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566A1 - 주방용품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566A1
WO2018190566A1 PCT/KR2018/004018 KR2018004018W WO2018190566A1 WO 2018190566 A1 WO2018190566 A1 WO 2018190566A1 KR 2018004018 W KR2018004018 W KR 2018004018W WO 2018190566 A1 WO2018190566 A1 WO 20181905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rilization
main body
kitche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0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재학
정상욱
주병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880009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34361A/zh
Publication of WO20181905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5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ware sterilization apparatus.
  • the kitchen is equipped with kitchen utensils such as a cutting board, a kitchen knife, a dishcloth, tableware, and a loofah for performing cooking and cooking.
  • kitchen utensils such as a cutting board, a kitchen knife, a dishcloth, tableware, and a loofah for performing cooking and cooking.
  • Hygienic management of such kitchen utensils is very important. Since kitchen utensils are frequently stained and kept wet, they need to be sterilized for hygiene.
  • the previous sterilization apparatus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and mainly mercury lamps are used.
  • Mercury lamps emit ultraviolet rays in a broad wavelength range of approximately 100 nm to 300 nm, and only a wavelength band suitable for sterilization cannot be selected.
  • the mercury lamp has a problem of using mercury harmful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kitchen utensils.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ilization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to which a high sterilization efficiency is appli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is to provide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by drying the kitchen utensils and the inside.
  • the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the cradle on which the kitchen utensils are mounted, the light source including a sterilizing LED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 the light source including a sterilizing LED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 a kitchenware sterilization device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r outside the housing and includes a fan that sucks the outside air of the housing and discharges it into the housing.
  •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can sterilize kitchen utensils, hygiene management kitchen utensils.
  • the kitchen appliance sterilization apparatus improves sterilization efficiency by applying a wavelength band suitable for sterilization.
  • the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device to dry the kitchen utensils and the inside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 1 to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and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the cradle on which the kitchen utensils are mounted, the light source including a sterilizing LED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It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and the housing or outside the housing, and includes a fan that sucks the outside air of the housing and discharges it into the housing.
  • the light source including a sterilizing LED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It is disposed inside the module and the housing or outside the housing, and includes a fan that sucks the outside air of the housing and discharges it into the housing.
  • the housing may include a main body, a cover covering the main body, and a space separation unit formed inside the main body to divid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 the cradle and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and the fan may be disposed at the rear portion. At this time, the fa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let for sucking the outside air.
  • a first air inlet and a second air outlet may be formed in the space separator. At this time, the fan discharges the sucked external air to the first air inlet.
  • the cradle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may be in the form of a case (Case) to insert a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s.
  •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ng portion is formed convexly to the rear portion, a cradle insertion portion which is a space into which one side of the cradle is inserted may be further formed.
  • the cradl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on unit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 the cradle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and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 the cover may include a front cover covering the front part and a rear cover covering the rear part.
  • the rear cover may be formed with a second air inlet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t this time, the second air inlet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fan.
  • the rear cover may be formed with a second air outlet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discharged to the rear portion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 the second air outle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air outlet.
  • the second air outlet may have an inclination so as to face upward from the rear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 the light sourc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visible light LED emitting visible light. Visible light LED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sterilization LED is operating.
  • a transparent window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front cov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visible light LED is turned on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 the light source module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inside the housing.
  •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ight source module is inserted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housing.
  •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is formed to have a concave structure.
  •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controlled to emit sterilized ultraviolet light.
  • a drainage hole of the through structur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 a drain passage of the through structur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may have an inclination such that the height is lowered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reservoir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storing water away from the drain passage.
  • the water reservoir may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outside the housing.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med in the space separating portion and protruding to the front por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output unit and an input unit.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outputs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 the input unit may also input setting information regarding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of the housing.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body and the cover.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of the housing.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fan to heat the outside air sucked by the fan.
  • the heating member discharges the heated outside air to the front portion through the first air inlet.
  • the heating memb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 heater and an infrared LED.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wirelessly receive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from an external device.
  • 1 to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sterilization device
  •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ilization device
  •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ront portion and a front cover of the sterilization device
  • Figure 4 is a rear portion and a rear cover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radle.
  • sterilization device is a devi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kitchen utensils.
  •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the housing 110, the cradle 140, the light source module 150, the fan 161, the heating member 162, the control unit 163, the water reservoir ( 164 and power switch 166.
  • the housing 110 is composed of a main body 111 and a cover 120 to provide a spa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kitchen utensils.
  • the cover 120 prevents sterile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from leaking out and being lo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rilization ultraviolet light efficiency from being reduced by the cover 120.
  • the cover 120 is composed of a front cover 121 and a rear cover 126.
  •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1.
  • the main body 111 is divided into a front part 115 and a rear part 117 by a space separating part 130.
  • the front part 115 is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11 between the front cover 121 and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 the rear portion 117 is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1 between the rear cover 126 and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rt 115 and the rear part 117, and is form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111 at the front part 115. .
  • the space separator 130 may be changed by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f the interior of the body 111 can be divided into the front portion 115 and the rear portion 117.
  • the space separator 130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the space separator 13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the first air inlet 131 and the first air outlet 132 are formed in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first air inlet 131 is a passage through which dry air flows into the front portion 115.
  • the drying air is air for drying the kitchen utensil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nd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the first air outlet 132 is a passage through which dry air in the front part 115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part 115.
  • the dry air is higher in temperature, lower in density, and lighter than air in the main body 111.
  • the first air outlet 132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air inlet 131. 1 to 3, a first air inlet 131 is positioned below the space separator 130, and a first air outlet 132 is positioned above.
  • the first air inlet 131 of the space separator 130 is positioned above the side of the cradle 140 facing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first air inlet 131 is covered by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first air inlet 131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cradle 140 in order to prevent the smooth inflow of the dry air and the loss of the dry air.
  •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33 protruding in the front portion 115 direction.
  • the protrusion 133 allows the kitchen utensil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when the kitchen utensil having a long and wide shape such as a cutting board i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115. Since one surface of the kitchen utensil is erected by the protrusion 13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the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150 may be irradiat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kitchen utensil.
  • the cradle insertion unit 134 may be formed in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 the space separator 1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concave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portion 117. This concave space may be the cradle inserting portion 134 into which the cradle 140 is inserted.
  • the width of the cradle insert 134 is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cradle 140. Therefore, the holder 140 may be disposed such that a portion including th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holder insertion unit 134.
  • the cradle inserting portion 134 of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the sid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cradle 140.
  • the cradle insertion part 134 is for a space into which the cradle 140 may be inserted,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one side of the cradle 140.
  • the cradle inserting portion 134 is formed as an example in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but the cradle inserting portion 134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cradle 140 and the light source module 150 are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115 of the main body 111, and the fan 161, the heating member 162, and the controller 163 are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117.
  • the cradle 140 is formed in a case shape.
  • the cradle 140 supports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s to erect kitchen utensils.
  • the cutting board is mounted on the holder 140, the lower portion of the cutting board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40, and one surface of the cutting board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33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That is, the cutting board is disposed insid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n a form inclined toward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 the cutting boar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ccording to the size or position of the holder 140 and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33.
  • the drain hole 14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radle 140. If the kitchen utensils located on the holder 140 is wet, the water of the kitchen utensils flows dow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140. Water flowing down to the bottom of the holder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140 through the drain hole 141. By such a drain hole 141,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on the holder 140. In addition, since the water is not accumulated in the holder 140, the kitchen utensils can be maintained in a dry state as a whole.
  • the drying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drain hole 141 of the holder 140.
  • the cradle inserting unit 134 is formed in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so that the cradle 140 is disposed so that a portion of the cradle 140 is inserted into the cradle 140, the entir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dispose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 a water reservoir 164 is disposed below the cradle 140.
  • the water reservoir 164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1.
  • the water reservoir 164 may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11.
  • the water reservoir 164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ody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1 from the rear portion 117 of the body 111 to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or the front portion 115.
  • the water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8 is inserted is formed.
  • the water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8 is form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1 on which the rear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6 is mounted,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Therefore, the water reservoir 164 may be mounted from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to the inside through the water reservoir insertion groove 118, it may be removable from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a drain passage 119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drain passage 119 i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ed dow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140 or the housing 110 moves to the water reservoir 164.
  • the drain passage 119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part of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1 located between the water reservoir 164 and the cradle 140. If the lower part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is not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the drain passage 119 may be form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water in the housing 110 flows and is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164,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housing 110. This helps to dry the kitchen utensils disposed insid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nd insid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water reservoir 164 is detachable,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164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ncludes a sterile LED 151 and a substrate 152.
  • the sterile LED 151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52 and emits sterile ultraviolet light.
  • the substrate 15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rile LED 151.
  • the substrate 152 supplies power to the sterile LED 151 or stops the power supply so that the sterile LED 151 emits or disinfects the sterile ultraviolet rays.
  • the germicidal LED 151 emits ultraviolet rays in the wavelength range of approximately 200 nm to 290 nm, which is the UVC region.
  • the UVC region has the highest sterilization effect among the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and the effect is minimal even if the other ultraviolet wavelength range does not sterilize.
  • mercury lamps have been used in sterilization equipment.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mercury lamps are difficult to use only those wavelength bands suitable for bactericidal action with a broad wavelength ranging from about 100 nm to 300 nm. However, the LED can be formed to emit a wavelength band suitable for bactericidal action. Therefore, the steriliz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to the sterilizing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mercury lamp. In addition, mercury lamps are made of mercury, which is harmful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However, sinc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LED which does not use mercury, human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when using mercury do not occur.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t the front portion 115. Therefore, since the sterilization LED 151 irradiates the sterilization ultraviolet ligh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15 to the downward direction, the kitchen utensils are affected by the sterilization ultraviolet light even if placed anywhere with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n addition, since sterilize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downward, water accumulated in the body 111 may also be sterilized by sterilized ultraviolet rays. In this way, since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also sterilized,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can be improved, and the interior can be maintained hygienically.
  • kitchen utensils In the case of kitchen utensils, only one or a part of the kitchen utensils may be mainly used, which may require intensive sterilization of the main application area.
  • the kitchen utensil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ince the cutting board is mainly used on one side, intensive sterilization of the main side is needed rather than the other side.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the cutting board is disposed such that the main use surface faces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and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3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 sterilized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intensively on the main use surface of the cutting board.
  • the cutting board is inclined to face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us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When the cutting board is placed in an inclined state than when the cutting board is placed vertically, sterile ultraviolet rays are radiated to a larger area of the main surface.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may be disposed near the center portion or the front cover 12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the cutting board is disposed such that the main use surface faces the front cover 121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main use surface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33.
  • the cutting board is inclined so that the main use surface faces upward. Therefore, sterile ultraviolet light of the light source module 150 may be concentrated on the main use surface of the cutting board.
  • the fan 161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nd discharges it to the heating member 162.
  • An inlet of the fan 161 that sucks air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inlet 127 formed in the rear cover 126, and an outlet of the fan 161 that discharges the sucked air is connected to the heating member 162. . That is, the fan 161 sucks outside air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27 of the rear cover 126 and discharges the sucked outside air to the heating member 162.
  • the heating member 162 produces dry air.
  • the inlet of the heating member 162 is connected with the outlet of the fan 161, and the outlet of the heating member 162 is connected with the first air inlet 131 of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heating member 162 generates dry air by heating the air sent from the fan 161. In other words, the dry air is heated outside air.
  • the heating member 162 discharges dry air to the front portion 115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31.
  • the heating member 162 can be anything that can heat air.
  • the heating member 162 may be a heater or an infrared LED emitting infrared light.
  • the temperature of the dry air generated through the heating member 162 may be high temperature of about 60 ° C. or more.
  • the dry air generated by the heating member 162 is a high temperature, it helps not only drying kitchen utensils but also sterilizing bacteria and viruses susceptible to heat.
  •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air generated by the heating member 16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the temperature may dry the kitchen utensils.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heating member 162, but the heating member 162 may be omitted.
  • the fan 161 may discharge the sucked external air to the first air inlet 131 of the space separator 130. At this time, the outside air discharged to the first air inlet 131 becomes dry air for drying the front part 115 and the kitchen utensils disposed on the front part 115.
  • the controller 163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an 161 and the heating member 162.
  • the controller 163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161 and the heating member 162 by supplying power to the fan 161 and the heating member 162 or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or 130 may be convex toward the rear surface 117.
  • component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17 such as the fan 161, the heating member 162, and the controller 163 may be disposed above the convex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 the lower parts of the parts are supported by the convex parts as well as the part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components When the components ar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space separator 130, the components may be separated from the space separator 130 for various reasons, such as a load and a reduction in adhesion force. At this time, the physical 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broken.
  • the components when the lower parts of the components are supported by the convex portions of the space separator 13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may be fixed to the space separator 130 more stably.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on between the space separator 130 and the components from being reduced by the load of the components.
  •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onents are supported even when the adhesion force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ing from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since the components of the rear portion 117 are disposed above the convex portion of the space separator 130, the thickness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may be reduced.
  • the front cover 121 and the rear cover 126 cover the main body 111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from the outside.
  • the front cover 121 covers the front portion 115 of the main body 111 to protect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front portion 115 from the outside.
  • the front cover 121 prevents the germicidal ultraviolet rays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when the germicidal ultraviolet rays are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150. This prevents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from being reduced.
  • a portion of the front cover 12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1. 1 and 3, the lower end of the front cover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end of the front cover 121 moves up and down, and opens and closes the main body 111.
  • One or both sides of the front cover 121 and the main body 111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2.
  •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2 is fixed to the main body 111,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122 is inserted into the guide 113 having a groove shape long formed in the front cover 121 and moves along the guide 113.
  • the support part 122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limit the radius of the front cover 121 to move, thereby preventing the front cover 121 from being damaged by hitting the floor or moving in a radius range that is too large.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cover 121 and the main body 111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front cover 121 may be fix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main body 111 in various ways.
  • the front cover 121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111 by magnetic force.
  • Magnets of different polarities or fixing parts 114 and 123 made of a metal and a magnet may be installed inside or exposed to the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respectively.
  • the front cover 121 is close to the main body 111, the front cover 121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111 by magnetic force.
  •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between the main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known method.
  • the rear cover 126 covers the rear portion 117 of the main body 111 to protect the components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117 from the outside.
  • the rear cover 126 may be fixed or detachable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main body 111.
  • the rear cover 126 may be fixed to or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11 by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back cover 126 is formed with a second air inlet 127 and a second air outlet 128.
  • the second air inlet 127 and the second air outlet 128 are formed in a through structure connec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the second air inlet 127 is a passage through which outside air flows into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the second air inlet 127 is connected with the inlet of the fan 161.
  • the second air outlet 128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dry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32 of the space separator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 the second air outlet 128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air outlet 132 or may be formed near the first air outlet 132.
  • heat generated from component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17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128. Thus, heat dissipation for component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117 may be improved.
  • the rear cover 126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reservoir insertion hole 129 for mounting or detaching the water reservoir 164 to the main body 111.
  • the water reservoir 164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11 through the water reservoir insertion hole 129 even when the rear cover 126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117.
  • the power switch 166 may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 unit 163 or the component parts including the control unit 163, or may stop the power supply.
  • the power switch 166 may be formed on an outer wall of the housing 110. In FIG. 1, a power switch 166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power switch 166 is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may simultaneously perform sterilization and drying of kitchen utensils.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sterilized while drying the kitchen utensils disposed inside and inside, or sterilized while maintaining the dry state, thereby improving sterilization efficiency.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is formed to become thick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Such a structure can prevent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from falling when a large or heavy kitchen utensil such as a cutting board is not properly supported in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when it falls down or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 front portion 115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cradle 240 formed on the front part 115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 Kitchen utensils are positioned between the cradle 240 and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cutting board 200 is a sterilization apparatus 200 in a form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kitchen utensils is caught by the cradle 24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1, and the upper part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33 of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It is built inside of.
  • the holder 240 is located only between the space where the kitchen utensils are mounted and the front cover (not shown). That is, no component is disposed between the space where the kitchen utensil is mounted and the first air inlet 131 of the kitchen utensil space separating unit 130. Therefore, the dry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inlet 131 may easily access the lower portion of the kitchen utensils mounted on the holder 240. Therefore, the kitchen utensils may be exposed to more dry air, and thus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200 may be further improved.
  • FIG. 6 illustrates a cradle 240 of two protruding structure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However, if the holder 240 can support the kitchen utensils, it may be made of one protruding structure, it may be made of three or more protruding structure.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llustrates a front portion 115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the cradle 340 formed on the front part 115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 separating part 130 and is formed in a bar structure connect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inside the main body 111. .
  • the bar holder 340 may support the kitchen utensils having a thin thickness or a small width.
  • Kitchen utensils are located between the cradle 340 and the space separator 130.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kitchen utensils is caught by the cradle 340,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33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and is built in the sterilization device 300.
  • the holder 340 Since the holder 340 is located only between the front cover (not shown) and one surface of the kitchen utensils, the dry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inlet 131 may easily access the kitchen utensils. Therefor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can be improved.
  • the cradle 340 of one bar structure is illustrated.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3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cradles 340 of the bar struc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air outlet 132 of the space separator 130 and the second air outlet 428 of the rear cover 426 are alternately arranged.
  • the second air outlet 428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air outlet 132.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32 and the first air outlet 132 is heated dry air. Dry air is upwards because it is lighter than unheated ambient air. Accordingly, when the second air outlet 428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air outlet 132, dry air may be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device 400.
  • the germicidal ultraviolet rays When the germicidal ultraviolet rays are emitted from the front part 115, the germicidal ultraviolet rays may leak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32 formed in the space separator 130.
  • the second air outlet 428 may be formed above the first air outlet 132 to block the first air outlet 132.
  •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426 between the second air outlets 428 of the through structure is formed to face the first air outlet 132. Accordingly, the sterilized ultraviolet light leak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32 is block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426 between the second air outlets 428 and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ing device 400.
  •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cond air outlet 528 of the rear cover 526 has a diagonal structure.
  • the second air outlet 528 is formed in a diagonal structure toward the upper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device 500 at the rear portion 117.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500 minimizes the loss of the dry air to move upward by the second air outlet 528 of the diagonal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dry air.
  • the second air outlet 528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air outlet 528 blocks the outside of the first air outlet 132 and the sterilization apparatus 500.
  • the first air outlet 132 is blocked by the inner surface 529 of the rear cover 526 that constitutes the second air outlet 528. Accordingly, the sterilized ultraviolet light leak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32 is blocked by the oblique second air outlet 528 and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ing apparatus 500.
  • the diagonal air structure second air outlet 52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air outlet 132, as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600 may adjust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sterilization ultraviolet rays.
  • the light source module 650 includes a sterilizing LED 651, a substrate 652, and a direction controller 653.
  • a sterilizing LED 651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 the other end of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is mounted to the substrate 652.
  •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urther including a housing for mounting the substrate 652 therein.
  • the substrate 652 and the sterilizing LED 651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through the inside of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 the direction adjuster 653 may be bent by applying forc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remains bent even when the force is removed.
  •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thin metal or soft plastic. At this time, when the direction control part 653 is formed of a metal, it is apparent that a separate insulating configuration is further formed to insulate the substrate 652 and the sterile LED 65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rilizing LED 651 is directed by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may be adjusted.
  •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may be adjusted so that the plurality of germicidal LEDs 651 irradiates the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intensively in only one region.
  • the direction control unit 653 so that the plurality of sterilizing LEDs 651 to irradiate the sterilized ultraviolet rays to different areas, the sterilized ultraviolet rays can be uniformly irradiated throughout the sterilization apparatus 600.
  • the direction controller 653 may be formed of any known type in which the LED is mounted so that the LED can irradiate light.
  •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shows an upper por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 a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711 of the steriliz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so that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disposed.
  •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Therefore,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surrounded by the main body 711 and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forming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except for the lower portion.
  • the inner wall of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serves as a guid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of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irradiated. Therefore, the light source module 150 is irradiated with sterile ultraviolet light only downward of the front part 115 by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 sterilized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700 to prevent exposure to the user.
  •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is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 the light source module 150 may be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pace separation unit 130.
  •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source module 150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7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711.
  • FIG.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800 includes a light source module 850 and a transparent window 810 that emit sterile ultraviolet light and visible light.
  • the light source module 850 includes a sterile LED 851, a visible light LED 853, and a substrate 852.
  • sterile LEDs 851 and visible LEDs 853 are disposed on one substrate 85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erilizing LED 851 and the visible light LED 853 disposed on one substrate 852.
  • the sterile LEDs 851 and the visible light LEDs 853 may be disposed on separate substrates, respectively.
  • the germicidal LED 851 emits germicidal ultraviolet light and the visible LED 885 emits visible light.
  • the visible light 857 emits blue-based visible light.
  • the color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by the visible light LED 853 is not limited to the blue series, and may be chang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 Visible light LED 853 is associated with sterile LED 851. Therefore, the visible light 853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sterilizing LED 851 is operated. For example, visible light 853 is lit while sterile LED 851 emits sterile ultraviolet light.
  • the transparent window 810 is formed in the front cover 121.
  • the transparent window 81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visible light but does not transmit ultraviolet light or has a low UV transmittance.
  • the transparent window 810 is formed of glass.
  • the transparent window 810 may include or coat a material that blocks ultraviolet rays in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transmit visible light.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810,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800 may be check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terilizing ultraviolet rays.
  • the visible light LED 853 can be check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810,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terilization LED 851 is operat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teriliz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800.
  •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900 is disposed on the light source module 950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 the light source modules 950 are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11, respectively. Thus, the kitchen utensils are to be placed between the two light source modules (950).
  • the sterile ultraviolet light of the light source module 950 is irradiated to bot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kitchen utensil.
  • the sterile ultraviolet light of the light source module 950 is also irradiated to the side of the kitchen utensils. Eventually, kitchen utensils are sterilized by sterile ultraviolet light to one side, the other side and the side.
  • the kitchenware sterilization may be sufficiently performed.
  • the light source module 95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only the sterile LED 951 disposed on the substrate 952.
  • the light source module 950 may include not only the sterilizing LED 951 but also the lyrics light LED as in the eighth embodiment.
  •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so that the light source module 950 may be disposed in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 the light source modu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source module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That is,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formed anywhe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s long as it can sterilize kitchen appliances dispos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 the light source module insertion groove may also be formed anywhe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0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11 has an inclination.
  •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1 is formed to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toward the rear portion 117 toward the front portion 115.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or 130 form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1 is also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may be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1.
  • Such a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is effective to allow water dropp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1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to flow into the water reservoir 164.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keep the in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0 in a dry state.
  •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ing apparatus for kitchen utensils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1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kitchen utensil hanger.
  • a first kitchen utensil hanger 11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cover 121, and a second kitchen utensil hanger 1120 may be formed on the space separating unit 130 of the front part 115. have.
  • the first kitchen utensil hanger 1110 is elongated to hang a cloth such as a cloth.
  • the second kitchen utensil hanger 1120 is formed to hang a kitchen utensil having a handle or a hook hole such as scissors or a ladle.
  •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kitchen utensil hanger 1110 and the second kitchen utensil hanger 1120 are form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100 illustrated in FIG. 15 is one embodiment, and various kitchen utensils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100. Various types of kitchen utensils hangers can be formed to make this possible.
  • Kitchen utensils such as thin, thin or small size is difficult to stand kitchen utensils can also be hanged insid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100 can be uniformly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as a whole.
  • 16 and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kitchen utensil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block diagram of the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 an interface unit 1210 is formed on the front cover 121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 the interface unit 1210 is a component that can input and display inform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Therefore, the interface unit 12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can be input or confirmed.
  • the interface unit 121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cover 121, but the position at which the interface unit 1210 is formed may be chang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 the interface unit 1210 includes an input unit 1211 and an output unit 1212.
  • the input unit 1211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about sterilization and drying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output unit 1212 visually or audibly displays contextual information on sterilization and drying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input unit 1211 may be any input means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button or a touch screen.
  • the output unit 1212 may be any output means capable of displaying visible light, sound, text, and the like such as an LED, a speaker, a screen, and the like.
  • the input unit 1211 and the output unit 1212 may b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may also be formed as a single component such as a touch screen.
  • the interface unit 1210 includes both the input unit 1211 and the output unit 1212 as an example.
  • the interface unit 1210 may include only one of the input unit 1211 and the output unit 1212.
  • the interface unit 1210 may include only the output unit 1212.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uses a light source module b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an interface unit 1210, a detector 1221, a controller 163, and a timer 1222. 150, fan 161 and heating member 162 are controll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the interface unit 1210, the detection unit 1221, the control unit 163, and the timer 1222 are the control unit 1220, the light source module 150, the fan 161, and the heating unit.
  • the member 162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operation configuration unit 1230.
  • the detector 1221 detects whether the sterilization device 1200 is a condition capable of performing sterilization and drying.
  • the detector 1221 detects whether the sterilizing device 1200 is opened or closed by detecting whether the main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are attached to each other.
  • the detector 1221 may be a 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 the detector 1221 may be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a pressure generated when the main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are attached to each other.
  • the detector 1221 may be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the brightness inside the main body 111 to detect whether the main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are attached to each other.
  • the detector 1221 may be any type of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evice is opened or closed as well as these.
  • the detector 1221 may include two or more sensors. In this case, when the sensing unit 1221 detects that the main body 111 and the front cover 121 are attached to each other from these sensors, the sensing unit 1221 may detect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n a closed state.
  • the detector 1221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terilizer 1200 is opened or closed to the controller 163.
  • the detector 1221 may transmit different signals to the controller 163 when the sterilizer 1200 is in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 the detector 1221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ler 163 only whe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in the closed state.
  •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ED 151 may be stopped. Therefore, whe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in an open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rilization ultraviolet rays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terilization and drying operations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rt time information, end time information, and operation time information.
  • the start time information is about the time when the sterilization and drying operation is started
  • the end time information is about the time when the sterilization and operation is finished.
  • the operating tim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time at which sterilization and drying operations will be performed.
  • the user may set a time at which sterilization and drying start and end time through the input unit 1211.
  • the user may set a time for starting sterilization and drying and a time for sterilization and drying through the input unit 1211.
  • the user may set a time for performing sterilization and drying from the present through the input unit 1211.
  • the input unit 1211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timer 1222 and the output unit 1212.
  • the output unit 1212 of the interface unit 1210 outputs survival information.
  •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performance of sterilization and drying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situ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rt information, end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start information and the end information a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sterilization and drying.
  • time information is information which shows the start time, end time, remaining time, etc. of sterilization and drying.
  • the time information may be sett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1211. Therefore, the output unit 1212 may output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1211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in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 the output unit 1212 may output such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at least one control component 1220 among the input unit 1211, the detector 1221, the controller 163, and the timer 1222. have.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212 may output the status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visible light, sound, and text.
  • FIG. 16 illustrates that both the output unit 1212 and the transparent window 810 are form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However, if the sterilization device 1200 has an output 1212, since th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output 1212, the transparent window 810 may be omitted.
  • the timer 1222 controls the start and end of the heating and drying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 the timer 1222 receives a signal for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211.
  • the timer 1222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art and end of at least one of the light source module 150, the fan 161, and the heating member 162 to the controller 163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 the timer 1222 transmits a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start and end of the operation configuration unit 1230 to the control unit 163 .
  • the timer 122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mponents 1230 to directly control operation start and end of the operation components 1230.
  • the timer 1222 has been described as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211, the timer 1222 may control the start and end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figuration unit 1230 according to the preset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design. .
  • the user may control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for convenience by the interface unit 1210 and the timer 1222.
  • the user may set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to operate at a desired time.
  • the controller 163 controls the operation by a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light source module 150, the fan 161, and the heating member 162.
  • the controller 163 receives a signal for starting and ending sterilization and drying from the timer 1222.
  • the controller 163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sterilizer 1200 is opened or closed from the detector 1221. Therefore, the controller 163 applies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components 1230 according to the time set by the user in the closed state, so that the operation component 1230 operates.
  • the controller 163 stops the power applied to the operation configuration unit 1230 whe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in an open state or a time set by the user, thereby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figuration unit 1230. do.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receives sett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terilizer 1200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 and the lik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mobil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put unit 1211.
  • the input unit 1211 may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timer 1222 or the control unit 163.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may directly transmit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timer 1222 or the control unit 163.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may control the power switch 166 of FIG. 1 as well as receive the setting information. Since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may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device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40, an interface unit 1210, a detector 1221, a controller 163, and a timer 1222.
  • the control component 1220 included in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mitted or other control components may be further added according to the choi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 sterilization apparatus 100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first to twelfth embodiments.
  • the ster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 Steriliz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품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하우징 내부 또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로 배출하는 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살균 장치
본 발명은 주방용품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는 요리, 조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도마, 식칼, 행주, 식기, 수세미 등과 같은 주방용품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주방용품은 위생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주방용품에는 오물이 자주 묻고 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위생을 위해서 살균 처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살균을 위해서 주방용품을 끓는 물에 삶거나 햇빛에 건조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번거롭기 때문에 자주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방용품의 위생 관리를 위해서 주방용품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 장치가 제작되고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전의 살균 장치는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주로 수은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수은 램프는 대략 100nm 내지 300nm 정도의 넓은 파장대의 자외선이 방출되는 것으로, 살균에 적합한 파장대만을 선택할 수 없다. 또한, 수은 램프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수은을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방용품을 살균할 수 있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살균 효율성이 높은 파장대가 적용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주방용품 및 내부를 건조하여 살균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하우징 내부 또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로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주방용품을 살균하여, 주방용품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살균에 적합한 파장대를 적용함으로써, 살균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주방용품 및 내부를 건조 시켜 살균 효율을 향상 시킨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상면", "하면",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방용품 살균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하우징 내부 또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 내부로 배출하는 팬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본체, 본체를 덮는 커버 및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를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하는 공간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광원 모듈은 전면부에 배치되며, 팬은 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팬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가 하우징 외부와 연결된다.
공간 분리부에는 제1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팬은 흡입한 외부 공기를 제1 공기 입구로 배출한다.
거치대는 전면부의 하면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의 일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케이스(Case) 형태일 수 있다. 이때, 공간 분리부의 하부는 후면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거치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공간인 거치대 삽입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거치대는 공간 분리부로부터 이격되며, 하우징 내부의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거치대는 공간 분리부로부터 이격되며, 하우징 내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전면부를 덮는 전면 커버 및 후면부를 덮는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후면 커버에는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입구는 팬의 입구와 연결된다.
후면 커버에는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출구를 통해 후면부로 배출된 외부 공기가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2 공기 출구는 제1 공기 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공기 출구는 후면부에서 하우징의 외부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도록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광원 모듈은 가시광을 방출하는 가시광 엘이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시광 엘이디는 살균 엘이디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된다.
전면 커버에는 투명 창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 창을 통해 가시광 엘이디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광원 모듈은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다. 이때, 하우징 내부에는 광원 모듈이 삽입되는 광원 모듈 삽입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 삽입홈은 하우징의 내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오목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광원 모듈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거치대의 하면에 관통 구조의 배수 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내부의 하면에 관통 구조의 배수 통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하면은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하우징 내부의 하면과 하우징 외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배수 통로에서 떨어진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저장통은 하우징 외부에서 하우징에 탈부착이 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공간 분리부에 형성되며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출력부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는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는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살균 장치는 하우징의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본체와 커버 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하우징의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팬의 출구와 연결되어, 팬이 흡입한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가열된 외부 공기를 제1 공기 입구를 통해 전면부로 배출한다. 가열 부재는 히터 및 적외선 엘이디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내 예시도이다.
도 1은 살균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살균 장치의 측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살균 장치의 전면부 및 전면 커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후면부 및 후면 커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주방용품 살균 장치(이하, 살균 장치)는 주방용품을 살균 및 건조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0)는 하우징(110), 거치대(140), 광원 모듈(150), 팬(161), 가열 부재(162), 제어부(163), 물 저장통(164) 및 전원 스위치(166)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주방용품을 살균 및 건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111)와 커버(120)로 구성된다. 커버(12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방출되는 살균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나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커버(120)에 의해 살균 자외선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20)는 전면 커버(121)와 후면 커버(126)로 구성된다.
본체(111) 내부에는 공간 분리부(130)가 형성된다. 본체(111)는 공간 분리부(130)에 의해서 내부를 전면부(115)과 후면부(117)로 구분된다. 전면부(115)는 전면 커버(121)와 공간 분리부(130) 사이의 본체(111)의 내부 공간이다. 또한, 후면부(117)는 후면 커버(126)와 공간 분리부(130) 사이의 본체(111)의 내부 공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공간 분리부(130)는 전면부(115)와 후면부(117)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부(115)에서 본체(111)의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공간 분리부(130)의 이와 같은 구조는 본체(111)의 내부를 전면부(115)와 후면부(117)로 구분할 수 있다면,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공간 분리부(130)가 본체(111)의 하면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공간 분리부(130)는 본체(111)의 하면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간 분리부(130)에는 제1 공기 입구(131) 및 제1 공기 출구(132)가 형성된다. 제1 공기 입구(131)는 건조 공기가 전면부(115)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여기서, 건조 공기는 살균 장치(100)의 내부 및 살균 장치(100) 내부에 배치된 주방용품을 건조하기 위한 공기다. 제1 공기 출구(132)는 전면부(115)에 있던 건조 공기가 전면부(115)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건조 공기는 본체(111) 내부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고, 밀도가 낮으며, 가볍다. 따라서, 제1 공기 출구(132)는 제1 공기 입구(13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에 제1 공기 입구(131)가 위치하고, 상부에 제1 공기 출구(132)가 위치한다.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입구(131)는 공간 분리부(130)와 마주하는 거치대(140)의 측면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1 공기 입구(131)가 공간 분리부(130)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1 공기 입구(131)는 공간 분리부(130)에 의해서 가려지게 된다. 이 경우, 건조 공기가 거치대(140)의 측면에 의해서 전면부(115)로 원활하게 유입되기 어려우며, 건조 공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공기의 원활한 유입 및 건조 공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공기 입구(131)는 거치대(14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공간 분리부(130)에는 전면부(115)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33)가 형성된다. 돌출부(133)는 도마와 같은 길고 넓은 형태의 주방용품을 전면부(115)에 배치할 때, 주방용품이 공간 분리부(13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돌출부(133)에 의해서 주방용품의 일면이 공간 분리부(13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세워지므로 광원 모듈(150)로부터 방출된 살균 자외선이 주방용품의 일면과 타면에 모두 조사될 수 있다.
또한, 공간 분리부(130)에는 거치대 삽입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공간 분리부(130)는 하부가 후면부(117)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오목한 공간이 거치대(140)가 삽입되는 거치대 삽입부(134)가 될 수 있다. 거치대 삽입부(134)의 너비는 거치대(140)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대(140)는 너비 방향의 측면을 포함한 일부가 거치대 삽입부(134)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간 분리부(130)의 거치대 삽입부(134)는 거치대(140) 일측의 상부, 측면부 및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거치대 삽입부(134)는 거치대(14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위한 것이므로, 거치대(140) 일측의 상부 및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공간 분리부(130)에 거치대 삽입부(134)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거치대 삽입부(134)는 생략될 수 있다.
본체(111)의 전면부(115)에는 거치대(140) 및 광원 모듈(150)이 배치되며, 후면부(117)에는 팬(161), 가열 부재(162) 및 제어부(163)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거치대(140)는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대(140)는 주방용품을 세우기 위한 것으로 주방용품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도마를 거치대(140)에 거치하게 되면, 도마의 하부가 거치대(140)에 삽입되고, 도마의 일면은 돌출부(133)에 지지되어 공간 분리부(130)와 이격된다. 즉, 도마는 공간 분리부(130)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살균 장치(100) 내부에 배치된다. 또는 도마는 거치대(140)의 크기 또는 위치와 돌출부(133)의 길이에 따라 본체(111)의 하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40)의 하면에 배수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140)에 위치한 주방용품이 젖어 있는 경우, 주방용품의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면서 거치대(140)의 하면으로 향한다. 거치대(140)의 하면으로 흘러내린 물은 배수 구멍(141)을 통해서 거치대(140)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배수 구멍(141)에 의해서, 거치대(140)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40)에 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주방용품이 전체적으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품 또는 살균 장치(100) 내부 공간에 세균 및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거치대(140)의 배수 구멍(141)에 의해서 건조 및 살균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서, 공간 분리부(130)에 거치대 삽입부(134)가 형성되어 거치대(140)가 거치대(140) 삽입부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므로, 살균 장치(100)의 전체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거치대(140)의 하부에는 물 저장통(164)이 배치된다. 물 저장통(164)은 본체(111) 내부의 하면과 본체(111) 하부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된다.
물 저장통(164)은 본체(111)의 외부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111)의 후면부(117)에서 공간 분리부(130) 또는 전면부(115)까지 본체(111) 내부의 하면과 본체(111) 하부의 외부면 사이에 물 저장통(164)이 삽입되는 물 저장통 삽입홈(118)이 형성된다. 이때, 물 저장통 삽입홈(118)은 후면 커버(126) 및 후면 커버(126)가 장착되는 본체(111)의 후면까지 형성되어, 살균 장치(100)의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물 저장통(164)은 물 저장통 삽입홈(118)을 통해서 살균 장치(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장착될 수 있으며,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탈착할 수도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하우징(110) 내부의 하면에 배수 통로(119)가 형성된다. 배수 통로(119)는 거치대(140) 또는 하우징(110) 내부의 하면으로 흘러내린 물이 물 저장통(164)으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배수 통로(119)는 물 저장통(164)과 거치대(140)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 및 본체(111)의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만약, 본체(111)의 하면 상에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가 위치하지 않는다면, 배수 통로(119)는 본체(111)의 하면에만 형성될 것이다.
하우징(110) 내부의 물이 흘러 물 저장통(164)에 저장되므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살균 장치(100)의 내부 및 살균 장치(100) 내부에 배치된 주방용품의 건조에 도움이 된다. 또한, 물 저장통(164)은 탈부착 가능하므로, 물 저장통(164)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광원 모듈(150)은 살균 엘이디(151) 및 기판(152)을 포함한다. 살균 엘이디(151)는 기판(152)에 실장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한다. 기판(152)은 살균 엘이디(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152)은 살균 엘이디(151)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살균 엘이디(151)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동작을 하거나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살균 엘이디(151)는 UVC 영역인 대략 200nm에서 290nm까지의 파장대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UVC 영역은 자외선 파장대 중에서 살균 작용이 제일 뛰어나며, 다른 자외선 파장대는 살균 작용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그 효과는 아주 미미하다.
종래에는 살균 장치에 수은 램프를 사용하였다. 수은 램프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대략 100nm 내지 300nm 정도의 광범위한 파장대로 살균 작용에 적합한 파장대만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엘이디는 살균 작용에 적합한 파장대를 방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균 장치(100)는 종래의 수은 램프를 사용하는 살균 장치보다 살균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수은 램프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수은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균 장치(100)는 수은이 사용되지 않는 엘이디를 사용하므로, 수은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인체 및 환경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광원 모듈(150)은 전면부(115)에서 본체(111)의 상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살균 엘이디(151)는 전면부(115)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므로, 주방용품들이 살균 장치(100) 내부 어디에 배치되어도 살균 자외선의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살균 자외선이 하부 방향으로 조사되므로, 본체(111) 내부에 고인 물도 살균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장치(100) 내부에 고인 물도 살균되므로, 살균 장치의 살균 효율이 향상되고, 내부가 위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주방용품의 경우, 한 면 또는 일부 부위만 주로 사용되어, 주 사용 부위의 집중적인 살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주방용품 중에서 도마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마는 주로 한 면만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면보다 주 사용면 대한 집중적인 살균이 필요하다.
일 실시 예로, 광원 모듈(150)은 본체(111)의 상면 중 공간 분리부(130)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도마는 주 사용면이 공간 분리부(130)를 마주보며 돌출부(133)에 지지되어 공간 분리부(130)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광원 모듈(150)이 공간 분리부(130)와 가깝게 배치되므로, 도마의 주 사용면에 집중적으로 살균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또한, 도마는 주 사용면이 돌출부(133)에 지지되므로, 주 사용면이 공간 분리부(130)와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된다. 도마가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보다 도마가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었을 때, 살균 자외선은 주 사용면의 더 넓은 면적에 조사된다.
다른 실시 예로, 광원 모듈(150)은 본체(111)의 상면에서 중앙 부분 또는 전면 커버(121)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마는 주 사용면이 전면 커버(121)를 마주보며, 주 사용면의 반대면이 돌출부(133)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즉, 도마는 주 사용면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150)의 살균 자외선이 도마의 주 사용면에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팬(161)은 살균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 부재(162)로 배출한다. 공기를 흡입하는 팬(161)의 입구는 후면 커버(126)에 형성된 제2 공기 입구(127)와 연결되고,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팬(161)의 출구는 가열 부재(162)와 연결된다. 즉, 팬(161)은 후면 커버(126)의 제2 공기 입구(127)를 통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외부 공기를 가열 부재(162)로 배출한다.
가열 부재(162)는 건조 공기를 생성한다. 가열 부재(162)의 입구는 팬(161)의 출구와 연결되고, 가열 부재(162)의 출구는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입구(131)와 연결된다. 가열 부재(162)는 팬(161)으로부터 전송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한다. 즉, 건조 공기는 가열된 외부 공기이다. 그리고 가열 부재(162)는 건조 공기를 제1 공기 입구(131)를 통해서 전면부(115)로 배출한다. 가열 부재(162)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62)는 히터(Heater)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엘이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62)를 통해 생성된 건조 공기의 온도는 대략 60℃ 이상으로 고온일 수 있다.
가열 부재(162)에 의해서 생성된 건조 공기는 고온이기 때문에 주방용품의 건조뿐만 아니라 열에 취약한 세균 및 바이러스의 살균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가열부재(162)에 의해서 생성된 건조 공기의 온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방용품을 건조시킬 수 있는 온도라면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00)는 가열 부재(16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가열 부재(162)는 생략될 수 있다. 가열 부재(162)가 생략된 경우, 팬(161)은 흡입한 외부 공기를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입구(131)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입구(131)로 배출된 외부 공기는 전면부(115) 및 전면부(115)에 배치된 주방용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공기가 된다.
제어부(163)는 팬(161) 및 가열 부재(16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3)는 팬(161)과 가열 부재(162)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팬(161)과 가열 부재(16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얇은 두께의 공간 분리부(130)에 거치대 삽입부(134)가 형성된 경우,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는 후면부(117)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팬(161), 가열 부재(162) 및 제어부(163)와 같은 후면부(117)에 배치되는 구성부들은 공간 분리부(130)의 볼록한 부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성부들이 공간 분리부(13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뿐만 아니라 볼록한 부분에 의해서 구성부들의 하부가 지지된다.
구성부들이 공간 분리부(130)의 후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하중, 부착력 감소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구성부들이 공간 분리부(13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구성부들 간의 물리적 또는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공간 분리부(1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서 구성부들의 하부가 지지되면, 더 안정적으로 공간 분리부(130)에 구성부들이 고정될 수 있다. 즉, 구성부들의 하중에 의해서 공간 분리부(130)와 구성부들 간의 부착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력이 감소하여도 구성부들의 하부가 지지되고 있으므로, 공간 분리부(130)에서 본체(111)의 하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부들 간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이 끊어져 발생하는 살균 장치(100)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후면부(117)의 구성부들이 공간 분리부(130)의 볼록한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살균 장치(1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면 커버(121) 및 후면 커버(126)는 본체(111)를 덮어 외부로부터 본체(111) 내부를 보호한다.
전면 커버(121)는 본체(111)의 전면부(115)를 덮어, 전면부(115)에 배치되는 구성부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전면 커버(121)는 광원 모듈(150)에서 살균 자외선이 방출될 때, 살균 장치(100)의 외부로 살균 자외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살균 장치(100)의 살균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 커버(121)의 일부는 본체(11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살펴보면, 전면 커버(121)의 하단과 본체(111)의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121)의 상단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본체(111)를 개방 및 폐쇄한다.
전면 커버(121)와 본체(111)의 일측 또는 양측은 지지부(122)로 연결된다. 지지부(122)의 일단은 본체(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부(122)의 타단은 전면 커버(121)에 길게 형성된 홈 형태의 가이드(113)에 삽입되어 가이드(113)를 따라 움직인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122)는 전면 커버(121)가 움직이는 반경을 제한하여, 전면 커버(121)가 바닥에 부딪히거나 너무 큰 반경 범위로 움직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면 커버(121)의 일부가 본체(111)에 연결된 구조를 예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 장치(100)는 전면 커버(121)와 본체(111)가 서로 완전히 분리된 구조인 것도 가능하다.
전면 커버(121)는 다양한 방법으로 본체(111)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121)는 자력으로 본체(111)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극성의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부(114, 123)가 각각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면 커버(121)가 본체(111)에 가까워지면, 자력에 의해서 전면 커버(121)는 본체(111)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 간의 개폐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될 수 있다.
후면 커버(126)는 본체(111)의 후면부(117)를 덮어, 후면부(117)에 배치되는 구성부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후면 커버(126)는 본체(111)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후면 커버(126)가 본체(111)에 고정되거나 탈부착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 커버(126)에는 제2 공기 입구(127) 및 제2 공기 출구(128)가 형성된다. 제2 공기 입구(127) 및 제2 공기 출구(128)는 살균 장치(100)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관통 구조로 형성된다.
제2 공기 입구(127)는 외부 공기가 살균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제2 공기 입구(127)는 팬(161)의 입구와 연결된다. 또한, 제2 공기 출구(128)는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출구(132)를 통과한 건조 공기가 살균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제2 공기 출구(128)는 제1 공기 출구(13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제1 공기 출구(132)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 출구(128)를 통해서 후면부(117)에 배치된 구성부들로부터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부(117)에 배치된 구성부들에 대한 방열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커버(126)에는 물 저장통(164)이 본체(111)에 장착 또는 탈착되기 위한 물 저장통 삽입구(129)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물 저장통(164)은 후면 커버(126)가 후면부(117)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이 물 저장통 삽입구(129)를 통해서 본체(111)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66)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163) 또는 제어부(163)를 포함한 구성부들로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66)는 하우징(110)의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원 스위치(166)가 본체(111)의 외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원 스위치(166)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장치(100)는 주방용품의 살균과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살균 장치(100)는 내부 및 내부에 배치된 주방용품을 건조하면서 살균하거나, 건조 상태를 유지하면서 살균되므로, 살균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살균 장치(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살균 장치(100)의 내부에서 도마와 같이 크고 무거운 주방용품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쓰러지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살균 장치(1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살균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할 때, 제1 실시 예의 살균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부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실시 예에서 구성부에 대한 생략된 설명은 제1 실시 예의 살균 장치(100)의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200)의 전면부(115)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부(115)에 형성된 거치대(240)는 공간 분리부(130)에서 이격되며, 본체(111)의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주방용품은 거치대(240)와 공간 분리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마를 예로 들면, 도마는 주방용품 하부가 본체(111)의 하면에 형성된 거치대(240)에 걸리고, 상부가 공간 분리부(130)의 돌출부(133)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살균 장치(200)의 내부에 세워진다.
본 실시 예에서 거치대(240)는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공간과 전면 커버(미도시) 사이에만 위치한다. 즉,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공간과 주방용품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입구(131) 사이에는 어떠한 구성부도 배치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공기 입구(131)에서 배출된 건조 공기가 거치대(240)에 거치된 주방용품의 하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주방용품은 건조 공기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살균 장치(200)의 건조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돌출 구조의 거치대(24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거치대(240)는 주방용품을 지지할 수 있다면, 한 개의 돌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의 돌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300)의 전면부(115)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부(115)에 형성된 거치대(340)는 공간 분리부(130)로부터 이격되며, 본체(111) 내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결된 바(bar) 구조로 형성된다. 바 구조의 거치대(340)는 두께가 얇거나 너비가 작은 구조의 주방용품도 세워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주방용품은 거치대(340)와 공간 분리부(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주방용품은 일면이 거치대(340)에 걸리고, 타면이 공간 분리부(130)의 돌출부(133)에 의해 지지되어, 살균 장치(300)의 내부에 세워진다.
거치대(340)가 전면 커버(미도시)와 주방용품의 일면 사이에만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공기 입구(131)에서 배출되는 건조 공기는 주방용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장치(300)의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한 개의 바 구조의 거치대(34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살균 장치(300)에는 바 구조의 복수개의 거치대(340)가 상하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4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400)는 공간 분리부(130)의 제1 공기 출구(132)와 후면 커버(426)의 제2 공기 출구(428)가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공기 출구(428)는 제1 공기 출구(13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1 공기 출구(132)와 제1 공기 출구(13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열된 건조 공기이다. 건조 공기는 가열되지 않은 주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공기 출구(428)를 제1 공기 출구(132)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하게 되면, 건조 공기가 효율적으로 살균 장치(4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면부(115)에서 살균 자외선이 방출될 때, 공간 분리부(130)에 형성된 제1 공기 출구(132)를 통해서 살균 자외선이 새어나올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출구(428)가 제1 공기 출구(132)보다 위쪽에 위치하면서, 제1 공기 출구(132)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관통 구조의 제2 공기 출구(428)들 사이의 후면 커버(426)의 내부면이 제1 공기 출구(132)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공기 출구(132)를 통해 새어 나온 살균 자외선은 제2 공기 출구(428)들 사이의 후면 커버(426)의 내부면에 막혀 살균 장치(400)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5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500)는 후면 커버(526)의 제2 공기 출구(528)가 사선 구조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공기 출구(528)는 후면부(117)에서 살균 장치(500)의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상부 방향을 향하는 사선 구조로 형성된다.
제2 공기 출구(528)가 사선 구조로 형성되면, 건조 공기가 제2 공기 출구(528)의 모서리나 후면 커버(526)에 부딪히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장치(500)는 사선 구조의 제2 공기 출구(528)에 의해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건조 공기의 손실을 최소화 함으로써, 건조 공기의 배출 효율이 향상된다.
제2 공기 출구(528)는 제2 공기 출구(528)가 제1 공기 출구(132)와 살균 장치(500)의 외부를 막은 형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공기 출구(132)가 제2 공기 출구(528)를 이루는 후면 커버(526) 내부면(529)에 막힌다. 따라서, 제1 공기 출구(132)를 통해 새어 나온 살균 자외선은 사선 구조의 제2 공기 출구(528)에 막혀 살균 장치(500)의 외부로 방출되지 못한다.
또한, 사선 구조의 제2 공기 출구(528)는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제4 실시 예와 같이 제1 공기 출구(13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6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600)는 살균 자외선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650)은 살균 엘이디(651), 기판(652) 및 방향 조절부(653)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향 조절부(653)의 일단에는 살균 엘이디(651)가 장착된다. 또한, 방향 조절부(653)의 타단은 기판(652)에 장착된다. 또는 방향 조절부(653)가 기판(652)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652)과 살균 엘이디(651)는 방향 조절부(653)의 내부를 통해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방향 조절부(653)는 힘을 가하면 휘어지며, 힘을 제거하여도 휘어진 그 상태로 유지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조절부(653)는 얇은 금속이나 연질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향 조절부(653)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기판(652) 및 살균 엘이디(651)와 절연을 위해 별도의 절연 구성이 더 형성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방향 조절부(653)에 의해서 살균 엘이디(651)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조절부(653)를 조절하여 복수의 살균 엘이디(651)가 한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조절부(653)를 조절하여 복수의 살균 엘이디(651)가 서로 다른 영역으로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여, 살균 장치(600) 내부 전체에 살균 자외선이 골고루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방향 조절부(653)는 도 10에 도시된 구조뿐만 아니라, 엘이디가 장착되어 엘이디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공지된 어떠한 것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상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은 살균 장치의 다른 부분은 제1 실시 예 내지 제7 실시 예를 참고하도록 한다.
제7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700)의 본체(711) 상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광원 모듈(150)이 배치되는 광원 모듈 삽입홈(712)이 형성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광원 모듈 삽입홈(712)의 내부에는 공간 분리부(130)의 상부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간 분리부(130)의 상부가 광원 모듈 삽입홈(71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 광원 모듈(150)이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150)은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측면부가 광원 모듈 삽입홈(712)을 이루는 본체(711) 및 공간 분리부(130)로 둘러싸이게 된다.
광원 모듈 삽입홈(712)의 내벽은 광원 모듈(150)의 살균 자외선이 조사되는 방향을 제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광원 모듈(150)은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 의해서 살균 자외선이 전면부(115)의 하부 방향으로만 조사된다.
이와 같이, 광원 모듈(150)이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 배치되면, 살균 자외선이 살균 장치(700)의 전방 방향으로 조사되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 공간 분리부(130)의 상부 일부가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 분리부(130)의 구조에 따라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는 광원 모듈(150)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 모듈 삽입홈(712)에 배치된 광원 모듈(150)은 상면이 본체(711)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8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800)는 살균 자외선과 가시광을 방출하는 광원 모듈(850) 및 투명 창(810)을 포함한다.
광원 모듈(850)은 살균 엘이디(851), 가시광 엘이디(853) 및 기판(852)을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판(852)에 살균 엘이디(851)와 가시광 엘이디(853)가 배치된다. 그러나 살균 엘이디(851)와 가시광 엘이디(853)가 하나의 기판(852)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 엘이디(851)와 가시광 엘이디(853)는 각각 별도의 기판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살균 엘이디(851)는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고, 가시광 엘이디(853)는 가시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가시광 엘이디(853)는 파란색 계열의 가시광을 방출한다. 그러나 가시광 엘이디(853)가 방출하는 가시광의 색은 파란색 계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시광 엘이디(853)는 살균 엘이디(851)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가시광 엘이디(853)는 살균 엘이디(851)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된다. 예를 들어, 가시광 엘이디(853)는 살균 엘이디(851)가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동안 점등된다.
투명 창(810)은 전면 커버(121)에 형성된다. 투명 창(810)은 가시광은 투과되지만 자외선은 투과되지 않거나 자외선 투과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명 창(810)은 유리(Glass)로 형성된다. 또는 투명 창(810)은 투명한 재질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코팅한 것으로, 가시광이 투과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창(810)을 통해서 살균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살균 장치(8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투명 창(810)을 통해서 가시광 엘이디(853)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살균 장치(800)의 외부에서 살균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고 살균 엘이디(85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9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장치(900)는 본체(111) 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광원 모듈(950)이 배치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광원 모듈(950)은 본체(111)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주방 용품은 두 개의 광원 모듈(950)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광원 모듈(950)의 살균 자외선은 주방 용품의 일면과 타면에 모두 조사된다. 또한, 광원 모듈(950)의 살균 자외선은 주방 용품의 측면에도 조사된다. 결국, 주방 용품은 일면, 타면 및 측면까지 살균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다.
광원 모듈(950)이 방출하는 살균 자외선의 광량에 따라 광원 모듈(950)이 본체(111)의 일측면에만 배치되어도 주방용품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광원 모듈(950)은 기판(952)에 살균 엘이디(951)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원 모듈(950)은 살균 엘이디(951) 뿐만 아니라 제8 실시 예와 같이 가사광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예처럼 본체(111) 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광원 모듈 삽입홈이 형성되어, 광원 모듈 삽입홈에 광원 모듈(950)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 및 제9 실시 예에서 광원 모듈이 살균 장치 내부의 상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원 모듈이 배치되는 위치가 살균 장치 내부의 상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균 장치 내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광원 모듈은 살균 장치의 내부 및 살균 장치 내부에 배치된 주방 용품을 살균할 수 있다면, 살균 장치의 내부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 삽입홈 역시 살균 장치의 내부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0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장치(1000)는 본체(1011)의 하면이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11)의 하면은 전면부(115)에서 후면부(117) 방향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1011)의 하면을 덮도록 형성된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 역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 공간 분리부(130)가 본체(1011)의 하면을 덮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울기를 갖는 구조는 본체(1011)의 하면 또는 공간 분리부(130)의 하부로 떨어진 물이 물 저장통(164)으로 흐르도록 하는데 효율적이다. 따라서, 살균 장치(1000)의 내부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11 실시 예에 따르면, 살균 장치(1100)는 하나 이상의 주방용품 걸이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121)에 제1 주방용품 걸이(1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부(115)의 공간 분리부(130)에 제2 주방용품 걸이(1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주방용품 걸이(1110)는 행주 같은 천을 걸어둘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주방용품 걸이(1120)는 가위 또는 국자 같은 손잡이 또는 걸이 구멍이 있는 주방용품을 걸어둘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살균 장치(1100)에 제1 주방용품 걸이(1110) 및 제2 주방용품 걸이(1120)가 형성된 구조는 일 실시 예로, 살균 장치(1100)에는 다양한 주방용품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주방용품 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방용품 걸이에 의해서 두께가 얇거나 크기가 작아 세워두기 어려운 주방용품들도 살균 장치(1100) 내부에 걸어두어 살균 자외선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조사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품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7은 살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부들의 블록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200)의 전면 커버(121)에는 인터페이스부(1210)가 형성된다. 인터페이스부(1210)는 살균 장치(1200)의 정보를 입력 및 표시할 수 있는 구성부이다. 그러므로 인터페이스부(1210)는 살균 장치(1200)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도록 살균 장치(1200)의 외면에 형성된다. 도 16에서는 인터페이스부(1210)가 전면 커버(121)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인터페이스부(1210)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10)는 입력부(1211)와 출력부(1212)를 포함한다. 입력부(1211)는 살균 장치(1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살균 및 건조에 대한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출력부(1212)는 살균 장치(1200)의 살균 및 건조에 대한 상황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11)는 버튼,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입력 수단도 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12)는 엘이디, 스피커, 스크린 등과 같은 가시광, 음향,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어떠한 출력 수단도 될 수 있다.
입력부(1211)와 출력부(1212)는 별도의 구성부로 형성될 수 있지만, 터치 스크린처럼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부(1210)가 입력부(1211)와 출력부(1212)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페이스부(1210)는 입력부(1211)와 출력부(1212) 중 하나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210)는 출력부(1212)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2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200)는 무선 통신부(1240), 인터페이스부(1210), 감지부(1221), 제어부(163) 및 타이머(1222)에 의해서 광원 모듈(150), 팬(161) 및 가열 부재(162)가 제어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1240), 인터페이스부(1210), 감지부(1221), 제어부(163) 및 타이머(1222)는 제어 구성부(1220)이며, 광원 모듈(150), 팬(161) 및 가열 부재(162)를 동작 구성부(123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감지부(1221)는 살균 장치(1200)가 살균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인지를 감지한다. 감지부(1221)는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가 서로 부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함으로써, 살균 장치(1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가 자력으로 서로 부착된다면, 감지부(1221)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기(Magnetic) 센서일 수 있다. 또는 감지부(1221)는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가 서로 부착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또는 감지부(1221)는 본체(111) 내부의 밝기를 검출하여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가 서로 부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일 수 있다. 감지부(1221)는 이들뿐만 아니라 장치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어떠한 종류의 센서도 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221)는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221)는 이 센서들로부터 모두 본체(111)와 전면 커버(121)가 서로 부착된 상태임을 감지하였을 때, 살균 장치(1200)를 폐쇄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221)는 살균 장치(1200)의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63)로 전송한다. 이때, 감지부(1221)는 살균 장치(1200)가 개방 상태일 때와 폐쇄 상태일 때 각각 다른 신호를 제어부(163)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감지부(1221)는 살균 장치(1200)가 폐쇄 상태일 때만 제어부(163)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감지부(1221)에 의해서 살균 장치(1200)가 개방 상태일 때, 살균 엘이디(151)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장치(1200)가 개방 상태일 때, 살균 자외선이 살균 장치(120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10)의 입력부(1211)에는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설정 정보는 살균 장치(1200)의 살균 및 건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시작 시간 정보, 종료 시간 정보 및 동작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시간 정보는 살균 및 건조 동작이 시작되는 시간에 대한 것이며, 종료 시간 정보는 살균 및 동작이 끝나는 시간에 대한 것이다. 동작 시간 정보는 살균 및 건조 동작이 수행될 시간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211)를 통해서, 살균 및 건조가 시작될 시간과 종료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1211)를 통해서 살균 및 건조가 시작될 시간과 살균 및 건조가 수행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입력부(1211)를 통해서, 현재부터 살균 및 건조가 수행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1211)는 입력받은 설정 정보에 따른 신호를 타이머(1222) 및 출력부(1212)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부(1210)의 출력부(1212)는 상활 정보를 출력한다. 상황 정보는 살균 장치(1200)의 살균 및 건조에 대한 수행 경과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는 시작 정보, 종료 정보, 시간 정보 및 살균 장치(1200)의 개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정보 및 종료 정보는 살균 및 건조의 시작 및 종료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시간 정보는 살균 및 건조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및 남은 시간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때, 시간 정보는 입력부(1211)에 입력된 설정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212)는 입력부(1211)에 입력된 설정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1200)의 개폐 정보는 살균 장치(1200)가 개방 상태인지 폐쇄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출력부(1212)는 이와 같은 상황 정보를 입력부(1211), 감지부(1221), 제어부(163) 및 타이머(1222)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구성부(12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212)는 상황 정보를 가시광, 소리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살균 장치(1200)에 출력부(1212)와 투명 창(810)이 모두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살균 장치(1200)에 출력부(1212)가 있다면, 출력부(1212)를 통해서 살균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투명 창(810)은 생략되어도 된다.
타이머(1222)는 살균 장치(1200)의 가열 및 건조 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한다. 타이머(1222)는 입력부(1211)부로부터 설정 정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머(1222)는 수신한 신호에 따라 광원 모듈(150), 팬(161) 및 가열 부재(162)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63)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타이머(1222)가 동작 구성부(1230)들의 동작 시작과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63)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타이머(1222)는 동작 구성부(1230)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작 구성부(1230)들의 동작 시작과 종료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머(1222)는 입력부(1211)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고 설명하였지만, 타이머(1222)는 설계 시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동작 구성부(1230)들의 동작의 시작과 종료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1210)와 타이머(1222)에 의해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살균 장치(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에 살균 장치(1200)가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3)는 광원 모듈(150), 팬(161) 및 가열 부재(162) 중 적어도 하나로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3)는 타이머(1222)로부터 살균 및 건조의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63)는 감지부(1221)로부터 살균 장치(1200)의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어부(163)는 살균 장치(1200)가 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동작 구성부(1230)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동작 구성부(1230)가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3)는 살균 장치(1200)가 개방 상태이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동작 구성부(1230)들로 인가하던 전원을 중단하여, 동작 구성부(1230)들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한다.
무선 통신부(1240)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살균 장치(1200)와 적외선 통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해서 무선으로 통신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리모컨(Remote control), 모바일(Mobile) 등의 무선 통신 장치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입력부(1211)로 전송한다. 입력부(1211)는 무선 통신부(1240)에서 전송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타이머(1222) 또는 제어부(163)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1240)는 수신한 설정 정보를 직접 타이머(1222) 또는 제어부(163)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240)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살균 장치(1200)의 전원 스위치(도 1의 166)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부(1240)에 의해서 살균 장치(1200)는 외부 장치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살균 장치(1200)가 무선 통신부(1240), 인터페이스부(1210), 감지부(1221), 제어부(163) 및 타이머(1222)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살균 장치(1200)가 포함하는 제어 구성부(122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제어 구성부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제1 실시 예 내지 제12 실시 예를 통해서 살균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살균 장치(100)가 이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살균 장치(100)는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서 설명된 각 구성부들이 서로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8)

  1.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하는 공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배출하는 팬;
    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입구가 상기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리부에는 제1 공기 입구 및 제2 공기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팬은 흡입한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입구로 배출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전면부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주방용품의 일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케이스(Case) 형태인 주방용품 살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리부의 하부는 상기 후면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공간인 거치대 삽입부가 더 형성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공간 분리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공간 분리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부를 덮는 전면 커버 및 상기 후면부를 덮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입구가 형성되며,상기 제2 공기 입구는 상기 팬의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후면 커버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와 연결되는 제2 공기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기 출구를 통해 상기 후면부로 배출된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공기 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출구는 상기 제1 공기 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출구는 상기 후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갈수록 상부를 향하도록 기울기를 갖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가시광을 방출하는 가시광 엘이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시광 엘이디는 상기 살균 엘이디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는 투명 창이 더 형성되며,
    상기 투명 창을 통해 상기 가시광 엘이디의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광원 모듈이 삽입되는 광원 모듈 삽입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광원 모듈 삽입홈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오목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주방용품 살균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방향이 조절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 구조의 배수 구멍;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 구조의 배수 통로;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면에서 상기 배수 통로가 형성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면은 기울기를 갖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하면과 상기 하우징 외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 통로에서 떨어진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저장통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이 가능한 주방용품 살균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출력부 및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황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는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가 입력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팬의 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팬이 흡입한 상기 외부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상기 외부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입구를 통해 상기 전면부로 배출하는 가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히터 및 적외선 엘이디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주방용품 살균 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살균 및 건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7.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하는 공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상기 공간 분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주방 용품은 일면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어 상기 일면이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커버보다 상기 공간 분리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방 용품의 상기 일면에 상기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28. 본체, 상기 본체를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를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하는 공간 분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전면부에 배치되며, 주방용품이 거치되는 거치대;
    상기 공간 분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전면부에서 상기 본체 상면에 배치되며, 살균 자외선을 방출하는 살균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주방 용품은 일면이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어 타면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며,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커버보다 상기 공간 분리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방 용품의 상기 타면에 상기 살균 자외선을 조사하는 주방용품 살균 장치.
PCT/KR2018/004018 2017-04-10 2018-04-05 주방용품 살균 장치 WO20181905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09107.9A CN110234361A (zh) 2017-04-10 2018-04-05 厨房用品杀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90A KR20180114405A (ko) 2017-04-10 2017-04-10 주방용품 살균 장치
KR10-2017-0046090 2017-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66A1 true WO2018190566A1 (ko) 2018-10-18

Family

ID=6379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018 WO2018190566A1 (ko) 2017-04-10 2018-04-05 주방용품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114405A (ko)
CN (1) CN110234361A (ko)
WO (1) WO2018190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027A (ko) * 2018-12-21 2020-07-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CN110898240A (zh) * 2019-12-05 2020-03-24 合肥彩虹蓝光科技有限公司 一种餐具盒
CN110898249A (zh) * 2019-12-11 2020-03-24 湖南翔拓新创实业有限公司 一种消毒除味包及其控制方法
KR102169711B1 (ko) * 2020-07-23 2020-10-23 김준수 주방도구 살균기
KR102280236B1 (ko) 2021-02-02 2021-07-22 (주)코리아마그네슘 다기능 도마
CN113018475A (zh) * 2021-04-20 2021-06-25 悍高集团股份有限公司 厨用消毒装置及消毒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54Y1 (ko) * 2001-09-18 2001-12-28 이해익 주방용구용 살균기
JP3181050U (ja) * 2012-11-05 2013-01-24 コトヒラ工業株式会社 加熱消毒保管装置
JP5153233B2 (ja) * 2007-06-29 2013-02-27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除菌方法
KR101337572B1 (ko) * 2011-04-20 2013-12-06 주식회사 포세 싱크대 설치용 원적외선 및 건조장치
KR20140005756U (ko) * 2013-05-02 2014-11-12 (주)가포넷 주방용품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8905Y (zh) * 2009-05-07 2010-02-10 罗宁 具有消毒结构的刀架
CN101703790B (zh) * 2009-10-20 2012-10-10 李来扬 一种烘干消毒装置及方法
CN102309266A (zh) * 2011-09-22 2012-01-11 郭丙仁 消毒刀座及利用消毒刀座对刀具消毒的方法
CN104801504B (zh) * 2015-04-26 2016-11-30 王红玲 手术器械清洗机
CN205885843U (zh) * 2015-12-31 2017-01-18 中山市科立泰电器有限公司 一种厨具消毒设备及厨具
CN205832207U (zh) * 2016-06-21 2016-12-28 广州市番禺区积丰电器制造有限公司 多功能刀具消毒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54Y1 (ko) * 2001-09-18 2001-12-28 이해익 주방용구용 살균기
JP5153233B2 (ja) * 2007-06-29 2013-02-27 クリナップ株式会社 キッチン用昇降式吊戸棚、除菌方法
KR101337572B1 (ko) * 2011-04-20 2013-12-06 주식회사 포세 싱크대 설치용 원적외선 및 건조장치
JP3181050U (ja) * 2012-11-05 2013-01-24 コトヒラ工業株式会社 加熱消毒保管装置
KR20140005756U (ko) * 2013-05-02 2014-11-12 (주)가포넷 주방용품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05A (ko) 2018-10-18
CN110234361A (zh) 2019-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0566A1 (ko) 주방용품 살균 장치
WO2018135857A1 (en) Water purifier
WO2017048085A1 (ko) 소형 공기청정기
WO2016208906A1 (ko) 살균 장치
WO2021033905A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US8112900B2 (en) Hearing aid dryer
US7814678B2 (en) Hearing aid dryer
WO2015111878A1 (ko) 퓸 제거 장치
WO2023018113A1 (ko) 다용도 주방 용품 살균 건조기
WO2016182237A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18155842A1 (ko) 스마트 살균 수저통
WO2019112123A1 (en) Water purifier
WO2020085618A1 (ko)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EP3482135A1 (en) Cooking appliance
WO2018147489A1 (ko) 청진기의 살균 장치
WO2021261750A1 (ko) 슈즈 케어 장치 및 방법
KR101727202B1 (ko) 살균소독기가 부착된 수납가구
EP3458777A1 (en) Oven
WO2013183924A1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KR20120092465A (ko) 주방용 도마 살균기
WO2018131851A1 (ko) 점착형 포충기
WO2020060249A1 (ko) 반려동물 급수기
WO2017164427A1 (ko) 생활밀착형 다목적 공기 제어장치
WO2023068539A1 (ko) 주택 구조물 부설 설치형 에어 샤워장치
WO2015076597A1 (ko) 피부 질환 치료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4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47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