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97402A1 -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97402A1
WO2018097402A1 PCT/KR2017/001625 KR2017001625W WO2018097402A1 WO 2018097402 A1 WO2018097402 A1 WO 2018097402A1 KR 2017001625 W KR2017001625 W KR 2017001625W WO 2018097402 A1 WO2018097402 A1 WO 20180974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lon
disease
protein
lactic acid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6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riority to DK17874171.6T priority Critical patent/DK3453718T3/da
Priority to CN201780030631.XA priority patent/CN109153706B/zh
Priority to US16/303,208 priority patent/US11213565B2/en
Priority to EP17874171.6A priority patent/EP3453718B1/en
Priority to JP2018560069A priority patent/JP6586248B2/ja
Publication of WO20180974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974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Lactobacillus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46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lactic acid bacteria (Streptococcus; Lactococcus; Lactobacillus; Pediococcus; Enterococcus; Leuconostoc; Propionibacterium; Bifidobacterium; Sporolacto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41Pediococcus
    • A23V2400/427Pentosac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Colorectal disease includes colorectal cancer, colitis, irritable bowel syndrome, Crohn's disease, and the like, and generically refers to various diseases occurring in the large intestine.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lorectal diseas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frequent stress, westernized eating habits and drinking.
  •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increased from 75,193 in 2007 to 11,504 in 2011, and the amount of colorectal cancer increased from 336 billion won in 2007 to 515 billion won in 2011. It was.
  • Fluoropyrimidine-based drugs such as 5-fluorouracil (5-FU, fluorouracil), UFT (tegafur-uracil), capecitabine and irinotecan irinotecan), oxaliplatin,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nd bevacizumab (trade name Avastin) and cetuximab (ertutux) have been developed as target therapeutics.
  • bevacizumab trade name Avastin
  • cetuximab ertutux
  • probiotics are strains tha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when ingested and reaches the intestines.
  • Most probiotics known to date are lactobacillus, which is a generic term for bacteria that ferment saccharides to obtain energy and produce large amounts of lactic acid.
  • lactic acid bacteria to patients with colorectal diseases including colorectal cancer and colitis, such as “a new Korean lactic acid bacterium that inhibits the activity of harmful enzymes in the intestine and its use (KR 10-0232639 B1)” and Techniques for using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nano-type kimchi lactic acid bacteria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intestinal environment (KR 10-2016-0084822 A)”, have been developed, but for identifying and using proteins as active ingredients in lactic acid bacteria. The technology for this is incomplete developm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rified protein isolated from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amnosus) having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against colorectal cancer. A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the medical field as a natural protein bowel disease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probiotics refers to a strain that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when ingested and reaches the intestine.
  • Most probiotics known to date are lactic acid bacteria and contain some Bacillus. Russian scientist Elie Mechinikoff has been studying the functiona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probiotics since winning the Nobel Prize, revealing that Bulgarians live longer because of their consumption of fermented milk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 probiotics lactic acid bacteria and other bacteria must survive gastric acid and bile acids, reach the small intestine, proliferate and settle in the intestine, show useful effects in the intestine, be nontoxic and non-pathogenic.
  • lactic acid bacteria is also referred to as lactic acid bacteria, a generic term for bacteria that ferment sugars to obtain energy and produce large amounts of lactic acid.
  • the name "lactic acid bacteria” is idiomatic and does not refer to a taxonomic position. Suitable for the defin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re Lactobacillus (Lactobacillus), Lactococcus (Lactococcus), Leukonostoc (Leuconostoc), Pediococcus (Pediococcus), Bifidobacterium (Bifidobacterium).
  • Lactic acid bacteria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natural world,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to human and animal bodies. Lactococcus develops at 10 ° C but not at 45 ° C, and normally ferments at approximately 30 ° C. As a starter of dairy products, many species are used for food processing.
  • Pediococcus is a normal fermenting cocci that have four cell arrays. It is classified into 8 kinds of species by growth temperature, luminous mineralization, etc. Pediococcus is a major bacterium involved in fermentation along with leukonostok and has little relationship with the animal's living body. Leukonostok is an abnormally fermenting streptococcus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bacteria by sugar decomposition, growth, and growth pH. Lactobacillus is divided into two types of normal fermentation and abnormal fermentation. It is classified into 55 species and 11 subspecies according to growth temperature, glycolysis, growth and beneficiation of production lactic acid.
  • Lactobacillus is a representative lactic acid bacterium and is used in various fermented foods, and as an intestinal flora, it has an important relationship with human and animal health.
  • Bifidobacterium is a malformed anaerobic Gram-positive bacillus that produces abnormally fermentation, mainly producing lactic acid and acetic acid as final products.
  • P8 protein (Protein No. 8) means a protein fragment of 8KDa size extracted from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amnosus) by the production method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 or the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 and has an effective effect in treating colon disease.
  • vector refers to a small autonomic DNA having a small capacity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nd propagating a gene into a host in a recombinant DNA experiment.
  • plasmids and bacteriophages are used.
  • the conditions of the vector are to be inserted into the cell efficiently, to have a site that can be cut with restriction enzymes for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DNAs, to be screened due to drug resistance, and to have a label gene. .
  • the vector is meant to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DNA encoding the P8 protein or the active site of the P8 protein.
  • transformation is the result of DNA chain fragments or plasmids with genes of a different type from those of the original cells infiltrating between the cells and binding to the DNA present in the original cells. This means that the genotype of the cell is changed. Transformation is commonly observed in bacteria and can also be achieved through artificial genetic manipulation. A cell or an individual whose genotype has been changed by the transformation is called a “transformer”. Specifically, cells that have transformed by taking DNA that is not their own are called transformed receiving cells. Transformed recipient cells can spread new genotypes through conjugation and transduction. When a new trait of a bacteria transformed through a virus such as bacteriophage is transferred to another bacterium, it is called transduction or transduction. Transduction is different from transformation in that the virus is involved.
  • the transformant refers to a cell or an individual whose genotype has been changed by insertion of the P8 protein or a vector containing a DNA encoding an active site of the P8 protein, and the cell whose genotype is changed is a lactic acid bacterium. It is preferable, but not limited to this.
  • colon disease is a generic term for a variety of diseases that occur in the col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preferably colon cancer, colon polyps, colitis, ischemic bowel disease, dysentery, intestinal vascular dysplasia , Diverticulosis, irritable bowel syndrome, Crohn's disease, and the like.
  •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ans a composition to be administered for a specific purpo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r more prote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2 to 10, or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2 to 10 It may be a composition comprising one or more proteins selecte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y include a protein involved therein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Sai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means that which has been approved by the governmental regulatory authority, or listed in government or other generally approved pharmacopoeia for use in vertebrates, and more particularly in humans. d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suspensions, solutions or emulsions in oily or aqueous carriers, may be prepared in solid or semisolid form, but most preferably in liquid form.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mulating agents such as suspending, stabilizing, dissolving and / or dispersing agents and may be steriliz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stable under the conditions of manufacture and storage, and may be preserved against the contaminating action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or fungi.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sterile powder form for reconstitution with a suitable carrier prior to us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ay be in unit-dose form, in microneedle patches, in ampoules, or in other unit-dose containers, or in multi-dose container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stored in a freeze-dried (freeze-dried) state, which requires the addition of a sterile liquid carrier, eg, water for injection just before use.
  • a sterile liquid carrier eg, water for injection just before use.
  • Immediately injectable solutions and suspensions may be prepared as sterile powders, granules or table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a liquid or included in the form of microspheres in the liquid.
  • excipients suitable fo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eservatives, suspending agents, stabilizers, dyes, buffers, antibacterial agents, antifungal agents, and isotonic agents, for example, sugars or sodium chloride.
  • stabilizer refers to a compound that is optional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shelf life.
  • the additional stabilizer can be a sugar, an amino acid, or a polym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the carrier may be a solvent or a dispersion medium.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water, saline, ethanol, polyols (eg glycerol, propylene glycol and liquid polyethylene glycols), oils, and suitable mixtures thereof.
  • steriliz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iltration through bacterial-inhibiting filters, complete sterilization, incorporation of sterile preparations, irradiation, sterile gas irradiation, heating,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do.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to the patient in any suitable wa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via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May be administered.
  • oral administration in the form of a powder, tablet, capsule, or liquid formulation is most preferred.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method of treating the desired ind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the effective amount is defined as the type of disease,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type and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other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the type and formulation of the patient and the age, body weight, general health condition, sex and diet,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rate of secretion of the composition,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drugs used concurrently.
  • a protein comprising at least one amino acid seque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 8, 9, and 10, wherein the protein is a protein represented by SEQ ID NO: 2
  • the protein provides a protein, characterized in that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th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aracasei) ,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pentosaceus, and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brevis) provides a protein which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obacillus ramnosus (Lactobacillus rhamnosus) is provi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on disease comprising a protein containing any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 8, 9, and 10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lon disease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orectal cancer, colon polyps, colitis, ischemic bowel disease, dysentery, intestinal vascular dysplasia, diverticulosi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rohn's disease
  • the colon disease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lorectal disease.
  • the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lon disease comprising a protein containing any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8, 9, and 10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lon disease i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orectal cancer, colon polyps, colitis, ischemic bowel disease, dysentery, intestinal vascular dysplasia, diverticulosi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rohn's diseas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 the colon disease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lorectal disease.
  • a vector prepared to express a protein comprising any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8, 9, and 10 is provided.
  • transformation except for humans comprising a vector prepared to express a protein comprising any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8, 9, and 10 A sieve is provided, and the transformant provides a transformant which is a lactic acid bacterium, and the lactic acid bacterium provides a transformant which is Pediococcus pentosaceus.
  • transformation except for humans comprising a vector prepared to express a protein comprising any one or more amino acid sequenc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 ID NOs: 8, 9, and 10
  • the transforman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lon disease, which is a lactic acid bacterium, the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pentosaceus (Pediococcus pentosaceus)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lorectal disease
  • the colon disease is a group consisting of colon cancer, colon polyps, colitis, ischemic bowel disease, dysentery, intestinal vascular dysplasia, diverticulosis, irritable bowel syndrome
  • a transformant other than a human comprising a vector prepared to express a protein comprising at least one amino acid sequenc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teins represented by SEQ ID NOs: 8, 9, and 10 I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lon disease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the transformant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colon disease, which is a lactic acid bacteria, the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pentosaceus (Pediococcus pentosaceus) A method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colorectal diseases is provided.
  • the colorectal diseases are colon cancer, colorectal polyps, colitis, ischemic bowel disease, dysentery, intestinal vascular dysplasia, diverticulosis,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Crohn's disease. It provides any one or more selected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e bowel disease, the bowel disease is large Cancer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colorectal disease.
  • lactic acid bacteria as a therapeutic agent for colorectal diseases including colorectal cancer, colitis, irritable bowel syndrome, Crohn's disease, etc. is a well-known technique, but a technique for identifying and using a protein as an active ingredient in lactic acid bacteria has not been developed. It wa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he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rified protein isolated from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amnosus) excellent in the treatment effect against colorectal cancer and demonstrates a remarkable effect on colon diseas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medicine as a natural protein bowel disease treatment.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separating the Lactobacillus ramnosus cell lysate by size by chromatogra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parate the protein and the low molecular weight material.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step of the protein purific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equence by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sequencing) the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active site sequence sharing between the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s having high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nhibiting cell growth after P8 protein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lon cancer cell lines DLD-1 and HT-2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nhibiting cell viability after treatment with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lon cancer cell line DLD-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confirmed the cytotoxicity after treatment of the P8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NIH3T3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nhibiting cell mobility after P8 protein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lon cancer cell line DLD-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of cancer tissue after P8 protein treatment in a colon cancer xenograft mouse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lorectal cancer cell line DLD-1 cells were cultured in 6 well-plates at a density of 1.5 ⁇ 10 6 cells / well and P8 protein of the invention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 ⁇ g / ml, or 10 ⁇ g / ml. This was incubated for 24 to 48 hours, washed twice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reacted for 20 to 40 minutes after 1 ml treatment of LIVE / DEAD viability / cytotoxicity staining kit. By the staining, the living cells are dyed green and the dead cells are red.
  • the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when the P8 protein was treated in colon cancer cell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Co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treated P8 protein was increased. As the P8 protein treatment time increased, the viability of the colorectal cancer cell line was inhibited.
  • Example 1-1 Lactic acid bacteria Purification of Protein
  • lactic acid bacteria culture supernatant or cell lysate were treated with colon cancer cell line DLD-1 to confirm anticancer activity.
  • Lactobacillus rhamnosus (KCTC 12202BP) cell lysate with the best anticancer activity was selected.
  • the protein-only compartment was dialyzed with 20 mM Tris buffer (pH 8.0), the protein that was not adsorbed on HiTrap DEAE FF (GE Healthcare) was recovered and concentrated on a 3KDa size membrane. Redialysis with a solution of 0.05 M phosphate pH 6.0 was adsorbed onto HiTrap DEAE SP (GE Healthcare) and separa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 concentration gradient of 0.5 M sodium chloride. The separated fractions were treated with colon cancer cells to confirm the anticancer activity. The fractions with the best anticancer activity were concentrated and confirmed on SDS-PAGE. The 8KDa-sized protein was isolated and named as “P8 protein”. Step results of the P8 protein preparation process are described in FIG. 2.
  • Example 1-2 Lactic acid bacteria Identification of Protein
  • Example 1-1 P8 protein purified by the method of Example 1-1 was subjected to Coomassie Blue-250 staining and subjected to Malti-TOF,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Lactobacillus rhamnosus] ”was calculated, and the protein was transferred to the PVDF membrane and identified through N-terminal amino acid sequencing. As a result, the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was ATVDPEKTLF.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primers were prepared as shown in Table 1 using the DNA sequence of the "unspecified protein LGG_02452" as a template, and the sequencing (sequencing) was performed by PCR. As shown in Table 2, the nucleotide sequence and the amino acid sequence were confirmed.
  • Example 1-3 Lactic acid bacteria Identification of active site of protein
  • Table 4 lists the sequences of three active site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sequence homology between the P8 protein and the proteins described in Table 3. 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equence sharing of active sites between the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s.
  • Lactobacillus species SEQ ID NO: P8 protein ”and the sequence of lactic acid bacteria-derived similar protein Lactobacillus rhamnosus SEQ ID NO: 2 (P8 protein) ATVDPEKTLFLDEPMNKVFDWSNSE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DMSDDEVKALAEKVLKK Lactobacillus acidophilus SEQ ID NO: 3 ADEIIKTALLDRHMKEAFDWSDSDMPVRDALWDYFMEKNGEDMLPFLRDTMKTEKDSDEKIEAFVNENLKK Lactobacillus paracasei SEQ ID NO: 4 ASVDPEKTLFLDEPMNKVFDWSDSE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DMSDDEVKALAEKVLKK Lactobacillus plantarum SEQ ID NO: 5 AAAVEMNSMLDEKMTDVFDWSDSKLPVRDAIWNHFMDADSHDTDKTADEVAPYMSMDEAKLKSEVEK
  • Example 1-4 Lactic acid bacteria Anti-cancer effect of protein active site
  • Colon cancer cell line DLD-1 cells were incubated in 96-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4 cells / well, and the active sites 1 to 3 (SEQ ID NOs. 8 to 10) of Example 1-3 were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 ⁇ g / ml. Added. As a negative control, 0.1% PBS, a buffer used for protein purification, was used. After incubating for 24 hours, 10 ⁇ l / well of the cell viability measurement kit (Dojindo Cell count kit WST-8) was treated and reacted for 2 hours. This was measured for absorbance at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USA, Japan), and the measured value was calculated as cell survival rat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growth of the colorectal cancer cell line DLD-1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active site 1 to 3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 the active sites 1 to 3 SEQ ID NOs. 8 to
  • Example 2-1 Check cell viability
  • Colon cancer cell lines DLD-1 and HT-29 cells were each incubated in 96-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4 cells / well, and the P8 protein of Example 1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0.39 ⁇ g / ml to 100 ⁇ g / ml. It was. As a negative control, 0.1% PBS, a buffer used for protein purification, was used. After incubating for 24 hours, 10 ⁇ l / well of the cell viability measurement kit (Dojindo Cell count kit WST-8) was treated and reacted for 2 hours. This was measured for absorbance at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USA, Japan), and the measured value was calculated as cell survival rat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P8 protein showed about 20% of the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colon cancer cell lines DLD-1 and HT-29,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growth inhibition of cancer cells.
  • Colon cancer cell line DLD-1 cells were cultured in 6-well plates at a density of 1.5 ⁇ 10 6 cells / well, and the P8 protein of Example 1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 ⁇ g / ml, or 10 ⁇ g / ml. This was incubated for 24 to 48 hours, washed twice with phosphate buffer solution, and reacted for 20 to 40 minutes after 1 ml treatment of LIVE / DEAD viability / cytotoxicity staining kit. By the staining, the living cells are dyed green and the dead cells are red. The cells were identified under a fluorescence microscope to confirm the degree of viability inhibi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a cytotoxicity test of BSA bovine serum albumin was performed with P8 protein and positive control group expressed in NIH3T3 cells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s).
  • NIH3T3 cells were incubated in 96-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4 cells / well, and PSA protein purified by BSA and mass expression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0.39 ⁇ g / ml to 100 ⁇ g / ml.
  • 10 ⁇ l / well of the cell viability measurement kit (Dojindo Cell count kit WST-8) was treated and reacted for 2 hours. This was measured for absorbance at 4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USA, Japan), and the measured value was calculated as cell survival rate.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survival rate of the P8 protein treated cel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BSA treated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cytotoxicity by the P8 protein itself.
  • DLD-1 cells which are colorectal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P8 protein of Example 1 daily at a concentration of 1 ⁇ g / ml for 1 day, 3 days, or 7 days, and then each cell was divided into 6-well plates. Aliquoted DLD-1 cells were incubated overnight, and then scratched onto plates in which the cells were being cultured using 200 ⁇ l tips. After washing twice with PBS to remove the suspended solids according to the scratch and further incubated for 24 hour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 the scratch site was almost filled with cells in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P8 protein, whereas the rate of scratch filling wa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P8 protein.
  • the movement speed of the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ersistence (1 day, 3 days, or 7 days) of treatment with the P8 protein.
  • the rate of cell migration was 15.7% for 1 day, 45.9% for 3 days, and 58.3% for 7 days compared to the area filled with cells in the control group without P8 protei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adation.
  • DLD-1 Human-derived colorectal cancer cell line
  • cancer tissue sections were prepared at the end of the trocar, and the front side of the animal was cut in about 4 mm, and the trocar was prepared by inserting the trocar into the interbody side of the back of the left cell.
  • the trocar was lightly and quickly rotated and rotated 360 degrees to remove the cancer tissue section at the desired point, and the dissection site was disinfected. Promoted over the skin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cancer tissue section, and observed the growth of the cancer at least twice a week, only mice showing successful transplantation were selected and used in the experiment.
  • Colorectal cancer xenograft models prepared by the method of Example 3-1 were grouped as shown in Table 5, and the dru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wice a week for four weeks, for a total of eight times.
  • Tumor size was measured using a vernier caliper once every two days during the drug administration perio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calculated in volume according to the formula shown in Table 6. Tumors were extracted and photographed after completion of a total of eight administrations. The volumetric graph and photographs of tumors extracted from the mice are described in FIG. 9.
  • Tumor volume ⁇ Length of major axis x (length of major axis x length of minor axis) ⁇ / 2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he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rified protein isolated from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excellent in the treatment effect against colorectal cancer and has demonstrated a remarkable effect on colon disea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medicine as a natural protein bowel disease treatment.
  • lactic acid bacteria-derived prote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rified protein isolated from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rhamnosus) excellent in the treatment effect against colorectal cancer and has demonstrated a remarkable effect on colon disea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medicine as a natural protein bowel disease treatment.
  • SEQ ID NO: 1 (Lactobacillus rhamnosus, DNA)
  • gcaacagtag atcctgaaa gacattgttt ctcgatgaac caatgaacaa ggtatttgac tggagcaaca gcgaagcacc tgtacgtgat gcgctgtggg attattacat ggaaaagaac agccgtgata ccatcaagac tgaagaagaa atgaaaccag tcctagacat gtccgagaggatccagtcaa
  • SEQ ID NO: 2 (Lactobacillus rhamnosus, PRT)
  • SEQ ID NO: 4 (Lactobacillus paracasei, PRT)
  • SEQ ID NO: 5 (Lactobacillus plantarum, PRT)
  • SEQ ID NO: 6 Pediococcus pentosaceus, PRT
  • SEQ ID NO: 7 (Lactobacillus brevis, PRT)
  • SEQ ID NO: 8 (Lactobacillus rhamnosus, PRT)
  • SEQ ID NO: 9 (Lactobacillus rhamnosus, PRT)
  • SEQ ID NO: 10 (Lactobacillus rhamnosus, P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유래 단백질은 대장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으로부터 분리한 정제 단백질로서 대장질환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입증하였으므로, 천연 단백질 대장질환 치료제로서 의학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장질환이란 대장암, 대장염, 과민성대장증후군, 크론병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대장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질병을 총칭한다. 현대에는 잦은 스트레스와 서구화된 식습관, 음주 등의 영향으로 대장질환 환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년 대장암 진료비 보고서에 따르면, 대장암 환자 수는 2007년 7만 7,193명에서 2011년 11만 3,504명으로 증가하였고, 대장암 진료비는 2007년 3,360억원에서 2011년 5,148억원으로 증가하였다. 대장암 치료를 위하여 합성화합물로서의 5-플루오로유라실(5-FU, fluorouracil), UFT(tegafur-uracil),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등의 플루오로피리미딘(flouropyrimidine)계열 약물들과 이리노테칸(irinoteca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표적치료제인 베바시주맙(bevacizumab, 상품명 아바스틴) 및 세툭시맙(cetuximab, 상품명 얼비툭스)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고농도 투여 및 장기적 사용에 따른 부작용 위험이 높아 천연물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프로바이오틱스란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에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들이며, 유산균이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이다. 대장암 및 대장염을 포함하는 대장질환 환자들에게 유산균을 투여하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장내 유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한국형 유산균 및 그의 용도(KR 10-0232639 B1)” 및 “장내환경개선효과를 갖는 나노형 김치 유산균 조성물(KR 10-2016-0084822 A)” 등 유산균을 대장질환 치료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유산균 내에서 유효성분으로서의 단백질을 확인하고 이용하는 것에 대한 기술은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 유래 단백질은 대장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으로부터 분리한 정제 단백질로서 대장질환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입증하였으므로, 천연 단백질 대장질환 치료제로서 의학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란,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에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들이며 일부 바실러스(Bacillus) 등을 포함하고 있다. 러시아의 과학자 메치니코프(Elie Mechinikoff)가 불가리아 사람들이 장수를 누리는 이유가 락토바실러스로 발효된 발효유의 섭취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내어 노벨상을 받은 이래로 유산균,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은 오랫동안 연구되고 있다. 유산균을 비롯한 세균들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여야 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하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사람의 장에는 약 1㎏의 균이 서식하고 있으며 음식물의 양과 균의 양이 거의 동일하게 존재하고, 매일 배설하는 분변 내용물도 수분을 제외하면 약 40%를 균이 차지한다. 사람의 분변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거의 균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균의 99% 정도는 혐기성 균이다. 모유를 먹는 건강한 아기의 경우, 분변 균 중 90% 이상이 비피도박테리움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나이가 들면서 점차 비피도박테리움은 감소하고 장내 유해균은 증가하게 된다(Bifido Microfl 7:35-43, 1998). 이러한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 장내 균총의 분포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란, 젖산균이라고도 명명하며,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고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의 총칭이다. “유산균”이라고 부르는 이름은 관용명이고 분류학적인 위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유산균의 정의에 적합한 것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류코노스토크(Leuconostoc),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등의 균속이다. 형태적으로는 구균(락토코커스, 페디오코커스, 류코노스토크)과 간균(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으로 나누어지고 그람(Gram) 염색성은 양성이다. 어느 것이나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잘 발육하여 각종 당으로부터 젖산을 생성한다. 산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영양요구성은 매우 복잡하여 당류 이외에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나 비타민을 요구하며 균종, 균주에 따라 미량 영양소를 가하지 않으면 생육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유산균은 농산물이나 식품에서부터 사람이나 동물의 몸까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확실한 생육처를 알 수 없는 것도 있다. 락토코커스는 10℃에서 발육하지만 45℃에서는 발육하지 않고, 최적온도가 30℃ 전후의 구균으로 정상발효를 한다. 유제품의 스타터(starter)로서 식품가공에 사용되는 균종이 많다. 페디오코커스는 정상발효를 하는 구균으로 4련의 세포배열을 한다. 생육온도, 유산의 선광성 등에 의해 8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페디오코커스는 류코노스토크와 함께 발효에 관련된 주요 균으로서 동물의 생체와는 관계가 적다. 류코노스토크는 이상발효하는 연쇄구균으로 당 분해, 성장, 생육 pH 등에 의해 4종류의 균종으로 분류된다. 락토바실러스는 정상발효와 이상발효를 하는 2종류로 대별되는데 생육온도, 당분해, 성장, 생성 유산의 선광성 등에 따라 55균종 11아균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는 대표적인 유산균으로서 각종 발효식품에 사용되고 또한 장관 상재 균총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건강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 비피도박테리움은 이상발효를 하는 편성혐기성 그람 양성 간균으로서 주로 유산과 초산을 최종산물로 생산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P8 단백질(Protein No.8)”이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으로부터 추출된 8KDa 크기의 단백질 단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P8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정의될 수 있고, 대장질환 치료에 유효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벡터(vector)”란, 재조합 DNA 실험에서, 유전자를 숙주에 도입하여 증식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형의 자율 증식능이 있는 DNA를 의미한다. 보통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오파지가 사용된다. 벡터의 조건은 세포 내에 효율적으로 삽입될 것, 다른 DNA를 조합 삽입할 수 있도록 제한 효소로 절단할 수 있는 부위가 있을 것, 약제 내성이 있어 선별할 수 있을 것, 표지 유전자가 있어야 하는 것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벡터는 P8 단백질 또는 P8 단백질의 활성 부위를 코딩하는 DNA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란, 원래의 세포가 가지고 있던 것과 다른 종류의 유전자가 있는 DNA사슬 조각 또는 플라스미드가 세포들 사이에 침투되어 원래 세포에 존재하던 DNA와 결합한 결과로 세포의 유전형질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형질전환은 세균(Bacteria)에서 흔히 관찰되며 인공적인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형질전환에 의해서 유전형질이 변화된 세포 또는 개체를 “형질전환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자신의 것이 아닌 DNA를 받아들여 형질전환이 일어난 세포를 형질전환 수용세포라 한다. 형질전환된 수용세포는 접합과 형질도입을 통해 새로운 유전형질을 확산시킬 수 있다.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바이러스를 매개로 하여 형질전환된 박테리아의 새로운 형질이 다른 박테리아로 옮겨가는 경우에는 형질도입, 또는 형질이입이라 한다. 형질도입은 바이러스가 관여한다는 점에서 형질전환과는 다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형질전환체는 상기 P8 단백질 또는 P8 단백질의 활성 부위를 코딩하는 DNA를 포함하는 벡터의 삽입에 의해 유전형질이 변화된 세포 또는 개체를 의미하며, 상기 유전형질이 변화된 세포는 유산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대장질환”이란, 대장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질병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크론병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약학조성물”이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투여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서열번호 2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일 수 있고, 또는 서열번호 2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약학적 허용될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정부의 규제부에 의해 승인된 것이나, 또는 척추 동물, 그리고 보다 특별하게는 인간에게 사용을 위한 정부 또는 기타 일반적으로 승인된 약전에서 리스트된 것을 의미한다.
비경구적인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담체에 있는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될 수 있고, 고체 또는 반고체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액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현탁제, 안정화제, 용해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멸균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제조 및 저장의 조건 하에서 안정할 수 있고,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사용 전에 적절한 담체와 재구성을 위해 멸균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약학조성물은 단위-복용량 형태로, 마이크로니들 패치에, 앰플에, 또는 기타 단위-복용량 용기에, 또는 다-복용량 용기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은 단지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사용 바로 전에 주사용 물의 부가함을 요하는 동결-건조된(냉동건조)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즉시 주사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그래뉼 또는 타블렛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 비 제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액체로 제형화되어 질 수 있고, 또는 액체 속에 미립구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비 제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적절한 부형제는 보존제, 현탁제, 안정화제, 염료, 완충제, 항균제, 항진균제, 및 등장화제, 예를 들어, 설탕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안정화제"는 보존 수명을 증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된 화합물을 언급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에 있어서, 추가적인 안정화제는 당, 아미노산, 또는 폴리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담체는 용매 또는 분산 배지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물, 식염수, 에탄올, 폴리올 (예,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오일, 및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적용되는 멸균 기술의 비-제한적인 예는 세균-억제 필터를 통한 여과, 완전멸균화, 멸균 제제의 합체, 방사선 조사, 멸균 가스 조사, 가열,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경막 내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서 서열번호 2 내지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상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분말, 타블렛, 캡슐, 또는 액상 제형의 형태로 경구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하는 적응증의 치료 방법은 상기 약학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제공하고,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단백질을 제공하며, 상기 단백질은 유산균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을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단백질을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인 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제조된 벡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제조된 벡터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형질전환체를 제공하고,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형질전환체를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형질전환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제조된 벡터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형질전환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단백질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제조된 벡터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형질전환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대장암, 대장염, 과민성대장증후군, 크론병 등을 포함하는 대장질환에 대하여 유산균을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나, 유산균 내에서 유효성분으로서의 단백질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기술은 개발이 미비하였다.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 유래 단백질은 대장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으로부터 분리된 정제 단백질로서 대장질환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입증하였으므로, 천연 단백질 대장질환 치료제로서 의학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 균체파쇄액을 크로마토그래피로 크기별 분류하여 단백질과 저분자 물질로 분리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8 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한 단백질 정제 과정 중 단계별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8 단백질을 아미노산 서열 분석(시퀀싱)하여 서열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P8 단백질과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이 큰 유산균 유래 단백질들간의 활성부위 서열 공유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장암 세포주 DLD-1과 HT-29에 본 발명의 P8 단백질 처리 후 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장암 세포주 DLD-1에 본 발명의 P8 단백질 처리 후 세포 생존능력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IH3T3 세포에 본 발명의 P8 단백질 처리 후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장암 세포주 DLD-1에 본 발명의 P8 단백질 처리 후 세포 이동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장암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P8 단백질 처리 후 암 조직의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대장암 세포주 DLD-1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1.5 x 106cells/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본 발명의 P8 단백질을 1 ㎍/㎖, 또는 10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를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LIVE/DEAD 생존성/세포독성 키트(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staining kit) 1㎖ 처리 후 20~4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염색에 의해서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 죽은 세포는 붉은색으로 염색된다. 상기 세포를 형광현미경 하에서 확인하여 생존성 억제 정도를 확인한 결과, 대장암 세포에 P8 단백질 처리 시 음성 대조군(Cont.)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된 P8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는 P8 단백질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장암세포주의 생존능력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유산균 유래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실시예 1-1. 유산균 유래 단백질의 정제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 배양 상등액 또는 균체파쇄액을 대장암 세포주인 DLD-1에 처리하여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중 항암활성이 가장 좋은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KCTC 12202BP) 균체파쇄액을 선별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 균체파쇄액으로부터 유효성분으로서 항암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고속 단백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GE 헬스케어) 장비로 크기 배재 크로마토그래피(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세파덱스G-25, 탈염 컬럼, GE 헬스케어)를 수행하여 단백질만을 분리하였다. 상기 단백질과 저분자 물질이 분리된 피크 그래프를 도 1에 기재하였다.
단백질만을 분리한 구획을 20mM 트리스 버퍼(Tris buffer, pH8.0)로 투석하고, 하이트랩 DEAE FF(HiTrap DEAE FF, GE 헬스케어)에 흡착하지 않은 단백질을 회수하여 3KDa 크기 멤브레인으로 농축한 뒤, 0.05M 인산염 pH 6.0의 용액으로 재투석하고, 하이트랩 DEAE SP (HiTrap DEAE SP, GE 헬스케어)에 흡착시키고, 0.5M 염화나트륨의 농도 구배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분획물별로 대장암 세포에 처리하여 항암활성을 확인하였고, 가장 항암활성이 좋은 분획물을 농축하여 SDS-PAGE에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8KDa 크기의 단백질을 분리하였고, 이를 “P8 단백질”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P8 단백질 제조 과정의 단계별 결과를 도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2. 유산균 유래 단백질의 동정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정제된 P8 단백질을 코마시 블루-250 염색 후 말티-토프 질량 분석(MALDI-TOF,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을 수행하여 “미규명 단백질 LGG_02452[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라는 아이디를 산출하였고, 상기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으로 전이하고 N-말단 아미노산 시퀀싱을 통하여 동정한 결과,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A-T-V-D-P-E-K-T-L-F 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미규명 단백질 LGG_02452”의 DNA 서열을 주형으로 표 1과 같이 프라이머를 제작하고, PCR 수행하여 서열분석(시퀀싱)한 결과, 표 2와 같이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서열을 확인하였다.
“미규명 단백질 LGG_02452”의 프라이머 서열
순행(F) 5'- atggaggtaatcattatggcaac-3'
역행(R) 5'- cttcttgagaaccttttctg-3'
서열 종류 서열번호 “P8 단백질”의 서열
염기서열 서열번호 1 gcaacagtagatcctgaaaagacattgtttctcgatgaaccaatgaacaaggtatttgactggagcaacagcgaagcacctgtacgtgatgcgctgtgggattattacatggaaaagaacagccgtgataccatcaagactgaagaagaaatgaaaccagtcctagacatgtccgacgatgaggtcaaagccctagcagaaaaggttctcaagaagtaa
아미노산서열 서열번호 2 ATVDPEKTLFLDEPMNKVFDWSNSE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DMSDDEVKALAEKVLKK
실시예 1-3. 유산균 유래 단백질의 활성부위 동정
실시예 1-1에서 정제된 P8 단백질의 활성부위를 추적하기 위하여, P8 단백질 서열과 유사한 유산균 유래 단백질들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P8 단백질과 표 3에 기재된 단백질들간의 서열 상동성을 분석하여 도출된 활성부위 3곳의 서열을 표 4에 기재하였다. 상기 유산균 유래 단백질들간의 활성부위 서열 공유 모식도를 도 4에 기재하였다.
유산균 종 서열번호 P8 단백질” 및 유산균 유래 유사 단백질의 서열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서열번호 2 (P8 단백질)ATVDPEKTLFLDEPMNKVFDWSNSE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DMSDDEVKALAEKVLKK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서열번호 3 ADEIIKTALLDRHMKEAFDWSDSDMPVRDALWDYFMEKNGEDMLPFLRDTMKTEKDSDEKIEAFVNENLKK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서열번호 4 ASVDPEKTLFLDEPMNKVFDWSDSE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DMSDDEVKALAEKVLKK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서열번호 5 AAAVEMNSMLDEKMTDVFDWSDSKLPVRDAIWNHFMDADSHDTDKTADEVAPYMSMDEAKLKSEVEKLLKA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서열번호 6 ATTLKTELLDQKMTEVFDWSNDQTPLRDAMWNHVMDDNGHDTMKTIAEAKKWENMNDAELKKTAEQMLK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서열번호 7 AVVEKTALLDEKMNEVFDWSDSKEPVRDALWNHFMESNGHNTDETEASMKEIDAKSDADVRSYVEDNLKK
크기 서열번호 활성부위 아미노산 서열
활성부위 1 25mer 서열번호 8 ATVDPEKTLFLDEPMNKVFDWSNSE
활성부위 2 33mer 서열번호 9 MNKVFDWSNSEAPVRDALWDYYMEKNSRDTIKT
활성부위 3 47mer 서열번호 10 APVRDALWDYYMEKNSRDTIKTEEEMKPVLMSDDEVKALAEKVLKK
실시예 1-4. 유산균 유래 단백질의 활성부위 항암 효과 확인
대장암 세포주 DLD-1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1x104cells/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실시예 1-3의 활성부위 1 내지 3(서열번호 8 내지 10)을 10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단백질 정제 시 사용한 완충용액인 0.1% PBS를 사용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 측정용 키트(Dojindo Cell count kit WST-8)를 웰당 10㎕씩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미국, 일본)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 측정하고, 측정값을 세포 생존율(Cell survival rate)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부위 1 내지 3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장암세포주 DLD-1의 세포 성장이 유의하게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시험관 내(in vitro) 유산균 유래 단백질(P8 단백질)의 항암효과 확인
실시예 2-1. 세포 생존율 확인
대장암 세포주 DLD-1과 HT-29 세포 각각을 96웰-플레이트에 1x104cells/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실시예 1의 P8 단백질을 0.39 ㎍/㎖에 내지 100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단백질 정제 시 사용한 완충용액인 0.1% PBS를 사용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 측정용 키트(Dojindo Cell count kit WST-8)를 웰당 10㎕씩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미국, 일본)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 측정하고, 측정값을 세포 생존율(Cell survival rate)로 산출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P8 단백질이 대장암세포주인 DLD-1과 HT-29에 대하여 약 20%의 세포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암세포의 성장 억제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항암효과 확인
대장암 세포주 DLD-1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1.5 x 106cells/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실시예 1의 P8 단백질을 1 ㎍/㎖, 또는 10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를 24시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인산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LIVE/DEAD 생존성/세포독성 키트(LIVE/DEAD viability/cytotoxicity staining kit) 1㎖ 처리 후 20~40분간 반응시켰다. 상기 염색에 의해서 살아있는 세포는 녹색, 죽은 세포는 붉은색으로 염색된다. 상기 세포를 형광현미경 하에서 확인하여 생존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대장암 세포에 P8 단백질 처리 시 음성 대조군(Cont.)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된 P8 단백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는 P8 단백질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대장암세포주의 생존능력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세포독성 확인
실시예 1의 P8 단백질의 세포독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NIH3T3 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에서 대량발현 시킨 P8 단백질과 양성대조군으로 BSA(bovine serum albumin)의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NIH3T3 세포를 96웰-플레이트에 각 1x104cells/웰의 밀도로 배양하고, BSA와 대량발현으로 정제한 P8 단백질을 0.39 ㎍/㎖에 내지 100 ㎍/㎖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생존율 측정용 키트(Dojindo Cell count kit WST-8)를 웰당 10㎕씩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 amersham, Biorad, 미국, 일본)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 측정하고, 측정값을 세포 생존율(Cell survival rate)로 산출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P8 단백질 처리된 세포의 생존율은 BSA 처리된 세포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P8 단백질 자체에 의한 세포독성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4. 대장암 세포의 이동성 억제 효과 확인
대장암 세포인 DLD-1 세포에 실시예 1의 P8 단백질을 1 ㎍/㎖의 농도로 1일, 3일, 또는 7일을 매일 처리한 후, 각각의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분주된 DLD-1 세포를 하룻밤 동안 배양 후, 200 ㎕ 팁(tip)을 이용하여 세포가 배양되고 있는 플레이트에 스크래치를 가하였다. 상기 스크래치에 따른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PBS로 두 번 세척한 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P8 단백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스크래치 부위가 세포로 거의 메워지는 것에 반해, P8 단백질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스크래치가 메워지는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P8 단백질을 처리한 시간의 지속성(1일, 3일, 또는 7일)에 비례하여 세포의 이동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계처리하여 확인해 보면, P8 단백질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세포로 메워진 면적에 비하여 P8 단백질을 1일 처리시 15.7%, 3일 처리시 45.9%, 7일 처리시 58.3%로 세포의 이동 속도가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생체 내(in vivo ) 유산균 유래 단백질(P8 단백질)의 항암효과 확인
실시예 3-1. 대장암 이종이식 모델의 제조
사람 유래 대장암 세포주(DLD-1)를 누드 마우스의 피하로 이식하여 이종이식 모델(xenograft model)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P8 단백질의 항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대장암 이종이식 모델의 제조를 위해 1x107cells/100㎕의 DLD-1 세포를 누드마우스의 피하에 이식하였다. 이식 10 내지 15일 후 종양세포의 이식 상태를 확인하였고, 안정적인 이식상태를 나타내는 마우스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찰을 실시하였다. 종양의 중심괴사(Central necrosis)가 일어나기 전에 충분한 혈액 공급으로 급속한 암 성장을 나타내는 마우스를 선별하여 암 조직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암 조직 중에서 주로 급속한 세포 분열이 발생하는 외각부위를 일정한 크기(3x3x3㎜)로 잘라 암 조직 절편(tumor fragment)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투관침(Trocar)의 끝에 암 조직 절편을 올려 준비하고, 동물의 촤즉후지 전측방을 약 4㎜가량 절개하고 이곳을 통하여 준비한 투관침을 삽입하여 좌측전지의 후방의 체간 측면부에 끝이 이르도록 하였다. 투관침을 가볍고 빠르게 돌려 360도 회전시키며 제거하여 암 조직 절편이 목표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고, 절제 부위는 소독하였다. 피부 위로 촉진하여 암 조직 절편의 위치를 확인하고, 주 2회 이상 암 성장을 관찰하여 성공적인 이식상태를 나타내는 마우스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2. 항암효과 확인
실시예 3-1의 방법으로 제조된 대장암 이종이식 모델을 표 5와 같이 그룹화하고, 주 2회씩 4주간, 총 8회 복강으로 약물을 투여하였다.
그룹 약물 투여
G1 NC PBS
G2 PC1 항암제: 플루러유사실(5- fluorouracil)_10mg/Kg
G3 PC2 항암제: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_ 4mg/Kg
G4 T1 P8 단백질_1mg/Kg
G5 T2 P8 단백질_5mg/Kg
G6 T3 P8 단백질_10mg/Kg
약물 투여 기간 중 2일마다 1회씩 버니어캘리퍼스를 사용하여 종양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표 6에 기재된 수식에 따라 부피로 산출하였다. 총 8회 투여 종료 후 종양을 적출하여 사진촬영하고, 상기 부피 산출 그래프 및 마우스로부터 적출된 종양의 사진을 도 9에 기재하였다.
종양의 부피 {장축의 길이 x (단축의 길이 x 단축의 길이)}/2
실험 결과, 처리된 모든 농도의 P8 단백질 실험군에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수준의 암 성장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P8 단백질이 10mg/Kg 이상의 농도로 처리될 경우에는 기존 항암제를 능가하는 수준의 암 성장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산균 유래 단백질은 대장암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으로부터 분리한 정제 단백질로서 대장질환에 대하여 현저한 효과를 입증하였으므로, 천연 단백질 대장질환 치료제로서 의학 분야에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열번호 1(Lactobacillus rhamnosus, DNA)
gcaacagtag atcctgaaaa gacattgttt ctcgatgaac caatgaacaa ggtatttgac tggagcaaca gcgaagcacc tgtacgtgat gcgctgtggg attattacat ggaaaagaac agccgtgata ccatcaagac tgaagaagaa atgaaaccag tcctagacat gtccgacgat gaggtcaaag ccctagcaga aaaggttctc aagaagtaa
서열번호 2(Lactobacillus rhamnosus, PRT)
Ala Thr Val Asp Pro Glu Lys Thr Leu Phe Leu Asp Glu Pro Met Asn Lys Val Phe Asp Trp Ser Asn Ser Glu Ala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p Tyr Tyr Met Glu Lys Asn Ser Arg Asp Thr Ile Lys Thr Glu Glu Glu Met Lys Pro Val Leu Asp Met Ser Asp Asp Glu Val Lys Ala Leu Ala Glu Lys Val Leu Lys Lys
서열번호 3(Lactobacillus acidophilus, PRT)
Ala Asp Glu Ile Ile Lys Thr Ala Leu Leu Asp Arg His Met Lys Glu Ala Phe Asp Trp Ser Asp Ser Asp Met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p Tyr Phe Met Glu Lys Asn Gly Glu Asp Met Leu Pro Phe Leu Arg Asp Thr Met Lys Thr Glu Lys Asp Ser Asp Glu Lys Ile Glu Ala Phe Val Asn Glu Asn Leu Lys Lys
서열번호 4(Lactobacillus paracasei, PRT)
Ala Ser Val Asp Pro Glu Lys Thr Leu Phe Leu Asp Glu Pro Met Asn Lys Val Phe Asp Trp Ser Asp Ser Glu Ala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p Tyr Tyr Met Glu Lys Asn Ser Arg Asp Thr Ile Lys Thr Glu Glu Glu Met Lys Pro Val Leu Asp Met Ser Asp Asp Glu Val Lys Ala Leu Ala Glu Lys Val Leu Lys Lys
서열번호 5(Lactobacillus plantarum, PRT)
Ala Ala Ala Val Glu Met Asn Ser Met Leu Asp Glu Lys Met Thr Asp Val Phe Asp Trp Ser Asp Ser Lys Leu Pro Val Arg Asp Ala Ile Trp Asn His Phe Met Asp Ala Asp Ser His Asp Thr Asp Lys Thr Ala Asp Glu Val Ala Pro Tyr Met Ser Met Asp Glu Ala Lys Leu Lys Ser Glu Val Glu Lys Leu Leu Lys Ala
서열번호 6(Pediococcus pentosaceus, PRT)
Ala Thr Thr Leu Lys Thr Glu Leu Leu Asp Gln Lys Met Thr Glu Val Phe Asp Trp Ser Asn Asp Gln Thr Pro Leu Arg Asp Ala Met Trp Asn His Val Met Asp Asp Asn Gly His Asp Thr Met Lys Thr Ile Ala Glu Ala Lys Lys Trp Glu Asn Met Asn Asp Ala Glu Leu Lys Lys Thr Ala Glu Gln Met Leu Lys
서열번호 7(Lactobacillus brevis, PRT)
Ala Val Val Glu Lys Thr Ala Leu Leu Asp Glu Lys Met Asn Glu Val Phe Asp Trp Ser Asp Ser Lys Glu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n His Phe Met Glu Ser Asn Gly His Asn Thr Asp Glu Thr Glu Ala Ser Met Lys Glu Ile Asp Ala Lys Ser Asp Ala Asp Val Arg Ser Tyr Val Glu Asp Asn Leu Lys Lys
서열번호 8(Lactobacillus rhamnosus, PRT)
Ala Thr Val Asp Pro Glu Lys Thr Leu Phe Leu Asp Glu Pro Met Asn Lys Val Phe Asp Trp Ser Asn Ser Glu
서열번호 9(Lactobacillus rhamnosus, PRT)
Met Asn Lys Val Phe Asp Trp Ser Asn Ser Glu Ala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p Tyr Tyr Met Glu Lys Asn Ser Arg Asp Thr Ile Lys Thr
서열번호 10(Lactobacillus rhamnosus, PRT)
Ala Pro Val Arg Asp Ala Leu Trp Asp Tyr Tyr Met Glu Lys Asn Ser Arg Asp Thr Ile Lys Thr Glu Glu Glu Met Lys Pro Val Leu Met Ser Asp Asp Glu Val Lys Ala Leu Ala Glu Lys Val Leu Lys Lys

Claims (25)

  1. 서열번호 8, 9, 및 1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단백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유산균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엑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늄(Lactobacillus plantarum),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단백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램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인, 단백질.
  6. 제 1항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9. 제 1항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12. 제 1항의 단백질을 발현하도록 제조된 벡터.
  13. 제 12항의 벡터를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형질전환체.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형질전환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형질전환체.
  16. 제 13항의 형질전환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1. 제 13항의 형질전환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체는 유산균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 대장용종,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장내 혈관 이형성, 게실증,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크론병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질환은 대장암인, 대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PCT/KR2017/001625 2016-11-28 2017-02-15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974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7874171.6T DK3453718T3 (da) 2016-11-28 2017-02-15 Anvendelse af protein p8 afledt af mælkesyrebakterier som et middel mod cancer
CN201780030631.XA CN109153706B (zh) 2016-11-28 2017-02-15 源自乳酸菌的p8蛋白质及其的抗癌用途
US16/303,208 US11213565B2 (en) 2016-11-28 2017-02-15 Protein P8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use as anti-cancer agent
EP17874171.6A EP3453718B1 (en) 2016-11-28 2017-02-15 Use of protein p8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as an anti-cancer agent
JP2018560069A JP6586248B2 (ja) 2016-11-28 2017-02-15 乳酸菌由来のp8蛋白質及びその抗癌剤としての使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79A KR101910808B1 (ko) 2016-11-28 2016-11-28 유산균 유래 p8 단백질 및 이의 항암 용도
KR10-2016-0159479 201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02A1 true WO2018097402A1 (ko) 2018-05-31

Family

ID=6219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625 WO2018097402A1 (ko) 2016-11-28 2017-02-15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13565B2 (ko)
EP (1) EP3453718B1 (ko)
JP (1) JP6586248B2 (ko)
KR (1) KR101910808B1 (ko)
CN (1) CN109153706B (ko)
DK (1) DK3453718T3 (ko)
WO (1) WO20180974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3301A1 (en) * 2019-09-11 2023-06-15 Cell Biotech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orectal disease containing construct for expression of p8 protein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EP4144847A4 (en) * 2020-04-20 2024-04-24 Liveome Inc MICROORGANISM EXPRESSING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AND ITS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51B1 (ko) * 2018-01-09 2018-11-07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P8 단백질을 발현 및 분비하는 위장관 질환 치료 약물 전달용 미생물 및 그를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0982745B (zh) * 2019-12-24 2021-06-25 扬州大学 一种戊糖片球菌z-1、戊糖片球菌细菌素z-1及戊糖片球菌细菌素z-1的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16A (ko) *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5644A (ko) * 2010-08-12 2012-02-22 박진형 항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활성 조성물
KR101427363B1 (ko) * 2011-11-23 2014-08-08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56208B1 (ko) * 2014-11-04 2016-09-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639B1 (ko) 1997-04-15 1999-12-01 김동현 장내 유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한국형 유산균 및 그의 용도
GB0903016D0 (en) * 2009-02-23 2009-04-08 Univ Gent Method for alleviating intestinal problems and novel bacterial strains therefor
KR101178217B1 (ko) * 2009-10-28 2012-09-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K2751129T3 (en) * 2011-11-23 2018-02-05 Cell Biotech Co Ltd Protein P14 with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377617B1 (ko) * 2011-11-23 2014-03-26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알러지 활성을 갖는 피14 단백질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096901A1 (en) * 2012-12-18 2014-06-26 Compagnie Gervais Danone Strain of bifidobacterium animalis ssp. animalis
WO2015021936A1 (en) * 2013-08-16 2015-02-19 The University Of Hong Kong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using probiotics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CN104388503B (zh) * 2014-11-24 2017-05-03 天津商业大学 一种乳酸菌胞外蛋白的提取方法及应用
KR101743043B1 (ko) 2016-06-28 2017-06-02 바이오제닉스코리아 주식회사 장내환경개선효과를 갖는 나노형 김치 유산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516A (ko) * 2010-05-11 2011-11-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산균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5644A (ko) * 2010-08-12 2012-02-22 박진형 항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균주 및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활성 조성물
KR101427363B1 (ko) * 2011-11-23 2014-08-08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항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56208B1 (ko) * 2014-11-04 2016-09-12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TABASE NCBI [O] 5 June 2013 (2013-06-05), "hypothetical protein HMPREF0539_1998 [Lactobacillus rhamnosus LMS2-1]", XP055488647, Database accession no. EEN79819.1 *
SADEGHI-ALIABADI ET AL.: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7 with Probiotic Potential on Colon Cancer and Normal Cells Proliferation in Comparison with a Commercial Strain", IRANIAN JOURNAL OF BASIC MEDICAL SCIENCES, vol. 17, no. 10, 2014, pages 815 - 819, XP05548864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3301A1 (en) * 2019-09-11 2023-06-15 Cell Biotechco ,,Ltd.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orectal disease containing construct for expression of p8 protein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EP4144847A4 (en) * 2020-04-20 2024-04-24 Liveome Inc MICROORGANISM EXPRESSING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AND ITS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1089A (ja) 2019-07-25
US20190201481A1 (en) 2019-07-04
EP3453718B1 (en) 2021-03-31
KR101910808B1 (ko) 2018-10-24
EP3453718A4 (en) 2019-12-25
CN109153706B (zh) 2022-01-21
EP3453718A1 (en) 2019-03-13
KR20180060228A (ko) 2018-06-07
JP6586248B2 (ja) 2019-10-02
US11213565B2 (en) 2022-01-04
CN109153706A (zh) 2019-01-04
DK3453718T3 (da) 202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897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fection or colonization
WO2018097402A1 (ko) 유산균 유래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33323A1 (en) Novel bacteriophage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2060579A2 (ko) 항균용 유산균 사균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33322A1 (en) Novel bacteriophage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07438666A (zh) 重组益生菌
WO2020050460A1 (ko)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28289B1 (ko)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27 균주 및 그의 용도
US8021883B2 (en) Antibiotic-sensitive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P3587441B1 (en) Novel antibacterial protein efal-2 having bacteriolytic ability with respect to enterococcus faecium
WO2014133301A1 (en) Novel bacteriophage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20220370547A1 (en) Lantibiotics, lantibiotic-producing bacteria,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WO201813970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olorectal disease containing cystatin and a protein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WO2013151363A1 (ko) 신규 분리한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및 이를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KR102055909B1 (ko)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fnc1 균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돼지 살모넬라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08392A1 (ko) 비피도박테리움 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경화증에 대한 테라그노시스용 조성물
WO2018111023A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11024A1 (ko) 안정성이 증진된 유산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32684A (ko)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를 발현하는 바실러스 종 균주, 바실러스 종 균주 포자 및/또는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 이의 섬유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6006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4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74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206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