed by 45 cycles of 95 ° C for 10 seconds, 61 ° C for 15 seconds, and 72 ° C for 20 seconds.
  • the amplified signal was measured in real time by CFX Connect (Bio-ra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of interest was calculated relative to the amount of each Gapdh expression.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B), and the primer sequences for each mouse gene used in the PCR are as follows.
  • Tgfbr1 forward 5'-GTCACTGGAGTTGTACGGCA-3 ' reverse 5'-GGGCTGATCCCGTTGATTTC-3 ' Acvrl1 forward 5'-CTGGGTGCTCTAGGCTTGTG-3 ' reverse 5'-GCCCGTAGTACAGTCGCTG-3 ' Tgfbr2 forward 5'-AACAGTGATGTCATGGCCAG-3 ' reverse 5'-CAGACTTCATGCGGCTTCTC-3 ' Gapdh forward 5'-TGGCCTTCCGTGTTCCTAC-3 ' reverse 5'-GAGTTGCTGTTGAAGTCGCA-3 '
  • iMACs cultured at high density on the plate bottom were treated with 10 ⁇ M cycloheximide (CHX) for exposure, 0.5 h before or 0.5 h after treatment with cycloheximide (CHX), and 200 ng / mL HAPLN1 Lt; / RTI > After 24 hours of treatment with cycloheximide (CHX), the plate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 cells were collected and proteins were extracted in RIPA buffer.
  • CHX cycloheximide
  • TGF- ⁇ receptor I T ⁇ R1
  • ALK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 TGF- ⁇ receptor II T ⁇ R2
  • Gapdh protein Gapdh protein
  • T ⁇ R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 ALK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 TGF- ⁇ receptor II T ⁇ R2
  • TGF- ⁇ receptor I T ⁇ R1
  • Biotin-labeled cell surface proteins were selectively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lysates by immunoprecipitation using a biotin antibody and a magnetic bead.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on the obtained fractions to obtain TGF (T ⁇ R1), 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ALK1), TGF- ⁇ receptor II (T ⁇ R2), and Gapdh protein expression level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GF- ⁇ receptor I T ⁇ R1
  • T ⁇ R2 TGF- ⁇ receptor II
  • HAPLN1 20 mg of HAPLN1, 100 mg of lactose and 10 mg of talc were mixed and packed in airtight bags to prepare powders.
  • HAPLN1 20 mg of HAPLN1, 100 mg of corn starch, 100 mg of lactose, and 2 mg of magnesium stearate were mixed and table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preparation method.
  • HAPLN1 10 mg of HAPLN1, 100 mg of corn starch, 100 mg of lactose and 2 mg of magnesium stearate were mixed, and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apsule preparation method and filled in gelatin capsules to prepare capsules.
  • HAPLN1 (10 mg), sterilized distilled water suitable amount, and pH adjuster were mixed, and the contents of the above component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usual preparation method of injections (2 ml) per ampoule.
  • HAPLN1 1 mg of HAPLN1, 1000 mg of citric acid, 100 g of oligosaccharide, 2 g of a plum concentrate, 1 g of taurine and purified water were added to make a total of 900 ml.
  • the above components were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health drink manufacturing method, The solution was filtered and sterilized in a sterilized 2 L container, and then refrig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HAPLN1 단백질은 연골 형성 촉진 및 관절연골 재생능을 가지며,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켜 연골 형성능 보유 세포의 구성비를 증가시키고,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TGF-β의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새로운 조성물로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뼈와 뼈가 만나는 경첩부위는 유리질 연골(hyaline cartilage)로 이루어진 관절 연골(articular cartilage)이 서로 맞닿아 내압력과 인장력을 행사하며, 각 관절은 관절 주머니(synovial capsule)가 활액(synovial fluid)을 머금고 있어 관절 운동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형태를 가진다.
관절 연골은 성장판(growth plate) 연골과 함께 연골의 형태 중 유리질 연골에 해당되며, 이러한 연골조직의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은 콜라겐 타입 Ⅱ(type Ⅱ collagen), 어그리칸(aggrecan), 히알루론산(hyaluronan), HAPLN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등이 주된 성분으로서 응집체(aggregate)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히알루론산 사슬에 다수의 어그리칸이 결합하는데 HAPLN1은 이 둘의 결합을 더욱 강하게 결속시킴으로써 응집체를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릎 관절에서 연골의 두께는 약 2 ㎜이며, 외상이나 질병 등에 의해 면적이 1∼4 ㎟ 정도 손상된 경우에는 자연 치유에 의한 재생이 가능하나, 20 ㎟ 정도 손상된 경우에는 자력에 의한 재생은 곤란하며, 일반적으로 큰 고통을 수반한다. 추가로, 종양, 괴사 등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관절 연골을 완전히 잃은 경우에는 관절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서, 예컨대, 인공 관절을 해당 개소에 매립하는 등의 처치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공 관절은 어디까지나 관절 기능과 유사하게 인공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생체에 있어서는 이물이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을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인공 관절은 생체 내에서의 엄격한 환경 하에서, 복잡한 동작이 요구되기 때문에, 20년 이상 유지시키는 것은 곤란하며, 그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수지나 금속 등의 열화나 마모 가루의 발생 등에 의해 기능의 저하나 고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고, 내구성에 있어서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인공 관절 치료를 대신하는 것으로서, 관절 연골 자체를 재생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 발표에 따르면, 관절 표면을 천공하고 골 형성 인자(BMP: bone morphogentic protein)가 함유된 콜라겐을 원하는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관절 연골의 재생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재생된 관절 연골은 인접하는 기존의 관절 연골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완전한 재생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콜라겐은 BSE(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소위 광우병 등의 문제로부터, 생체에 적용하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생체 적용이 인정되는 재료만을 이용하여 연골을 재생시키는 새로운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연골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처리하여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연골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APLN1 단백질은 연골 형성 촉진 및 관절연골 재생능을 가지며,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켜 연골 형성능 보유 세포의 구성비를 증가시키고,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TGF-β의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새로운 조성물로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노화 마우스의 퇴화된 성장판에 대해 HAPLN1 단백질의 반복 복강투여로 인한 연골 형성능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1(A)는 조직 내 프로테오글리칸을 사프라닌 O/패스트 그린 FCF(Safranin O/Fast Green FCF) 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며, 도 1(B)는 연골 형성능을 보유한 연골세포의 존재를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마우스의 손상된 무릎 관절조직에 대해 관절강 내로 투여된 HAPLN1 단백질의 연골 재생능을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인간 관절 연골세포에 대한 HAPLN1 단백질의 연골 형성 촉진능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3(A)는 연골-특이 유전자 SOX9과 연골 기질 구성물인 어그리칸 및 콜라겐 타입 II의 유전자 발현량을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확인한 것이며, 도 3(B)는 세포 외 기질에 축적된 프로테오글리칸을 사프라닌 O/패스트 그린 FCF 염색법으로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마우스 관절 연골세포에 대한 HAPLN1 단백질의 TGF-β 신호전달 조절능을 확인한 것으로서, 도 4(A)는 HAPLN1 단백질의 TGF-β 수용체 I 조절능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것이며, 도 4(B) 및 4(C)는 HAPLN1 단백질의 TGF-β 수용체 I 안정화를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한 것이며, 도 4(D)는 HAPLN1 단백질에 의한 세포 표면 TGF-β 수용체 I 제시능 향상을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노화 마우스 및 관절 연골 손상 마우스에서 HAPLN1 단백질에 의한 연골 형성 촉진능 및 연골 재생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골세포에서도 HAPLN1 단백질에 의한 연골 형성 촉진능이 유효하고,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의 제시량 증가에 의한 신호전달 조절 효과를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APLN1은 연골 형성을 촉진하고, 관절연골을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HAPLN1은 TGF-β 수용체 I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켜 연골 형성능 보유 세포의 구성비를 증가시키고,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 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바, 상기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 mg/kg 내지 50 mg/kg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연골세포에 처리하여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연골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생체 내(in vivo) 퇴화된 연골조직에서 HAPLN1 단백질에 의한 연골 재생능 분석
1-1. HAPLN1 단백질의 반복 복강투여에 의한 퇴화된 성장판 내 연골 형성 촉진
6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어린(Young) 군으로, 20개월령의 C57BL/6 마우스를 노화(Old) 군으로 분류하고, 노화 군에는 HAPLN1 단백질을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희석하여 0.1 mg/kg의 용량으로 2주간 매일 복강투여 하는 한편, 대조군은 PBS를 동등한 방법으로 복강투여 하였다.
각 군의 마우스 대퇴골 및 무릎 관절 부위를 취하여 중성완충 10%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10% formalin; NBF)으로 48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연속하여 10%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용액으로 7일간 탈회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각 검체를 파라핀(paraffin)에 포매(embedding)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조하였으며, sagittal 방향으로 5 μm 두께의 조직 절편 슬라이드를 제조하였다. 조직학적 평가를 위해, 각 조직 절편 슬라이드의 연골조직은 사프라닌 O/패스트 그린 FCF(safranin O/fast green FCF; SO/FG) 염색법을 수행하여 시각화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조직절편의 관찰은 Ni-U(Nikon) 현미경 및 DS-Ri1(Nikon)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다(축척 막대 = 1 mm).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린 대조군(Young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노화 대조군(Old Control)의 성장판은 퇴화하여 연골조직의 흔적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HAPLN1 단백질을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받은 노화군(Old HAPLN1)에서는 퇴화한 성장판에 연골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화살표 머리).
1-2. HAPLN1 단백질의 반복 복강투여에 의한 연골 형성능 보유 연골세포의 형성 및 증가
상기 실시예 1-1로부터, HAPLN1 단백질의 반복 복강투여로 인해 유도된 연골 형성 부위에 연골 형성능을 보유한 세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부위에 대하여 연골-특이 전사인자(cartilag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인 SOX9을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 IHC)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조직절편의 관찰은 Ni-U(Nikon) 현미경 및 DS-Ri1(Nikon)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축척 막대 = 1 mm).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린 대조군(Young Control)에서는 SOX9을 발현하는 세포를 연골조직 내 전반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반면, 노화 대조군(Old Control)에서는 SOX9을 발현하는 세포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HAPLN1 단백질을 반복적으로 복강투여 받은 노화군(Old HAPLN1)의 연골 형성 자극 부위에서 SOX9을 발현하는 세포들이 다수 발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화살표).
실시예 2: 생체 내(in vivo) 손상된 연골조직에서 HAPLN1 단백질에 의한 연골 재생능 분석
7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를 다음과 같이 3개의 군으로 분배하였다. 정상 대조군(Sham Control군)은 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DMM) 시술에 대한 모의 시술군(sham operation)으로서, 시술 후 4주 동안 기존의 조건으로 사육하였다. Vehicle 처치군(DMM Control군)은 DMM 시술 후 8주 동안 기존의 조건으로 사육하면서, 마지막 4주 동안은 주 1회 PBS를 관절강 내 투여하였다. HAPLN1 처치군(DMM HAPLN1군)은 DMM 시술 후 8주 동안 기존의 조건으로 사육하면서, 마지막 4주 동안은 주 1회 HAPLN1 단백질을 PBS에 1 μg/mL 농도로 희석하여 관절강 내 투여하였다.
사육 종료 시, 시술 및 처치가 적용된 무릎 조직을 적출하여 NBF로 48시간 동안 고정시키고, 연속하여 10% EDTA 용액으로 7일간 탈회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각 검체를 파라핀에 포매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조하였으며, sagittal 방향으로 5 μm 두께의 조직 절편 슬라이드를 제조하였다. 면역형광염색법(immunofluorescence; IF)을 이용하여 콜라겐 타입 II(type II collagen; Col2)를 녹색 형광으로 염색하였고, 세포의 핵은 4',6-diamidino-2-phenylindole(DAPI)를 이용하여 파랑 형광으로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조직절편의 관찰은 Ni-U(Nikon) 현미경 및 DS-Ri1(Nikon)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축척 막대 = 200 μm).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Sham Control군)에서 발견되는 콜라겐 타입 II 발현 세포의 수가 Vehicle 처치군(DMM Control군)에서 크게 감소되어 있는 반면, HAPLN1 처치군(DMM HAPLN1군)에서 콜라겐 타입 II 발현 세포의 수가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화살표 머리).
실시예 3: HAPLN1 단백질의 시험관 내(in vitro) 연골 형성 촉진능 분석
3-1. HAPLN1 단백질에 의한 인간 관절 연골세포의 연골 형성능 증가
인간 관절 연골세포(human articular chondrocyte; HAC)는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 1% 비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NEAA; Gibco)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F12 1:1 혼합(DMEM/F12; Gibco) 배지 내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되었다.
HAC의 연골형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모델로서 알긴산염 구슬(alginate bead) 내에 세포를 포매하는 3차원 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1.25% 알긴산염(alginate) 용액에 HAC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구슬 당 30,000개의 세포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들은 상기 성장배지에 50 μg/mL L-아스코르브산 2-인산(L-ascorbic acid 2-phosphate), 1% ITS(insulin-transferrin-selenium; Gibco) 및 10 ng/mL TGF-β1을 첨가하여 배양하였으며, HAPLN1 처리군은 50 ng/mL HAPLN1을 추가로 첨가하였다. 배양은 37℃, 5% CO2 조건으로 7일 내지 28일 동안 지속되었다.
배양 종료 시, 알긴산염 구슬에 포매된 HAC를 회수하기 위해, 55 mM EDTA 용액으로 알긴산염을 용해시킨 후 500 xg에서 3분간 원심분리(centrifugation)하였다. 원심분리 후 획득한 세포로 RNA 추출 및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비교분석 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TRIzol(Thermo Scientific)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사항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다. 획득한 RNA 0.1 μg으로부터 oligo-dT20 프라이머(primer)와 SuperScript III First-Strand Synthesis Supermix(Invitrogen)를 이용하여 first-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획득한 cDNA는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를 이용하여, 각 관심 유전자에 대한 200 nM 프라이머와 함께 PCR을 진행하였다. 반응 조건으로는 최초 5분간 95℃를 유지시킨 후, 95℃ 10초, 62℃ 15초, 72℃ 20초의 3단계 과정을 45회 반복하였다. 증폭신호는 CFX Connect(Bio-rad)로 실시간 측정되었고, 관심 유전자의 발현량은 각자의 GAPDH 발현량에 대한 상대값으로 산출되었다.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으며, PCR에 사용된 각 인간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다.
SOX9 forward 5'-AGCGAACGCACATCAAGAC-3'
reverse 5'-CTGTAGGCGATCTGTTGGGG-3'
ACAN forward 5'-GTGCCTATCAGGACAAGGTCT-3'
reverse 5'-GATGCCTTTCACCACGACTTC-3'
COL2A1 forward 5'-TGGACGCCATGAAGGTTTTCT-3'
reverse 5'-TGGGAGCCAGATTGTCATCTC-3'
GAPDH forward 5'-CTGGGCTACACTGAGCACC-3'
reverse 5'-AAGTGGTCGTTGAGGGCAATG-3'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HAPLN1 단백질은 HAC로 하여금 SOX9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어그리칸(aggrecan; ACAN) 및 콜라겐 타입 II(type II collagen; COL2A1)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HAPLN1 단백질에 의한 인간 관절 연골세포의 세포 외 기질 내 프로테오글리칸 축적 증가
상기 실시예 3-1로부터, HAPLN1 첨가에 의한 연골 기질의 세포 외 축적을 평가하기 위해, 배양 28일째의 알긴산염 구슬을 NBF로 15분간 고정하고, OCT compound(Sakura) 내에서 액체질소에 의해 동결하였다. 이로부터 두께 5μm의 동결절편을 얻어, 아세톤(acetone) 고정 후 사프라닌 O/패스트 그린 FCF 염색으로 시각화하였다. 염색된 조직절편의 관찰은 Ni-U(Nikon) 현미경 및 DS-Ri1(Nikon)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축척 막대 = 250 μm).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HAPLN1 단백질이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된 HAC의 알긴산염 구슬에서는, 그 대조군에 비해, 사프라닌 O에 의해 염색된 프로테오글리칸의 축적이 크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HAPLN1 단백질에 의한 TGF-β 신호전달 조절능 분석
4-1. HAPLN1 단백질에 의한 마우스 관절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TβR1)의 단백질량 증가
5일령의 ICR 마우스의 양쪽 다리 관절 연골로부터 미성숙 마우스 관절 연골세포(immature murine articular chondrocyte; iMAC)를 분리하였다. 획득한 iMAC은 10% FBS(Gibco),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 1% NEAA(Gibco)가 포함된 DMEM/F12(Gibco) 배지 내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되었다.
플레이트 바닥에 고밀도로 배양된 iMAC에 100 ng/mL HAPLN1을 3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고,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완충액 내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을 수행하여 TGF-β 수용체 I(TβR1),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TGF-β 수용체 II(TβR2) 및 Gapdh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HAPLN1 단백질에 의해 iMAC의 TGF-β 수용체 I(TβR1)의 단백질 발현 수준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및 TGF-β 수용체 II(TβR2)의 발현 수준은 변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HAPLN1 단백질에 의한 마우스 관절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TβR1)의 안정성 증가
상기 실시예 4-1에서 보인 HAPLN1 단백질에 의한 TGF-β 수용체 I(TβR1) 단백질 수준 증가가 안정성 증가에 의한 결과임을 검증하기 위해,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 24시간 및 72시간 동안 배양한 세포로부터, 단백질 수준을 비교하였던 세가지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단백질 생합성(de novo synthesis)을 제한한 환경에서 HAPLN1에 의한 TGF-β 수용체 I(TβR1) 단백질 수준 증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RNA 추출 및 PCR 과정은 다음과 같다.
TRIzol(Thermo Scientific)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사항에 따라 RNA를 추출하였다. 획득한 RNA 0.1 μg으로부터 oligo-dT20 프라이머와 SuperScript III First-Strand Synthesis Supermix(Invitrogen)를 이용하여 first-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획득한 cDNA는 iQ SYBR Green Supermix(Bio-rad)를 이용하여, 각 관심 유전자에 대한 200 nM 프라이머와 함께 PCR을 진행하였다. 반응 조건으로는 최초 5분간 95℃를 유지시킨 후, 95℃ 10초, 61℃ 15초, 72℃ 20초의 3단계 과정을 45회 반복하였다. 증폭신호는 CFX Connect(Bio-rad)로 실시간 측정되었고 관심 유전자의 발현량은 각자의 Gapdh 발현량에 대한 상대값으로 산출되었다.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으며, PCR에 사용된 각 마우스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 서열은 다음과 같다.
Tgfbr1 forward 5'-GTCACTGGAGTTGTACGGCA-3'
reverse 5'-GGGCTGATCCCGTTGATTTC-3'
Acvrl1 forward 5'-CTGGGTGCTCTAGGCTTGTG-3'
reverse 5'-GCCCGTAGTACAGTCGCTG-3'
Tgfbr2 forward 5'-AACAGTGATGTCATGGCCAG-3'
reverse 5'-CAGACTTCATGCGGCTTCTC-3'
Gapdh forward 5'-TGGCCTTCCGTGTTCCTAC-3'
reverse 5'-GAGTTGCTGTTGAAGTCGCA-3'
또한, 플레이트 바닥에 고밀도로 배양된 iMAC에 10 μM cycloheximide(CHX)를 처리하여 노출시키는 동안, cycloheximide(CHX)를 처리하기 0.5시간 전(pre) 혹은 0.5시간 후(post)부터 200 ng/mL HAPLN1을 처리하였다. Cycloheximide(CHX) 처리 24시간 후, PBS로 플레이트를 세포가 부착된 상태로 세척하고, 세포를 수집하여 RIPA 완충액 내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해물(cell lysate)로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여 TGF-β 수용체 I(TβR1),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TGF-β 수용체 II(TβR2) 및 Gapdh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C)에 나타내었다.
도 4(B)와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HAPLN1 단백질에 의해 iMAC의 TGF-β 수용체 I(TβR1),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TGF-β 수용체 II(TβR2) 중 어느 것도 그 유전자 발현이 유도 혹은 억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HAPLN1 단백질에 의해 TGF-β 수용체 I(TβR1)은, 단백질 발현 수준이 변동되지 않은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과 TGF-β 수용체 II(TβR2)와는 달리, 그 발현 수준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APLN1 단백질이 TGF-β 수용체 I(TβR1) 유전자에 대한 전사를 유도하지 않고 그 단백질의 반감기를 증가시켰음을 나타내며, 이는 iMAC이 보유한 TGF-β 수용체 I(TβR1) 단백질의 안정성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4-3. HAPLN1 단백질에 의한 마우스 관절 연골세포의 TGF-β 수용체 I(TβR1)의 세포표면 제시량 증가
플레이트 바닥에 고밀도로 배양된 iMAC에 10 μM cycloheximide(CHX)를 처리하여 노출시키는 동안, cycloheximide(CHX)를 처리하기 0.5시간 전(pre) 혹은 0.5시간 후(post)부터 200 ng/mL HAPLN1을 처리하였다. Cycloheximide(CHX) 처리 24시간 후, PBS로 플레이트를 세포가 부착된 상태로 세척하고, EZ-Link Sulfo-NHS-LC-Biotin(Thermo Scientific)을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세포 표면 단백질을 비오틴(biotin) 표지하였다. 0.1 M glycine 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세포를 수집하여 NP-40 lysis buffer(Bioworld) 내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해물에서 비오틴(biotin) 항체와 자성 구슬(magnetic bead)을 이용한 면역침강법을 통해 비오틴(biotin)이 표지된 세포 표면 단백질만 선택적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렇게 얻은 분획물로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여 TGF-β 수용체 I(TβR1),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TGF-β 수용체 II(TβR2) 및 Gapdh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D)에 나타내었다.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HAPLN1 단백질에 의해 iMAC의 세포 표면에 제시되고 있는 TGF-β 수용체 I(TβR1)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ALK1(activin receptor-like kinase 1) 및 TGF-β 수용체 II(TβR2)의 발현은 변동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HAPLN1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처방예 1> 약학 조성물의 처방예
<처방예 1-1> 산제의 제조
HAPLN1 20 mg, 유당 100 mg 및 탈크 10 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2> 정제의 제조
HAPLN1 2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3> 캡슐제의 제조
HAPLN1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1-4> 주사제의 제조
HAPLN1 1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처방예 1-5> 연고제의 제조
HAPLN1 10 mg, PEG-4000 250 mg, PEG-400 650 mg, 백색 바셀린 10 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1.44 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8 mg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처방예 2> 건강보조식품
<처방예 2-1> 건강식품의 제조
HAPLN1 1 ㎎,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μg,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2-2> 건강음료의 제조
HAPLN1 1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 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연골 형성을 촉진하고, 관절연골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TGF-β 수용체 I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켜 연골 형성능 보유 세포의 구성비를 증가시키고, 연골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재생용 약학 조성물.
  4.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건강식품 조성물.
  5.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시약 조성물.
  6.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처리하여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연골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
PCT/KR2018/009996 2017-08-29 2018-08-29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WO20190454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18851068T ES2913411T3 (es) 2017-08-29 2018-08-29 Composición para la regeneración del cartílago que contiene HAPLN1 como principio activo
CN201880056630.7A CN111295194A (zh) 2017-08-29 2018-08-29 一种包括hapln1作为有效成分的用于软骨再生的组合物
CN202311567985.1A CN117731758A (zh) 2017-08-29 2018-08-29 一种包括hapln1作为有效成分的用于软骨再生的组合物
JP2020512483A JP7078712B2 (ja) 2017-08-29 2018-08-29 Hapln1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軟骨再生用組成物
EP18851068.9A EP3677269B1 (en) 2017-08-29 2018-08-29 Cartilage regene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hapln1 as active ingredient
US16/805,420 US11213572B2 (en) 2017-08-29 2020-02-28 Cartilage regene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HAPLN1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9422 2017-08-29
KR10-2017-0109422 2017-08-29
KR10-2018-0098497 2018-08-23
KR1020180098497A KR20190024727A (ko) 2017-08-29 2018-08-23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805,420 Continuation US11213572B2 (en) 2017-08-29 2020-02-28 Cartilage regene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HAPLN1 as active ingred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451A1 true WO2019045451A1 (ko) 2019-03-07

Family

ID=6552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996 WO2019045451A1 (ko) 2017-08-29 2018-08-29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454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4723A (zh) * 2019-04-30 2021-12-10 哈普赛安思有限公司 包括hapln1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组合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1171A1 (en) * 2009-07-16 2012-07-05 West Michael 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 Vitro and In Vivo Chondrogenesis
WO2014130411A1 (en) * 2013-02-22 2014-08-28 Emory University Tgf-beta enhancing compositions for cartilage repai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5767591B2 (ja) * 2012-01-24 2015-08-19 HOYA Technosurgical株式会社 人工軟骨の製造方法
US20160220699A1 (en) * 2013-09-09 2016-08-04 Figene, Llc Gene therapy for the regeneration of chondrocytes or cartilage type cells
KR20170031060A (ko) * 2015-09-09 2017-03-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Hapln1을 이용한 피부 노화 측정 또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7123951A1 (en) * 2016-01-14 2017-07-20 Spinacyte, Llc Cellular blend for the regeneration of chondrocytes or cartilage type cell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1171A1 (en) * 2009-07-16 2012-07-05 West Michael 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 Vitro and In Vivo Chondrogenesis
JP5767591B2 (ja) * 2012-01-24 2015-08-19 HOYA Technosurgical株式会社 人工軟骨の製造方法
WO2014130411A1 (en) * 2013-02-22 2014-08-28 Emory University Tgf-beta enhancing compositions for cartilage repai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20160220699A1 (en) * 2013-09-09 2016-08-04 Figene, Llc Gene therapy for the regeneration of chondrocytes or cartilage type cells
KR20170031060A (ko) * 2015-09-09 2017-03-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Hapln1을 이용한 피부 노화 측정 또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7123951A1 (en) * 2016-01-14 2017-07-20 Spinacyte, Llc Cellular blend for the regeneration of chondrocytes or cartilage type cell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G, T. ET AL.: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Patterns in Articular Cartilage and Dedifferentiated Articular Chondrocytes",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vol. 30, no. 2, 2012, pages 234 - 245, XP055580770, ISSN: 0736-0266, DOI: 10.1002/jor.21503 *
See also references of EP3677269A4 *
URANO, T. ET AL.: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Hyaluromm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 Gene Is Associated with Spinal Osteophyte Formation and Disc Degeneration in Japanese Women", EUROPEAN SPINE JOURNAL, vol. 20, no. 4, 2011, pages 572 - 577, XP019891028, DOI: doi:10.1007/s00586-010-1598-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4723A (zh) * 2019-04-30 2021-12-10 哈普赛安思有限公司 包括hapln1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3572B2 (en) Cartilage regene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HAPLN1 as active ingredient
KR101706642B1 (ko) 연골세포로 분화되고 있는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연골세포 분화 유도 또는 연골조직 재생용 조성물
DK2628484T3 (en) Trombocytrige plasma compositions
WO2018135719A1 (ko) 시알릴락토오스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4831A (ko) Hapln1을 포함하는 연골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90388387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myofibrosis
WO2019045451A1 (ko)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EP3626728A1 (en) Peptide for inhibiting bone resorption
KR101794503B1 (ko) 강글리오사이드 gm3를 함유하는 연골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WO2011065661A2 (ko) 중간엽 줄기세포를 dkk-1 또는 sfrp-1을 이용하여 연골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JP6664956B2 (ja) 筋分化促進組成物
WO2016126122A2 (ko) 연골세포로 분화되고 있는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연골세포 분화 유도 또는 연골조직 재생용 조성물
WO2019124608A1 (ko) 4&#39;-(p-톨루엔설포닐아미도)-4-하이드록시칼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75721A1 (ko) Hapln1을 포함하는 연골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29173A1 (ja) 骨粗鬆症の予防又は改善剤
WO2022119076A1 (ko) Glp-1 수용체 작용제 및 항-오스카 항체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WO2022173123A1 (ko) 시클로엘페닐알라닐엘프롤린 디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근섬유 형성의 촉진 또는 파골세포의 분화억제 기전을 통한 근감소증 또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JP5854492B2 (ja) 軟骨細胞分化誘導促進剤
RU278816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легч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или симптомов, связанных с хрящами, включающая hapln1
JP2020517706A (ja) ヒトbmp7タンパク質のバリアント
US9078868B2 (en) Therapeutic agent for accelerating recovery of animal under medical treatment
WO2014084427A1 (ko) 알긴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33650A1 (ko) 줄기세포 컨디션드 배지 분말을 포함하는 뇌신경 또는 척수신경 관련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JP2023151051A (ja) 骨格筋TypeI細胞への分化誘導剤
WO2019022451A2 (ko)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10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1248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510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