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4710A1 -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 Google Patents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4710A1
WO2018124710A1 PCT/KR2017/015506 KR2017015506W WO2018124710A1 WO 2018124710 A1 WO2018124710 A1 WO 2018124710A1 KR 2017015506 W KR2017015506 W KR 2017015506W WO 2018124710 A1 WO2018124710 A1 WO 20181247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ndle
disposable
hole
protrusion
utens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50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광수
김기표
유기민
조경식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339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6485B1/ko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to AU201738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7384854B2/en
Priority to JP2019530772A priority patent/JP6835426B2/ja
Priority to EP17888916.8A priority patent/EP3563728B1/en
Priority to CN201780081029.9A priority patent/CN110167398B/zh
Priority to US16/470,994 priority patent/US11083315B2/en
Priority to RU2019123444A priority patent/RU2736027C1/ru
Publication of WO20181247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7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isposable folding eating utensils to facilitate the eating by maintaining a tightly coupled state of the handle and the body in the open state.
  • Disposable meal utensils are sold in various pla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can be easily obtained in the vicinity. By using disposable meal utensils in the absence of meal utensil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of eating.
  • Instant food can be easily cooked through a microwave oven, not only shortens the time required for cooking, but anyone can obtain a uniform taste regardless of the skill of cooking.
  • an instant food manufacturer or an instant food vendor provides disposable spoons with instant food to facilitate eating even outdoors.
  • part of the disposable spoon is formed to be foldable.
  • the conventional disposable folding spoon has a problem in that the handle is unintentionally folded during the eating process because the coupling state of the handle and the body in the unfolded state is vulnerabl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in eating.
  •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the combination of the handle and the body in the unfolded state when using the conventional disposable folding eating utensils are vulnerable to frequent inadvertent folding of the handle during eating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sposable folding dining utensils that can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inconvenience.
  • the body A handle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And a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handle, wherein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other portions so that the handle can be folded or unfolded.
  • the body includes a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distal end portion.
  • the protrusion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ly around a lower end, and the handle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front end, and includes a disposable folding eating utensil including an extension having a through-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to provide.
  • the body includes a projection comprising a locking jaw
  • the handle includes an extension piece is formed through the bar, when the handle is extended, the extension piece and the projection is engaged with each other as well as the through hole As the penetrating locking jaw is caught around the one end of the through hole,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from the through hole is prevented, whereby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body and the handle may be firm.
  •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nused state of a disposable folding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ure 1 unused.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
  •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projection and the through hole in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nused disposable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 another form.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use disposable spoon still another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9 is an unus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shown in FIG. 8.
  • FIG. 1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 disposable folding spoon as a disposable folding meal utensil,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eating utensils such as disposable folding fork or chopsticks without limitation.
  •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A includes a body 10, a handle 20, and a bent portion 30.
  • the body 10 is a bowl (11) is formed at the tip.
  • the body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rotrusion 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distal end portion.
  •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formed in the extension piece 21 of the handle 20 described below when the handle 20 is opened.
  • the protrusion 1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re is no angled portion, the protrusion 12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projection 12 includes a locking projection 12a protruding outward around the lower end.
  • the locking jaw 12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 when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and is caught around the one end of the through hole 22, whereby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Inadvertent detachment of the projection 12 from
  • the locking jaw (12a)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h)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2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t) of the extension piece 21, the locking jaw (12a) is the through hole (22) Up and down flow of the extension piece 21 is prevented when caught around one end.
  • the locking step 12a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that is, is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it is easy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locking step 12a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portion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 so that the protrusion 12 penetrates the through hole 22 when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upper end of the jaw 12a is fixed in a state caught around the end of the through hole 22.
  • the protrusion 12 is formed in a hollow shape, elasticity of not only the protrusion 12 but also the locking jaw 12a is possible,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locking jaw 12a is increased. Even if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engaging jaw (12a)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handle 20 extends from the end of the body 10.
  • the handle 2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extension piece 21 that extends from the front en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through hole 22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 extension piece 21 and the protrusion 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the protrusion 12 of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when the handle 20 is unfolded.
  •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22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may be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2 and may be biased toward the bent portion 30.
  •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may be 0.2 mm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2 toward the bent portion 30.
  •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22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s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2 and is biased toward the bent portion 30, so that the protrusion (before the handle is folded) is inserted.
  • the through hole 22 and the protrusion 12 can be easily engaged, and the through hole 22
  •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2 locat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from the bent portion 30 when the protrusion 12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12 and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2 Since the formation of the space is reduced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jaw 12a is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the protrusion 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22.
  • the through hole 22 has a curved section 22a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into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so that the protrusion 12 contacting the curved section 22a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22. Since the guide 12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handle 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23 between both sides.
  • the opening part 23 When the opening part 23 is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handle 20, a spac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body 10 may be secured by the opening part 23 when the handle 20 is completely folded. Therefore, in the molding process of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the mold forming the body 10 and the mold forming the handle 20. Not only is this easy, but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of the said bending part 30 is prevented.
  • a portion of the body 10 adjacent to the bent portion 30 and / or a portion of the handle 20 adjacent to the bent portion 30 is inclined. It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31.
  • the inclined portion 3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the handle 20 to the bottom so that the bent portion 30 forms a 'V' shaped groove so that the handle 20 Even when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projection 12, the bending portion 30 can be easily folded and prevented from being broke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ending portion 30.
  • a binding groove 24 may be formed on an upper end or a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handles 20 in which the openings 23 are formed, and the handles 20 are alternately intersected with the binding grooves 24. ) Are bound to each other.
  • the bent portion 3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 and the handle 20, is formed in a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other parts to fold or unfold the handle 20.
  • bent portion 30 as described above is to only fold or unfold the handle 20 does not have a special func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ent portion 30 will be omitted.
  • the body 10 and the handle 20 is preferably formed of polypropylene.
  • Polypropylene has a flexibility in the nature of the material, it is smooth to fold or unfold the handle 20.
  • the disposable folding meal utensils in particular the disposable folding spo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 detail as follows.
  • the handle 20 which extends from the end of the body 10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lded to minimize the volume before use, and therefore needs to be unfolded prior to use.
  • the body 10 includes the protrusion 12 at the bottom of the distal end, and the protrusion 12 includes the locking jaw 12a protruding outwardly around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handle ( 20 includes the extension piece 21 in which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at the tip, and when the handle 20 is unfolded, as shown in FIG. 4, the protrusion 12 is inside the through hole 22.
  • the protrusion 12 and the extension piece 21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state of the body 10 and the handle 20 is stabilized, thereby unintentional operation of the handle 20 in the eating process. Folding is prevented.
  • the protrusion 12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tip of the body 10, that is,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ll 11 to the lower part, the protrusion 12 exits from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22 and the extension piece 21 and the While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s 12 is released, the handle 20 may be unintentionally folded, but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otrusions 12 may include the locking jaw 12a protruding outwardly around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s. When the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the engaging jaw 12a is caught around the end of the through hole 22, as shown in FIG.
  • the locking jaw (12a), the height (h) from the upp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on 1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t) of the extension piece 21, the circumference of one end of the through hole 22
  •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portion, that is, formed in a wedge shape, so that the insertion into the through hole 22 is easy
  •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hole 22, so that the projection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2,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hole 22, and is caught around one end of the through-hole 22 Is fixed.
  • the locking jaw 12a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body 10 may be a reinforcement 13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front and / or rear, thereby improving the robustness of the body (10).
  • the handle 20 may be formed with the opening 23 between both sides as shown in FIG.
  • a binding groove 24 may b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end of each of the handles 20 in which the opening 23 is formed, as shown in FIG. 7.
  • the handles 20 are bonded to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thereby securing the grip of the handle 20 regardless of the opening 23.
  • the handle 20 may include a rib 25 extending from the edge to the top or bottom as shown in FIG. 8.
  • the grip of the handle 20 may be more stable.
  • the protrusion 12b of the body 10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9.
  • the slit 12b allows the protrusion 12 to flow resiliently when the protrusion 12 is pressurized,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2 can be pinched, so that the protrusion 12 is pressed when the through hole 22 is engaged and pressed. As the protrusion 12 is pinched by the opening 12b, the protrusion 12 may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 the projection 12 is retracted by the pressure in the process of engaging with the through-hole 22 is pressurized is released, more specifically, the projection 12 is closed after ful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2 Since it is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being pulled out, the coupling state of the protrusion 12 and the through hole 22 may be stabilized.
  • the body 10 includes the projection 12 including the locking jaw (12a), the handle 20 is the through hole 22 And the extension piece 21 formed therein, when the handle 20 is unfolded and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 of the extension piece 21 and the extension piece 21. Not only the protrusion 12 is engaged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hooking jaw 12a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 is caught around the one end of the through hole 22 so that the protrusion 12a is removed from the through hole 22. Since separation is prevented,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body 10 and the handle 20 may be firm.
  • t thickness A: disposable folding spoon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몸체; 상기 몸체의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되,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말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어지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본 출원은 펼친 상태의 손잡이와 몸체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취식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가정 및 식당에는 숟가락, 젓가락 및 포크 등의 식사도구가 갖추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취식이 가능하다.
그러나 야외 등지에서 식사도구가 미처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취식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이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2256호(공고일 : 2001. 09. 2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일회용 식사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일회용 식사도구는 편의점 등 각처에서 판매되고 있어 근방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바, 식사도구가 미처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일회용 식사도구를 이용함으로써 취식의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즉석식품이 시판되고 있다.
즉석식품은 전자레인지 등을 통하여 간단히 조리할 수 있는바,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누구라도 균일한 맛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밥, 국 또는 찌개류 등의 즉석식품은 취식시 숟가락이 요구되므로 즉석식품 제조업체 또는 즉석식품 판매업체 등에서는 즉석식품과 함께 일회용 숟가락을 제공하여 야외 등지에서도 취식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일회용 숟가락의 일부는 접이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즉, 일회용 숟가락의 몸체로부터 연장된 손잡이가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보관시 손잡이를 접음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고, 취식시 손잡이를 펼침에 따라 파지가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은 펼친 상태의 손잡이와 몸체의 결합 상태가 취약하여 취식 과정에서 손잡이가 의도하지 않게 접히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므로 취식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업체에서는 펼친 상태의 손잡이와 몸체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취식 과정에서 손잡이의 의도하지 않은 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이용시 펼친 상태의 손잡이와 몸체의 결합 상태가 취약하여 취식 과정에서 손잡이가 의도하지 않게 접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취식에 불편함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출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몸체; 상기 몸체의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되,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말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어지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는, 몸체가 걸림턱을 포함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손잡이가 통공이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바, 손잡이가 펼쳐질 때 연장편과 돌기가 서로 맞물릴 뿐만 아니라 통공을 관통한 걸림턱이 통공 일단의 둘레에 걸림에 따라 통공으로부터 돌기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이에 의해 몸체와 손잡이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 일 형태의 미사용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의 미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의 사용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에서 돌기와 통공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 다른 형태의 미사용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의 사용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 또 다른 형태의 미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의 미사용상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출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로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을 도시하나, 이는 일례일 뿐 일회용 접이식 포크 또는 젓가락 등 다른 형태의 식사도구에도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은, 몸체(10), 손잡이(20) 및 꺾임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선단에 볼(bowl)(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말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돌기(1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12)는 상기 손잡이(20)가 펼쳐질 때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손잡이(20)의 연장편(21)에 형성되는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돌기(12)는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각진 부위가 없으므로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상기 돌기(12)의 삽입이 원활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12)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a)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12a)은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통공(22)을 관통한 후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리는바, 이에 의해 상기 통공(22)으로부터 상기 돌기(12)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a)은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돌기(12) 상단에 이르는 높이(h)가 상기 연장편(21)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턱(12a)이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렸을 때 상기 연장편(21)의 상하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2a)은 상단부의 외경에 비해 하단부의 외경이 작게 형성, 다시 말해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공(22)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2a)은 상단부의 외경이 상기 통공(22)의 내경이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통공(22)을 관통하는 상기 걸림턱(12a)의 상단이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돌기(12)는 중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12)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턱(12a)의 탄력적 유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걸림턱(12a)의 상단부 외경이 상기 통공(22)의 내경이 비해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걸림턱(12a)이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원활히 삽입된다.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몸체(10)의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손잡이(20)는,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어지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통공(22)이 형성된 연장편(2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0)가 펼쳐질 때 상기 몸체(10)의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장편(21)과 상기 돌기(12)가 서로 맞물린다.
이때, 상기 돌기(12)가 삽입된 상기 통공(22)의 중심은 상기 돌기(12)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되, 상기 꺾임부(30) 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기(12)가 삽입된 상기 통공(22)의 중심은 상기 돌기(1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꺾임부(30) 측으로 0.2mm 치우칠 수 있다.
상기 돌기(12)가 삽입된 상기 통공(22)의 중심이 상기 돌기(12)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상기 꺾임부(30) 측으로 치우침으로써, 상기 돌기(12) 삽입 과정에서 애초(손잡이가 접히기 이전 상태) 상기 꺾임부(30)에 인접하는 상기 돌기(12) 일 부분이 상기 통공(22)에 원활히 삽입되므로 상기 통공(22)과 상기 돌기(12)가 쉽게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통공(22)과 상기 돌기(12)가 맞물릴 때 애초(손잡이가 접히기 이전 상태) 상기 꺾임부(3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12) 일 부분과 상기 통공(22) 내면 사이에 공간 형성이 감소하여 어느 방향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걸림턱(12a)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통공(22)으로부터 상기 돌기(12)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공(22)은 상기 돌기(12)가 삽입되는 일단의 내주면에 곡면구간(2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곡면구간(22a)에 접촉하는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중앙측으로 유도되므로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상기 돌기(12)의 삽입이 원활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20)는 양 측면 사이에 개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0)의 양 측면 사이에 상기 개방부(23)가 형성되면 상기 손잡이(2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23)에 의해 상기 몸체(10)와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의 성형 과정에서 상기 몸체(10)를 형성하는 금형과 상기 손잡이(20)를 형성하는 금형을 이격 시킬 필요가 없는 등 금형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어 제품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꺾임부(30)의 내구성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23)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꺾임부(30)에 인접하는 상기 몸체(10) 일 부분 및/또는 상기 꺾임부(30)와 인접하는 상기 손잡이(20) 일 부분에 경사부(3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는 상기 몸체(10)와 상기 손잡이(2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꺾임부(30)가 'V'형태의 홈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손잡이(20)를 상기 돌기(12)와 맞물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더라도 상기 꺾임부(30)가 쉽게 접히며 끊어짐이 방지되므로 상기 꺾임부(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23)가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20) 각각의 말단 상면 또는 저면에는 결착홈(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착홈(24)을 서로 엇갈리게 걸침에 따라 상기 손잡이(20)가 서로 결착된다.
상기 꺾임부(30)는 상기 몸체(10)와 상기 손잡이(20) 사이에 형성되되,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꺾임부(30)는 상기 손잡이(2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뿐 특별한 기능을 갖는 것은 아닌바, 상기 꺾임부(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몸체(10) 및 손잡이(2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은 재질의 특성상 유연성을 갖는바, 상기 손잡이(20)의 접힘 또는 펼침이 원활하다.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구체적으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상기 몸체(10)의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20)는 사용 이전 부피의 최소화를 위하여 접혀 있으므로 사용에 앞서 펼침이 요구된다.
이때, 본 출원의 상기 몸체(10)와 상기 손잡이(20)부 사이에는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된 상기 꺾임부(30)가 마련되는바, 상기 꺾임부(30)에 의해 상기 손잡이(20)의 말단을 원활히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부터 간단히 펼쳐진다.
따라서, 펼친 상태의 상기 손잡이(20)를 파지함으로써 취식이 가능하다.
다만, 취식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20)가 의도하지 않게 접히는 경우, 취식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상기 몸체(10)는 말단의 저면에 상기 돌기(1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12)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림턱(12a)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0)는 선단에 상기 통공(22)이 형성된 상기 연장편(21)을 포함하는바, 상기 손잡이(20)가 펼쳐질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돌기(12)와 상기 연장편(21)이 서로 맞물리므로 이에 의해 상기 몸체(10)와 상기 손잡이(20)의 결합 상태가 안정되어 취식 과정에서 상기 손잡이(20)의 의도하지 않은 접힘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몸체(10)의 선단, 즉 상기 볼(11) 부위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연장편(21)과 상기 돌기(1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손잡이(20)가 의도하지 않게 접힐 수 있으나, 본 출원에서 상기 돌기(12)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걸림턱(12a)을 포함하여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2a)이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려 이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선단, 즉 상기 볼(11) 부위 상부로부터 하부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통공(22)로부터 상기 돌기(12)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되므로 상기 연장편(21)과 상기 돌기(12)의 맞물림이 안정될 수 있어 상기 손잡이(2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2a)은,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돌기(12) 상단에 이르는 높이(h)가 상기 연장편(21)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렸을 때 상기 연장편(21)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고, 상단부의 외경에 비해 하단부의 외경이 작게 형성, 다시 말해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공(22) 내측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며, 상단부의 외경이 상기 통공(22)의 내경이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통공(22)을 관통한 후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돌기(12)는 중공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턱(12a)이 상기 통공(22)의 내측으로 원활히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전면 및/또는 후면의 가장자리에 보강살(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에서 상기 손잡이(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 사이에 상기 개방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23)가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20) 각각의 말단 상면 또는 저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착홈(24)을 서로 엇갈리게 걸침에 따라 상기 손잡이(20)가 서로 결착되어 이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상기 개방부(23) 형성과 무관하게 상기 손잡이(20)의 파지가 안정된다.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에서 상기 손잡이(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어지는 리브(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25)는 상기 손잡이(20)의 강성을 높이므로 상기 손잡이(20)의 파지가 더욱 안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에서 상기 몸체(10)의 상기 돌기(1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임(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임(12b)은 상기 돌기(12)가 가압될 때 탄력적으로 유동,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12)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므로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이 맞물리며 가압될 때 상기 트임(12b)에 의해 상기 돌기(12)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상기 돌기(12) 삽입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공(22)과 맞물리는 과정에서의 가압에 의해 오므려지는 상기 돌기(12)는 가압이 해제,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12)가 상기 통공(22)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후 오므려지기 이전 상태로 복원되므로 상기 돌기(12)와 상기 통공(22)의 결합 상태가 안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출원에 의한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A)은, 상기 몸체(10)가 상기 걸림턱(12a)을 포함하는 상기 돌기(12)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20)가 상기 통공(22)이 형성된 상기 연장편(21)을 포함하는바, 상기 손잡이(20)가 펼쳐지며 상기 연장편(21)의 상기 통공(22)으로 상기 돌기(12)가 삽입될 때 상기 연장편(21)과 상기 돌기(12)가 서로 맞물릴 뿐만 아니라 상기 통공(22)을 관통한 상기 걸림턱(12a)이 상기 통공(22) 일단의 둘레에 걸림에 따라 상기 통공(22)으로부터 상기 돌기(12a)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몸체(10)와 상기 손잡이(2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출원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볼
12 : 돌기 12a : 걸림턱
12b : 트임 13 : 보강살
20 : 손잡이 21 : 연장편
22 : 통공 22a : 곡면구간
23 : 개방부 24 : 결착홈
25 : 리브 30 : 꺾임부
31 : 경사부 h : 높이
t : 두께 A : 일회용 접이식 숟가락

Claims (11)

  1. 몸체;
    상기 몸체의 말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되, 타 부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꺾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말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하단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선단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이어지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돌기 상단에 이르는 높이가 상기 연장편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단부의 외경에 비해 하단부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단부의 외경이 상기 통공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일단의 내주면에 곡면구간이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삽입된 상기 통공은, 그 중심이 상기 돌기의 중심과 어긋나되, 상기 꺾임부 측으로 치우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양 측면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에 인접하는 상기 몸체의 일 부분 및/또는 상기 꺾임부와 인접하는 상기 손잡이의 일 부분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손잡이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인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PCT/KR2017/015506 2016-12-27 2017-12-26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WO20181247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384854A AU2017384854B2 (en) 2016-12-27 2017-12-26 Disposable foldable eating utensil
JP2019530772A JP6835426B2 (ja) 2016-12-27 2017-12-26 使い捨て折りたたみ式食事道具
EP17888916.8A EP3563728B1 (en) 2016-12-27 2017-12-26 Disposable foldable eating utensil
CN201780081029.9A CN110167398B (zh) 2016-12-27 2017-12-26 一次性可折叠进食用具
US16/470,994 US11083315B2 (en) 2016-12-27 2017-12-26 Disposable foldable eating utensil
RU2019123444A RU2736027C1 (ru) 2016-12-27 2017-12-26 Одноразовый складной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57 2016-12-27
KR20160007557 2016-12-27
KR10-2017-0133902 2017-10-16
KR1020170133902A KR102356485B1 (ko) 2016-12-27 2017-10-16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710A1 true WO2018124710A1 (ko) 2018-07-05

Family

ID=627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506 WO2018124710A1 (ko) 2016-12-27 2017-12-26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2471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972U (ko) * 1990-07-18 1992-03-24
US5940974A (en) * 1998-06-15 1999-08-24 Lee; Ji Cheng Collapsible spoon for canned goods
KR200290731Y1 (ko) * 2002-06-03 2002-10-04 신영철 일회용 접이식 포크
KR200324527Y1 (ko) * 2003-04-23 2003-08-25 오요한 젓가락 일체형 숟가락
JP2013027555A (ja) * 2011-07-28 2013-02-07 Yoshino Kogyosho Co Ltd 折りたたみスプーン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972U (ko) * 1990-07-18 1992-03-24
US5940974A (en) * 1998-06-15 1999-08-24 Lee; Ji Cheng Collapsible spoon for canned goods
KR200290731Y1 (ko) * 2002-06-03 2002-10-04 신영철 일회용 접이식 포크
KR200324527Y1 (ko) * 2003-04-23 2003-08-25 오요한 젓가락 일체형 숟가락
JP2013027555A (ja) * 2011-07-28 2013-02-07 Yoshino Kogyosho Co Ltd 折りたたみスプーン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5985A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US10463116B2 (en) Expandable socket accessory
CA2140741C (en) Hanger with child-proof size indicator and tool for removing same
WO2012051827A1 (zh) 一种可折叠浴盆
WO2015147384A1 (ko)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WO2024063504A1 (ko) 빠짐 방지용 빨대
WO2018124710A1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US7275642B2 (en) Cosmetic case
CA2608131A1 (en) Gripping device for use on a paint receptacle, in particular a tin of paint
WO2017086638A1 (ko) 손잡이를 구비한 접이식 컵
WO2017116162A1 (ko) 분리 조립식 도마
USD530559S1 (en) Infant carrier cover
KR101966174B1 (ko) 신축형 일회용 숟가락
CN101103884A (zh) 一种可分离式握把结构
KR200429669Y1 (ko) 고무장갑
WO2013062186A1 (ko) 조리기구용 핸들
WO2011122863A2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D488402S1 (en) Tray for hanging basket
WO2012115325A1 (ko) 안전 캔 용기
WO2019103418A1 (ko) 용기 커버
CN215838282U (zh) 一种用餐器具
WO2016028044A1 (ko) 일회용 식품찜기용 찜틀
CN211912978U (zh) 一种新型过滤桶
KR200327542Y1 (ko) 양면 프라이팬
KR200305491Y1 (ko)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8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077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8485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1226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89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