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1687A1 - 음료용기 캐리어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1687A1
WO2019031687A1 PCT/KR2018/005053 KR2018005053W WO2019031687A1 WO 2019031687 A1 WO2019031687 A1 WO 2019031687A1 KR 2018005053 W KR2018005053 W KR 2018005053W WO 2019031687 A1 WO2019031687 A1 WO 20190316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veloped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carrier
folding guide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0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준
Original Assignee
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 filed Critical 손준
Publication of WO20190316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16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4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 B65D71/46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 B65D71/48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or several blanks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into a tubular element characterised by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8Means facilitating suspending, lifting, handling, or the like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8Foldable carton-boxes simulating, or transformable into, a special configuration, e.g. a car, a house, an anim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hich can easily grip and transport a plurality of beverage containers, such as a beverage-containing beverage container, with one hand.
  •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generally formed of a cardboard material made of a box material,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is folded is generally formed.
  •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carriers are disclosed in US Pat.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n be used repeatedly as long as it is not severely damaged, but it is generally used as a disposable product because it is difficult to be recovered after being taken out of the store. In addition, it is a burden to the customer to handle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fter use. Also, disposal of the beverage container after one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causes a waste of resources and adversely affects the environment.
  •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which has a simple folding structure, minimizes the time required to store the beverage container, and is relatively small in volume and easy to store.
  • 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at can be recycled for other uses after it has been used to transport beverage containers.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de of paper, a bottom portion on which at least one insertion hole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is formed, , Two side portions including at least one unfolded portion surrounded by a perforated line, and two grip portions extending from upper ends of the two side portions and capable of being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unfolded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ide portion when the perforated line is cut And can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being separated.
  • the developed portion may include a slit and an insertion piece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lit.
  • the develope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rfaces located between the slit and the insertion piece, the plurality of surfaces being divided into folding guide lines.
  • the plurality of surfaces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guide lin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adjacent surface.
  • the slit may be a sagittal line cut in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development section includes a wing extending from one surface and the one surface, a folding guide line is formed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wing, and the slit is form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s .
  • the develope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eloped portions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side portion.
  •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art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fter being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 one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arts includes an engagement groove
  • the other development part of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arts includes an engagement protrusion inserted and joined to the engagement groove
  • the side surface portion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side surface portion
  • the plurality of developed portion includes a first developed portion and a second developed portion
  • the second developed portion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side portion
  • a folding guide line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the developed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 and the handle portion.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display a method of assembling the developed part.
  • the assembly method may be displayed on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that is other than the developed view portion.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folding structure and can minimize the time required to store a beverage container, and has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is easy to store.
  •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cycled for other uses after it is used to transport the beverage contain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first side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second side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developed view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assembly, a second assembly,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ranule, a second granule, and the lik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8 attached hereto.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paper material.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formed of paper made of a cardboard material.
  • the cardboard materials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nclude inner and out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The inner surface corresponds to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when the handle portion is engaged to receive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outer surface corresponds to a surface facing the outside.
  • 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be co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Due to the coat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the cardboard material does not absorb moisture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Specifically, 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preferably coated on bot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may be print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ardboard material form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 information on a store selling beverages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be printed. Accordingly,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housed in the beverage container, information on the store is exposed to the outside.
  • an image may be printed on the developed portion to be described later.
  • the develop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may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after the developed portion is assembled. Accordingl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folded portion assembly may be printed on the develop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100, a side portion 200, and a handle portion 300.
  • the directions of the upper, lower, side, and the like are based on a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grou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normal state.
  • 1 and Fig. 2 also show that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is downward.
  •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is a portion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when the handle 300 is coupl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is used.
  •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square shape.
  •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a beverage container can be inserted.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holes 110 may be formed. 1, two insertion holes 110 are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sertion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500 can be mounted.
  •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insertion hole 110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 the top-down direc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500.
  • the low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 500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ertion hole 110
  • the upper part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hole 110 and can be mounted in the insertion hole 110.
  • the beverage container 50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inverted truncated cone whose lower end portion is relatively narrow and whose upper end portion is relatively wide, or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o the insertion hole 110.
  • the insertion hole 110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a commonly used beverage container (e.g., disposable cup for coffee) is stably mounted.
  •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70 mm to 90 mm.
  • the insertion hole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beverage container 500 which is placed in the insertion hole 11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is gradually widened. When the adjacent beverage container 110 is not sufficiently separated, The upper ends of the beverage container 50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 the side portion 20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00.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s 200 may extend from opposite ends 105 of the bottom portion 100.
  • the side part 200 may include a first side part 201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ower part 100 and a second side part 20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part 100.
  •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extend at the same or similar length at each end 105 of the bottom portion 100. Accordingly, the grip portions 300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side portions 2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handle 300 and its coupling relationshi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a folding guide line 105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portion 200 and the bottom portion 100.
  • the folding guide line 105 is formed by forming a pressure line or the like so as to fold along a predetermined lin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fold the cardboard material.
  •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portion 202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at the lower surface portion 100.
  • the side part 200 includes a developed part 400.
  • the development section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 the grip portion 300 extends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02, respectively.
  • the grip portion 300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portion 201 is referred to as a first grip portion 301 and the grip portion 300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portion 2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grip portion 302 .
  • the first grip portion 30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30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ide portion 200 is folded at the bottom portion 100.
  • the first grip portion 30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302 may be formed with engaging portions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n engaging hole 310 in the form of a hole and a engaging piece 32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310.
  • the first grip portion 301 and the second grip portion 302 abut against each other and include corresponding engagement holes 310 and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rip portion 301 through the two engagement holes 310
  • the engaging pieces 320 can be formed.
  • the coupling hole 310 can be utilized as a handle hole in which a user can insert and hold a finger after the coupling.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201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econd side portion 202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de portion 200 includes a developed portion 400.
  • the developed part 40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ed by the perforated line 405 in the side part 200.
  • the perforated line 405 is a line formed by a dotted line or a dashed lin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erforated line 405, the perforated line 405 is separated from the peripheral side portion 200.
  • a plurality of the development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side part 200.
  • the plurality of development parts 4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ide part 201 and a second side part 202,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S. 5 and 6, it is shown that six of the developed portions 400 are formed. One of the six developed portions 400 is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201 and the other five are form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202.
  • the developed portion formed on the first side portion 201 is referred to as a first developed portion 401 and the developed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2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developed portion 402. [
  • the developed portion 40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00. Specifically, the developed portion 400 is spaced apart from upper and lower ends and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development part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 431 between the lower part 100 and the side part 200 and the grip part 300.
  • the respective development parts 400 ar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is for stably mounting the beverage container even after the developed part 400 is separated from the side part 200.
  • FIG. 7 is a plan view of one of the developed view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veloped portion 400 may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portion 200.
  • the development part 400 includes at least one slit 410 and an insertion piece 420 that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lit 410.
  • the slit 410 is a cut line in which the developed part 400 is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insertion piece 420 may be formed in a rough diamond shape and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easily detached once it is inserted into the slit 410 once.
  • the developed portion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rfaces 430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plurality of faces 430 are the faces separated by folding when the developed portion 400 is assembled.
  • the plurality of surfaces 430 may be divided into folding guide lines 431. Adjacent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430 may be folded along the folding guide line 431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 a plurality of surface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lit 410 and the insert piece 420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the slits 410 and the insertion pieces 42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plurality of surfaces are folded, and the slits 410 and the insertion pieces 420 are engaged, Shape. For example, when there are four surfaces between the slit 410 and the insertion piece 420, the four surfaces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with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 One side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development part 400 may include a wing part 440 extending from one side.
  • a folding guide line 441 is formed between one side and the wing portion, and the slit 410 can be formed between the folding guide lines 441.
  • the wing portion 440 is a portion that folds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when the developed portion 400 is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When the wing portion 440 is folded inward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the gap of the slit 410 widens and the insertion piece 420 is easily inserted.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assembly, a second assembly,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granule, a second granule, and the lik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veloped parts 400.
  • the first developed portion 401 and the second developed portion 402 may be assembled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respectively.
  • the assembly of the first development part 401 is referred to as a first assembly 501 and the assembly of any one of the second development parts 402 is referred to as a second assembly 502. [
  • the first assembly 501 and the second assembly 502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 the first assembly 501 includes the engaging groove 510
  • the second assembly 502 may include the engaging projection 520.
  • the engaging groove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10 to be engaged.
  • the engaging protrusions 520 may be formed in a rhomboid shape and may be formed so as not to fall out easily onc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10 once.
  • the assemblies 500 of all the developed parts 400 may be combined and formed into a single molding.
  • the sculpture may be, for example, a shape such as a person or an animal.
  • the developed portion 400 has an image print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board material, and after the assembly, the image forms the outer surface of the assembly.
  • an image may be printed in advance on the developed portion 400 so that a predetermined image is entirely displayed.
  •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may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ssembling method and the combining method of the unfolding section 400. This description is preferably display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developed portion 400 of the beverage container.
  • a molding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developed part 400 including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Accordingly, the user of the beverage container carrier can use the beverage container after use as a new use, and has an advantage that he can feel the amusement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the beverage product by assembling the developed part 400.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sculpture can be produced by a friendly character or the like and used for marketing.
  • side portion 201 first side portion
  • handle portion 301 first handle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음료용기 캐리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전개도부를 포함하여 전개도부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면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캐리어
본 발명은 음료용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수용된 컵 등 음료용기를 복수 개 거치하고도 한 손으로 쉽게 파지하고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에 과한 것이다.
최근 커피, 주스, 차 등 음료의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매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매장에서 손님이 머물면서 음료를 마시는 것 이외에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한 명의 손님이 복수의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경우, 매장에서는 복수의 음료용기를 한 손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주로 박스 재질의 판지재로 형성되고, 접어서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복잡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과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리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보관을 위해서 상당한 공간을 점유한다는 문제가 있다.
음료용기 캐리어는 심하게 손상되지 않는 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매장 외부로 반출된 후 다시 회수되는 것이 어려워 사실상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손님 입장에서도 사용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처리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실정이다. 또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것은 자원 낭비를 유발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서 보관 시 공간효율성이 높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음료용기 캐리어를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한 음료용기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면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슬릿(slit)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슬릿과 상기 삽입편 사이에 위치하고,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은 인접한 면에 직교하도록 접힘 가이드선을 따라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전개도부가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칼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일면 및 상기 일면에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면과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접힘 가이드선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전개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된 이후에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 및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개도부는 상기 제1 측면부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전개도부는 상기 제2 측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에는 상기 전개도부의 조립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 중 상기 전개도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접는 구조가 간단하여 음료용기를 수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는 음료용기를 운반하는데 사용한 이후에 다른 용도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음료용기 캐리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종이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는 판지재의 종이로 형성된다. 음료용기 캐리어의 판지재는 서로 마주보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한다. 내면은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손잡이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하고, 외면은 외부를 바라보는 면에 해당한다.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판지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으로 인해 판지재는 수분을 흡수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는 내면과 외면 모두에 코팅이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용기 캐리어를 형성하는 판지재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종 정보 및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지재의 외면에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수납하는 음료를 판매하는 매장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 캐리어가 음료용기를 수납하게 되면 매장에 대한 정보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판지재의 내면에는 후술할 전개도부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는 전개도부가 조립된 이후에 외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전개도부에 전개도부의 조립체의 외면에 맞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하면부(100), 측면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하부, 측부 등의 방향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가 정상적인 상태로 사용될 경우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기준을 잡고 정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도 도면의 아래 방향이 하방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하면부(100)는 음료용기 캐리어가 사용되기 위해서 손잡이부(300)가 결합된 경우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면부(10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100)에는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삽입홀(110)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삽입홀(110)이 2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홀(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홀(110)은 음료용기(500)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용기(500)의 하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 부분은 삽입홀(110)의 위 부분에 위치하여 삽입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음료용기(500)는 하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고, 상단 부분이 상대적으로 넓은 거꾸로 된 원뿔대 형태로 형성되거나 삽입홀(110)에 거치되기 위한 별도의 거치부를 마련한 형태일 수 있다.
삽입홀(1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예를 들어, 커피 용 일회용 컵)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삽입홀(110)은 70mm 내지 90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홀(110)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삽입홀(110)에 거치되는 음료용기(500)는 상단 부분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인접한 삽입홀(110)이 충분히 이격되지 않는 경우 음료용기(500)가 거치되었을 때 음료용기(500) 상단끼리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105)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200)는 하면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 측면부(201) 및 하면부(10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 측면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의 각각의 끝단(105)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한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측면부(200)의 상단 부분에서 각각 연장된 손잡이부(300)가 서로 맞닿게 된다. 손잡이부(300) 및 이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측면부(200)와 하면부(100)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105)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 가이드선(105)은 판지재를 접기 위해 외력을 가했을 때 미리 정해진 라인을 따라 접히도록 가압 라인 등을 형성한 것이다.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는 하면부(100)에서 서로 마주보게 접히게 된다.
측면부(200)에는 전개도부(400)가 포함된다. 전개도부(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손잡이부(300)는 제1 측면부(201) 및 제2 측면부(202)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된다. 제1 측면부(201)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1 손잡이부(301)로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부(300)를 제2 손잡이부(302)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측면부(200)가 하면부(100)에서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된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구멍형태의 결합공(310)과 결합공(310)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301) 및 제2 손잡이부(302)는 서로 맞닿아 대응되는 결합공(310)을 포함하고, 제1 손잡이부(301)에 2개의 결합공(310)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결합편(32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310)은 결합된 이후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구멍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1 측면부(20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캐리어의 제2 측면부(20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부(200)는 전개도부(400)를 포함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절취선(405)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된다. 절취선(405)은 점선 또는 쇄선 형태의 칼선으로 형성된 선으로, 약간의 외력이 가해지면 전개도부(400)가 절취선(405)을 따라 주변의 측면부(200)에서 분리되게 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개도부(400)는 제1 측면부(201)와 제2 측면부(202)에 각각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모두 6개가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6개의 전개도부(400) 중 하나는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5개는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측면부(201)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401)라고 지칭하고, 제2 측면부(202)에 형성된 전개도부는 제2 전개도부(402)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의 상하단 및 양측단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개도부(400)는 하면부(100)와 측면부(200) 사이의 접힘 가이드선(431)과 손잡이부(3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하나의 측면부(200)에 복수의 전개도부(400)가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전개도부(4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개도부(400)가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부(400) 중 하나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개도부(400)는 측면부(200)에서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전개도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410) 및 슬릿(4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편(420)을 포함한다. 슬릿(410)은 전개도부(400)가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칼선을 의미한다. 삽입편(420)은 대략적으로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슬릿(410)에 한 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서로 구분되는 복수의 면(4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면(430)은 전개도부(400)가 조립될 경우, 접힘에 의해 구분되는 면들이다. 복수의 면(430)은 접힘 가이드선(431)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면(430) 중 인접하는 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접힘 가이드선(431)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서로 결합되는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는 복수의 면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면 양단에 위치한 슬릿(410)과 삽입편(420)은 복수의 면들이 접히게 되면 서로 맞닿게 되고, 슬릿(410)과 삽입편(420)이 결합되어 복수의 면들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슬릿(410)과 삽입편(420) 사이에 4개의 면이 있는 경우, 4개의 면이 상하좌우면을 이루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개도부(400)의 복수의 면 중 일부의 일면은 일면에서 연장되는 날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면과 날개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441)이 형성되고, 슬릿(410)은 접힘 가이드선(4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440)는 전개도부(400)가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되는 경우, 입체적인 형상 내부로 접혀 들어가는 부분이다. 날개부(440)가 입체적인 형상 내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면 슬릿(410)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삽입편(420)이 삽입되기 쉽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립물과 제2 조립물 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는 복수의 전개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 및 제2 전개도부(402)는 각각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전개도부(401)가 조립된 것을 제1 조립물(501)이라 지칭하고, 제2 전개도부(402) 중 어느 하나가 조립된 것을 제2 조립물(502)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제1 조립물(501)과 제2 조립물(5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물(501)은 결합홈(510)을 포함하고, 제2 조립물(502)을 결합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510)은 내부로 연통되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결합돌기(520)는 결합홈(51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520)는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결합홈(510)에 한번 삽입된 이후에는 다시 쉽게 빠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전개도부(400)의 조립물(500)은 결합되어 하나의 조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형물은 예를 들어, 사람 또는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전개도부(400)는 판지재의 내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이미지가 인쇄되어 있고, 조립된 이후에 상기 이미지는 조립물의 외면을 이루게 된다. 조립물들이 하나의 조형물로 조립되면, 전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이미지가 나오도록 이미지가 전개도부(400)에 미리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음료용기 캐리어에는 전개도부(400)의 조립 방법 및 결합 방법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음료용기 캐리어 중 전개도부(400)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음료용기 캐리어가 포함한 전개도부(400)를 이용하여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료용기 캐리어의 사용자는 사용한 후의 음료용기 캐리어를 새로운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전개도부(400)를 조립하여 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에 따른 유희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형물을 친근감 있는 캐릭터 등으로 제작하여 마케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음료용기 캐리어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하면부 105: 접힘 가이드선
110: 삽입홀
200: 측면부 201: 제1 측면부
202: 제2 측면부
300: 손잡이부 301: 제1 손잡이부
302: 제2 손잡이부 310: 결합공
320: 결합편
400: 전개도부 401: 제1 전개도부
402: 제2 전개도부 405: 절취선
410: 슬릿 420: 삽입편
430: 전개도의 면들 431: 접힘 가이드선
440: 날개부 441: 접힘 가이드선
500: 조립물 완성품 501: 제1 조립물
502: 제2 조립물 510: 결합홈
520: 결합돌기

Claims (13)

  1. 종이 재질의 음료용기 캐리어에 있어서,
    음료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이 형성된 하면부;
    상기 하면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서 연장되고, 절취선으로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절취선이 절취되면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이후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슬릿(slit)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편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슬릿과 상기 삽입편 사이에 위치하고, 접힘 가이드선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은 인접한 면에 직교하도록 접힘 가이드선을 따라 접히는 음료용기 캐리어.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전개도부가 소정의 길이로 절개된 칼선인 음료용기 캐리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일면 및 상기 일면에서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면과 상기 날개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접힘 가이드선 사이에 형성되는 음료용기 캐리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측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전개도부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된 이후에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음료용기 캐리어.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어느 하나의 전개도부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 중 다른 하나의 전개도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개도부는 제1 전개도부 및 제2 전개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개도부는 상기 제1 측면부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전개도부는 상기 제2 측면부에 포함되는 음료용기 캐리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접힘 가이드선이 형성되고,
    상기 전개도부는 상기 접힘 가이드선과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위치하는 음료용기 캐리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에는 상기 전개도부의 조립 방법이 표시된 음료용기 캐리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방법은 상기 음료용기 캐리어 중 상기 전개도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표시된 음료용기 캐리어.
PCT/KR2018/005053 2017-08-10 2018-05-02 음료용기 캐리어 WO20190316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89 2017-08-10
KR1020170101389A KR20190017106A (ko) 2017-08-10 2017-08-10 음료용기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687A1 true WO2019031687A1 (ko) 2019-02-14

Family

ID=6527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053 WO2019031687A1 (ko) 2017-08-10 2018-05-02 음료용기 캐리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17106A (ko)
WO (1) WO201903168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69U (ja) * 1992-12-03 1994-06-28 株式会社オシザワ 遊び包装箱
JP3143088U (ja) * 2008-04-17 2008-07-10 正和 小林 牛乳用紙製牛乳パック
KR20100010265U (ko) * 2009-04-10 2010-10-20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동물 입체 공작용 과자상자
KR20140136723A (ko) * 2013-05-21 2014-12-01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60043316A (ko) * 2014-10-13 2016-04-21 박재현 개선된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70085691A (ko) * 2016-01-15 2017-07-25 김수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상자용 포장지
KR20180001133U (ko) * 2016-10-14 2018-04-24 손준 재활용 가능한 컵 캐리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169U (ja) * 1992-12-03 1994-06-28 株式会社オシザワ 遊び包装箱
JP3143088U (ja) * 2008-04-17 2008-07-10 正和 小林 牛乳用紙製牛乳パック
KR20100010265U (ko) * 2009-04-10 2010-10-20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동물 입체 공작용 과자상자
KR20140136723A (ko) * 2013-05-21 2014-12-01 유길호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60043316A (ko) * 2014-10-13 2016-04-21 박재현 개선된 음료용기 운반수단
KR20170085691A (ko) * 2016-01-15 2017-07-25 김수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상자용 포장지
KR20180001133U (ko) * 2016-10-14 2018-04-24 손준 재활용 가능한 컵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106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315A (en) Multi-layered gaming device
US4524867A (en) Case for accommodating written material for presentation purposes
WO2020017735A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WO2016200065A1 (ko) 테이크아웃 컵용 친환경 종이 캐리어
US6023866A (en) Triple-view picture kit
WO2016199970A1 (ko) 컵 캐리어
WO2019031687A1 (ko) 음료용기 캐리어
WO2013022196A1 (ko) 팝업북 거치대가 포함된 오르골 장치
WO2009142426A2 (ko) 다용도 봉투카드 및 이를 이용한 입체카드
US4920673A (en) Card holder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KR102069687B1 (ko) 음료용기 캐리어
WO2012148078A2 (ko) 종이 꽃바구니
WO2019225839A1 (ko)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WO2020256190A1 (ko) 포장 상자 어셈블리
WO2013176330A1 (ko) 전선 정리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용 박스 및, 그 이용방법
KR102112324B1 (ko) 컵 삽입부에 고정용 날개부가 형성된 컵 캐리어
WO2015088077A1 (ko) 포장박스
WO2017175952A2 (ko) 종이액자
KR102112313B1 (ko) 측면부 하부에 접합부 빈도가 더 많은 컵 캐리어
KR20200046359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WO2011019219A2 (ko) 포장박스
KR102223756B1 (ko) 슬리브 겸용 캐리어
KR200167981Y1 (ko) 게임용 칩
WO2024072187A1 (ko)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3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3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