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8870A1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8870A1
WO2018008870A1 PCT/KR2017/006287 KR2017006287W WO2018008870A1 WO 2018008870 A1 WO2018008870 A1 WO 2018008870A1 KR 2017006287 W KR2017006287 W KR 2017006287W WO 2018008870 A1 WO2018008870 A1 WO 201800887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mory
memory chips
operating frequency
electronic device
contro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62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승훈
조섭
서건영
김남진
김연재
박정수
조광래
천정남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EP17824426.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467665A4/en
Priority to US16/315,058 priority patent/US11422955B2/en
Priority to CN201780054021.3A priority patent/CN109661657B/zh
Publication of WO201800887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887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6Bus impedance matching, e.g. 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27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storage system, e.g. in a DASD or network based storage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9Memory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panding memory capacity without reducing performance.
  •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emory device (specifically, a volatile memory device) for driving the operating system.
  • a memory device specifically, a volatile memory device
  • Such memory devices are typically mounted by soldering directly to a circuit board or mounted through a socket.
  • the memory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installed memory element as needed. If the memory device is directly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the memory device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should be separated, and a larger capacity memory device should be soldered and mounted.
  •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of impacting the circuit board, and a large replacement cost and time, because a large amount of heat must be applied to the circuit board when removing an existing memory device and when installing a new memory device. .
  • the existing memory device can not be utilized.
  • the capacity of the memory device can be increased in a considerably fast time.
  • the device of the existing memory cannot be utilized.
  •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whose memory capacity can be expanded without reducing performance.
  • An electronic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a memory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a memo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a socket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when the memo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the capacitive element between the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ortion and the memory controller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ortion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an operating frequency of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line. Can be connected with the control line.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9 multiplications of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and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signal.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betwe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and the memory controller to have a distance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 C is the speed of light
  • F i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signal
  • n is an odd multiple of natural number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betwe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and the memory controller within ⁇ 10% of a distance satisfying the equation.
  • the capacitive element may have a capacitance of 0.1pF to 18pF.
  • the control line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or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nRAS signal, an nCAS signal, an nWE signal, a bank address group signal, and an address group signal.
  • the control signal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mory chips.
  • the memory controller may vary the operating frequency of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a slower operating frequency and output the same to the control line. can do.
  • an operating speed of the first memory chip may be 660 MHz or more.
  • the conductive patter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lines, the capacitive elements may be plur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apacitive elem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lines.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ull-up resistor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betwe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and the memory part.
  • the memory controller acquires operating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memory module and based on the acquired operating frequency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devices. 2 Operation of the memory chip can be controlled.
  • the memory controller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based on a slow operating frequency. Can be.
  •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nected memory module is different from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 the plurality of memory chip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emory chips may be at least one of two, four, eight, sixteen, and thirty two of the plurality of memory chip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emory chips.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mage forming device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unit of FIG. 1;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unit of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5 illustrates a circuit board of a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disclosure
  • 6A and 6B illustrate various 32-bit connection forms of a memory chip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A to 7B illustrate various 64-bit connection forms of a memory chip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control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control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capacitive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13 is a table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tance of the capacitive element by operating frequency and odd multiples
  • 15 is a waveform diagram of a control signal when the capacitive element is arranged
  • 16 is a spectrum of a control signal depending on whether a capacitive element is present
  • 17 is an enlarged waveform diagram of a control signal when no capacitive element is arranged
  • 21 is an eye diagram when a capacitive element is disposed
  • 22 and 23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window displayable on the display unit of FIG. 1, and
  •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lurality of memo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image forming job may refer to various jobs related to an image (eg printing, scanning, or faxing), such as forming an image or generating / storing / transmitting an image file.
  • job not only means an image forming job, but also may include a series of processe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image forming job.
  • an "image forming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for printing print data generated in a terminal apparatus such as a computer onto a recording sheet.
  • Examples of such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 a copier, a printer, a facsimile, or a multi-function printer (MFP) that implements their functions in a single device. It may mean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image forming operation, such as a printer, a scanner, a fax machine, a multi-function printer (MFP), or a display device.
  • hard copy refers to an operation of outputting an image to a print medium such as paper, and the like.
  • Soft copy refers to an operation of outputting an image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TV or a monitor. can do.
  • content may mean all kinds of data that is an object of an image forming operation, such as a photo, an image, or a document file.
  • print data may refer to data converted into a format printable by a printer.
  • the printer supports direct printing, the file itself may be print data.
  • the term “user” may mean a person who performs an operation related to an image forming job by us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or by using a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y wire or wireless.
  • the “manager” may mean a person who has a right to access all functions and system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dministrator” and “User” may be the same person.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mage forming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110, a display 120, a manipulation inputter 130, a storage 140, an image forming unit 150, and a processor 160. do.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PC, a notebook, a tablet fish, an image forming device, or the like, which can expand a volatile memory.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s connected to a terminal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bile device (smart phone, tablet PC), a PC, a notebook PC, a PDA,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and receives file and print data from the terminal device (not shown). Can be received.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is formed to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and is connected to a terminal device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n internet network, as well as a USB ( Universal Serial Bus) ports or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802.11a / b / g / n, NFC, Bluetooth) ports may be connected.
  • LAN local area network
  • USB Universal Serial Bus
  • the display 12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isplay 12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window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monitor such as an LCD, a CRT, an OLED,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operation input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 the display 120 may display a control menu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f an error occurs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o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installed in the socket and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the display 120 may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An example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2 and 23.
  • the manipulation inputter 130 may receive a function selection and a control command for the corresponding function from the user.
  • the function may include a print function, a copy function, a scan function, a fax 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like.
  • the manipulation input unit 130 may be input through a control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 the manipulation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buttons,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or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120 described above.
  • the manipulation inputter 130 may receive a reset command.
  • the operation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reset command for resetting the memory controller for changing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 the storage 140 may store prin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10.
  •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for example, nonvolatile memory such as HDD, SSD, and flash memory)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an external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emovable disk and a host including a USB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orage medium connected to a host, a web server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 a storage medium for example, nonvolatile memory such as HDD, SSD, and flash memory
  • an external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removable disk and a host including a USB memory.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orage medium connected to a host, a web server through a network, or the like.
  • the image forming unit 150 may print print data.
  • the image forming unit 150 may form an image on a recording medium by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 inkjet method, a thermal transfer method, and a thermal method.
  • the image forming unit 150 may print an image on a recording medium by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exposure, development, transfer, and fix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n image form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processor 160 controls each component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process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 CPU, a memory, a ROM, or the like, and may perform a booting operation of loading an operating system stored in the storage 140 into a memory based on a program stored in the ROM. Thereafter,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executed.
  •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ocessor 16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processor 160 may control the image forming unit 150 to perform printing on the received print data by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parsing.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described as including only an image forming unit, a scan unit performing a scan function and a fax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performing a fax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a function support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It may further include a wealth.
  •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general PC, smart phone, tablet, or the like,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forming unit 150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unit of FIG. 1.
  • the image forming unit 150 may include a photosensitive member 151, a charger 152, an exposure machine 153, a developer 154, a transfer machine 155, and a fixing unit 158. .
  • the image form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paper feeding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the recording medium P.
  •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may be referred to as a photosensitive drum, a photosensitive belt, or the like depending on its shape.
  • the charger 152 charges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to a uniform electric potential.
  • the charger 15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rona charger, a charging roller, a charging brush, or the like.
  • the exposure machine 153 forms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by changing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information to be printed.
  • the exposure apparatus 153 may form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by irradiating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with light modulated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to be printed.
  • This type of exposure machine 153 may be referred to as a light syringe and the like, and an LED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 the developer 154 accommodates the developer therein, and supplies the develop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to develop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to a visible image.
  • the developer 154 may include a developing roller 157 for supplying a develop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 the developer may be supplied from the developing roller 167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by a developing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57 and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 the visible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mber 151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medium P by the transfer device 155 or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not shown).
  • the transfer unit 155 may transfer the visible image to the recording medium by, for example, an electrostatic transfer method.
  • the visible image is attached to the recording medium P by electrostatic attraction.
  • the fixing unit 158 applies heat and / or pressure to the visible image on the recording medium P to fix the visible image to the recording medium P.
  • FIG. The print job is completed by such a series of processes.
  • the above-described developer is used every time the image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s depleted when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unit for storing the developer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developing unit 154 itself needs to be newly replaced.
  • the consumable unit or replaceable parts or components that can be replaced during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replaced.
  • the consumable unit may be equipped with a memory (or CRUM chip) for proper management of the consumable unit.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only a portion related to a memory device of the processor of FIG. 1.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FIG. 3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processor of FIG. 1 but also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 the electronic device 200 includes a memory controller 210, a conductive pattern 220, a memory 230, a socket 240, and a capacitive element 250.
  • the memory controller 210 manag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nd from the memory chip.
  •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IC separate from the CPU to read and write data to the memory chip at the request of the CPU, or may be an SoC integrated with the CPU function.
  •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ocessor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memory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of the memory unit 230 (or the base memory). Specifically, the memory controller 210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205 and generates various signals and control signals for reading data stored in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or writing data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t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the conductive pattern 220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 the various signals may be clock signals CLK, ODT, CKE, DQ, DM, DQS,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signals are nRAS signals, nCAS signals, nWE signals, bank address group signals, and address group. Signal or the like.
  • the memory controller 210 controls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when the memory module 300 (or the expansion memory) is connected to the socket part 240. can do.
  • the memory controller 210 reads the SPD information of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o the socket unit 240, checks operation speed information (specifically, an operating frequency), and based on the acquired operating frequency, the plurality of first signals. Operations of the memory chip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may be controlled.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nected memory module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the memory unit 230,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based on a relatively slow operating frequency.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230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is 800 MHz (DDR3-1600), or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o the socket unit 240 is 660 MHz (DDR3-1320).
  • the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may be controlled at 660 MHz having a slower operating frequency.
  •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an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chip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line. In detail,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at hal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chip.
  • the memory controller 210 detects whether an error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detail,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detect whether a closed day such as write / read leveling has occurred.
  • Write / read leveling is a function that compensates for the time delay that must occur because DDRCLK and DQS signals are delivered by a fly-by structure, and DQS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when the DDRCLK signal is sequentially applied to a device connected in a fly-by structure. Is applied to each memory chip according to DDRCLK signal, and it keeps stable time difference between DDR CLK and DQS signal.
  • the memory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having a slower operating frequency and outpu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line.
  • the memory controller 210 controls the control signal CMD to have one-half times the operating frequency CLK (eg, 666.67 MHz) of the memory chip. (E.g., 333.33 MHz).
  • the memory controller 210 controls to have 1/2 time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general control signal, that is, 1/4 times the operating frequency CLK of the memory chip, as shown in FIG. 9. Generate a signal (eg, 166.67 MHz).
  • the conductive pattern 220 is a conductive pattern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memory 230, and the socket 240 to be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205.
  • the conductive pattern 220 may include a control lin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the conductive pattern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lines.
  • the control line may sequentially connect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socket unit and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from the memory controller. Accordingly, the control line may preferentially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and then sequentially provide the control signal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a fly by manner.
  •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i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erminal of the memory module 300 that provides a control signal to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of the memory module 300.
  • the capacitive element 250 and the pull-up resist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A detailed arrangement of the capacitive element and the pullup resisto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 the conductive pattern 220 may further includ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lin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signals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memory unit 230, and the socket unit 240.
  • control line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line of the conductive pattern 2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memory unit 230 (or base memory)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a circuit board.
  •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form one rank.
  • the memory unit 230 may be composed of eight or sixteen first memory chips, and may be connected in a 32-bit form or in a 64-bit form.
  • each of the memory chips are DDR3-1320 standard, DDR3-1333 standard, DDR3 / 4-1600 standard, DDR3 / 4-1866 standard, DDR3 / 4-2133 standard, DDR4-2666 standard, DDR4-3200 standard operating at 660MHz or higher. It may be a memory chip supporting.
  • the above-described standards are not exemplary and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pplied to a memory chip operating at 660 MHz or more.
  • the socket par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module 300.
  • the socket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for accessing the memory module (or the memory device) 300 and various power elements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supplying power to the memory module 300. can do.
  • the number of terminals may have a pin number corresponding to a standard type socket.
  • the number of pins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standard type socket.
  •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socket part 24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memory module 300.
  • the capacitive element 250 may improve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line so that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line does not invade an eye mask.
  • the capacitive element 2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controller 210.
  • the preset position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an operating frequency of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and the control signal. The location of such capacitive ele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2.
  • a plurality of capacitive elements 250 may also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rol lines.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or having a capacitance of 0.1 pF to 18 pF.
  •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ically operates through a memory unit mounted on a circuit board, and includes a socket unit 240 for expanding memory capacity.
  • the memory capacity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ncreased by only connecting to the unit 240.
  • the electronic device 100 since the electronic device 100 does not remove the memory chip mounted in order to increase the memory capacity,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minimize the cost of the increased capacity.
  • the electronic device 100 arranges a capacitive element between the socket part and the memory controller, a signal quality problem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cket part may be solved,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 a signal quality problem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cket part may be solved,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 FIG. 4 illustrates a circuit 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circuit board 105 (or a main board) includes a memory controller 210, a control line 221, a socket part 240, and a memory part 230.
  • the circuit board 105 i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n which components such as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part 230 are mounted.
  • the circuit board 105 may be a single-sided substrate or a double-sided substrate having a conductive layer on both surfaces thereof.
  • the circuit board 105 may be a multilayer board including a power supply layer, a signal layer, and the like.
  •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part 230 are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circuit board 105, respectively.
  • the control line should be connected in the order of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part 230, and the socket part 240 on the circuit board 105 may be a memory controller (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210 and the memory unit 230.
  •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socket 240, and the memory 23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ut may be disposed in a '-' shape.
  •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socket unit 240 may be disposed above the circuit board 105, and the memory unit 230 may be disposed below.
  • a conductive pattern 220 that electrically connects each of the memory controller 210,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part 230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105.
  • a plurality of data signal lines may be arranged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control lines.
  • the conductive pattern 220 may be disposed on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05, o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ircuit board 105.
  • the control line 221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unit 240 starting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of the memory unit 230. That is, the control line may connect a plurality of memory chips in the form of fly by topology.
  • the capacitive element 250 may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trol line 221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socket part 240.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ive element 250 is disposed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socket part 240.
  • the reflection noise of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line (that is, the noise caused by the terminal of the socket) is provided. ) Can be removed efficiently.
  • the capacitive element 25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ocket portion 240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signal. It work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board of a memory module of the present disclosure.
  •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310 and a terminal unit 320 are disposed on a circuit board 305.
  •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310 may be disposed only on the sam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05 and may b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circuit board 305.
  • the memory capacity of the memory module 300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quantity of memory chips included. For example, when the memory module has a capacity of 8 GB, eight 4 Gb memory chip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ircuit board. Alternatively, four 8Gb memory chips may be disposed on the cross-section of the circuit board, or four 8Gb memory chips may be arranged on two sides of the circuit board 305.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310 operates at 660 MHz or higher, DDR3-1320 standard, DDR3-1333 standard, DDR3 / 4-1600 standard, DDR3 / 4-1866 standard, DDR3 / 4-2133 standard, DDR4- It may be a memory chip supporting the 2666 standard, the DDR4-3200 standard, and the like.
  • the above specifications are not exemplif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memory chip operating at 660 MHz or more.
  • the terminal unit 320 interfaces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310 and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Specifically, the terminal portion 320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ircuit board 305 to be connected to the socket portion 340 of the circuit board 105.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erminal unit 320 is illustrated on only on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but the terminal unit 3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305.
  • the number of terminals may have a pin number corresponding to a standard type socket.
  • the number of pins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standard type socket.
  •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terminal unit 320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socket unit 240.
  • the conductive patter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310 and the terminal part 320 is disposed on the circuit board 305. At least one of the conductive patterns includes a control line for sequentially connecting a terminal receiving a control signal and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That is, the control line of the memory module 300 may also connect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the form of fly by topology.
  • FIG. 6A and 6B illustrate various 32-bit connection forms of a memory chip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A illustrates a 32-bit connection type using four memory chips
  • FIG. 6B illustrates an 32-bit connection type using eight memory chips.
  • two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unit 240 form one rank 0, and two of the memory units 230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included.
  • First memory chips constitute one rank (rank 1).
  • a 16-bit memory chip constitutes a rank in two units, and FIG. 6A operates as a 32-bit memory.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221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FIG. 6B four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part 240 ′ constitute one rank 0 and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30 ′.
  • an 8-bit memory chip constitutes a rank in units of four, and FIG. 6B operates as a 32-bit memory.
  •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shown as configuring the rank 1, but may be configured as the rank 0 in an implementation.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FIG. 7A through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64-bit connection forms of a memory chip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FIG. 7A illustrates an example of a 64bit connection using eight memory chips, FIG. 7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64bit connection using 16 memory chips, and FIG. 7C illustrates a 64bit connection using 16 memory chips. FIG. 7D illustrates an example of 64-bit connection using 32 memory chips.
  • FIG. 7A four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portion 240 ′′ constitute one rank 0 and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30 ′′.
  • 16-bit memory chips form a rank in units of four, and FIG. 7A operates as a 64-bit memory.
  •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shown as configuring the rank 1, but may be configured as the rank 0 in an implementation.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221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FIG. 7B eight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part 240 ′ ′′ form two ranks 0 and 1 and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30 ′.
  • the eight first memory chips of '') constitute two ranks (ranks 2 and 3).
  • 16-bit memory chips form a rank in units of four, and FIG. 7B operates as a 64-bit memory.
  •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shown as configuring the ranks 2 and 3, but in the implementation, the ranks 0 and 1 may be configured.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221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FIG. 7C eight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part 240 ′′ ′′ form a rank 0 and ar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Eight first memory chips of " 230 " " constitute one rank. As described above, an 8-bit memory chip constitutes a rank in units of eight, and FIG. 7C operates as a 64-bit memory.
  •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shown as configuring the rank 1, but may be configured as the rank 0 in an implementation.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221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sixteen second memory chips in a memory module connected through a socket part 240 ′ ′′ ′′ constitute two ranks 0 and 1 and are mounted on a circuit board.
  • Sixteen first memory chips 230 '' '' ' constitute two ranks (ranks 2 and 3).
  • an 8-bit memory chip constitutes a rank in units of eight, and FIG. 7D operates as a 64-bit memory.
  • the sixteen first memory chip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re shown as configuring the ranks 2 and 3, but may be configured as the ranks 0 and 1 in the implementation.
  • the signal lines and the control lines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 the DQ signal, the DM signal, and the DQS signal are connected to two (or four) memory chips, whereas the nRAS signal, the nCAS signal, the nWE signal, the bank address signal, and the address signal. It can be seen that the control signals such as and the like are commonly input to 16 (or 32) memory chips in total.
  • the control line providing the control signal is more susceptible to reflected noise than other signal lines because many memory chips are connected.
  • the driving speed of the memory chip particularly, the driving speed of the control signal
  • the influence of the reflected noise becomes larger. Therefore, when using a memory chip operating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660 MHz or more, the reflected noise is reduced.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 the capacitive element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trol line to reduce reflection noise, thereby improving the signal quality of the control signal.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control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line 221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memory controller 210,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and the first memory chip.
  •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i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erminal of the memory module 300 that provides a control signal to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 control line 221 may be connected to the capacitive element 2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socket part 240.
  • the preset position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socket portion 240 and the control signal.
  • a pull-up resistor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memory chips 311 and 231.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control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 line 221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memory controller 210,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and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231-n,. Can be.
  •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i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erminal of the memory module 300 that provides a control signal to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 control line 221 may be connected to the capacitive element 25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memory controller 210 and the socket part 240.
  • the preset position i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socket portion 240 and the control signal.
  • Pull-up resistors may be connected near the input terminals of each of the memory chips 311-1 and 231-1.
  • FIG. 1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capacitive el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line between the socket part 240 and the memory controller 210 to have a distance satisfying Equation 1 below with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socket part 240 i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erminal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to a plurality of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 the capacitive element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portion 240 between the socket portion 240 and the memory controller 210.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with a distance difference of 53.57mm, 32.14mm, 22.96mm, and 17.86mm.
  • FIG. 13 illustrates a distance difference according to Equation 1 according to various memory standards.
  • FIG. 14 is a waveform diagram of a control signal when no capacitive element is disposed
  • FIG. 15 is a waveform diagram of a control signal when the capacitive element is disposed.
  • a high frequency noise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waveform in the control signal.
  • the high frequency noise is caused by reflection noise by the socket part 240, and the reflection noise may interfere with 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capacitive element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9 time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line, it can be seen that the high frequency noise is substantially removed from the control signal.
  • FIG. 16 is a spectrum of a control signal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capacitive element. Specifically, FIG. 16 is a spectrum obtained by Fourier transforming a time domain waveform of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pacitive element and converting it into a frequency domain.
  • these high frequency components are observed higher at 1.4Ghz, 2.33Ghz, 3.27Hhz and 4.2Ghz, which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 / 4 of an odd multipl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from the socket portion 240 to the memory controller 210. It can be confirmed.
  • 17 is an enlarged waveform diagram of a control signal when the capacitive element is not disposed.
  • the capacitive element when the capacitive element is not disposed, reflection noise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and the period of the high frequency noise has a frequency of 4.2Ghz (9 times the operating frequency) of 0.127 ns.
  • a capacitor with a specific capacitance (capacity within 0.1 pF to 18 pF, 5 pF in the example shown) can be arranged with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ication of the operating frequency from the socket portion.
  • the impedance due to the LC (inductance,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capacitor is minimized (i.e., ⁇ / 4 of the control signal odd multiple times operating frequency)
  • the corresponding high frequency component is decoupled (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citor, direct current does not pass, and noise component AC exits to the ground), thereby reducing reflection noise.
  •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ive element may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an odd multiple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ntrol signal.
  • a capacitor having a capacitance within the range of 0.1pf to 18pF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apacito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zeo vendors.
  • Such a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18, it is possible to obtain a waveform of a control signal in which a high frequency component is reduced.
  • FIG. 20 is an eye diagram when no capacitive element is disposed
  • FIG. 21 is an eye diagram when the capacitive element is disposed.
  • a high frequency component may be exposed to a control signal as it is, and a fail may occur in system operation by touching an eye mask specification.
  • the high-frequency component is reduced by the capacitive element, shows the eye diagram passed without touching the eye mask details.
  • 22 and 23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window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FIG. 1.
  • the user interface window 2200 includes a notification message 2210 that is displayed when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first memory chip and the second memory chip are different.
  • the notification message 2210 indicates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I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newly mounted memory module 300 is slow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the notification message 2210 may indicate th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newly mounted memory module 300 operates a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newly mounted memory module 300.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message 2210 may display a message suggesting to replace the newly processed memory module with a memory module having an operating frequency equal to or faster tha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 the UI window 2300 includes a notification message 2310 indica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a memory access process.
  • an operation of reduc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a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 the conversion of the control signal may be performed through a user's consent as shown in FIG. 23 o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Can be performed. If the user selects the agreement area 2311, the memory controller may generate and operate a control signal at an operating frequency slower than that of the default control signal through a reset process.
  • 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lurality of memor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emory controller checks an operating frequency of a memory unit mounted on a circuit board (S2410). Specifically,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may be confirmed by checking the SPD information of the memory unit 230.
  •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the memory unit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S2430).
  • the memory controller check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3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300 is the same as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300 ( S2440).
  •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the memory unit and the second memory chip in the memory module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memory unit (S2430). ).
  • the operating frequencies of the memory module and the memory unit are different (S2440-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230 is slower (S2450), and if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230 is slower (S2450). -Y),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the memory unit 230 and the second memory chips in the memory module 3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230 (S2460). In additi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installed memory module may be displayed as a notification messa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 the plurality of first memory chips in the memory unit 230 and the memory module 300 are based on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module 300.
  • the second memory chip may be controlled (S2470).
  •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installed memory module may be displayed as a notification messa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memory unit.
  •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memories as shown in FIG. 24 may be executed on the memory controller of FIG. 3.
  •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memories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execut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such executable programs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each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mory System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부,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고, 메모리 모듈이 소켓부에 연결되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메모리 컨트롤러부터 순차적으로 소켓부의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연결하는 제어 라인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 및,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능 저감 없이 메모리 용량 확장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운용체제의 구동을 위한 메모리 소자(구체적으로, 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구비된다. 이러한 메모리 소자는 회로 기판에 직접 솔더링되어 장착되거나, 소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자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된 메모리 소자의 용량을 증량할 필요가 있었다. 만약, 메모리 소자가 회로 기판에 직접 솔더링되어 있다면, 회로 기판에 솔더링된 메모리 소자를 분리하고, 더 큰 용량의 메모리 소자를 솔더링하여 장착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메모리 소자를 분리할 때와 새로운 메모리 소자를 장착할 때 큰 열을 회로 기판에 가해야 하기 때문에 회로 기판에 충격을 줄 수 있고, 교체 비용 및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메모리 소자를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도 존재하였다.
그리고 소켓을 통하여 메모리 소자가 장착된 경우, 기존의 메모리 소자를 소켓에서 분리하고, 새로운 메모리 소자를 소켓에 연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상당히 빠른 시간에 메모리 소자의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기존의 메모리의 소자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메모리 소자를 활용하면서도 손쉽게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성능 저감 없이 메모리 용량이 확장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의한 전자 장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 모듈이 상기 소켓부에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소켓부의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연결하는 제어 라인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 및,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제어 라인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에서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9 체배에 대응되는 거리에서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거리를 갖도록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7006287-appb-I000001
여기서, C는 빛의 속도, F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 n는 홀수 배의 자연수.
여기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거리의 ±10% 이내에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량성 소자는 0.1pF 내지 18pF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nRAS 신호, nCAS 신호, nWE 신호, 뱅크 어드레스(Bank Address) 그룹 신호, 주소(Address) 그룹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는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더 느린 동작 주파수로 가변하여 상기 제어 라인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메모리 칩의 동작 속도는 660MHz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성 패턴은 복수의 제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소자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용량 소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어 라인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소켓부에 상기 메모리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동작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면, 느린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전자 장치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면,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각각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각각은 2개, 4개, 8개, 16개 및 32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인 경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3은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메모리 모듈의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은 본 개시의 메모리 칩의 다양한 32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개시의 메모리 칩의 다양한 64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제어 신호의 동작 형태를 도시한 타이밍도,
도 10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라인의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라인의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량성 소자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동작 주파수 및 홀수체배 별 용량성 소자의 거리 예를 도시한 표,
도 14는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의 제어 신호의 파형도,
도 15는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제어 신호의 파형도,
도 16은 용량성 소자의 존재 여부에 따른 제어 신호의 스펙트럼,
도 17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제어 신호의 확대 파형도,
도 18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제어 신호의 확대 파형도,
도 19는 5pF의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임피던스 커버,
도 20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
도 21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
도 22 및 도 2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메모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화상형성장치인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조작 입력부(130), 저장부(140), 화상 형성부(150) 및 프로세서(1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휘발성 메모리의 확장이 가능한 PC, 노트북, 태블릿 피시, 화상형성장치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모바일 기기(Smart Phone, Tablet PC),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파일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3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자 장치(100) 내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소켓부에 설치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의 차이가 있으면,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알림 정보의 예에 대해서는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작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3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조작 입력부(130)는 리셋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입력부(130)는 메모리 소자의 액세스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메모리 컨트롤러의 리셋을 위한 리셋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예를 들어, HDD, SSD,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5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50)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부(150)는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6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CPU, 메모리, 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딩하는 부팅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팅 동작 이후에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외부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파싱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수행되도록 화상 형성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가 화상형성부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스캔 기능을 수행하는 스캔부, 팩스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팩스 송수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일반적인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화상형성부(150)의 구성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50)는 감광체(151), 대전기(152), 노광기(153), 현상기(154), 전사기(155), 및 정착기(158)를 구비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50)는 기록매체(P)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감광체(151)에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51)는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52)는 감광체(15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5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5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체(15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체(15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일 예로서, 노광기(15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감광체(151)에 조사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노광기(153)는 광 주사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LED가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현상기(154)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154)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는 현상 롤러(157)와 감광체(151)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계에 의하여 현상 롤러(167)로부터 감광체(151)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감광체(15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5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전사기(155)는 예를 들어 정전 전사 방식에 의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다. 가시적인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전 인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정착기(15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현상제를 저장하는 유닛(예를 들어, 상술한 현상기(154) 자체를 새로이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의 사용과정에서 교체할 수 있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을 소모품 유닛 또는 교체 가능 유닛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모품 유닛에는 해당 소모품 유닛의 적절한 관리를 위하여 메모리(또는 CRUM 칩)가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프로세서의 구성 중 메모리 소자와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3의 구성은 도 1의 프로세서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의 전자 장치와 다른 구성을 갖는 전자 장치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 전도성 패턴(220), 메모리부(230), 소켓부(240) 및 용량성 소자(250)로 구성된다.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 칩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러한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CPU와 구분된 별도의 IC로 구현되어 CPU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읽고 쓰기 하거나, CPU의 기능과 통합된 SoC일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가 CPU의 기능과 통합된 SoC인 경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프로세서(160)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부(230)(또는 베이스 메모리)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회로 기판(205)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에 데이터를 쓰기 위한 각종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전도성 패턴(220)을 통하여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신호는 클럭 신호(CLK), ODT, CKE, DQ, DM, DQS 등일 수 있으며, 제어 신호는 nRAS 신호, nCAS 신호, nWE 신호, 뱅크 어드레스(Bank Address) 그룹 신호, 주소(Address) 그룹 신호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 모듈(300)(또는 확장용 메모리)이 소켓부(240)에 연결되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메모리 모듈(300) 내의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소켓부(240)에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의 SPD 정보를 읽어 동작 속도 정보(구체적으로,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고, 취득된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메모리부(230) 내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면, 상대적으로 느린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230)의 동작 주파수가 800 MHz(DDR3-1600)이나, 소켓부(240)에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가 660 MHz(DDR3-1320)이면, 보다 느린 동작 주파수를 갖는 660 MHz로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라인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의 1/2배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Write/read leveling 등의 폐일 등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Write/read leveling는 DDRCLK과 DQS 신호가 fly-by 구조 전달되기 때문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시간 지연을 보상해 주시는 기능으로, DDRCLK 신호가 fly-by 구조로 연결된 장치로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타임에 맞춰 DQS 신호를 DDRCLK 신호에 맞춰 각각의 메모리 칩에 인가시켜줘서 DDR CLK와 DQS 신호의 시간적 거리 차이를 안정적으로 유지 시켜 주는 기능이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에러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더 느린 동작 주파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일반 모드 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CLK)(예를 들어, 666.67MHz)의 1/2배를 갖도록 제어 신호(CMD)(예를 들어, 333.33MHz)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는 에러가 발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보다 1/2배를 갖도록, 즉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CLK)의 1/4배를 갖도록 제어 신호(예를 들어, 166.67MHz)를 생성할 수 있다.
전도성 패턴(220)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메모리부(230), 소켓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으로, 회로 기판(20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패턴(220)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가 복수개인 경우, 전도성 패턴(220)은 복수의 제어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라인은 메모리 컨트롤러부터 순차적으로 소켓부의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라인은 제어 신호를 우선적으로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제공한 이후에 fly by 방식으로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에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메모리 모듈(300)의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메모리 모듈(300)의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 라인에는 용량성 소자(250)와 풀업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용량성 소자와 풀업 저항의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도전성 패턴(220)은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메모리부(230) 및 소켓부(240) 사이의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패턴(220)의 제어 라인과 데이터 송수신 라인의 구체적인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모리부(230)(또는 베이스 메모리)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은 하나의 랭크(rank)를 구성한다. 이러한 메모리부(230)는 8개 또는 16개의 제1 메모리 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32bit 형태로 연결되거나 64bit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칩 각각은 660MHz 이상으로 동작하는 DDR3-1320 규격, DDR3-1333 규격, DDR3/4-1600 규격, DDR3/4-1866 규격, DDR3/4-2133 규격, DDR4-2666 규격, DDR4-3200 규격을 지원하는 메모리 칩일 수 있다. 상술한 규격들은 예시에 불가하며 660MHz 이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이라면 본원 개시가 적용될 수 있다.
소켓부(240)는 메모리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소켓부(24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이 메모리 모듈(또는 메모리 장치)(300)에 액세스하고, 메모리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40)에 장착되는 메모리 모듈(300)이 DDR3, DDR4 규격인 경우에 복수의 단자의 개수는 표준 타입 소켓에 대응하는 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조사가 직접 소켓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 표준 타입 소켓에 대응하는 핀 개수보다 더 많거나 적은 핀 개수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소켓부(240)의 복수의 단자는 메모리 모듈(300)의 복수의 단자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용량성 소자(250)(또는 션트 커패시턴스(shunt capacitor))는 제어 라인의 임피던스 특성을 개선하여 제어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신호가 아이 마스트(eye mask)를 침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용량성 소자(250)는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메모리 컨트롤러(210)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위치는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이다. 이와 같은 용량성 소자의 위치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회로 기판(105)에 복수의 제어 라인이 구비되는 경우, 용량성 소자(250) 역시 복수개 구비되어 복수의 제어 라인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용량성 소자는 0.1pF 내지 18pF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를 통하여 동작하고, 메모리 용량 확장을 위한 소켓부(240)를 구비하는바, 새로운 메모리 모듈(300)을 소켓부(24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 용량 증가를 위하여 기장착된 메모리 칩을 제거하지 않는바, 용량 증가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소켓부와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에 용량성 소자를 배치함에 따라, 소켓부의 영향에 따른 신호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본원 개시의 효과는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의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로 기판(105)(또는 메인 보드)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제어 라인(221), 소켓부(240), 메모리부(230)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05)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 메모리부(230) 등의 부품이 장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이다. 여기서 회로 기판(105)은 단면 기판이거나, 양면에 도전성 층을 가는 양면 기판일 수 있다. 또는 회로 기판(105) 내부에 전원 레이어, 신호 레이어 등이 포함된 다층 기판일 수도 있다.
회로 기판(105)의 기설정된 영역에는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 메모리부(230)가 각각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라인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 메모리부(230)의 순서대로 연결되어야 하는바, 회로 기판(105) 상에서 소켓부(24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메모리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 메모리부(23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ㄱ'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는 회로 기판(105)의 상부에 배치되고, 메모리부(230)는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105) 상에는 각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 메모리부(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220)이 배치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어 라인만을 표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제어 라인과 함께 복수의 데이터 신호 라인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패턴(220)은 회로 기판(105)의 상부 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회로 기판(105)의 상부 및 하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라인(221)은 메모리 컨트롤러(210)의 출력단에서부터 시작하여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고, 메모리부(230)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각각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 라인은 fly by topology 형태로 복수의 메모리 칩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소켓부(240) 사이의 제어 라인(221)의 기설정된 위치에 용량성 소자(2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소켓부(240) 사이에 용량성 소자(250)가 배치되는바, 제어 라인을 통하여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반사 잡음(reflection noise)(즉, 소켓의 단자에 의한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사 잡음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용량성 소자(250)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소켓부(24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고주파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최대의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메모리 모듈의 회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 모듈(300)은 회로 기판(305) 상에 복수의 제2 메모리 칩(310)과 단자부(320)가 배치된다.
복수의 제2 메모리 칩(310)은 회로 기판(305)의 동일면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회로 기판(305)의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 모듈(300)의 메모리 용량은 포함되는 메모리 칩의 용량 및 수량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모듈의 용량이 8GB인 경우, 4Gb의 메모리 칩 8개를 회로 기판의 양면에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는 8Gb의 메모리 칩 4개를 회로 기판의 단면에 배치하고나, 8Gb의 메모리 칩 4개를 회로 기판(305)의 양면에 2개씩 배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제2 메모리 칩(310) 각각은 660MHz 이상으로 동작하는 DDR3-1320 규격, DDR3-1333 규격, DDR3/4-1600 규격, DDR3/4-1866 규격, DDR3/4-2133 규격, DDR4-2666 규격, DDR4-3200 규격 등을 지원하는 메모리 칩일 수 있다. 상술한 규격들은 예시에 불가하며 660MHz 이상으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이라면 본원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단자부(320)는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복수의 제2 메모리 칩(310) 간을 인터페이싱하고, 회로 기판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단자부(320)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며, 회로 기판(105)의 소켓부(340)에 연결되기 위하여 회로 기판(305)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의 일 면에만 단자부(32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회로 기판(305)의 타 면에도 단자부(320)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모듈(300)이 DDR3, DDR 규격인 경우에 복수의 단자의 개수는 표준 타입 소켓에 대응하는 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조사가 직접 소켓을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 표준 타입 소켓에 대응하는 핀 개수보다 더 많거나 적은 핀 개수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단자부(320)의 복수의 단자는 소켓부(240)의 복수의 단자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305) 상에는 복수의 제2 메모리 칩(310)과 단자부(320)를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이 배치된다. 이러한 도전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와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어 라인을 포함한다. 즉, 메모리 모듈(300)의 제어 라인도 fly by topology 형태로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을 연결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은 본 개시의 메모리 칩의 다양한 32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4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32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8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32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소켓부(240)를 통하여 메모리 모듈이 연결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a를 참고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 내의 2개의 제2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0)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230)의 2개의 제1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16bit의 메모리 칩이 2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6a는 32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2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1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221)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도 6b를 참고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 내의 4개의 제2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0)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230')의 4개의 제1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8bit의 메모리 칩이 4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6b는 32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4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1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개시의 메모리 칩의 다양한 64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8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64bit 연결 형태의 예이고, 도 7b는 16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64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예이고, 도 7c는 16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64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예이고, 도 7d는 32개의 메모리 칩을 이용한 64bit 연결 형태를 도시한 예이고,
도 7a를 참조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 내의 4개의 제2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0)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230")의 4개의 제1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16bit의 메모리 칩이 4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7a는 64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4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1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221)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 내의 8개의 제2 메모리 칩이 두 개의 랭크(rank 0, 1)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 부(230''')의 8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두 개의 랭크(rank 2, 3)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16bit의 메모리 칩이 4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7b는 64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8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2 및 3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 1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221)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300) 내의 8개의 제2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0)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230'''')의 8개의 제1 메모리 칩이 하나의 랭크(rank 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8bit의 메모리 칩이 8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7c는 64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8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1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221)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도 7d를 참조하면, 소켓부(240''''')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모듈 내의 16개의 제2 메모리 칩이 두 개의 랭크(rank 0, 1)를 구성하고,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 부(230''''')의 16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두 개의 랭크(rank 2, 3)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8bit의 메모리 칩이 8개 단위로 랭크를 구성하는바, 도 7d는 64bit 메모리로 동작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16개의 제1 메모리 칩이 랭크 2 및 3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랭크 0, 1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라인과 제어 라인이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복수의 제2 메모리칩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도 6 및 7을 참조하면, DQ 신호, DM 신호, DQS 신호 등은 2개(또는 4개)의 메모리 칩에 연결되는데 반해, nRAS 신호, nCAS 신호, nWE 신호, bank address 신호, address 신호 등의 제어 신호는 총 16개(또는 32개)의 메모리 칩에 공통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라인은 연결되는 메모리 칩이 많기 때문에 다른 신호 라인에 비하여 반사 잡음에 취약하다. 특히, 최근의 메모리 칩의 구동 속도(특히, 제어 신호의 구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사 잡음의 영향은 더욱 커진다는 점에서, 660MHz 이상의 동작 주파수로 동작하는 메모리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 잡음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개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라인의 기설정된 위치에 용량성 소자를 연결하여 반사 잡음을 저감하고, 그에 따라 제어 신호의 신호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반사 잡음의 저감 방법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라인의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라인(221)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제1 메모리 칩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메모리 모듈(300) 내의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메모리 모듈(300)의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이다.
그리고 제어 라인(221)은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소켓부(240)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 용량성 소자(2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위치는 소켓부(240)와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이다.
그리고 각 메모리 칩(311, 231)의 입력 단자 근처에는 풀업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라인의 연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라인(221)은 메모리 컨트롤러(210),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복수의 제1 메모리 칩(231-n, …, 231-1)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메모리 모듈(300) 내의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메모리 모듈(300)의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이다.
그리고 제어 라인(221)은 메모리 컨트롤러(210)와 소켓부(240)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 용량성 소자(25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위치는 소켓부(240)와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이다.
그리고 각 메모리 칩(311-1, 231-1)의 입력 단자 근처에는 풀업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량성 소자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용량성 소자는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거리를 갖도록 소켓부(240)와 메모리 컨트롤러(210) 사이의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메모리 모듈(300) 내의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단자에 대응되는 단자이다.
Figure PCTKR2017006287-appb-M000001
여기서, λ는 파동(구체적으로,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되는 파동) 한 번의 주기가 가지는 길이, C는 빛의 속도, F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 n는 홀수 배의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DDR3-1866 규격(동작 주파수 933.333MHz)의 메모리 칩으로 제1 메모리 칩이 구성되는 경우, 용량성 소자는 소켓부(240)와 메모리 컨트롤러(210) 사이에서 소켓부(240)와 53.57mm, 32.14mm, 22.96mm, 17.86mm 등의 거리 차를 두고 제어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는 다양한 메모리 규격별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른 거리 차를 도시하였다. 구현시에 상술한 거리 차를 두고 용량성 소자를 제어 라인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거리 차의 부근(±10% 이내)에 위치에 연결되더라도 고주파 잡음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의 4번 위치(즉, 동작 주파수의 9체배에 대응되는 거리)에 용량성 소자가 위치한 경우의 제어 신호의 변화를 다양한 파형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 14는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의 제어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15는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제어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 신호에 고주파 노이즈가 제어 신호 파형에 많이 실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노이즈는 소켓부(240)에 의한 반사 잡음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반사 잡음은 전자 기기의 정상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용량성 소자가 제어 라인의 기설정된 위치(동작 주파수의 9체배에 대응되는 거리)에 연결됨에 따라 제어 신호에 고주파 노이즈가 상당히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용량성 소자의 존재 여부에 따른 제어 신호의 스펙트럼이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용량성 소자의 유무에 따른 제어 신호의 시간 도메인 파형을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하여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 스펙트럼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1G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용량성 소자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용량성 소자가 연결된 경우보다 더 높은 값들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고주파 성분은 소켓부(240)로부터 메모리 컨트롤러(210)까지 해당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의 λ/4 부근에 위치되는 1.4Ghz, 2.33Ghz, 3.27Hhz, 4.2Ghz에서 더 높게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제어 신호의 확대 파형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았으면, 제어 신호 내에 반사 잡음이 포함되며, 고주파 잡음의 주기는 0.127ns인 4.2Ghz(동작 주파수의 9체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 커패시턴스(0.1pF 내지 18pF 내의 커패시턴스, 도시된 예에서는 5pF)를 가진 커패시터를 소켓부로부터 동작 주파수의 홀수 체배에 대응되는 거리를 갖도록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의 LC(inductance, capacitance) 성분에 의한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는(즉, 제어 신호 홀수체배 동작 주파수의 λ/4 부근)에서 해당 고주파 성분이 디 커플링(커패시터 특성에 따라 직류는 통과하지 않고 노이즈 성분인 AC는 그라운드로 빠져나가는 현상)되는바, 반사 잡음의 저감 효과는 극대화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체배에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커패시터의 크기 및 제오 벤더별 차이를 고려하여 0.1pf 내지 18pF 영역 내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가 기설정된 위치에 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성분이 저감된 제어 신호의 파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0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이고, 도 21은 용량성 소자가 배치된 경우의 아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에 고주파 성분이 그대로 노출되어 아이 마스크 상세(eye mask specification)를 건드려서 시스템 동작 상 페일이 일어날 수 있다.
반면에 도 21을 참조하면, 용량성 소자에 의하여 고주파 성분이 저감되는바, 아이 마스크 상세를 건드리지 않아 패스된 아이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22 및 도 2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200)은 제1 메모리 칩과 제2 메모리 칩의 동작 주파수가 차이가 있는 경우 표시되는 알림 메시지(22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새로 장착된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보다 빠른 경우, 알림 메시지(2210)는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로 동작이 수행됨을 표시한다. 만약, 새로 장착된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보다 느린 경우, 알림 메시지(2210)는 새로 장착된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로 동작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2210)는 새로 처리된 메모리 모듈을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같거나 빠른 동작 주파수를 갖는 메모리 모듈로 교체하여 장착할 것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300)은 메모리 액세스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알림 메시지(23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액세스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저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 신호의 변환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진행하거나,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동의 영역(2311)을 선택한 경우, 메모리 컨트롤러는 리셋 과정을 통하여 디폴트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보다 느린 동작 주파수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메모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메모리 컨트롤러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한다(S2410). 구체적으로, 메모리부(230)의 SPD 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소켓부를 통하여 메모리 모듈(300)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420).
만약, 메모리 모듈(300)이 연결되어 있지 않았으면(S2420-N),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메모리부 내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제어할 수 있다(S2430).
반대로, 메모리 모듈(300)이 연결된 경우(S2420-Y), 메모리 컨트롤러는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를 확인하고,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2440).
판단 결과, 메모리 모듈과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가 같다면(S2440-Y),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메모리부 내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메모리 모듈 내의 제2 메모리 칩을 제어할 수 있다(S2430).
만약, 메모리 모듈과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가 다르다면(S2440-N), 메모리부(230)의 동작 주파수가 더 느린지 판단하고(S2450), 메모리부(230)의 동작 주파수가 더 느리다면(S2450-Y), 메모리부(230)의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메모리부(230) 내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메모리 모듈(300) 내의 제2 메모리 칩을 제어할 수 있다(S2460). 그리고 설치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다름을 알림 메시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메모리부(230)의 동작 주파수가 더 빠르다면(S2450-N), 메모리 모듈(300)의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메모리부(230) 내의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메모리 모듈(300) 내의 제2 메모리 칩을 제어할 수 있다(S2470). 그리고 설치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다름을 알림 메시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4와 같은 복수의 메모리의 제어 방법은 도 3의 메모리 컨트롤러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메모리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부;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 모듈이 상기 소켓부에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소켓부의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을 연결하는 제어 라인을 포함하는 도전성 패턴; 및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제어 라인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홀수 배에 대응되는 거리에서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의 9 체 배에 대응되는 거리에서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다음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거리를 갖도록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Figure PCTKR2017006287-appb-I000002
    여기서, C는 빛의 속도, F는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 n는 홀수 배의 자연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수학식을 만족하는 거리의 ±10% 이내에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사이의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0.1pF 내지 18pF의 커패시턴스를 갖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라인은,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과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nRAS 신호, nCAS 신호, nWE 신호, 뱅크 어드레스(Bank Address) 그룹 신호, 주소(Address) 그룹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칩 각각에 제공되는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 중 적어도 하나에 에러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제어 신호의 동작 주파수를 더 느린 동작 주파수로 가변하여 상기 제어 라인에 출력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패턴은, 복수의 제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소자는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개의 용량 소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어 라인 각각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와 상기 메모리부 사이에 상기 제어 라인과 연결되는 풀업 저항;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소켓부에 상기 메모리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동작 주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면, 느린 동작 주파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제1 메모리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칩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메모리 모듈의 동작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의 동작 주파수와 차이가 있으면,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17/006287 2016-07-04 2017-06-16 전자 장치 WO201800887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24426.5A EP3467665A4 (en) 2016-07-04 2017-06-16 ELECTRONIC DEVICE
US16/315,058 US11422955B2 (en) 2016-07-04 2017-06-16 Electronic device
CN201780054021.3A CN109661657B (zh) 2016-07-04 2017-06-16 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92A KR20180004562A (ko) 2016-07-04 2016-07-04 전자 장치
KR10-2016-0084292 2016-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8870A1 true WO2018008870A1 (ko) 2018-01-11

Family

ID=6091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6287 WO2018008870A1 (ko) 2016-07-04 2017-06-16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2955B2 (ko)
EP (1) EP3467665A4 (ko)
KR (1) KR20180004562A (ko)
CN (1) CN109661657B (ko)
WO (1) WO2018008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9548A1 (en) 2020-08-03 2023-06-07 ARRIS Enterprises LLC Gateway device with clock speed that reduces electro-magnetic noi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708A (ja) * 2000-03-16 2001-09-28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基板
KR20020094366A (ko) * 2001-06-11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우터에서 확장 가능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구조 및구성정보 설정방법
JP2003030163A (ja) * 2001-07-16 2003-01-31 Nec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KR20030048036A (ko) * 2000-09-14 2003-06-18 인텔 코오퍼레이션 스택된 메모리 디바이스를 격리하는 버퍼를 갖는 메모리모듈
JP2006318242A (ja) * 2005-05-13 2006-11-24 Kyocera Mita Corp 負荷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1005B1 (en) * 1996-01-11 2010-03-16 Micron Technology, Inc. Asynchronously-accessible memory device with mode selection circuitry for burst or pipelined operation
US6175280B1 (en) * 1998-07-30 2001-01-16 Radio Adventur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stabilizing oscillators
US6269443B1 (en) 1998-12-29 2001-07-3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CPU clock frequency multiplier
US6357018B1 (en) * 1999-01-26 2002-03-12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inuity and integrity of a RAMBUS channel in a computer system
US6295591B1 (en) * 1999-03-30 2001-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upgrading and/or servicing memory without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US6525516B2 (en) * 1999-12-07 2003-02-25 Volterra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with capacitance near load
JP2001184297A (ja)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システム回路基板
JP3981234B2 (ja) 2000-02-21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6745268B1 (en) 2000-08-11 2004-06-01 Micron Technology, Lnc. Capacitive multidrop bus compensation
KR20020092679A (ko) 2001-06-05 200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US7292950B1 (en) * 2006-05-08 2007-11-06 Cray Inc. Multiple error management mode memory module
US8074022B2 (en) * 2006-09-28 2011-12-06 Virident Systems, Inc. Programmable heterogeneous memory controllers for main memory with different memory modules
JP4928499B2 (ja) 2008-05-14 2012-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付サスペンション基板
US20100026408A1 (en) * 2008-07-30 2010-02-04 Jeng-Jye Shau Signal transfer for ultra-high capacity circuits
WO2011081691A2 (en) * 2009-12-14 2011-07-07 Rambus Inc. Expandable asymmetric-channel memory system
KR20110100465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KR20130049332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9251006B2 (en) * 2013-11-22 2016-02-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tonomous recovery from failures during system characterization on an environment with restricted resources
US11145632B2 (en) * 2017-09-29 2021-10-12 Intel Corporation High density die package configuration on system boar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708A (ja) * 2000-03-16 2001-09-28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基板
KR20030048036A (ko) * 2000-09-14 2003-06-18 인텔 코오퍼레이션 스택된 메모리 디바이스를 격리하는 버퍼를 갖는 메모리모듈
KR20020094366A (ko) * 2001-06-11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우터에서 확장 가능한 메모리 인터페이스 구조 및구성정보 설정방법
JP2003030163A (ja) * 2001-07-16 2003-01-31 Nec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JP2006318242A (ja) * 2005-05-13 2006-11-24 Kyocera Mita Corp 負荷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67665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61657A (zh) 2019-04-19
EP3467665A4 (en) 2020-01-15
CN109661657B (zh) 2022-06-21
EP3467665A1 (en) 2019-04-10
KR20180004562A (ko) 2018-01-12
US20200183863A1 (en) 2020-06-11
US11422955B2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6804A1 (en)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O2020204319A1 (en)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visibility of curved position of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5056870A1 (en) Crum chip, image forming device for verifying consumable unit comprising the crum chip, and methods thereof
WO201507264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op-up window
WO20202138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ast transition between screens
WO20210662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izing modification among scree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7155207A1 (en) Management server and file managing method
WO20210254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data thereof
WO20160359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wearable device
WO2016056720A1 (en)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8008870A1 (ko) 전자 장치
WO2020027536A1 (ko) 인쇄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장치
WO2015065081A1 (en)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8101561A1 (ko)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WO2019203396A1 (en) Crum apparatus to extract power from clock signal having first and second periods
WO2016117919A1 (en)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through network,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8034480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2154423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US2007013306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EP3612894A1 (en) Calibration chart base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8216994A2 (ko) 복합기 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안용지용 복합기 및 보안시스템, 그 제어방법
WO2019235740A1 (ko) 복수의 nfc 동작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798599B2 (en) Efficient placement of memory
WO2023018230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003218A1 (ko) 통합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4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24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