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56699A1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56699A1
WO2016056699A1 PCT/KR2014/010769 KR2014010769W WO2016056699A1 WO 2016056699 A1 WO2016056699 A1 WO 2016056699A1 KR 2014010769 W KR2014010769 W KR 2014010769W WO 2016056699 A1 WO2016056699 A1 WO 20160566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output
focus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7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양택
최경선
이상준
손주형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ublication of WO20160566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566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in real time through the image recording device to the eyes of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more specifically can be worn on the user's face, the image taken in real time through the image taking device
  • Wearabl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close to the user's eyes by adjusting the time axis or focus according to the visi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have overlapping objects due to strabismus and those who complain of dizziness due to different focal lengths of eyes It is about.
  • the wearable device may be worn by a body such as a healthcare bracelet, a smart watch, a head mounted display (HMD), or the li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device, and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widely used in more everyday life or work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healthcare.
  • Wearable devices have advantages in many fields, but in non-mainstream areas such as disabilities, the market is narrow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using wearable devices.
  • Korean Patent No. 10-14190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escribes a head mounted device for a smartphone.
  • the prior art includes two lenses arranged side by side and a movabl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spacing of the bilateral lenses and allowing the two lenses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lens axis.
  • the darkroom section provides two dark rooms left and right separated by left and right partition walls. The front of the two darkrooms is open, and the phone support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side is provided with a slot into which the smartphone can be mounted.
  • the movable lens unit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two dark chambers.
  • the headmount is coupled with the darkroom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be worn by the user on the head.
  • the phone case where the smartphone is placed is inserted into the slot in front of the darkroom part so that the two screen areas divided into two sides of the smartphone are exposed to the two dark room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two screen areas of the smartphone are offset from each other.
  • the two-dimensional images having the same contents are displayed, respectively, the two-dimensional images are displayed through the two lenses. Therefore, the prior art document not only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nses and the smartphone screen, but also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nses, so that the focal length and distance of the two lens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user's eyes. It is a big advantage to be able to watch 3D images.
  • the prior literature is that the image stored in the smart is output through the HMD,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for example, high myopia or strabismus) has a problem that the image is shaken because it accurately focuses the image and the eye.
  •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for example, high myopia or strabismu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according to a user's eyesight and time axis in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in real time through an image capturing unit. In provid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that can adjust the focus of an image without changing the resolution in outputt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 a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user's eyes, and wearing means for wearing the display unit on a face of the user.
  •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n image photographing unit, an image output unit outputt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yes of the user, and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 an adjusting unit for changing the output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 the focus control unit for moving the image output unit to adjust the focus of the output image.
  • the focus adjustment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cusing support, and as the left and right moving from the focusing support, the image output unit coupled to the focusing control includes a function to adjust the time axis is moved left and right. .
  • the adjustment unit includes a time axis adjustment unit for moving the output image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planar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is taken at a preset resolution, and converts the image photographed at the preset resolution into an image of view re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specific object or a creature having a lower resolution than the preset resolution. It further comprises an image conversion unit,
  • the image output unit outputs only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a region in which the converted view resolution image can be output.
  •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And an analog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ceived image into an analog image and outputting the light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image taken in real time through the image taking unit, by outputting th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vision and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a person with a vision disorder can see the image accurately without shaking.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thereby controlling distortion of the image by adjusting the focus of the image without changing the resolu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oint of time to be photographed through a wearable display device and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captur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time axis adjust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focus adjust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earabl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wearing unit 100 and a display unit 200.
  • Wearing means 100 is a device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user's head. As shown in Figure 1 (a), the wearing means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spectacles of the glasses. Therefore, the user wears the wearing means 100 on the user's ear to fix it to the head. Wearing means 100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Figure 1 (a) may be configured in any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For example, the wearing means 100 may be configured as a band of the form surrounding the head.
  • the display unit 200 is a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n the eyeball of the user. As shown in FIG. 1A,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unit 210, a focus adjusting unit 232, a focus adjusting support unit 234, an analog converter 240, an image output unit 250, and a controller. 260 may include.
  •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capturing images, such as a camera and a cam.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is a device for moving the image output unit 250 in th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adjust the focus or time axis of the output image.
  •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part 234 is a device for coupling the focus adjustment part 232 to the display part 200.
  •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part 234 supports the focus control part 232, thereby preventing the focus control part 232 from being separated or moved to the outside.
  •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234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image output unit 250, to prevent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rotated together when the focus control unit 232 is rotated.
  • the analog converter 240 is a device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50 to an analog image.
  •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 the control unit 26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o output by moving the time axis of the output image. Details regarding the time-axis adjustment and the focus adjustment of the image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1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0.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0.
  • the user grasps the side of the focus adjuster 232 and rotates it to adjust the focus of the image.
  • the focus adjustment connector 23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by being coll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cus adjustment unit 232. 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focus adjuster 232 in a specific direction, the focus of the image is adjusted as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up and down. For example, when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is rotated clockwise,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upward. When the focus adjusting unit 23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image output unit 250 rotates downward. Is moved.
  • the focus adjustment unit 23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234,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234 is provided with a drilling hole 235.
  • the user may move the focus control unit 23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drilling hole 235.
  •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through the focus connecting unit 233, and the analog converter 240 is fixed to the image output unit 250. Therefore, by moving the focus control unit 232 from the focus adjustment support 234 to the left and righ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image of the time axi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 the focusing unit 232 is provided on each side.
  • the left and right focus adjustment unit 232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 the time axis adjuster 231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adjust the time axis of the image output to the left and right eyes.
  •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time axis is not limited to the focus adjusting part 232, and a time axis adjusting part 231 for adjusting the time axis is separately provided. Description of the time axis adjustment unit 231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connected to the focus control connector 233, the lower portion is configured with an image panel for outputting the image.
  • Video panel is a device that can output video such as LCD, LED, LCOS.
  •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provided at right and left sides, and has the same function and structure.
  • the analog converter 240 receives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50 and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user. Therefore, the analog converter 24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to receive the image.
  • the analog conversion unit 24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rism to enable the light receiving and output of the image. As shown in FIG. 1, the analog converter 240 is provided at right and left sides, and has the same function and structure.
  • the controller 260 is configured in the display 260 and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1.
  • the display unit 200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210, an image converting unit 220, an adjusting unit 230, an analog converting unit 240, an image output unit 250, and a controller 260. can do.
  •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is a device for capturing an image. Meanwhil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is photographed at a preset resolution. For example,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may be set to a resolution of 2,560 x 1,920 / 2,048 x 1,536 / 1,600 x 1,200 / 1,280 x 960 / 1,024 x 768/640 x 480.
  • the image converting unit 220 converts an image photographed at a predetermined resolution into an image having a view re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specific object or a creature having a lower resolution than the preset resolution. For example, w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has a resolution of 1,600 x 1,200, a person generally has a resolution of 1,600 x 1,200 as a person has a hard to see high resolution such as 1,600 x 1,200. This reduces the field of view resolution, such as 640 x 480. Description of the field of view resolu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adjusting unit 230 Whe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50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50, the adjusting unit 230 varies the output ima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It is a device for. As shown in FIG. 2, the adjusting unit 230 may include a time axis adjusting unit 231 and a focus adjusting unit 232.
  • the time axis adjustment unit 231 is a device for moving the output image in the plane of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 the time axis adjustment according to the time axis adjustment unit 23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is a device for moving the image output unit 250 in th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adjust the focus or time axis of the output image.
  • the description of the time axis of the imag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focus of the imag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a device for outputting only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a region capable of outputting the converted view resolution image.
  • the controller 26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unit 250 according to the time axi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image. For example, when the time axis controller 231 generates information for moving the image left 3, the controller 260 transmits a signal 'left 3' to the image output unit 250. As a result, the image shifted to the left 3 based on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250.
  • Figure 3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oint of time to be photographed through a wearable display device and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hotographed image 211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210 is photographed into a total area of 5 ⁇ 3.
  • the image converting unit 220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211 into a converted image 212 of view resolution capable of recognizing a specific object or creature.
  • the converted image 212 has a converted image 212 having a number '2 3 4' and 3 ⁇ 1 around the captured image 211. Therefore, the conversion area 212 has a resolution of 1,200 x 400.
  • the area and resolution of the captured image 211 and the converted image 212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changed by distance, lens, or the like.
  • the viewpoint of the left eye 310 is aligned with the number 2
  • the viewpoint of the right eye 320 is aligned with the number 3.
  • the left eye field 311 is an area of the numbers '1 2 3' and 3 x 1
  • the right eye field 321 is an area of the numbers '2 3 4' and 3 x 1.
  • the viewpoint of the left eye 310 and the right eye 320 should be the same, and when the viewpoints of the left eye 310 and the right eye 320 are not the same as in FIG.
  • the user is strabismus in the left eye 310 because it is normal that the point is set to the number 3.
  • the photographed image 211 photographed by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21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output image 262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an image of the converted image 212 of FIG. 3.
  • the output image 262 is output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output possible region 261. Therefore, in the output image 262, when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the areas of the output image 262 and the non-output image 263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axis movement. Meanwhile, the area range of the output image 262 and the non-output image 263 may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 the normal eye sees the output image 262 of the '2 3 4' the same.
  • the left eye 311 is partially biased to the left as '1 2 3'. Therefore, a user with left-eye esotropia sees only '2 3' among the images output as '2 3 4'. Since the image of '1' is not outputted, the left eye 310 sees an unoutput image 2 3 and the right eye 320 sees an area of '2 3 4'. Therefore, when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viewed with both eyes, a double phenomenon occurs.
  • the diplopia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focus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not the same. In the case of FIG. 4, the unfocused imag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2 have the same focus, the left eye 2 and the right eye 3 have the same focus, and the left eye 3 and the right eye 4 have the same focus. Symptoms occur.
  • FIG. 5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time axis adjust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O Base Out
  • BI Base In
  • BD Base Down
  • BO means the external axis around the viewpoint
  • BI means the internal axis around the viewpoint. Therefore, the point of view is exotropia when biased to BO, and esotropia when biased to BI.
  • BU means the upper axis around the viewpoint and BI means the lower axis around the viewpoint. Therefore, the point of view is sloping if it is biased to BU, and is struck if biased to BD.
  • the top view of FIG. 5 is an output image 262 that is generally displayed. Referring to the top view of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image 262 of '2 3 4' is displayed without being biased in any one of the BU, BD, BO, and BI in the output possible region 261.
  • FIG. 5 is an output image 262 displayed when there is esotropia in the left eye.
  • the output image 262 of '2 3 4' outputted on the left side is partially displayed in the output direction 261 in the BO direction.
  • the time axis adjuster 231 In order to move the time axis of the output image 262, the time axis adjuster 231 first generates a signal for moving the output image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 the controller 260 receives the movement signal from the time axis controller 231, and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250 to display the output image 262 according to the movement signal. For example, when the output image 262 output in the output possible area 261 is located at BO: 0, BI: 0, BU: 0, and BD: 0, BO: 0, BI: 0, BU: 0 The video is output only in a predetermined range centered on BD: 0 (the center of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other area becomes the non-output image 263.
  • the controller 260 If a movement signal of 3 to BO is generated in the time axis controller 231, the controller 260 outputs an image such that the output image 262 is output based on BO: 3, BI: 0, BU: 0, and BD: -3.
  • the unit 250 is controlled. As the output image 262 is visually moved to the viewpoint of the left eye 310, the user may view the output image 262 without diplopia.
  • the unit is a unit set by the user, such as mm or um.
  • 6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focus adjustmen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analog converter 240 is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right diagram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analog converter 240 is not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00.
  • the analog converter 240 may include a light receiver 241 for receiv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50 and a light emitter 242 for outputting the image to the outside. have.
  • the light receiver 241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image output unit 250 to receive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50.
  • the light emitter 242 is positioned such that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er 241 is output to the eyeball of the user, and the light emitter 242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ight receiver 241 to form an oblique line.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and the image output unit 250 are connected by the focus adjusting connector 233. You can check it. Accordingly, as the distance of the image output to the light receiver 24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nghai east of the image output unit 250, the focus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light emitter 242 is adjusted.
  •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a digital image.
  • the output digital image is received by the analog converter 240 and output as light, so that the digital image is converted into an analog image. Through this, the user has the effect of reducing eye fatigue. Meanwhile, since the analog converter 240 is fixed to the display 200, the resolution of the image received by the user's eyeball 300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
  • FIG. 6 is an embodiment of a wearable display apparatus when the analog converter 240 is not included.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is positioned outside the display unit 200.
  •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to enable the output of the image.
  •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and the image output unit 250 may be connected by the focus adjusting connector 233. Accordingly, when the focus controller 232 is rotated clockwise,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forward, and when rotated counterclockwise, it is moved backward. As the image output unit 250 moves back and forth,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changed to adjust the focus of the image.
  • the digital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output in proximity to the eyeball 300 of the user. Therefore, the image output unit 25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output image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yes.
  • the structure in which the focus adjusting unit 232 and the image output unit 250 are connected is not limited to a screw line as shown in FIG. 6. It can be designed to be changed to various structures using gears (rack gear, rack pinion, bevel gear,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가능하며,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사시로 인해 사물이 겹쳐 보이는 현상을 가진 사람, 두 눈의 초점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사람의 시력 특성에 맞추어 시축을 조절하거나 초점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적 특성에 맞추어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이 흔들림없이 정확하게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해상도의 변경 없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의 눈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기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가능하며,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사시로 인해 사물이 겹쳐 보이는 현상을 가진 사람, 두 눈의 초점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사람의 시력 특성에 맞추어 시축을 조절하거나 초점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기기의 발전에 따라 전자제품을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들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는 헬스케어 팔찌, 스마트워치,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이 몸이 착용가능하다. 따라서 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헬스케어와 같이 여러 서비스와 연계하여 좀 더 일상생활 또는 업무환경에서 넓게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여러 분야에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장애와 같은 비주류 분야에서는 시장이 좁게 형성되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웨어러블 장치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얼굴에 착용이 가능한 제품으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거나 컴퓨터 등을 통해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10-1419007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는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선행기술은 가동렌즈부는 좌우에 나란히 배치된 두 렌즈와, 이두 렌즈의 좌우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두 렌즈를 렌즈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해주는 가동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암실부는 좌우 분리벽에 의해 분리된 좌우의 두 암실을 제공한다. 그 두 암실의 앞쪽은 개방되어있고, 더 앞쪽에 상기 스마트폰이 장착될 수 있는 슬롯이 제공되도록 폰 지지부가 마련된다. 두 암실의 뒤쪽에는 상기 가동렌즈부가 장착된다. 헤드마운트는 암실부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스마트폰이 안치된 폰케이스가 암실부 앞쪽의 슬롯에 삽입되어 그 스마트폰의 좌우로 반분된 두 화면영역이 좌우의 두 암실에 각각 노출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두 화면영역에 서로 간에 오프셋을 갖는 같은 내용의 2차원 영상이 각각 디스플레이될 때, 두 렌즈를 통해서는 3차원 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은 두 렌즈와 스마트폰 화면까지의 거리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 렌즈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사용자 눈의 조건에 맞게 두 렌즈의 초점거리와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마다 최적의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점이 큰 장점이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스마트에 저장된 영상이 HMD를 통해 출력되는 것으로 시력 장애(예를 들어 고도근시나 사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영상과 안구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기 때문에 흔들린 영상을 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과 시축에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해상도의 변경 없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눈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시키기 위한 착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눈과 일정거리에 출력시키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때, 상기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출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출력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초점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초점조절부는 초점조절지지대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초점조절지지대에서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초점조절부에 결합된 상기 영상출력부가 좌우로 이동되어 시축이 조절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출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시축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기 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되며, 상기 기 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기 설정된 해상도보다 저해상도인 특정 사물이나 생물의 인식이 가능한 시야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변환된 시야해상도의 영상을 출력가능한 영역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범위만 출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수광된 영상을 아날로그영상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광하기 위한 출광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촬영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력과 시축에 맞추어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이 흔들림이 없이 정확하게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서, 해상도의 변경 없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함으로써 영상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촬영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축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초점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1(a)을 살펴보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착용수단(100),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착용수단(100)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도 1(a)과 같이, 착용수단(100)은 안경의 안경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용수단(100)을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여 머리에 고정하도록 한다. 착용수단(100)은 도 1(a)의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머리에 착용 가능한 모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착용수단(100)은 머리를 감싸는 형태의 밴드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의 안구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도 1(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촬영부(210), 초점조절부(232), 초점조절지지부(234), 아날로그 변환부(240), 영상출력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210)는 카메라, 캠과 같이 영상촬영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초점조절부(232)는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 또는 시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상출력부(25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초점조절지지부(234)는 초점조절부(232)를 디스플레이부(200)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이다. 초점조절지지부(234)는 초점조절부(232)를 지지함으로써, 초점조절부(232)가 외부로 이탈 또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초점조절지지부(234)는 영상출력부(25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초점조절부(232)를 회전할 경우 영상출력부(25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아날로그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영상출력부(250)는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어부(260)는 출력되는 영상의 시축을 이동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영상의 시축조절 및 초점조절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b)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b)은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b)을 살펴보면 초점조절부(232)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에 일정부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점조절부(232)가 일정부분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초점조절부(232)의 측면을 잡고 회전시켜 영상의 초점을 조절한다. 초점조절연결부(233)은 초점조절부(232)의 하단에 채결되어 영상출력부(250)의 일측과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점조절부(232)를 특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영상출력부(2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영상의 초점이 조절된다. 일 예로 초점조절부(2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영상출력부(25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초점조절부(23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영상출력부(25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초점조절부(232)를 통해 영상의 시축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b)와 같이, 초점조절부(232)는 초점조절지지부(234)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초점조절지지부(234)에는 천공홀(235)이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초점조절부(232)를 천공홀(235)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250)는 초점연결부(233)를 통해 초점조절부(2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출력부(250)와 고정된다. 따라서 초점조절부(232)를 초점조절지지대(234)에서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좌우 이동에 따른 시축이 변경된 영상을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을 살펴보면, 초점조절부(232)는 좌우에 각 구비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좌우에 각 구비된 초점조절부(232)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시축조절부(231)가 좌우에 각 구비됨에 따라 좌안과 우안에 출력되는 영상의 시축을 따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축을 조절하는 방법은 초점조절부(232)로 한정하지 않으며, 시축을 조절하기 위한 시축조절부(231)가 따로 구비되어 있다. 시축조절부(231)에 대한 기재는 후술한다.
영상출력부(250)의 상부는 초점조절연결부(233)와 연결되며, 하부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영상패널이 구성된다. 영상패널은 LCD, LED, LCOS와 같이 영상출력이 가능한 장치이다. 도 1과 같이, 영상출력부(250)는 좌우 각 구비되며, 기능 및 구조는 동일하다.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광하여, 사용자에게 출광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해 영상출력부(250)의 하단에 위치한다.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의 수광 및 출광이 가능하도록 프리즘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같이,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좌우 각 구비되며, 기능 및 구조는 동일하다.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60)내에 구성되며 도 1의 구조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촬영부(210), 영상변환부(220), 조절부(230), 아날로그변환부(240), 영상출력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21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기 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된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은 2,560 x 1,920 / 2,048 x 1,536 / 1,600 x 1,200 / 1,280 x 960 / 1,024 x 768 / 640 x 480 등의 해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영상변환부(220)는 기 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해상도보다 저해상도인 특정 사물이나 생물의 인식이 가능한 시야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1,600 x 1,200의 해상도일 경우, 일반적으로 사람은 1,600 x 1,200과 같이 고해상도를 보기 힘든 시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1,600 x 1,200의 해상도를 촬영된 영상을 640 x 480과 같이 시야해상도를 낮추게 된다. 시야해상도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조절부(230)는 영상촬영부(2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영상출력부(250)를 통하여 출력될 때, 출력되는 영상을 영상출력부(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 2와 같이, 조절부(230)는 시축조절부(231)와 초점조절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시축조절부(231)는 출력되는 영상을 영상출력부(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시축조절부(231)에 따른 시축조절은 도 3내지 도 5를 통해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초점조절부(232)는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 또는 시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영상출력부(250)를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영상의 시축에 대한 기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영상의 초점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통해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영상출력부(250)는 변환된 시야해상도의 영상을 출력가능한 영역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범위만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어부(260)는 영상의 시축이동정보에 따라 영상출력부(250)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시축조절부(231)가 영상을 좌로 3 이동하라는 정보를 생성하면 제어부(260)는 영상출력부(250)에 '좌3'이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영상출력부(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로 3 이동된 영상이 영상출력부(250)에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장애를 가진 사람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되는 촬영영상(211)은 총 5 x 3의 영역으로 촬영된다. 촬영영상(211)의 해상도가 2000 x 1,200일 경우, 사용자는 2,000 x 1,200의 해상도로 촬영된 영상을 식별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 된다. 따라서 영상변환부(220)은 촬영영상(211)을 특정 사물이나 생물의 인식이 가능한 시야해상도의 변환영상(212)으로 변환한다. 도 3과 같이, 변환영상(212)은 촬영영상(211)을 중심으로 숫자 '2 3 4', 3 x 1의 변환영상(212)을 가진다. 따라서 변환영역(212)은 1,200 x 400의 해상도를 가지게 된다. 촬영영상(211)과 변환영상(212)의 영역과 해상도는 위의 예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거리, 렌즈 등에 의해 변경 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좌안(310)의 시점은 숫자 2에 맞춰있으며, 우안(320)의 시점은 숫자 3에 맞춰있다. 따라서 좌안시야(311)는 숫자 '1 2 3', 3 x 1의 영역이 되며, 우안시야(321)는 숫자 '2 3 4', 3 x 1의 영역이 된다. 일반적으로 좌안(310)과 우안(320)의 시점은 동일해야 하며, 도 3과 같이 좌안(310)과 우안(320)의 시점이 동일하지 않을 때는 사시라 일컫는다.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였을 경우 숫자 3에 시점이 맞춰지는 것이 정상이므로 사용자는 좌안(310)에 사시가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좌안시야(311)와 우안시야(312)가 다를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촬영영상'을 살펴보면, 영상촬영부(2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211)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4의 '출력영상'을 살펴보면, 영상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영상(262)은 도 3의 변환영상(212)을 출력한 영상이다. 한편, 출력가능영역(261)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범위만 출력영상(262)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영상(262)은 영상출력부(250)가 좌우 또는 상하 이동하게 되면, 시축이동에 따라 출력영상(262)과 미출력영상(263)의 영역은 변경된다. 한편, 출력영상(262)과 미출력영상(263)의 영역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정상시력자가 볼 경우'를 살펴보면, 정상시력자는 '2 3 4'의 출력영상(262)을 동일하게 보게 된다.
반면, 도 4의 '비정상시력자가 볼 경우(좌안 외사시)'를 살펴보면, 좌안시야(311)가 '1 2 3'으로 시야가 좌측으로 일부 치우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좌안 외사시를 가진 사용자는 '2 3 4'로 출력되는 영상 중 '2 3'만을 보게 된다. '1'의 영상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좌안(310)으로는 '미출력영상 2 3', 우안(320)으로는 '2 3 4'의 영역을 보게 된다. 따라서 양안으로 영상출력부(250)를 봤을 시 복시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복시현상은 좌안과 우안의 초점이 동일하지 못함에 따라 발생 되는 현상이다. 도 4의 경우는 좌안의 미출력영상과 우안의 2의 초점이 동일하고, 좌안의 2와 우안의 3의 초점이 동일하며, 좌안의 3과 우안의 4의 초점이 동일함에 따라, 영상이 흔들려 보이는 증상이 발생한다.
이하 도 5를 통해 복시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영상의 시축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축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가로축으로 BO(Base Out), BI(Base In)가 형성되며, 세로축으로 BU(Base Up), BD(Base Dow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O는 시점을 중심으로 외축을 의미하며, BI는 시점을 중심으로 내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점이 BO에 치우치면 외사시, BI에 치우치면 내사시이다. BU는 시점을 중심으로 상축을 의미하며, BI는 시점을 중심으로 하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점이 BU에 치우치면 상사시, BD에 치우치면 하사시이다.
도 5의 상측도면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영상(262)이다. 도 5의 상측도면을 살펴보면, 출력가능영역(261)내에서 '2 3 4'의 출력영상(262)이 BU, BD, BO, BI 중 어느 한곳에 치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하측도면은 좌안에 내사시가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영상(262)이다. 도 6의 하측도면을 살펴보면, 좌측에 출력되는 '2 3 4'의 출력영상(262)이 출력가능영역(261)내에서 BO방향으로 일정부분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력영상(262)의 시축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시축조절부(231)는 출력력되는 영상을 영상출력부(250)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260)는 시축조절부(231)로부터 이동신호를 수신받아, 출력영상(262)이 이동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출력부(25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출력가능영역(261)내에서 출력된 출력영상(262)이 BO:0, BI:0, BU:0, BD:0에 위치할 경우, BO:0, BI:0, BU:0, BD:0를 중심(영상출력부의 중심)으로 기 설정된 일정범위만 영상이 출력되며, 그 외의 영역은 미출력영상(263)이 된다. 시축조절부(231)에 BO로 3의 이동신호가 생성되었다면 제어부(260)은 출력영상(262)이 BO:3, BI:0, BU:0, BD:-3를 중심으로 출력되도록 영상출력부(250)를 제어한다. 출력영상(262)을 좌안(310)의 시점으로 시축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복시현상없이 출력영상(262)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단위는 mm, um 등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초점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6의 좌측도면은 아날로그 변환부(240)가 디스플레이부(200)에 포함되었을 경우이며, 우측도면은 아날로그 변환부(240)가 디스플레이부(200)에 미포함되었을 경우이다.
도 6의 좌측도면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영상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241)와 영상을 외부로 출광하기 위한 출광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241)는 영상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하여 영상출력부(250)와 평행하게 위치한다. 출광부(242)는 수광부(241)를 통해 수광된 영상이 사용자의 안구에 출광되도록 위치하며, 출광부(242)는 수광부(241)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사선으로 형성된다.
도 6의 좌측도면을 살펴보면, 초점조절부(232)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초점조절부(232)와 영상출력부(250)는 초점조절연결부(233)에 의해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출력부(2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수광부(241)로 출력되는 영상의 거리가 변경됨에 따라 출광부(242)에서 출광되는 영상의 초점이 조절된다. 영상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디지털영상이다. 출력되는 디지털영상은 아날로그변환부(240)에 수광되어 빛으로 출광됨으로써, 디지털영상은 아날로그영상으로 변환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눈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아날로그변환부(24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영상출력부(250)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사용자의 안구(300)에서 받아들이는 영상의 해상도는 변경되지 않는다.
도 6의 우측도면은 아날로그 변환부(240)가 미포함되었을 경우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이다. 도 6의 우측도면을 살펴보면, 초점조절부(232)가 디스플레이부(200)의 외측에 위치한다. 내측면에는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영상출력부(250)가 위치한다. 초점조절부(232)와 영상출력부(250)는 초점조절연결부(233)에 의해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점조절부(2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영상출력부(250)는 전방으로 이동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후방으로 이동된다. 영상출력부(250)의 전후이동에 따라 영상출력부(25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변경되어 영상의 초점이 조절된다. 도 6의 우측도면은 아날로그변환부(240)가 미포함됨에 따라 영상출력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영상이 사용자의 안구(300)에 근접하여 출력된다. 따라서 영상출력부(25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출력영상이 눈과 일정한 거리에 디스플레이되는 구조이다.
초점조절부(232)와 영상출력부(250)가 연결되는 구조는 도 6과 같이 나사선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기어를 사용하는 다양한 구조(랙 기어, 랙 피니언, 베밸 기어 등)로 변경되어 설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 예로,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장치의 형태는 변경될 수 있으며, 도 6의 아날로그변환부도 포함되거나 미포함될 수 있는 구조이다.

Claims (7)

  1. 사용자의 눈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시키기 위한 착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눈과 일정거리에 출력시키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될 때, 상기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출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출력되는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출력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초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는 초점조절지지대의 상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초점조절지지대에서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초점조절부에 결합된 상기 영상출력부가 좌우로 이동되어 시축이 조절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출력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출력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평면적으로 좌우 또는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시축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기 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되며, 상기 기설정된 해상도로 촬영된 영상을 상기 기 설정된 해상도보다 저해상도인 특정 사물이나 생물의 인식이 가능한 시야해상도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상기 변환된 시야해상도의 영상을 출력가능한 영역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범위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 및 상기 수광된 영상을 아날로그영상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광하기 위한 출광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PCT/KR2014/010769 2014-10-07 2014-11-11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WO20160566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857A KR101650706B1 (ko) 2014-10-07 2014-10-07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134857 2014-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699A1 true WO2016056699A1 (ko) 2016-04-14

Family

ID=5565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769 WO2016056699A1 (ko) 2014-10-07 2014-11-11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0706B1 (ko)
WO (1) WO20160566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860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허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399B1 (ko) * 2017-03-21 2019-04-1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09624B1 (ko) * 2019-04-04 2019-08-1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시력 보정을 위해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20112B1 (ko) * 2020-02-11 2020-06-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에 기반한 외사시환자 재활훈련 가상현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20220128726A (ko) 2021-03-15 2022-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그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저장매체
WO2024101747A1 (ko) * 2022-11-07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768A (ja) * 1993-08-20 2004-01-29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20060250322A1 (en) * 2005-05-09 2006-11-09 Optics 1, Inc. Dynamic vergence and focus control for head-mounted displays
US20110194029A1 (en) * 2010-02-05 2011-08-11 Kopin Corporation Touch sensor for controlling eyewear
US20120280956A1 (en) * 2007-11-21 2012-11-08 Kakuya Yamamoto Display apparatus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517A (ja) * 1993-08-20 1995-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眼鏡型画像表示装置
JP3302130B2 (ja) * 1993-11-02 2002-07-15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101419007B1 (ko) 2013-01-08 2014-07-11 주식회사 고글텍 스마트폰용 헤드마운트형 스테레오스코피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768A (ja) * 1993-08-20 2004-01-29 Seiko Epson Corp 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20060250322A1 (en) * 2005-05-09 2006-11-09 Optics 1, Inc. Dynamic vergence and focus control for head-mounted displays
US20120280956A1 (en) * 2007-11-21 2012-11-08 Kakuya Yamamoto Display apparatus
US20110194029A1 (en) * 2010-02-05 2011-08-11 Kopin Corporation Touch sensor for controlling eyewear
KR20130000401A (ko) * 2010-02-28 2013-01-02 오스터하우트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대화형 머리­장착식 아이피스 상의 지역 광고 컨텐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860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허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KR102633491B1 (ko) 2021-07-06 2024-02-06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허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265A (ko) 2016-04-18
KR101650706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56699A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US5777715A (en) Low vision rehabilitation system
JP6658529B2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CN103781400B (zh) 用于治疗视力损害的方法和系统
CN204101815U (zh) 一种基于光学和图像畸变互补偿的虚拟眼镜
WO2016054860A1 (zh) 针对视觉障碍患者的头戴式视觉辅助系统
CN106707508A (zh) 帽子型虚拟现实图像显示系统
US20120257024A1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JPH02281891A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JPWO2015198477A1 (ja) 視線検知装置
US200900593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and virtual ocular devices
JP6940617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ーヘッドマウント装置
US11061237B2 (en) Display apparatus
WO2018110741A1 (ko)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CN106338819A (zh) 一种数码取景全视场ar多媒体望远镜
JP6907616B2 (ja) 立体画像の撮像・表示兼用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装置
EP3200003A1 (en)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JP3205552B2 (ja) 立体映像撮像装置
JP2009116196A (ja) 画像表示装置
TW201805689A (zh) 外加式近眼顯示裝置
WO2013147530A1 (ko)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CN114898440A (zh) 液晶光栅的驱动方法及显示装置、其显示方法
CN106249398A (zh) 一种3d电子显微镜
CN106772981A (zh) 偏振式动态实时体视显微成像装置及方法
JP201416009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37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37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