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7089A1 -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7089A1
WO2019027089A1 PCT/KR2017/010169 KR2017010169W WO2019027089A1 WO 2019027089 A1 WO2019027089 A1 WO 2019027089A1 KR 2017010169 W KR2017010169 W KR 2017010169W WO 2019027089 A1 WO2019027089 A1 WO 201902708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lt
marking
battery
presen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1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서진
Original Assignee
김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진 filed Critical 김서진
Publication of WO201902708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70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a marking device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o improve the mobility by mounting a battery inside the marking device.
  • the weight of the marking devi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smooth work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 a touch pad for inputt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a marking pin is formed on a body portion, and a mar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mputer,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battery detachable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unting a fixing part on a be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ort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marking apparatus by configuring the battery for supplying the power to the belt separated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marking apparatus and improve the port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marking apparatus while providing a touch pad for inputt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arking pin to th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detachable marking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a marking operation more easily without using a separate computer.
  • FIG. 1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detachable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battery detachable ma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itch 120 serves to turn on and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 the battery 220 is mounted on the belt 210, the user can work with a lighter body 100 during the marking operation.
  • the weight of the marking device which is a sophisticated operation, is lighter, the user's hand movements can move more smoothly, and the detailed work can be carried out freely.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ounting the battery 220 to the fitt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ectional view based on A - A 'in
  • FIG.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es on the belt 210.
  • FIG. 7 is a sectional view based on A - A 'in
  • FIG. 6,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lides on the belt 210.
  • the fitting portion 3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elt 210.
  • FIG. 9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socket 170
  • FIG. 9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socket 1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portion 100 on which the electric socket 170 is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마킹핀이 구성되는 몸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장치인 배터리를 벨트에 구성하여 마킹장치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마킹핀을 제어하는 입력장치를 터치패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의 일 측에 배터리를 구성하고, 일측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측이 몸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마킹작업 시에 벨트를 착용하여 배터리를 손쉽게 이동시키며 마킹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마킹핀을 제어하는 터치패드를 몸체부에 구성하여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패드를 손쉽게 터치하며 마킹핀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마킹장치의 몸체부와 분리된 벨트에 구성함으로써 마킹장치의 휴대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마킹핀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드를 몸체부에 구성하여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킹장치는 기계적으로 제품의 표면에 글자, 모양, 심볼 또는 로고와 같은 것을 자동으로 반복하여 각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마킹장치, 전해 마킹장치 및 도트 핀 마킹장치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마킹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도트 핀 마킹장치는 통상적으로 X-Y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고 도트 핀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제품 표면에 각인이 되도록 한다. 도트 또는 마킹 핀은 0.2mm 내지 0.4mm의 깊이가 각인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작용하고, 초당 20~80hz로 왕복 운동을 하면서 제품 표면을 타각하게 된다.
상기한 도트 핀 마킹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0740868호(특)는 고정판의 상부에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그 고정블럭의 상부면에는 양단의 X축 풀리와 길이방향의 X축 레일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X축 레일의 일측에는 X축 구동풀리를 갖는 X축 구동모터를 장착하며, 상기 X축 레일에는 X축 슬라이더가 삽입되고, 그 X축 슬라이더의 상측에는 상부면에 Y축 레일과 Y축 풀리, Y축 구동풀리를 갖는 Y축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유동판을 형성하되, 상기 Y축 레일의 상측에는 저면에 Y축 슬라이더를 갖는 이동블럭을 장착하고, 그 이동블럭의 상부에는 첨단부가 형성된 축소부를 갖는 마킹핀이 내장된 카트리지를 결합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마킹핀이 내장되는 단차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삽입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의 중간부와 관통되는 유로상의 리턴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X축 풀리와 X축 구동풀리 상에 형성된 X축 밸트는 상기 유동판의 하부와 고정되어 X축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유동판이 슬라이딩되게 하고, 상기 Y축 풀리와 Y축 구동풀리 상에 형성된 Y축 밸트는 상기 이동블럭의 일측과 고정되어 Y축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블럭이 슬라이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재질에 사용되는 범용 도트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킹장치들은 대체적으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그로 인해 작업반경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킹장치의 내부에 배터리를 장착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킹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마킹장치의 경우에는 장착된 배터리로 인해 마킹장치의 무게가 증가되어 정교한 작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마킹장치 몸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선은 마킹작업 중 몸체부의 움직임에 의해 굽힘모멘트를 받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굽힘모멘트를 받게 되는 연결선은 단선되어 사용자들의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따라서 마킹장치의 휴대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결선의 단선 문제 또한 해결한 새로운 마킹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마킹장치의 몸체부와 분리된 벨트에 구성함으로써 마킹장치의 휴대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킹핀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드를 몸체부에 구성하여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전기소켓을 구비하여 연결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품 표면에 형상을 각인하는 마킹핀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가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마킹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터치패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몸체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로 구성되는 벨트부; 및 마킹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벨트부의 벨트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벨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벨트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끼움부의 상, 하부 일측에는 상기 벨트의 상, 하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가 상기 벨트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마킹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부는 전원선이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 표면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내측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전기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소켓의 양 측면에는 힌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상기 힌지축이 결합되어, 상기 전기소켓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마킹장치의 몸체부와 분리된 벨트에 구성함으로써 마킹장치의 휴대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킹핀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드를 몸체부에 구성하여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마킹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전기소켓을 구비하여 연결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벨트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 - A'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부가 벨트 상을 슬라이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소켓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원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마킹장치의 몸체부와 분리된 벨트에 구성함으로써 마킹장치의 휴대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마킹핀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드를 몸체부에 구성하여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마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는 몸체부(100), 터치패드(130), 벨트부(200), 그리고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사용자가 마킹 작업시 파지(把持)하여 작업하는 부분으로서, 마킹핀(110)(marking pin)과 스위치(120)가 구비된다.
마킹핀(110)은 제품 표면에 형상을 각인하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00)에 결합되어 후술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타각 작업을 수행한다.
스위치(120)는 외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는 마킹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전원공급장치가 몸체부(100)에 내장되는 종래기술의 마킹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는 전원공급장치가 몸체부(100)와 이격된 벨트부(200)에 구비된다.
벨트부(200)는 벨트(210), 배터리(220), 그리고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벨트(2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다. 이 벨트(210)의 일측에 전원공급장치인 배터리(2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220)가 벨트(210)에 장착됨으로 인해, 사용자는 마킹 작업시 한층 가벼운 몸체부(100)로 작업이 가능하다. 정교한 작업이 이뤄지는 마킹장치의 무게가 가벼워지면 사용자의 손동작은 보다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어 세밀한 작업을 부담없이 수행가능한 것이다.
연결부(230)는 배터리(220)의 전력을 몸체부(100)에 공급하는 전원선에 해당한다. 연결부(230)는 일단은 배터리(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마킹 작업시 몸체부(100)와 배터리(220)의 거리는 수시로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연결부(230)는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형성된다.
마킹 작업시 사용자는 몸체부(100)를 파지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지홈(140)이 형성된다.
종래의 마킹장치는 마킹 작업시 노트북 컴퓨터를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킹 작업시 마킹장치와 함께 노트북 컴퓨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마킹장치에서는 몸체부(100) 전면에 터치패드(130)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터치패드(130)를 통해 마킹핀(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마킹 작업시 마킹장치만을 휴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벨트(210)의 일측에는 배터리(220)가 결합되고, 연결부(230)의 일단은 배터리(220)에 연결되며 타단은 몸체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50)를 벨트(210)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몸체부(100) 후면에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1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부(150)와 몸체부(10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고정부(150)를 벌린 상태에서 벨트(210)를 고정부(150)와 몸체부(100) 사이에 개재하여 몸체부(100)를 벨트(210)에 고정할 수 있다.
몸체부(100)의 후면에는 접촉센서(160)가 장착된다. 접촉센서(160)는 벨트(210)의 접촉 유무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접촉센서(160)가 벨트(210)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마킹핀(11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몸체부(100)를 벨트(2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실수로 스위치(120)를 켜더라도 마킹핀(1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300)에 배터리(220)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ㅡ A'를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300)가 벨트(210) 상을 슬라이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210)의 일측면에 끼움부(300)가 구비된다.
끼움부(300)는 끼움홈(31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10)에 배터리(220)가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배터리(220)를 벨트(2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이다.
끼움부(300)의 상, 하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되 벨트(210)의 상, 하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연장부(320)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장부(320)가 벨트(210)에 결합되어, 끼움부(300)는 벨트(210)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소켓(170)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전기소켓(170)의 회전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전기소켓(170)이 장착된 몸체부(100)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킹 작업 중 몸체부(100)는 수시로 움직이게 되어, 배터리(220)와 몸체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가 단선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230)의 이동에 따라 회전이 가능한 전기소켓(170)이 몸체부(100)에 구비된다.
우선 몸체부(100)의 일측 표면에는 슬롯이 형성된다. 슬롯의 내측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180)이 형성된다.
힌지축(180)의 방향은 연결부(230)가 빈번하게 이동하는 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한 쌍의 힌지축(180)을 형성하였으나, 두 쌍의 힌지축(180)을 형성하여 두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볼 조인트 형식으로 전기소켓(170)을 형성하여 하나의 전기소켓(170)으로 전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전기소켓(170)에는 연결부(230)의 타단이 삽입된다. 전기소켓(170)의 후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선(195)이 연결된다. 전기소켓(170)의 양 측면에는 힌지홈(19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90)에는 상기 힌지축(180)이 결합된다. 따라서 전기소켓(170)은 힌지축(18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연결부(230)는 굽임모멘트를 받지 않으며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연결부(23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에 의하면, 제품의 표면에 글자, 모양 등과 같은 각인을 새길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배터리(220)가 벨트(210)에 구성됨으로서, 몸체부(100)의 무게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벨트(210)를 착용하여 이동성 및 작업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하며, 외부로부터 마킹핀(110)을 제어하기 위해 송신되는 별도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몸체부(100)에 구비하지 않더라도 터치패드(13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마킹핀(1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휴대성, 사용상의 용이성 및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제품 표면에 형상을 각인하는 마킹핀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가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마킹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터치패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몸체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배터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로 구성되는 벨트부; 및
    마킹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벨트부의 벨트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가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벨트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끼움부의 상, 하부 일측에는 상기 벨트의 상, 하부를 감싸도록 절곡된 연장부가 각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벨트의 접촉 유무를 감지하는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가 상기 벨트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마킹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원선이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형성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 표면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내측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단이 삽입되는 전기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소켓의 양 측면에는 힌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상기 힌지축이 결합되어, 상기 전기소켓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PCT/KR2017/010169 2017-08-01 2017-09-18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WO201902708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443 2017-08-01
KR1020170097443A KR101798825B1 (ko) 2017-08-01 2017-08-01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089A1 true WO2019027089A1 (ko) 2019-02-07

Family

ID=6094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169 WO2019027089A1 (ko) 2017-08-01 2017-09-18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8825B1 (ko)
WO (1) WO201902708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368Y2 (ja) * 1992-10-02 1999-04-26 日立工機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動工具用フック
KR100578599B1 (ko) * 2004-06-18 2006-05-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연결잭 설치용 회전장치
JP2007111857A (ja) * 2006-12-19 2007-05-10 Shinji Yokoshima 落下防止機能付軽量充電式電動工具
KR20170081878A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마커스 휴대용 마킹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368Y2 (ja) * 1992-10-02 1999-04-26 日立工機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動工具用フック
KR100578599B1 (ko) * 2004-06-18 2006-05-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연결잭 설치용 회전장치
JP2007111857A (ja) * 2006-12-19 2007-05-10 Shinji Yokoshima 落下防止機能付軽量充電式電動工具
KR20170081878A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마커스 휴대용 마킹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Propen M700", 26 January 2014 (2014-01-26),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youtu.be/p0iW3yW0bC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825B1 (ko) 201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8582B1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EP3398578B1 (en)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system
US5667220A (en) Controller for a video game console
WO2019103538A1 (ko) 착용형 손 로봇
US5967580A (en) Robotic manipulator
WO2017047874A1 (ko) 손가락 운동장치
RU2698292C2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защитой для промышленных машин, в частности роботов
WO2020184769A1 (ko) 햅틱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0085007A1 (ko) 진동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 방법
JP2017532171A (ja) 使い捨て内視鏡及びそのシステム
WO2020162698A1 (ko) 손 재활 운동장치
WO2020009516A1 (ko) 골프공 방향 지시선 마킹장치
CN101581965B (zh) 信息发送装置
WO2016088918A1 (ko) 서비스 로봇
WO2014098494A1 (ko) 인공 의수 제어 장치
WO2022039296A1 (ko) 치료 보조 기구
WO2017117867A1 (zh) 用于对手部穴位按摩的智能按摩系统及方法
WO2017204586A1 (ko) 재활 훈련 장치
WO2017217691A1 (ko) 스킨 폴드 캘리퍼
WO2019027089A1 (ko) 배터리 분리형 마킹장치
KR20210025844A (ko) 손 재활 운동장치
WO2021040301A1 (ko) 탈착 가능 진동 모듈 및 이를 위한 안마기
WO2020032660A1 (ko) 피부상태측정장치
WO2017047840A1 (ko) 손가락 운동장치
WO2013162205A1 (ko) 수술도구의 위치변경이 가능한 수술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19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1988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