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88640A1 - 설포 통기성 신발 - Google Patents

설포 통기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88640A1
WO2017188640A1 PCT/KR2017/004112 KR2017004112W WO2017188640A1 WO 2017188640 A1 WO2017188640 A1 WO 2017188640A1 KR 2017004112 W KR2017004112 W KR 2017004112W WO 2017188640 A1 WO2017188640 A1 WO 20171886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ngue
sulfo
shoe
vent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1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517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3791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39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1188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US16/097,12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104803A1/en
Priority to DE112017002223.1T priority patent/DE112017002223T5/de
Publication of WO20171886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886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reathable sho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lfo breathable shoe that allows ventilation to be made through the tongue area to the front of the shoe.
  • the foot has a distribution of about 500,000 sweat glands, which occupy about 20% of the body's perforated pores, and it is the site that produces the most sweat except forehead. Even when you're not active, your feet produce a lot of sweat, and if you exercise hard, your sweat will increase by about 12 times.
  • the 'air emission shoe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2510 (announced on August 16, 2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in the insole, while maintaining a space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 the side portion of the outso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ir holes are formed. Then, when the shoes are walking, the weight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is compressed while the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ole, and the compressed air is compress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sole and the outsol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hole. Can be.
  • 'Shoes capable of air circulation with the outside'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470571 (announced on March 8, 2005,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may also be air circulated but water may enter through the bottom of the shoe. The problem is inevitable.
  • the present inventors came to implement the breathable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automatic ventilation principle of the termite nest to the tongue area instead of the shoe sole.
  • Termites usually have a height of 1 to 2m, but some of them are about 9m and some are 3 to 4 stories high.
  • the African grassland which is home to termites, maintains 29 ⁇ 30 °C at all times even though the temperature rises above 38 °C in the middle of the day and the daily working day is very large. This is due to tropical currents and hol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ermite nests, as shown in FIG.
  • the present inventors have implemented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not only this but also the principle of Korean traditional ondol.
  • the foot when shoes are worn, the foot itself acts as an arch, so that the odor or heat in the shoes naturally ris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any special external action.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cape from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breathable structure is formed in the sole portion of the shoe, so that the aeration of the front of the shoe is placed through the tongue area where the toe area sweating or smells a lot It is thereby to provide a sulfo breathable shoes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 Sulfo endothelium is installed under the sulfo sheath
  • a spacing structure having a main body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tongue shell and the tongue lining,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front of the shoe so as to be positioned under the proclama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shoe; It is made, including
  • the tongue outer shell and the tongue inner shell are coupled to a part of the rim to form a tongue pocket in which an inlet is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hoe,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pacer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tongue pocket through the mouth of the tongue pocket, and the tongue
  • the end of the tongue envelope located at the inlet of the pocke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bladder.
  • the tongue endothelium is longer than the tongue endothelium may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to the proclamation, in which case the endothelium is divided into a wing portion to be located below the vesicle and the body portion to be located under the tongue endothelium,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vent holes are provided in the wing portion of the sulfo endothelium.
  • the wing portion of the spacer structur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wing portion of the tongue endotheliu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portion of the wing of the tongue endothelium is coupled to the sole together with the proclamation.
  • the spacer structure may be made of a double air mesh.
  • An upper network having a network structure
  • a lower net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net and having a network structure
  • the vent member may be a member in which the elastic yarn is entangled.
  • the spacer structure may be formed by forming a vent and a projection on the flat body.
  • the vent when the protrusion is installed upward, the ven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wing portion of the spacer structure.
  • the vent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pac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 the heat or odor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shoe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of the tongue through the space passage of the spaced apart structure. Therefore, even if the vamp is made of an impervious material, breathability is secured. At this time, since only the vent holes of the tongue cov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water cannot enter through the vamp and thus the waterproof function is also achieved. outstanding.
  • the vamp is made of air-permeable mesh, for example, you may not expect much improvement in water resistance, but in this case it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vamp but also to the tongue area as an air outle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vamp is simply made of a mesh material, excellent breathability can be ensured.
  •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of the termite nest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the tongue breathable shoe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ngu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lfo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ngue 13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to 1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lfo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pacer structure 132.
  • tongue shell 132 spacer structure
  • protrusion 132-5 body
  • main body 133 sulfo endothelium
  • the sulfo breathable sho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110 installed on the soles so1e and 120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 Tongues (130) are installed at the site where the tightening means (150), such as shoelaces or velcro, is installed to cover the instep of the foot, and a plurality of vent holes (135) are formed in the tongue (130).
  • the front of the shoe in the upper 110 is called a vamp (140).
  • the tongue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pacer 132 is fitted between the tongue envelope 131 and the tongue endothelium 133. Sulfo sheath 131 and tongue endothelium 133 has a similar length, but the spacer structure 132 is longer than the tongue sulphate 131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front proclamation 140 of the shoe.
  • FIG. 3 shows a double air mesh as an example.
  • the double air mesh refers to a ventilation member 132-7 installed between the upper mesh 132-6 and the lower mesh 132-8.
  • a material such as a sponge may be made of porous material or an elastic yarn entangled.
  • the thickness or strength of the elastic yarn will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gap or cushion between the upper mesh 132-6 and the lower mesh 132-8.
  • the intertwined gap of the elastic yarn becomes the space passage (reference numeral 132-2 of FIG. 16).
  • Heat or smell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shoe is diffused toward the vent hole 135 of the tongue envelope 131 naturally through the space passage 132-2 of the spacer 13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tongue envelope 131, the spacer 132, and the tongue envelope 133 are prepared.
  • the spacer 132 has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tongue envelope 131 and the tongue envelope 133.
  • the spaced structure 132 is divided into a wing 132a and a main body 132b, where the main body 132b is install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tongue outer shell 131 and the tongue inner shell 133 to form the tongue 130.
  • the wing 132a refers to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132b to the front of the shoe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declaration 140 which is the upper part of the shoe.
  • the wing portion 132a is larger than the body portion 132b at the boundary with the main body portion 132b and then narrows toward the front to have a streamlined shape.
  • the tongue shell 1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135.
  • the vent hole 135 is formed by artificially drilling a hole in the tongue outer shell 131.
  • the tongue shell 131 itself is made of a structure that allows air, such as a mesh structure will have a vent hole 135,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punching operation.
  • the tongue outer shell 131 and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tongue inner shell 133 are combined to form a tongue pocket 130a having an inlet A on the side facing the front of the shoe.
  • Reference numeral 137a denotes a binding site of the sulfo sheath 131 and the sulfo endothelium 133.
  • This coupling portion 137a will have a roughly 'c' shape.
  • the sulfo sheath 131 and the sulfo endothelium 13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titching, bonding, and fusion.
  • the end of the tongue envelope 131 located at the inlet A of the tongue pocket 130a may be stitched, adhered, or fused to the line 140 of the upper 110.
  • Reference numeral 137b denotes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outer skin 131 and the proclamation 140.
  • the main body 132b of the spacer 132 is inserted into the tongue pocket 130a through the inlet A of the tongue pocket 130a.
  • the spacer 132 is wound sideways along with the declaration 140 to be wound around the bottom of the sole 120 to be coupled to the sole 120. If the spacer 132 is not coupled to the sole 120 together with the declaration 140, the spacer 132 is not fixed in place in the shoe and is easily moved, thus declaring the spacer 132 in this manner. It is preferable to couple to the sole 120 together. If not, the operation for coupling the spacer 132 to the declaration 140 is required.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ngue 13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ggest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tongue endothelium 133 is also installed to extend up to the declaration 140 of the front of the shoe.
  • the tongue envelope 131, the spacer structure 132, and the tongue envelope 133 are prepared.
  • the tongue endothelium 133 is longer than the tongue endothelium 131 and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proclamation 140 which is the front of the shoe. Therefore, the tongue endothelium 133 is divided into a wing portion 133a to be positioned below the proclamation 140 and a body portion 133b to be positioned below the tongue envelope 131.
  • a plurality of vent holes 136 are formed in the wing 133a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 the wing portion 133a is larger than the body portion 133b at the boundary with the main body portion 133b, and then narrows toward the front to form a streamlined shape.
  •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vent 136 is also preferable to have a shape similar to a streamlined shape.
  • Ventilator 136 is a sulfo endothelium 133 is a material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air, for example, leather, artificial leather, waterproof cloth, synthetic resin, etc. will be formed by artificially punctured, but the tongue endothelium 133 itself If the air can pass through, such as a mesh structure or non-woven fabric will have a vent 136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hole drilling operation.
  • Spacer structure 132 preferably has a shape and size that does not deviate out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while covering the body portion 133b with the vent 136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 a portion of the edge of the tongue envelope 131 and the tongue envelope 133 is combined to form a tongue pocket 130a having an inlet A on the side facing the front of the shoe.
  • Reference numeral 137a denotes a binding site of the sulfo sheath 131 and the sulfo endothelium 133.
  • This coupling portion 137a will have a roughly 'c' shape.
  • the sulfo sheath 131 and the sulfo endothelium 13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titching, bonding, and fusion.
  • the end portion of the tongue envelope 131 positioned at the inlet A of the pocket 130a may be stitched, adhered to, or fused to the vesicle 140 in the upper 110.
  • Reference numeral 137b denotes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outer skin 131 and the proclamation 140.
  • the main body 132b of the spacer 132 is inserted into the tongue pocket 130a through the inlet A of the tongue pocket 130a.
  • the wing portion 132a of the spacer structure 132 is placed on the area where the vent hole 136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is distributed.
  • the wing 132a of the spacer 132 is sewn on the wing 133a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after being partially lifted by the proclamation 140.
  • Reference numeral 137c represents a coupling portion of the spacer structure 132 and the sulfo endothelium 133.
  • the edge portion of the tongue 133a of the tongue endothelium 133 is pulled together with the proclamation 140 and wound around the bottom of the sole 120 to be coupled to the sole 120. Since the spacer 132 is already coupled to the tongue endothelium 133, the spacer 132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coupled to the sole 120 up to the spacer 132.
  • 16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pacer structure 132.
  • Spacer structure 132 is basically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ventilator 132-1 and the main body portion 132b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ing portion 132a, as shown in FIG. A vent 132-3 and a space passage 132-2 formed in the wing 132a and the main body 132b to allow air to pass between the wing 132a and the main body 132b. It is done by
  • venting unit 132-1-> space passage 132-2-> venting unit 132-3-> vent hole 135" the path of "ventilation unit 132-1-> space passage 132-2-> venting unit 132-3-> vent hole 135" is shown.
  • the heat from the front of the shoe through the smell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ventilation hole 136-> venting portion (132-1)-> space passage (132-2)- > Vents (132-3)-> through the path of the vent 135 the heat or smell in the front of the shoe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projection 132-4 is installed in the whole of the flat body (132-5) facing upward, the vent 132-1 is formed in the wing 132a The case is shown.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vent 132-3 is not separately formed in the main body 132b,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132-4 serves as the vent 132-3 and the space passage 132-2. .
  • FIG. 20 illustrates a projection 132-4 facing down toward the whole of the flat body 132-5 as another example of the spacer structure 132, and the vent 132-3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32 b. It is shown when formed. In this case, the space between the projections 132-4 serves as the vent 132-1 and the space passage 132-2 even though the vent 132-1 is not separately formed in the wing 132a. .
  • the ventilator 132-1 is formed in the wing 132a, and the ventilator 132-3 is formed in the main body 132b, the spaced structure is not affected by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32-4. 132 can be installed.
  • FIG. 21 illustrates a case of a double air mesh as another example of the spacer structure 132. Since this i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heat or odor generated from the front of the shoe naturally passes through the air hole 135 of the tongue 130 through the space passage 132-2 of the spaced structure 132. Will be discharged. Therefore, even if the declaration (vamp, 140) is made of an impervious material is ensured breathability, at this time only the vent hole 135 of the tongue envelope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water cannot enter through the declaration (140). It is also waterproof.
  • the air is discharged not only to the declaration 140 but also to the sulfo 130 through the spacer structure 132.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passage, it is possible to ensure excellent breath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declaration 140 is made of a mesh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설포 통기성 신발(2)은, 복수개의 통기공(135)이 형성되는 설포 외피(131); 설포 외피(131)의 밑에 설치되는 설포 내피(133); 및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132b)와, 신발의 앞부분을 이루는 갑피인 선포(140)의 밑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32b)에서 신발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날개부(132a)를 갖는 이격구조물(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격구조물(132)은, 날개부(132a)에 밑쪽으로 형성되는 통기부(132-1); 본체부(132b)에 위쪽으로 형성되는 통기부(132-3); 및 날개부(132a)와 본체부(132b)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날개부(132a)와 본체부(132b)에 형성되는 공간통로(13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냄새가 자연스럽게 이격구조물의 공간통로를 거쳐 설포의 통기공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Description

설포 통기성 신발
본 발명은 통기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포(tongue) 부위를 통해서 신발 앞부분까지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은 인체 전체 땀구멍의 약 20%를 차지하는 50만개 정도의 땀샘 분포를 가지고 있어 이마를 제외하고 땀을 가장 많이 분비하는 부위이다.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발에서는 많은 양의 땀이 분비되며, 격한 운동을 할 경우 약 12배까지 땀 분비량이 증가한다.
신발에 통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발의 열기로 인하여 땀이 차기 쉬울 뿐만 아니라 발 냄새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510호(2000.08.16.공고, 이하 '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된 '공기배출신발'은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둔 상태에서 인솔에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아웃솔의 측 부위에는 복수개의 에어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면 신발을 신고 걸을 때에 인솔 상부에 체중이 실리는 과정에서 인솔과 아웃솔 사이가 압착되고 이러한 압착으로 인해 인솔과 아웃솔 사이의 공간에 차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에어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의 경우는 결국 신발 바닥 부위를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기 쉽고, 이는 장화 같은 경우에 매우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35118호(20001.10.05.공개, 이하 '문헌 2'라 함)에 개시된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은 체크밸브가 설치된 공기호수를 통해서 신발 깔창의 옆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 신발 깔창의 밑바닥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문헌 2의 경우도 신발 바닥 부위를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면에 물이 고여 있는 경우 신발 내로 물이 들어오기 쉬우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체크밸브의 사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0751호(2005.03.08.공고, 이하 '문헌 3'이라 함)에 개시된 '외부와의 공기순환이 가능한 신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지는 몰라도 신발 바닥을 통해서 물이 들어오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통기성 확보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신발 밑창 부위에 통기성 구조가 설치되었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에서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신발 밑창이 아닌 설포(tongue) 부위에 흰개미집의 자동환기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발을 구현하기에 이르렀다.
흰개미집은 보통은 1~2m 높이를 갖지만 큰 것은 9m 정도로 아파트 3~4층 높이 정도 되는 것도 있다. 흰개미의 거주지인 아프리카 초원은 한낮에 기온이 38℃ 이상 올라가고 하루의 일교차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개미집 내부는 항상 29~30℃ 정도를 유지한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흰개미집의 구조에 따른 열대류와 구멍들에 기인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의 온돌의 원리도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게 되었다. 즉, 신발을 신었을 때에 발 자체가 아궁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발 내의 악취나 열기가 특별한 외부 작용을 통하지 않고서도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2510호(2000.08.16.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35118호(20001.10.05.공개)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70751호(2005.03.08.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발의 밑창 부분에 통기성 구조가 형성되는 종래의 경우에서 탈피하여, 땀이나 냄새가 많이 나는 발가락 부위가 놓이는 신발 앞부분의 통기가 설포(tongue) 부위를 통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설포 통기성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포 통기성 신발은,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설포 외피;
상기 설포 외피의 밑에 설치되는 설포 내피; 및
상기 설포 외피와 설포 내피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와, 신발의 앞부분을 이루는 갑피인 선포의 밑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서 신발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갖는 이격구조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구조물은,
상기 날개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통기부;
상기 설포 외피의 통기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윗면에 형성되는 통기부; 및
상기 날개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 본체부에 형성되는 공간통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포 외피와 설포 내피는 테두리 일부가 결합되어 신발의 앞부분을 향하는 쪽에 입구가 형성되는 설포 포켓을 이루고, 상기 이격구조물의 본체부는 상기 설포 포켓의 입구를 통하여 상기 설포 포켓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설포 포켓의 입구에 위치하는 상기 설포 외피의 단부는 상기 선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포 내피는 상기 설포 외피 보다 길이가 길어 상기 선포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설포 내피는 상기 선포의 밑에 위치하게 될 날개부와 상기 설포 외피의 밑에 위치하게 될 본체부로 구분되며,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에 상기 이격구조물의 날개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선포와 함께 밑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구조물은 이중 에어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중 에어메쉬는,
망구조를 갖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망구조를 갖는 하부망; 및
상기 공간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망과 하부망 사이에 설치되는 통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통기부재는 탄성사가 얽혀있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이격구조물은 납작한 몸체에 통기부와 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가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이격구조물의 날개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돌기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이격구조물의 본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냄새가 자연스럽게 이격구조물의 공간통로를 거쳐 설포(tongue)의 통기공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선포(vamp)가 불투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통기성이 확보되며, 이 때 설포(tongue) 외피의 통기공만 외부에 노출되므로 선포(vamp)를 통해서는 물이 들어올 수 없게 되어 방수기능도 뛰어나다.
선포(vamp)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예컨대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록 방수성에는 많은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지 몰라도, 이 경우 선포(vamp) 뿐 만 아니라 설포(tongue) 부위까지 공기 배출통로로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선포(vamp)가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뛰어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흰개미집의 자동 환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통기성 신발(2)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포(130)의 제조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포(130)의 제조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6 내지 도 21은 이격구조물(13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부호의 설명>
2: 설포 통기성 신발
110: 갑피(upper) 120: 밑창(so1e)
130: 설포(tongue) 130a: 설포 포켓
131: 설포 외피 132: 이격구조물
132-1, 132-3: 통기부 132-2: 공간통로
132-4: 돌기 132-5: 몸체
132-6: 상부망 132-8: 하부망
132-7: 통기부재 132a, 133a: 날개부
132b, 133b: 본체부 133: 설포 내피
135, 136: 통기공
137a: 설포 외피(1311)와 설포 내피(133)의 결합부위
137b: 설피 외피(131)와 선포(140)의 결합부위
137c: 이격구조물(132)과 설포 내피(133)의 결합부위
140: 선포(vamp) 150: 조임수단
A: 포켓입구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포 통기성 신발(2)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설포 통기성 신발(2)은 밑창(so1e, 120)의 위에 갑피(upper, 110)가 설치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신발끈이나 벨크로와 같은 조임수단(150)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발등을 덮도록 설포(tongue, 130)가 설치되며, 설포(130)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35)이 형성된다.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경우에도 갑피(110)에서 신발의 앞부위는 선포(vamp, 140)라 칭하여진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설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130)는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 사이에 이격구조물(132)이 끼워지는 구조를 가진다.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는 비슷한 길이를 가지지만, 이격구조물(132)은 설포 외피(131)보다 길어서 신발의 앞부분인 선포(140)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격구조물(132)에 대해서는 도 15 내지 도 20에서 후술할 것이며, 도 3에서는 그 예로서 이중 에어메쉬(double air mesh)가 도시되었다.
상기 이중 에어메쉬는 상부망(132-6)과 하부망(132-8) 사이에 통기부재(132-7)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통기부재(132-7)로는 스폰지와 같이 재질 자체가 다공성이 것을 사용하거나 탄성사가 얽혀 이루어진 것이 선택될 수 있다. 탄성사를 사용할 경우 상부망(132-6)과 하부망(132-8) 사이의 간극이나 쿠션의 정도에 따라 탄성사의 굵기나 강도가 선택될 것이다. 탄성사의 얽혀있는 틈새가 바로 공간통로(도 16의 참조번호 132-2)가 된다.
신발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냄새는 이격구조물(132)의 공간통로(132-2)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설포 외피(131)의 통기공(135) 쪽으로 확산(diffuse)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외피(131), 이격구조물(132), 및 설포 내피(133)를 준비한다. 이격구조물(132)은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보다 길이가 긴 것이 선택된다.
이격구조물(132)은 날개부(132a)와 본체부(132b)로 구분되는데, 여기서 본체부(132b)는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 사이에 끼워지게 설치되어 설포(130)의 형상에 기여하게 될 부분을 말하고, 날개부(132a)는 신발의 앞부분을 이루는 갑피인 선포(140)의 밑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32b)에서 신발의 앞쪽으로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신발의 구조를 고려할 때에, 날개부(132a)는 본체부(132b)와의 경계 부위에서 본체부(132b)보다 폭이 컸다가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유선형과 비슷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포 외피(131)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35)이 마련된다. 설포 외피(131)가 물이나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 예컨대, 가죽, 인조피혁, 방수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러한 통기공(135)은 설포 외피(131)에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될 것이고, 설포 외피(131) 자체가 망사구조와 같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멍을 뚫는 작업이 없더라도 통기공(135)을 갖게 될 것이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테두리 일부를 결합시켜 신발의 앞부분을 향하는 쪽에 입구(A)를 갖는 설포 포켓(130a)을 형성한다. 참조번호 137a는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위(137a)는 대략 'ㄷ'형태를 하게 될 것이다.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결합은 박음질, 본드를 통한 접착, 융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포켓(130a)의 입구(A)에 위치하는 설포 외피(131)의 단부를 갑피(110) 중 선포(140) 부위에 박음질, 접착, 융착 등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참조부호 137b는 설피 외피(131)와 선포(140)와의 결합부위를 나타낸다. 이때, 설포 내피(133)는 선포(14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설포 포켓(130a)의 입구(A)는 막히지 않고 여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포켓(130a)의 입구(A)를 통하여 이격구조물(132)의 본체부(132b)를 설포 포켓(130a)의 내부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구조물(132)을 선포(140)와 함께 옆으로 잡아당기면서 밑창(120)의 밑쪽으로 감아서 밑창(120)에 결합시킨다. 이격구조물(132)을 선포(140)와 함께 밑창(120)에 결합시키지 않으면 이격구조물(132)이 신발 내에서 제자리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이기 쉬우므로 이와 같이 이격구조물(132)을 선포(140)와 함께 밑창(12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지 않을 경우에는 이격구조물(132)을 선포(140)에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이 요구된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설포(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실시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설포 내피(133)도 신발의 앞부분인 선포(140)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는 점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외피(131), 이격구조물(132), 및 설포 내피(133)를 준비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설포 내피(133)는 설포 외피(131)보다 길이가 길어 신발의 앞부분인 선포(140)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설포 내피(133)는 선포(140)의 밑에 위치하게 될 날개부(133a)와, 설포 외피(131)의 밑에 위치하게 될 본체부(133b)로 구분된다. 설포 내피(133)의 날개부(133a)에는 복수개의 통기공(136)이 형성된다.
신발의 구조를 고려할 때에, 날개부(133a)는 본체부(133b)와의 경계 부위에서 본체부(133b)보다 폭이 컸다가 앞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유선형과 비슷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 제조 시에 설포 내피(133)가 완만하게 휘어지면서 선포(140)의 밑에 위치할 것이므로 발가락 부위 및 그에 인접하는 발등 앞부분에 통기공(136)이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기공(136)의 분포 영역도 유선형과 비슷한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공(136)은 설포 내피(133)가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 예컨대 가죽, 인조피혁, 방수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어서 형성시켜야 할 것이지만, 설포 내피(133) 자체가 망사구조나 부직포 등과 같이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별도의 구멍을 뚫는 작업이 없더라도 통기공(136)을 갖게 된다.
이격구조물(132)은 설포 내피(133)의 통기공(136)과 함께 본체부(133b)를 덮으면서 설포 내피(133)의 밖으로 벗어나지는 않는 형태와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테두리 일부를 결합시켜 신발의 앞부분을 향하는 쪽에 입구(A)를 갖는 설포 포켓(130a)을 형성한다. 참조번호 137a는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결합 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위(137a)는 대략 'ㄷ'형태를 하게 될 것이다. 설포 외피(131)와 설포 내피(133)의 결합은 박음질, 본드를 통한 접착, 융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30a)의 입구(A)에 위치하는 설포 외피(131)의 단부를 갑피(110) 중 선포(140) 부위에 박음질, 접착, 융착 등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참조부호 137b는 설피 외피(131)와 선포(140)와의 결합부위를 나타낸다. 이 때, 설포 내피(133)는 선포(14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설포 포켓(130a)의 입구(A)는 막히지 않고 여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포켓(130a)의 입구(A)를 통하여 이격구조물(132)의 본체부(132b)를 설포 포켓(130a)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설포 내피(133)의 통기공(136)이 분포된 영역 상에 이격구조물(132)의 날개부(132a)가 놓이게 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포(140)를 일부 들어올린 후에 이격구조물(132)의 날개부(132a)를 설포 내피(133)의 날개부(133a)에 박음질, 접착,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다. 참조번호 137c는 이격구조물(132)과 설포 내피(133)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포 내피(133)의 날개부(133a) 가장자리 부분을 선포(140)와 함께 잡아당기면서 밑창(120)의 밑쪽으로 감아서 밑창(120)에 결합시킨다. 이격구조물(132)은 설포 내피(133)에 이미 결합된 상태이므로 굳이 이격구조물(132)까지 밑창(120)에 결합시킬 필요까지는 없다.
[이격구조물(132)]
도 16 내지 도 21은 이격구조물(13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격구조물(132)은 기본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32a)의 밑면에 형성되는 통기부(132-1)와, 본체부(132b)의 윗면에 형성되는 통기부(132-3)와, 날개부(132a)와 본체부(132b) 사이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날개부(132a)와 본체부(132b)에 형성되는 공간통로(1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도 17에서와 같이 "통기부(132-1) -> 공간통로(132-2) -> 통기부(132-3) -> 통기공(135)"의 경로를 거쳐 신발 앞부분에서의 열기가 냄새가 외부 배출될 것이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도 18에서와 같이 "통기공(136) -> 통기부(132-1) -> 공간통로(132-2) -> 통기부(132-3) -> 통기공(135)"의 경로를 거쳐 신발 앞부분에서의 열기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도 19는 이격구조물(132)의 일예로서 납작한 몸체(132-5)의 전체에 돌기(132-4)가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날개부(132a)에 통기부(132-1)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본체부(132b)에 별도로 통기부(132-3)가 형성되지 않아도 돌기(132-4) 사이의 공간이 통기부(132-3)와 공간통로(132-2)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0은 이격구조물(132)의 다른 예로서 납작한 몸체(132-5)의 전체에 돌기(132-4)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본체부(132b)에 통기부(132-3)가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날개부(132a)에 별도로 통기부(132-1)가 형성되지 않아도 돌기(132-4) 사이의 공간이 통기부(132-1)와 공간통로(132-2)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날개부(132a)에도 통기부(132-1)를 형성하고, 본체부(132b)에도 통기부(132-3)를 형성하면 돌기(132-4)의 방향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이격구조물(132)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1은 이격구조물(132)의 또 다른 예로서 이중 에어메쉬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앞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냄새가 자연스럽게 이격구조물(132)의 공간통로(132-2)를 거쳐 설포(tongue, 130)의 통기공(135)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선포(vamp, 140)가 불투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통기성이 확보되며, 이때 설포 외피(131)의 통기공(135)만 외부에 노출되므로 선포(140)를 통해서는 물이 들어올 수 없게 되어 방수기능도 뛰어나다.
선포(140) 부위가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예컨대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록 방수성에는 많은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지 몰라도, 이 경우 이격구조물(132)을 통하여 선포(140)뿐만 아니라 설포(130)까지 공기 배출통로로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선포(140)가 망사 재질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 뛰어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설포 외피;
    상기 설포 외피의 밑에 설치되는 설포 내피; 및
    상기 설포 외피와 설포 내피 사이에 끼워지는 본체부와, 신발의 앞부분을 이루는 갑피인 선포의 밑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에서 신발의 앞쪽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갖는 이격구조물;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구조물은,
    상기 날개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통기부;
    상기 설포 외피의 통기공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윗면에 형성되는 통기부; 및
    상기 날개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부와 본체부에 형성되는 공간통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설포 외피와 설포 내피는 테두리 일부가 결합되어 신발의 앞부분을 향하는 쪽에 입구가 형성되는 설포 포켓을 이루고, 상기 이격구조물의 본체부는 상기 설포 포켓의 입구를 통하여 상기 설포 포켓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설포 포켓의 입구에 위치하는 상기 설포 외피의 단부가 상기 선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내피는 상기 설포 외피 보다 길이가 길어 상기 선포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선포의 밑에 위치하게 될 날개부와 상기 설포 외피의 밑에 위치하게 될 본체부로 구분되며,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에 복수개의 통기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에 상기 이격구조물의 날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 내피의 날개부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선포와 함께 밑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조물이 이중 에어메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 에어메쉬는,
    망구조를 갖는 상부망;
    상기 상부망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망구조를 갖는 하부망; 및
    상기 공간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망과 하부망 사이에 설치되는 통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재가 탄성사가 얽혀있는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조물이 납작한 몸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몸체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날개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는 상기 이격구조물의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 사이에서 위로 개방되는 공간이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구조물이 납작한 몸체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부는 상기 몸체에서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는 상기 이격구조물의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 사이에서 아래로 개방되는 공간이 상기 날개부에 형성되는 통기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포 통기성 신발.
PCT/KR2017/004112 2016-04-27 2017-04-17 설포 통기성 신발 WO20171886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7,123 US20190104803A1 (en) 2016-04-27 2017-04-17 Shoe having air-permeable tongue
DE112017002223.1T DE112017002223T5 (de) 2016-04-27 2017-04-17 Schuh mit luftdurchlässiger Zu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787A KR101737910B1 (ko) 2016-04-27 2016-04-27 갑피 부분에 이중구조부를 갖는 통기성 신발
KR10-2016-0051787 2016-04-27
KR1020160063901A KR101711881B1 (ko) 2016-05-25 2016-05-25 설포 통기성 신발
KR10-2016-0063901 2016-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640A1 true WO2017188640A1 (ko) 2017-11-02

Family

ID=6016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112 WO2017188640A1 (ko) 2016-04-27 2017-04-17 설포 통기성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04803A1 (ko)
DE (1) DE112017002223T5 (ko)
WO (1) WO20171886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38A (ko) 2019-07-29 2021-02-08 정재민 흰개미집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3335B (zh) * 2021-08-26 2022-09-16 浙江实嘉鞋业有限公司 一种透气吸湿效果好且舒适度佳的帆布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449A (ko) * 2003-02-18 2004-08-25 김재옥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100652124B1 (ko) * 2005-09-29 2006-12-01 서광티피유 주식회사 신발갑피 제조방법
US20060277787A1 (en) * 2005-06-02 2006-12-14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US20070094891A1 (en) * 2005-10-28 2007-05-03 Jan Myslinski Ventilated shoe
KR20140122279A (ko) * 2012-02-20 2014-10-17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편직 설포 요소를 갖는 신발 갑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510B1 (ko) 1996-12-31 1999-06-15 구자홍 디지탈 다기능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배속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470751B1 (ko) 2002-07-02 2005-03-08 주식회사 한일제화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449A (ko) * 2003-02-18 2004-08-25 김재옥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US20060277787A1 (en) * 2005-06-02 2006-12-14 The Timberland Company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KR100652124B1 (ko) * 2005-09-29 2006-12-01 서광티피유 주식회사 신발갑피 제조방법
US20070094891A1 (en) * 2005-10-28 2007-05-03 Jan Myslinski Ventilated shoe
KR20140122279A (ko) * 2012-02-20 2014-10-17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편직 설포 요소를 갖는 신발 갑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38A (ko) 2019-07-29 2021-02-08 정재민 흰개미집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4803A1 (en) 2019-04-11
DE112017002223T5 (de)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6202B1 (en) Ventilated footwear
WO2017188640A1 (ko) 설포 통기성 신발
KR101711881B1 (ko) 설포 통기성 신발
US20030136023A1 (en) Shoe with drainable ports
WO2011025265A2 (ko) 일체형 아웃솔이 구비되는 발가락 신발
CN210696216U (zh) 一种新型运动鞋
CN109953412A (zh) 一种空气内循环鞋及鞋底
CN106073016B (zh) 自动呼吸弹力童鞋
CN207411577U (zh) 警用透气防水单皮鞋
KR100526294B1 (ko) 통풍고어텍스신발
JP3011433U (ja) ゴルフシューズ
CN210158100U (zh) 一种用于透气鞋的织造结构
JP3542981B2 (ja) 長靴
CN211910708U (zh) 一种带鞋舌一体成型的鞋子
CN218527860U (zh) 一种便于排气且不易进水的跑鞋
CN218245891U (zh) 一种轻便透气运动鞋
CN214016254U (zh) 一种防水透气的运动鞋
JP3063508U (ja) ストレッチブ―ツ
US1831396A (en) Shoe ventilating and sweat preventing device
CN109907428A (zh) 一种鞋面
WO2014157870A1 (ko) 상면 및 단부 일체형 발가락 양말
KR200343132Y1 (ko) 통풍공을 갖는 신발구조
JP2012045061A (ja) 夏靴
CN213405053U (zh) 一种透气防水皮鞋
KR200360901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89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898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