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6796A1 -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6796A1
WO2018066796A1 PCT/KR2017/008140 KR2017008140W WO2018066796A1 WO 2018066796 A1 WO2018066796 A1 WO 2018066796A1 KR 2017008140 W KR2017008140 W KR 2017008140W WO 2018066796 A1 WO2018066796 A1 WO 20180667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ye
strabismus
user
image
ey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81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영범
김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첸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51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704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첸트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첸트랄
Publication of WO20180667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67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exercising the eyeball, and more specifically, an eye movement device for improving the strabismus for inducing eye movement to improve strabismus for up, down, left and right by providing an image in which different objects are output to each eye. It is about a method.
  • VDT syndrom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 VDT syndrome causes ocular symptoms. Ocular symptoms occur as a result of a long, continuous springing of the monitor or screen from a short distance, which causes the eye to rush inwards, or the eyes do not align with each other and look away. In particular, the symptoms of vision problems caused by this is called to buy.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 movement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trabismus to improve the eyesight of the user by intuitively recognizing, and improving the strabismus for the user up, down, left and right.
  • the eye movement device for improving strabismus is coupled to the main body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the mark (center) in the center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wo displayed objects to induce eye movement to correct strabismus for the left, right,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ye.
  • the main body is formed in an empty spa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 other end is open to the body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the eyepiece that the eyes for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block each other
  • a fix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user's back hea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eyepiece, and a fixing part fixed to closely hold the eyepiece and the face of the user,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to couple and fix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virtual reality, the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including the two object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eye movement for the left and right eyes and the det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terminating the output of the image by determining that the correction is completed when the gaze and the focu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aligned with the mark by using the eye movement detected from the unit.
  • the detector may detect the eye movement using the pupil position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 the controller may end the output of the image when the gaze or the focus of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irregularly shaken while the correction is not completed.
  • the controller may end the output of the image even when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image passes a preset time.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displays a scale on at least one of the marks to numerically indicate the visual direction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 An eye movement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includes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a main body and two object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left eye and a right eye of a user and having a mark mark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tep of mounting the eye movement device including the head and outputting the image to induce eye movement so that strabismus is corrected for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 the object may be any one of a figure, a letter, a company logo, a puzzle, and a character.
  • the imag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lied to at least one field of advertising, education, movies and games.
  • An eye movement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provides an image in which an object with a mark displayed at the center is outpu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recognizes and improves strabismus for up, down, left, and right to improve the eyesight of the user. Can be improve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yeball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user rather than strabismus.
  • FIG. 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creen in which a user recognizes the image provided in FIG.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with strabismus.
  •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creen recognized by a user having strabismus, the image provided in FIG. 6.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who has strabismus to improve vision throug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mproving the vision of a user with strabismus through the image provided in FIG. 8.
  • FIG. 10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ye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 movement device 100 improves strabismus caused by VDT syndrome occurring in modern society. That is,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provides an image in which an object displayed with a mark in the center is outpu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so that the user intuitively recognizes and improves strabismus for up, down, left and righ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vision.
  • the image may be any one of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nd mixed reality (MR).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30.
  • the main body 10 is mounted to the head of the user.
  • the main body 10 is a frame form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may be preferably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in a form surrounding the back of the user's back.
  • the body 100 is formed of a light material such as a plastic material to minimize the fatigue to the weight even if the user is mounted for a long time.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output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marked with a mark at the center to induce eye movement so that strabismus is corrected for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 the object may be any one of a figure, a letter, a company logo, a puzzle, and a character.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may apply the contents of the image including various objects to at least one field of advertisement, education, movie, and game.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is a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t least one image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and may be preferably a smartphone.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may be a detachable type detachable to the main body 10 and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or an integrated type that is not separated when combined.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may include a detector 32, a controller 33, and a display 34,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or 31 and a storage 35.
  • the communication unit 31 receives a user input including a setting value for outputting an image.
  • the set value may include object information, playback time,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output image.
  • 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receive a user input us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such as an eye movement amount, a strabismus state, to be described later to an external terminal.
  • the detector 32 detects eye movement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user who tracks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 the detector 32 may detect pupil position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detect eye movement using the detected pupil positions.
  • the sensing unit 220 may include a camera, an infrared camera, an infrared sensor, and the like.
  • the controller 33 controls the output of the image.
  • the controller 33 determines that the correction of the strabismus is completed when the eyes and focal point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re aligned with the marks by using the eye movement detected by the detector 32, thereby ending the output of the image.
  • the mark may include a cross shape, an X shape, and the like and may display a scale.
  • the controller 33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image when the gaze or the focus of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irregularly shaken while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That is, the controller 33 determines that the user's psychological or physical state is unstable when the gaze or the focus is irregularly shaken, thereby preventing side effects such as dizziness, vomiting, etc., which may occur due to continuous image output.
  • the controller 33 ends the output of the image even when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 the preset time may be a playback time included in the user input, and may be 30 seconds, 1 minute, 3 minutes, 5 minutes, 7 minutes, 10 minutes, and the like. Through this, the user can adjust the fatigue caused by being exposed to the image for a long time.
  • control unit 33 displays the scale on at least one mark of the object so that the user can numerically recognize the eye gaze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eyes.
  • the display unit 34 outputs an image of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an augmented reality, and a mixed reality including two objects.
  • the display unit 34 may include a touch screen function. Accordingly, the display 34 may also serve as an input unit (not shown) that directly receives a user input.
  • the display unit 34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the storage unit 35 store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That is, the storage 35 may store images having various object shapes.
  • the storage unit 35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yeball mov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is formed in an HMD form to provide an image to a user.
  • the eye movement device 100 by outputting any one image of the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containing two objects, the user intuitively recognizes the strabismus for his own up, down, left and right, As a result, strabismus can be improved by tracking the object displayed on the image.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0 serving as a frame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30 for outputting an image.
  • the main body 10 includes a body portion 11, an eyepiece 12, a fixing portion 15, and a coupling portion 16.
  • the trunk portion 11 is formed in an empty spa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is opened.
  • the trunk portion 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cylinder, and a disc for the user's convenience, and may preferabl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body portion 11 may have a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5 cm to 20 c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34.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1 may be longer if the size of the image is large, and may be shorter if the size of the image is small.
  • the eyepiece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1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so that the eyes of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can be blocked from each other.
  • the contact portion 12 minimizes friction, pressure, and the like, which may occur when the edge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in close contact.
  • the eyepiece 12 may have a size sufficient to be used by a person wearing glasses.
  • the eyepiece 12 includes a left eyepiece 13 and a right eyepiece 14.
  • the left eyepiece 13 is a part in which the user's left ey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yepiece, and blocks light from outside from entering the left eye.
  • the right eyepiece 14 is a part where the user's right ey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ye, and blocks light from the outside from entering the right eye.
  • Fixing portion 15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back of the user's back from both sides of the eyepiece 12 is fixed to the eyepiece 12 and the user's face in close contact.
  • Fixing portion 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the length of the b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ead of the user.
  • the fixing part 15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band shape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 helmet shape so as not to form a separate fixing part 15.
  • Coupling portion 16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1 is coupled to fix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 the coupling unit 16 may b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display unit 34 is formed.
  • a cover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16 and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coupled to each other. The cover may protect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from external impact and block light from the outside from entering into a gap where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and the body part 11 are combined.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1 such that the display unit 34 faces the eyepiece 12.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outputs two objects 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the display unit 34.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allows the first object 51 including the first mark 53, which is one of the two objects 50, to be visible only from the left eyepiece 13, and the other one
  • the second object 52 including the two marks 54 is visible only to the right eyepiece 14.
  • at lea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may not be able to see the second object 52 at least by the eye of the left eye, and the eye of the right eye may be as follows. 51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distance can not be seen.
  • the user when the user views the object in monocular view, the user may see only the first object 51 through the left eye and only the second object 52 through the right eye.
  • the user when the user views the object in binocular vision, the user may see a shape in which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overlap each other.
  • the user is intui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mark 53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mark 54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object 52 overlap each other. You can recognize the presence and degree of strabism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instead of a strabismus
  • FIG. 5 is a screen in which a user recognizes the image provided in FIG. A diagram for explaining.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output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51 and 52 to a user.
  •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presence and degree of strabismus while tracking the two objects 51 and 52 that are output. That is, if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strabismus, the user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upper rectus muscle, the lower rectus muscle, the upper quadrant, and the lower extremity muscle. .
  •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the screen as shown in FIG. 5 through binocular vision. That is, since the visual directions of the left eye pupil 73 and the right eye pupil 74 of the user are in line with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the user is as shown in the user recognition screen 75.
  • a screen in which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overlap each other is recognized.
  • the user may recognize a screen in which the first mark 53 and the second mark 5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overlap one another to form one mark. have.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displays the scale on at least one mark (51, 52) of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4 outputted by the user intuitively left eye pupil 73 and right eye Helps to numerically recognize the gaze direction of the pupil (74).
  • a scale for numerically displaying strabismus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scale and the scale is set to 1 prism.
  • the prism is a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strabismus.
  • the strabismus patient has a deviation of 1 cm at a distance of 1 m, it is called 1 prism, and if a deviation of 3 cm occurs, it is called 3 prism. Therefore, a user who is not a strabismus can recognize that he or she is not strabismus by checking an image overlapping the center of the first mark 53 at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with strabismus
  • FIG. It is a figure for explaining a screen.
  • Figure 7 (a) is a view showing a case corresponding to the medial and lower strabismus of the user's strabismus
  • Figure 7 (b) is a diagram showing a case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and upper strabismus of the user's strabismus.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output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51 and 52 to a user.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presence and degree of strabismus while tracking the two objects 51 and 52 that are output.
  •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a screen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rough binocular vision. That is, since the eyeline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pupil 73 and the right eye pupil 74 of the user does not line up with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econd object 52, respectively, the first object 51 and The screen in which the centers of the second objects 52 do not overlap each other is checked.
  • the user's left eye pupil 73 is distorted to the second object 52 instead of the first object 51, and the right eye pupil 75 has a straight line direction with the second object 52.
  • the user's left eye pupil 73 has a straight line of sight with the first object 51, and the right eye pupil 74 is distorted to the first object 51 instead of the second object 52.
  • the user may have strabismus.
  • the user recognizes the screen as shown in FIG. 7A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screen 75. That is, the user can check the degree of strabismus for himself or herself by recognizing that the first mark 53 is moved two spaces to the left and two spaces to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 the user when the user is the outer prism 1.5 prism, the upper isometric 1 prism, the user recognizes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7 (b)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screen (75). That is, the user can check the degree of mass strabismus on his / her own by recognizing that the first mark 53 is moved 1.5 spaces to the right and 1 space to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user with strabismus improves vision throug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user with strabismus through the image provided i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mproving the vision.
  • 9 (a) is a diagram showing a case corresponding to the medial and lower strabismus of the user's strabismus
  • Figure 9 (b) is a diagram showing a case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and upper strabismus of the user's strabismus.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continuously output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51 and 52 to the user to improve strabismus and improve the user's vision.
  • the user may intuitively recognize a screen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rough the binocular vision.
  •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30 may continuously correct an image with strabismus by continuously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51 and 52.
  • the user may display a user recognition screen 75 as shown in FIG. 9 (a). Recognize the screen. That is,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mark 53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which means that the user's medial and lower strabismus are corrected.
  • the user when the user is the outer prism 1.5 prism, the upper isometric 1 prism, and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continuously outputs the image, the user recognizes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9 (b) through the user recognition screen 75 do. That is,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mark 53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scale displayed on the second mark 54, which means that the user's lateral and upper strabismus are corrected.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the user to recognize the strabismu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ut to allow the recognized strabismus to be corrected. can do.
  • FIG. 10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eye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ye movement method provides an image in which a mark is displayed at the center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tuitively recognize and improve strabismus for up, down, left and righ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vision. Let's do it.
  • the eye movement method can increase price competitiveness by performing eye movement only with the contents of the imag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hardware, and maximize the effect on improving eyesight by applying the contents of correcting strabismus to advertisements, education, movies, and games. can do.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is mounted to the head of the user.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10 serving as a frame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30 for outputting an image.
  • the image providing device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outputs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marked with a mark in the center.
  • step S92 the eye movement device 100 outputs an image for inducing eye movement so that strabismus is corrected for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 the eye movement apparatus 100 detects eye movements of the user and induces the eyes and focal points of the left and right eyes to be in line with the mark using the detected eye movements.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may terminate the output of the image when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hakes irregularly.
  • the eyeball movement device 100 ends the output of the image when the output time of the image passes the predetermined time.
  • main body 11 body part
  • coupling unit 30 image providing device
  • control unit 34 display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안구를 운동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 각각에 서로 다른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하여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개선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이하 VDT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 모니터를 오래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질병을 총칭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종류의 VDT 증후군도 늘어나고 있다.
이 때, VDT 증후군은 안계증세를 유발시킨다. 안계증세는 모니터 또는 화면을 근거리에서 지속적으로 장시간 봄에 따라 생기게 되며, 그 증상은 안구가 내측으로 몰리거나, 안구의 방향이 서로 맞지 않고 다른 곳을 바라보게 한다. 특히, 이로 인해 생기는 시력장애 증상을 사시라고 한다.
따라서, 현대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사시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키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시키는 접안부, 상기 접안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안부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제공장치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상기 마크와 일직선이 되면 상기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구 움직임을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은 본체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은,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은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설치없이 영상의 콘텐츠만으로 안구운동을 수행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교정하는 영상의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게임 등에 적용하여 시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시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의 시력이 향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100)는 현대사회에서 발생되는 VDT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시를 개선한다. 즉, 안구운동장치(100)는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영상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안구운동장치(100)는 본체(10) 및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이 된다. 본체(10)는 HMD(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장착을 하여도 무게에 대한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10)와 결합된다. 영상제공장치(30)는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한다. 여기서,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장치(30)는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영상에 대한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30)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단말로써,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여기서, 안구운동장치(100)는 본체(10)와 영상제공장치(30)가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이거나,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감지부(32), 제어부(33) 및 디스플레이부(34)를 포함하고, 통신부(31) 및 저장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설정값이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출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 정보, 재생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1)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후술되는 안구운동량, 사시 상태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외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감지부(32)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추적하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부(32)는 좌안 및 우안의 동공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는 영상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33)는 감지부(32)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마크와 일직선이 되면 사시에 대한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 여기서, 마크는 십자모양, 엑스모양 등을 포함하고,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33)는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는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면 사용자의 심리 또는 육체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지속적인 영상 출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어지러움, 구토 등과 같은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재생시간일 수 있으며, 30초, 1분, 3분, 5분, 7분, 10분 등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장시간 영상에 노출되어 발생되는 피로감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3)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마크에 눈금을 표시하여 사용자 스스로 좌안 및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4)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4)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4)는 사용자 입력을 직접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5)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이 저장된다. 즉, 저장부(35)는 다양한 객체 모양을 가지는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100)는 HMD 형태로 형성되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안구운동장치(100)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스로 자신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영상에 출력되는 객체를 추적하여 사시를 개선할 수 있다. 안구운동장치(100)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본체(10)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몸통부(11), 접안부(12), 고정부(15) 및 결합부(16)를 포함한다.
몸통부(11)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몸통부(11)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원기둥, 원반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몸통부(11)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가 5cm 내지 20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34)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통부(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대한 거리는 영상의 크기가 크면 길이가 길어지고, 영상의 크기 작으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접안부(12)는 몸통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접압부(12)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테두리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밀착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압박 등을 최소화한다. 또한 접안부(12)는 안경을 쓴 사람도 사용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접안부(12)는 좌안 접안부(13) 및 우안 접안부(14)를 포함한다. 좌안 접안부(13)는 사용자의 좌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좌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한다. 우안 접안부(14)는 사용자의 우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우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한다.
고정부(15)는 접안부(12)의 양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안부(12) 및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을 한다. 고정부(15)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밴드의 길이는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고정부(15)가 밴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가 헬멧 형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부(15)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부(16)는 몸통부(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영상제공장치(30)를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 때, 결합부(16)는 디스플레이부(34)가 형성된 면의 반대되는 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부(16)와 영상제공장치(30)가 결합된 면의 후면에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영상제공장치(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영상제공장치(30)와 몸통부(11)가 결합된 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34)가 접안부(12)와 대향하도록 몸통부(11)와 결합된다. 영상제공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일정 간격이 이격된 두 개의 객체(50)를 출력한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30)는 두 개의 객체(50) 중 하나인 제1 마크(53)를 포함하는 제1 객체(51)가 좌안 접안부(13)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인 제2 마크(54)를 포함하는 제2 객체(52)가 우안 접안부(14)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한다. 영상제공장치(30)는 제1 객체(51)와 제2 객체(52)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적어도 좌안의 시선이 제2 객체(52)를 볼 수 없고, 우안의 시선이 제1 객체(51)를 볼 수 없는 거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안시로 객체를 보는 경우, 좌안을 통해 제1 객체(51)만을 볼 수 있고, 우안을 통해 제2 객체(52)만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안시로 객체를 보는 경우, 제1 객체(51)와 제2 객체(52)가 서로 겹쳐지는 모양을 볼 수 있다. 이 때, 제1 객체(51)의 중심에 포함된 제1 마크(53)와 제2 객체(52)의 중심에 포함된 제2 마크(54)가 서로 일치되게 겹쳐지는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51, 52)를 추적하면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하측이 사시라고 인지하면 상직근, 하직근, 상사근, 하사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좌우측이 사시라고 인지하면 내측근, 외측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이 사시가 아니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5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의 시선 방향이 각각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와 일직선을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과 같이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가 서로 겹쳐지는 화면을 인지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의 중심에 형성된 제1 마크(53) 및 제2 마크(54)가 서로 겹쳐져서 하나의 마크가 되는 화면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영상제공장치(30)는 출력되는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4) 중 적어도 하나의 마크(51, 52)에 눈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제2 마크(54)에 사시를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눈금과 눈금의 거리를 1프리즘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프리즘은 사시량을 측정하는 단위로써, 사시 환자가 1m의 거리에서 1cm의 편차가 생겼을 때 1프리즘이라고 하며, 3cm의 편차가 생기면 3프리즘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시가 아닌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의 중앙에 제1 마크(53)의 중앙과 겹쳐지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스스로 사시가 아님을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은 사용자의 사시 중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은 사용자의 사시 중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51, 52)를 추적하면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 중 적어도 하나가 사시이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방향이 각각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와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므로,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의 중앙이 서로 안 겹쳐지는 화면을 확인한다.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이 제1 객체(51)가 아닌 제2 객체(52)로 시선방향이 틀어지고, 우안 동공(75)이 제2 객체(52)와 일직선의 시선방향을 가지거나, 사용자의 좌안 동공(73)이 제1 객체(51)와 일직선의 시선방법을 가지고, 우안 동공(74)이 제2 객체(52)가 아닌 제1 객체(51)로 시선방향이 틀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사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내측사시 2프리즘이고, 하측사시 2프리즘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7(a)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마크(53)가 좌측으로 2칸, 상측으로 2칸 이동된 것을 인지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사시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측사시 1.5프리즘이고, 상측사시 1프리즘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7(b)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마크(53)가 우측으로 1.5칸, 하측으로 1칸 이동된 것을 인지함으로써, 자신에 대산 사시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시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의 시력이 향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사용자의 사시 중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사용자의 사시 중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사시를 개선시켜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 중 적어도 하나가 사시이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30)는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사시가 있는 안구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내측사시 2프리즘이고, 하측사시 2프리즘이고, 영상제공장치(30)가 지속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9(a)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으로 제1 마크(53)의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가 교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측사시 1.5프리즘이고, 상측사시 1프리즘이고, 영상제공장치(30)가 지속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9(b)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으로 제1 마크(53)의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가 교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제공장치(30)는 좌우방향에 대한 사시만을 사용가가 인지하고, 인지된 사시가 교정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방향에 대한 사시를 사용자가 인지하고, 인지된 사시가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안구운동방법은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 안구운동방법은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설치없이 영상의 콘텐츠만으로 안구운동을 수행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사시를 교정하는 영상의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게임 등에 적용하여 시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S91단계에서, 안구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된다. 안구운동장치(100)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본체(10)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10)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S92단계에서, 안구운동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안구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마크와 일직선이 되도록 유도한다. 이 때, 안구운동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안구운동장치(100)는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몸통부
12: 접안부 13: 좌안 접안부
14: 우안 접안부 15: 고정부
16: 결합부 30: 영상제공장치
31: 통신부 32: 감지부
33: 제어부 34: 디스플레이부
35: 저장부 50: 객체
51: 제1 객체 52: 제2 객체
53: 제1 마크 54: 제2 마크
70: 안구 71: 좌안
72: 우안 73: 좌안 동공
74: 우안 동공 75: 사용자 인지화면
100: 안구운동장치

Claims (10)

  1.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시키는 접안부;
    상기 접안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안부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제공장치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상기 마크와 일직선이 되면 상기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구 움직임을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8. 본체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
PCT/KR2017/008140 2016-10-04 2017-07-28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WO201806679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7756 2016-10-04
KR10-2016-0127756 2016-10-04
KR10-2017-0095125 2017-07-27
KR1020170095125A KR101937041B1 (ko) 2016-10-04 2017-07-27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796A1 true WO2018066796A1 (ko) 2018-04-12

Family

ID=6183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8140 WO2018066796A1 (ko) 2016-10-04 2017-07-28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667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1486A1 (en) * 2020-09-28 2022-03-31 Christopher Pratt Foley, J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ctifying Vision For Individuals With Imprecise Focal Poin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27A (ja) * 1998-10-06 2000-04-18 Canon Inc 検眼装置
KR20100135055A (ko) * 2009-06-16 2010-12-24 국립암센터 안구의 변위 측정 방법, 안구의 변위 측정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안구의 변위 측정 장치
KR20120094349A (ko) * 2011-02-16 2012-08-24 (주)에스테크 눈의 모양근 조절이완장치
KR20120139455A (ko) * 2011-06-17 2012-12-27 김기홍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기능 훈련방법
KR20160107552A (ko) * 2015-03-04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안시 개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27A (ja) * 1998-10-06 2000-04-18 Canon Inc 検眼装置
KR20100135055A (ko) * 2009-06-16 2010-12-24 국립암센터 안구의 변위 측정 방법, 안구의 변위 측정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안구의 변위 측정 장치
KR20120094349A (ko) * 2011-02-16 2012-08-24 (주)에스테크 눈의 모양근 조절이완장치
KR20120139455A (ko) * 2011-06-17 2012-12-27 김기홍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기능 훈련방법
KR20160107552A (ko) * 2015-03-04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안시 개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1486A1 (en) * 2020-09-28 2022-03-31 Christopher Pratt Foley, J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ctifying Vision For Individuals With Imprecise Focal Points
US11995792B2 (en) * 2020-09-28 2024-05-28 Christopher Pratt Foley, J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ctifying vision for individuals with imprecise focal poi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0266A1 (ko) 가상현실 헤드셋을 이용한 안경 렌즈 비교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19788A1 (ko) 머리 장착형 전자장치
WO2015076531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WO2014109498A1 (en) Head mounted display providing eye gaze calib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46686A1 (en) Wear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yer in the same
WO201310571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displayed image
WO2014109430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providing eye gaze calib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6497255U (zh) 增强现实显示系统
EP3072009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O2015122566A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ugmented reality image capture guid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22080548A1 (ko)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
EP3146380A1 (en) Wearable device displaying thumbnail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37041B1 (ko)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CN109782913A (zh) 一种控制屏幕内容显示的方法及装置
WO2018066796A1 (ko)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JP2009104429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携帯装置
WO2016056699A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US2016009171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085821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스마트 단말 및 이를 위한 제어 방법
KR101874861B1 (ko) 명암을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WO2018124451A1 (ko) 객체추적을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WO2016035952A1 (ko) 이미지 처리 디바이스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80076024A (ko) 원근감을 이용한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
WO2018056791A1 (ko) 시지각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8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8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