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35517A1 -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 Google Patents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35517A1
WO2017135517A1 PCT/KR2016/004446 KR2016004446W WO2017135517A1 WO 2017135517 A1 WO2017135517 A1 WO 2017135517A1 KR 2016004446 W KR2016004446 W KR 2016004446W WO 2017135517 A1 WO2017135517 A1 WO 20171355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cision
laser beam
laser
adapter
cor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4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영택
Original Assignee
정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택 filed Critical 정영택
Priority to CN201680081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601671A/zh
Priority to EP16889495.4A priority patent/EP3412261A4/en
Priority to US16/075,553 priority patent/US20190038373A1/en
Publication of WO20171355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35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27Refractive correction, e.g. len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36Flap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9Auxiliary devices making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coupling in laser light, e.g. gonio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9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light, e.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97Scanning mechanisms or algorith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er for vision correction laser that connects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and the cornea of the subject so that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used for vision correction can be accurately irradiated to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cornea is locat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eye and is the first part of the eye where light passes through, and is the anterior tissue of the eye that refracts the light to create an image on the retina. It is the back tissue of the eye that senses light from and transmits signals from such images to the brain.
  •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is a surgery that corrects refractive error by cutting off part of the corneal parenchyma with a laser.It does not produce corneal fragments unlike LASIK and LASEK surgery. Max) After the femtosecond laser cuts the parenchymal part that needs to be corrected inside the cornea precisely into the lens shape by the amount of corneal correction, the parietal parenchyma is removed through the incision formed on the cornea. Less damage and excellent accuracy, and can dramatically reduce the risk of side effects such as myopia, hyperemia, dry eye syndrome.
  • Such smile surgery may be renamed according to the variety of laser types and manufacturers, and even if the name is changed, it may be regarded as the same type of surgery.
  • the process of smile surgery is that, when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penetrates the surface of the cornea and is irradiated to the inner corneal parenchyma, the lenticular, which is a corneal parenchymal piece having a corrected size lens shape, is excis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A circumferential incision is made in the cornea using a laser beam, and then the cut lenticule is removed through the incision.
  • the incision is made up of an incis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and an incision tunnel extending from the incision toward the lenticule, and the lenticu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rnea through the incision tunnel and the incision.
  • the laser beam in cutting the lenticules from the corneal stroma through the laser beam, the laser beam has a circular spot shape, so that a tissue bridge, which is an uncut region between the spot and the spot, is formed.
  • the separation tool such as a long needle passes through the incision and the incision tunnel and passes the flap surface and the lenticular surface as a who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lenticule from the corneal parenchyma. It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tunnel and the separated lenticules are picked up and removed through the incision to the outside of the cornea.
  • the incision and the incision tunnel which are incisions, are incisions of approximately 2 mm to 4 mm in length, and a separation tool is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cornea through these incisions, and then bidirectionally rotated along the lenticular and flap surfaces to the tissue bridge.
  • both sides of the incision receive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tool.
  • the length of the incision is about 3.5.
  • the procedure is performed after forming more than m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effectively minimizing unnecessary tears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incision formed in the cornea for removal of the lenticules excised from inside the cornea through a vision correction las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external infections and to reduce the treatment time, an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surgery through rapid regeneration and stabilization of tissu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dapter.
  • an upper part of the adapt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objective lens and a lower part of the adapt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subject's cornea.
  • a pair of spaced apart blocking parts that are not provided through the laser beam on the non-refractive lens or the refraction lens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adapter to transmit the laser beam of the laser downward.
  • the pair of spaced apart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s formed by the blocking portion has a continuous spiral incision line drawn continuously by dense spirals inside the cornea while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is three-dimensionally displaced.
  • the flap surface and the lenticular surface are spaced up and down in the corneal parenchyma,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lenticular surface intersects at any point insid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flap surface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lenticular is excis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 it may be formed on one of the cutting line line of the flap surface located between the outer cutting line of the lenticular surface in the outer cutting line of the flap surface.
  • an incision opening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rnea facing the incision line by a laser beam emitted from the laser, and a tip portion of the incision tunnel facing the corneal parenchyma is formed at the incision opening. It is connected to the cutting line line of the flap surface, and the cutting tunnel tip portion may be located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located on the cutting line line of the flap surface.
  • the inci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which is located at any one of a vertical line, an acute line or an obtuse line from the incision line.
  • the blocking par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non-refractive lens or the refractive lens.
  • the blocking uni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coating layer, a printing layer, or an etching or adhesive material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not transmitted.
  • the block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one pair of circles or one pair of ovals, one pair of polygons, one pair of straight lines, or one pair of curved lines.
  • the block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stance of 0.5 mm to 4 mm from each other.
  • the block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air of straight lines and have a slope of a horizontal or symmetrical shape with each other.
  • the block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portion of the end toward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inward.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rgery to correct the refractive error by cutting a portion of the corneal parenchyma in a three-dimensional form using a laser,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is blocked to the adapter connecting the laser and the cornea so that it can be accurately guided to the cornea of the subject
  •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cornea to form the incision
  • both sides of the incision are made with a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cutout shape, and then, by inserting and removing the incision separating tool to remove the lenticules.
  • the problem of easy tearing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can be solved, and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can be provided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incision so that external infection can be protected from danger as much as possible.
  • it can be expected to recover and stabilize tissues quickly. It can be effective.
  • 1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apter connecting a laser and a corn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 bottom view of FIG. 1A.
  • FIG. 2A is a bottom view of FIG. 1A.
  • FIG. 2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apter for connecting a laser and a corn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B is a bottom view of FIG. 2A.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eye cornea having a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of the eye cornea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enticular is exci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flap surface and the lenticular surface from the corneal parenchyma with a separation tool inserted into the corneal parenchyma through the incision of the corn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apter does not need to be defined in any one form,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objective lens (not shown in the drawing) of the laser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fixed to the cornea 400 of the subject.
  • the upper side of the adapter is fitted and coupled in a state where the center is aligned with the objective lens, and the lower side of the adapter is provided with a lens through which a laser beam passes through the center 110.
  • the center of the fastener 110 and the center of the tongs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120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annular eyepiece seated on the cornea 400 of the subject Ring 130 is coupled sequentially.
  • One side of the eyepiece ring 130 is installed with a hose connected to a vacuum generating device (not shown in the figure) such as a syringe is adsorbed in the state coupled to the cornea 400 by a vacuum genera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yepiece ring 130 It is fixed.
  • a vacuum generating device such as a syringe
  • an upper portion of the adapt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adapter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of the subject.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200),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lens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passes.
  •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0 is fixed by suction through a vacuum genera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objective lens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objective lens, and a vacuum generating device such as a syringe (on the drawing) at on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00.
  • a vacuum generator not shown
  • a vacuum generating device such as a syringe (on the drawing)
  • a hos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is suck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00 is coupled to the cornea 400 by a vacuum generat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 the laser beam passes down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110 and the len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0, the bottom surface of the len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e lens is non-refractive flat upper and lower surface
  • the lens 140 may be formed, and an upper surface may be a flat lens and a bottom surface may be a concave refractive lens 210.
  • the laser where the adapter is installed is called a femtosecond laser, and when a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hrough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corneal parenchyma inside the cornea, the corneal parenchyma becomes gaseous plasma, and extremely fine bubbles are created. Its principle is to excise the corneal parenchyma exactly as desired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 the laser beam of the laser is used to excise and separate the lenticules, which are corneal parenchymal fragments, within the corneal parenchyma to correct incomplete vision such as hyperopia, astigmatism, myopia, presbyopia, or mixed astigmatism. It is called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surgery, and it can be called the same type of surgery, even if it uses other lasers with similar effects, or if the same laser is used by different companies or with different names.
  •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causes each spot to produce optical penetrations in the corneal parenchyma, which creates a plasma bubble, which separates the lenticular fragments from the corneal parenchyma.
  • the focus of the laser beam is directed towards the target point in the cornea in areas located above the epithelial and Bowman's membranes and above the Descemet's and endothelial tissues.
  • the laser has a conventional focal displacement mechanism for displacing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in the cornea,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cal displacement mechanism will be omitted.
  •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i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to the center while shifting the focus into the corneal parenchyma 410 as shown in FIG. 3, and then spiral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gain.
  • the lenticular plane 430 which is a lower separation surface that can be irradiated and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below the inside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and the center of the lenticular plane 430, coincides with the inside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 a flap surface 420 which is an upper separation surfac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is formed above.
  • the flap surface 420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ticular surface 43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enticular surface 430, as shown in Figure 4 intersects at any one inner side point toward the center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 the intersected flap surface 420 and the lenticular surface 430 are excis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to have a three-dimensional lenticule 440 having a substantially lens shape.
  •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enticular surface 4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without intersecting any one point toward the center,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enticular surface 430 One point toward the center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incision surface (not shown in the figure) by irradiation of a laser beam that ha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focal point and is different from the corneal stroma 410. Three-dimensional lenticules may be made.
  • the removed lenticule 440 is drawn out of the cornea 400 and removed.
  • the separation tool 500 and the completely separated lenticule 440 that completely separate the lenticule 440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are outside the cornea 400.
  • the house which can be drawn out is formed with an incision 450 consisting of an incision tunnel 452 and an incision 451 in the cornea 400 using a laser so that a tool (not shown in the figure) can enter and exit. .
  • the incision 451 is curved while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forms the lenticular surface 430 and the flap surface 420 described abov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cornea 400.
  • the cut opening 451 and the cut tunnel 452 constituting the cutout 450 may have a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bout 2 mm to 4 mm.
  • the location of the incision 451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at meets a vertical line, an acute line, or an obtuse line up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formed inside the corneal parenchyma 410. .
  • the incision 450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When the incision 450 is composed of two, the incision 450 may be configured in a symmetrical or a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have.
  • the position or number of the incision 450 may be changed in position depending on the operator's treatment direction or the position of the eyeball fixing device.
  • the incision tunnel 452 of the incision 450 is a passage extending toward the lenticule 440 inside the corneal parenchyma 410 from the incision 451 described above, and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 the separation tool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lens to completely separate the lenticules 440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 the separated lenticules 440 may be cut using a cutting tool using a cutting tool. It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451.
  • the incision tunnel 452 is irradiated with a constant depth to the inside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where the lenticule 440 is located in the process where the inlet 45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rough the irradiation of the laser beam.
  •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 tunnel 452 is connected to the cut line 421 of the flap surface 420.
  • the incision tunnel 452 is formed in the separation tool 500 that is inserted into the corneal stroma 410 in which the lenticule 440 is positioned through the incision 451 after only the incision 451 is formed by the laser beam.
  • the tip portion 453 may be connected to the cutting line 421 of the flap surface 420 while being forcibly formed.
  • the cutting tunnel 452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or different circumferential length as the cutting inlet 451.
  •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ting tunnel 452 and the cutting line 421 of the flap surface 420 are connected,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ting tunnel 452 is loca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It may be connected to the line 421, if necessary, the tip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is to be connected to another incision line is located at any point inward to the center rath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p surface 420 It may be.
  • the cutting tunnel 452 may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ip portion 453 and the position of the cutting opening 45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 the tip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is connected to the incision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and the inlet 451 is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 An incision 45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at meets in a vertical line at the incision line 421.
  •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ting tunnel 452 is connected to the cutting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and the cutting opening 451 is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 An incision 45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at meets an acute or obtuse line in line 421.
  • the tip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is connected to another incision line located at any one inner side of the flap surface 420 rath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p surface 420, and the inlet 451 is connected to the other incision line.
  • the cutout 45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that meets the vertical or acute line or obtuse line.
  • the spot of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into the corneal parenchyma 410 while drawing a dense spiral to form a lenticular surface 430 below the inside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and then above the inside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 the lenticule 440 is excised by the lenticular surface 430 and the flap surface 420 by forming the flap surface 420,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due to the tissue bridge which is the area between the spot and the spot of the laser beam.
  • the lenticules 440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 the separation tool 500 of the lenticule 440 of the lenticular surface 430 By cutting the tissue bridge so that the entire surface pass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enticule 440, which is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ap surface 420, the lenticule 44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rneal stroma 410, and then a separation tool ( 500), insert a picking tool such as tweezers through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and then cut the lenticule 440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rneal stroma 410 with the incision tunnel 452. It may be withdrawn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451).
  • a picking tool such as tweezers
  • the separation tool 500 inserted into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passes along the bottom and the top surface of the lenticule 440 and is cut by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tool 500 when cutting the tissue bridg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both circumferentially inner sides of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 the tip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is continuously spirally formed by the laser beam.
  • the separation tool 500 is cut according to the flap surface 42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line of the flap surface 420, which is structurally resistant to external forces applied to both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cut tunnel 452.
  • the inner lateral sides of the tunnel 452 are easily torn and moved along the incision line 421, resulting in the inner lateral sides of the incision tunnel 452 also being torn.
  • the tearing of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exposure to external infection, increases the treatment time, and prevents stabilization of the tissue, thereby causing a long recovery time.
  • the present invention cu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made by the laser beam in order to prevent the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inside of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to be easily torn by the separation tool 500. Some areas on both sides of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ting tunnel 452 which meet the cutting line 421 on the line 421 are not cut by the laser beam.
  • a pair of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s 411 having the shape is formed on the line of the cutting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 a pair of spaced apart blocking units 300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not transmitted may be provided on th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 a pair of spaced apart length of the blocking portion 300 is a pair spaced apart on the cutting line lin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300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tout 450
  • the distal end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of the incision 450 is connected to the incision line 421 positioned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Accordingly, even though both circumferential sides of the cutting tunnel 452 receive external force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tool 500, the portion not cut due to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is separated while resist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separation tool 500.
  • the cutting of the cutting tunnel 452 and the cutting opening 451 can be prevented by the movement of the tool 500.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is made by the blocking part 300,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blocking part 300, and the blocking part 300 is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 the upper surface of the course may be preferably provided on the bottom.
  • the blocking unit 300 When the blocking unit 300 is provided in the refractive lens 210,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unit 300 in consideration of a range in which the laser beam is refracted when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210.
  • the lenticule 440 and the flap surface 420 may be changed in siz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efractive error correction, and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changed in position in response to the changing size.
  •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of various types hav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blocking unit 300 are prepared in advance, and any of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according to the refractive error correction amount. You can also use).
  •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embodiments to prevent the laser beam from being transmitted.
  •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formed on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component through which the laser beam is not transmitted. Forms of etching to form a coating layer or a printing layer, to corrode and erase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and the corresponding area on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or engraving by a high power laser beam Or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 t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may be adhered to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 the shape of the blocking part 300 may be any one of a pair of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straight or curved in an embodiment, and the spaced distance of the blocking part 300 corresponds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utout. It may vary, and may preferably consist of 0.5mm to 4mm.
  • the blocking unit 300 When the blocking unit 300 is straight,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formed horizontally to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o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while being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block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mple circular end on one side toward the center, but preferabl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portion of one end protrudes on a line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line 421 as shown in FIGS. 1B and 2B. have.
  • the separation tool 500 Since the separation tool 5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450 and rotated as shown in FIG. 5, the separation tool 500 does not touch the cutting line 421 but touches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non-irradiation area 411. It is to be a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tear of the incision 450.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is formed on the line of the cutting line 421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p surface 420, and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utting tunnel 452 tip portion 453 that meets the cutting line 421.
  • 411 may be made through the blocking unit 30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adapter, but may be made through control of a program related to laser beam irradiation and non-irradiation of a laser without using the blocking unit 300. have.
  • the laser beam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into the corneal parenchyma 410 to make the incision line 421 outside the flap surface 420, the laser beam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irradi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gram.
  • the tip portion 453 of the cutting tunnel 452 is positioned inside the pair of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s 41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cutting line 421 of the flap surface 420, thereby cutting the cutting tunnel (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not cut against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both inner surfaces of the 452 serves as a reinforcement role, thereby preventing tearing of the cutting tunnel 452 as well as tearing of the cutting opening 451.
  • the length of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is minimized to about 0.5 mm to less than 2 mm, even if the incision 450 is removed during the surgery. It can prevent damage.
  • the upper side of the adapter having the blocking portion 300 on the bottom of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is fixed to the objective lens of the laser by partial vacuum, and then the bed of the partially anesthetized subject is moved.
  • the laser is moved to fix the lower side of the adapter so that the centers coincide with each other on the cornea 400 of the subject, and then fix the partial vacuum.
  • triple centrifugation may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error of the pupil axis and the visual axis of the subject, and such triple centrifugation is a techniqu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urgery. It can prevent light bleeding, glare, diplopia, and blurred vision.
  • the triple centrifuga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centering point with the surgical marking pen, taking into account the error between the pupil center and the visual axis, the center of the marking and the laser, and the center of the marking. May be included.
  •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into the corneal stroma 410 of the cornea 400 from the laser programmed according to the corneal correction amount of the subject, wherein the laser beam is the non-refractive lens 140 of the adapter.
  • corneal parenchyma 410 by successively forming a plurality of spots while passing through the refractive lens 210 and then spiral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to the corneal parenchyma 410 inside the cornea 400.
  • a lenticular surface 430 separated from the first is formed below the corneal parenchyma 410.
  • the laser repositions the focal position of the laser beam to refocus the upp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lenticular surface 430 in the corneal parenchyma 410, and draws a spiral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of the cornea 400.
  • a plurality of spots are formed continuously to form a flap surface 420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above the corneal parenchyma 410.
  • the size of the flap surface 420 is formed larger than the lenticular surface 430,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ticular surface 430 intersects in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flap surface 420 toward the center of the corneal parenchyma 410 From the top and bottom flap surface 420 and the lenticular surface 430 is formed a lens-shaped lenticule 440.
  • a portion of the incision line 421 becomes a pair of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s 411 due to the blocking portion 300 formed in the non-refractive lens 140 or the refractive lens 210 so as not to be cut. do.
  • the lenticular 44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and then curved circumferentially on the surface of the cornea 400 fac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p surface 420 so as to be pulled out of the cornea 400.
  • a cutting tunnel 452 is formed at the cutting line 421 to which the tip portion 453 is connected.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is formed on the incision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p surface 420, and the tip portion of the incision tunnel 452 is interposed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s 411.
  • the connection 453 is connected, the gap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located i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and the incision 451 connected to the incision tunnel 452 are opened.
  • the interval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 411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need not be set to one, and may be made to be the minimum length that the separation tool 500 can enter. And between about 0.5 mm and 2 mm.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is formed on the cutting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p surface 420, and is cut at the cutting line 421 between such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s 411.
  • the separation tool 500 is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and then the lenticular surface 430 and the flap surface (not completely separated by the tissue bridge) 420).
  • the lenticular plane is first inserted into the incision line 421 located betwe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through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using the separation tool 500 as shown in FIG. 5.
  • the lenticular surface 43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while being rotated bidirectionally along the 430.
  • the separation tool 500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incision 451, and then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through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 the flap surface 42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rneal parenchyma 4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cision line 421 positioned between the two sides and rotating bidirectionally along the flap surface 420.
  • the flap surface 420 of the flap surface 420 is finely lifted in the incision tunnel 452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separation tool 500 to the outside of the incision 451.
  • the procedure can be shortened, and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tool 500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stability of the procedure and damage to the incision.
  •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incision tunnel 452 are increased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 due to the non-dissectioned laser beam non-irradiation area 411, thereby making the inci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 the cutting tunnel 452 and the cutting opening 45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tor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tool 500 inserted through the cutting 450.
  • the minimal incision of the incision 450 may shorten the recovery time by stabilizing the tissue and stabilizing the tissue as well as preventing unnecessary external infection.
  • the picking tool is placed through the incision 451 and the incision tunnel 452. After picking the separated lenticules 440 into the inside of the real body 410 and removing them from the incision 451, and then inserting the ophthalmic solution through the incision 450 and using the separation tool 500 to remove the float. You can subtract and clean up.
  • the present invention excises the lenticules 440 including the lenticules 430 and the flap surfaces 420 inside the corneal parenchyma 410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focal displacement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from the laser.
  • the flap surface 420 connected to the tip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 the laser beam non-irradiation regions 411 are respectively formed to include the distal end portion 453 of the incision tunnel 452 on the line of the incision line 421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by being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incision 450.
  •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an adapter used for a laser for corrective vision surgery, and thus a laser beam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circumferentially formed on the cornea to remove the lenticules that are excised in three-dimensional form to the outside of the cornea.
  • the non-irradiation area is formed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incision easily by a tool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incision, thereby eliminating the risk of infection due to the incision damage, shortening the treatment time, and promoting effective stabilization of the tissue. It is very useful industri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써, 개시된 발명은 레이저의 대물렌즈에 대해 피시술자의 각막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부는 상기 대물렌즈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고 하부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는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의 레이저빔이 하향 투과되는 비굴절 렌즈 또는 굴절 렌즈상에 상기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한 쌍의 이격된 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본 발명은 시력 교정수술을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피시술자의 각막에 정확히 조사될 수 있도록 레이저의 대물렌즈와 피시술자의 각막을 연결시켜주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용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이하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되는 내용이 선행기술로 단정될 필요는 없다.
각막(cornea)은 안구의 가장 바깥쪽 표면에 위치하며, 눈에서 제일 먼저 빛이 통과하는 부분으로 투명하며, 빛을 굴절시켜 망막 위에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눈의 전방 조직이고, 망막은 그 위에 형성된 이미지로부터 빛을 감지하고 그러한 이미지로부터의 신호를 뇌에 전달해주는 눈의 후방 조직이다.
한편, 안구의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으로 안구의 각막두께를 변경하여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하는 시력교정수술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시력교정수술로는 라식(LASIK), 라섹(LASEK), 스마일(SMILE) 등이 있다.
이중, 스마일수술(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은 레이저를 통해 각막표면 안쪽의 각막실질 일부를 절제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수술로써, 라식수술과 라섹수술과는 달리 각막절편을 만들지 않고, 정교한 VisuMax(비쥬맥스) 펨토세컨레이저를 통해 각막 내부에 교정이 필요한 실질부위를 각막의 교정량만큼 렌즈 모양으로 정확히 절개한 후,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통해 절제된 각막실질 조각을 각막 외부로 제거함에 따라 주변조직의 손상이 적고 정확성이 뛰어나며, 근시퇴행이나 충혈, 안구건조증과 같은 부작용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스마일수술은 레이저 종류의 다양성, 제조회사에 따라 명칭은 변경될 수 있으며, 명칭이 변경되더라도 같은 유형의 수술방법으로 볼 수 있다.
스마일수술의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레이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각막의 표면을 투과하여 안쪽 각막실질에 조사되면 각막실질로부터 교정량 크기의 렌즈 모양을 가지는 각막실질 조각인 렌티큘이 절제되며, 이후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각막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한 다음 그러한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절제된 렌티큘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여기서, 절개부는 각막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입구와, 그러한 절개입구로부터 렌티큘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절개터널로 이루어지며, 렌티큘은 이러한 절개터널과 절개입구를 통해 각막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한편, 레이저 빔을 통해 각막실질로부터 렌티큘을 절제함에 있어서, 레이저 빔은 원형의 스팟 형상을 가짐에 따라 스팟과 스팟 사이의 절제되지 않은 영역인 티슈브리지(Tissue Bridge)가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에 의해 각막실질로부터 렌티큘이 입체형태로 절제되더라도 렌티큘의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과, 렌티큘의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은 각막실질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티슈브리지의 영역이 그대로 붙어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긴 침과 같은 분리도구를 절개입구와 절개터널을 거쳐 플랩면과 렌티큘면을 전체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각막실질로부터 렌티큘을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핀셋과 같은 집는도구를 절개입구와 절개터널로 집어넣어 분리된 렌티큘을 집은 후 절개입구를 통해 각막 외부로 제거하게 된다.
한편, 절개부인 절개입구와 절개터널은 그 길이가 대략 2mm~4mm로 절개가 되며, 분리도구가 이러한 절개부를 거쳐 각막의 중심쪽으로 삽입된 후, 렌티큘면과 플랩면을 따라 양방향 회전되면서 티슈브리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각막실질과 렌티큘을 서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절개부의 양측면이 분리도구의 회전에 따른 외력을 받게 된다.
여기서, 절개부인 절개입구와 절개터널의 길이를 대략 2mm로 형성하는 경우, 절개입구와 절개터널의 내부 양측이 분리도구의 움직임에 따른 외력으로 인하여 쉽게 찢어질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절개부의 길이를 대략 3.5mm 이상으로 형성한 후 시술을 하고 있다.
또한, 절개부의 길이를 2mm 이하로 만들고, 분리도구를 기술적으로 움직이면서 각막실질로부터 렌티큘을 분리시키더라도 굴절이상이 클수록 각막실질로부터 절제되는 렌티큘은 그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러한 두꺼운 두께의 렌티큘을 각막실질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절개부의 양측면은 쉽게 찢어지게 된다.
따라서,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치료시간의 단축 및 조직의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길이를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절개부의 길이는 대략 2mm 이하의 크기로 만들면서 분리도구에 의해 절개부의 양측면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를 통해 각막 내부에서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해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면서 절개부 양측면의 불필요한 찢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외부 감염의 위험요소를 감소시키고, 치료시간의 단축 효과는 물론 조직의 신속한 재생과 안정화를 통해 수술의 완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레이저의 대물렌즈에 대해 피시술자의 각막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부는 상기 대물렌즈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고 하부는 피시술자의 각막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는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의 레이저빔이 하향 투과되는 비굴절 렌즈 또는 굴절 렌즈상에 상기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한 쌍의 이격된 차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한 쌍의 이격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은 상기 레이저빔의 초점 위치가 입체적으로 변위되면서 상기 각막의 내부에 조밀한 나선이 연속적으로 그려져 연속된 나선형의 절개라인을 가지는 플랩면과 렌티큘면이 각막실질 내부에서 상하 이격되고, 아래쪽 상기 렌티큘면의 외측둘레는 위쪽 상기 플랩면의 외측둘레 안쪽 어느 한 지점에서 교차되어 상기 각막실질로부터 입체형태의 렌티큘이 절제되도록 한 것에 있어, 상기 플랩면의 바깥쪽 절개라인에서 상기 렌티큘면의 바깥쪽 절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면의 어느 하나의 절개라인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레이저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절개라인과 마주하는 상기 각막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입구에서 상기 각막실질을 향하는 절개터널의 선단부는 상기 플랩면의 절개라인 선상에 연결되며, 상기 절개터널 선단부는 상기 플랩면의 절개라인 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입구는 상기 절개라인으로부터 수직 선상 또는 예각 선상 또는 둔각 선상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상기 각막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상기 비굴절 렌즈 또는 굴절 렌즈의 저면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코팅층 또는 인쇄층 또는 에칭 또는 접착물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한쌍의 원형 또는 한쌍의 타원형 또는 한쌍의 다각형 또는 한쌍의 직선형 또는 한쌍의 곡선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거리가 0.5mm 내지 4mm 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한쌍의 직선형이면서 서로 수평 또는 대칭 형태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부는 중심부를 향하는 끝단의 내측 일부분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실질 일부를 입체형태로 절제하여 굴절이상을 교정하는 수술에 있어서, 레이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피시술자의 각막에 정확히 안내될 수 있도록 레이저와 각막을 연결해주는 어뎁터에 차단부를 형성함에 따라 레이저빔이 각막에 조사되어 절개부를 형성할 때 절개부의 양측은 차단부 형상과 상응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면서, 이후 렌티큘을 제거하기 위해 절개부의 분리도구를 집어넣어 회전시킬 때 절개부의 양측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개부 양측이 쉽게 찢어지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으며,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절개부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외부 감염을 위험으로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고, 치료시간의 단축은 물론 조직의 신속한 회복과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레이저와 각막을 연결시켜주는 어뎁터의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2a 는 도 1a 의 저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레이저와 각막을 연결시켜주는 어뎁터의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을 가지는 안구 각막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티큘이 절제된 상태를 예시한 안구 각막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각막의 절개부를 통해 각막실질내로 삽입된 분리도구로 플랩면과 렌티큘면을 각막실질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예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각막 내부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질 수 있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어뎁터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상부는 레이저의 대물렌즈(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되고 하부는 피술자의 각막(400)에 고정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a, 1b 에 따른 어뎁터의 일 실시 예를 보면, 어뎁터의 상측은 대물렌즈에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져 결합되고, 어뎁터의 하측으로는 중심에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렌즈가 구비된 고정구(110)와, 그러한 고정구(110)와 중심이 일치되어 상부가 결합되는 집게형태의 연결구(120) 및 연결구(120)의 하부에 중심이 일치되어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각막(400)에 안착되는 환형의 접안링(130)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접안링(130)의 일측에는 주사기 등의 진공발생장치(도면중 미도시)와 연결되는 호스가 설치되어 접안링(130)의 내주면에 발생되는 진공에 의해 각막(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흡착 고정된다.
도 2a, 2b 에 따른 어뎁터의 다른 실시 예를 보면, 어뎁터의 상부는 레이저의 대물렌즈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고, 어뎁터의 하부는 피시술자의 각막(400)에 중심이 일치되어 결합 되는 하나의 본체(20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200)의 중심부에는 레이저빔이 통과하는 렌즈가 구비된다.
본체(200)의 상단은 대물렌즈에 끼워진 상태에서 대물렌즈에 구비된 진공발생장치(도면중 미도시)를 통해 흡착 고정되며, 본체(200)의 하단 일측에는 주사기 등의 진공발생장치(도면중 미도시)와 연결되는 호스가 설치되어 본체(200)의 하단 내주면에 발생 되는 진공에 의해 본체(200) 하단이 각막(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흡착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구(110)와 본체(200)에 설치되는 렌즈의 상면에는 레이저빔이 하향 통과하게 되며, 렌즈의 저면은 각막(400)의 표면에 밀착되는데, 이러한 렌즈는 상하면이 평평한 비굴절 렌즈(140)가 될 수 있으며, 상면은 평평하고 저면은 오목한 형태의 굴절 렌즈(210)가 될 수도 있다.
어뎁터가 설치되는 레이저는 일명 펨토세컨레이저라 불리우며, 레이저의 대물렌즈를 통해 조사되는 펄스형 레이저빔이 각막 내부의 각막실질에 조사되면 각막실질이 기체 플라즈마로 바뀌게 되면서 극도로 미세한 기포가 만들어지고, 이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각막실질을 정확하게 원하는 만큼 절제하는 것이 그 원리다.
이러한 레이저의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각막실질 내부에서 교정량 만큼의 각막실질 조각인 렌티큘을 절제해 분리함으로써, 원시나 난시나 근시나 노안 또는 혼합 난시 등의 불완전한 시력을 교정해주는 수술을 일명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수술이라고 하며, 비슷한 효과를 내는 다른 레이저나, 같은 레이저를 다른 회사에서 이용하더라도 또는 명칭이 다르더라도 같은 유형의 수술이라 할 수 있다.
레이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각각의 스팟이 각막실질 내에 광학 관통부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광학 관통부는 플라즈마버블을 만들게 되고, 그 결과 각막실질로부터 각막실질 조각인 렌티큘이 분리된다.
렌티큘을 절제하기 위해 레이저빔의 초점은 상피조직 및 보우만막 하부 그리고 데스메막 및 내피조직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각막 내의 표적점을 향해 안내된다. 이를 위해 레이저는 각막내에서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변위시키기 위한 통상의 초점변위기구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초점변위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막실질로부터 렌티큘을 절제하기 위한 레이저빔의 초점 위치 변위 과정을 도 3 과 도 4 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레이저의 대물렌즈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도 3 과 같이 각막실질(410) 내부로 초점을 변위시키면서 각막(400)의 중심 바깥쪽부터 중심쪽으로 이동된 다음 다시 중심쪽부터 바깥쪽을 향해 나선형태로 조사되어 각막실질(410) 내부의 아래쪽에서 각막실질(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하측 분리면인 렌티큘면(430)과, 그러한 렌티큘면(430)과 중심이 일치되면서 각막실질(410) 내부의 위쪽에서 각막실질(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측 분리면인 플랩면(420)을 형성한다.
이때, 플랩면(420)은 렌티큘면(430)보다 크게 형성되고, 도 4 와 같이 렌티큘면(430)의 외측둘레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안쪽 어느 한 지점에 교차되면서 교차된 플랩면(420)과 렌티큘면(430)에 의해 각막실질(410)로부터 대략 렌즈형상을 가지는 입체형태의 렌티큘(440)이 절제된다.
여기서, 렌티큘면(430)의 외측둘레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안쪽 어느 한 지점과 교차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렌티큘면(430)의 외측둘레와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을 향하는 어느 한 지점은 초점의 위치를 변화시킨 레이저빔의 조사에 의한 별도의 절개면(도면중 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막실질(410)로부터 다른 입체형태의 렌티큘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막실질(410)로부터 렌티큘(440)이 절제되면 절제된 렌티큘(440)은 각막(400) 외부로 인출되어 제거된다.
렌티큘(440)을 각막(400)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렌티큘(44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분리도구(500) 및 완전히 분리된 렌티큘(440)을 각막(40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집는도구(도면중 미도시)가 출입될 수 있도록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400)에 절개터널(452)과 절개입구(451)로 구성되는 절개부(450)를 형성하게 된다.
절개입구(451)는 레이저의 대물렌즈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이 전술한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을 형성한 후 각막(400)의 표면 한쪽에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만곡지게 절개되며, 그러한 절개입구(451)로부터 각막(400) 내부를 향하는 절개터널(452)은 그 선단부(453)가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과 만나게 된다.
절개부(450)를 구성하는 절개입구(451) 및 절개터널(452)은 원주방향의 길이가 대략 2mm 내지 4mm로 구성될 수 있다.
절개입구(451)의 위치는 각막실질(410) 내부에 형성되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수직 선상 또는 예각 선상 또는 둔각 선상과 만나는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450)는 각막(400) 표면에 한개 또는 두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450)가 두개로 구성되는 경우, 각막(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개부(450)의 위치나 개수는 시술자의 시술방향이나 안구 고정장치의 위치 여부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절개부(450)의 절개터널(452)은 전술한 절개입구(451)에서 각막실질(410) 내부의 렌티큘(44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통로로써,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분리도구(500)가 삽입되어 렌티큘(44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된 렌티큘(440)은 집는도구를 이용하여 절개터널(452)과 절개입구(451)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될 수 있다.
절개터널(452)은 절개입구(451)가 레이저빔의 조사를 통해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과정에서 레이저빔이 렌티큘(440)이 위치한 각막실질(410) 내부까지 일정한 깊이로 조사되어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플랩면(420)의 절개라인(421)과 연결된다.
절개터널(452)은 다른 실시 예로 레이저빔에 의해 절개입구(451)만 형성된 후 절개입구(451)를 통해 렌티큘(440)이 위치하는 각막실질(410)로 삽입되는 분리도구(500)에 의해 강제로 형성되면서 그 선단부(453)가 플랩면(420)의 절개라인(42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절개터널(452)은 절개입구(451)와 원주방향 길이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와 플랩면(420)의 절개라인(421)이 연결됨에 있어서,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플랩면(420)의 외측둘레가 아닌 중심을 향하는 안쪽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다른 절개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절개터널(452)은 그 선단부(453) 위치와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개입구(451)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과 연결되고, 절개입구(451)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에서 수직 선상으로 만나는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절개부(450)가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과 연결되고, 절개입구(451)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에서 예각 선상 또는 둔각 선상과 만나는 각막(4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절개부(450)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가 아닌 중심을 향하는 안쪽 어느 한 부위에 위치하는 다른 절개라인에 연결되고, 절개입구(451)는 그러한 다른 절개라인에서 수직 선상 또는 예각 선상 또는 둔각 선상과 만나는 각막(400) 표면에 형성되어 절개부(450)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레이저빔의 스팟이 조밀한 나선을 그리면서 각막실질(410) 내부로 조사되어 각막실질(410) 내부의 아래쪽에 렌티큘면(430)을 형성하고, 이후 각막실질(410) 내부의 위쪽에 플랩면(420)을 형성하여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에 의해 렌티큘(440)이 절제되지만, 레이저빔의 스팟과 스팟사이의 영역인 티슈브리지로 인하여 각막실질(410)로부터 렌티큘(440)은 완전히 분리되지는 못한다.
따라서,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분리도구(500)를 삽입한 후, 분리도구(500)를 렌티큘면(430)인 렌티큘(440)의 저면과 플랩면(420)인 렌티큘(440)의 상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지나가도록 하여 티슈브리지를 절단함으로써, 각막실질(410)로부터 렌티큘(440)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후 분리도구(500)를 빼내고,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핀셋과 같은 집는도구를 삽입한 다음,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 분리된 렌티큘(440)을 절개터널(452)과 절개입구(451)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하면 된다.
이때,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로 삽입된 분리도구(500)가 렌티큘(440)의 저면과 상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지나가면서 티슈브리지를 절단시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에 의한 외력이 절개입구(451) 및 절개터널(452)의 원주방향 내부 양측면에 가해지게 된다.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에 따라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의 내부 원주방향 양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레이저빔에 의해 나선형으로 연속되는 스팟으로 이루어진 플랩면(420) 외측둘레의 절개라인(421)에 위치되어 절개터널(452) 내부의 원주방향 양측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구조적으로 저항할 수 없게 됨에 따라 분리도구(500)가 절개터널(452)의 내부 양측면을 쉽게 찢으면서 절개라인(421)을 따라 이동되어 결국 절개터널(452)의 내부 양측면 또한 찢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의 찢어짐은 외부감염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고, 치료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조직의 안정화를 방해하게 되어 회복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 내부의 원주방향 양측면이 분리도구(500)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빔에 의해 만들어지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 절개라인(421) 선상에서 절개라인(421)과 만나고 있는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 양측 일부 영역이 레이저빔에 의해 절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3 과 같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이 형성될 때 그러한 절개라인(421)과 연결되는 절개터널(452)의 선단부의 원주방향 길이와 상응하는 폭을 가진 한 쌍의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 선상에 형성되는 것이다.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 선상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을 형성하기 위한 실시 예로써, 도 1a, 1b 과 도 2a, 2b 에서와 같이 어뎁터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 상에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한 쌍의 이격된 차단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300)의 이격된 길이는 절개부(450)의 원주방향 길이와 상응함에 따라 차단부(300)를 통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 선상에 이격된 한쌍의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형성되면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절개라인(421)에 절개부(450)의 절개터널(452) 선단부(453)가 연결됨에 따라 절개터널(452)의 원주방향 양측면이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에 의한 외력을 받더라도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으로 인하여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분리도구(500)의 외력에 저항하게 되면서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에 의해 절개터널(452) 및 절개입구(451)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은 차단부(300)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차단부(30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이 되며, 차단부(300)는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의 상면은 물론 바람직하게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굴절 렌즈(210)에 차단부(300)가 구비되는 경우, 레이저빔이 굴절 렌즈(210)를 통과시 굴절되는 범위를 감안하여 차단부(300)의 위치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렌티큘(440)과 플랩면(420)은 굴절이상 교정량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도 있으며, 차단부(300)는 그 변화하는 크기에 대응하여 위치가 변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단부(300)의 위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를 미리 준비하여 굴절이상 교정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차단부(300)는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도록 다양한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성분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여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 상에 코팅층 또는 인쇄층으로 형성하거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 상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과 상응하는 영역을 부식시켜 소거하거나, 고출력 레이저빔에 의해 조각하는 에칭의 형태로 구성하거나,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과 상응한 형상을 가지는 테이프와 같은 접착물질을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차단부(300)의 형상은 실시 예로 한 쌍이면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또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차단부(300)의 이격된 거리는 절개부의 내부 원주방향 길이에 따라 상응하게 달라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0.5mm 내지 4mm로 구성될 수 있다.
차단부(300)는 직선형인 경우, 각막(400)의 중심을 향하여 서로 수평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대칭의 형상이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차단부(300)는 중심을 향하는 일측 끝단이 단순한 원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b 및 도 2b 와 같이 절개라인(421)과 대응되는 선상에서 일측 끝단의 안쪽부위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절개부(450)에 분리도구(500)를 집어 넣어 도 5 에서와 같이 회전시킬 때 분리도구(500)가 절개라인(421)에 닿지 않고 비조사 영역(411)에서 돌출된 부위에 닿게 되어 절개부(450)의 찢어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 선상에 형성되며, 그러한 절개라인(421)과 만나는 절개터널(452) 선단부(453)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은 전술한 어뎁터에 구비되는 차단부(300)를 통해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차단부(300)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의 레이저빔 조사 및 비조사와 관련되는 프로그램의 제어를 통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각막실질(410) 내부로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 절개라인(421)이 만들어질 때 전술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과 상응하는 부위에서는 레이저빔이 프래그램의 제어에 따라 비조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 절개라인(421)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의 안쪽에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위치하게 되면서 절개터널(452)의 내부 양측면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절개되지 않은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보강역할을 하게 되어 절개터널(452)의 찢어짐은 물론 절개입구(451)의 찢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형성되는 경우,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의 길이는 대략 0.5mm 내지 2mm 미만으로 최소화시켜 절개하더라도 수술과정에서 절개부(4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단부(300)가 구비된 어뎁터를 이용한 스마일 수술의 중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의 저면에 차단부(300)가 구비된 어뎁터의 상측을 레이저의 대물렌즈에 부분 진공으로 고정시킨 후, 부분 마취된 피시술자의 베드를 이동시키거나, 레이저를 이동시켜 어뎁터의 하측을 피시술자의 각막(400)에 중심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다음 부분 진공으로 고정시킨다.
필요에 따라서는 피시술자의 동공축심과 시축의 오차를 고려하여 3중 센트레이션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3중 센트레이션은 각막(400)의 중심에 맞추어 수술을 진행하는 기법으로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빛 번짐이나 눈부심, 복시, 시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중 센트레이션은 동공중심과 시축의 오차를 오려하여 수술용 마킹펜으로 센트레이션을 정하는 단계와, 마킹한 곳과 레이저의 중심을 맞추는 단계 및 마킹한 곳의 중심에 맞춰 레이저의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3중 센트레이션이 완료된 후에는 피시술자의 각막 교정량에 따라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레이저로부터 레이저빔이 각막(400)의 각막실질(410)내부로 조사되는데, 이때 레이저빔은 어뎁터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를 통과한 다음 각막(400) 내부의 각막실질(410)에 각막(400)의 중심 바깥쪽에서 중심쪽으로 나선을 그리면서 다수의 스팟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각막실질(410)로부터 분리되는 렌티큘면(430)을 각막실질(410)의 아래쪽에 먼저 형성한다.
이후, 레이저는 레이저빔의 초점 위치를 변위시켜 각막실질(410) 내부에서 렌티큘면(430)과 이격되는 위쪽에 초점을 다시 형성하게 되며, 각막(400)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향하여 나선을 그리면서 다수의 스팟을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각막실질(410)로부터 분리되는 플랩면(420)을 각막실질(410) 위쪽에 형성한다.
이때, 플랩면(420)의 크기는 렌티큘면(430)보다 크게 형성되며, 렌티큘면(430)의 외측둘레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서 중심부를 향하는 안쪽에서 교차되면서 각막실질(410)로부터 상하의 플랩면(420)과 렌티큘면(430)에 의해 절제되는 렌즈형상의 렌티큘(440)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어뎁터의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를 통과하는 레이저빔의 조사에 의해 플랩면(4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이 만들어질 때 비굴절 렌즈(140) 또는 굴절 렌즈(210)에 형성된 차단부(300)로 인하여 절개라인(421) 중 일부분이 한 쌍의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되어 절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절제된 렌티큘(44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 다음 각막(40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와 마주하는 각막(400)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만곡진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입구(451)와, 그러한 절개입구(451)로부터 연장되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게 되는 절개라인 중 전술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에 선단부(453)가 연결되는 절개터널(4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 상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형성되고, 그러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사이에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연결되면,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사이의 간격과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내에 위치하는 절개터널(452) 및 그러한 절개터널(452)과 연결된 절개입구(451)를 대략 2mm로 만들더라도 절개입구(451)를 통해 절개터널(452)을 거쳐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에서 회전 및 이동되는 분리도구(500)로 인하여 절개터널(452)과 절개입구(451)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의 간격 및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의 간격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분리도구(500)가 들어갈 수 있는 최소의 길이로 만들 수도 있고, 대략 0.5mm 내지 2mm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 상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이 형성되고, 그러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사이의 절개라인(421)에 절개터널(452) 선단부(453)가 연결된 후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분리도구(500)를 집어넣은 다음 티슈브리지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을 분리시켜준다.
즉, 도 5 와 같은 분리도구(500)를 이용하여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사이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으로 집어넣어 먼저 렌티큘면(430)을 따라 전체적으로 양방향 회전시키면서 렌티큘면(43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때, 안구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출혈, 충혈, 통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렌티큘면(430)의 분리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분리도구(500)를 절개입구(451)에서 완전히 빼낸 다음 다시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사이에 위치하는 절개라인(421)으로 집어넣어 플랩면(420)을 따라 전체적으로 양방향 회전시키면서 플랩면(42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때, 렌티큘면(430)의 분리작업을 완료한 다음 분리도구(500)를 절개입구(451) 외부로 완전히 빼내지 않고 절개터널(452) 안에서 미세하게 들어올리는 기술을 통해 플랩면(420)의 분리작업을 완료하면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켜 시술의 안정성과 절개부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기 위하여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로 삽입한 분리도구(500)를 양방향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절개터널(452)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 분리도구(500)에 의해 절개터널(452) 내부 양측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도구(500)가 절개라인(421) 상에서 절개되지 않은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 안쪽의 돌출된 부분에 닿게 되어 절개터널(452) 내부의 원주방향 양측면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절개터널(452)이 찢어지면서 함께 찢어지게 되는 절개입구(451) 원주방향 양측면의 찢어짐 또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절개되지 않은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으로 인하여 절개터널(452) 내부 원주방향 양측면이 외력에 대해 강도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의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는 길이를 0.5mm 내지 2mm로 최소화시키더라도 절개부(450)를 통해 삽입되는 분리도구(500)의 움직임에 의해 절개터널(452) 및 절개입구(451)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개부(450)의 최소 절개는 불필요한 외부 감염의 예방은 물론 시술시간의 단축과 조직을 안정화시켜 회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도구(500)를 통해 렌티큘(440)을 각막실질(4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에는 집는도구를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을 통해 렌티큘(440)이 위치한 각막실질(410) 내부로 집어넣어 분리된 렌티큘(440)을 집은 후 절개입구(451)로부터 빼내어 제거한 다음음 절개부(450)를 통해 안액을 집어넣고 분리도구(500)를 이용하여 부유물을 빼고 정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입체적 초점 변위를 통해 각막실질(410) 내부에 렌티큘면(430)과 플랩면(420)으로 이루어지는 렌티큘(440)을 절제하고, 이러한 절제된 렌티큘(440)을 절개입구(451)와 절개터널(452)로 구성된 절개부(450)를 통해 각막 외부로 인출함에 있어서,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와 연결되는 플랩면(420)의 외측둘레에 위치한 절개라인(421) 선상에 절개터널(452)의 선단부(453)가 포함될 수 있도록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411)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절개부(450)를 통해 삽입되어 회전되는 분리도구(500)에 의해 절개터널(452) 및 절개입구(451)가 찢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절개터널(452)과 절개입구(451)의 원주방향 절개되는 길이를 0.5mm 내지 2mm로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각막(400)의 최소 절개를 통해 외부 감염을 줄이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켜 피시술자에게 부담을 줄이며, 조직의 신속한 재생 및 안정화를 통해 수술의 정확도와 피시술자의 만족도 및 회복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를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에 사용되는 어뎁터에 레이저빔이 비조사되는 차단부를 구비함에 따라 입체형태로 절제되는 렌티큘을 각막 외부로 제거하기 위해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 원주방향 양측에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회전되는 도구에 의해 절개부가 쉽게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절개부 파손에 따른 감염 위험성을 제거하고, 치료시간을 단축시키며, 조직의 효과적인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Claims (10)

  1. 레이저의 대물렌즈에 대해 피시술자의 각막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부는 상기 대물렌즈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고, 그 하부는 상기 피시술자의 각막에 중심이 일치되어 고정되는 어뎁터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의 레이저빔이 하향 투과되는 비굴절 렌즈 또는 굴절 렌즈 상에 상기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도록 한 쌍의 이격된 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빔의 초점 위치가 입체적으로 변위 되면서 상기 각막의 내부에 조밀한 나선이 연속적으로 그려져 연속된 나선형의 절개라인을 가지는 플랩면과 렌티큘면이 각막실질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렌티큘면의 외측둘레가 상기 플랩면의 외측둘레 안쪽 어느 한 지점에서 교차되어 상기 각막실질로부터 입체형태의 렌티큘이 절제될 때 상기 차단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은,
    상기 플랩면의 외측둘레 절개라인에서 상기 렌티큘면의 외측둘레 절개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플랩면의 어느 하나의 절개라인 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에서 방사되는 레이저빔에 의해 상기 절개라인과 마주하는 상기 각막의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절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입구에서 상기 각막실질을 향하여 형성되는 절개터널의 선단부는 상기 플랩면의 절개라인 선상에 연결되며, 상기 절개터널 선단부는 상기 플랩면의 절개라인 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입구는 상기 플랩면의 외측둘레 절개라인으로부터 수직 선상 또는 예각 선상 또는 둔각 선상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상기 각막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비굴절 렌즈 또는 굴절 렌즈의 저면 한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레이저빔이 투과되지 않는 코팅층 또는 인쇄층 또는 에칭 또는 접착물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한쌍의 원형 또는 한쌍의 타원형 또는 한쌍의 다각형 또는 한쌍의 직선형 또는 한쌍의 곡선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거리가 0.5mm 내지 4mm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한 쌍의 직선형이면서 서로 수평 또는 대칭 형태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중심부를 향하는 끝단의 내측 일부분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PCT/KR2016/004446 2016-02-03 2016-04-28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WO20171355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81063.1A CN108601671A (zh) 2016-02-03 2016-04-28 产生激光束非照射区域的视力矫正手术用激光适配器
EP16889495.4A EP3412261A4 (en) 2016-02-03 2016-04-28 LASER ADAPTER FOR SEARCH CORRECTIONS WITH PRODUCTION OF A LASER BEAM CHANNEL RADIATION
US16/075,553 US20190038373A1 (en) 2016-02-03 2016-04-28 Vision correction surgery laser adaptor which creates laser beam non-irradiated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99A KR101654539B1 (ko) 2016-02-03 2016-02-03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KR10-2016-0013299 2016-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17A1 true WO2017135517A1 (ko) 2017-08-10

Family

ID=5694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446 WO2017135517A1 (ko) 2016-02-03 2016-04-28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38373A1 (ko)
EP (1) EP3412261A4 (ko)
KR (1) KR101654539B1 (ko)
CN (1) CN108601671A (ko)
WO (1) WO20171355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767B1 (ko) 2016-11-10 2018-04-20 정영택 스마일 수술용 도구
US10959882B2 (en) * 2018-02-05 2021-03-30 Alcon Inc. Refractive treatment of an eye by printing material onto a target
CN114848292B (zh) * 2022-04-19 2023-12-05 南京朔视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眼球的接口单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543A1 (en) * 2000-02-14 2003-08-21 Van Saarloos Paul Philip Apparatus and procedure for ultraviolet laser ablation
WO2006121066A1 (ja) * 2005-05-10 2006-11-16 Takuya Kataoka 眼科レーザー治療用器具
KR20120132975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한빛나노바이오테크 펨토레이저를 이용한 안구 치료 장치
KR20130093638A (ko) * 2010-09-30 2013-08-22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 인간의 눈을 가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102123A (ko) * 2007-11-08 2015-09-04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을 위한 치료 장치, 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2759A (en) * 1989-06-07 1992-10-06 University Of Miami, School Of Medicine, Dept. Of Ophthalmology Noncontact laser microsurgical apparatus
US20010027314A1 (en) * 1995-10-20 2001-10-04 Peyman Gholam A. Intrastromal corneal modification via laser
US7390089B2 (en) * 2005-02-25 2008-06-24 20/10 Perfect Vision Optische Geraete Gmbh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an eye with a surgical laser
US20070219542A1 (en) * 2006-03-15 2007-09-20 Toru Yahagi Surgical procedure and instrumentation for intrastromal implants of lens or strengthening materials
ES2637066T3 (es) * 2010-01-22 2017-10-10 Wavelight Gmbh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corte de la córnea humana
US9233025B2 (en) * 2010-09-25 2016-01-12 Gregory John Roy Spooner Laser apparatus and method for refractive surgery
US8541863B2 (en) 2010-11-29 2013-09-24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ata retention in a single poly EPROM cell
US10058453B2 (en) * 2012-04-24 2018-08-28 Wavelight Gmbh Extracting lenticules for refractive correction
EP2964170B1 (en) * 2013-03-08 2020-01-15 WaveLight GmbH Apparatus for creating incisions in a human corne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8543A1 (en) * 2000-02-14 2003-08-21 Van Saarloos Paul Philip Apparatus and procedure for ultraviolet laser ablation
WO2006121066A1 (ja) * 2005-05-10 2006-11-16 Takuya Kataoka 眼科レーザー治療用器具
KR20150102123A (ko) * 2007-11-08 2015-09-04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을 위한 치료 장치, 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 방법
KR20130093638A (ko) * 2010-09-30 2013-08-22 웨이브라이트 게엠베하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 인간의 눈을 가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132975A (ko) * 2011-05-30 2012-12-10 주식회사 한빛나노바이오테크 펨토레이저를 이용한 안구 치료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412261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8373A1 (en) 2019-02-07
EP3412261A1 (en) 2018-12-12
EP3412261A4 (en) 2019-11-20
KR101654539B1 (ko) 2016-09-07
CN108601671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594A (en) Positioning assembly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a cornea
US5755700A (en) Corneal irrigation cannula and method of using
EP0764432B1 (en) System for surgically correcting presbyopia
US5984913A (en) Corneal aspiration cannula and method of using
AU2009343307B2 (en) Device for the laser radiation treatment of an eye
WO2017135517A1 (ko) 레이저빔 비조사 영역이 만들어지는 시력 교정수술용 레이저의 어뎁터
JP6748216B2 (ja) 眼用レーザ機器用のモジュール式患者アダプター
US5779711A (en) Corneal flap/cap elevator
KR20180008506A (ko) 눈 레이저 장치를 위한 환자 어댑터
WO2017034067A1 (ko) 시력 교정수술에 따라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하여 각막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가진 절개부 구조
US11039959B2 (en) Ophthalmic laser surgical system and method for corneal lenticular incisions with unambiguous entry cuts
US20150374548A1 (en) Ophthalmic surgery method
US5800406A (en) Corneal irrigation cannula
KR101451881B1 (ko) 눈의 각막에서 플랩을 절개하는 장치
Fisher et al. A disposable ophthalmic endoscopic system
WO2017195912A1 (ko) 스마일 수술용 렌티큘 분리 도구
KR100752822B1 (ko) 각막을 유지하고 위치선정하기 위한 위치선정 조립체
KR101850767B1 (ko) 스마일 수술용 도구
Kaur et al. 14 Complications of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Gobbi et al. A simplified method to perform photorefractive keratectomy using an erodible mask
KR101850768B1 (ko) 스마일 수술에 사용되는 수술 도구
BR102018007536A2 (pt) instrumento para cirurgia de catarata
WO2019017635A1 (ko) 스마일 수술용 마킹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9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89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89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