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5523A9 -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5523A9
WO2017135523A9 PCT/KR2016/006932 KR2016006932W WO2017135523A9 WO 2017135523 A9 WO2017135523 A9 WO 2017135523A9 KR 2016006932 W KR2016006932 W KR 2016006932W WO 2017135523 A9 WO2017135523 A9 WO 2017135523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output
switch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69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7135523A1 (ko
Inventor
조계옥
정병열
Original Assignee
조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5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3398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6553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1834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7437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14139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8026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28157B1/ko
Application filed by 조계옥 filed Critical 조계옥
Publication of WO20171355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523A1/ko
Publication of WO2017135523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523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supply method thereof, and includes an AC-DC converter which receives a high voltage AC power and converts the same into a low voltage DC power, and includes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and a power supply method thereof, and includes an AC-DC converter which receives a high voltage AC power and converts the same into a low voltage DC power, and includes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 FIG. 1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circuit 100 of a general electronic device.
  •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of a general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always receive AC power even in a standby mode and to input DC power to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standby power is consumed.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8935 (a standby power blocking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ior art') includes a relay on each of two wires of AC power introduced into the electronic device to turn the relay on and off.
  • a standby power blocking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utting off standby power is disclosed.
  •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 linear method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a transformer need to be used because of the use of a transformer, and thus, power and cost consumed by these components are considerably consum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can convert an AC power source into a DC power source without using a transformer, and can simplify the circuit and have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ower supply device and a power supply method thereof.
  • the first switch unit for cutting off or connecting the AC power, including, but not including the power key signa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power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It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AC-DC converter for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wherein the first switch unit, when switching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of the AC-DC converter; The output is used and the ON state is maintained by using a feedback signal based on an AC power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 An AC-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for leveling down and outputting an input AC power; And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and outputting an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 the A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for outputting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of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ier.
  • the A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tifier for receiving rectified AC power; A phase shift unit for shifting a phase by receiving an AC power supply or an output of the rectifier unit; And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ier unit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 unit.
  • the said phase shift part uses a differentiator or an integrator.
  •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econd switch unit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constant value of the differentiator or the integrator.
  • the second switch unit may include a transistor, wherein an output signal of the rectifier unit is input to a drain terminal or a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 unit is input to a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 the first switch unit may be turned on and off between a power input terminal to which AC power is input and a power output terminal to which AC power is output, and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the first control signal or a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and to at least anoth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input.
  •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power key signa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 power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first control signal; It is activated by signal processing using at least one of.
  • the power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power signal from the power key signal or the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irst switch unit is off, by activ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1 Switch the switch on.
  •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eedback signal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after switching to the on state of the first switch unit, the feedback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The first switch unit is maintained in an on state by using a signal.
  •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eedback signal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is activated, it is preferable to deactivate the second control signal.
  •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unit receives the power key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or the activated fourth control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the first switch unit is turned off Deactivate the first control signal to switch to the state.
  • a power supply device is used, and (a) controls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 unit using a power key signa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or a power signal input from a remote controller.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the purpose of;
  • the first switch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 power is cut off or connected by the on-off operation.
  •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C-DC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an AC power source into a DC power source, wherein the first switch unit includes the AC-DC conversion step when switching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utput signal and to use the feedback signal based on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 to maintain the on state.
  • the AC-DC conversion step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oltage level adjustment step of leveling down and outputting an input AC power; And a rectifying step of rectify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 the AC-DC conversion step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of outputting only a signal below a predetermined level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rectifying step.
  • the AC-DC conversion step the rectifying step of receiving the rectified AC power; A phase shift step of shifting a phase by receiving an AC power source or an output of the rectifying step; And switching the output signal by us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step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ing step.
  • the phase shift step is characterized by using a differentiator or integrator. And, according to the time constant value of the differentiator or the integrator,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tep of switching and outpu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 a transistor In the switching and outputting, a transistor is use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step is input to a drain terminal or a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 step is a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t is preferable to be input.
  • the first switch unit may be turned on and off between a power input terminal to which AC power is input and a power output terminal to which AC power is output, and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the first control signal or the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and to at least another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input.
  • the second control signal may include: a power key signa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 power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first control signal; It is activated by signal processing using at least one of.
  •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power signal from the power key signal or the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first switch unit is off, by activ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first It is preferable to switch 1 switch part to an on state.
  •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eedback signal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after switching to the on state of the first switch unit, the feedback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The first switch unit is maintained in an on state by using a signal.
  •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eedback signal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is activated, it is preferable to deactivate the second control signal.
  •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witch uni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key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or the activated fourth control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main body, the first switch unit is turned off Deactivate the first control signal to switch to the state.
  • the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and the powe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AC power to DC power without using a transformer, and to simplify the circuit and to control the standby power of an electronic device. It can be provided.
  •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wer supply circuit of a general electronic devic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having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is a timing diagram of major signal nodes during power key operation.
  • 3B is a timing diagram of major signal nodes during remote control operation.
  • 4A, 4B and 4C are exemplary views of a first switch unit implemented using various electronic switches.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DC convert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a main node of the A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a main node of an AC-DC convert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DC converter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when the rectifier of the A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ull wave rectifier.
  • Fig. 10B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when the rectifier of the AC-DC converter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half-wave rectifier.
  • Fig. 11 is an illustration of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witching sectio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 sec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device 1000 having a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shows the timing diagram of the main signal nodes during the power key operation and
  • FIG. 3B shows the timing diagram of the main signal nodes dur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 2, 3A and 3B, a power supply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power supply device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circuit 100 and a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200.
  •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may be configured using the full-wave rectifier 110, the pulse width modulator 120, and the transformer 130.
  • the output of the transformer 130 of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is input as a power sourc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 the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2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of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and includes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and a controller ( 220), ac-dc converters 230a, 230b, 230c.
  •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serve to cut off or connect the input AC power by an on / off operation.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uses the output of the AC-DC converters 230a, 230b, 230c when switching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maintains the on state.
  •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an AC power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may be used. That is,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consume power from the AC-DC converters 230a, 230b, and 230c only during initial driving.
  •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operates on and off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T (AC_IN) to which AC power is input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T (AC_OUT) to which AC power is output.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the first switch unit 210a is implemented using a relay having two control terminals, but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and 210d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electronic switches.
  • FIG. 4A, 4B, and 4C are exemplary views of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implemented using various electronic switches.
  • FIG. 4A illustrates an embodiment using a photocoupler and a triac
  • FIG. 4B illustrates an embodiment using a latching relay having three control terminals
  • FIG. 4C illustrates an embodiment using a latching relay having four control terminals. Respectively.
  • a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or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is input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An example of the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may be an inversion signal CON1_INV of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or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Can be entered.
  •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or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from the control unit 220 may be a protection circuit using a diode. It would be desirable to connect via.
  • the controller 22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CON1 for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s of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 the controller 220 may be manufactured by one semiconductor chip or a plurality of circuit elements.
  • the control unit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AC-DC converter 230a, 230b, 230c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riving power source.
  • the AC-DC converters 230a, 230b, and 230c allow the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200 to use the DC staff internally, so that the power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 power supply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DC power supply.
  • the key signal POWER_KEY and / or the power signal REMOCON_P from the remote controller are always enabled.
  • the controller 2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processor such as MCU or MPU.
  • the controller 220 receives an AC signal, a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 power signal REMOCON_P from the remote controller, a third control signal CON3, and a reset signal RESET.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 the control unit 220 the power switch signal from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r the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off.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for switching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to the on state may be activated,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may be activated. I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may be activated by an initial operation.
  • the switch sections 210a, 210b, 210c, and 210d are switched on.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may be activated by signal processing using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power signal REMOCON_P from the remote controller.
  •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may be activated by signal processing using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power signal REMOCON_P from the remote control, or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
  • the controller 220 receives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of the controller 220. You can control the output.
  •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signal input from a power butto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so that a user can operate the on / off of the electronic device.
  • control unit 220 after the first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to the on state,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n the on state of the first
  •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may be controlled by the third control signal CON3 using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 the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20 from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r the remote control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off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output from the controller 220 are activated to turn on the first switch parts 210a, 210b, 210c, and 210d. Switch to the state.
  •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when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switched on, and after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activated,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or 210d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by using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or 210d.
  • the controller 220 when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is activated, the controller 220 outputs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output from the controller 220. ) Is disabled.
  • the controller 220 may output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activated fourth control signal CON4 from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are turned on.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is inactivated to switch off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to the off state.
  • the fourth control signal CON4 from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a signal generated by a user's remote controller is input.
  • the controller 220 is reset by the fourth control signal CON4 from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are turned on.
  • the AC-DC converters 230a, 230b, 230c serve to convert AC power into DC power and output the same.
  • 5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C-DC converter 230a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show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node of the AC-DC converter 230a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DC converter 230a includes a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a rectifying unit 232a, and a smoothing unit 234a. It includes.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serves to level down and output the input AC power.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can effectively lower the voltage level even with a small amount of power.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shifts the phase of the input AC power and outputs the shifted phase.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may be implemented using not only a resistor-capacitor circuit but also various circuits such as a voltage divider circuit using a resistor-resistance circuit, an amplifier circuit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 differential circuit, an integrated circuit, and the like. Of course.
  • the rectifier 232a plays a role of half-wave or full-wave rectify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a.
  • the rectifier 232a may use a half-wave rectifier or a full-wave rectifier, and FIG. 6 shows a waveform diagram when the half-wave rectifier is used as the rectifier 232a.
  • the smoothing unit 234a serves to smooth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unit 232a using a smoothing circuit.
  • FIG. 7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C-DC converter 230b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show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the main node of the AC-DC converter 230b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DC converter 230b includes a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a rectifying unit 232b, and a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3b and the smoothing part 234b.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serves to level down and output the input AC power.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can efficiently down the voltage level with a small amount of power by using a resistor-capacitor circuit.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shifts the phase of the input AC power to be output.
  •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may be implemented using not only a resistor-capacitor circuit but also various circuits such as a voltage divider circuit using a resistor-resistance circuit, an amplifier circuit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 differential circuit, an integrated circuit, and the like. Of course.
  • the rectifier 232b plays a role of half-wave or full-wave rectify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1b.
  • the rectifier 232b may use a half-wave rectifier or a full-wave rectifier, and FIG. 8 shows a waveform diagram when a half-wave rectifier is used as the rectifier 232b.
  • the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3b outputs only a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rectifying unit 232b. Specifically, the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3b outputs a waveform close to the square wave by using a zener diode so as not to output a voltage portion exceeding the rated voltage of the zener diode.
  • the smoothing unit 234b serves to smooth the input signal using a smoothing circuit. That is, the smoothing unit 234b of the AC-DC converter 23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smooth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unit 233b.
  • FIG. 9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C-DC converter 230c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A and 10B show an output waveform diagram when the rectifier 232c uses a full wave rectifier and a half wave rectifier, respectively.
  • the AC-DC converter 230c includes a rectifier 232c, a phase shift unit 235c, a second switch unit 236c, and a smoothing unit 234c. It includes.
  • the rectifier 232c serves to receive rectified AC power.
  • the rectifier 232c may be implemented using a full wave rectifier or a half wave rectifier.
  • the phase shift unit 235c serves to shift the phase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AC power source or the rectifier 232c.
  • the phase shift unit 235c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fferentiator or an integrator.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er 235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constant value determined by the resistor and capacitor constituting the differentiator or integrator. In addition, the phase shift unit 235c can output only a positive value portion of the phase shifted signal.
  • the second switch unit 236c serves to switch and output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unit 232c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 unit 235c.
  • the second switch unit 236c may include a switching element, for example, a transistor such as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 FET field effect transistor
  •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ier 232c is input to the drain terminal or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er 235c is preferably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er 235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constant value of the differentiator or integrator, and the gate voltage of the transis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er 235c.
  • the output pulse width of 236c is changed.
  • the change in the gate voltage of the transistor means that the switch-on voltage of the switching element is changed, and the output voltage is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switch-on voltage.
  • FIG. 11 shows an example of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econd switch section 236c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 section 235c.
  • the second switch unit 236c inputs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unit 232c to the drain terminal or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and switches the output of the phase shift unit 235c as the gate voltage to switch the low voltage. Can be output by DC power.
  • the smoothing unit 234c serves to smooth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switch unit 236c.
  • the smoothing unit 234c may be implemented using a smoothing circuit.
  • the smoothing part 234c serves to smooth the direct current pulse.
  • the intensity of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smoothing unit 234c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econd switch unit 236c.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smoothing unit 234c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ime constant value of the differentiator or integrator.
  • the power supply device 1000 includes all of the features of the power supply device 1000 without any further description.
  • the pow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using the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power signal (REMOCON_P)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CON1) for controlling the on-off operation of (S100).
  •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cut off or connect AC power by an on / off operation.
  • the power supply metho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ep (S200, S300, S400) for converting an AC signal into a DC signal.
  •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uses the outputs of the AC-DC conversion steps S200, S300, S400 when switching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maintains the on state in the first state.
  •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AC power output from the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may be used.
  • step S200 includes: a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S210 of leveling down and outputting an input AC power; Rectifying step (S220) for outputting the half-wave 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S210); And smoot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step (S220) (S230).
  • the step S300 may include a first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S310 of leveling down and outputting an input AC power; Rectifying step (S320) for outputting the half-wave or full-wave rectification of the output of the first voltage level adjustment step (S310); A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S330 of outputting only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rectifying step S320; And smoot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voltage level adjusting step S330 (S340).
  • Step S400 the rectifying step of receiving the AC power rectification (S410); A phase shift step S420 of shifting a phase by receiving an output of an AC power source or a rectification step S410; Switch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step S410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ing step S420 (S430); And smooth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witching and outputting step (S430) (S440).
  • the phase shift step S420 is characterized by using a differentiator or an integrator.
  • the output pulse width of the step of switching and outputting (S430) changes.
  • the output signal of the rectifying step S410 is input to a drain terminal or a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 the output signal of the phase shift step S420 is preferably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operates on and off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T (AC_IN) to which AC power is input and the power output terminal T (AC_OUT) to which AC power is output.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a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or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is input to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 An example of the signal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may be an inversion signal CON1_INV of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s, the feedback signal F_S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or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is Can be entered.
  •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may include a power key signal POWER_KE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 power signal input from a remote controller; 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It is activated by signal processing using at least one of.
  •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is deactivated.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activa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CON1 to switch the first switch units 210a, 210b, 210c, and 210d to the off state (S800).
  • the standby power control circuit 200 Since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is input to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fter switching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to the ON state by the), the standby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to optimize Can be.
  • the standby power control is temporarily controlled. It is driven by the AC-DC converters 230a and 230b of the circuit 200, and is always driven by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circuit 100 by the first switch unit (210a, 210b, 210c, 210d) can be controlled to simply configure the circuit.
  • the electronic device can achieve the standby power of 5mW or less, which is recognized as a zero power level.
  • an AC power source can be converted into a DC power source by a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without using a transformer.
  • the power supply device 1000 with the standby power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C-DC converters 230a, 230b, and 230c, and a power supply method thereof since the transformer is not used, the transformer is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It can be seen that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not required to drive the power, thereby reducing standby power and c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 1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도 변환할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하면서도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본 발명은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저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를 포함하고,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10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도 항상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을 전자기기의 본체로 입력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대기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8935호(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 이하 '종래 기술')에는 전자기기에 인입되는 AC 전원의 2선 각각에 릴레이를 구비하여 이 릴레이를 온오프 시키는 것에 의해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차단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2개의 릴레이를 구비할 필요가 있어 회로가 복잡해질 염려가 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교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자기기들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이나 리니어 방식을 이용하여 직류의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런데 SMPS 또는 리니어 방식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이용하는 까닭에 트랜스포머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 부품이 사용될 필요가 있어서, 이 부품들이 소비하는 전력 및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도 변환할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하면서도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 1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 및 상기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교류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부; 및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 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상 시프트부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미분기 또는 상기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상기 제 2 스위치부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상기 제 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절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되, (a)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방법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 단계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 및 상기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의 출력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 단계; 교류 전원 또는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 및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분기 또는 상기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상기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되,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상기 제 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도 변환할 수 있고, 회로를 단순화하면서도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
도 3a는 파워 키 동작시의 주요 신호 노드의 타이밍도.
도 3b는 리모컨 동작시의 주요 신호 노드의 타이밍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양한 전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제 1 스위치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주요 노드의 출력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주요 노드의 출력 파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구성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정류부가 전파 정류기를 사용할 경우의 출력 파형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의 정류부가 반파 정류기를 사용할 경우의 출력 파형도.
도 11은 위상 시프트부의 출력의 크기에 따른 스위칭부의 출력 펄스폭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10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3a는 파워 키 동작시의 주요 신호 노드의 타이밍도 및 도 3b는 리모컨 동작시의 주요 신호 노드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의해,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0)는, 전원 공급 회로(100)와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 회로(100)는 전파 정류기(110), 펄스폭 변조기(120) 및 트랜스포머(130)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회로(100)의 트랜스포머(130)의 출력이 전자기기의 본체의 전원으로서 입력되게 된다.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는,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회로(10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회로(100)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 제어부(220),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초기 구동 시에만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로부터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T(AC_IN))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T(AC_OUT))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제 1 스위치부(210a)는 2개의 제어 단자를 구비한 릴레이를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나,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다양한 전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다양한 전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포토커플러와 트라이악을 이용한 실시예이며, 도 4b는 3개의 제어 단자를 구비한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실시예이며, 도 4c는 4개의 제어 단자를 구비한 래칭 릴레이를 이용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다.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제 1 제어 신호(CON1) 또는 제 1 제어 신호(CON1)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된다. 제 1 제어 신호(CON1)를 이용한 신호의 예로는, 제 1 제어 신호(CON1)의 반전 신호(CON1_INV)를 들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CON2) 또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 또는 제어부(220)로부터의 제 2 제어 신호(CON2)는 각각, 다이오드를 이용한 보호 회로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220)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CON1)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20)는, 하나의 반도체 칩 또는 다수의 회로 소자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에 의해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는 내부적으로 직류 직원을 이용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직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도,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및/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에 의해 항시 동작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MCU 또는 M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20)는, 교류 신호,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 제 3 제어 신호(CON3) 및 리셋 신호(RESET)를 입력받는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제 1 제어 신호(CON1) 및 제 2 제어 신호(CON2)를 출력한다.
도 3a 및 도 3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오프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은 경우,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를 온 상태로 절환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CON1)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 2 제어 신호(CON2)를 활성화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은 경우, 초기 동작시, 제 1 제어 신호(CON1) 및 제 2 제어 신호(CON2)의 활성화에 의해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로 절환되게 된다.
즉, 제 1 제어 신호(CON1)는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 신호(CON2)는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 또는 제 1 제어 신호(CON1)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입력받아, 제어부(220)의 제 2 제어 신호(CON2)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라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전자기기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당 전자기기의 본체에 구비된 파워 버튼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220)는, 초기의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온 상태로의 절환 이후,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온 상태에서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이용한 제 3 제어 신호(CON3)에 의해 제 2 제어 신호(CON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는, 제어부(220)가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오프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은 후,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어 신호(CON1) 및 제 2 제어 신호(CON2)를 활성화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를 온 상태로 절환한다. 아울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활성화되면,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활성화되면, 제어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어 신호(CON2)를 비활성화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CON4)를 입력받은 경우,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제 1 제어 신호(CON1)를 비활성화한다.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제 4 제어 신호(CON4)라는 것은, 사용자의 리모컨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를 전자기기 본체가 입력받아 생성한 신호를 의미한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제 4 제어 신호(CON4)에 의해 제어부(220)는 리셋(Reset)되게 된다.
하기에 본 발명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1000)에 포함되는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a)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a)의 주요 노드의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a)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 정류부(232a) 및 평활부(234a)를 포함한다.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적은 전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압 레벨의 다운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위상을 시프트(Shift)하여 출력하게 한다. 다만,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뿐만 아니라, 저항-저항 회로를 이용한 전압 분배 회로 및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증폭 회로, 미분 회로, 적분 회로 등 다양한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정류부(232a)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a)의 출력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정류부(232a)는 반파 정류기 또는 전파 정류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 6은 정류부(232a)로서 반파 정류기를 사용한 경우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정류부(232a)로서 전파 정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반파 정류기를 사용하는 것이, 교류-직류 변환기(230a)에서 낮은 직류의 출력을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평활부(234a)는, 평활 회로를 이용하여, 정류부(232a)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b)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b)의 주요 노드의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b)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 정류부(232b),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233b) 및 평활부(234b)를 포함한다.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적은 전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전압 레벨의 다운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위상을 시프트(Shift)하여 출력하게 한다. 다만,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는, 저항-커패시터 회로뿐만 아니라, 저항-저항 회로를 이용한 전압 분배 회로 및 연산 증폭기를 이용한 증폭 회로, 미분 회로, 적분 회로 등 다양한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정류부(232b)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231b)의 출력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정류부(232b)는 반파 정류기 또는 전파 정류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 8은 정류부(232b)로서 반파 정류기를 사용한 경우의 파형도를 나타낸다.
정류부(232b)로서 전파 정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반파 정류기를 사용하는 것이, 교류-직류 변환기(230b)에서 낮은 직류의 출력을 위해 바람직하다.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233b)는, 정류부(232b)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233b)는,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제너 다이오드의 정격 전압을 초과하는 전압 부분은 출력하지 않도록 하여, 구형파에 가까운 파형을 출력하게 된다.
평활부(234b)는, 평활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된 신호를 평활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b)의 평활부(234b)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233b)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c)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정류부(232c)가 전파 정류기를 사용할 경우와 반파 정류기를 사용할 경우의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제 3 실시예에 따른 교류-직류 변환기(230c)는, 정류부(232c), 위상 시프트부(235c), 제 2 스위치부(236c) 및 평활부(234c)를 포함한다.
정류부(232c)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정류부(232c)는, 전파 정류기 또는 반파 정류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상 시프트부(235c)는, 교류 전원 또는 정류부(232c)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역할을 한다. 위상 시프트부(235c)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구성하는 저항 및 커패시터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값에 따라,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의 크기가 결정되게 된다. 아울러, 위상 시프트부(235c)는, 위상 시프트된 신호 중, 양의 값 부분만을 출력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부(236c)는, 정류부(232c)의 출력 신호 및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스위치부(236c)는, 스위칭 소자, 예를 들면 FET(Field Effect Transistor)와 같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정류부(232c)의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고,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기 또는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의 크기가 결정되게 되고,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의 크기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달라지게 되어, 결국 제 2 스위치부(236c)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하게 된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달라진다는 것은 결국, 스위칭 소자의 스위치 온 전압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스위치 온 전압에 따라 그 출력 전압도 달라지게 된다.
도 11은,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의 크기에 따른 제 2 스위치부(236c)의 출력 펄스폭의 예시도를 나타낸다.
즉, 제 2 스위치부(236c)는, 정류부(232c)의 출력 신호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하고, 위상 시프트부(235c)의 출력을 게이트 전압으로 이용하여 스위칭하는 것에 의해 저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평활부(234c)는, 제 2 스위치부(236c)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평활부(234c)는 평활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평활부(234c)는 직류 맥류를 평활화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스위치부(236c)의 출력 펄스폭에 따라 평활부(234c)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세기가 결정되게 된다. 즉, 미분기 또는 적분기의 시정수값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평활부(234c)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세기가 조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상술한 전원 공급 장치(1000)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의 없더라도 전원 공급 장치(1000)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REMOCON_P)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CON1)를 생성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교류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S200, S300, S40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교류-직류 변환 단계(S200, S300, S400)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S200 단계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S210);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S210)의 출력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 단계(S220); 및 정류 단계(S220)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S300 단계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S310);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S310)의 출력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 단계(S320); 정류 단계(S320)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 단계(S330); 및 제 2 전압 레벨 조정 단계(S330)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00 단계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 단계(S410); 교류 전원 또는 정류 단계(S4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S420); 정류 단계(S410)의 출력 신호 및 위상 시프트 단계(S42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S430); 및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S430)의 출력 신호를 평활화하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위상 시프트 단계(S420)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미분기 또는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S430)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한다.
아울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S430)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정류 단계(S410)의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상 시프트 단계(S420)의 출력 신호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T(AC_IN))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T(AC_OUT))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제 1 제어 신호(CON1) 또는 제 1 제어 신호(CON1)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된다. 제 1 제어 신호(CON1)를 이용한 신호의 예로는, 제 1 제어 신호(CON1)의 반전 신호(CON1_INV)를 들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CON2) 또는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제어 신호(CON2)는,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 또는, 제 1 제어 신호(CON1);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방법은,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오프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은 후, 제 1 제어 신호(CON1) 및 제 2 제어 신호(CON2)를 활성화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를 온 상태로 절환하는 단계(S500),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활성화되면,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600),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F_S)가 활성화되면, 제 2 제어 신호(CON2)를 비활성화하는 단계(S700) 및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온 상태에서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CON4)를 입력받은 경우,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제 1 제어 신호(CON1)를 비활성화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서는,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으면,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에 의한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의 온 상태로의 절환 이후 전자기기의 본체의 전원으로 입력되는 전원 공급 회로(100)가 동작되므로, 전자기기의 대기 전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가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POWER_KEY) 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전원 신호(REMOCON_P)를 입력받은 이후, 일시적으로는 대기 전력 제어 회로(200)의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에 의해 구동되다가, 항시적으로는 전원 공급 회로(100)에 의해 구동되는 형태가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제 1 스위치부(210a, 210b, 210c, 210d)에 의한 전원 공급 회로(100)에의 전력 공급의 제어가 가능하여 회로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0)를 이용할 경우, 전자기기는 제로 파워(Zero Power) 레벨로서 인정되어지는 5mW 이하의 대기 전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회로 구성에 의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아울러, 교류-직류 변환기(230a, 230b, 230c)를 포함한 본 발명의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1000)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자기기에 사용 시 트랜스포머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 부품이 필요하지 않아, 대기 전력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4)

  1.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제 1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 및
    상기 제 1 전압 레벨 조정부의 출력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기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교류 전원 또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부; 및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부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 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부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또는 상기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상기 제 2 스위치부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정류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상기 제 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되,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a)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온오프 동작에 의해, 교류 전원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절환 시에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 단계의 출력을 이용하고, 온 상태의 유지는 상기 제 1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레벨 다운하여 출력하는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 및
    상기 제 1 전압 레벨 조정 단계의 출력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 중 일정 레벨 이하의 신호만 출력하는 제 2 전압 레벨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 단계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 단계;
    교류 전원 또는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을 입력받아 위상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 단계; 및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는,
    미분기 또는 적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또는 상기 적분기의 시정수값에 따라, 상기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의 출력 펄스폭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되,
    상기 정류 단계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 또는 소스 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위상 시프트 단계의 출력 신호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부는,
    교류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 단자와 교류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 출력 단자 사이에서 온오프 동작하고,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로, 상기 제 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이용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다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단자로, 제 2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되,
    상기 제 2 제어 신호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입력된 전원 신호; 또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리모컨으로부터 전원 신호를 입력받은 후, 상기 제 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활성화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온 상태로 절환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로 절환 이후,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한 궤환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가 온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파워 키 신호 또는 상기 전자기기 본체로부터의 활성화된 제 4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PCT/KR2016/006932 2016-02-06 2016-06-29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WO20171355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43 2016-02-06
KR20160015343 2016-02-06
KR1020160065532A KR20170133984A (ko) 2016-05-27 2016-05-27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KR10-2016-0065538 2016-05-27
KR1020160065538A KR101818346B1 (ko) 2016-02-06 2016-05-27 교류-직류 변환기
KR10-2016-0065532 2016-05-27
KR10-2016-0074373 2016-06-15
KR1020160074373A KR20170141393A (ko) 2016-06-15 2016-06-15 전원 공급 장치
KR1020160080269A KR101828157B1 (ko) 2016-06-27 2016-06-27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KR10-2016-0080269 2016-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23A1 WO2017135523A1 (ko) 2017-08-10
WO2017135523A9 true WO2017135523A9 (ko) 2017-11-02

Family

ID=5950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6932 WO2017135523A1 (ko) 2016-02-06 2016-06-29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35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7900B (zh) * 2017-12-29 2022-03-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节能控制方法、节能装置及可读存储介质
TWI768655B (zh) * 2020-09-16 2022-06-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具有斷電分區的電子裝置及其分區斷電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1397A (ja) * 1998-05-25 1999-12-10 Sharp Corp リモコン待機電源装置
JP2000217161A (ja) * 1999-01-22 2000-08-04 Elna Co Ltd リモ―トコントロ―ラ用待機時電力供給装置
KR100376131B1 (ko) * 2000-09-22 2003-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원 절전형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74367A (ko) * 2008-01-02 2009-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의 전원공급장치
KR101984313B1 (ko) * 2012-12-21 2019-09-03 솔루엠 (허페이) 세미컨덕터 씨오., 엘티디. 과부하 및 쇼트 감지회로, 컨버터 보호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23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3759A1 (ko) 교류전원의 위상각 제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7135523A9 (ko)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WO2014098279A1 (ko) 수신단의 유효 로드저항 변조를 이용하여 효율과 전달전력을 향상시키는 무선전력수신 장치
WO2016028043A1 (ko) 동기식 다채널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WO2015180136A1 (zh) 调光开关及其调光方法
WO2021040184A1 (ko) 코일 구동 장치
WO2013187573A1 (ko) 대용량 부하에 대한 폐회로 전력선 통신 시스템
WO2017122960A1 (ko) 도어벨 장치 및 그의 전원 공급 방법
WO2017084299A1 (zh) 待机电路及电子设备
WO2020013635A1 (ko) 전자장치
WO2022014968A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203597A1 (ko) 전력 변환 장치와 방법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WO2016104940A1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WO2018093149A1 (ko) Dc-dc 전압 컨버터를 부스트 동작 모드에서 안전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 시스템
WO2017138675A1 (ko) 직류 전원 공급 장치
WO2020222346A1 (ko) 과속 피해 방지 풍력 발전기
WO2021010598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WO2020166928A1 (ko) 트라이액 모듈
WO2022080661A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WO2018236087A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WO2022055114A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무선 전력 시스템
WO2021251684A1 (ko) 디밍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212146A1 (ko) 과부하 방지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208081A1 (ko) Dc-dc 전압 컨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WO2020046052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95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895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