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4358A1 - 설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설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4358A1
WO2018194358A1 PCT/KR2018/004475 KR2018004475W WO2018194358A1 WO 2018194358 A1 WO2018194358 A1 WO 2018194358A1 KR 2018004475 W KR2018004475 W KR 2018004475W WO 2018194358 A1 WO2018194358 A1 WO 20181943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sing
locking
fixing device
tongu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4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ublication of WO20181943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43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6Snap-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4Hinged devices

Definitions

  • the shoes may be made of lining and outer leather, heels, uppers, insoles, tongues and shoelaces.
  • the fixing device 3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lexible property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for example,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Of course.
  • the manufacturing of the fixing device 30 can be made by inje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포에 고정되는 하단부; 상기 하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부;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 상기 하단부,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압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이 위치하고, 상기 상단부가 하단부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하단부,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가 상기 신발끈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포 고정장치
본 발명은 신발에 구비되는 설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설포에 고정되며,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가 밀려서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가죽, 고무, 직물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발의 보호와 장식의 역할을 하고, 때로는 바닥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발은 안감 및 겉가죽, 뒷굽, 갑피, 인솔, 설포 및 신발끈 등으로 구성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작된 신발은 사용자가 신발을 용이하게 신을 수 있도록 발이 들어가는 부분의 공간 확장 및 수축을 위하여 설포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설포가 시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외관상으로 심미적 효과를 저해하고, 발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호의 목적이 감소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신발을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중력에 의해 설포가 신발의 바닥측으로 처지게되어 신발을 신을때 마다 설포의 상단을 들어올려줘야 하므로 사용자가 매번 신발의 설포를 잡아 당기는 등 착용에 매우 불편한 담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신발에 구비되는 설포의 유동을 방지하여 설포가 제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포에 고정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가 밀려서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신발끈을 단속하기 위한 하단부와 상단부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잠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해제한 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신발끈의 단속을 해제하고, 반대로, 상단부를 하단부 측으로 회동시켜 잠금부를 잠금함으로써, 쉬운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설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설포에 고정되는 하단부; 하단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부; 하단부와 상단부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 하단부,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압부; 및 하단부와 상단부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로부터 상단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이 위치하고, 상단부가 하단부 측으로 회동되면, 하단부, 상단부 또는 하단부와 상단부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가 신발끈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설포에 고정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가 밀려서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신발끈을 단속하기 위한 하단부와 상단부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잠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해제한 후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신발끈의 단속을 해제하고, 반대로, 상단부를 하단부 측으로 회동시켜 잠금부를 잠금함으로써, 쉬운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설포 고정장치의 상단부 외주면에 해당 신발의 브랜드를 프린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시켜주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신발끈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가 설포에 결합되어 신발끈이 고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회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잠금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잠금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신발끈이 고정되기 전을, (b)는 신발끈이 고정된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설포 20 : 신발끈
30 : 고정장치 100 : 하단부
200 : 상단부 300 : 회동부
310 : 하우징 311 : 끼움홈
312 : 삽입홈 320 : 회동판
350 : 브라켓 351 : 핀홀
360 : 플랜지 361 : 관통홀
361a : 핀 362 : 회동핀
400 : 가압부 401 : 돌출돌기
410 : 가압돌기 420 : 가압판
430 : 가압부재 431 : 탄성부재
432 : 안내홈 440 : 지지부재
450 : 이탈방지부재 460 : 일방향탄성부재
500 : 잠금부 510 : 제1잠금부재
511 : 잠금홈 512 : 연장홈
515 : 걸림부재 516 : 누름부재
517 : 커버 520 : 제2잠금부재
521 : 잠금돌기 522 : 파지용날개
525 : 걸림돌기 526 : 절삭부
526a : 모따기부 526b : 라운드부
600 : 고정부 610 : 끼움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신발의 설포(10)에 고정되며,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20)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10)가 밀려서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는 제1 ~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 들 중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대표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도면에 도시된 제1 ~ 제8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작성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더 있을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 내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신발의 설포(10)와 신발끈(20)을 상호 고정시켜, 상기 설포(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적에 기반을 두었으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각 구성간 다양한 조합에 의해 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장치(30)는 도면부호를 부여하기 위한 명칭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의미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고정장치(3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되, 플렉시블한 성질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장치(30)의 제작은 사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신발끈이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가 설포에 결합되어 신발끈이 고정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신발의 설포(10)에 고정된 고정장치(30)가 선택적으로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20)을 가압함으로써, 설포(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및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단부(100)는 설포(10)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상단부(200)가 회동부(3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됨에 따라,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단부(200)는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회동부(300)에 의해 하단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단부(200)는 고정장치(30)의 상측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해당 신발의 브랜브, 로고 또는 다양한 디자인이나 문구 등 다양한 이미지가 프린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로 하여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시켜주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해당 신발의 브랜드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부(3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의 상단부(200)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신발끈(20)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중 선택된 하나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고,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중 선택된 다른 하나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동부(300)는 상단부(200)의 타측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측단이 하단부(10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에서, 하단부(100)로부터 회동부(30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하단부(100)와 회동부(300)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상호 연결된 부분의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부(100)로부터 회동부(300)가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플렉시블하게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나아가, 플렉시블한 소재의 특성상 회동이 반복되어도 끊어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4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각각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압부(400)는 하단부(100)의 상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단부(200)의 하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가 회동되면, 한 쌍의 가압부(400)는 서로 어긋나 맞물리게 된다.
이에,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위치하면, 하단부(100)에 형성된 가압부(400)와 상단부(200)에 형성된 가압부(400)가 상기 신발끈(20)의 하측과 상측을 가압함으로써, 설포(10)에 고정된 고정장치(30)가 신발끈(20)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설포(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각각에 한 쌍의 가압부(400)가 형성되는 것은, 한 쌍의 가압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위치하는 경우, 신발끈(20)이 교차되는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신발끈(20)이 교차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부(400)는 해당 부분을 가압하는 것이 아닌 신발끈(20)이 교차되는 부분과 소정 간격 이격된 일부분을 가압함으로써, 교차하는 두 가닥의 신발끈(20) 모두를 견고하게 가압하여 설포(10)의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단부(100)에 구비된 가압부(400) 또는 상단부(200)에 구비된 가압부(40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압부(400)에는 돌출돌기(4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에 형성된 가압부(400)는 상측에 나사산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되, 상단부(200)에 형성된 가압부(400)는 끝단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돌기(40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00)의 끝단에 형성되되, 나사산 형태, 뾰족한 형태 또는 물결 형태 등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다수의 요철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신발끈(2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신발끈(20)을 가압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신발끈(2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잠금부(5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를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단속함으로써, 잠금 상태에서 신발끈(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잠금부재(510)는 하단부(100)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잠금홈(511) 및 연장홈(5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홈(511)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잠금부재(510)의 하측에 전,후방 측으로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제2잠금부재(520)의 잠금돌기(521)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장홈(512)은 상기 잠금홈(511)의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홈(511)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파여진 한 쌍의 연장홈(5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후술되는 제2잠금부재(520)의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끼워지는 경우, 잠금돌기(521)와 접촉되는 제1잠금부재(510)의 일부분이 연장홈(512)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끼워지고 분리되는 과정에서 접촉이 발생되어도 연장홈(512)이 형성된 제1잠금부재(510)의 일부분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잠금돌기(521)가 쉽게 파손되고 마모가 발생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2잠금부재(520)는 상단부(200)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잠금부재(510)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잠금돌기(5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잠금돌기(521)는 잠금홈(511)에 대응되도록 제2잠금부재(520)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잠금홈(511)에 끼워져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잠금돌기(5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의 상측과 하측 및 제2잠금부재(520)와 연결되는 부분의 상측은 일부분이 절삭되어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잠금돌기(521)의 끝단 하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하단부(100)의 상측면과 경사지게 접촉되며, 잠금돌기(521)의 끝단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잠금홈(511)의 상측 내주면에 접촉됨으로써,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유도하고, 제2잠금부재(520)와 연결되는 부분의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은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끼워지면, 잠금홈(511)의 상측 내주면에 걸림되어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잠금부재(520)는 상단부(200)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단부(200)로부터 제2잠금부재(52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은, 하단부(100)로부터 회동부(300)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회동부(300)에 의해 하단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한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킨 후, 상단부(200)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잠금부재(520)를 제1잠금부재(510) 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잠금돌기(521)가 잠금홈(511)에 끼워지도록 한다.
나아가, 제1잠금부재(51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2잠금부재(520)는 제1잠금부재(510)의 양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측 각각으로 돌출된 파지용날개(5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용날개(522)는 고정장치(30)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고정장치(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파지용날개(522)를 일측으로 밀면 잠금홈(511)으로부터 잠금돌기(521)가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하단부(100)의 전,후,좌,우 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고정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a)에서와 같이, 하단부(100)의 전,후 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b)에서와 같이, 하단부(100)의 좌,우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600)는 고정장치(30)가 설포(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끼움홀(610)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610)을 통해 고정장치(30)가 설포(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600)는 고정장치(3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직물 등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직물로 이루어지는 설포(10)에 끼움홀(610)을 실을 꿰매어 바느질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예로, 끼움홀(610)에 별도의 천 등을 통과시키고, 별도의 천을 설포(10)에 바느질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교차되도록 위치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 측으로 상단부(200)를 회동시켜, 상단부(200)에 결합된 제2잠금부재(520)의 잠금돌기(521)가 하단부(100)에 결합된 제1잠금부재(510)의 잠금홈(511)에 끼워지도록 하면, 상단부(200)에 구비된 가압부(400)와 하단부(100)에 구비된 가압부(400)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신발끈(20)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설포(10)와 신발끈(2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설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와 달리 하단부(100)와 상단부(200)가 회동부(30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고정장치(30)를 사출에 의해 제조하는 과정에서 편의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단부(100)와 상단부(200)의 구성을 각각 제조하고, 이를, 조립을 통해 부착함으로써, 사출에 의해 제조하는 과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및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300)는 하우징(310) 및 회동판(320)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300)의 구성을 통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회동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310)은 하단부(100)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후술되는 회동판(320)이 끼워져 결합되며, 끼움홈(311) 및 삽입홈(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홈(311)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10)이 상호 대향되는 면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회동판(320)의 양측 일부분이 각각 상기 끼움홈(311)으로 끼워지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삽입홈(31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10)이 상호 대향되는 면 하측에 내측으로 절삭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회동판(320)이 상기 삽입홈(312)으로 삽입되어 끼움홈(31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삽입홈(312)으로 삽입된 회동판(320)은 끼움홈(311)으로 안내되어 끼워짐으로써, 하우징(310) 및 회동판(320)으로 이루어진 회동부(300)에 의해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회동판(320)은 한 쌍의 하우징(310) 사이에 끼워지며, 상측에 상단부(2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판(320)으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은, 제1 실시예에 다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하단부(100)로부터 회동부(300)가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하우징(310)이 결합된 하단부(100)와 회동판(32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단부(200)는 상기 하우징(310)에 회동판(320)의 탈부착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며, 고정장치(30) 제조시 각각 사출한 뒤, 하우징(310)에 회동판(320)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일체형의 고정장치(30) 사출시 제조에 따른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와 달리, 한 쌍의 가압부(400)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및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400)는 한 쌍의 가압부(400)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끝단에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410)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일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어, 가압돌기(410)에 형성된 돌출돌기(401)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형성된 돌출돌기(401)에 의해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면, 가압돌기(410)와 하단부(100) 사이 또는 가압돌기(410)와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20)을 가압하게 된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400)가 상단부(200)에 구비된 경우, 상단부(200)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측 끝단에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410)가 형성되고, 가압돌기(410)의 하측면과 하단부(100) 상측면 일부분 각각에 돌출돌기(4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신발끈(20)을 위치시킨 후, 상단부(200)를 하단부(100)로 회동시키면 가압돌기(410)에 형성된 돌출돌기(401)와 하단부(100)에 형성된 돌출돌기(401)가 신발끈(20)을 가압함으로써, 설포(10)와 신발끈(2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설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20)은 신발의 종류에 따라 넓게 형성된 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신발끈(20)의 두께는 신발과 신발끈의 다양한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하단부(100)와 상단부(200)가 상기 신발끈(2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신발끈(2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신발끈(20)의 두께에 의해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완전히 회동되지 않아 잠금부(500)에 의한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4 ~ 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가압부(400)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신발끈(20)의 겉면을 탄성지지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발끈(20)이 위치하는 공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굵기를 갖는 신발끈(20)을 모두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에 의해 신발끈(20)을 가압하여 신발끈(2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및 5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잠금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400)는 한 쌍의 가압부(400)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한 쌍의 가압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일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부(400)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형성된 돌출돌기(401)가 신발끈(20)을 가압함으로써, 설포(10)와 신발끈(2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설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8에서는 지그재그형태의 단면이 가압부(4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의 단면이 가압부(400)의 측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가압부(400) 각각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져 신발끈(20)의 겉면을 탄성지지하되, 끝단에는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가압판(42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압부(400)가 상단부(200)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되, 한 쌍의 가압부(400) 하측 끝단 각각에는 외주면에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가압판(420)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단부(100)의 상측면에 돌출돌기(401)가 형성됨으로써,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신발끈(20)을 위치시킨 후,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키면,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하단부(100)와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가압판(420) 사이에 신발끈(20)이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신발끈(2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에, 설포(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회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잠금부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잠금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잠금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부(300)는 브라켓(350) 및 플랜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400)는 가압부재(430), 지지부재(440) 및 이탈방지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500)는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회동부(3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브라켓(350) 및 플랜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35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부(100)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핀홀(351)이 형성된다.
플랜지(360)는 상단부(200)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브라켓(35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브라켓(350)과 플랜지(360)의 결합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예로, 플랜지(360)에 관통홀(36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361)을 관통한 핀(361a)의 양 끝단이 한 쌍의 브라켓(350)에 형성된 핀홀(351) 각각에 끼워짐으로써,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른 예로, 브라켓(350)과 플랜지(360)의 결합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60)의 양 끝단 각각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회동핀(362)이 한 쌍의 브라켓(350)에 형성된 핀홀(351) 각각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브라켓(350)이 상호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소재의 특성상 텐션에 의해 한 쌍의 브라켓(350)을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가압한 후, 상기 브라켓(350)에 형성된 관통홀(361)에 도 10에 도시된 핀(361a) 또는 도 11에 도시된 회동핀(362)이 끼워지도록 한 후, 브라켓(350)을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브라켓(350)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면서 브라켓(350)과 플랜지(360)가 상호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에서, 한 쌍의 브라켓(350)이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은 후술되는 가압부(400)의 가압부재(430)를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440)가 구비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브라켓(3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지지부재(440)가 구비됨으로써, 고정장치(30)가 갖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압부(4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각각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단부(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400)는 제1 실시예 따른 설포 고정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단부(100)에 구비되는 가압부(4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단부(100)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압부(400)는 가압부재(430), 지지부재(440) 및 이탈방지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부재(430)는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신발끈(20)의 하측을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탄성부재(4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가압부재(430)는 상기 탄성부재(431)가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단부(100)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신발끈(20)의 하측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440)는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된 가압부재(430)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부재(44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부재(430)가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면, 상기 가압부재(430)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을 지지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지지부재(440) 중 하나의 지지부재(4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350) 사이에 구비되되, 하단부(100)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압부재(430)의 상단면 일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부재(430) 측으로 돌출된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부재(440) 중 다른 하나의 지지부재(440)는 후술되는 걸림부재(515)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되, 하나의 지지부재(44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가압부재(430)의 상단면 일부분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부재(430) 측으로 돌출된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재(4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가압부재(430)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4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지지부재(440)는 가압부재(430)의 상단면을 감싸도록 돌출된 부분의 상측 끝단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최초 한 쌍의 지지부재(440)에 가압부재(430)가 끼워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가압부재(430)의 하단면이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유도되어 가압부재(430)가 하단부(100)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가압부재(430)는 소재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여 가압부재(430)가 끼워지는 경우,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으로 회동되어 상기 가압부재(430)가 끼워지도록 한 후,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오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430)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을 감싸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부재(450)는 하단부(100)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가압부재(430)가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500)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구비되는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 ~ 5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장장치에 제6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50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반대로, 제1 ~ 5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500)가 제6 실시예에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잠금부재(510)는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단부(100)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제2잠금부재(520)와 체결되어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걸림부재(515) 및 누름부재(5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재(515)는 하단부(100)의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5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돌출된 부분은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フ'자 형태의 걸림부재(515)가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누름부재(516)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0)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걸림부재(515) 각각의 외측에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누름부재(516)는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하단부(100)의 양측 각각에 상단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단으로 돌출된 형태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더 구비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끝단은 걸림부재(515)의 측면과 접촉된다.
이때, 걸림부재(515)와 누름부재(516)는 소재의 특성상 탄성력을 발휘하여 하단부(100)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양측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름부재(516)의 외측면을 가압부재(430)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재(430)에 접촉되어 있던 누름부재(516)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압부재(430)는 상호 인접하도록 유동된다.
이에, 후술되는 제2잠금부재(520)의 걸림돌기(525)가 상기 가압부재(430)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잠금부(500)가 해제되고 이에,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는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2잠금부재(520)는 상단부(200)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잠금부재(510)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걸림돌기(5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돌기(525)는 상단부(200)의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부재(515)에 걸림되어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걸림돌기(52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00)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으로 돌출된 형태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더 구비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은 제1잠금부재(510)의 걸림부재(515)와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잠금부재(510)와 제2잠금부재(52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름부재(516)를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부재(516)에 의해 가압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515)가 상호간에 인접하도록 회동됨으로써, 걸림부재(515)와 걸림돌기(525)가 맞물려 있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이에, 누름부재(516)를 누르는 과정만으로도 제1잠금부재(510)의 걸림부재(515)와 제2잠금부재(520)의 걸림돌기(525)가 맞물려 있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잠금부(500)가 해제됨에 따라,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잠금부(500)가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은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키면, 제1잠금부재(510)의 걸림부재(515) 상측면과 제2잠금부재(520)의 걸림돌기(525) 하측면이 접촉되며, 상단부(200)의 회동에 의해 걸림돌기(525)가 걸림부재(515)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고, 이에 한 쌍의 걸림부재(515)는 상호간에 인접하도록 회동됨으로써, 걸림부재(515)와 걸림돌기(525) 상호간에 맞물리도록 하고, 이에,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여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한다.
한편, 손가락으로 누름부재(516)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비교적 작은 규모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재(516)는 제2잠금부재(520)의 외측면 또는 가압부(400)의 이탈방지부재(450) 등에 의해 손가락이 간섭되어 내측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미비하고, 이에,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제1잠금부재(510)의 걸림부재(515) 상측면과 제2잠금부재(520)의 걸림돌기(525)의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재(510)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2잠금부재(520)의 상,하측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누름부재(516)가 가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잠금부재(510)에는 한 쌍의 걸림부재(515)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판 형태의 커버(5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잠금부재(520)는 상기 커버(517)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일부분이 절삭된 절삭부(5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커버(517)는 제1잠금부재(510)의 누름부재(516)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재(516)와 걸림부재(515)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외부에서 차단함으로써, 고정장치(30)의 겉면을 미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제2잠금부재(520)에 형성된 절삭부(526)에 의해 누름부재(516)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절삭부(526)는 도 13에 도시된 (a)에서와 같이, 모따기부(526a)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3에 도시된 (b)에서와 같이, 라운드부(526b)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모따기부(526a) 또는 라운드부(526b)에 따라 제1잠금부재(510)의 누름부재(516) 일측면에 결합되는 커버(517)의 형태 또한 상기 모따기부(526a) 또는 라운드부(526b)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6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서 잠금부(500)의 구성은 제1 ~ 5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잠금부(500)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잠금부(500)의 구성은 제1잠금부재(510) 및 제2잠금부재(5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잠금부재(51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홈(511) 및 연장홈(5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잠금부재(520)는 잠금돌기(521) 및 파지용날개(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잠금부(500)는 제2잠금부재(520)에 구비된 잠금돌기(521)가 제1잠금부재(510)의 잠금홈(511)에 끼워져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잠금홈(511)을 관통한 잠금돌기(521)의 끝단이 가압부(400)의 가압부재(430)에 걸림되어 잠금 상태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가압부(400)의 가압부재(430) 하측에 구비되는 탄성부재(431)가 가압부재(430)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간에 안내홈(4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안내홈(432)은 제1잠금부재(510)의 잠금홈(511)을 관통한 제2잠금부재(520)의 걸림돌기(525)의 끝단 일부분이 안내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탄성부재(431)와 걸림돌기(525)가 상호 간섭되어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4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신발끈이 고정되기 전을, (b)는 신발끈이 고정된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하단부(100), 상단부(200), 회동부(300), 가압부(400), 잠금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400)는 일방향탄성부재(4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일방향탄성부재(460)는 상단부(200)와 가압부(400) 사이 또는 하단부(100)와 가압부(400) 사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구비되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00) 또는 하단부(100)와 가압부(400) 사이에 사선 형태로 구비되어, 가압부(400)를 외측으로 탄성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단부(200)와 하단부(100) 각각에 구비되는 가압부(4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400)를 외측으로 탄성지지 함으로써, 가압부재(430) 사이에 구비되는 신발끈(20)의 겉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단부(200)와 가압부(400) 사이 또는 하단부(100)와 가압부(400) 사이 각각에 일방향탄성부재(460)가 구비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a)에서와 같이, 상단부(200)에 구비된 가압부(400)와 하단부(100)에 구비된 가압부(400) 사이에 신발끈(20)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키면 일방향탄성부재(460)에 의해 상단부(200)의 가압부(400)와 하단부(100)의 가압부(400)는 신발끈(20)의 상측과 하측을 가압하는 동시에, 가압부(400)를 잠금부(500) 측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가압부(400)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신발끈(20)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되, 일방향탄성부재(460)의 탄성력에 의해 신발끈(20)의 겉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일방향탄성부재(460)는 가압부(400)를 탄성지지하는 방향이 잠금부(500) 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400)가 잠금부(500) 측으로 유동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일방향탄성부재(460)는 가압부(400)를 회동부(300) 측으로 탄성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설포 고정장치는 설포(10)에 고정장치(30)가 고정되어 결합되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위치되도록 한 후, 회동부(300)에 의해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키면, 상단부(200)와 하단부(100) 각각에 엇갈리도록 형성된 가압부(400)가 신발끈(20)의 상측과 하측을 가압함으로써, 고정장치(30)에 신발끈(20)이 고정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설포(10)와 신발끈(20)이 상호간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설포(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20)을 단속하기 위한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일단이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선택적으로 잠금되는 잠금부(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부(500)를 해제한 후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신발끈(20)의 단속을 해제하고, 반대로, 상단부(200)를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시켜 잠금부(500)를 잠금함으로써, 쉬운 조작을 통해 설포(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단부(200) 외주면에 해당 신발의 브랜드를 프린트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인식시켜주어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설포에 고정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신발에 형성되는 설포가 밀려서 신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설포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어 그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설포(10)에 고정되는 하단부(100);
    상기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부(200);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부(300);
    상기 하단부(100), 상단부(200) 또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각각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압부(400); 및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신발끈(20)이 위치하고, 상기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하단부(100), 상단부(200) 또는 하단부(100)와 상단부(200)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가압부(400)가 상기 신발끈(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00)는
    상기 하단부(100)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하우징(310); 및
    한 쌍의 하우징(310) 사이에 끼워지며, 상측에 상단부(20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은
    상호 대향되는 면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끼움홈(311); 및
    상호 대향되는 면 하측에 내측으로 절삭된 형태의 삽입홈(3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홈(312)으로 삽입된 회동판(320)은 끼움홈(311)으로 안내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00)는
    상기 하단부(100)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핀홀(351)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350); 및
    상기 상단부(200)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35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플랜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50)과 플랜지(360)의 결합은
    플랜지(360)에 관통홀(361)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361)을 관통한 핀(361a)의 양 끝단이 한 쌍의 브라켓(350)에 형성된 핀홀(351)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50)과 플랜지(360)의 결합은
    상기 플랜지(360)의 양 끝단 각각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회동핀(362)이 한 쌍의 브라켓(350)에 형성된 핀홀(351)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한 쌍의 가압부(400)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끝단에 서로 대향되는 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410)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일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가압돌기(410)와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2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한 쌍의 가압부(400)가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에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돌출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일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부(400)와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2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 끝단은 한 쌍의 가압부(400)가 상호 연결되도록 가압판(420)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판(420)과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일부분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돌기(401)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가압판(420)과 돌출돌기(401)가 형성된 하단부(100) 또는 상단부(200) 사이에 위치한 신발끈(2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상기 하단부(100) 상측에 구비되는 가압부재(430);
    상기 가압부재(430)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가압부재(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40); 및
    상기 하단부(100)의 양측 각각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압부재(430)가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재(430)는 하측에 탄성부재(431)가 구비되어 가압부재(430)를 하단부(100)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31)는
    상기 가압부재(430)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간에 안내홈(432)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상기 상단부(200)와 가압부(400) 사이 또는 하단부(100)와 가압부(400) 사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일방향탄성부재(4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500)는
    상기 하단부(100)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잠금부재(510); 및
    상기 상단부(200)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잠금부재(510) 일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2잠금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단부(200)가 하단부(100)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잠금부재(510)와 제2잠금부재(520)가 상호 걸림되면,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510)는
    전,후방 측으로 관통된 형태의 잠금홈(511); 및
    상기 잠금홈(511)의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연장홈(5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520)는
    상기 잠금홈(511)에 대응되도록 돌출된 형태의 잠금돌기(52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돌기(521)는 상기 잠금홈(511)에 끼워져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재(520)는
    상기 제1잠금부재(510)의 양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양측 각각으로 돌출된 파지용날개(5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510)는
    상기 하단부(100)의 일측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515); 및
    상기 걸림부재(515) 각각의 외측에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누름부재(5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부재(520)는
    상기 상단부(200)의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재(515)에 걸림되어 하단부(100)로부터 상단부(200)의 회동을 단속하는 걸림돌기(52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누름부재(516)를 내측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부재(516)에 의해 가압되는 한 쌍의 걸림부재(515)가 상호 인접하도록 회동됨으로써, 걸림부재(515)와 걸림돌기(525)의 걸림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재(510)는
    한 쌍의 걸림부재(515)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판 형태의 커버(51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재(520)는 상기 커버(517)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일부분이 절삭된 절삭부(5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00)의 전,후,좌,우 측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600)는 하나 이상의 끼움홀(6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고정장치.
PCT/KR2018/004475 2017-04-20 2018-04-18 설포 고정장치 WO20181943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33 2017-04-20
KR1020170050833A KR101774857B1 (ko) 2017-04-20 2017-04-20 설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358A1 true WO2018194358A1 (ko) 2018-10-25

Family

ID=5992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475 WO2018194358A1 (ko) 2017-04-20 2018-04-18 설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4857B1 (ko)
WO (1) WO2018194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857B1 (ko) * 2017-04-20 2017-09-05 김정철 설포 고정장치
KR101973963B1 (ko) * 2019-03-08 2019-04-30 김정철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6790A (en) * 1928-04-30 1928-12-25 Jess Fridman Shoe-lace-fastening device
US3290745A (en) * 1965-08-17 1966-12-13 Theodore B Maxwell Shoe lace clasp
US4387489A (en) * 1981-02-07 1983-06-14 Prameta Prazisionsmetaal-und Kunstofferzeugnisse G. Baumann & Co. Clasp for locking a ligature loop
KR200273526Y1 (ko) * 2002-01-22 2002-04-25 이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20080004588U (ko) * 2007-04-09 2008-10-14 최종대 신발끈 고정구
KR101774857B1 (ko) * 2017-04-20 2017-09-05 김정철 설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6790A (en) * 1928-04-30 1928-12-25 Jess Fridman Shoe-lace-fastening device
US3290745A (en) * 1965-08-17 1966-12-13 Theodore B Maxwell Shoe lace clasp
US4387489A (en) * 1981-02-07 1983-06-14 Prameta Prazisionsmetaal-und Kunstofferzeugnisse G. Baumann & Co. Clasp for locking a ligature loop
KR200273526Y1 (ko) * 2002-01-22 2002-04-25 이여한 신발끈 결속장치
KR20080004588U (ko) * 2007-04-09 2008-10-14 최종대 신발끈 고정구
KR101774857B1 (ko) * 2017-04-20 2017-09-05 김정철 설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857B1 (ko)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2438A1 (en) Display apparatus
EP3058561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137774A1 (en) Latch system for door
WO2018194358A1 (ko) 설포 고정장치
WO2011083923A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electrode pads
WO2021045439A1 (ko) 의류 관리기
WO201601801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background
WO201514212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8110856A1 (ko) 회전장치
WO2012033362A2 (ko)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20179965A1 (en) Headrest
WO2010016691A2 (ko) 우산
WO2022119089A1 (ko) 차량 기어 노브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1010779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18080136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7034222A2 (ko) 스트링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과 옷
WO2020184820A1 (ko) 설포 고정이 가능한 신발
WO2015156433A1 (ko) 지지 성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족부 보조기
WO2021177568A1 (ko) 의류 폴딩 장치
WO2021029712A1 (en)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1155720A2 (ko) 필통
WO2021241945A1 (ko) 면도기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78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3.01.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78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