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995B1 - 이명 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명 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995B1
KR101802995B1 KR1020160161874A KR20160161874A KR101802995B1 KR 101802995 B1 KR101802995 B1 KR 101802995B1 KR 1020160161874 A KR1020160161874 A KR 1020160161874A KR 20160161874 A KR20160161874 A KR 20160161874A KR 101802995 B1 KR101802995 B1 KR 101802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reatment
tinnitus
sound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화
박희성
지윤상
문일준
조양선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6016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995B1/ko
Priority to PCT/KR2017/010248 priority patent/WO201810159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명 치료 시스템 {System for treating tinni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명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명(tinnitus) 환자의 청각 및 시각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명이란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소리를 느끼는 것으로 청각계의 이상 중 흔히 발생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정상인의 95% 이상이 일생에 한 번 이상 이명을 경험하며, 전체인구의 17%가 이명증으로 불편함을 겪고 이 중 5% 정도가 병원을 찾을 정도로 심한 이명증을 느낀다고 한다.
이러한 이명의 발병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증가한 소음, 복잡한 생활 속에 만연한 스트레스, 노령인구의 증가, 약물의 남용 등으로 이명 환자의 수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명은 큰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근래에는 교통 소음, 기계 소음 등의 도시형 소음은 물론이고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듣는 시끄러운 음악 또한 그 원인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명의 발병 원인이 다양한 만큼 이명의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15가지 이상의 다양한 치료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정기적 상담치료, 혈관확장/혈류개선제, 항불안제, 칼슘통로 차단제 등의 약물요법, 삽입형 보청기 수술, 일반보청기 착용 등과 같은 보청기 치료,외부에서 이명보다 더 큰 음량으로 들려 주어 이명이 들리지 않게 하는 이명차폐법(tinnitus masking method) 등이 있다. 특히, 이명치료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이명재훈련치료법(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이 있는데, 이는 환자가 이명을 중요하지 않은 소리로 구분하도록 청신경에서 대뇌피질로 전달되는 신경회로망을 재편성하고 재구성하여 대뇌에서 이명음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거나 이명음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치료법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4978호는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청각적 자극만을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경우, 치료하는 데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특히 심리적 불안이 이명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 환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4978호 (2013.09.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명 환자의 청각 및 시각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을 치료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피검자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제1 치료 모드, 피검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2 치료 모드 및 피검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3 치료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료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치료 모드들은 상기 제1 치료 모드, 상기 제2 치료 모드 및 상기 제3 치료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치료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제1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2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상기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상기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4 검사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은 상기 제1 검사 모드, 상기 제2 검사 모드, 상기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제4 검사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검사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검사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고개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선택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자연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상기 이명 잡음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벨, 종,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함께 이용하는 이중자극을 통하여 이명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명 치료 훈련에 있어 환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문적 치료기관에 대한 방문 횟수를 줄이고 자가 치료 훈련의 빈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단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명 치료 외에 이명 검사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의 검사 모드 및 치료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모드 선택부(90), 디스플레이부(100), 음향 출력부(200) 및 제어부(300)를 구비한다. 또한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검출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모드 선택부(90)에서는 이명 치료 시스템(10)의 치료 및 검사를 위한 복수의 모드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는 크게 치료 모드와 검사 모드로 나눌 수 있는데, 환자인 피검자(1)의 이명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피검자(1)의 이명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 모드가 피검자(1)에게 치료 훈련을 제공하는 치료 모드보다 먼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드 선택부(90)의 각 모드들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른 영상을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에게 가상 현실 영상(virtual reality image)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의 두부(頭部)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일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피검자(1)의 집중도를 높이고 피검자(1)에게 가상 현실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영상이 반드시 가상 현실 영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고정된 일방향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0)가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은 피검자(1)의 시각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정보로서,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는 피검자(1)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인 정면 방향을 감지하여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서라운딩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출부(400)에 의해 검출된 피검자의 시선 방향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서라운딩 영상이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전(全)방향(예컨대,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펼쳐진 영상을 의미한다. 물론 상기 서라운딩 영상이 구 형태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원통, 반구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 현실 영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부(100)를 착용한 피검자(1)가 고개를 움직일 때마다 피검자(1)에게 각기 다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어 피검자(1)는 더욱 실감나는 가상 현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모니터나 복잡한 추가 장비 없이도 피검자(1)에게 효과적으로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고 피검자(1)의 자가 치료 훈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가 피검자(1)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음향 출력부(2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른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2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치료 모드가 선택된 경우 치료 모드 각각에 따른 치료음을 출력하고,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가 선택된 경우 검사 모드 각각에 따른 검사음을 출력한다. 여기서 치료음이란 피검자(1)에게 이명을 느끼게 하는 이명 잡음에 대비하여 들려 주는 외부 음향으로, 피검자(1)의 심신의 안정을 위한 음향일 수도 있고, 상기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잡음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사음은 피검자(1)가 느끼는 이명 잡음의 구체적인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이명 잡음에 매칭하면서 들려 주는 외부 음향으로, 다양한 주파수, 음량을 갖는 음향들일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200)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피검자(1)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이용하여 치료음 및/또는 검사음을 청취하게 함으로써 피검자(1)의 이명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집중도 높은 치료 훈련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피검자(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00)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 형태의 음향 출력부(200)를 함께 착용하게 되어 실제 주변 환경과 단절되면서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 현실에 더욱 쉽게 몰입할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부(200)는 좌측 음향 출력부(210) 및 우츨 음향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좌측 음향 출력부(210)는 좌측 귀의 이명 검사를 위한 좌측 검사음을 출력하고 우측 음향 출력부(220)는 우측 귀의 이명 검사를 위한 우측 검사음을 출력한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00) 및 음향 출력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한다.
먼저 제어부(3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라 사전설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전설정된 영상에는 상담 영상, 청각 치료를 위한 보조 영상, 시각 치료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퀀스를 제어할 뿐 아니라,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object)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영상에 포함될 오브젝트의 종류를 선별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3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입력받은 모드에 따라 사전설정된 치료음을 음향 출력부(200)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사전설정된 치료음에는 상담 음성, 청각 치료를 위한 치료음, 시각 치료 보조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에 대해서와 마찬가지로 음향 출력부(200)에 대해서도 제어부(300)는 치료음이 출력되는 시퀀스를 제어할 뿐 아니라, 치료음의 음량, 출력 횟수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치료음의 출력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데, 좌측 음향 출력부(210) 및 우측 음향 출력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치료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제어부(300)는 치료의 진행 상황, 피검자(1)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방식의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 또한 모드 선택부(90)에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물론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검사음 또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명 잡음에 매칭할 수 있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다양한 주파수, 음량을 갖는 음향들을 음향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하게 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검사의 진행 상황에 따라 수동 모드 또는 자동 모드로 선택되어 검사음의 종류, 음량, 출력 횟수, 출력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검출부(400)는 모드 선택부(90)에서 검사 모드의 선택 시 동작하는 부분으로,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된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1)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 이는 검사 모드 각각에 따라 이명 잡음에 다양한 종류의 외부 음향들을 매칭하거나 이명 증상의 변화를 조사하는 경우, 피검자(1)의 검사 반응이 좀 더 신속하고 객관화할 수 있는 동작으로 검출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피검자(1)의 반응 동작이 검출되는 경우 검출부(400)는 반응 동작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300)는 검출부(400)로부터 수신한 피검자(1)의 반응 동작 정보를 기초로 검사음의 종류, 음량, 출력 횟수, 출력 방향 등을 다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반응 동작으로는 다양한 것들이 있을 수 있으나,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1)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검자(1)가 검사음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여 수행할 수 있는 동작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반응 동작은 버튼 외에도 다양한 터치 수단을 터치하는 동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과정에서도 디스플레이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검사의 편의 및 피검자(1)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10)은 피검자(1)의 연령, 신체 조건, 직업, 병력, 스트레스 지수 등 이명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정보를 토대로 피검자(1)의 이명 원인을 분석하여 이명 치료 시 이를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들의 종류와, 각 모드별 치료 및 검사 내용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의 검사 모드 및 치료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전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모드 선택부(90)에 입력 가능한 모드들은 크게 복수의 검사 모드들(91) 및 복수의 치료 모드들(92)로 분류할 수 있다. 물론 도 3 등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의 수동/자동 모드 또한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제1 검사 모드(91a), 제2 검사 모드(91b), 제3 검사 모드(91c) 및 제4 검사 모드(9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피검자(1)에게 이명을 느끼게 하는 이명 잡음의 음향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모드들이다.
구체적으로, 제1 검사 모드(91a)는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1 검사 모드(91a)의 선택 시, 이명 잡음에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들을 매칭해 보면서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이명 잡음의 종류 및 음질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
제2 검사 모드(91b)는 이명 잡음의 음량(loudness)을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2 검사 모드(91b)의 선택 시, 이명 잡음에 다양한 음량을 갖는 음향들을 매칭해 보면서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량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제3 검사 모드(91c)는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모드이다. 이와 같이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을 피검자에게 들려 주어 피검자가 이명 잡음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것을 차폐(masking)라 하는데, 제3 검사 모드(91c)의 선택 시 이러한 차폐의 최소 강도에 대해 조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피검자에게 들려 주는 외부 음향은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들일 수도 있고,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일 수도 있다.
제4 검사 모드(91d)는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모드이다. 제4 검사 모드(91d)의 선택 시, 외부 음향에 의한 청각적 자극 후에 발생하는 잔여 억제(residual inhibition) 효과로서 피검자에게 있어 이명 잡음이 사라지거나 이명 잡음의 음량이 감소하는 등의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은 원하는 정보에 따라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제1 검사 모드(91a), 제2 검사 모드(91b), 제3 검사 모드(91c) 및 제4 검사 모드(91d)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검사 모드들(91)에는 연속 검사 모드(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검사 모드들(91)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상기 외부 음향이 검사음으로서 출력되고, 이러한 상기 외부 음향의 출력은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에서도 검사와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제1 치료 모드(92a), 제2 검사 모드(92b) 및 제3 검사 모드(9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피검자(1)에게 전문가의 상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피검자(1)의 물리적 치료와 심리적 치료를 병행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모드들이다.
구체적으로, 제1 치료 모드(92a)는 피검자(1)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1 치료 모드(92a)의 선택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제1 영상(IM1)이 디스플레이된다. 제1 영상(IM1)은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으로 시각화한 것으로, 이러한 제1 영상(IM1)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제작하여 재생할 경우 피검자(1)의 집중도 및 학습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상(IM1)이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음향 출력부(200)는 제1 영상(IM1)에 대응하는 음향 정보를 음성, 음악, 효과음 등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란, 치료자가 이명 증상과 관련된 주의사항, 치료에 도움이 되는 습관 등을 지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치료 모드(92b)는 피검자(1)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2 치료 모드(92b)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는 이명 잡음과 상이한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의 외부 잡음은 넓은 주파수 범위의 잡음으로서, 예컨대 백색 잡음, 분홍 잡음, 도시 소음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변 환경의 소음들을 피검자(1)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명 잡음과 외부 잡음 사이의 대비를 감소시켜 피검자(1)로 하여금 이명을 덜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잡음은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잡음일 수 있는데, 이로써 피검자(1)가 상기 외부 잡음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더라도 난청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치료 모드(92b)의 선택 시, 음향 출력부(200)는 이명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은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데, 여기서 자연 음향이란 강물 소리, 계곡물 소리, 벌레 소리, 빗물 소리, 파도 소리 등 자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음악은 악기 연주곡 또는 노래 소리로서 클래식 음악이나 피검자(1)가 선호하는 음악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치료음을 출력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명 치료에 효과가 있는 제2 영상(IM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제2 영상(IM2)은 자연 영상이나 상기 치료음에 대응하는 영상을 그림, 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으로 시각화한 것으로, 자연 영상 또한 강물, 계곡물, 빗물, 파도, 농촌 등 자연의 모습을 포함하는 다양한 영상을 의미한다.
제3 치료 모드(92c)는 피검자(1)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제3 치료 모드(92c)의 선택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제3 영상(IM3)이 디스플레이된다. 제3 영상(IM3)은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OB)를 포함하는 영상으로, 여기서 이명 잡음의 발생원이란 이명 잡음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音源) 또는 그 매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벨, 종, 강물 등의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은 원하는 정보에 따라 모드 선택부(90)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제1 치료 모드(92a), 제2 치료 모드(92b) 및 제3 치료 모드(92c)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치료 모드들(92)에는 연속 치료 모드(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영상(IM3)이 이명 잡음의 발생원을 오브젝트(OB)로 포함하고, 이러한 제3 영상(IM3)을 피검자(1)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피검자(1)는 실제로 자신의 이명 잡음이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혼동하거나, 자신의 이명 잡음 자체를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와 동일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브젝트(OB)를 적절히 이용하여 피검자(1)의 이명 치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3 영상(IM3)의 오브젝트(OB)를 이용하는 이명 치료 방법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을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치료 시스템에 있어서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피검자(1)에게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제3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명 잡음의 발생원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피검자(1)가 느끼는 이명 잡음은 벌이 날아다닐 때 발생하는 윙 소리가 될 수 있다.
이때 피검자(1)가 윙 소리의 이명 잡음을 느끼는 중에 디스플레이부(100)에는 벌이 날아다니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므로, 피검자(1)는 자신이 듣는 윙 소리가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로부터 유발된 것으로 혼동하거나, 자신이 듣는 윙 소리 자체를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과 동일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경우 피검자(1)로 하여금 자신의 이명 잡음이 점차 사라지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하는 심리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피검자(1)가 현재 느끼고 있는 청각적 자극인 이명 잡음 대신에, 시각적 자극인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피검자(1)로 하여금 자신의 이명 잡음을 덜 느끼게 하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인 벌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피검자(1)의 시선이 이러한 벌의 움직임을 따라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 영상은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피검자(1)는 제3 영상의 오브젝트(OB)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몰입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OB)인 벌의 크기를 점차 감소시켜 희미해지게 하거나, 오브젝트(OB)인 벌이 아주 멀리 날아가 버림으로써 희미해지게 하는 영상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음향 출력부(200)를 통해 이명 잡음인 윙 소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외부 음향을 들려 주다가 그 음량을 점점 감소시키는 작업도 병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OB)인 벌이 날아다니는 모습을 가상 현실 영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피검자(1)가 이러한 벌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동작뿐 아니라 피검자(1)가 실제 이러한 벌을 잡는 동작으로까지 나아가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브젝트(OB)인 벌과 관련한 가상 현실 게임을 구현하는 것도 피검자(1)의 이명 잡음에 대한 주의력 분산 및 이명 치료에 대한 재미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각적 자극 및 시각적 자극을 함께 이용하여 이명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명 치료 훈련에 있어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전문적 치료기관에 대한 방문 횟수를 줄이고 자가 치료 훈련의 빈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단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명 치료 외에 이명 검사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이명 치료 시스템
90: 모드 입력부
91: 복수의 검사 모드들
92: 복수의 치료 모드들
100: 디스플레이부
200: 음향 출력부
210: 좌측 음향 출력부
220: 우측 음향 출력부
300: 제어부
400: 검출부
OB: 오브젝트

Claims (18)

  1. 피검자의 두부(頭部)에 착용되어 피검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피검자에게 치료음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및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치료음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의 변화를 제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치료자의 상담 및 지시를 제공하는 제1 치료 모드, 피검자에게 청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2 치료 모드 및 피검자에게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3 치료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치료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모드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료 모드들은 상기 제1 치료 모드, 상기 제2 치료 모드 및 상기 제3 치료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치료 모드를 더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이명 잡음의 고저(pitch)를 측정하는 제1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의 음량을 측정하는 제2 검사 모드, 상기 이명 잡음보다 큰 음량을 갖는 외부 음향에 대하여 상기 이명 잡음을 들리지 않게 하는 최소 음량을 측정하는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외부 음향의 청취 후에 발생하는 상기 이명 잡음의 변화를 측정하는 제4 검사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이명 치료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은 상기 제1 검사 모드, 상기 제2 검사 모드, 상기 제3 검사 모드 및 상기 제4 검사 모드를 연속적으로 실행하는 연속 검사 모드를 더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검사음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검사음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 동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반응 동작은 피검자가 고개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이명 잡음보다 작은 음량을 갖는 외부 잡음을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자연 음향 및 음악을 선택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를 통한 상기 제2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자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치료 모드의 선택 시, 이명 잡음의 발생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 잡음은 삐 소리, 종소리, 쇳소리, 물 흐르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맥박 소리, 기계 소리, 곤충 울음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명 잡음의 발생원은 상기 이명 잡음에 대응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벨, 종, 자연, 심장, 기계, 곤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폐쇄형 시야(closed-view)를 제공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구비하는, 이명 치료 시스템.
KR1020160161874A 2016-11-30 2016-11-30 이명 치료 시스템 KR101802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74A KR101802995B1 (ko) 2016-11-30 2016-11-30 이명 치료 시스템
PCT/KR2017/010248 WO2018101590A1 (ko) 2016-11-30 2017-09-19 이명 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74A KR101802995B1 (ko) 2016-11-30 2016-11-30 이명 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995B1 true KR101802995B1 (ko) 2017-11-29

Family

ID=6081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74A KR101802995B1 (ko) 2016-11-30 2016-11-30 이명 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2995B1 (ko)
WO (1) WO201810159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81B1 (ko) 2017-12-22 2018-11-12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KR20190117915A (ko) * 2018-04-09 2019-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이명치료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치료용 장치구동 방법
WO2019217476A1 (en) * 2018-05-09 2019-11-14 Otoharmo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nnitus sound therapy
KR20200089392A (ko) 2019-01-17 2020-07-27 한창용 개인 청력상태에 따른 이명 자가 치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755B (zh) * 2020-10-10 2022-09-06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沉浸式耳鸣虚拟vr生物反馈治疗仪
WO2024094713A1 (en) * 2022-10-31 2024-05-10 Neurovr B.V. Tinnitus treatmen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229Y1 (ko) 2001-02-26 2001-11-16 휴먼센스 주식회사 이명 치료기
KR100958570B1 (ko) 2008-03-13 2010-05-17 이현태 이명재훈련치료법을 위한 이명치료기
US20140257131A1 (en) 2011-06-22 2014-09-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Auditory stimulus for auditory rehabil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1216A (en) * 1995-05-25 1996-11-27 Philips Electronics Uk Ltd Display headset
KR100399768B1 (ko) * 2000-12-26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폰이 일체로 설치된 헤드 장착용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229Y1 (ko) 2001-02-26 2001-11-16 휴먼센스 주식회사 이명 치료기
KR100958570B1 (ko) 2008-03-13 2010-05-17 이현태 이명재훈련치료법을 위한 이명치료기
US20140257131A1 (en) 2011-06-22 2014-09-11 Massachusetts Eye & Ear Infirmary Auditory stimulus for auditory rehabilita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781B1 (ko) 2017-12-22 2018-11-12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WO2019124873A1 (ko) * 2017-12-22 2019-06-27 서종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이석 제거 방법
KR20190117915A (ko) * 2018-04-09 2019-10-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이명치료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치료용 장치구동 방법
KR102080591B1 (ko) * 2018-04-09 2020-02-24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이명치료 시스템
WO2019217476A1 (en) * 2018-05-09 2019-11-14 Otoharmo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nnitus sound therapy
KR20200089392A (ko) 2019-01-17 2020-07-27 한창용 개인 청력상태에 따른 이명 자가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90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995B1 (ko) 이명 치료 시스템
US10824232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953539C (en) Voice affect modification
US10345901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Garner et al. A preliminary experiment to assess the fear value of preselected sound parameters in a survival horror game
Kidd Jr Enhancing auditory selective attention using a visually guided hearing aid
US9191764B2 (en) Binaural audio signal-based applications
McCreadie et al. Is sensorimotor BCI performance influenced differently by mono, stereo, or 3-D auditory feedback?
Gripper et al. Using the Callsign Acquisition Test (CAT) to compar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air versus bone conduction
US11779275B2 (en) Multi-sensory, assistive wearable technology, and method of providing sensory relief using same
Geronazzo et al. Creating an audio story with interactive binaural rendering in virtual reality
Cowan et al. Effects of sound on visual realism perception and task performance
KR101967364B1 (ko) 청각 검사 시스템 및 청각 검사 방법
Irwin et al. Neur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speech percep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ithin an audiovisual context
TWI626037B (zh) Virtual reality system for psychological clinical application
Eaton et al. BCMI systems for musical performance
Petry et al. Scaffolding the Music Listening and Music Making Experience for the Deaf
KR20160109101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진단 시스템
Carvalho et al. Multisensory Experience for People with Hearing Loss: A Preliminary Study Using Haptic Interfaces to Sense Music
Ménard et al. Effects of somatosensory perturbation on the perception of French/u
US20230338698A1 (en) Multi-sensory, assistive wearable technology, and method of providing sensory relief using same
Horton Pedestrian Safety with Personal Listening Devices
Pearlman The Theatre of Your Mind (For Real)
Saito et al. The effect of native language and bilingualism on multimodal perception in speech: A study of audio-aerotactile integration
Libesman Great expectations! How predictions about the magnitude of a forthcoming sound affect its perceptual and neural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