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5621A1 -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5621A1
WO2019035621A1 PCT/KR2018/009282 KR2018009282W WO2019035621A1 WO 2019035621 A1 WO2019035621 A1 WO 2019035621A1 KR 2018009282 W KR2018009282 W KR 2018009282W WO 2019035621 A1 WO2019035621 A1 WO 20190356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ag
implant
designating
outline
thermoplastic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2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ublication of WO20190356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56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4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symbols, e.g. tex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Definitions

  • the guide template 10 when used for implant surgery,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measurement during the operation, Therefore, only the combination of the bushing, the surgical drill, and the implant provided in the guide template for guiding surgery can be omitted, and other remaining numerical information can be omit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centrate only on the operation with much higher concentration.
  • the outline of the tag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circle designating a simple perforation operation, a rectangle designating a bone grafting operation, a rhombus designating a maxillary sinus transplantation operation, a bone graft, and a hexagon designating a maxillary sinus transplantation operation .
  • the size of the tag 120 is made to be at least 4 x 4 mm and a maximum size of 11 x 11 mm in consideration of the root width of a tooth of a typical tooth.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implant and the length of the implant Is indicated by a single letter and a number, the maximum number of letters (symbols) is enough to tell both the length of the drill and the implant. Therefore, even if displayed in the tag 120 having the smallest size (4 x 4 mm), there is no problem in recognizing it with eyes.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치아 쪽에 밀착되는 내측의 제1 열가소성 시트층과, 상기 제1 열가소성 시트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제2 열가소성 시트층의 두 겹, 또는 그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가 접합되어 만들어지고,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수술법을 지정하는 도형으로 표시되고, 상기 외곽선 안에는 드릴의 길이를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시되며, 상기 외곽선의 내부는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태그는 제1 열가소성 시트, 또는 상기 가이드 템플릿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시트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수술법, 드릴이나 임플란트의 지름, 드릴의 길이 및 임플란트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통상적인 치아의 근원심 폭경(mesiodistal width)에 대응하는 정도의 작은 크기의 태그에 서로 명확히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한편 이러한 태그를 임플란트 시술이 계획된 가이드 템플릿 안에 인쇄해 놓음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이 집중력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법은 진단 단계에서 조직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로부터 임플란트 시술을 계획하고 수술기구를 지정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되는데, 임플란트 수술이 여러 군데 필요한 경우에는 각 임플란트 위치별로 환자의 구강조직을 일일이 측정하여 진행해야 한다.
환자의 구강조직 정보, 예를 들어 치은과 치조골의 두께, 신경선의 위치 등의 정보에 따라 임플란트의 길이와 지름, 식립 각도 등이 임플란트 별로 달라져야 하며, 이를 위해 수술기구에도 측정을 위한 눈금이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수술기구의 정확한 길이와 지름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안내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진단에서의 구강조직의 측정과 이에 기반한 수술 계획의 수립, 그리고 실제 수술에서의 측정과 보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종래의 임플란트 수술법은 상당히 긴 수술시간과 높은 집중도를 요구하며, 그만큼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진단 단계에서 수립된 수술 계획이 가이드 템플릿이라고 부르는 수술유도 장착물을 통해 실제 구강 내에서 실현되도록 하는 정밀유도 임플란트 수술이 고안되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고 출원하였던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템플릿(1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가이드 템플릿(10)에 관한 기술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6-0036619호(2016.03.28 출원)로 출원되었다.
도시된 가이드 템플릿(1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치아의 협측(B)과 설측(L) 및 교합측(O), 또는 치은을 감싸는 지지부(20)와, 천공용 드릴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한편 천공 깊이를 제한하는 부싱(40)이 매립된 시술부(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출원인의 가이드 템플릿(10)은 그 지지부(20) 및 시술부(30)가 치아 쪽에 밀착되는 내측의 제1 열가소성 시트층과, 제1 열가소성 시트층의 외측에 접합되는 제2 열가소성 시트층의 두 겹으로 이루어지는 실시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물론 한 겹의 열가소성 시트로 가이드 템플릿(10)을 만드는 것도 가능한데, 두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로 만들 경우 열가소성 시트의 접합면 사이에 수술정보를 담은 태그(50)를 끼워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지지부(20)란 가이드 템플릿(10) 전체를 구강 내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지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가이드 템플릿(10)은 구강 모형을 형틀로 하여 치아가 상실된 치은과 적절한 개수의 치아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제1/제2 열가소성 시트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지부(20)에는 치아 또는 치은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공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동부가 대응되는 형상의 치아에 끼워졌을 때 지지부(20)는 치아의 협측(B)과 설측(L) 및 교합측(O), 또는 대응하는 치은을 감싸게 되고, 이를 통해 가이드 템플릿(10)이 구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시술부(30)는 임플란트 수술이 이루어지는 부분(치아가 결손된 부분)으로서, 가이드 템플릿(10)을 장착하기 위한 공동부는 없는 대신 천공용 드릴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부싱(40)이 매립 고정되어 있으며, 수술 부위마다 하나씩 부싱(40)이 구비되어 있다. 즉, 각 부싱(40)의 내경은 수술 부위별로 사용될 천공용 드릴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되어 있어 드릴이 정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부싱(40)의 내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드릴이 일정 깊이까지만 들어가도록 제한함으로써 별도의 눈금 측정 없이도 천공 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출원인의 가이드 템플릿(10)은 제1 열가소성 시트와 제2 열가소성 시트를 접합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제조과정 중 제1/제2 열가소성 시트 사이에 환자 정보나 시술 시기, 제조사 로고, 수술 참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등이 기록된 태그(50)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제1/제2 열가소성 시트 사이에 태그(50)를 매립해놓으면 타액이나 혈액 등에 의해 태그(50)가 오염되거나 가이드 템플릿(10) 표면에 붙여놓은 태그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 수술에 가이드 템플릿(10)을 사용하면 수술과정 중에 측정이 필요 없거나, 있더라도 최소한도로 진행되면 된다. 따라서, 수술을 유도하는 가이드 템플릿에 구비된 부싱과 수술용 드릴, 그리고 임플란트의 조합만을 안내하고, 그 밖의 나머지 숫자정보는 생략될 수 있어 훨씬 높은 집중도로 수술에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여전히 정밀유도 수술에서 수술법, 수술기구 및 임플란트의 선택과 안내는 종래의 수술법에서 진행된 방식 그대로, 인쇄된 출력물을 통해 드릴과 임플란트의 길이, 지름에 대한 숫자정보를 안내하였다.
인쇄된 출력물을 참조하는 방식은 집중해야 할 실제 수술대상인 구강 내 조직과 출력물을 번갈아 봐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의사의 집중력을 저해하고 수술 오류를 유발함에 따라 정밀유도 수술이 가진 장점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수술안내 출력물을 수술 보조인력이 대신 안내하더라도 정보전달 도중에 잘못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도 2의 사진에 도시된 가이드 템플릿과 같이, 여러 개의 부싱에 대해 번호 태그를 부여하고 이 번호를 통해 출력물에 기재된 각 임플란트에 대한 수술정보를 서로 대응시킴으로써 수술시의 집중력 분산과 정보의 전달오류를 최대한 방지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각 부싱에 대해 번호 태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근원심 폭경에 대응하는 정도로 태그를 작게 만들고 그 안에 정보를 기입해야 하는데, 이 정도 크기의 태그에는 최대 두 개 이하의 숫자나 문자를 써넣어야만 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표현 방식으로는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너무 제한적이다.
이 때문에, 도 2의 가이드 템플릿처럼, 출력물에 기재된 각 임플란트의 수술정보를 숫자로 대응시키는 수준의 극히 제한된 정보를 전달할 수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39287호 (2011.06.07 공고)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993666호 (2010.11.10 공고)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353335호 (2014.01.17 공고)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344472호 (2013.12.24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통상적인 치아의 근원심 폭경 안에 들어가는 작은 태그 안에 수술법, 드릴이나 임플란트의 지름, 드릴의 길이 및 임플란트의 길이에 관한 모든 정보가 명확히 식별되도록 압축적으로 표시하고, 이를 가이드 템플릿의 해당 수술부위에 부여함으로써 수술정보를 인쇄한 별도의 출력물을 참조함이 없이 임플란트 시술이 집중력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겹의 열가소성 시트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두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가 접합되어 만들어지고,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수술법을 지정하는 도형으로 표시되고, 상기 외곽선 안에는 드릴의 길이를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시되며, 상기 외곽선의 내부는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열가소성 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태그는 상기 가이드 템플릿 상의 대응하는 수술 지점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태그의 외곽선 안에는 임플란트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이 상기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더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영문 알파벳 및 아라비아 숫자는 각각 하나의 글자와 숫자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단순 천공 수술을 지정하는 원형, 골 이식 수술을 지정하는 사각형,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마름모, 골 이식 및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육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가이드 템플릿은 수술법, 드릴이나 임플란트의 지름, 드릴의 길이 및 임플란트의 길이에 관한 수술정보를 기록한 작은 태그를 구비함으로써 수술계획을 기록한 별도의 출력물을 수시로 참조하면서 수술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유도수술이 집중력 있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 템플릿에 구비된 태그는 그 형태와 색상, 하나의 아라비아 숫자, 하나의 영문 알파벳만으로 임플란트 수술법, 드릴이나 임플란트의 지름, 드릴의 길이 및 임플란트의 길이에 관한 수술정보를 모두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치아의 근원심 폭경에 대응하는 정도의 작은 크기의 태그를 사용하더라도 모든 수술정보를 혼동이 없도록 명확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 템플릿이 한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가 진공성형 기법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시트 표면에 해당 태그를 미리 인쇄해 놓음으로써, 자그마한 스티커 형태로 만들어진 태그를 일일이 위치를 잡아 부착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였던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템플릿의 실제 제품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그의 외곽선을 구성하는 도형의 일 실시형태.
도 4는 도 3의 태그 안에 포함되는 드릴의 길이를 지정하는 아라비아 숫자의 일 실시형태.
도 5는 도 3의 태그 안에 포함되는 임플란트의 길이를 지정하는 영문 알파벳의 일 실시형태.
도 6 및 도 7은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길이를 지정하는 태그의 색상에 관한 실시형태.
도 8은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본 발명의 가이드 템플릿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의 실제 제품 사진.
도 10은 열가소성 시트 상에 수술정보 태그를 미리 인쇄한 후에 진공성형 기법으로 가이드 템플릿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를 제공하는 태그(120)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100)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의 가이드 템플릿(10)에 적용됐었던 단순한 번호 태그를 더욱 발전시켜 임플란트 수술에 필요한 중요정보의 대부분을 한정된 공간 안에 압축하여 표시하고 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가이드 템플릿(10)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발전된 태그(120)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120)(이하, 간략히 '태그'라 지칭함)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외곽선(122)을 서로 구별되는 몇 가지의 도형으로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태그(120)의 외곽선(122)이 이루는 각 도형은 임플란트 수술법을 지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태그(120)의 외곽선(122)은 단순 천공 수술을 지정하는 원형, 골 이식 수술을 지정하는 사각형,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마름모, 골 이식 및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육각형의 총 네 가지 도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형으로 선택된다.
태그(120)의 기본 형태를 결정하는 외곽선(122)의 도형으로 수술법을 지정하는 것은 수술법의 결정이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의 출발점이자 수술 진행의 기본이기 때문에, 제일 눈에 띄고 여러 종류의 태그(120)를 가장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외곽선(122)의 도형으로 수술법을 지정하는 것이라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각 수술법을 지정하는 도형은 도 3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하게 민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오각형이나 별 모양 등의 도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도형의 형태 자체가 수술법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특징이 있다. 즉, 치조골을 천공만 하는 단순 천공 수술은 구멍을 연상시키는 원형으로, 뼈를 이식하는 수술은 뼈의 단단함을 연상시키는 사각형으로, 위턱뼈의 상악동 안에 뼈를 채워넣는 수술은 뾰족한 마름모(이런 의미에서 위로 뾰족한 삼각형도 적절할 수 있음)로, 골 이식 및 상악동 거상 수술이 병행되는 경우에는 사각형과 마름모가 결합한 형태와 유사한 육각형으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외곽선(122)의 선 종류를 달리하여 수술법을 좀 더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곽선(122)을 실선으로 표시하면 무절개(flapless) 임플란트 수술을 지정하는 것으로 하고, 파선으로 표시하면 절개 임플란트 수술을 지정하는 것으로 구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파선은 적어도 외곽선(122)의 일부라도 절단된 비연속적인 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선과 구별되는 절단된 선(예를 들어, 일점쇄선이나 이점쇄선 등)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태그(120)의 외곽선(122) 안에 표시되는 아라비아 숫자 및 이에 대응하는 드릴의 길이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태그(120) 안에 아라비아 숫자로 3이 표시되어 있으면, 이에 대응하는 10㎜ 길이의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라비아 숫자로 직접 드릴의 길이를 지시하는 대신 한 자리의 아라비아 숫자를 대응시킨 것은 한정된 태그(120) 안의 영역에 기재되는 숫자의 개수가 많아지면 필연적으로 숫자의 사이즈가 작아져 눈으로 정확히 읽어내는 것이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나아가 드릴의 길이 외에 임플란트의 길이에 대한 정보까지 함께 기입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글자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만일 줄을 바꾸어 기입하게 되면 혼동을 일으킬 우려도 있다.
또한, 가이드 템플릿(100)을 사용하는 정밀 유도수술에서는 실제 수술단계에서 측정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릴의 실제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 대신에 구분을 위한 숫자가 사용되더라도 충분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태그(120)의 외곽선(122) 안에 임플란트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을 드릴의 길이를 지정하는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병기할 수도 있다. 병기 순서는, 일상 언어생활을 고려하여, 영문 알파벳을 앞에 쓰고 그 뒤에 아라비아 숫자를 이어서 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대문자 및 소문자 영문 알파벳 다섯 개와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길이를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천공시 사용한 드릴의 길이와 실제 식립되어야 하는 임플란트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드릴의 길이와는 별도로 사용해야 할 임플란트의 길이를 안내하는 것이 더욱 좋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라비아 숫자와 명확히 구분되는 문자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상하 반전 또는 태그(120)의 기울어짐 등에 의해 식별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고, 별도의 교육이 필요없는 전 세계의 공용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임플란트 길이를 지시하는 문자로서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문 알파벳의 순서는 임플란트의 단계별 길이를 의미한다. 즉, 순서상 뒤에 있는 영문 알파벳은 더 긴 길이의 임플란트를 지정한다.
그런데, 현재 치과 시장에서의 임플란트의 길이는 크게 두 가지로 선호도가 나뉘어 있다. 제1종은 임플란트 길이가 6.0, 8.0, 10.0, 12.0, 14.0㎜의 순차적 계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종은 7.0, 8.5, 10.0, 11.5, 13.0㎜의 순서로 계열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A∼E까지의 다섯 개 대문자 영문 알파벳으로 제1종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한편 a∼e까지의 다섯 개 소문자 영문 알파벳으로 제2종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고 있다. 여기서, 각 계열의 세 번째 임플란트 길이는 10㎜로서 동일하고, 따라서 세 번째 영문 알파벳인 "C"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정확히 구별할 수 없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점도 고려하였다.
태그(120)의 크기는 통상적인 치아의 근원심 폭경을 고려하여 최소 4×4㎜, 최대 11×11㎜ 크기로 만들어지는데,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드릴의 길이를 지시하는 아라비아 숫자 및 임플란트의 길이를 지시하는 영문 알파벳이 각각 하나의 글자와 숫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최대 두 개의 글자(기호)만 있으면 드릴과 임플란트의 길이를 모두 알려주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제일 작은 사이즈(4×4㎜)의 태그(120) 안에 표시하더라도 눈으로 인식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태그(120)의 외곽선(122) 내부를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지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드릴의 지름과 임플란트의 지름은 공차관계를 통해 상호 대응관계에 있기 때문에, 특정 지름의 드릴로 천공한 자리에 식립되어야 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은 반드시 하나로 정해진다. 따라서, 드릴의 지름과 임플란트의 지름 중의 어느 하나의 지름 정보를 알려줘 함께 처리해도 무방하다.
도 6은 외곽선(122)의 내부에 채워지는 색상 및 이에 대응하는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에 관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은 검정, 황색, 흰색, 청색, 녹색의 다섯 가지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이며, 각 색상은 순차적으로 1.8, 2.8, 3.3, 3.8, 4.3㎜의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한다. 검정, 황색, 흰색, 청색, 녹색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은 구강 내 조직인 잇몸과 혀, 혈액은 모두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붉은색 배경과 구분이 잘 되는 높은 채도의 색상을 사용함에 유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도 7과 같이, 태그(120) 내부의 색상에 적색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태그(120)의 외곽선(122)이 검은색과 같이 적색과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색일 경우에는 태그(120) 안을 적색으로 하여도 충분히 식별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7의 실시형태에서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은 검정, 황색, 흰색, 적색, 청색, 녹색의 여섯 가지 색상 중에서 선택하는 한편 각 색상은 순차적으로 1.8, 2.3, 2.8, 3.3, 3.8, 4.3㎜의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고 있다.
도 8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태그(120)가 구비된 가이드 템플릿(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9는 실제로 제작된 가이드 템플릿(100)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태그(120)에 의하면, 육각형의 실선 외곽선(122) 안에 대문자 영문 알파벳 "A"와 아라비아 숫자 "0"이 병기되어 있는데, 이는 골 이식과 상악동 거상 수술을 함께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로 수행하고, 4.0㎜ 길이의 드릴로 천공한 후 6.0㎜ 길이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라는 중요 수술정보가 모두 표시된 것이다.
도 8은 흑백 도면이기 때문에 태그(120) 안의 색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데, 도 9의 컬러 사진을 참조하면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도 함께 표현되어 있다. 예컨대 노란색 태그에 담긴 수술정보는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로 단순 천공하고, 4.0㎜ 길이의 드릴로 천공한 후 6.0㎜ 길이 및 2.8㎜의 드릴 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라는 것이다.
한편, 도시된 태그(120)의 외곽선(122)에는, 태그(120)가 지시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에 대응하는 수술부위의 부싱(110)으로 연장된 지시선(124)이 더 포함되어 있다. 지시선(124)은, 특히 임플란트를 여러 개 수술해야 할 경우에, 각 태그(120)가 지시하는 수술정보가 어느 지점(즉, 어느 부싱)에 관한 것인지 혼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정확히 알려주기 위한 보조선이다. 지시선(124)은 태그(120)의 외곽선(122)으로부터 연장되는데, 외곽선(122)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시선(124)을 표시하는 것이 통일감을 주고 불필요한 색상정보를 늘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그(120)는 가이드 템플릿(100) 안에 매립되는 것이 좋다. 물론 가이드 템플릿(100) 표면에 스티커 타입의 태그(120)를 부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타액이나 혈액, 수술시 사용되는 세척수 등에 의해 태그(120)가 오염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가이드 템플릿(100) 안에 태그(120)를 심어놓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가이드 템플릿(100)은 두 겹의 열가소성 시트를 접합하여 만들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 템플릿(100) 안에 스티커 형태로 미리 만들어 놓은 태그(120)를 치아 쪽에 밀착되는 내측의 제1 열가소성 시트 위의 해당 위치에 부착하고, 이후 제1 열가소성 시트 위로 제2 열가소성 시트를 접합하는 방식을 통해 손쉽게 가이드 템플릿(100) 안에 태그(120)를 매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환자 정보나 시술 시기, 제조사 로고, 수술 참고정보를 포함하는 간력한 정보가 기록된 태그(50)를 전술한 본 발명의 태그(120)로 대체함으로써 수술법, 드릴이나 임플란트의 지름, 드릴의 길이 및 임플란트의 길이에 관한 훨씬 상세한 수술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증하다.
또한, 가이드 템플릿(100) 안에 매립되는 태그(120)는 두 겹의 열가소성 시트 사이에 배치하는 것은 물론 부싱(110) 표면에 미리 태그(120)를 붙여놓고 가이드 템플릿(100)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며, 투명한 열가소성 시트를 사용하면 매립된 태그(120)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더욱 쉬워진다.
다만,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태그(120)를 열가소성 시트 위에 하나씩 붙이는 것은 몇 가지 점에서 불편하다.
먼저, 태그(120)의 크기는 작을 경우 4×4㎜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 이런 작은 사이즈의 스티커 태그(120)를 일일이 열가소성 시트 위에 붙이는 것은 상당히 세밀한 작업을 요한다. 더욱이 시술해야 할 임플란트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가이드 템플릿(100)의 한정된 표면 위에 여러 개의 스티커 태그(120)를 혼동 없이 정확히 붙이는 것은 어려우면서 실수를 일으킬 우려가 높다.
또한, 인접한 태그(120)가 각각 지정하는 위치를 오인하지 않도록 적절히 부착 위치를 배분하는 작업도 상당히 신경을 써야 하고, 울퉁불퉁한 곡면을 이루는 열가소성 시트 위에는 스티커 태그(120)를 안정적으로 붙여놓는 것이 어렵기도 하다. 즉, 가이드 템플릿(100)을 만들기 위한 틀이 되는 구강 인상모델 위에 열가소성 시트를 진공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성형하면 열가소성 시트 표면은 구강 인상모델의 표면 형상대로 울퉁불퉁한 곡면을 이루게 되는데, 이런 굴곡진 표면 위에 부착된 스티커 태그(120)는 들뜨거나 떨어지기 쉬워 열가소성 시트의 다음 겹을 접합하는 과정 중에 자리를 이탈할 우려가 꽤 크다. 이러한 문제는 가이드 템플릿(100)을 재제작해야 하는 부담을 남기고, 스티커 태그(120)가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태그(120) 본래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스티커 태그(120)는 혈액이나 타액 등의 체액, 세척수 등의 액체에 닿을 경우 점착력이 약해져 떨어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두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 사이에 매립할 필요가 높다. 즉, 스티커 타입의 태그(120)는 한 겹의 열가소성 시트로 가이드 템플릿(100)을 제작할 때에는 적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스티커 타입의 태그(120)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며, 도 10은 이와 같은 목적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태그(120)가 인쇄된 열가소성 시트를 이용하여 가이드 템플릿(100)을 제작하는 일련의 공정을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템플릿(100)은 한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를 구강 인상모델 위에 진공성형 기법으로 밀착시켜 그 형태가 정확히 추종되도록 만들어지는데,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태크(120)를 임의의 열가소성 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미리 인쇄해 놓는 것이다. 즉, 구강 인상모델 위에 열가소성 시트가 밀착된 이후에 별도로 준비된 스티커 타입의 태그(120)를 붙이는 것이 아니라 평평한 열가소성 시트 위에 미리 태그(120)를 인쇄한 다음에 구강 인상모델 위로 열가소성 시트를 진공성형 기법으로 밀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인 것이다.
태그(120)가 인쇄되는 위치는, 태그가 인쇄된 열가소성 시트가 가이드 템플릿(100)을 만들기 위한 구강 인상모델 위에 밀착될 때, 인쇄된 각 태그(120)가 자신이 대응하는 임플란트 시술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당 열가소성 시트 상의 일 지점에 지정된다. 이러한 태그(120)의 위치 정렬은 규격화된 열가소성 시트를 사용하고, 해당 열가소성 시트가 구강 인상모델에 대해 정해진 위치와 방향으로 공급 및 밀착되며, 이러한 규정된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각 태그(120)의 인쇄 위치가 지정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태그(120)는 여러 겹의 열가소성 시트를 접합하여 만드는 경우에도, 열가소성 시트가 투명한 재질이라면 어떤 열가소성 시트에 인쇄해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은 가이드 템플릿(100)의 외측 표면을 이루는 가장 바깥쪽의 열가소성 시트의 겉면에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태그(120)를 인쇄하는 잉크 소재가 인체에 무해하고 내수성이 보장된다면 스티커와 같이 액체에 의해 점착력이 떨어져 탈락될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열가소성 시트 위에 태그(120)를 인쇄해 놓음으로써 스티커 타입의 태그(120)를 일일이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으며, 스티커 타입 태그(120) 적용 과정에서 잘못된 수술정보가 반영되는 위험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인쇄될 태그(120)의 위치를 열가소성 시트 상에 정확히 지정해놓을 수 있으며, 가이드 템플릿(100)의 복잡한 표면 프로파일에 의해 스티커 타입 태그(120)의 부착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떨어지거나 초기 부착위치에서 벗어날 우려가 사라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유도 식립 시술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가이드 템플릿에 관한 것이다.

Claims (17)

  1. 한 겹의 열가소성 시트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적어도 두 겹 이상의 열가소성 시트가 접합되어 만들어지고,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를 제공하는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수술법을 지정하는 도형으로 표시되고, 상기 외곽선 안에는 드릴의 길이를 나타내는 아라비아 숫자가 표시되며, 상기 외곽선의 내부는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으로 표시되고,
    상기 태그는 상기 열가소성 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시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태그는 상기 가이드 템플릿 상의 대응하는 수술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선 안에는 임플란트의 길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이 상기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더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비아 숫자는 하나의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 알파벳 및 아라비아 숫자는 각각 하나의 글자와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단순 천공 수술을 지정하는 원형, 골 이식 수술을 지정하는 사각형,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마름모, 골 이식 및 상악동 거상 수술을 지정하는 육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은 무절개 임플란트 수술을 지정하는 실선, 또는 절개 임플란트 수술을 지정하는 파선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 알파벳은 제1종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대문자 영문 알파벳과 제2종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소문자 영문 알파벳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문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문자 영문 알파벳은 A∼E까지의 다섯 가지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6.0, 8.0, 10.0, 12.0, 14.0㎜의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문자 영문 알파벳은 a∼e까지의 다섯 가지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7.0, 8.5, 10.0, 11.5, 13.0㎜의 임플란트 길이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비아 숫자는 0∼5까지의 여섯 가지로서, 각각 순차적으로 4, 6, 8, 10, 12, 14㎜의 드릴 길이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은 검정, 황색, 흰색, 청색, 녹색의 다섯 가지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 황색, 흰색, 청색, 녹색의 다섯 가지 색상은 각각 순차적으로 1.8, 2.8, 3.3, 3.8, 4.3㎜의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색상은 검정, 황색, 흰색, 적색, 청색, 녹색의 여섯 가지 색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 황색, 흰색, 적색, 청색, 녹색의 여섯 가지 색상은 각각 순차적으로 1.8, 2.3, 2.8, 3.3, 3.8, 4.3㎜의 드릴 또는 이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지름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외곽선에는 상기 태그가 표시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술정보에 대응하는 부싱으로 연장되는 지시선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선은 상기 외곽선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PCT/KR2018/009282 2017-08-16 2018-08-13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WO20190356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389 2017-08-16
KR1020170103389A KR20190018811A (ko) 2017-08-16 2017-08-16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621A1 true WO2019035621A1 (ko) 2019-02-21

Family

ID=6536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282 WO2019035621A1 (ko) 2017-08-16 2018-08-13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8811A (ko)
WO (1) WO201903562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6531A1 (en) * 2003-11-14 2005-05-19 Brian Tang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 osteotomies and method thereof
US20080176187A1 (en) * 2006-10-10 2008-07-24 Stumpel Lambert J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s therefor
US20110112544A1 (en) * 2009-11-11 2011-05-12 Jerome Haber Surgical guide with tapered holes
KR101214950B1 (ko) * 2005-10-24 2012-12-24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엘엘씨 임플란트 유사물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급속 프로토타입 오버몰드의 제조방법
US20140147806A1 (en) * 2012-11-26 2014-05-29 Fei Gao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s
KR101544773B1 (ko) *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666B1 (ko) 2008-09-24 2010-11-10 이태경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제작에 사용되는 고정핀 어셈블리
US20110311941A1 (en) 2008-11-03 2011-12-22 Tae-Kyoung Yi Stent including elastic part using for surgical operation of implant
KR101344472B1 (ko) 2011-10-18 2013-12-24 정제교 다축 가공기
KR101353335B1 (ko) 2012-05-11 2014-01-17 정제교 작업 대상물에 대한 좌표부여 및 고정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6531A1 (en) * 2003-11-14 2005-05-19 Brian Tang Thermoplastic surgical template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 osteotomies and method thereof
KR101214950B1 (ko) * 2005-10-24 2012-12-24 바이오메트 쓰리아이 엘엘씨 임플란트 유사물을 위치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급속 프로토타입 오버몰드의 제조방법
US20080176187A1 (en) * 2006-10-10 2008-07-24 Stumpel Lambert J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s therefor
US20110112544A1 (en) * 2009-11-11 2011-05-12 Jerome Haber Surgical guide with tapered holes
US20140147806A1 (en) * 2012-11-26 2014-05-29 Fei Gao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s
KR101544773B1 (ko) * 2015-04-01 2015-08-17 주식회사 디오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시술 안내정보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11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25355A1 (ko) 임플란트 수술을 계획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5685712A (en) Patient dentist whitening guide
WO2016200177A1 (ko) 드릴링 가이드 장치 및 방법
US20130017507A1 (en) Dental implantation system and method
US6406295B1 (en) Identification of dental implant components
WO2017171320A1 (ko)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조방법
WO2014069934A1 (ko) 치아 데이터 컬러링 장치
WO2011046294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060223035A1 (en) Kit of sub-kits for placing a dental post
WO2018128490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WO201903562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정보 태그를 구비한 가이드 템플릿
US5004417A (en) Color dental kit and method of use
WO2017222289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제조장치
WO2022191344A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차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WO2017105031A1 (ko) 치과용 스텐트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8147633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정밀 시술을 위한 유도 부싱 어셈블리
US6719560B2 (en) Rack for dental burrs
WO2021230483A1 (ko) 임플란트 가이드 수술 안내방법 및 그 장치
KR102190280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트레이 세트
KR102190281B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임플란트 트레이
US20110139651A1 (en) Holding tray
KR20200042146A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 준비용 기구 트레이
JPH08103456A (ja) 歯科用測定針
WO2019078675A1 (ko)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제작용 구강 모델
US11446124B2 (en) Implant set device for sinus membrane ele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6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6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6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5.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68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