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4596A2 -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 Google Patents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4596A2
WO2018084596A2 PCT/KR2017/012326 KR2017012326W WO2018084596A2 WO 2018084596 A2 WO2018084596 A2 WO 2018084596A2 KR 2017012326 W KR2017012326 W KR 2017012326W WO 2018084596 A2 WO2018084596 A2 WO 201808459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ip
locking
writ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326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Other versions
WO2018084596A3 (en
Inventor
서진희
Original Assignee
서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희 filed Critical 서진희
Priority to CN201780067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06152A/en
Publication of WO201808459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4596A2/en
Publication of WO201808459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4596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8Clips combined with means for propelling, projecting or retracting the wri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The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movement guide hole; a clip part including a clip body coupled to the housing, a clip plate provided on the clip body, and a locking portion having a catching groove and provided in a housing-facing area of the clip plate; a button part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topper projection that is stopped by being caught in the catching groove; and a writing instrument refill cor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button part and the oth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body having the catching groove and a guide rod provided on the locking body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pper projection, and the stopper projection is released from the caught state by lifting the clip plate.

Description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Knock-down writing instruments with contamination protection
본 발명은, 필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된 펜 영역을 클립의 들어올림에 의해 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켜 펜에 의한 의류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필기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implement, and more particularly,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capabl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clothing and the like by pens by inserting an externally exposed pen region into a pen housing by lifting a clip. It relates to a writing implement provided.
일반적으로 필기도구는 리필심이 고정되어 있고 개폐용 캡을 사용하여 리피심촉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은폐시키는 고정식 필기도구와, 축의 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리필심이 직선 운동하고 이에 의해 리필심이 내외로 출몰하도록 된 회전식 필기도구와, 축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스프링이 움직여 리필심이 나오도록 하는 노크식 필기도구와, 리필심을 리필심이 돌출 및 몰입되게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식 필기도구로 구별될 수 있다.In general, writing instruments have fixed refilling shims and fixed writing instruments which expose or conceal the reticle nibs to the outside by using an opening and closing cap, and by rotating a part of the axis, the refilling cores move linearly, thereby causing the refilling cores to appear in and out. The rotary writing implement may be divided into a knock type writing tool which moves a spring by pressing a part of the shaft to give a refilling lead, and a sliding writing tool which slides the refilling lead to protrude and immerse the refilling lead.
이 중에서 노크식 필기도구는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리필심촉을 간단히 출몰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Among them, the knock-type writing implements are convenient because they can simply wreak the refilled feel through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노크식 펜은 하우징의 상단에 구비되는 버튼부를 일회 누르면 리필심촉이 돌출되어 필기가 가능한 상태가 되고, 버튼부를 다시 일회 누르면 돌출되어 있던 리필심촉이 하우징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 및 보호 상태가 된다.When the knock type pen has a button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the refill tip is protruded to be written,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once again, the protruding refill tip is retracted into the housing to be stored and protected.
종래의 노크식 필기도구는 하우징의 내부에 잉크를 저장하는 리필심이 수납되고, 하우징의 상부에는 하우징의 내측벽에 형성된 슬롯에 승강 가능하게 조작되는 노크체가 돌출되게 결합된다. 리필심과 노크체의 사이에는 회전캠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크체와 회전캠은 리필심의 노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과 리필심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리필심에 대해 그 리필심촉이 하우징의 내부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Conventional knock writing instruments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refilled to store the ink,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knocking body protrudingly manipulated to the slot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he rotary cam is rotatably disposed between the refill core and the knock body. The knock body and the rotating cam serve to enable the exposure operation of the refill core. A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refill cor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refill co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ill core retreat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전술한 종래의 노크식 필기도구는 사용자의 옷의 호주머니 등에 꽂아 보관할 때 필심촉이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옷에 꽂으면 리필심촉에서 스며 나오는 잉크에 의해 사용자의 옷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knock-type writing implement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that the user's clothes are contaminated by ink leaking from the refill tip when the pen tip is inserted into the clothes while the pen tip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when stored in the pocket of the user's clothes. .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art.
[선행기술문헌][Preceding technical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Documents]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0423744호(주식회사 킴스엔터프라이즈) 2006. 08. 04.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20-0423744 (Kims Enterprise Co., Ltd.) 2006. 08. 0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로 노출된 필기도구 영역을 필기도구의 클립부의 들어올림에 의해 필기도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켜 필기도구에 의한 의류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writing tool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riting tool housing by lifting the clip portion of the writing tool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lothing, such as contamination by writing tools It is to provide a knock-type writing implement with a fun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가이드홀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 되는 클립 바디와, 상기 클립 바디에 마련되는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대향 되는 영역의 상기 클립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걸림홈을 갖는 록킹부가 구비된 클립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 스토핑 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버튼부; 및 일측부는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걸림홈이 마련된 록킹 바디와, 상기 록킹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돌기의 걸림 해제는 상기 클립 플레이트의 들어올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ousing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hole; A clip part having a clip body coupled to the housing, a clip plate provided on the clip body, and a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clip plate in an area facing the housing and having a locking groove; A button unit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topper protrusion which is stopped by the locking groove; And a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button portion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locking body provided with the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body provided in the locking body to move the stopper protrusion. It includes a guide rod for guiding, the knock-type writing imple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of the stopper projection is made by lifting the clip plate.
상기 록킹 바디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기 걸림홈의 인입을 가이드 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단턱이 마련되어 상기 클립 플레이트를 들어 올려야 상기 스토퍼 돌기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The locking body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engaging groove of the stopper protrusion, and the stopper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step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to lift the clip plate to release the stopper protrusion.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손이 터치 되는 노출 바디; 일측부는 상기 노출 바디에서 연장 마련되며, 타측부에는 상기 필기도구 리필심촉부가 결합 되는 수용 바디; 상기 수용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클립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단부가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탄성바; 및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탄성바에 마련되는 상기 스토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exposure body of the user's hand touch; One side portion is provided extending from the exposed body, the other side receiving body coupled to the writing implements refill core portion; An elastic bar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and having an end portion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clip plate; And the stopper protrusion provided on the elastic ba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guide hole.
상기 수용 바디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버튼 가이드 로드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버튼 가이드 로드에 지지될 수 있다.The receiving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button guide rod may be supported by the button guide rod when the button portion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상기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는, 상기 클립부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필기도구 홀더; 상기 일측부가 상기 필기도구 홀더의 내부에 결합 되는 필기도구 부재; 및 상기 필기도구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필기도구 부재의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필기도구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필기도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riting tool refill core portion, writing tool hold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A writing implement memb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And a writing implemen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to cover an area of the writing implement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옷 등을 포함하는 착용 대상물에 클립부를 체결 시 클립 플레이트가 착용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들어 올려지면서 스토퍼 돌기의 걸림이 해제되어 외부로 노출된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를 하우징의 내부로 자동으로 유입시켜 착용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ip portion is fastened to the wearing object including clothes, etc., the clipper is lifted up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object to be worn while the stopper protrusion is released to expose the writing tool refill cor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t can automatically flow into the insid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object to be wo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nock-type writing implement equipped with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필기도구 홀더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shown in FIG. 2.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부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unit shown in FIG. 3.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클립부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ip unit shown in FIG. 3.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mentioned to be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W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전방', '후방', '좌', '우' , '일측부', '타측부'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을 의미하지 않고 각 도면에서의 상대적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표현들은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의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p', 'bottom', 'front', 'rear', 'left', 'right', 'one side', ' The expression 'other side' may not mean a direction as an absolute reference, but may mean a relative position in each drawing.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expressions represen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mentioned below may represen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필기도구 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버튼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클립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nock-type writing implement with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4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illustrated in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illustrated in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ortion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7 is a clip portion illustrated in FIG. 3. Perspective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1)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클립부(200), 하우징(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버튼부(300), 리필심촉부(400), 및 손잡이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knock-type writing implement 1 with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00, the clip portion 200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housing 100 It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300, the refill core portion 400, and the handle cover portion 500 is coupled to be movable within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이동 가이드홀(130)을 포함하고, 클립부(200)는 걸림홈(231a)을 포함한다. 또한, 버튼부(300)는 걸림홈(231a)에 걸려 스토핑 되는 스토퍼 돌기(340)를 포함하고,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는 일측부는 버튼부(30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그리고 손잡이 커버부(500)는 하우징(100)에 결합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using 100 includes a movement guide hole 130, and the clip part 200 includes a locking groove 231a. In addition, the button unit 300 includes a stopper protrusion 340 that is caught and stopped by the locking groove 231a, and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4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utton unit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100, and the handle cover 50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하우징(100)은,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내부가 비어 있는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원통형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원 발명이 그러한 원통형 형상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자(즉,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ousing 100 may have, for exampl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empty inside. As exemplarily shown in FIG. 1, the housing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empty inside.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e,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ylindrical shape is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cylindrical shape.
하우징(100)은 예를 들면 위치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전방부의 직경이 후방부(클립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different diamet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As exemplarily shown in FIG. 2, the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0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ar portion (a portion to which the clip portion 200 is coupled).
하우징(100)의 후방부 내벽에는 클립부(200)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홈(11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부 내벽에 마련된 복수의 결합홈(110)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할 클립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결합 돌기(211)가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0 to which the clip part 200 may be coupled may be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4,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0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1 provided in the clip part 20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Is configured to be combined into a fitting form.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에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120)이 마련되고, 이 절개홀(120)에는 클립 바디(210)에 연결되는 클립 플레이트(220)의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cutting hole 120, and the cutting hole 120 has a clip plate 220 connected to the clip body 210. The region of can be inser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에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스토퍼 돌기(340)의 이동 통로로 제공되는 이동 가이드홀(130)이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hole 130 provided as a movement passage of the stopper protrusion 340 illustrated in FIG. 3.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내벽에는, 도 3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이드 로드(140)가 마련되고, 이 버튼 가이드 로드(140)는 버튼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버튼 가이드 로드(140)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수용 바디(320)의 가이드홈(3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버튼부(300)는 버튼 가이드 로드(140)를 따라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버튼 가이드 로드(140)의 치수는 가이드홈(32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21)이 버튼 가이드 로드(140)를 따라서 이동가능할 정도로 정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0,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ures 3 and 4, is provided with a button guide rod 140, the button guide rod 140 of the button portion 300 Guide the move. For example, the button guide rod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1 of the receiving body 320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in Figure 6, the button portion 300 along the button guide rod 140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The size of the button guide rod 1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1 is determined so that the guide groove 321 is movable along the button guide rod 140.
클립부(200)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부에 결합 되어 노출 바디(31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고, 수용 바디(320)에 마련된 스토퍼 돌기(340)를 스토핑 시키거나 이 스토핑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clip part 200 is coupled to the rear part of the housing 100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xposure body 310, and the stopper protrusion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320. 340 stops or serves to release the stop.
본 실시예에서 클립부(200)는, 클립 바디(210), 클립 플레이트(220), 및 록킹부(230: 231, 231a, 231b, 232)를 포함한다. 클립 바디(210)는 하우징(100)에 결합 되도록 구성되고, 클립 플레이트(220)는 클립 바디(210)에 마련되고, 록킹부(230)는 클립 플레이트(220)에 마련되어 버튼부(300)를 스토핑(stopping) 또는 그 스토핑을 해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lip part 200 includes a clip body 210, a clip plate 220, and locking parts 230: 231, 231a, 231b, and 232. The clip body 2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clip plate 220 is provided at the clip body 210, and the locking part 230 is provided at the clip plate 220 to provide the button part 300. You can stop or stop the stopping.
클립부(200)의 클립 바디(21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211)가 마련되고, 이 복수의 결합 돌기(211)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100)의 내벽에 형성된 결합홈(110)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1 ar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p body 210 of the clip unit 200,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11 may include a housing (shown in FIG. 4). It can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0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100.
예를 들면, 클립 바디(2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외부에 복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한편, 버튼부(300)가 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될 때 클립 바디(210)의 내부를 노출 바디(310)가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게 된다.For example, the clip body 2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side is empty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side. Meanwhile, when the button unit 30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0, the exposed body 310 penetrat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lip body 210.
클립부(200)의 클립 플레이트(220)는 예를 들면 클립 바디(2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clip plate 220 of the clip unit 20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lip body 210, for example.
클립부(200)의 록킹부(230)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플레이트(220)의 저면부에 마련되어 버튼부(300)의 스토퍼 돌기(340)를 스토핑 시키거나 이 스토핑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king part 230 of the clip part 20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ip plate 220 to stop the stopper protrusion 340 of the button part 300 as illustrated in FIG. 3. This stops the stopping.
본 실시예에서 록킹부(230)는, 도 3 및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바디(231)와 가이드 로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unit 230 may include the locking body 231 and the guide rod 232,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S. 3 and 7.
록킹 바디(231)에는 걸림홈(231a)과 경사면부(231b)가 마련되고, 가이드 로드(232)는 록킹 바디(231)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스토퍼 돌기(340)가 걸림홈(231a)에 어긋나지 않고 유입되도록 가이드 한다.The locking body 231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231a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231b, and the guide rod 23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body 231 so that the stopper protrusion 340 is not shifted from the locking groove 231a. Guide it to enter without
록킹부(230)의 경사면부(231b)는,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31a)의 후방부에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로드(232)는 록킹 바디(231)보다 긴 길이로 마련되어 스토퍼 돌기(340)가 경사면부(231b)에 접촉되기 전부터 스토퍼 돌기(3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31b of the locking portion 23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locking groove 231a, and the guide rod 232 may be disposed at the locking body 231. It is provided with a long length and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pper protrusion 340 before the stopper protrusion 340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31b.
버튼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 되어 외력에 의해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3, the button unit 30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0 to expose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40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by an external force.
본 실시예에서 버튼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손이 터치 되는 노출 바디(310)와, 우측부는 노출 바디(310)에서 연장 마련되며 좌측부에는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가 결합 되는 수용 바디(320)와, 수용 바디(320)에 마련되며 클립 플레이트(220)의 방향으로 단부가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탄성바(330)와, 이동 가이드홀(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바(330)에 마련되어 클립부(200)의 걸림홈(231a)에 걸리는 스토퍼 돌기(34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button unit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user's hand is touched, and the right side extends from the exposure body 310. The left sid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body 320 is coupled to the writing tool refill core portion 400, the elastic bar 330 is provided on the receiving body 320, the end portion is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clip plate 220 And a stopper protrusion 340 provided in the elastic bar 33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guide hole 130 and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231a of the clip portion 200.
버튼부(300)의 노출 바디(310)에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과 복수의 홈이 마련될 수 있다.In the exposed body 310 of the button unit 300, as illustrated in FIG. 6, a drilling hole and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provided.
버튼부(300)의 수용 바디(320)에는, 도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21)이 마련되고, 이 가이드홈(321)에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가이드 로드(232)가 삽입되어 수용 바디(320)를 지지하므로 버튼부(300)의 전후 이동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receiving body 320 of the button unit 300, as shown in FIG. 6, a guide groove 321 is provided, and the guide groove 321 has a guide rod illustrated in FIG. Since the 232 is inserted to support the receiving body 320,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utton part 300 may be made stabl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용 바디(320)의 전방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결합 돌기(322)가 마련되고, 이 버튼 결합 돌기(322)는 도 5에 도시된 필기도구 홀더(410)의 홀더홈(412)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320, as shown in Figure 6, the button engaging projection 322 is provided, the button engaging projection 322 is a writing implement holder (shown in Figure 5) ( It may be fitted into the holder groove 412 of the 410.
버튼부(300)의 탄성바(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바디(320)의 상측부에 마련되며, 납작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단부가 수용 바디(320)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elastic bar 330 of the button part 30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receiving body 320, and is provide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so that an end portion thereof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body 320. Can be.
버튼부(300)의 스토퍼 돌기(340)는,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클립부(200)의 걸림홈(231a)에 걸려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의 노출 상태를 유지한다.The stopper protrusion 340 of the button unit 300 is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31a of the clip unit 200 when the writing tool refill core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Maintain an exposure state of 400.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돌기(340)는 탄성바(330)의 상면부에 마련될 수 있고, 록킹부(230)의 경사면부(231b)와 접촉되는 스토퍼 돌기(340)의 영역도 경사지게 마련되어 스토퍼 돌기(340)는 경사면부(231b)를 타고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protrusion 3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ar 330, the area of the stopper protrusion 340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31b of the locking portion 230 is also provided to be inclined stopper projection 340 may be smoothly moved o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231b.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 돌기(340)의 후방부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단턱이 마련되어 걸림홈(231a)에 걸린 스토퍼 돌기(340)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portion of the stopper projection 34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Figure 3, is provided with a stepped vertically to prevent unintentional detachment of the stopper projection 340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231a. Can be.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바디(320)에 일측부가 끼워 맞춤 결합 되는 필기도구 홀더(410)와, 필기도구 홀더(410)의 내부에 일측부가 결합 되어 필기도구 홀더(410)와 같이 이동되는 필기도구 부재(420)와, 필기도구 홀더(4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필기도구 부재(420)를 덮는 필기도구 커버(430)를 포함한다.The writing tool refill core 400 is, as illustrated in FIG. 3, the writing tool holder 410 having one side fitted to the receiving body 320, and the writing tool holder 410. One side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writing implements member 420 moved with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410, and the writing implements cover 4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410 to cover the writing implements member 420 do.
본 실시예에서 필기도구 홀더(410)의 내부에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가이드(411)와 홀더홈(412)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 가이드(411)는 필기도구 부재(420)의 잉크통이나 잉크대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홀더홈(412)에는 수용 바디(320)에 마련된 버튼 결합 돌기(322)가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4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guides 411 and holder grooves 412,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upport guides 411 serve to hold the ink container or ink stand of the writing implement member 420, and the holder groove 412 has a button engaging protrusion 322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320. The fit can be combined.
손잡이 커버부(500)는 하우징(100)의 전방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고,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The handle cover 500 may be detachably fitted to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rubber material.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 커버부(500)에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홀(510)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손잡이홀(5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cover 50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hole 510, as shown in Figure 2, to improve the grip of the user, the handle hole 51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have.
이하에서 전술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forementioned drawings.
먼저, 도 3에 도시된 상태는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 본 실시예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스토퍼 돌기(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231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First,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portion 400 is in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oes not use this embodiment. At this time, the stopper protrusion 340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 231a,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도 3을 기준으로 노출 바디(31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버튼부(300)와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노출 바디(310)를 가압하면 스토퍼 돌기(340)가 록킹부(230)의 걸림홈(231a)에 스토핑 즉 걸려져 필기도구 부재(42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필기도구 부재(4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exposure body 310 is pressed forward based on FIG. 3, the button unit 300 and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400 are moved forward. If the exposure body 310 is continuously pressed, the stopper protrusion 340 stops, ie, hangs on the locking groove 231a of the locking unit 230, and the writing tool member 420 is applied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writing tool member 420.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마지막으로, 스토퍼 돌기(340)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 클립 플레이트(220)를 도 3을 기준으로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스토퍼 돌기(340)의 걸림이 해제되고, 이때 수축된 스프링(S)이 팽창하면서 필기도구 홀더(410)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그 결과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와 버튼부(300)는 원래 위치로 이동되어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Finally, when the clip plate 220 is lifted upward in order to release the stopper protrusion 340, the stopper protrusion 340 is released, and the contracted spring S is expanded. While pushing the writing implements holder 410 rearward. As a result,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nib 400 and the button unit 300 are mov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so that the writing implement refill nib 400 is housed inside the housing 100.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옷 등을 포함하는 착용 대상물에 클립부를 체결 시 클립 플레이트가 착용 대상물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들어 올려지면서 스토퍼 돌기의 걸림이 해제되어 외부로 노출된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를 하우징의 내부로 자동으로 유입시켜 착용 대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lip unit is fastened to a wearing object including clothes, the writing tool is refilled when the clip plate is lifte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wearing object and the stopper protrusion is released to expose the outside. The part is automatically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object to be wor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오염 방지 기능이 구비된 노크식 필기도구1: knock-type writing implement with anti-pollution function
100 : 하우징100: housing
200 : 클립부200: clip part
300 : 버튼부300: button portion
400 : 필기도구 리필심촉부400: writing tool refill core
500 : 손잡이 커버부500: handle cover

Claims (5)

  1. 이동 가이드홀이 구비된 하우징;A housing having a movement guide hole;
    상기 하우징에 결합 되는 클립 바디와, 상기 클립 바디에 마련되는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대향 되는 영역의 상기 클립 플레이트에 마련되며 걸림홈을 갖는 록킹부가 구비된 클립부;A clip part having a clip body coupled to the housing, a clip plate provided on the clip body, and a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clip plate in an area facing the housing and having a locking groove;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 스토핑 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된 버튼부; 및A button unit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housing and having a stopper protrusion which is stopped by the locking groove; And
    일측부는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를 포함하고,One sid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utton portion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록킹부는, 상기 걸림홈이 마련된 록킹 바디와, 상기 록킹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돌기의 걸림 해제는 상기 클립 플레이트의 들어올림에 의해 이루어지고,The locking unit includes a locking body provided with the locking groove and a guide rod provided in the locking bod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topper protrusion, and the locking release of the stopper protrusion is performed by lifting the clip plate.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록킹 바디보다 긴 길이로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가 상기 록킹 바디의 경사면부에 접촉되기 전부터 상기 스토퍼 돌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도구.The guide rod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locking body is knock-type writ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opper projection before the stopper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of the locking body.
  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록킹 바디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의 상기 걸림홈의 인입을 가이드 하는 경사면부가 마련되고,The locking body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portion for guiding the inlet of the locking groove of the stopper projection,
    상기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단턱이 마련되어 상기 클립 플레이트를 들어 올려야 상기 스토퍼 돌기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도구.The stopper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step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is knock-type writing tool, characterized in that to lift the stop of the stopper projection to lift the clip plate.
  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버튼부는,The button unit,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손이 터치 되는 노출 바디;An exposure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o which a user's hand is touched;
    일측부는 상기 노출 바디에서 연장 마련되며, 타측부에는 상기 필기도구 리필심촉부가 결합 되는 수용 바디;One side portion is provided extending from the exposed body, the other side receiving body coupled to the writing implements refill core portion;
    상기 수용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클립 플레이트의 방향으로 단부가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탄성바; 및An elastic bar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and having an end portion elastically mov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clip plate; And
    상기 이동 가이드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탄성바에 마련되는 상기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노크식 필기도구.The knock type writing tool including the stopper protrusion provided on the elastic ba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guide hole.
  4.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수용 바디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는 버튼 가이드 로드가 마련되어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버튼 가이드 로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크식 필기도구.A guide groove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and a button guide rod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housing so that the button unit is supported by the button guide rod whe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필기도구 리필심촉부는,The writing implement refill core part,
    상기 클립부에 일측부가 결합 되는 필기도구 홀더;A writing implements hold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lip unit;
    상기 일측부가 상기 필기도구 홀더의 내부에 결합 되는 필기도구 부재; 및A writing implement memb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And
    상기 필기도구 홀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필기도구 부재의 영역을 덮도록 상기 필기도구 홀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필기도구 커버를 포함하는 노크식 필기도구.And a writing implement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to cover an area of the writing implement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riting implement holder.
PCT/KR2017/012326 2016-11-04 2017-11-02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WO2018084596A2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67934.9A CN109906152A (en) 2016-11-04 2017-11-02 Push type writing implement with anti-pollu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458 2016-11-04
KR2020160006458U KR200483197Y1 (en) 2016-11-04 2016-11-04 Writing instruments of having a contamination preven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596A2 true WO2018084596A2 (en) 2018-05-11
WO2018084596A3 WO2018084596A3 (en) 2018-08-09

Family

ID=5860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326 WO2018084596A2 (en) 2016-11-04 2017-11-02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83197Y1 (en)
CN (1) CN109906152A (en)
WO (1) WO2018084596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161B1 (en)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 승일 Aerosol can enabling to apply contents in a flower shape
KR200484707Y1 (en) * 2017-07-13 2017-10-18 칭따오 베스트 포인트 스테이셔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401Y2 (en) * 1991-04-03 1997-07-16 三菱鉛筆株式会社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JPH07214983A (en) * 1994-01-28 1995-08-15 Kotobuki:Kk Knock type writing implement
JP3758802B2 (en) * 1997-04-03 2006-03-22 三菱鉛筆株式会社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4093650B2 (en) * 1998-09-04 2008-06-0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CN100436466C (en) 2001-08-10 2008-11-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Association compound of trehalose or maltitol with metal ion compound
ES2346976T3 (en) * 2004-12-31 2010-10-22 Morris Corporation INSTRUMENT WRITING SAFETY PULSE.
JP2013091302A (en) * 2011-10-27 2013-05-16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CN202541062U (en) * 2012-01-19 2012-11-21 王元鸿 Press-type writing tool with safe pen clip
CN102963160B (en) * 2012-11-30 2014-07-30 彭阔羽 Automatic pen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refill protecting device without action
JP2015020279A (en) * 2013-07-16 2015-02-02 三菱鉛筆株式会社 Writing utensil
CN104827805B (en) * 2014-02-10 2017-10-13 千光柱 Possesses the slide type writing tool of anti-drying device
JP6306909B2 (en) * 2014-03-17 2018-04-04 ミクロ株式会社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CN105691045B (en) * 2016-04-27 2017-11-03 青岛点石文具用品有限公司 Pressed propelling penc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06152A (en) 2019-06-18
KR200483197Y1 (en) 2017-04-13
WO2018084596A3 (en)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1623A1 (en) Torsion position clamping pen
WO2018084596A2 (en)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contamination preventing function
CN110356144B (en) Bidirectional pressing telescopic pen
WO2015016513A1 (en) Lens cap
WO2014142407A1 (en) Two-color ballpoint pen
CN110171231B (en) Twist reverse flexible pen
KR200419520Y1 (en) Finger pen
WO2013157882A1 (en)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having drying-preventing device
CN110202976B (en) Press writing tool with automatic sealing device
WO2020105937A1 (en) Multi-brush
CN210821499U (en) Multipurpose fluorescent pen head
JP2019119081A (en) fountain pen
WO2015016514A1 (en) Lens cap
JPH0649088U (en)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of mechanical pencil and ballpoint pen
JP4201292B2 (en) Multi-colored ballpoint pen with automatic core return mechanism
GB2143781A (en) Writing instrument
KR102550147B1 (en) Seal structure of multi-colored macapen
KR20050080080A (en) Writing tool having sheet dispenser
CN218197660U (en) Propelling pencil
KR200476658Y1 (en) Knock Type Writing Instrument With Separable Clip
KR20150067552A (en) ballpoint pen and touch pen
CN211994850U (en) White board pen
JP2018144397A (en)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JP5419729B2 (en)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WO2013073841A1 (en) Slide-type writing implement having nibs at either en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668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668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