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590A1 - 이명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명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590A1
WO2018101590A1 PCT/KR2017/010248 KR2017010248W WO2018101590A1 WO 2018101590 A1 WO2018101590 A1 WO 2018101590A1 KR 2017010248 W KR2017010248 W KR 2017010248W WO 2018101590 A1 WO2018101590 A1 WO 20181015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innitus
mode
treatment
sound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2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성화
박희성
지윤상
문일준
조양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ublication of WO20181015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5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nnitus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tinnitus by using a combination of hearing and vision of a tinnitus patient.
  • tinnitus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f the auditory system. More than 95% of normal people experience tinnitus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and 17% of the total population suffers from tinnitus discomfort and about 5% of them have severe tinnitus.
  • tinnitus can occur when it is continuously exposed to loud noise.
  • urban noise such as traffic noise and mechanical noise, as well as loud music heard through headphones or earphones, are one of the causes.
  • tinnitus As the cause of tinnitus is diverse, there are various ways to treat tinnitus. Currently, more than 15 different treatment methods are used in Korea, for example, regular counseling treatment, vasodilator / blood flow improvers, anti-anxiety agents, drug therapy such as calcium channel blockers, implanted hearing aid surgery, hearing aid treatment such as wearing general hearing aids, and tinnitus externally. Tinnitus masking method, which allows you to hear a louder volume so you can't hear tinnitus.
  • TRT tinnitus retraining therapy
  • tinnitus was treated using only acoustic stimuli such as acoustic signals.
  • acoustic stimuli such as acoustic signals.
  • treatment may take longer than expected, and there is a limit in induc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tient, especially when psychological anxiety is the cause of tinnitu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nnitus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tinnitus by using the hearing and vision of tinnitus patients.
  •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auditory examination system and an auditory examination method.
  • the display unit for being worn on the head of the subject to display the image to the subject,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reatment sound to the subj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sound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reatment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ource of tinnitus nois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a change in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 a single system can also be used to perform tinnitus tests in addition to tinnitus treatm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st mode and a treatment mode of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us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unit for being worn on the head of the subject to display the image to the subject,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reatment sound to the subj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sound outpu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treatment sound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ource of tinnitus nois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a change in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 Any one of a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including a first treatment mode for providing counseling and instructions to a subject, a second treatment mode for providing auditory stimulation to a subject, and a third treatment mode for providing visual stimulation to a subject It may further include a mode selection unit for selectively inputting.
  • the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may further include a continuous treatment mode for continuously executing the first treatment mode, the second treatment mode, and the third treatment mode.
  • the mode selector may include a first test mode measuring a pitch of the tinnitus noise, a second test mode measuring a volume of the tinnitus noise, and applying the tinnitus noise to an external sound having a volume greater than the tinnitus noise.
  • One of a plurality of test modes may be selectively input including a third test mode for measuring a minimum volume that is inaudible and a fourth test mode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tinnitus noise generated after listening to the external sound. have.
  • the plurality of inspection modes may further include a continuous inspection mode for continuously executing the first inspection mode, the second inspection mode, the third inspection mode, and the fourth inspection mode.
  •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 test sound, and when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est modes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the detector further detects a reaction operation of the test subject to the test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It can be provided.
  • the response operation of the subjec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by the examinee.
  • the reaction operation of the subject may include an operation in which the subject rotates his head.
  • the sound output unit may continuously output external noise having a volume smaller than the tinnitus noise when the second treatment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 the sound output unit may selectively or continuously output natural sound and music when the second treatment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natural image when the second treatment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 the display may display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ource of tinnitus noise when the third treatment mode is selected.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size of the object gradually decreases.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constantly changing.
  • the tinnitus no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eep sound, a bell sound, a beep sound, water flowing sound, a wind blowing sound, a pulse sound, a mechanical sound, and an insect cry.
  • the source of tinnitus no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ell, a species, a nature, a heart, a machine, and an insect that generate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tinnitus noise.
  •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at provides a closed view.
  • HMD head mounted display
  •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n earphone or a headphone.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innitus treatment system 10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90, a display unit 100, a sound output unit 200, and a controller 300. do.
  • the tinnitus treatment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400.
  • the mode selector 9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modes for treatment and examination of the tinnitus treatment system 10.
  • the mode that can be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treatment mode and a test mode.
  • a test mode for examining a tinnitus state of the test subject (1) includes It is preferred to be selected before the treatment mode which provides treatment training to (1). Details of the modes of the mode selection unit 9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mode received by the mode selector 90 to the examinee 1.
  • the display 100 may display a virtual reality image to the subject 1.
  • the display unit 100 may be a head-mounted display (HMD) worn on the head of the examinee 1, and among these, the concentration of the examinee 1 may be increased,
  • HMD head-mounted display
  • a head mounted display can be used that provides a closed view to effectively provide virtual reality images.
  • the imag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may be simply an image displayed in a fixed one direction.
  • the imag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00 to the examinee 1 is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examinee 1, and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picture, a photo, a text, a video, a video,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 the display unit 100 may detect a frontal direction in which the eye of the examinee 1 faces and display a surrounding image that provide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 information about the eyeline direction of the examinee detected by the detector 4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 the surrounding image refers to an image which is unfolded in all directions (for example, before, after, left, right, up, and down) around the head mounted display.
  • the surrounding image is not limited to a spherical virtual reality image, and may be transformed into various types of virtual reality images such as a cylinder and a hemisphere according to a design.
  • virtual reality images such as a cylinder and a hemisphere according to a design.
  • the display unit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an image may be effectively provided to the examinee 1 without a separate monitor or complicated additional equipment. Therefore, the constraint on the space is reduced and the self-treatment training of the subject 1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sound output unit 200 outputs the sound according to the mode received from the mode selector 90. Therefore, the sound output unit 200 outputs the treatment sound according to each treatment mode when the treatment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or 90, and the inspection according to each inspection mode when the inspection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or 90. Output the sound.
  • the treatment sound is an external sound that is heard in response to tinnitus noise that makes the subject 1 feel tinnitus, and may be a sound for stabilizing the mind and body of the subject 1 or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tinnitus noise.
  • the test sound is an external sound that is heard while matching the tinnitus noise in order to investigate specific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tinnitus noise felt by the examinee 1, and may be sounds having various frequencies and volumes.
  •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include an earphone or a headphone.
  • the test subject 1 listens to the treatment sound and / or the test sound using the earphone or headphone, thereby accurately detecting the tinnitus state of the test subject 1. Identify and implement intensive treatment training. As a result, the examinee 1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type display unit 100 and the earphone or headphone type sound output unit 200 together and is disconnected from the actual environment, thereby being realiz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This makes it easier to immerse yourself in.
  •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include a left sound output unit 210 and a right sound output unit 220.
  • the left sound output unit 210 outputs a left test sound for tinnitus test of the left ear and a right sound.
  • the output unit 220 outputs the right test sound for the tinnitus test of the right ear.
  •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described above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That is,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ontrolled.
  • the controller 300 causes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a preset image according to the mode received by the mode selector 90.
  • the preset image may include a counseling image, an auxiliary image for hearing treatment, a visual therapy image,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300 controls not only the sequence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but also the change in the size and position of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 the controller 300 may function to select types of objects to be included in the image.
  •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the predetermined sound to the sound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mode received from the mode selection unit 90.
  • the predetermined treatment sound may include a counseling voice, a treatment sound for hearing treatment, a visual treatment aid sound,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not only the sequence in which the treatment sound is output, but also the volu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treatment sound.
  • the control unit 300 may control the output direction of the treatment sound, and selects at least one of the left sound output unit 210 and the right sound output unit 220 to output the treatment sound.
  • the controller 30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rogress of treatment, the state of the examinee 1, and the like.
  •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of the control method may also be selected and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 the controller 300 may also control the test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0. At this time, in order to detect a sound that can match the tinnitus noise,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sounds having various frequencies and volumes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0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may be selected as the manual mode or the automatic mod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test to control the type, volume, output frequency, output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test sound.
  • the detector 400 is a part that operates when the test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or 90, and detects the reaction operation of the examinee 1 with respect to the test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each test mode, when matching various kinds of external sounds to tinnitus noise or investigating changes in tinnitus symptoms, the test response of the test subject 1 can be detected as a faster and more objective operation. This is to improve the reliability.
  • the detection unit 400 may generate reac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00.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300 again controls the type, volume, output frequency, and output direction of the test sound based on the respons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xaminee 1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400.
  • reaction operations there may be a variety of reaction operations, but as an example, the examinee 1 may press the button as shown in FIG. 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y form may be used as long as the examinee 1 can perform a quick response to the test sound. Therefore, the reaction operation may be modified to touch various touch means in addition to the button.
  • the convenience of inspec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xaminee 1 may be improved by us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 the tinnitus treatment system 10 is a factor that may affect the symptoms of tinnitus, such as age, physical condition, occupation, medical history, stress index of the subject (1)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input unit 80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eld. Thus, by analyzing the cause of tinnitus of the subject (1)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considered when treating tinnitus.
  •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st mode and a treatment mode of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odes that can be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test modes 91 and a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92.
  • the manual / automatic mode of the controller 300 may also be selectively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 the plurality of test modes 91 may include a first test mode 91a, a second test mode 91b, a third test mode 91c, and a fourth test mode 91d. .
  • These plurality of inspection modes 91 are selectable modes for investigat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innitus noise which causes the subject 1 to feel tinnitus.
  • the first test mode 91a is a mode for measuring pitch of tinnitus noise.
  • the first test mode 91a is selected, the sound having the same or similar frequency as the tinnitus noise is examined while matching the sounds having the various frequencies with the tinnitus noise. This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types and sound quality of tinnitus noise.
  • the second test mode 91b is a mode for measuring the loudness of the tinnitus noise.
  • the second test mode 91b is selected, while matching sounds having various volumes with tinnitus noise, an operation of investigating the same or similar volume as the tinnitus noise is performed.
  • the third test mode 91c is a mode for measuring a minimum volume of making noise not heard from external sound having a volume greater than tinnitus noise.
  • the external sound having a volume greater than the tinnitus noise is heard by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does not feel the tinnitus noise, which is called masking, and the minimum intensity of the shielding is selected when the third test mode 91c is selected.
  • the external sound heard by the examinee may be sounds having various frequencies, or sound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requencies as tinnitus noise.
  • the fourth test mode 91d is a mode for measuring a change in tinnitus noise generated after listening to external sound.
  • a residual inhibition effect generated after an auditory stimulus by external sound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ubject such as tinnitus noise disappearing or volume of tinnitus noise reduced. I will investigate.
  • the plurality of test modes 91 may be selectively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according to desired information, but the first test mode 91a, the second test mode 91b, and the third test may be selected. It may be input to continuously execute the mode 91c and the fourth test mode 91d. In this case, the continuous inspection mode (not shown) may be further added to the plurality of inspection modes 91.
  • the external sound is output as the test sound from the sound output unit 200 when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test modes 91 is selected, and the output of the external sou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 the display 100 may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test, which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 the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92 may include a first treatment mode 92a, a second examination mode 92b, and a third examination mode 92c. These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92 are selectable modes for combi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of the subject 1 by providing the subject 1 with counseling, audio stimulation, and visual stimulation.
  • the first treatment mode 92a is a mode in which the subject 1 is provided with the counselor's counseling and instructions.
  • the first image IM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image IM1 is a visualization of counseling and instruction of the therapist as a picture, a picture, a text, a video, and the like.
  • the concentration and learning power of the examinee 1 Can be effectively improved.
  • the sound output unit 200 outputs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IM1 in the form of voice, music, effect sound, and the like.
  • the counseling and instruction of the therapist means that the therapist indicates the precautions related to the symptoms of tinnitus, and habits that help the treatment.
  • the second treatment mode 92b is a mode for providing an auditory stimulus to the subject 1.
  • the acoustic output unit 200 continuously outputs external noise different from tinnitus noise.
  • External noise herein refers to noise in a wide frequency range, for example, white noise, pink noise, urban noise, and the like.
  • the contrast between the tinnitus noise and the external noise can be reduced to make the subject 1 feel less tinnitus.
  • the external noise may be a noise having a volume smaller than that of the tinnitus noise.
  • the external noise may not be accompanied by side effects such as hearing loss.
  •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output a sound effective for treating tinnitus.
  • the sound may output natural sound and music, wherein the natural sound refers to various sounds generated in nature, such as a sound of a river, a sound of a valley, a sound of a worm, a sound of rain, and a sound of a wave.
  • the music may be classical music or music preferred by the examinee 1 as a musical instrument music or a song sound.
  • the display unit 100 may display a second image IM2 that is effective in treating tinnitus, 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image IM2 is a visualization of a natural image or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sound as a picture, a photo, a text, a video, and the like.
  • the natural image also includes a river, valley water, rainwater, waves, and rural areas. Means a variety of images including.
  • the third treatment mode 92c is a mode for providing visual stimulation to the subject 1.
  • the third image IM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2.
  • the third image IM3 is an image including an object OB corresponding to a source of tinnitus noise, wherein the source of tinnitus noise refers to a sound source or a medium that generates the same or similar sound as the tinnitus noise.
  • tinnitus noi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eep, bell, beep, water flowing, wind blowing, pulse, machine sound, and insect cry. Sources of such tinnitus noise may include bells, bells, and river wat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nature, heart, machinery, insects.
  • the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92 may be selectively input to the mode selector 90 according to desired information, but the first treatment mode 92a, the second treatment mode 92b, and the third treatment may be used. It may also be entered to execute mode 92c continuously. In this case, the continuous treatment mode (not shown) may be further added to the plurality of treatment modes 92.
  • the third image IM3 includes the source of the tinnitus noise as the object OB, and the third image IM3 is displayed to the subject 1 so that the subject 1 actually has his own tinnitus.
  • the noise may be confused with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M3, or its own tinnitus noise may be identified with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M3. Therefore, the tinnitus treatment of the subject 1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appropriately using such an object OB.
  • the tinnitus treatment method using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M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using a tinnitus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rd image is provided to the examinee 1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s a source of tinnitus noise
  • a source of tinnitus noise is illustrated as a punishment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innitus noise felt by the examinee 1 may be a buzz sound generated when a bee flies.
  • the examinee 1 receives the bee from the bee whose buzzing sound is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t may be confused as caused, or the buzzing sound itself heard may be identified with a bee which is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bee, which is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is gradually reduced, the psychological effect of causing the examinee 1 to feel as if the tinnitus noise gradually disappears. .
  • the method of causing the subject 1 to feel his tinnitus noise less by focusing on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as the visual stimulus is also used.
  • the position of a bee, which is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may be continuously changed to induce the eye of the examinee 1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bee.
  • the third image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image, whereby the examinee 1 may more effectively immerse the object OB of the third imag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ize of a bee, which is an object OB, may be gradually reduced to be blurred, or an image may be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image, which may be blurred by being blown away from an object OB. .
  • the sound output unit 200 may also perform an operation of gradual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same or similar external sound as the wing sound, which is a tinnitus noise.
  • the bee flying as an object OB is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image, so that the examinee 1 not only tracks the movement of the bee but also the examinee 1 actually catches the bee. You can also go to.
  • implementing a virtual reality game related to the object OB may be a method of inducing the distraction of the tinnitus noise of the subject 1 and the fun of tinnitus treatment.
  • the time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can be shortened by using the auditory stimulus and the visual stimulus together. It can als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in tinnitus treatment training, reduce the number of visits to specialized treatment institutions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self-treatment training. A single system can also be used to perform tinnitus tests in addition to tinnitus treatment.
  • a tinnitus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tinnitus by using the hearing and vision of tinnitus patients, the hearing test system and hearing test method is used in hospitals, welfare facilities, nursing facilities, schools, etc. Can 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명 치료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명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명(tinnitus) 환자의 청각 및 시각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명이란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소리를 느끼는 것으로 청각계의 이상 중 흔히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정상인의 95% 이상이 일생에 한 번 이상 이명을 경험하며, 전체인구의 17%가 이명증으로 불편함을 겪고 이 중 5% 정도가 병원을 찾을 정도로 심한 이명증을 느낀다고 한다.
이러한 이명의 발병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증가한 소음, 복잡한 생활 속에 만연한 스트레스, 노령인구의 증가, 약물의 남용 등으로 이명 환자의 수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명은 큰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근래에는 교통 소음, 기계 소음 등의 도시형 소음은 물론이고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듣는 시끄러운 음악 또한 그 원인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명의 발병 원인이 다양한 만큼 이명의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15가지 이상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정기적 상담치료, 혈관확장/혈류개선제, 항불안제, 칼슘통로 차단제 등의 약물요법, 삽입형 보청기 수술, 일반보청기 착용 등과 같은 보청기 치료,외부에서 이명보다 더 큰 음량으로 들려 주어 이명이 들리지 않게 하는 이명차폐법(tinnitus masking method) 등이 있다. 특히, 이명치료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이명재훈련치료법(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이 있는데, 이는 환자가 이명을 중요하지 않은 소리로 구분하도록 청신경에서 대뇌피질로 전달되는 신경회로망을 재편성하고 재구성하여 대뇌에서 이명음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거나 이명음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치료법이다.
종래 이명 치료 시스템의 경우 음향신호 등 청각적 자극만을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치료하는 데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특히 심리적 불안이 이명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 환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명 환자의 청각 및 시각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청각 검사 시스템 및 청각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함께 이용하는 이중자극을 통하여 이명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명 치료 훈련에 있어 환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 치료기관에 대한 방문 횟수를 줄이고 자가 치료 훈련의 빈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단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명 치료 외에 이명 검사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의 검사 모드 및 치료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피검자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제1 치료 모드, 피검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2 치료 모드 및 피검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3 치료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료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료 모드들은 상기 제1 치료 모드, 상기 제2 치료 모드 및 상기 제3 치료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치료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제1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2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상기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상기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4 검사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은 상기 제1 검사 모드, 상기 제2 검사 모드, 상기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제4 검사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검사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검사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고개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선택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자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상기 이명 잡음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벨, 종,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모드 선택부(90), 디스플레이부(100), 음향 출력부(200) 및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또한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검출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모드 선택부(90)에서는 이명 치료 시스템(10)의 치료 및 검사를 위한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는 크게 치료 모드와 검사 모드로 나눌 수 있는데, 환자인 피검자(1)의 이명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피검자(1)의 이명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모드가 피검자(1)에게 치료 훈련을 제공하는 치료 모드보다 먼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드 선택부(90)의 각 모드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른 영상을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에게 가상 현실 영상(virtual reality image)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의 두부(頭部)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일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검자(1)의 집중도를 높이고 피검자(1)에게 가상 현실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영상이 반드시 가상 현실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고정된 일방향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0)가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은 피검자(1)의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인 정면 방향을 감지하여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서라운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부(400)에 의해 검출된 피검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서라운딩 영상이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전(全)방향(예컨대,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펼쳐진 영상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서라운딩 영상이 구 형태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원통, 반구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100)를 착용한 피검자(1)가 고개를 움직일 때마다 피검자(1)에게 각기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피검자(1)는 더욱 실감나는 가상 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모니터나 복잡한 추가 장비 없이도 피검자(1)에게 효과적으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고 피검자(1)의 자가 치료 훈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피검자(1)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음향 출력부(2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른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치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치료 모드 각각에 따른 치료음을 출력하고,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가 선택된 경우 검사 모드 각각에 따른 검사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치료음이란 피검자(1)에게 이명을 느끼게 하는 이명 잡음에 대비하여 들려 주는 외부 음향으로, 피검자(1)의 심신의 안정을 위한 음향일 수도 있고, 상기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잡음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사음은 피검자(1)가 느끼는 이명 잡음의 구체적인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이명 잡음에 매칭하면서 들려 주는 외부 음향으로, 다양한 주파수, 음량을 갖는 음향들일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00)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피검자(1)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이용하여 치료음 및/또는 검사음을 청취하게 함으로써 피검자(1)의 이명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집중도 높은 치료 훈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피검자(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의 음향 출력부(200)를 함께 착용하게 되어 실제 주변 환경과 단절되면서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 현실에 더욱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부(200)는 좌측 음향 출력부(210) 및 우츨 음향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좌측 음향 출력부(210)는 좌측 귀의 이명 검사를 위한 좌측 검사음을 출력하고 우측 음향 출력부(220)는 우측 귀의 이명 검사를 위한 우측 검사음을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00) 및 음향 출력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라 사전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전설정된 영상에는 상담 영상, 청각 치료를 위한 보조 영상, 시각 치료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퀀스를 제어할 뿐 아니라,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object)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영상에 포함될 오브젝트의 종류를 선별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라 사전설정된 치료음을 음향 출력부(2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사전설정된 치료음에는 상담 음성, 청각 치료를 위한 치료음, 시각 치료 보조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음향 출력부(200)에 대해서도 제어부(300)는 치료음이 출력되는 시퀀스를 제어할 뿐 아니라, 치료음의 음량, 출력 횟수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치료음의 출력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데, 좌측 음향 출력부(210) 및 우측 음향 출력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치료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제어부(300)는 치료의 진행 상황, 피검자(1)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방식의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 또한 모드 선택부(90)에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물론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검사음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명 잡음에 매칭할 수 있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다양한 주파수, 음량을 갖는 음향들을 음향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하게 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검사의 진행 상황에 따라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되어 검사음의 종류, 음량, 출력 횟수, 출력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검출부(4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의 선택 시 동작하는 부분으로,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된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1)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 이는 검사 모드 각각에 따라 이명 잡음에 다양한 종류의 외부 음향들을 매칭하거나 이명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는 경우, 피검자(1)의 검사 반응이 좀 더 신속하고 객관화할 수 있는 동작으로 검출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피검자(1)의 반응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부(400)는 반응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300)는 검출부(400)로부터 수신한 피검자(1)의 반응 동작 정보를 기초로 검사음의 종류, 음량, 출력 횟수, 출력 방향 등을 다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반응 동작으로는 다양한 것들이 있을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1)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검자(1)가 검사음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여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반응 동작은 버튼 외에도 다양한 터치 수단을 터치하는 동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과정에서도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검사의 편의 및 피검자(1)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피검자(1)의 연령, 신체 조건, 직업, 병력, 스트레스 지수 등 이명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정보를 토대로 피검자(1)의 이명 원인을 분석하여 이명 치료 시 이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들의 종류와, 각 모드별 치료 및 검사 내용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의 검사 모드 및 치료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전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들은 크게 복수의 검사 모드들(91) 및 복수의 치료 모드들(92)로 분류할 수 있다. 물론 도 3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의 수동/자동 모드 또한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제1 검사 모드(91a), 제2 검사 모드(91b), 제3 검사 모드(91c) 및 제4 검사 모드(9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피검자(1)에게 이명을 느끼게 하는 이명 잡음의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모드들이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 모드(91a)는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1 검사 모드(91a)의 선택 시, 이명 잡음에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들을 매칭해 보면서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이명 잡음의 종류 및 음질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제2 검사 모드(91b)는 이명 잡음의 음량(loudness)을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2 검사 모드(91b)의 선택 시, 이명 잡음에 다양한 음량을 갖는 음향들을 매칭해 보면서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량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제3 검사 모드(91c)는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을 피검자에게 들려 주어 피검자가 이명 잡음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을 차폐(masking)라 하는데, 제3 검사 모드(91c)의 선택 시 이러한 차폐의 최소 강도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피검자에게 들려 주는 외부 음향은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들일 수도 있고,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일 수도 있다.
제4 검사 모드(91d)는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4 검사 모드(91d)의 선택 시, 외부 음향에 의한 청각적 자극 후에 발생하는 잔여 억제(residual inhibition) 효과로서 피검자에게 있어 이명 잡음이 사라지거나 이명 잡음의 음량이 감소하는 등의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원하는 정보에 따라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제1 검사 모드(91a), 제2 검사 모드(91b), 제3 검사 모드(91c) 및 제4 검사 모드(91d)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에는 연속 검사 모드(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상기 외부 음향이 검사음으로서 출력되고, 이러한 상기 외부 음향의 출력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에서도 검사와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제1 치료 모드(92a), 제2 검사 모드(92b) 및 제3 검사 모드(9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피검자(1)에게 전문가의 상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피검자(1)의 물리적 치료와 심리적 치료를 병행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모드들이다.
구체적으로, 제1 치료 모드(92a)는 피검자(1)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1 치료 모드(92a)의 선택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제1 영상(IM1)이 디스플레이된다. 제1 영상(IM1)은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으로 시각화한 것으로, 이러한 제1 영상(IM1)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하여 재생할 경우 피검자(1)의 집중도 및 학습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IM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음향 출력부(200)는 제1 영상(IM1)에 대응하는 음향 정보를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란, 치료자가 이명 증상과 관련된 주의사항, 치료에 도움이 되는 습관 등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치료 모드(92b)는 피검자(1)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2 치료 모드(92b)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는 이명 잡음과 상이한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의 외부 잡음은 넓은 주파수 범위의 잡음으로서, 예컨대 백색 잡음, 분홍 잡음, 도시 소음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변 환경의 소음들을 피검자(1)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명 잡음과 외부 잡음 사이의 대비를 감소시켜 피검자(1)로 하여금 이명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잡음은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잡음일 수 있는데, 이로써 피검자(1)가 상기 외부 잡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더라도 난청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치료 모드(92b)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는 이명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은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자연 음향이란 강물 소리, 계곡물 소리, 벌레 소리, 빗물 소리, 파도 소리 등 자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음악은 악기 연주곡 또는 노래 소리로서 클래식 음악이나 피검자(1)가 선호하는 음악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치료음을 출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명 치료에 효과가 있는 제2 영상(IM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2 영상(IM2)은 자연 영상이나 상기 치료음에 대응하는 영상을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으로 시각화한 것으로, 자연 영상 또한 강물, 계곡물, 빗물, 파도, 농촌 등 자연의 모습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을 의미한다.
제3 치료 모드(92c)는 피검자(1)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3 치료 모드(92c)의 선택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제3 영상(IM3)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 영상(IM3)은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OB)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여기서 이명 잡음의 발생원이란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音源) 또는 그 매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벨, 종, 강물 등의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원하는 정보에 따라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제1 치료 모드(92a), 제2 치료 모드(92b) 및 제3 치료 모드(92c)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에는 연속 치료 모드(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영상(IM3)이 이명 잡음의 발생원을 오브젝트(OB)로 포함하고, 이러한 제3 영상(IM3)을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피검자(1)는 실제로 자신의 이명 잡음이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혼동하거나, 자신의 이명 잡음 자체를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와 동일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브젝트(OB)를 적절히 이용하여 피검자(1)의 이명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를 이용하는 이명 치료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피검자(1)에게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제3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명 잡음의 발생원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피검자(1)가 느끼는 이명 잡음은 벌이 날아다닐 때 발생하는 윙 소리가 될 수 있다.
이때 피검자(1)가 윙 소리의 이명 잡음을 느끼는 중에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벌이 날아다니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므로, 피검자(1)는 자신이 듣는 윙 소리가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혼동하거나, 자신이 듣는 윙 소리 자체를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과 동일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우 피검자(1)로 하여금 자신의 이명 잡음이 점차 사라지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하는 심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검자(1)가 현재 느끼고 있는 청각적 자극인 이명 잡음 대신에, 시각적 자극인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피검자(1)로 하여금 자신의 이명 잡음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검자(1)의 시선이 이러한 벌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영상은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검자(1)는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몰입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OB)인 벌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켜 희미해지게 하거나, 오브젝트(OB)인 벌이 아주 멀리 날아가 버림으로써 희미해지게 하는 영상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200)를 통해 이명 잡음인 윙 소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외부 음향을 들려 주다가 그 음량을 점점 감소시키는 작업도 병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OB)인 벌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피검자(1)가 이러한 벌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동작뿐 아니라 피검자(1)가 실제 이러한 벌을 잡는 동작으로까지 나아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OB)인 벌과 관련한 가상 현실 게임을 구현하는 것도 피검자(1)의 이명 잡음에 대한 주의력 분산 및 이명 치료에 대한 재미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명 치료 훈련에 있어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전문적 치료기관에 대한 방문 횟수를 줄이고 자가 치료 훈련의 빈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단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명 치료 외에 이명 검사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명 환자의 청각 및 시각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러한 청각 검사 시스템 및 청각 검사 방법은 병원, 복지시설, 요양시설, 학교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제1 치료 모드, 피검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2 치료 모드 및 피검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3 치료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료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 모드들은 상기 제1 치료 모드, 상기 제2 치료 모드 및 상기 제3 치료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치료 모드를 더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제1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2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상기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상기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4 검사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이명 치료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은 상기 제1 검사 모드, 상기 제2 검사 모드, 상기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제4 검사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검사 모드를 더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검사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고개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선택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자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상기 이명 잡음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벨, 종,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PCT/KR2017/010248 2016-11-30 2017-09-19 이명 치료 시스템 WO20181015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74 2016-11-30
KR1020160161874A KR101802995B1 (ko) 2016-11-30 2016-11-30 이명 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90A1 true WO2018101590A1 (ko) 2018-06-07

Family

ID=6081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248 WO2018101590A1 (ko) 2016-11-30 2017-09-19 이명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2995B1 (ko)
WO (1) WO20181015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755A (zh) * 2020-10-10 2021-01-29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沉浸式耳鸣虚拟vr生物反馈治疗仪
WO2024094713A1 (en) * 2022-10-31 2024-05-10 Neurovr B.V. Tinnitus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81B1 (ko) 2017-12-22 2018-11-12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KR102080591B1 (ko) * 2018-04-09 2020-02-24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이명치료 시스템
WO2019217476A1 (en) * 2018-05-09 2019-11-14 Otoharmo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nnitus sound therapy
KR102140834B1 (ko) 2019-01-17 2020-08-03 한창용 개인 청력상태에 따른 이명 자가 치료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798A1 (en) * 1995-05-25 1996-11-28 Philips Electronics N.V.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a head mounted display
KR200249229Y1 (ko) * 2001-02-26 2001-11-16 휴먼센스 주식회사 이명 치료기
KR100399768B1 (ko) * 2000-12-26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폰이 일체로 설치된 헤드 장착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0958570B1 (ko) * 2008-03-13 2010-05-17 이현태 이명재훈련치료법을 위한 이명치료기
US20140257131A1 (en) * 2011-06-22 2014-09-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Auditory stimulus for auditory rehabili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798A1 (en) * 1995-05-25 1996-11-28 Philips Electronics N.V.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a head mounted display
KR100399768B1 (ko) * 2000-12-26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폰이 일체로 설치된 헤드 장착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0249229Y1 (ko) * 2001-02-26 2001-11-16 휴먼센스 주식회사 이명 치료기
KR100958570B1 (ko) * 2008-03-13 2010-05-17 이현태 이명재훈련치료법을 위한 이명치료기
US20140257131A1 (en) * 2011-06-22 2014-09-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Auditory stimulus for auditory rehabilit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755A (zh) * 2020-10-10 2021-01-29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沉浸式耳鸣虚拟vr生物反馈治疗仪
CN112274755B (zh) * 2020-10-10 2022-09-06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沉浸式耳鸣虚拟vr生物反馈治疗仪
WO2024094713A1 (en) * 2022-10-31 2024-05-10 Neurovr B.V. Tinnitus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995B1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590A1 (ko) 이명 치료 시스템
Tye-Murray et al. Audiovisual integration and lipreading abilities of older adults with normal and impaired hearing
Chopin et al. Altering perception: the case of action video gaming
Zekveld et al. Cognitive processing load during listening is reduced more by decreasing voice similarity than by increasing spatial separation between target and masker speech
Tajadura-Jiménez et al. Action sounds update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arm dimension: contributions of kinaesthesia and agency
Petersen et al. Brain responses to musical feature changes in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Garner et al. A preliminary experiment to assess the fear value of preselected sound parameters in a survival horror game
Fletcher et al. Enhanced pitch discrimination for cochlear implant users with a new haptic neuroprosthetic
Perrotta et al. Deciphering sounds through patterns of vibration on the skin
Stewart et al. Auditory cognition and perception of action video game players
Ceuleers et al.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test stimuli on visual speech perception: a preliminary study
Sharp et al. Improved tactile frequency discrimination in musicians
WO2018101589A1 (ko) 청각 검사 시스템 및 청각 검사 방법
Karam et al. Towards a model human cochlea: sensory substitution for crossmodal audio-tactile displays.
Lipps et al. Impact of face masks on audiovisual word recognition in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U2724859C1 (ru)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я пациентов с нарушением слух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хнологии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Zhou et al. Effect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n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speech perception during COVID-19
Fletcher et al. Improving speech perception for hearing-impaired listeners using audio-to-tactile sensory substitution with multiple frequency channels
TW200932195A (en) Audiometry and scree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Valzolgher et al. Reaching to sounds in virtual reality: A multisensory-motor approach to re-learn sound localisation
Maté-Cid Vibrotactile perception of musical pitch
Patel et al. Using computer games to mediate caregiver-child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dysarthria
JP2012100805A (ja) 聴力測定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聴力評価装置
Bogusz-Witczak et al. Influence of Musical Experience of Blind and Visually Impaired Young Persons on Performance in Selected Auditory Tasks on Performance in Selected Auditory Tasks
Kepp et al. Virtual Reality pitch ranking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hearing aids or normal h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5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5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