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1821A1 -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21821A1
WO2018221821A1 PCT/KR2018/000519 KR2018000519W WO2018221821A1 WO 2018221821 A1 WO2018221821 A1 WO 2018221821A1 KR 2018000519 W KR2018000519 W KR 2018000519W WO 2018221821 A1 WO2018221821 A1 WO 20182218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ushing
insulating member
power 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5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철배
진승환
박상서
송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ublication of WO20182218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18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전력선로를 절연부재로 둘러싸는 부싱(bushing)의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와,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절연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온도 센서와,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부싱(bushing)은 개폐기, 변압기 등의 전력기기의 커버나 케이스 등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전력선로를 절연시키고 지지하고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부싱의 고장은 절연몰딩 성형불량, 부싱 성형시 이물질 혼입, 공극발생, 전력선로와의 불완전한 연결, 사용중 진동 또는 장력에 의한 체결부 이완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부싱의 고장 요인은 전계집중 현상이나 접촉저항 증가에 따른 발열을 유발하고, 부싱의 발열은 열 스트레스에 의한 열화를 가속하여 부싱의 절연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부싱의 발열 위치에 인접하여 부싱의 발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시할 수 있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전력선로를 절연부재로 둘러싸는 부싱(bushing)의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은, 전력선로를 둘러싸는 절연부재;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되고 상기 전력선로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부; 일단이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응 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전력선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또는 부싱은, 일단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응 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메쉬 형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또는 부싱은, 일단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또는 부싱은, 상기 부싱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온도 또는 상기 상대적인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상기 전력선로의 부하측을 제2 절연부재로 둘러싸는 제2 부싱의 상기 제2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2 절연부재에 내장된 제2 온도 감응 부재; 및 상기 제2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 절연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의 전원측을 둘러싸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원측을 둘러싸는 절연부재의 온도와 상기 부하측을 둘러싸는 제2 절연부재의 온도간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또는 부싱은,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와 상기 감지 이상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개폐기기의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취부된 부싱(bushing) 내의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상기 부싱의 외부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온도 또는 상기 상대적인 값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제1 온도와 제2 온도간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측에 취부된 부싱 내의 절연부재의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부하측에 취부된 부싱 내의 절연부재의 상기 제2 온도를 모두 감지하고, 상기 원격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이상 정보를 추가로 원격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부싱의 발열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시할 수 있으므로, 부싱의 열 스트레스에 의한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부싱의 절연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열화상 진단과 같은 부싱 외부에서 부싱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에 비해 관리자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실시간 측정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온도보정 및/또는 자기진단을 통해 측정값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의 추가적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이 개폐기기에 취부된 형태와 이에 적용된 부싱 발열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온도 감지 결과를 이용한 온도보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원측 부싱의 온도 감지 결과와 부하측 부싱의 온도 감지 결과를 이용한 자기진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100)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온도 감응 부재(210)와 온도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120)는 전력선로(110)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부재(120)는 에폭시(epoxy), 폴리머(polymer),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재료로 절연몰딩될 수 있다.
온도 감응 부재(210)는 절연부재(12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될 수 있다. 전력선로(110)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감응 부재(210)는 전력선로(110)에 접촉하지 않으면서 절연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부재(12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 감응 부재(210)의 온도와 절연부재(120)의 온도 간의 상관관계는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관관계는 (도체온도)=3.644+0.8826(절연부재 온도)나 (도체온도)=5.195+0.9760(절연부재 온도)와 같은 1차원 방정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도 감응 부재의 재질/형태나 부싱의 재질/형태나 전력선로의 사용 패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다차원 방정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감응 부재(210)는 커플링부(211)와 접속부(2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체(예: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커플링부(211)는 전력선로(110)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플링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열 및/또는 전계를 비접촉 방식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대상에 근접하는 표면을 넓게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링부(211)의 온도와 전력선로(110)의 온도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211)는 측면에서 볼 때 접속부(215)와 함께 T형태 또는 L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부(211)는 전력선로(110)에 대해 평행하도록 전력선로(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215)는 일단이 커플링부(211)에 연결되어 전력선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온도 센서(220)는 온도 감응 부재(21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절연부재(12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접속부(215)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센서(220)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부싱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 부싱 외부의 환경(예: 온도, 바람, 비 등)이 부싱 내부의 온도에 주는 영향을 줄여서 온도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220)는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값을 가지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의 추가적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커플링부(211a, 211b), 제1 접속부(215), 온도 센서(220), 온도측정 신호선(225), 처리부(230), 외부 온도 센서(235), 통신부(240), 제2 접속부(245), 전압 감지부(250), 전압 신호선(255)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부(211a, 211b)는 전력선로(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링부(211a, 211b)는 전력선로(110)의 전압에 대한 상관관계가 높은 전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선로(110)의 전압 측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부(211a, 211b)는 메쉬(mesh) 형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플링부(211a, 211b)는 전력선로(110)에 의해 절연부재(120)에 걸리는 전계를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온도 센서(220)의 온도 측정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접속부(215)는 일단이 커플링부(211a)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온도측정 신호선(225)은 온도 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유선방식으로 처리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온도 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는 출력되거나 원격전송되어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관리자의 신속한 조치가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온도는 전력선로에 통상적인 전력이 통과할 때의 열화되지 않은 절연부재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처리부(230)는 상기 상대적인 값이 클수록 부싱의 발열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부싱의 발열량에 대응되는 정량적인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온도는 부싱의 발열량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상황에서의 최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처리부(230)는 온도 센서(2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일 때 부싱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발열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부싱 발열의 비정상 여부에 대응되는 정성적인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온도 센서(235)는 부싱의 외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230)는 외부 온도 센서(235)에 의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부(230)는 외부 온도가 높거나 낮을 경우에 기준 온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부싱의 발열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온도보정 과정의 구체적인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통신부(240)는 처리부(230)에 의해 생성된 부싱의 발열 정보를 원격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40)는 부싱의 발열 정보를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나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40)는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접속부(245)는 일단이 커플링부(211b)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압 감지부(250)는 제2 접속부(245)의 타단에 연결되어 커플링부(211b)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전압 신호선(255)은 커플링부(211b)의 전압 정보를 유선방식으로 처리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30)는 전력선로(110)의 활선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활선 여부에 따라 상이한 기준 온도를 부싱의 발열 정보 생성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싱의 발열 정보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이 개폐기기에 취부된 형태와 이에 적용된 부싱 발열 감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싱과 부싱 발열 감시 장치는, 제1 온도 감응 부재(210a), 제1 온도 센서(220a), 처리부(230a), 제2 온도 감응 부재(310), 제2 온도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감응 부재(210a)는 전력선로의 전원측(110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절연부재(120a)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20a)는 제1 온도 감응 부재(210a)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제1 절연부재(120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온도 감응 부재(310)는 전력선로의 부하측(110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절연부재(120b)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320)는 제2 온도 감응 부재(310)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제2 절연부재(120b)에 삽입될 수 있다.
처리부(230a)는 제1 온도 감응 부재(210a)의 온도와 제2 온도 감응 부재(310)의 온도간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선로의 전원측(110a)에 인접한 제1 절연부재(120a)의 온도와 전력선로의 부하측(110b)에 인접한 제2 절연부재(120b)의 온도의 상관관계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온도 센서(220a)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제2 온도 센서(32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크게 다를 경우, 상기 처리부(230a)는 제1 온도 센서(220a)와 제2 온도 센서(320)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온도를 감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들의 신뢰도에 대한 경고로서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때의 감지된 온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기진단 과정의 구체적인 예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개폐기기의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취부된 부싱(bushing) 내의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S110)와,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와,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온도 감지 결과를 이용한 온도보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보정 과정은 고체 절연물 열화 진단을 시작하는 단계(S210)와, 감지회로의 자기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220)와, 감지회로의 동작이 불량일 경우에 알람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S230)와, 대기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40)와, 절연물 내부 온도측정 또는 온도계산하는 단계(S245)와, 온도보정을 하고 감지회로의 자기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250)와, 감지회로의 동작이 불량일 경우에 알람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S255)와, 절연물 내부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델타 t)을 계산하는 단계(S260)와, 상대적인 값(델타 t)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265)와, 상대적인 값(델타 t)이 기준값보다 클 때 발열 알람을 원격전송하는 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체 절연물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절연부재와 동일할 수 있으며, 감지회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온도 센서와 동일할 수 있으며, 대기 온도는 도 3에 도시된 외부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자기진단을 수행하는 단계(S220, S250)에서의 자기진단은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전원측 부싱의 온도 감지 결과와 부하측 부싱의 온도 감지 결과를 이용한 자기진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기진단 과정은 전원측 부싱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310)와, 부하측 부싱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375)와, 전원측 부싱 온도와 부하측 부싱 온도간의 온도차(델타 t)를 계산하는 단계(S380)와, 온도차(델타 t)의 절대값과 기준값(error)를 비교하는 단계(S385)와, 온도차(델타 t)의 절대값이 기준값(error)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알람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S390)와, 온도차(델타 t)의 절대값이 기준값(error)보다 작을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상대적인 값을 계산하는 단계(S39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진된 처리부(230, 230a)는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들은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 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전력선로를 절연부재로 둘러싸는 부싱(bushing)의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절연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응 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상기 전력선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를 포함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도 센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응 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메쉬 형태의 면을 가지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온도 또는 상기 상대적인 값을 보정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로의 부하측을 제2 절연부재로 둘러싸는 제2 부싱의 상기 제2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제2 절연부재에 내장된 제2 온도 감응 부재; 및
    상기 제2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 절연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 온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전력선로의 전원측을 둘러싸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전원측을 둘러싸는 절연부재의 온도와 상기 부하측을 둘러싸는 제2 절연부재의 온도간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와 상기 감지 이상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부싱 발열 감시 장치.
  9. 전력선로를 둘러싸는 절연부재;
    상기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되고 상기 전력선로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부;
    일단이 상기 커플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를 포함하는 부싱.
  10. 개폐기기의 전원측 또는 부하측에 취부된 부싱(bushing) 내의 절연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내장된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온도 감응 부재의 온도의 기준 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싱의 발열 정보를 원격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외부 온도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온도 또는 상기 상대적인 값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온도와 제2 온도간의 차이값이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 감지 이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측에 취부된 부싱 내의 절연부재의 상기 제1 온도와 상기 부하측에 취부된 부싱 내의 절연부재의 상기 제2 온도를 모두 감지하고,
    상기 원격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이상 정보를 추가로 원격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CT/KR2018/000519 2017-06-02 2018-01-11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182218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14 2017-06-02
KR1020170069114A KR102028506B1 (ko) 2017-06-02 2017-06-02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821A1 true WO2018221821A1 (ko) 2018-12-06

Family

ID=6445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519 WO2018221821A1 (ko) 2017-06-02 2018-01-11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8506B1 (ko)
WO (1) WO20182218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197A (ja) * 2000-02-18 2001-08-24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碍子監視装置
KR20070001185U (ko) * 2007-10-28 2007-11-15 임성황 온도계가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0934247B1 (ko) * 2009-02-10 2009-12-28 주식회사 아이파워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주상 변압기
KR101034131B1 (ko) * 2009-12-02 2011-05-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가 간단하고 측정감도가 우수한 지지애자의 표면누설전류 검출장치
KR101182899B1 (ko) * 2012-05-14 2012-09-13 이호성 배전용 라인포스트 애자의 열화 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77B1 (ko) 2013-05-28 2014-08-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적외선 광원을 이용한 절연체 내부의 온도 계측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197A (ja) * 2000-02-18 2001-08-24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碍子監視装置
KR20070001185U (ko) * 2007-10-28 2007-11-15 임성황 온도계가 설치된 주상변압기
KR100934247B1 (ko) * 2009-02-10 2009-12-28 주식회사 아이파워 무선 열감응 센서 모듈을 구비한 주상 변압기
KR101034131B1 (ko) * 2009-12-02 2011-05-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가 간단하고 측정감도가 우수한 지지애자의 표면누설전류 검출장치
KR101182899B1 (ko) * 2012-05-14 2012-09-13 이호성 배전용 라인포스트 애자의 열화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506B1 (ko) 2019-10-04
KR20180132329A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92050B (zh) 一种gis内部导体过热故障的检测方法及装置
WO2014204179A1 (en) Method for verifying bad pattern in time series sensing data and apparatus thereof
WO2013081310A1 (en) A detection device of insulation resistance for non-interruption of electric power and hot-line
CN108363829B (zh) 绝缘子温升诊断方法和系统
WO2020045915A1 (ko) 션트 저항의 전류값 보정 시스템 및 방법
WO2020138623A1 (ko) 배전반 감시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CN103529351A (zh) 高压开关柜热缺陷在线监测系统及方法
WO2021251563A1 (ko) 열화상 카메라의 온도정확도 향상을 위한 외부 장착형 온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도 측정 시스템
WO2018221821A1 (ko) 부싱 발열 감시 장치, 부싱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18124518A1 (ko) 변압기 내부결함 검출장치
WO2018164331A1 (ko) 변압기 수소 가스 감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WO2016148531A1 (ko) 압력 센서
CN207472445U (zh) 一种多点监测线缆温度的空间探测装置
WO2020209513A1 (ko) 부분방전 진단 및 위치 검출 방법
WO2021137568A1 (ko) 우레탄 휠용 이상 여부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 휠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17456A1 (ko) 전자직물 구조에서의 생체환경정보 측정 및 보정 방법
WO2020226308A1 (ko) 배터리셀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4166919A (zh) 一种复合绝缘子缺陷带电检测用探测装置
CN217211180U (zh) 电缆终端测温装置
WO2019112258A1 (ko) 케이블의 열화상태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KR20210034533A (ko) 랙 화재 방지장치
WO2016006911A1 (ko) 가스 감지 장치
WO2015130125A1 (ko) 인체 내 임피던스 측정장치
WO2018174645A1 (ko) 듀얼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온도 측정 장치
CN107069366B (zh) 一种电旋转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9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99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