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209359A1 -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209359A1
WO2017209359A1 PCT/KR2016/013152 KR2016013152W WO2017209359A1 WO 2017209359 A1 WO2017209359 A1 WO 2017209359A1 KR 2016013152 W KR2016013152 W KR 2016013152W WO 2017209359 A1 WO2017209359 A1 WO 20172093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module
maker
making
i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1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ublication of WO20172093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2093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ing module.
  • a cold room is a place where groceries such as fruits, vegetables, and beverages are stored, and a freezer is a place where groceries are kept frozen.
  • Such conventional refrigerators are often equipped with a device for making ice cubes, which are typically plac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use convection, ie cold air over the water in the ice tray, to freeze the water with an ice tray. Ice is produced by cycling.
  • storage containers for storing frozen ice cubes are usually provided adjacent to the ice making apparatus. And, typically, the discharge of the ice is made by an ice delivery device extending between the outlet of the freezer door and the storage container.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for determining the water supply by detecting whether the ice is full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ce in the ice maker and supplying the ic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 the ice is released according to whether the ice is ejected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of the door or the ice extraction butt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ice maker for determining the water supply.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tecting the ice through the ice detection lever included in the ice maker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ice, whether the ice or not depending on whether the ice is taken out o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ice
  • the purpose is to provid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maker that is pre-processed the ice step to ice the ice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before the ice detection lever operates to detect whether the ice.
  • ice is iced in the ice maker in the ice making module
  • iced ice is iced from the ice maker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n the ice making module, whether ice in the ice storage unit is detected, and ice storage
  • a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module is provided, which detects an ice extraction signal regarding whether ice has been taken out when the portion is detected as full iced.
  •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in the ice maker.
  • the ice maker may perform the operation again from the ice-making operation or the ice detection operation.
  • the ice maker may perform the ice-making operation or the ice-making detection operation again.
  • the ice extraction signal may be a signal corresponding to opening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r taking out ice through a dispenser of the door in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ice making module is installed.
  • ice is iced in the ice maker in the ice making module
  • the iced ice is iced from the ice maker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in the ice making module, and whether or not the ice in the ice storage unit is full, the ice storage
  •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making module is performed again from the ice-making operation or the ice-free detection operation in the ice maker after the preset time elapses, and the water supply is performed in the ice maker if the ice storage unit is not in the iced state. Is provided.
  • an ice making module in which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module is performed is provided.
  •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module is performed is provid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ce maker for determining water supply by detecting whether ice is full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ce in the ice maker and supplying the ic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for determining the water supply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rough the ice detection lever included in the ice maker to detect whether the ice is full and whether or not the ice is detected by taking out the ic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an do.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full ice through the ice detection lever included in the ice maker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ice is full, whether the full ice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f the ic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fter the full ice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maker that rediscovers whether or no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ice maker that is pre-processed the ice step to ice the ice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before the ice detection lever operates to detect whether the ice is full.
  • FIG.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 order of the ice maker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n ice making step S1, an ice making step S2, an ice making step S3, and a water supply step S4.
  • the ice making step (S1) may be a step of making the ice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supplied to the ice tray of the ice maker is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becomes below the freezing point of the fluid.
  • the freezing point may be 0 degrees, for example, an ice maker may be located in a freezing chamber of minus 20 degrees and the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may be an environment of minus 20 degrees.
  • this temperature is an example, and may be selectiv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ice being iced and the production speed.
  • the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step S1 is separated from the ice tray and moved, and the heater of the ice maker separates the ice tray and the fixed state in the ice freezing process.
  • the heater of the ice maker separates the ice tray and the fixed state in the ice freezing process.
  • the heater and the ejector rotation or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may be driven by the controller of the ice maker or the refrigerator.
  • the amount of ice that is moved into the ice storage part through the ice step S2 may be sensed, and a water suppl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supply part.
  • a water suppl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supply part.
  • the ice detection lever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ce maker or the refrigerator.
  • the ice detection lev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ice in the process of reciprocating the section downwardly or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detect the filling of the 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traveled.
  • the ice extraction checking step (S3-1)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water supply is sufficient.
  • the ice extraction step (S3-1) is a step of confirming that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is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it can be detected that the ice is taken out, such a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and closed.
  • the take-out means a means by which the ice is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opening or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includes an ice dispenser such as a dispenser.
  •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ce is taken out until it is confirmed that the ice is taken out, wherein whether the ice extraction is continuous or predetermined It may be confirmed by a criterion according to time.
  • a water supply step S4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may be performed by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or the ice extraction checking step S3-1.
  • the water supplied is filled in the ice tray, the water filled in the ice tray is exposed to a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ng procedure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may be different. Therefore, hereinafter,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ice extraction confirmation step (S3-1) by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ice checking step (S3),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ce is supplied to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next step.
  •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is re-executed according to whether the ice is taken out or the ice step (S2). ) Or the subsequent step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detects that the ice is taken out of the refrigerator
  • the ice extraction step (S3) is performed and the ice detection step (S3) is performed by the ice detection lever or the ice step (S2).
  • the ice cream checking step S3 may be performed by the ice detection lever without going through.
  •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 the ice extraction checking step S3-1 may be performed again until the ice is detected.
  •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nd when the ice is extracted, each step may be performed again from the previous step.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tting time detection step S3-2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in the ice extraction check step S3-1 may be different. Therefore, hereinafter,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ice extraction confirmation step (S3-1) by the signal transmitted in the ice checking step (S3),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ce is supplied to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next step.
  • the set time sensing step S3-2 is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the ice is taken out or the ice step S2.
  • the subsequent step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 the predetermined time delay may be delayed by the set time detection step (S3-2), the ice of the ice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delay
  • the ice extraction confirmation step S3-1 may be performed, and the ice extraction step S3-1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gain from the ice step S2 or the full ice check step S3.
  • each step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again from the ice step S2 or the ice check step S3.
  • the set time detection step S3-2 may be an auxiliary step for re-execution from the ice making step S2 or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after ice making, and further, an ice extraction checking step S3. -1) may be a step corresponding to a malfunc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ce making step S1, an ice making step S2, an ice making step S3, and a water supply step S4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 the ice making step (S1) may be a step of making the ice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supplied to the ice tray of the ice maker is accommodated in the ice tray 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becomes below the freezing point of the fluid.
  • the freezing point may be 0 degrees, for example, an ice maker may be located in a freezing chamber of minus 20 degrees and the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may be an environment of minus 20 degrees.
  • this temperature is an example, and may be selectiv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ice being iced and the production speed.
  • the 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step S1 is separated from the ice tray and moved, and the heater of the ice maker separates the ice tray and the fixed state in the ice freezing process.
  • the heater of the ice maker separates the ice tray and the fixed state in the ice freezing process.
  • the heater and the ejector rotation or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may be driven by the controller of the ice maker or the refrigerator.
  • the amount of ice that is moved into the ice storage part through the ice step S2 may be sensed, and a water suppl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supply part.
  • a water suppl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supply part.
  • the ice detection lever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ice maker or the refrigerator.
  • the ice detection lev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ice in the process of reciprocating the section downwardly or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detect the filling of the ice according to the distance traveled.
  • the set time detection step (S3-2)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water supply signal is full.
  • the set time detection step (S3-2) is performed to delay the predetermined time so as to perform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by detecting the full ice state in the full ice checking step (S3).
  • the set time detection step S3-2 may transmit a signal to perform the previous step of the ice step S2 without performing a signal to perform the ice detection step S3 after the preset time. Therefore, when the ice is detected in the ice making step S3, an ice making step S2 of separating ice from the ice tray may be performed.
  • the water supply unit may perform a water supply step S4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tray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 the water supplied is filled in the ice tray, the water filled in the ice tray is exposed to a temperature below the freezing point and the above-described steps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 Ice makers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s through FIGS. 1 to 4 may be install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ice making is possible, and may be provided in, for example, a refrigerator or a freez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빙모듈 내의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빙되고, 제빙된 얼음이 제빙기로부터 이빙되어 제빙모듈 내의 얼음 저장부 내에 저장되며,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고,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로 감지되면 얼음이 취출되었는지에 관한 얼음 취출 신호를 감지하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냉장고와 같은 종래의 냉장 기기는 일반적으로 냉장실(Fresh Food Compartment)과 냉동실(Freezer Compartment) 내지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다. 냉장실은 과일, 채소 및 음료와 같은 식료품이 저장되는 장소이고, 냉동실은 얼린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식료품이 저장되는 장소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는 종종 얼음 조각을 만들기 위한 장치를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제빙 장치는 통상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실에 배치되며, 물을 아이스 트레이로 얼리기 위하여 대류, 다시 말해 제빙 그릇의 물 위에서 찬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얼음을 제조한다. 또한, 보통 얼려진 얼음 조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가 제빙 장치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얼음의 배출은 냉동실 도어의 배출구와 저장 용기 사이에서 연장하는 얼음 전달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냉장실에 대한 액세스 도어(Access Door) 상에서와 같이 편한 높이에 위치한 얼음 배출기를 제공하는 경우, 얼려진 얼음 조각을 냉동실로부터 냉장실에 대한 액세스 도어 상의 배출기까지 이송하기 위하여 정교한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물의 결빙 온도 위에서 유지되는 칸 내에서 얼음을 제조하고 저장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제빙기의 동작은 온도의 변동 및 제빙기를 수용하는 냉장실 내의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사항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2-0004976 호 (2012. 01.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산되고 냉장고 외부로 상기 얼음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하여 급수를 결정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빙기에 포함되는 만빙감지레버를 통한 만빙이 감지된 후, 도어의 개폐 또는 얼음 취출 버튼에 따른 얼음의 취출 여부에 따라 만빙 해제를 판단하고 급수를 결정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빙기에 포함되는 만빙감지레버를 통한 만빙이 감지된 후, 얼음의 취출 여부에 따른 만빙 여부 감지 또는 기 결정된 시간 후에 만빙여부를 감지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만빙감지레버가 작동하기 전에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되는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단계가 전처리되는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빙모듈 내의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빙되고, 제빙된 얼음이 제빙기로부터 이빙되어 제빙모듈 내의 얼음 저장부 내에 저장되며,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고,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로 감지되면 얼음이 취출되었는지에 관한 얼음 취출 신호를 감지하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얼음 취출 신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빙기에 급수가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얼음 취출 신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얼음 취출 신호가 없는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취출 신호는, 제빙 모듈이 설치된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고의 도어의 열림 또는 도어의 디스펜서(dispenser)를 통한 얼음의 취출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빙 모듈 내의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빙되고, 제빙된 얼음이 제빙기로부터 이빙되어 제빙 모듈 내의 얼음 저장부 내에 저장되며,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고,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로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지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면 제빙기에 급수가 행해지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행해지는 제빙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행해지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산되고 냉장고 외부로 상기 얼음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하여 급수를 결정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빙기에 포함되는 만빙감지레버를 통한 만빙여부 감지와 도어의 개폐에 따른 얼음의 취출 에 따른 만빙여부 감지를 통하여 급수를 결정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빙기에 포함되는 만빙감지레버를 통한 만빙여부 감지, 만빙이 감지된 후 도어의 개폐 등에 따른 얼음의 취출에 따른 만빙여부 감지, 만빙이 감지된 후 경과된 기 결정된 시간 후에 만빙여부를 재감지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빙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만빙감지레버가 작동하기 전에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되는 얼음을 이빙하는 이빙단계가 전처리되는 제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후술할 설명에서 각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재될 구성들은 일 예로서 기재되는 구성으로, 상기 각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당업자가 변형가능한 범위 내의 구성을 통하여 행해질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의 작동순서는 제빙단계(S1), 이빙단계(S2), 만빙확인단계(S3) 및 급수단계(S4)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단계(S1)는 제빙기의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의 어는점 이하의 온도가 되는 환경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얼음으로 제조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가 물일 경우, 어는점은 0도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빙기는 영하 20도의 냉동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어는점 이하의 온도가 되는 환경은 영하 20도의 환경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도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빙되는 얼음의 양과 생산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빙단계(S2)에서는 제빙단계(S1)에서 생산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로,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 내부에서 어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와 고착된 상태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빙기의 히터를 작동시켜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 시키거나, 또는 아이스 트레이를 직접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얼음 저장부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와 이젝터 회전 또는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은 제빙기 또는 냉장고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어서, 만빙확인단계(S3)에서는 상기 이빙단계(S2)를 거쳐서 얼음 저장부 내로 이동되는 얼음의 양을 감지하여 급수부로 급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만빙여부는 제빙기 또는 냉장고에 포함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만빙감지레버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는 하방 또는 회전으로 기 결정된 깊이만큼 구간 왕복하는 과정에서 얼음과 접촉될 수 있고, 이동한 거리에 따라 얼음이 차오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만빙확인단계(S3)에서는 상기 급수신호 외에도 만빙여부에 따라 얼음취출확인단계(S3-1)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얼음취출확인단계(S3-1)는 제빙기에서 생산된 얼음이 냉장고 외부로 제공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로, 예를 들어 냉장고의 문이 개폐되는 것 등에 따라, 얼음이 취출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취출은 냉장고의 문이 개폐되지 않고도 얼음이 냉장고의 외부로 공급되는 수단을 의미하며 디스펜서(dispenser)와 같은 얼음 취출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만빙확인단계(S3) 이후에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 신호를 전달하면 얼음의 취출여부를 확인하고 외부로 얼음이 취출된 것이 확인되면 급수단계(S4)를 수행하기 위하여 급수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 얼음이 취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얼음이 취출된 것이 확인될 때까지 얼음취출여부를 확인 할 수 있고, 여기서 얼음취출여부는 지속적 또는 기 결정된 시간 등에 따른 기준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후에, 만빙확인단계(S3) 또는 얼음취출확인단계(S3-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하여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를 하는 급수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된 물은 아이스 트레이에 채워지고, 아이스 트레이에 채워진 물은 어는점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고 상술한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예시로 설명한 실시예와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의 신호 전달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상술한 예와 상이한 구조를 위주로 후술하도록 한다.
만빙확인단계(S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는 얼음이 외부로 공급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만빙확인단계(S3)에서 만빙상태를 확인하고 신호를 전달하면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는 얼음의 취출여부에 따라 얼음취출확인단계(S3-1)를 재수행하거나 이빙단계(S2) 또는 만빙확인단계(S3)부터 순차적으로 이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얼음취출확인단계(S3-1)는 얼음이 냉장고의 외부로 취출된 것을 감지하면 이빙 단계(S2)를 수행하고 만빙감지레버에 의하여 만빙확인단계(S3)를 수행하거나 이빙 단계(S2)를 거치지 않고 만빙감지레버에 의하여 만빙확인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만빙상태가 아닌 것으로 감지하게 되면 만빙확인단계(S3)에서는 급수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만빙확인단계(S3)에서 만빙상태를 감지하면 얼음이 취출되는 것을 감지할 때까지 얼음취출확인단계(S3-1)를 재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얼음취출확인단계(S3-1)는 예를 들어, 기 결정된 시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얼음이 취출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이전 단계부터 각 단계가 재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2를 예시로 설명한 실시예에 설정시간감지단계(S3-2)가 추가로 포함되고,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의 신호 전달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을 통하여 상술한 예와 상이한 구조를 위주로 후술하도록 한다.
만빙확인단계(S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는 얼음이 외부로 공급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만빙확인단계(S3)에서 만빙상태를 확인하고 신호를 전달하면,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는 얼음의 취출여부에 따라 설정시간감지단계(S3-2)를 수행하거나 이빙단계(S2) 또는 만빙확인단계(S3)부터 순차적으로 이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얼음취출확인단계(S3-1)에서 얼음이 취출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경우, 설정시간감지단계(S3-2)에 의하여 기 결정된 시간 지연될 수 있고, 상기 기 결정된 시간 지연되는 동안 얼음의 취출을 감지하면 얼음취출확인단계(S3-1)가 수행되어 이빙단계(S2) 또는 만빙확인단계(S3)부터 순차적으로 재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기 결정된 시간 지연되는 동안 얼음의 취출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기 결정된 시간 이후에 이빙단계(S2) 또는 만빙확인단계(S3)부터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재수행될 수 있다.
즉, 설정시간감지단계(S3-2)는 제빙기의 제빙 이후 이빙단계(S2) 또는 만빙확인단계(S3)부터의 재수행을 위한 보조적인 단계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얼음취출확인단계(S3-1)의 오작동에 대응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빙단계(S1), 이빙단계(S2), 만빙확인단계(S3) 및 급수단계(S4)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빙단계(S1)는 제빙기의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의 어는점 이하의 온도가 되는 환경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얼음으로 제조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가 물일 경우, 어는점은 0도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빙기는 영하 20도의 냉동실 내에 위치되어 상기 어는점 이하의 온도가 되는 환경은 영하 20도의 환경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온도는 하나의 예시로서, 제빙되는 얼음의 양과 생산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빙단계(S2)에서는 제빙단계(S1)에서 생산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로, 얼음이 아이스 트레이 내부에서 어는 과정에서 아이스 트레이와 고착된 상태를 분리하기 위하여 제빙기의 히터를 작동시켜 이젝터의 회전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 시키거나, 또는 아이스 트레이를 직접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얼음 저장부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와 이젝터 회전 또는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은 제빙기 또는 냉장고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어서, 만빙확인단계(S3)에서는 상기 이빙단계(S2)를 거쳐서 얼음 저장부 내로 이동되는 얼음의 양을 감지하여 급수부로 급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만빙여부는 제빙기 또는 냉장고에 포함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되는 만빙감지레버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는 하방 또는 회전으로 기 결정된 깊이만큼 구간 왕복하는 과정에서 얼음과 접촉될 수 있고, 이동한 거리에 따라 얼음이 차오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만빙확인단계(S3)에서는 상기 급수신호 외에도 만빙여부에 따라 설정시간감지단계(S3-2)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감지단계(S3-2)는 만빙확인단계(S3)에서 만빙상태를 감지하여 기 결정된 시간 후에, 만빙확인단계(S3)를 다시 수행할 수 있도록 기 결정된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수행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다만, 설정시간감지단계(S3-2)는 설정된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만빙감지단계(S3)를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이전단계인 이빙단계(S2)를 수행하도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만빙확인단계(S3)에서 만빙상태를 감지하면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하는 이빙단계(S2)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만빙확인단계(S3)로부터 미(未)만빙상태가 감지되면 급수부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하여 아이스 트레이에 급수를 하는 급수단계(S4)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급수된 물은 아이스 트레이에 채워지고, 아이스 트레이에 채워진 물은 어는점 이하의 온도에 노출되고 상술한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상술한 단계를 수행하는 제빙기는 제빙이 가능한 환경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S1 : 제빙단계
S2 : 이빙단계
S3 : 만빙확인단계
S3-1 : 얼음취출확인단계
S3-2 : 설정시간감지단계
S4 : 급수단계

Claims (8)

  1.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모듈 내의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빙되고,
    상기 제빙된 얼음이 상기 제빙기로부터 이빙되어 상기 제빙모듈 내의 얼음 저장부 내에 저장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얼음이 취출되었는지에 관한 얼음 취출 신호를 감지하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취출 신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빙기에 급수가 행해지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취출 신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지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얼음 취출 신호가 없는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지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얼음 취출 신호는,
    상기 제빙 모듈이 설치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의 열림 또는 상기 도어의 디스펜서(dispenser)를 통한 얼음의 취출에 대응하는 신호인,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6.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빙 모듈 내의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이 제빙되고,
    상기 제빙된 얼음이 상기 제빙기로부터 이빙되어 상기 제빙 모듈 내의 얼음 저장부 내에 저장되며,
    상기 얼음 저장부 내의 얼음의 만빙 여부가 감지되고,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로 감지되면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빙기에서 이빙 동작 또는 만빙 여부 감지 동작부터 다시 행해지며,
    상기 얼음 저장부가 만빙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빙기에 급수가 행해지는,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한 항의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행해지는 제빙 모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한 항의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이 행해지는 냉장고.
PCT/KR2016/013152 2016-06-03 2016-11-15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WO20172093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12A KR102490301B1 (ko) 2016-06-03 2016-06-03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16-0069612 2016-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359A1 true WO2017209359A1 (ko) 2017-12-07

Family

ID=6047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152 WO2017209359A1 (ko) 2016-06-03 2016-11-15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0301B1 (ko)
WO (1) WO20172093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787B1 (ko) * 1996-11-15 1999-06-15 윤종용 자동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9990052583A (ko) * 1997-12-22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모터 제어방법
KR20050063871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제어방법
KR100781287B1 (ko) * 2006-01-27 2007-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이의 얼음량 감지 방법, 그리고 냉장고
KR20080054983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561B1 (ko) * 2005-03-22 2006-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기의 만빙운전 제어방법
KR20060125262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및 그 제빙방법
KR100845858B1 (ko) * 2006-12-2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78406B2 (en) 2009-02-28 2015-03-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of minimizing frost accumu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787B1 (ko) * 1996-11-15 1999-06-15 윤종용 자동제빙장치의 제어방법
KR19990052583A (ko) * 1997-12-22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모터 제어방법
KR20050063871A (ko) * 2003-12-23 200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및 아이스 메이커의 이빙 제어방법
KR100781287B1 (ko) * 2006-01-27 2007-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장치 및 이의 얼음량 감지 방법, 그리고 냉장고
KR20080054983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453A (ko) 2017-12-13
KR102490301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4701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002761A2 (ko) 얼음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388280B (zh) 冰箱
EP2347199A2 (en) Refrigerator
EP225045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1105791A2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upplying ice thereof
US6679073B1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KR20090115307A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101517619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1105789A2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supplying ice thereof
WO2017209359A1 (ko) 제빙 모듈의 제어 방법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2175215A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782425A (zh) 冷藏库
CN111238147A (zh) 制冷设备、制冷设备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01738039B (zh) 冰分配技术、制冰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389417B1 (ko)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KR100566403B1 (ko) 검빙레버 결빙방지방법
KR100631561B1 (ko) 냉장고의 제빙기의 만빙운전 제어방법
KR100781259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73111A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000034724A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제어방법
JPH11304318A (ja) 自動製氷装置
GB2465559A (en) Fridge freezer
KR20020057129A (ko)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41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41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