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5801A1 -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 Google Patents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5801A1
WO2018135801A1 PCT/KR2018/000532 KR2018000532W WO2018135801A1 WO 2018135801 A1 WO2018135801 A1 WO 2018135801A1 KR 2018000532 W KR2018000532 W KR 2018000532W WO 2018135801 A1 WO2018135801 A1 WO 20181358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igger
spring
saddle
user
repulsiv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5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동관
Original Assignee
박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관 filed Critical 박동관
Priority to CN201880007517.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300532B/zh
Priority to JP2019539992A priority patent/JP6794556B2/ja
Priority to US16/478,731 priority patent/US10888165B2/en
Priority to EP18741062.6A priority patent/EP3571961A4/en
Publication of WO20181358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58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2004/026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seats or sitting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ork chair with a superimposed leg using the compression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body, which is worn on the human body, compresses the spring body with the weight of the human body when sitting, and stores the force, By using the force to push up the human bod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sitting and standing movements of the human body, and to relieve the load on the joints and muscles by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body when lifting the heavy weight repeatedly to reduce the damage to the human body by working for a long time To reduce, it is related to a nested single-legged portable work chair.
  •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moving, which is difficult to solve with a conventional chair or work table,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lace where it can be used, and consumes the user's pow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sitting and standing and lifting the heavy weight repeatedly.
  • the purpose is to reduce damage to the muscular and skeletal muscles of the lower body.
  • the superimposed single-legged portable work chair is a spring body consisting of a cylinder and a piston and having an eye rod at both ends thereof, a lower frame connected to a lower eye rod and a lower shaft of the spring body, a spring body upper eye rod and an upper part
  • the upper frame connected to the shaft, the saddle frame fixed horizontally to the upper frame, the trigger installed under the upper frame top cov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lower frame and the spring body, and the wearing belt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to enable body wearing It is configured to be easy to move and less space-limited, and the gravity by the body at the time of sitting and compressing and storing in the spring sieve,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load on the human body by using the stored repulsive force.
  • the saddle is fluidly connected to the saddle frame, and there is a coil spring between the saddle and the saddle frame, which triggers a change in the gravity acting on the saddle by an earlier action of the human body to sit and stand, as an electrical signal by a mechanical or pressure sensor.
  • a coil spring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pring in conjunction with, the release of the compressed spring body only when the user takes the action to stand up, preventing the spring body from operating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enable stable use do.
  • the spring body In the sit-and-movement and moving work, the spring body is compressed by the gravity of the human body at the time of sitting to save the force, and when standing up, the compressed body is used to push up the body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the human body's power. As a result, it reduces the load on the joints and muscles, thereby reducing the human body damage caused by long time work, and improves the work convenience by being less affected by the bending state of the work space and the floor.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and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leg work chair.
  •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coupling method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he spring body.
  • FIG. 4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addle and the trigger.
  •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igger and three operations.
  • the saddle (S)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work chair between the groin like riding a bicycle, showing the state worn on the waist with a belt (B), when standing, all functions are stopped and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floating on the ground .
  • the upper and lower frames are divided into outer and inner frames to form a telescope shape.
  • the spring body (AS) When sitt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is fixed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ground, the spring body (AS) is compressed by the body load and stores energy.
  • the lower frame F2 is pushed up by a predetermined operating distance, so that the locking bar LB positioned on the lower frame is bitten by the trigger T.
  • the trigger releases the locking bar LB as a preliminary operation to stand up, the spring body pushes the human body through the upper frame F1 and the saddle S with the stored repulsive force, thereby reducing the user's energy. Reusable form.
  • the spring body AS is located inside the lower frame F2, the spring body upper eye rod AS4 is on the upper frame F1 via the upper eye rod shaft AS3, and the spring body lower eye rod AS6 is on the lower side. It is fluidly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F2 through the eye rod shaft AS5, and the lower frame F2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nd at the same distance as the spring bod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pring body inside the upper frame F1. That is, the stroke ST1 of the spring body and the lower frame stroke ST2 are the same.
  • the trigger arm roller T13, the trigger arm T10, and the trigger slider T8 are located in the trigger frame T14 installed under the top cover F1-1 of the upper frame F1.
  • the trigger arm T10 restrains or releases the lower frame locking bar LB coming up through the trigger arm roller T1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pring body and the lower frame.
  • the control of the trigger is further described in Figures 4 and 5.
  •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F2) is equipped with a shaft bearing (TB), so that the rotation in the state the load is applied to the fra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left and right in the sitting state.
  •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re fluidly connected only through the spring body AS.
  • the upper frame serves as a guide of the lower frame (inner frame) as an outer frame.
  • the lower frame has a slot F2-1 having a length exceeding the lower frame stroke ST2, so that the lower frame (inner frame) moves.
  • the upper eye rod shaft AS3 fixed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is not disturbed.
  •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addle spring S4 is larger than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trigger slider spring T7.
  • the saddle S1 is lifted by the saddle spring S4 about the hinge S2 and the trigger line T2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S1 is pulled out.
  • the trigger slider T8 is held in a raised state through the trigger line pulleys T3 and T4 and the trigger slider axis T6.
  • the saddle overcomes the repulsive force of the saddle spring S4, descends about the hinge S2, and releases the pulled trigger line.
  • the trigger slider T8 which was lifted by the force of the saddle spring, descends into the trigger arm T10, and at the same time, the load on the saddle is increased by the weight of the user, and this load overcomes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body and the lower frame ( Push F2) up.
  • the spring sieve stops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maximum repulsion force
  • the locking bar LB at the top of the lower frame passes through the pair of trigger arm rollers T13, opens the trigger arm inwards, and moves up
  • the trigger arm is closed again by the tension of the trigger arm spring T9. Since the trigger arm T10 is not opened while the trigger slider T8 is down, the lower frame remains fixed through the locking bar while the user is sitting.
  • a pressure sensor is installed between the saddle (S1) and the saddle frame (S3), and the trigger slide (T8) is controlled by a solenoid controlled by the pressure sensor, the mechanical control by the saddle spring and the trigger line i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Can be replaced.
  • (T) is the outer surface when the trigger frame T14 is seen from the front
  • (b) is the inside surface of the trigger front
  • a pair of trigger arms T10 equipped with a roller are fastened by the trigger arm pin T12.
  • the trigger slider T8 is mounted to the upper frame top cover by the trigger slider axis T6, and the trigger slide prevents the trigger arm from opening outward, thereby bringing the locking bar LB into the trigger arm T10. Holding on.
  • (c) is a side cross section of the trigger, and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is locked to the trigger through the locking bar LB.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체의 압축 반발력을 이용한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앉을 때에는 인체의 무게로 스프링 체를 압축하여 힘을 저장하고, 일어설 때는 그 압축되어 있는 힘을 이용하여 인체를 밀어올려서 인체의 앉고 서는 동작에 의한 힘의 소비를 줄이고,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릴 때 스프링 체의 반발력만큼 관절과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여 장시간 작업에 의한 인체 손상을 줄여주는,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며, 앉고 서기 위한 인체의 선행동작에 연동 되는 트리거 장치를 제어하여 스프링 체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안정성과 효율을 높인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23.01.2018]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본 발명은 스프링 체의 압축 반발력을 이용한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착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앉을 때에는 인체의 무게로 스프링 체를 압축하여 힘을 저장하고, 일어설 때는 그 압축되어 있는 힘을 이용하여 인체를 밀어올려서 인체의 앉고 서는 동작에 의한 힘의 소비를 줄이고,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릴 때 스프링 체의 반발력만큼 관절과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여 장시간 작업에 의한 인체 손상을 줄여주는,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농업현장 등에서 앉고 서고를 반복하며 움직이면서 작업해야 할 때 쪼그려 앉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무릎과 발목, 고관절 등 하체 골격에 손상을 입게 된다. 작업현장들의 특성상 보편적으로 사용해오던 의자는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접이식 의자, 굴림 식 의자, 두꺼운 방석 등을 사용해 오고 있으나, 여전히 자력으로 일어설 때 하체에 걸리는 부담은 덜 수가 없고, 특히 농업현장에서는 바닥의 굴곡과 굳은 흙덩이 등의 장애물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기에도 불편하다. 동력을 이용한 좌식 이동식 작업차도 있으나, 이런 종류의 장비는 바닥이 잘 정비된 시설재배 농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의자나 작업대 등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웠던 휴대와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할 수 있는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고, 앉고 서는 동작과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는 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힘의 소비와 하체 근 골격계의 손상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중첩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그 양 끝단에 아이 로드 가 있는 스프링 체, 스프링 체의 하부 아이 로드와 하부 샤프트로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 스프링 체 상부 아이 로드와 상부 샤프트로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안장 프레임, 상부프레임 톱 커버 아래에 설치되어 하부프레임과 스프링 체의 운동을 제어하는 트리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신체착용을 가능케 하는 착용 벨트로 구성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앉을 때의 신체에 의한 중력을 스프링 체에 압축 저장하였다가, 일어날 때 그 저장된 반발력을 이용하여 인체의 부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장 은 안장 프레임에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안장과 안장 프레임 사이에는 코일스프링이 있고, 앉고 서기 위한 인체의 선행동작에 의하여 안장에 작용하는 중력의 변화를, 기계적 또는 압력센서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로써 트리거 와 연동시켜 스프링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어서려는 동작을 취할 때에만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 체를 놓아 주어,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스프링 체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앉아있을 때에 두 다리와 함께 삼각점을 이루어 균형을 잡고, 대부분의 신체 하중을 받는 하부 프레임의 하단부에 축 베어링 이 장치되어, 하부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앉은 자세 에서의 방향전환(회전)이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앉고 서는 동작이 많고 옮겨다니면서 하는 작업에 있어서, 앉을 때의 인체 중력으로 스프링 체를 압축하여 힘을 저장하고, 일어설 때는 그 압축되어 있는 힘을 이용하여 인체를 밀어올려서 인체의 힘의 소비를 줄이고, 그 결과로써 관절과 근육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여 장시간 작업에 의한 인체 손상을 줄여주며, 작업 공간과 바닥의 굴곡상태의 영향을 덜 받아 작업편의성을 높인다.
도면 1은, 본 발명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앉고 섰을 때의 스프링 체와 하부 프레임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 2는, 본 발명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의 전체구조와 구성품을 보여주는 측면.평면도.
도면 3은, 상부프레임 과 하부프레임, 스프링 체의 결합 방법을 도식한 분해도.
도면 4는, 안장과 트리거의 연동작용을 보여 주는 구조도.
도면 5는, 트리거 의 구조와 세 가지 작동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면 1 에 서,
본 발명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의 안장(S)을 자전거를 타듯 사타구니 사이로 넣고, 벨트(B)로 허리에 착용한 상태를 보여 주며, 서 있을 때는 모든 기능은 정지되어 있고 본체 하부 끝단은 지면 위에 떠 있다. 상.하부 프레임은 외부.내부 프레임으로 구분되어 텔레스코프 모양을 형성한다. 앉을 때는 본체 하부 끝단이 지면 위 임의의 한 점에 고정되고, 스프링 체(AS)는 인체하중에 의하여 압축되며 에너지를 저장한다. 하부 프레임(F2)은 정해진 작동거리 만큼 위로 밀려 올라가서, 하부 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록킹 바(LB)가 트리거(T) 에 물려 고정된다. 일어 서기 위한 선행 동작으로 트리거 가 록킹 바(LB)를 놓아주면, 스프링 체는 저장된 반발력으로 상부 프레임(F1) 과 안장(S)을 통하여 인체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사용자의 힘을 덜어 주게 되는 인체에너지 재사용 형태이다.
도면 2 에 서,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의 전체구조와 구성품을 보여준다. 스프링 체(AS)는 하부 프레임(F2) 내부에 위치하고, 스프링 체 상부 아이 로드(AS4)는 상부 아이 로드 축(AS3)을 통하여 상부 프레임(F1)에, 스프링 체 하부 아이 로드(AS6)는 하부 아이 로드 축(AS5)을 통하여 하부 프레임(F2)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하부 프레임(F2)은 상부 프레임(F1) 내부에서, 스프링 체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 체와 같은 방향, 같은 거리로 움직인다. 즉 스프링 체의 스트로크(ST1)와 하부 프레임 스트로크(ST2)는 같다. 상부 프레임(F1) 톱 커버(F1-1) 아래에 장치된 트리거 프레임(T14) 안에는 트리거 암 롤러(T13) 와 트리거 암(T10), 트리거 슬라이더(T8)가 있다. 트리거 암(T10)은 트리거 암 롤러(T13)를 거쳐 올라오는 하부 프레임 록킹 바(LB)를 구속 하거나, 해방하여 스프링 체와 하부 프레임의 작동을 제어한다. 트리거 의 제어는 도면 4 와 5에서 추가 설명한다. 하부프레임(F2) 하단에는 축 베어링(TB) 이 장치되어, 프레임에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의 회전이 자유롭게 하여,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의 좌우 회전이 쉽도록 한다.
도면 3 에 서,
상부프레임 과 하부프레임은 스프링 체(AS)를 통해서만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프레임은 외부프레임으로서 하부프레임(내부프레임)의 가이드역할도 하게 되는데, 하부프레임에는 하부 프레임 스트로크(ST2)를 초과 하는 길이의 슬롯(F2-1)이 있어서, 하부프레임(내부프레임)의 움직임에 상부 프레임의 중심을 관통하여 고정되어있는 상부 아이 로드 축(AS3)이 방해되지않게 한다.
도면 4 에 서,
안장(S1) 과 트리거(T) 의 연동에 의한 트리거 의 제어를 보여준다.
안장 스프링(S4)의 압축력 이 트리거 슬라이더 스프링(T7)의 압축력보다 크게 되어있다.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를 선 상태에서 착용했을 때, 안장(S1)은 안장 스프링(S4)에 의하여 힌지(S2)를 축으로 하여 들려있고, 안장(S1) 하부에 연결된 트리거 라인(T2)을 당긴 상태로 되어, 트리거 라인 풀리 (T3,T4) 와 트리거 슬라이더 축(T6)을 통하여 트리거 슬라이더(T8)를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된다. 앉는 동작으로 안장에 하중이 걸리기 시작하면, 안장은 안장 스프링(S4)의 반발력을 이기고 힌지(S2) 를 축으로 하여 내려가서, 당기고 있던 트리거 라인을 놓아준다. 안장스프링의 힘으로 들어 올려져 있던 트리거 슬라이더(T8)는 트리거 암(T10) 안으로 내려오고, 동시에 안장에 걸리는 하중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증가되며, 이 하중은 스프링 체의 반발력을 이기고 하부 프레임(F2)을 위로 밀어 올린다. 완전히 앉은 자세가 되면, 스프링 체는 정해진 최대반발력을 유지한 채 멈추고, 하부 프레임 상부의 록킹 바(LB)는 한 쌍의 트리거 암 롤러(T13)를 통과하여 트리거 암 을 안쪽으로 열고 위로 올라오고, 트리거 암 스프링(T9)의 장력에 의하여 트리거 암은 다시 닫힌다. 트리거 암(T10)은 트리거 슬라이더(T8)가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는 열리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앉아 있는 동안은 하부프레임은 록킹 바를 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인체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일어서려고 하면, 그 선행 동작으로서 상체의 중심을 앞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엉덩이를 뒤쪽부터 들게 된다. 이런 선행동작은 안장에 걸리는 하중을 앞쪽으로 옮김과 동시에 크기를 줄인다. 줄어드는 하중이 안장스프링의 반발력 보다 작아지면 안장은 힌지를 축으로 들리게 된다.
일어서기 위한 선행 동작에 의하여 안장(S1)이 들리고, 트리거 라인(T2)을 당겨 트리거 슬라이더(T8)를 들어 올리면, 록킹 바(LB)는 트리거 암 롤러(T13)를 통과하여 트리거 암 을 바깥쪽으로 열고 내려온다. 일어서는 동작이 계속되고, 스프링 체는 반발력으로 상부 프레임(F1)을 완전히 밀어 올린다. 안장을 안장 고정핀(S8)으로 안장고정 플러그(S6) 와 안장고정 소켓(S7)을 체결하여, 스프링 체와 하부 프레임의 작동을 정지 시킬 수 있다.
안장(S1)과 안장프레임(S3)간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이 압력센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로 트리거 슬라이드(T8)를 제어하면, 안장스프링과 트리거라인에 의한 기계적 제어를 전기 전자적인 제어로 대체할수 있다.
도면 5 에 서,
트리거(T) 의 상세구조와 록킹 바(LB)의 들고(in) 남(out)에 따른 트리거 암(T10)의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a)는 트리거 프레임(T14)을 정면에서 본 외부면 이고, (b)는 트리거 정면 내부 단면으로, 롤러가 장치된 한 쌍의 트리거 암(T10)이 트리거 암 핀(T12)으로 체결되어 있고, 트리거 슬라이더(T8)가 트리거 슬라이더 축(T6)에 의하여 상부프레임 톱 커버에 장치되어 있으며, 트리거 슬라이드는 트리거 암이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억제하여, 록킹 바(LB)를 트리거 암(T10)내부에 붙들고 있다. (c)는 트리거 의 측면 단면으로서, 상부 프레임이 록킹 바(LB)를 통하여 트리거 에 록킹 된 상태를 보여 준다. (d), (e), (f) 는 록킹 바(LB)와 트리거 슬라이더(T8)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트리거 암(T10)의 동작을 보여준다. (d)는 록킹 바(LB)의 진입에 의한 안으로 열림, (e)는 트리거 슬라이더(T8)에 의한 록킹, (f)는 트리거 슬라이더(T8)의 슬라이드 아웃에 의한 록킹 바(LB)의 이탈을 보여준다.
앉고 서는 동작이 많은 현장 작업자가 착용하여 인체 힘 소비를 줄이는데 유용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충분하다.

Claims (4)

  1.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압축 반발력을 가지는 스프링 체와 그 스프링 체의 상 하부에 연결되는 상 하부 중첩 식 프레임, 상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안장, 인체에 착용하는 벨트로 구성되어, 앉을 때의 신체에 의한 중력을 스프링 체에 압축 반발력으로 저장하였다가, 일어날 때 그 저장된 반발력을 이용하여 인체의 부하를 줄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체에너지를 재활용 하는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신체 하중을 받는 하부 프레임의 하단부에 축 베어링이 장치되어, 하부프레임을 축으로 하여 앉은 자세에서의 회전이 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3. 인체가 앉은 상태에서 일어서려고 할 때의 선행 동작에 의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트리거(T) 로 전달하여 제어함으로써, 일어서려는 동작을 취할 때에만 스프링 체의 반발력이 작동할 수 있게 한, 트리거 에 의하여 반발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4. 제3 항에 있어서,
    안장(S 1), 안장 스프링(S 4), 트리거 라인(T 2), 트리거 슬라이드(T 8), 트리거 암(T 10) 이 상호 연동 되어 제어되는 트리거 장치와, 이 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선행동작에 따르는 하중의 변화를 기계적 또는 압력센서에 의한 전기적 제어신호로 이용하는 방식.
PCT/KR2018/000532 2017-01-19 2018-01-11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WO20181358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07517.XA CN110300532B (zh) 2017-01-19 2018-01-11 伸缩式单腿便携工作椅
JP2019539992A JP6794556B2 (ja) 2017-01-19 2018-01-11 伸縮式片脚携帯用作業椅子
US16/478,731 US10888165B2 (en) 2017-01-19 2018-01-11 Telescopic single-legged portable working chair
EP18741062.6A EP3571961A4 (en) 2017-01-19 2018-01-11 SINGLE FOOT TELESCOPIC PORTABLE WORK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44 2017-01-19
KR1020170009444A KR102023239B1 (ko) 2017-01-19 2017-01-19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801A1 true WO2018135801A1 (ko) 2018-07-26

Family

ID=62908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532 WO2018135801A1 (ko) 2017-01-19 2018-01-11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8165B2 (ko)
EP (1) EP3571961A4 (ko)
JP (1) JP6794556B2 (ko)
KR (1) KR102023239B1 (ko)
CN (1) CN110300532B (ko)
WO (1) WO2018135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18B1 (ko) * 2019-04-04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식 의자
US11344129B2 (en) * 2020-01-23 2022-05-31 Lawrence Walker Portable seat assembly
KR102161556B1 (ko) 2020-06-14 2020-10-05 최병일 길이가변식 작업 지지대
CN112545845B (zh) * 2020-12-25 2022-08-16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医疗康复用外骨骼
JP2022191542A (ja) * 2021-06-16 2022-12-28 守屋 孝敏 荷重軽減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859A (ja) * 2005-10-05 2007-04-19 Re-Tec:Kk 椅子
JP2008055140A (ja) * 2006-08-04 2008-03-13 Takeda Giken:Kk 立ち作業補助椅子
JP2010154929A (ja) * 2008-12-26 2010-07-15 Gifu Univ 起立補助椅子
KR20120030905A (ko) * 2010-09-21 2012-03-29 안광준 앉고 서고 반복 작업용 허리 무릎 보호 작업 의자
KR20150000180U (ko) * 2013-07-04 2015-01-14 정현욱 휴대용 작업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9360B1 (fr) * 1985-10-30 1987-12-24 Chareire Jean Louis Appareil d'assistance mecanique de la propulsion par les jambes
US4993085A (en) * 1989-10-03 1991-02-19 Harry D. Lockhart Power assisted toilet seat
JP3038289B2 (ja) * 1994-04-28 2000-05-08 アイコ株式会社 椅子への脚カバーの取付方法および椅子の脚カバー
US5927797A (en) * 1998-08-06 1999-07-27 Ferguson; Bobby J. Portable work stool
CN201475230U (zh) * 2009-06-25 2010-05-19 昝贺伏 一种阻尼器以及含有该阻尼器的座椅
CN202604193U (zh) * 2012-01-10 2012-12-19 赵焕新 锥套锁紧式转椅升降装置
JP2015028360A (ja) * 2013-07-30 2015-0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支持装置及び回動位置復帰装置
EP2842527A1 (en) * 2013-08-26 2015-03-04 ETH Zurich Wearable posture assisting device
EP3158893B1 (en) * 2015-10-21 2021-04-28 noonee AG Seat unit for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US20180317655A1 (en) * 2017-05-02 2018-11-08 Base Hit Innovations, Llc Portable sea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859A (ja) * 2005-10-05 2007-04-19 Re-Tec:Kk 椅子
JP2008055140A (ja) * 2006-08-04 2008-03-13 Takeda Giken:Kk 立ち作業補助椅子
JP2010154929A (ja) * 2008-12-26 2010-07-15 Gifu Univ 起立補助椅子
KR20120030905A (ko) * 2010-09-21 2012-03-29 안광준 앉고 서고 반복 작업용 허리 무릎 보호 작업 의자
KR20150000180U (ko) * 2013-07-04 2015-01-14 정현욱 휴대용 작업의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71961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1961A4 (en) 2020-09-30
KR102023239B1 (ko) 2019-09-19
JP6794556B2 (ja) 2020-12-02
US20200046124A1 (en) 2020-02-13
JP2020505147A (ja) 2020-02-20
KR20180085641A (ko) 2018-07-27
US10888165B2 (en) 2021-01-12
CN110300532B (zh) 2022-06-17
CN110300532A (zh) 2019-10-01
EP3571961A1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35801A1 (ko) 중첩 식 외다리 휴대용 작업의자
EP3504031B1 (de)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beider arme eines benutzers
US8696527B2 (en) Exerciser with easy-to-adjust inelastic straps
CN105856190A (zh) 一种可穿戴搬运助力装置
CN110917562B (zh) 一种用于青少年力量训练的辅助装置
CN110561393B (zh) 一种可折叠上肢助力外骨骼装置
CN110329389B (zh) 一种基于连杆机构的双足仿生机器人
CN113397923A (zh) 一种集成式上肢及腰部被动助力外骨骼
CN102599998B (zh) 一种人体髋部外骨骼机械承载装置
CN115122304A (zh) 一种被动式人工搬运辅助外骨骼
JP5907370B2 (ja) 歩行訓練装置
CN214055255U (zh) 一种外骨骼机器人防倾倒阻尼结构
CN210493073U (zh) 带有滚轮减震装置的背囊
CN202605060U (zh) 一种人体髋部外骨骼机械承载装置
CN209865134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CN209097517U (zh) 一种便携式家用搬运带
CN209850911U (zh) 一种可穿戴上肢助力外骨骼
CN202605675U (zh) 多功能沙包
CN102049123A (zh) 鹰爪登杆器
CN204507921U (zh) 搬家器
CN215309969U (zh) 一种具有保护装置的攀爬器
CN215653682U (zh) 一种儿童保健用辅助锻炼器
CN216229379U (zh) 一种外骨骼搬运机器人
CN211992969U (zh) 负重行走装置
CN112621727A (zh) 一种增强型下肢外骨骼机器人负重行走平衡系统及平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41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999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410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