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21766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21766A1
WO2018021766A1 PCT/KR2017/007895 KR2017007895W WO2018021766A1 WO 2018021766 A1 WO2018021766 A1 WO 2018021766A1 KR 2017007895 W KR2017007895 W KR 2017007895W WO 2018021766 A1 WO2018021766 A1 WO 20180217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casing
display device
ref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8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장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혁 filed Critical 장재혁
Publication of WO20180217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21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cover.
  •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nd generally refers to a product group such as a television or a smartphone.
  •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provides an image to a user and an acoustic emitter that provides sound to the user.
  • the smartphone since the smartphone has a smaller size than a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ing so as to secure the maximum size of the display unit at a limited casing size, and the sound emitting un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sing.
  • the trend is to deploy.
  • a search for a method of more effectively transmitting sound to a user side looking at the display unit is requir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cover capable of transmitting sound more effectively to a user side looking at the display.
  • a display device the casing to form an appearance;
  • a display unit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asing and displaying an image;
  • An acoustic emiss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and emitting sound out of the casing;
  • an acoustic reflection unit provided in the casing to guide a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tting unit is emitted.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reflect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ssion unit toward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provided near the sound emission unit and may be mounted to the casing to be movable from the casing.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ing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emission unit.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slid to be drawn out of the casing or slid to be drawn into the casing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rotat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utside the casing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ing.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t least twice from the rear of the casing.
  • the display device may be a smartphone.
  • a display device cover for cove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sound emitting unit for emitting a sound, comprising: a cover body for receiving the display device; And an acoustic reflection unit provided in the cover body and guiding a traveling direction of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tting unit.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reflect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ssion unit toward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mounted to the rear of the cover body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emission unit.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slid to be drawn out of the cover body or slid to be drawn into the cover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may be rotat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utside the cover body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 the display device may be a smartphone.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 3 to 6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acoustic reflection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2.
  •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coustic refle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of FIG. 2.
  •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and 10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an acoustic reflection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8.
  •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1
  • FIGS. 3 to 6 illustrate an operation of an acoustic reflection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2.
  • 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coustic reflec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rough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of FIG. 2.
  • the display device 10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such as a television, a monitor, a laptop PC, a tablet PC, a smart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e-book reader, an electronic picture frame. And various devices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kiosk.
  •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imited to being a smartphone.
  • the display apparatus 10 may include a casing 100, a display unit 200, an acoustic emitter 300, and an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 the casing 100 forms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apparatus 10, and may accommodat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display apparatus 10 therein.
  • th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like may include, for example, a power board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isplay apparatus 10, a control boar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10, and a speaker module for providing sound.
  • the ca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is for accommodating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105 of the casing 100. Specifically,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may be provided near the sound emitting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sound emitting parts 3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105 of the casing 100, and provided in pairs to be disposed behind each sound emitting part 300. have.
  • the display unit 200 displays an image and may include various display units displaying an image.
  • the display unit 200 is a flat panel display and includes any one of a plasma display panel module,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odule. It may be provided as one.
  • the display unit 200 may be provided as a curved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instead of a flat panel display.
  •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provided as a touch type display.
  • the display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02 of the casing 100 to display an image in front of the casing 100.
  • the sound emit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105 of the casing 1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unit 200. Specifically, the sound emit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105 of the casing 100 so as not to occupy a space on the front surface 102 of the casing 100.
  • the sound emitting unit 300 may be provided in pairs,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pair of sound emitters 300 may emit sound provided from the speaker module out of the casing 100.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in the casing 100 to gu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emitted from the acoustic emission unit 300 travels.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may reflect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tting unit 300 toward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00.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near the sound emission unit 300, and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pieces.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is limited to being provided as a pai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ound emiss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from the casing 100. Specifically,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is exposed outside the casing 100 when guiding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and the casing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100 when not guiding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It may be mounted to 100. This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display apparatus 10 due to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and to minimize the risk of damage to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is movably mounted to the reflection unit receiving portion 150 of the casing 100, and protrudes out of the reflection unit receiving portion 150 when guiding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 the sliding unit may slide to be accommodated in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when the sound propagation direction is not guided.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is the rear of the casing 100 so as to slid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coustic emission direction of the acoustic emission unit 300. Can be mounted on. That is,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may be mounted to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105 of the casing 100.
  • the sli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user operation.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may be slid to be drawn out of the casing 100 or slid to be drawn into the casing 100.
  • the display apparatus 1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liding operation button unit tha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to facilitate such a user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may be rotat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utside the casing 1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between 0 degrees and 180 degrees.
  • the user ma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ound guide of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reflector 510, a second reflector 530, and a hinge 550.
  • the first reflecting unit 510 may be mounted to the reflecting unit accommodating part 150 to be slidable along a vertical direction of the reflecting unit accommodating part 150.
  • the first reflector 510 may be exposed to the front lower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10 when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is guided.
  • a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eflector 510 to more efficiently reflect sound toward the display unit 200 when the sound propagation direction is guided.
  • the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fan shape, a comb tooth shape, and an embossing shape capable of diffusing sound toward the display unit 200.
  • the second reflector 530 may be mounted to the first reflector 510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reflector 510.
  •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between 0 degrees and 180 degrees.
  • the second reflector 530 may reflect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tter 300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10 toward the display unit 200 when the sound propagation direction is guided. have.
  • a diffusion pattern may also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530, like the first reflector 510.
  • the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fan shape, a comb tooth shape, and an embossing shape like the first reflection part 510.
  • the hinge part 550 may connect the first reflecting part 510 and the second reflecting part 530 to each other and guide the rotation of the second reflecting part 530. Accordingly, the second reflector 530 may be bent to be bent from the first reflector 530 with the hinge 550 as an axis.
  • the user may slide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from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150 to expose the outside of the casing 100. Accordingly,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ound emission unit 300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10.
  • a user desires the second reflector 530 from the first reflector 510 so as to optimally induce a direction in which sound travels toward the display unit 200 of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Can be bent properly.
  • the first reflecting unit 510 of the sound reflecting unit 500 may cover the rear of the sound emitting unit 300, and the second of the sound reflecting unit 500 may be used.
  • the reflector 530 may cover the lower side of the sound emitter 300.
  •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tting unit 300 to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0 is generated by the first reflecting unit 510 and the second reflecting unit 530 of the sound reflecting unit 500. It may be reflected toward the display 200.
  • the sound may be mor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user who views the display unit 200 through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 acoustic reflection unit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8.
  • the display apparatu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foregoing exemplary embodiment, similar components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 the display apparatus 20 may include a casing 600, a display unit 700, an acoustic emitter 800, and an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 the casing 600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650.
  •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65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600, and may be formed as a groov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 the display unit 700 and the sound emitting unit 8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sound emitting unit 3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the sound reflection unit 90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casing 600. More specifically, the sound reflection unit 90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reflection unit receiving portion 650 of the casing 600. Here,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may be mounted to the reflection unit accommodating part 650 so as to be rotated at least two times from the rear of the casing 600.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may include a first reflecting portion 910, a second reflecting portion 930 and a hinge portion 950. Can be.
  • the first reflector 910 may be mounted to the reflective unit accommodating part 650 so as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reflective unit accommodating part 650.
  •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0 degrees to 180 degrees.
  • the second reflector 930 and the hinge part 950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econd reflector 530 and the hinge part 550 of the previous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user may rotate the sound reflection unit 9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emission unit 800 according to a first user operation.
  • the user may rotate the first reflector 910 of the sound reflection unit 90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emitter 800.
  • the user may rotate the sound reflection unit 900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utside the casing 600 according to a second user manipulation.
  • the user may appropriately bend the second reflector 930 of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from the first reflector 510 to a desired shape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apparatus 20 in a form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rotational operation structures instead of the sliding and rotating operations of the foregoing embodiment.
  •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display apparatus 10 of the foregoing exemplary embodiment, similar components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 the display device 30 may include a casing 100, a display unit 200, an acoustic emitter 300, and an acoustic reflection unit 1000.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1000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100.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10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100. Accordingly, the user may connect the casing 100 on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ound reflection unit 1000 properly.
  • the sound reflection unit 1000 is direct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100 only when the sound reflection unit 1000 is used, so that the sound reflection unit 1000 is disposed inside the casing 100. A separate space may not be required to accommodate this.
  • the display apparatus 30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mpler structure,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display apparatus 30 can be improved.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display device 10 in the foregoing embodiment, similar components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differences.
  • the display device 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00, an acoustic emitter 300, an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and a casing 1100.
  • the casing 1100 may include a case body 1120 and a case cover 1140.
  • the case body 112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sound emitting unit 300. In addition, the case body 1120 may accommodate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display device 40 therein.
  • the case cover 1140 is to protect the case body 1120 from a risk factor such as an external shock, and may cover the case body 1120.
  • the case cover 1140 may be provided with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may be provided in the case cover 1140 to protect the case body 1120. As such, the sound reflection unit 500 is provided in the case cover 1140 that covers the case body 1120 instead of the case body 1120 having the display unit 200 and the sound emitting unit 300. It may also be possible.
  • FIG. 13 and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50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visual imag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ncludes a television, a monitor, a laptop PC, a tablet PC, a smart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book readers, electronic picture frames and kiosks (KIOSK) may be a variety of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 the display device 50 in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a general smart phone.
  • the display device 50 may include a casing 52, a display 54, and an acoustic emitter 56.
  • the casing 52 forms an appearance of the smartphone and may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martphone therein.
  • the display unit 5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52 to display an image
  • the sound emitting unit 56 emits sound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52. Can be.
  • the display device cover 60 is for protecting the display device 50, which is the smart phone, forming a storage space, or improving aesthetics, and may cover the display device 50.
  • the display device cover 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device 50, and may include a cover body 62 and an acoustic reflection unit 65.
  • the cover body 62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cover 60 and may accommodate the display device 50. To this end, the cover body 62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play device 50.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main body 62 and may guide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ssion unit 56.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may be provided in the cover body 62 like the acoustic reflection units of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reflect sound emitted from the sound emission unit 56 of the display apparatus 50 toward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54.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is provided near the sound emitting unit 56 of the display device 54 when the display device cover 60 is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50, one Or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mounted to be movable from the cover body 62. Specifically,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is exposed outside the cover body 62 when guiding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and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body 62 when not guiding the sound traveling direction. It may be mounted on the cover body 62.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mounted to the rear bottom of the cover body 62 so as to be slid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ound emission direction of the sound emission unit 56. That is,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mounted in the cover body 62 so as to be slid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cover body 62.
  • the slid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user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slid to be drawn out of the cover body 62 or slid to be drawn into the casing 100. Can be.
  • the display device cover 6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liding operation button unit that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to facilitate such a user operation.
  •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rotat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utside the casing 62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between 0 degrees and 180 degrees.
  • the user can adjust the sound guide direction of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That is,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may be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of the foregoing embodiment.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diffusion pattern as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5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at least two times from the rear of the cover main body 62, like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900 of the foregoing embodiment. .
  •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65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62, like the acoustic reflection unit 10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is,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62. Accordingly, the user can connect the cover body 62 on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sound reflection unit 65 prop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게 케이싱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케이싱 밖으로 음향을 내보내는 음향 방출부 및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케이싱에 구비되는 음향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6년 07월 27일 자로 출원된 한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6-0004333호에 대한 우선권주장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 등의 제품 군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 방출부를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의 경우,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기에, 한정된 케이싱 사이즈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케이싱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시키며, 케이싱의 측면에 음향 방출부를 배치시키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러한 음향 방출부의 구비 위치로 인해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사용자 측 방향인 케이싱의 전면이 아닌 케이싱의 측면으로 음향이 방출되기에, 사용자 측으로의 음향 전달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사용자 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사용자 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 밖으로 음향을 내보내는 음향 방출부; 및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음향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 가까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2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향을 내보내는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음향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커버 본체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 본체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는 사용자 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음향 반사 유닛을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음향 반사 유닛을 통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모니터,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전자 수첩(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리더기, 전자 액자 및 키오스크(KIOSK) 등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케이싱(100), 디스플레이부(200), 음향 방출부(300) 및 음향 반사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 부품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전장 부품 등은 예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 보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 및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에는 반사 유닛 수용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는 후술하는 음향 반사 유닛(50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면(105)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는 후술하는 음향 방출부(300) 가까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음향 방출부(30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는 상기 케이싱(100)의 하측면(105)에 구비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음향 방출부(30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평판 디스플레이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모듈,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모듈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은 평판 디스플레이가 아닌 곡면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102)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100)의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방출부(3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와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면(105)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방출부(300)는 상기 케이싱(100)의 전면(102)에서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100)의 하측면(105)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 방출부(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음향 방출부(300)는 상기 스피커 모듈에서 제공되는 음향을 상기 케이싱(100)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음향 방출부(30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케이싱(1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음향 방출부(300)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는 상기 음향 방출부(300) 가까이에 구비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는 상기 음향 방출부(300)의 개수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싱(100)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는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할 때에는 상기 케이싱(100) 밖으로 노출되며,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케이싱(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미관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파손 등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싱(100)의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할 때에는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 밖으로 돌출되게 슬라이딩되며,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 내부에 수용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 보면,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음향 방출부(300)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100)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싱(100)의 하측면(105)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동작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싱(100)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이러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별도의 슬라이딩 조작 버튼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싱(100) 밖에 노출된 이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100)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내지 180도 사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 반사 유닛(500)의 음향 가이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슬라이딩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살펴 본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제1 반사부(510), 제2 반사부(530) 및 힌지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부(510)는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반사부(510)는 상기 음향 진행 방향 가이드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 하측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부(510)의 전면에는 상기 음향 진행 방향 가이드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방향으로 음향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게 확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패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의 음향을 확산시킬 수 있는 부채꼴 형상, 빗살 형상 및 엠보싱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부(530)는 상기 제1 반사부(510)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반사부(5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내지 180도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부(530)는, 상기 음향 진행 방향 가이드 시, 상기 음향 방출부(30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측으로 방출된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측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반사부(530)의 전면에도, 또한, 상기 제1 반사부(510)와 같이 확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반사부(510)와 마찬가지로 부채꼴 형상, 빗살 형상 및 엠보싱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부(550)는 상기 제1 반사부(510)와 상기 제2 반사부(53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2 반사부(530)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반사부(530)는 상기 힌지부(550)를 축으로 하여 상기 제1 반사부(530)로부터 절곡되게 회동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음향 진행 방향 가이드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을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150)로부터 슬라이딩시켜 상기 케이싱(100)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방 하측에서 상기 음향 방출부(300)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음향의 진행 방향을 최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상기 제2 반사부(530)를 상기 제1 반사부(510)로부터 원하는 형태로 적절히 절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상기 제1 반사부(510)는 상기 음향 방출부(30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상기 제2 반사부(530)는 상기 음향 방출부(300)의 하방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음향 방출부(30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측으로 방출되는 음향은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의 제1 반사부(510) 및 상기 제2 반사부(53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바라보는 사용자 측으로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향 반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케이싱(600), 디스플레이부(700), 음향 방출부(800) 및 음향 반사 유닛(9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600)에는 반사 유닛 수용부(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650)는 상기 케이싱(6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0) 및 상기 음향 방출부(800)는, 각각, 앞선 실시예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음향 방출부(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는, 상기 케이싱(600)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는 상기 케이싱(600)의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65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는 상기 케이싱(600)의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2회 이상 회동이 가능하게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65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살펴 보면,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은 제1 반사부(910), 제2 반사부(930) 및 힌지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부(910)는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650)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반사 유닛 수용부(65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부(930) 및 상기 힌지부(950)는 앞선 실시예의 상기 제2 반사부(530) 및 상기 힌지부(5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의 음향 진행 방향 가이드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본다.
먼저,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을 상기 음향 방출부(800)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의 상기 제1 반사부(910)를 상기 음향 방출부(800)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2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600) 밖에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을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의 상기 제2 반사부(930)를 소정 각도로 상기 제1 반사부(510)로부터 원하는 형태로 적절히 절곡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는 앞선 실시예의 슬라이딩 및 회동 동작 대신에 복수의 회동 동작 구조로 구현되는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케이싱(100), 디스플레이부(200), 음향 방출부(300) 및 음향 반사 유닛(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음향 방출부(300)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은, 상기 케이싱(100)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은 상기 케이싱(10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케이싱(100)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 사용 시에만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을 상기 케이싱(100)의 후면에 직접 장착시키기에,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더 간단한 구조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조할 수 있기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유사하므로, 유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는, 디스플레이부(200), 음향 방출부(300), 음향 반사 유닛(500) 및 케이싱(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상기 음향 방출부(300) 및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케이싱(1100)은, 케이스 본체(1120) 및 케이스 커버(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1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음향 방출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 본체(1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를 이루는 각종 전장 부품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1140)는 외부 충격 등의 위험 요소 등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112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 본체(112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 커버(1140)에는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은 상기 케이스 본체(1120)를 보호하는 상기 케이스 커버(114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음향 방출부(300)를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1120) 대신에 상기 케이스 본체(1120)를 커버하는 케이스 커버(1140)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텔레비젼, 모니터,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전자 수첩(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책 리더기, 전자 액자 및 키오스크(KIOSK) 등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케이싱(52), 디스플레이부(54) 및 음향 방출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2)은 상기 스마트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마트폰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54)는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케이싱(52)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방출부(56)는 음향을 내보내며, 상기 케이싱(52)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60)는 상기 스마트폰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보호하거나 또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미관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커버 본체(62) 및 음향 반사 유닛(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본체(62)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60)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본체(6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방출부(56)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는 앞선 실시예의 음향 반사 유닛들과 같이 상기 커버 본체(62)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상기 음향 방출부(56)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54)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6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0)에 장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54)의 상기 음향 방출부(56) 가까이에 구비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는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할 때에는 상기 커버 본체(62) 밖으로 노출되며, 상기 음향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커버 본체(62)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커버 본체(6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음향 방출부(56)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커버 본체(62)의 후방 저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의 하측면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커버 본체(6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동작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60)는 이러한 사용자 조작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는 별도의 슬라이딩 조작 버튼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 밖에 노출된 이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62)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내지 180도 사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의 회동 동작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 반사 유닛(65)의 음향 가이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에는 앞선 실시예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500)과 같은 확산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900)과 같이, 상기 커버 본체(62)의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2회 이상 회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음향 반사 유닛(1000)과 같이, 상기 커버 본체(62)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은 상기 커버 본체(62)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상기 음향 반사 유닛(65)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커버 본체(62)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구비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이격되게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 밖으로 음향을 내보내는 음향 방출부; 및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음향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 가까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케이싱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싱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싱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2회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음향을 내보내는 음향 방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커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음향 반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 표시 방향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상기 음향 방출부의 음향 방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커버 본체의 후방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 밖으로 인출되게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 본체 내부로 인입되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반사 유닛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커버 본체 밖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게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PCT/KR2017/007895 2016-07-27 2017-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WO201802176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333U KR20180000367U (ko) 2016-07-27 2016-07-27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16-0004333 2016-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766A1 true WO2018021766A1 (ko) 2018-02-01

Family

ID=6101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895 WO2018021766A1 (ko) 2016-07-27 2017-07-2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00367U (ko)
WO (1) WO201802176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758A (ja) * 2005-03-15 2006-09-28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折畳み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147924A (ja) * 2008-12-19 2010-07-01 Fujitsu Ltd 電子装置
KR20100090436A (ko) * 2009-02-06 2010-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20130112215A (ko) * 2012-04-03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06581A1 (zh) * 2014-12-30 2016-07-07 孙冬梅 具有扩音功能的手机及其保护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1758A (ja) * 2005-03-15 2006-09-28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折畳み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147924A (ja) * 2008-12-19 2010-07-01 Fujitsu Ltd 電子装置
KR20100090436A (ko) * 2009-02-06 2010-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20130112215A (ko) * 2012-04-03 2013-10-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106581A1 (zh) * 2014-12-30 2016-07-07 孙冬梅 具有扩音功能的手机及其保护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67U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7909A1 (ko)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EP375300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19194520A1 (ko) 무선 충전 모듈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6140422A1 (en)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WO2014119829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3556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EP2465258A2 (en) Display apparatus
WO2015064889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bezel hiding member
WO20160360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203589A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차폐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5046677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080041A1 (ko)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96941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WO2021132997A1 (en) Display apparatus
WO2016085020A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158962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동 단말기
WO2015122647A1 (en) Head-mount type display apparatus
WO2015093836A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1042572A1 (zh) 一种移动终端
WO2015060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speaker
WO2018052231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4046394A1 (ko)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게임 머신
WO2017126750A1 (en) Circuit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WO2018021766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34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34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