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22910A1 - 이동식 기침 유발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기침 유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22910A1
WO2017122910A1 PCT/KR2016/012122 KR2016012122W WO2017122910A1 WO 2017122910 A1 WO2017122910 A1 WO 2017122910A1 KR 2016012122 W KR2016012122 W KR 2016012122W WO 2017122910 A1 WO2017122910 A1 WO 20171229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exhalation
high frequenc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계철
김칠환
Original Assignee
(주)서일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일퍼시픽 filed Critical (주)서일퍼시픽
Priority to US15/778,25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361089A1/en
Publication of WO20171229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229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66Blowers or centrifugal pumps
    • A61M16/0069Blowers or centrifugal pumps the speed thereof being controlled by respiratory parameters, e.g. by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6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means for creating vibrations in patients' 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75Connectin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61M16/202Controlled 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61M16/202Controlled valves electrically actuated
    • A61M16/203Proportional
    • A61M16/204Proportional used for inhala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ugh trig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ugh trigger to minimize the flow loss by simplifying the air flow path as much as possible.
  • Coughing is one of our body's major defenses, and it prevents harmful substances such as gas and bacteria, and various foreign objects from entering our airways. In addition, inhaled foreign substances or airway secretions are discharged out of the airways, which keeps the airways clean.
  • pneumonia when coughing is deteriorated, such as neuromuscular patients with respiratory muscle paralysis or restrictive lung disease, pneumonia may be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or secretions may block the airways and cause dyspnea.
  • a cough aid device In order to protect a patient from such a risk, a cough aid device has been developed.
  • a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9332 is filed and registered by the applicant. You can find it at
  • 1 an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the conventional mobile cough inducer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1a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b,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ng holes 1c arou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a. Is formed, the communication hole (1c)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flow port (1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 (1e) (1f)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b)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b includes a manifold 1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respiratory flow port 1g connected to the respiratory organ of the patient,
  • An air inlet 2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1e, and an air outlet 2b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f to suck air through the air inlet 2a and the air outlet.
  •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b and generating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when supplying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flow port 1d to the respiratory tract or inhaling air from the respiratory tract. It includes (4).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 includes an inner cylinder 4a-1 and an inner cylinder 4a-1 in which a passage F is formed in a central axis and a through hole h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a fixed body 4a formed of an outer cylinder 4a-2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provided with a magnet M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4a-1 and the magnet M,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coil (C)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cludes a moving body (4b) to move up and down by the supply of current, the position sensing magnet (4c)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4b) Is installed, the center of the sensor 4d is installed on the outside thereof.
  • the pneumatic generator 2 when the device is turned on and the pressure is set, the pneumatic generator 2 is driven at the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set pressure, and performs the intake mode, the idle mode, and the exhalation mode. Done.
  •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flow port 1d by the rotating body 3a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 passes through the air outlet port 2b through the air inlet port 2a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After passing through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 air is provided to the patient side through the breathing flow opening 17.
  •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port 2a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 is flowed to the air outlet port 2b by the rotating body 3a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 At this time, the air of the outdoor air flow port 1d and the respiratory flow port 1g does not flow into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 side.
  •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reathing flow port 1g passes through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 and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ing unit (by the rotating body 3a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 ( After entering the air inlet 2a of 2), it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2b again, and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formed by the rotating body 3a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flow port 1d. .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 is a moving body (4b) provid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4a-1) and the outer cylinder (4a-2) of the stationary body (4a) Is moved up and down by the supply of current, while the through-hole h formed in the inner cylinder 4a-1 and the through-hole h formed in the movable body 4b are repeatedly opened or closed to form air vibration waves. This is to accurate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h) by the center position sensor 4d and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4c) to enable the flow of air, and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body (4b) an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re determined by the moving distance.
  • the conventional mobile cough inducer has a problem in that the manifold 1 and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 are horizontally installed, and thus the flow rate is large because of the length of the flow path.
  • the conventional mobile cough inducer the outdoor air flow port (1d) that enters the outside air and the air exhaled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is discharged into the same passage,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resh air and exhaled air is mixed.
  • exhaust air is directly discharged to 1d)
  • exhaust noise is a big problem.
  • the oscillation and amplitude control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 in the intake mode IN and the exhalation mode EX is carried out by the sensing sensor 4d for the center position and the magnet 4c for the position sensing. ) Is difficult to precise contro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ugh inducer to minimize the flow loss by simplifying the air flow path as much as possibl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ugh inducer to completely separate the inlet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exhal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patient, and reduce exhaust noise during exhal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ugh inducer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and amplitude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in the intake mode IN and the exhalation mode EX to feed back pressure.
  • the mobile cough inducer includes a manifold in which a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 intake chamber and an exhalation chamber are formed at a lower part, and a motor Intake and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fan rotates by the rotational force, the air inlet is connected to the intake chamber,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is supplied to the respiratory tract to supply the outside air or the direction change valve unit for switching the direction to suck the air from the respiratory organ, and coupled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High frequency to generat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s when supplying fresh air to the respiratory tract or inhaling air from the respiratory tract Includes a frost generating means, to for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arou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of the manifold, to ensure that each communication in the communication clause yudonggu outside air intake chamber and
  • the communica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chamber and the exhalation chamber is in communic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 air supply chamber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and an outlet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chamber.
  • the directional valve un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formed of a pair of partition walls for selectively opening a communication path formed arou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forward / reverse motor connected to a shaft of the rotating body.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is a fixed body consisting of an inner cylinder with a passage formed in the central axis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er cylinder formed outside the inner cylinder and provided with a magnet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installed between the passing magnets,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include a moving body to move up and down by the supply of current.
  •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path.
  • the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nifol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low loss by simplifying the air flow path as much as possible.
  • the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low path to introduce external air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flow path at the center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at the time of exhalation, By blocking the air inlet to the air inle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inlet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exhal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patient, and reduce exhaust noise during exhalation.
  • the mobile cough inducer by removing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moving object and the sensor for the center position installed on the outside thereof, the high in the intake mode (IN) and exhalation mode (EX) Vibration and amplitude control of the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may be controlled to feed back the pressure.
  • the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flow path of the respiratory flow port and the external air flow port in the idle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ient with a comfortable rest function by allowing the patient to breathe at atmospheric pressure.
  • 1 and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of a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4.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6.
  • Figure 9 is a cicada fold plane and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ugh indu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 11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vibration wave of the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ake mode of a mobile cough induction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dle mode of the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halation mode of a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cough inducer 100 includes a manifold 10, an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a diverter valve unit 30, and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
  • a first accommodating part 11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ar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intake chamber 13 and an exhalation chamber 14 ar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orts 15 are formed arou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of the manifold 10, and the communication holes 15 are an external air flow port 16, an intake chamber 13, and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exhalation chamber (14).
  • the communication port 15 communicating with the intake chamber 13 and the exhalation chamber 14 may communi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flow path as compared with the related art.
  • an air supply chamber 17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so that the air outlet 22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chamber 17. do.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respiratory flow port 18 connected with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outside air flow port 16 to catch foreign substances in the outside air.
  • the respiratory flow port 18 is connected to a mask hose for closely contacting the patient's mouth through the bacteria filter through the patient port.
  •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sucks and discharges air through a fan that rotates by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a motor, and an air inlet 21 is connected to the intake chamber 13,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 Air outlet 22 is connected to (12) to suck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21 and to discharge the air through the air outlet (22).
  •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 is coupl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and breath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flow port 16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It is directed to supply to the trachea or to inhale air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the rotating body 31 consisting of a pair of partition walls (31a) for selectively opening the communication port 15 formed arou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And a forward and reverse motor 32 connected with the shaft of the rotating body 31.
  • a flow path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31 through the passage 31b between the partition walls 31a.
  • the rotating body 31 of the directional valve unit 30 is rotated to selectively open or close the communication port 15 formed around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to induce a cough.
  • This is largely to perform the inhale mode (Inhale mode), the exhale mode (Exhale mode) and the pause mode (Pause mode) in one cycle (Cycle).
  • the communication port 15 is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5a at 270 ° pos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5b at 0 ° position, and the third communication port 15c at 90 ° pos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xplain separately.
  •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ing means 3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tationary motor 32 while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31, the sensing means 33 is
  • the disk 33a is coupled to the upper shaft of the stationary motor 32, and is installed on the disk 33a and the stationary motor 3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im, and detects the mark of the disk 33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33b.
  • the mark of the disc (33a) may be a mode sensing groove (S)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the mode detection groove (S) is formed at intervals of 45 °, respectively, the intake mode (IN), idle mode ( PA), consisting of three grooves of the exhalation mode EX, detects which mode the rotating body 31 is rotated and outputs a signal to a controller (not shown).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s coupled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and has a high frequency when supplying air introduced from the external air flow port 16 to a respiratory organ or inhaling air from the respiratory organ. It generates a vibration wave.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s formed outside the inner cylinder 41a and the inner cylinder 41a in which the passage F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and the through hole h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fixed body 41 formed of an outer cylinder 41b having a magnet 41c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41a and a magnet 41c, and having a through hole h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coil 42a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lude a moving body 42 that moves up and down by supply of current.
  •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and the center position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body 42 as in the prior art, and the vibration and amplitude control during intake and exhalation by the movable body 42, The position of the movable body 42 is controlled by receiving the pressure of the air flow path.
  • Inhale mode is the inhalation state in which the patient inhale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gh inducer 100 is mainly used b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in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and high It will be described in the state of supplying air to the respiratory tract of the patient through the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 Pause mode is the apnea state in which the patient stops breath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ff inducer 100 is the main body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intake or discharge the air pressure blocking valve switching unit 30 Explain that stopped supplying or inhaling air to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 Exhalation mode is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exhales brea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gh inducer 100 as the main body using the air pressure generated in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and high frequency
  • the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will be described as a state of discharging air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 FIG. 11 is a graph illustrating a vibration wave of a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graph,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wave is generated in the intake mode and the exhalation mode.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ake mode of the mobile cough induc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ifold indicates the air flow
  • the sensing means indicates the intake mode (IN) state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indicates the air flow.
  •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is driven at a rotational speed according to the set pressure, and the mode is set manually or automatically.
  •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In the intake mode (IN),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is positioned in the intake state, which means that the rotating body 31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is inclined at 45 °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5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5a are inclined clockwise. While the communication port 15b is open, the third communication port 15c is in a closed state.
  • the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flow port 16 while the rotating body 31 is inclined 45 ° in the clockwise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ports 15a and 15b,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5b.
  •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22 is moved to the air supply chamber 17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and then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nstall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12 again.
  • the breathing flow opening 17 In addition to the passage through the breathing flow opening 17 to provide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air.
  • the movable body 42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s located below, and the movable body 42 is moved upward by supply of electric current, which is when the set pressure becomes -amplitude pressure. And move up to the bottom, when the amplitude pressure is reached, it moves downward until the set pressure becomes + amplitude pressure. You get the same result (pressure is PID control)
  •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dle mode of the mobile cough induction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ifold shows the air flow
  • the sensing means indicates the idle mode (PA) state.
  •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is positioned in the idle state, which is the rotational body 31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is inclined by 90 °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5a is opened. And the third communication port 15c is open, while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5b is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patient's breath flowing out of the breathing flow port 18 is in the third communication through the exhalation chamber 14.
  • the air flow port 16 communicated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5a through the passage between the partition walls 31a of the rotating body 31 of the redirection valve unit, thereby breathing at atmospheric pressure. This can be done to provide a comfortable resting function to the patient.
  •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20 is in a continuous operation state,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21) flows to the air outlet 22, the moving body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through the air chamber ( It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flow path (F) formed in 42).
  •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halation mode of a mobile cough induction trigger using a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nifold indicates the air flow
  • the sensing means indicates the idle mode (PA) state
  •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indicates the air flow.
  •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In the exhalation mode EX,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is positioned in an exhalation state, which causes the rotating body 31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30 to be inclined at 45 °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5b and the While the three communication ports 15c are ope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s 15a are closed.
  • the air exhaled from the patient's respiratory tract passes through the exhalation chamber 14 at the respiratory flow opening 18, an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ng port 15c and the second communicating port 15b, the air of the air pressure generating unit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21, the inlet air passes through the air supply chamber 17 through the air outlet 22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t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central flow path (F).
  • the movable body 42 of the high frequency vibration wave generating means 40 is located in the upper state, and the movable body 42 is moved to the lower side by supplying a current, which is when the set pressure becomes -amplitude pressure. Until the amplitude pressure is reached, the movable body 42 is moved upward again, which moves up until the set pressure becomes + amplitude pressure.
  • pressure is PID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기침 유발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유로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유량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상부에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흡기챔버와 호기챔버가 형성되어진 매니폴드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기챔버에 공기흡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 공기배출구가 연결되어진 공기압 발생유닛과,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외기를 유입하여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유닛과, 상기 제2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유입된 외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고빈도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의 제1수용부의 주위에 복수의 연통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구는, 외기유동구, 흡기챔버 및 호기챔버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기침 유발기
본 발명은 이동식 기침 유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유로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유량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에 관한 것이다.
기침은 우리 몸의 중요한 방어작용의 하나이며, 가스, 세균 등의 해로운 물질이나 다양한 이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흡입된 이물질이나 기도의 분비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호흡계 근육의 마비를 동반한 신경근 환자나 제한성 폐질환자와 같이 기침 기능이 저하된 경우 이물질에 의해 폐렴이 발병하거나 분비물이 기도를 막아 호흡곤란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기침 보조 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종래의 일예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9332호의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제1수용부(1a)와 제2수용부(1b)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부(1a)의 주위에 복수의 연통공(1c)이 형성되되, 상기 연통공(1c)은 외기유동구(1d), 공기압 발생유닛(2)과 연통되는 제1,2 접속구(1e)(1f) 및 제2수용부(1b)에 연통되며, 상기 제2수용부(1b)는 환자의 호흡기관과 연결된 호흡유동구(1g)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매니폴드(1)와,
상기 제1접속구(1e)에 공기흡입구(2a)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구(1f)에 공기배출구(2b)가 연결되어 상기 공기흡입구(2a)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배출구(2b)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압 발생유닛(2)과,
상기 제1수용부(1a)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2)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외기유동구(1d)에서 유입된 공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과,
상기 제2수용부(1b)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동구(1d)에서 유입된 공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때 고빈도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은, 중심축에 유로(F)가 형성되어짐과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관통공(h)이 형성된 내통(4a-1) 및 상기 내통(4a-1)의 외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자석(M)이 설치되어진 외통(4a-2)이루어진 고정체(4a)와, 상기 내통(4a-1)과 자석(M)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공(h)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코일(C)이 감겨져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체(4b)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4b)의 상부 외주면에는 위치감지용 자석(4c)이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는 센터위치용 감지센서(4d)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종래의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전원을 켜고 압력을 설정한 상태에서 기기를 가동시키면 공기압 발생유닛(2)이 설정된 압력에 따른 회전속도로 구동되며, 흡기모드, 휴지모드 및 호기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흡기모드(IN)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의 회전체(3a)에 의해 외기유동구(1d)에서 유입된 외기는 공기압 발생유닛의 공기흡입구(2a)로 통해 공기배출구(2b)를 통과하고, 다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을 통과함과 아울러 호흡유동구(17)를 통해 환자측에 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휴지모드(PA)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의 회전체(3a)에 의해 공기압 발생유닛(2)의 공기흡입구(2a)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2b)로 유동되며, 이때 외기유동구(1d) 및 호흡유동구(1g)의 공기는 공기압 발생유닛(2)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호기모드(EX)는 호흡유동구(1g)에서 유입된 공기가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을 통과하고, 방향전환 밸브유닛(3)의 회전체(3a)의 의해 공기압 발생유닛(2)의 공기흡입구(2a)로 유입된 후 다시 공기배출구(2b)로 배출되며, 방향전환 밸브유닛(3)의 회전체(3a)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과하여 외기유동구(1d)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기모드(IN)와 호기모드(EX)에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은 고정체(4a)의 내통(4a-1)과 외통(4a-2) 사이에 설치된 이동체(4b)가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내통(4a-1)에 형성된 관통공(h)과 이동체(4b)에 형성된 관통공(h)이 개방 또는 폐쇄을 반복하면서 공기가 유동되어 진동파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센터위치용 감지센서(4d) 및 위치감지용 자석(4c)에 의해 관통공(h)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여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하게 되고, 이동체(4b)의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에 의해 주파수 및 진폭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매니폴드(1)와 공기압 발생유닛(2)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유로의 길이가 길어짐으로 인해 유량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외부공기가 들어가는 외기유동구(1d)와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부터 호기된 공기가 같은 통로로 배출되어 신선한 외기와 호기된 배출공기가 섞일 가능성이 많고, 외기유동구(1d)로 배출공기가 직접 배출됨으로 배기소음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기모드(IN)와 호기모드(EX)에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의 진동(Oscillation) 및 진폭(Amplitude)제어가 센터위치용 감지센서(4d) 및 위치감지용 자석(4c)에 이루어져 정확한 제어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지모드시 호흡유동구(1g)와 외기유동구(1d)의 유로가 연통되지 않아 환자에게 대기압 상태에서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유로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유량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환자로부터 호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완전분리하고, 호기시 배기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기모드(IN)와 호기모드(EX)에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의 진동 및 진폭제어가 압력을 피드백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에게 대기압 상태에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에게 편안한 휴지기능을 제공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상부에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흡기챔버와 호기챔버가 형성되어진 매니폴드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기챔버에 공기흡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 공기배출구가 연결되어진 공기압 발생유닛과,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외기를 유입하여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유닛과, 상기 제2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유입된 외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고빈도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의 제1수용부의 주위에 복수의 연통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구는, 외기유동구, 흡기챔버 및 호기챔버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기챔버 및 호기챔버와 연통되는 연통구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챔버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급챔버에 공기압 발생유닛의 배출구가 연결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은, 상기 제1수용부의 주위에 형성된 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한쌍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축과 연결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은, 중심축에 유로가 형성되어짐과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외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자석이 설치되어진 외통으로 이루어진 고정체와, 상기 내통과 자석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코일이 감겨져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체에 의해 흡기 및 호기시 진동 및 진폭 제어하되, 공기 유로의 압력을 피드백 받아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매니폴드에 수직방향으로 공기압 발생유닛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공기유로를 최대한 단순화시켜 유량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흡기시에는 외부공기를 유입하도록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호기시에는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의 중앙의 유로로 배출되도록 하고, 회기시에 공기압 발생유닛의 공기 유입구로 공기유입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환자로부터 호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완전분리하고, 호기시 배기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종래의 이동체의 상부에 위치감지용 자석과 이의 외측에 설치된 센터위치용 감지센서를 삭제하돌고 함으로서, 흡기모드(IN)와 호기모드(EX)에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의 진동 및 진폭제어가 압력을 피드백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는, 휴지모드시 호흡유동구와 외기유동구의 유로를 연통시키도록 함으로서, 환자에게 대기압 상태에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에게 편안한 휴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B - 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매미폴드 평면 및 저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C - 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진동파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흡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휴지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호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기침 유발기(100)는 매니폴드(10), 공기압 발생유닛(20), 방향전환 밸브유닛(30) 및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를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10)는, 상부에 제1수용부(11)와 제2수용부(12)가 형성되고, 하부에 흡기챔버(13)와 호기챔버(14)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10)의 제1수용부(11)의 주위에 복수의 연통구(15)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구(15)는, 외기유동구(16), 흡기챔버(13) 및 호기챔버(14)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기챔버(13) 및 호기챔버(14)와 연통되는 연통구(15)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유로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12)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챔버(17)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 공급챔버(17)에 후술하는 공기압 발생유닛(20)의 공기배출구(22)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12)는 환자의 호흡기관과 연결된 호흡유동구(18)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외기유동구(16)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외기의 이물질을 걸려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흡유동구(18)는 도면에 미도시하였지만 환자포트를 통해 박테리아필터를 거쳐 환자의 입에 밀착하기 위한 마스크 호스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20)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기챔버(13)에 공기흡입구(21)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12)에 공기배출구(22)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흡입구(2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배출구(22)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은 상기 제1수용부(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20)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외기유동구(16)에서 유입된 공기를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환자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은, 상기 제1수용부(11)의 주위에 형성된 연통구(15)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한쌍의 격벽(31a)으로 이루어진 회전체(31)와, 상기 회전체(31)의 축과 연결되는 정역 모터(32);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31a) 사이의 통로(31b)를 통해 회전체(31)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의 회전체(31)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수용부(11)의 주위에 형성된 연통구(15)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기침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크게 흡기모드(Inhale mode), 호기모드(Exhale mode) 및 휴지모드(Pause mode)를 하나의 사이클(Cycle)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구(15)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270°위치에 제1연통구(15a), 0°위치에 제2연통구(15b), 90°위치에 제3연통구(15c)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30)에는 회전체(31)의 회전을 감지하면서 정역 모터(3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감지수단(33)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정역 모터(32)의 상부축에 결합되고,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크가 형성된 원반(33a)과 정역 모터(32)의 상측에 설치되고, 원반(33a)의 마크를 감지하는 센서(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원반(33a)의 마크는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모드 감지홈(S)이 될 수 있고, 상기 모드 감지홈(S)은 45°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흡기모드(IN), 휴지모드(PA), 호기모드(EX)의 3개의 홈으로 이루어져 회전체(31)가 어떤 모드로 회전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은 상기 제2수용부(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외기유동구(16)에서 유입된 공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때 고빈도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은, 중심축에 유로(F)가 형성되어짐과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관통공(h)이 형성된 내통(41a) 및 상기 내통(41a)의 외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자석(41c)이 설치되어진 외통(41b)으로 이루어진 고정체(41)와, 상기 내통(41a)과 자석(41c)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공(h)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코일(42a)이 감겨져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체(42)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이동체(42)의 상부에 위치감지용 자석과 이의 외측에 설치된 센터위치용 감지센서를 삭제하고, 상기 이동체(42)에 의해 흡기 및 호기시 진동 및 진폭 제어하되, 공기 유로의 압력을 피드백 받아 상기 이동체(42)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100)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작용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다음에 설명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흡기모드(Inhale mode)는 환자가 숨을 들이마시는 흡기상태이나, 본 발명에서는 기침 유발기(100)가 주체로서 공기압 발생유닛(20)에서 발생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밸브유닛(30) 및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을 통해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상태로 설명한다. 휴지모드(Pause mode)는 환자가 숨을 멈춘 무호흡상태이나, 본 발명에서는 기침 유발기(100)가 주체로서 공기압 발생유닛(20)이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공기압을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이 차단하여 환자의 호흡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흡입하는 것을 멈춘 상태로 설명한다. 호기모드(Exhale mode)는 환자가 숨을 내뱉는 호기상태이나, 본 발명에서는 기침 유발기(100)가 주체로서 공기압 발생유닛(20)에서 발생한 공기압을 이용하여 방향전환 밸브유닛(30) 및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을 통해 환자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상태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진동파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며, 그래프를 참고하면 흡기모드와 호기모드에서 진동파가 발생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흡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매니폴드의 단면도로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감지수단으로 흡기모드(IN) 상태임을 나타내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으로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먼저, 기침 유발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을 켜고 압력을 설정한 상태에서 가동시키면 공기압 발생유닛(20)이 설정된 압력에 따른 회전속도로 구동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모드가 설정된다.
흡기모드(IN)에서는 방향전환 밸브유닛은 흡기상태로 위치되는데, 이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의 회전체(31)가 시계방향으로 45°로 경사지게 되어 제1연통구(15a)와 제2연통구(15b)는 개방되는데 반해, 제3연통구(15c)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회전체(31)가 시계방향으로 45° 경사진 상태에서 외기유동구(16)에서 유입된 외기는 제1,2 연통구(15a)(15b)을 통과하는데, 상기 제2연통구(15b)가 흡기챔버(13)에 수직으로 연통되어 있어 상기 흡기챔버(13)에 연결된 공기압 발생유닛(20)의 공기흡입구(21)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구(2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공기배출구(22)를 통과한 외기는 제2수용부(12)에 연통된 공기 공급챔버(17)로 이동된 후 다시 제2수용부(12)에 설치된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을 통과함과 아울러 호흡유동구(17)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관 공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의 이동체(42)는 하방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이동체(42)가 상부로 이동되는데, 이는 설정압력이 -진폭압력이 될 때 까지 위로 움직이고, 진폭압력에 도달하면 다시 이동체(42)를 하부로 이동시키는데, 이는 설정압력이 +진폭압력이 될때 가지 아래로 움직이게 되며, 이 동작을 설정 주파수에 맞춰 동작하게 되면 도 11의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압력은 PID 제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휴지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매니폴드의 단면도로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감지수단으로 휴지모드(PA) 상태임을 나타낸다.
휴지모드(PA)에서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은 휴지상태로 위치되는데, 이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의 회전체(31)가 시계방향으로 90°로 경사지게 되어 제1연통구(15a)와 제3연통구(15c)는 개방되는데 반해, 제2연통구(15b)는 폐쇄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호흡유동구(18)에서 유출입되는 환자의 호흡은 호기챔버(14)를 통해 제3연통구(15c)로 상승된 된 후 방향전환 밸브유닛의 회전체(31)의 격벽(31a) 사이의 통로를 통해 제1연통구(15a)와 연통된 외기유동구(16)에 의해 대기압 상태에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에게 편안한 휴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공기압 발생유닛(20)은 계속 동작되는 상태이며, 공기흡입구(21)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22)로 유동된 후 공기챔버를 통해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의 이동체(42)에 형성된 유로(F)를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의 호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매니폴드의 단면도로 공기 흐름을 나타내고, 감지수단으로 휴지모드(PA) 상태임을 내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으로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호기모드(EX)에서는 방향전환 밸브유닛은 호기상태로 위치되는데, 이는 방향전환 밸브유닛(30)의 회전체(31)가 반시계방향으로 45°로 경사지게 되어 제2연통구(15b)와 제3연통구(15c)는 개방되는데 반해, 제1연통구(15a)는 폐쇄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환자의 호흡기관에서 호기된 공기가 호흡유동구(18)에서 호기챔버(14)를 통과하여 제3연통구(15c)와 제2연통구(15b)를 통해 공기압 발생유닛ㅍ의 공기흡입구(21)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공기배출구(22)를 통해 공기 공급챔버(17)을 통과함과 아울러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의 관통공(h)을 통과하며, 중앙의 유로(F)를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이때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40)의 이동체(42)는 상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이동체(42)가 하부로 이동되는데, 이는 설정압력이 -진폭압력이 될 때 까지 아래로 움직이고, 진폭압력에 도달하면 다시 이동체(42)를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이는 설정압력이 + 진폭압력이 될때 까지 위로 움직이게 되며, 이 동작을 설정 주파수에 맞춰 동작하게 되면 도 11의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압력은 PID 제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이동식 기침 유발기
10: 매니폴드 11: 제1수용부
12: 제2수용부 13: 흡기챔버
14: 호기챔버 15: 연통구
15a: 제1연통구 15b: 제2연통구
15c: 제3연통구 16: 공기 공급챔버
17: 호흡유동구 18: 외기유동구
20: 공기압 발생유닛 21: 공기흡입구
22: 공기배출구 30: 방향전환 밸브유닛
31: 회전체 31a: 격벽
31b: 통로 32: 정역 모터
33: 감지수단 33a: 원반
S: 모드감지홈 33b: 센서
40: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 41: 고정체
41a: 내통 F: 유로
h: 관통공 41b: 외통
41c: 자석 42: 이동체
42a: 코일

Claims (6)

  1. 상부에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흡기챔버와 호기챔버가 형성되어진 매니폴드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흡기챔버에 공기흡입구가 연결되고, 상기 제2수용부에 공기배출구가 연결되어진 공기압 발생유닛과,
    상기 제1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 발생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외기를 유입하여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유닛과,
    상기 제2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유입된 외기를 호흡기관으로 공급하거나 호흡기관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고빈도 진동파를 발생시키는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의 제1수용부의 주위에 복수의 연통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통구는, 외기유동구, 흡기챔버 및 호기챔버에 각각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챔버 및 호기챔버와 연통되는 연통구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챔버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급챔버에 공기압 발생유닛의 배출구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 밸브유닛은,
    상기 제1수용부의 주위에 형성된 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한쌍의 격벽으로 이루어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축과 연결되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빈도 진동파 발생수단은,
    중심축에 유로가 형성되어짐과 아울러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내통 및 상기 내통의 외측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자석이 설치되어진 외통으로 이루어진 고정체와,
    상기 내통과 자석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코일이 감겨져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 의해 흡기 및 호기시 진동 및 진폭 제어하되, 공기 유로의 압력을 피드백 받아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기침 유발기.
PCT/KR2016/012122 2016-01-13 2016-10-27 이동식 기침 유발기 WO20171229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78,257 US20180361089A1 (en) 2016-01-13 2016-10-27 Portable in-exsuff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108 2016-01-13
KR1020160004108A KR101606681B1 (ko) 2016-01-13 2016-01-13 이동식 기침 유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910A1 true WO2017122910A1 (ko) 2017-07-20

Family

ID=5700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122 WO2017122910A1 (ko) 2016-01-13 2016-10-27 이동식 기침 유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61089A1 (ko)
KR (1) KR101606681B1 (ko)
CN (1) CN106964038B (ko)
WO (1) WO2017122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681B1 (ko) * 2016-01-13 2016-03-28 (주)서일퍼시픽 이동식 기침 유발기
US11957838B2 (en) * 2020-07-27 2024-04-16 Pratt & Whitney Canada Corp. Patient ventilator, method of ventilating an airway of a patient, and associ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9749A1 (en) * 2003-09-08 2005-02-24 Emerson George P. Insufflation-exsufflation system for removal of broncho-pulmonary secretions with automatic triggering of inhalation phase
KR101038262B1 (ko) *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
US20120285460A1 (en) * 2011-05-13 2012-11-15 Lung Assist, Inc.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Airway Clearance Apparatus
KR101459332B1 (ko)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
US20150165144A1 (en) * 2012-06-05 2015-06-18 Koninklijke Philips N.V. In-exsufflation therapy auto-adjustment
KR101606681B1 (ko) * 2016-01-13 2016-03-28 (주)서일퍼시픽 이동식 기침 유발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3802C2 (de) * 1978-05-31 1982-05-27 Speidel + Keller Gmbh + Co Kg, 7455 Jungingen Antriebsanordnung einer oszillierenden Verdrängerpumpe
US4719910A (en) * 1985-04-29 1988-01-19 Jensen Robert L Oscillating ventilator and method
JP3721912B2 (ja) * 2000-01-11 2005-11-30 スズキ株式会社 高頻度人工呼吸器
US7261118B2 (en) * 2003-08-19 2007-08-2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vessel for the delivery of precursor materials
US8960193B2 (en) * 2007-02-16 2015-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Mobile medical ventilator
KR101180309B1 (ko) * 2012-03-27 2012-09-06 (주)서일퍼시픽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
JP2015533606A (ja) * 2012-11-09 2015-11-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被験者の気道に圧力パルスを供給するシステム
WO2015033288A1 (en) * 2013-09-04 2015-03-12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Improvements to flow therapy
JP6384377B2 (ja) * 2015-03-25 2018-09-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超音波式ネブライザ
JP6960905B2 (ja) * 2015-08-26 2021-1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機械的な送排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9749A1 (en) * 2003-09-08 2005-02-24 Emerson George P. Insufflation-exsufflation system for removal of broncho-pulmonary secretions with automatic triggering of inhalation phase
KR101038262B1 (ko) *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
US20120285460A1 (en) * 2011-05-13 2012-11-15 Lung Assist, Inc.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Airway Clearance Apparatus
US20150165144A1 (en) * 2012-06-05 2015-06-18 Koninklijke Philips N.V. In-exsufflation therapy auto-adjustment
KR101459332B1 (ko) * 2014-08-19 2014-11-07 (주)서일퍼시픽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
KR101606681B1 (ko) * 2016-01-13 2016-03-28 (주)서일퍼시픽 이동식 기침 유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64038A (zh) 2017-07-21
CN106964038B (zh) 2019-09-03
KR101606681B1 (ko) 2016-03-28
US20180361089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262B1 (ko)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
JP7473214B2 (ja) 分泌物トラップ
KR101180309B1 (ko) 방향 전환 밸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침 보조 장치
CN100512899C (zh) 用于去除支气管肺部分泌物的吸入阶段自动触发的吹入-呼出系统
AU2016339393B2 (en) Inexsufflation system
WO2017122910A1 (ko) 이동식 기침 유발기
WO2021015368A1 (ko) 창호 탈부착형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RU2013133923A (ru) Аппарат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ой воздуходувкой
WO2016086354A1 (zh) 麻醉机呼吸系统及麻醉机
CN106552308A (zh) 一种全自动无创咳痰机
WO2016086351A1 (zh) 麻醉呼吸系统及其消毒控制方法
CN206837209U (zh) 一种呼吸机
WO2006088007A1 (ja) 呼吸補助装置
WO2016155392A1 (zh) 呼吸机及其除水汽的气路系统
KR101459332B1 (ko) 고빈도 진동파를 이용한 이동식 기침 유발기
WO2022154175A1 (ko) 호흡 동기화를 통한 고유량 호흡 치료 장치 및 방법
CN109157724B (zh) 一种神经外科重症患者排痰装置
CN206837206U (zh) 一种呼吸机
KR20110108014A (ko) 기침 보조 장치
JP2002219175A (ja) 人工呼吸吸引両用アダプタ及び自動吸引装置
CN206120891U (zh) 一种排痰机及其呼吸机系统
KR101925454B1 (ko) 고빈도 기도압력 발생기
CN212214340U (zh) 内科护理用便携式供氧吸痰装置
JPH08299307A (ja) 肺機能測定装置
JP2002200168A (ja) 人工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85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852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