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86761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86761A1
WO2017086761A1 PCT/KR2016/013422 KR2016013422W WO2017086761A1 WO 2017086761 A1 WO2017086761 A1 WO 2017086761A1 KR 2016013422 W KR2016013422 W KR 2016013422W WO 2017086761 A1 WO2017086761 A1 WO 20170867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public safety
safety net
l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4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동정식
송준혁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866713.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64685B1/en
Priority to CN201680067732.XA priority patent/CN108293217B/zh
Priority to US15/774,508 priority patent/US11109211B2/en
Publication of WO20170867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867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은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최대 100 M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채널 상황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자원 등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자원의 양과 채널의 상황 및 데이터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인 LTE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가 무선 전송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한다.
최근 LTE 통신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 시스템 (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진화된 LTE-A 시스템에서는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개선도 포함된다. MBMS는 LTE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이다.
한편, LTE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LTE 통신 시스템을 통해 공공 안정망 서비스를 지원받는 단말(이하, PS-LTE 단말)을 일반 단말과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중 인터페이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어떤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의 형태로 제공된다. 특히 eMBMS(enhanced-MBMS) 서비스는 특정 주파수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다수의 주파수를 지원할 경우 PS-LTE 단말을 구분하여 특정 주파수로 이동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은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필요 시, 상기 단말을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시키기 위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에 접속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며, 필요 시 상기 단말을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시키기 위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S-LTE 단말에 대한 구분을 통해 PS-LTE 단말의 접속을 인지하고 해당 단말에 대해 PS-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PS-LTE 단말 정보를 통해 일반 단말과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MBMS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MBSFN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 맵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단말이 MBSFN 수신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PS-LTE 지원을 알리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게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게 PS-LTE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라, PS-LTE 서비스 도중 수신된 호(call)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공공 안전 망 또는 PS-LTE(public safety LTE)는 대용량 그룹 통신을 위해 향상된 MBMS(enhanced-MBMS) 기술을 기반으로 한 PTT(Push to Talk) 서비스를 지원하는 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공공 안전 망 또는 PS-LTE는 공공의 안전을 위하거나 또는 재난 사태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기지국은 자신의 릴리즈 버전에 따라 상기 공공 안전 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이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PS-LTE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한 단말과, 상기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단말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공 안전망 서비스는 eMBMS 기술에 기반한 공공 안전망을 통해 제공받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MBMS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MBMS 서비스 영역(MBMS service area, 100)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영역이다.
MBSFN 영역(MBSFN Area, 105)(또는, 방송 영역 정보, 이하 두 용어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은 MBSFN 전송을 위해, 통합되어진 여러 셀들로 구성되어진 네트워크 영역이며, MBSFN 영역 내의 셀들은 모두 MBSFN 전송이 동기화되어 있다.
MBSFN 영역 예약 셀(MBSFN Area Reserved Cells, 110)을 제외한 모든 셀들은 MBSFN 전송에 이용된다. MBSFN 영역 예약 셀(110)은 MBSFN 전송에 이용되지 않은 셀로, 다른 목적을 위해 전송이 가능하나, MBSFN 전송에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해, 제한된 송신 전력이 허용될 수 있다.
도 2는 MBSFN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 맵핑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서는 MCH (200)을 이용하며, MCH는 물리 계층의 PMCH (205)와 맵핑된다.
데이터를 특정 단말에 대해서만 전송하는 유니캐스트 방식은 일반적으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210)을 이용한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라디오 프레임 (3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 (30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일반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일반 서브프레임 (310)'과 방송들을 위해 사용되는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이하 MBSFN이라 칭함) 서브프레임 (315)'의 형태가 존재한다.
일반 서브프레임과 MBSFN 서브프레임의 차이는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 심볼의 개수, 순환전치 (Cyclic prefix)의 길이, 셀 특정 기준 신호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CRS) 등의 구조 및 개수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Rel-8, Rel-9 시스템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은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혹은 멀티캐스트 (multicast)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이 되었다. 하지만, 시스템이 진화하여 LTE Rel-10부터는 MBSFN 서브프레임이 브로드캐스트 혹은 멀티캐스트의 목적 뿐만 아니라, 유니캐스트 (unicast)의 목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LTE에서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이하 PDSCH라 칭함)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단말들을 멀티 안테나(Multi-antenna) 기술 및 RS (Reference signal)와 관련된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TM)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현재 LTE Rel-10에서는 TM1~TM9까지 존재한다. 각각의 단말은 PDSCH 전송을 위해 하나의 TM을 가지며, TM 8번이 Rel-9에서, TM 9번이 Rel-10에서 새롭게 정의되었다.
여기서, 특히 TM 9번은 최대 8개의 랭크를 가지는 SU-MIMO (single user-multi-input multi-output)를 지원한다. TM 9번은 다중 레이어의 전송을 지원하며, 복조 (de-modulation)시 Rel-10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복조 기준 신호; 이하 DMRS라 칭함)를 사용하여, 최대 8개 레이어의 전송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 Rel-10 DMRS는 미리 코딩된 (precoded) DMRS가 전송되나, 해당 프리코더 인덱스 (precoder index)를 수신단에 알려줄 필요가 없다.
또한, TM 9번을 지원하기 위해, Rel-10에서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하향링크 제어정보; 이하 DCI라 표기) 포맷 2C가 신규로 정의되었다. 특기할 것은 Rel-10 이전의 단말들은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디코딩을 시도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단말들에게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디코딩을 시도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이전 릴리스 (release)의 단말의 업그레이드 요구로 이어진다.
전술한 TM 중 특히 TM 9은 다중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송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송 모드이다. 본 발명에서 기지국은 MBSFN 서브 프레임에서도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을 높일 필요가 있는 단말에게는 TM 9을 설정하고, TM 9이 설정된 단말만 MBSFN 서브 프레임에서 유니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한다.
한편 유니캐스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LTE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이 실제로 어디에서 일어나는지를 PDCCH에서 알려주며, 실제 데이터는 PDSCH 에서 전송한다. 단말은 실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PDCCH에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자원할당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반면, MBSFN은 다소 더 복잡한 과정을 통해, 자원할당 정보를 획득한다.
우선,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인 SIB13(System Information Block 13) 을 통해, 단말에게 셀이 제공하고 있는 MBSFN 영역(MBSFN Area) 별 MCCH (Multicast Control Channel)의 전송 위치를 알려준다. MCCH는 MBSFN을 위한 자원할당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단말은 MCCH을 디코딩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의 전송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MBMS가 종래의 유니캐스트와 다른 방식을 통해, 자원할당 정보를 제공하는 이유는 MBMS가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에게도 제공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 채널인 MCCH의 전송 위치를 브로드캐스트 정보인 SIB13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MBMS 서비스를 수신하는 전체적인 과정은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단말이 MBSFN 수신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405 단계에서 단말 (400)은 기지국 (403)으로부터 SIB1을 수신한다. 상기 SIB1에는 다른 SIB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SIB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SIB1을 선행적으로 수신하여야 한다.
410 단계에서 단말 (400)은 기지국 (403)으로부터 SIB2을 수신한다. SIB2의 MBSFN 서브프레임 설정 리스트(MBSFN-SubframeConfigList IE)에는 MBSFN 전송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지시한다.
MBSFN-SubframeConfigList IE에는 MBSFN-SubframeConfig IE 가 포함되며, 어느 라디오 프레임 (Radio frame)의 어느 서브프레임 (subframe)이 MBSFN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지를 지시한다. 아래의 표 1은 MBSFN-SubframeConfig IE의 구성 표이다.
[표 1]
Figure PCTKR2016013422-appb-I000001
여기서, 라디오 프레임 할당 주기(radioFrameAllocationPeriod)와 라디오 프레임 할당 오프셋(radioFrameAllocationOffset)은 MBSFN 서브프레임을 갖은 라디오 프레임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며, 수식 SFN mod radioFrameAllocationPeriod = radioFrameAllocationOffset을 만족하는 라디오 프레임은 MBSFN 서브프레임을 갖는다.
SFN은 시스템 프레임 넘버(System Frame Number)이며, 라디오 프레임 번호를 지시한다. 상기 SFN은 0 부터 1023의 범위를 갖고, 반복된다.
서브프레임 할당(subframeAllocation)은 상기 수식에 의해 지시된 라디오 프레임 내에서 어느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지를 지시한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단위 또는 네 라디오 프레임 단위로 지시할 수 있다.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단위를 이용할 경우, oneFrame IE에 지시된다. MBSFN 서브프레임은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 내의 총 10 개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1, 2, 3, 6, 7, 8번째 서브프레임들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oneFrame IE는 6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나열된 서브프레임 중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네 라디오 프레임 단위를 이용할 경우, fourFrames IE에 지시된다. 네 라디오 프레임들을 커버하기 위해 총 24 비트를 이용하여, 라디오 프레임마다 상기 나열된 서브프레임 중에서 MBSFN 서브프레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단말은 MBSFN-SubframeConfigList IE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MBSFN 서브프레임이 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다.
만약 단말 (400)이 MBSFN 수신을 원한다면, 단말 (400)은 415 단계에서, 기지국 (405)으로부터 SIB13을 수신한다. SIB13의 MBSFN 영역 정보 리스트(MBSFN-AreaInfoList IE)에는 셀이 제공하고 있는 MBSFN 영역 별 MCCH가 전송되는 되는 위치 정보가 포함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은 MCCH을 420 단계에서 수신한다.
아래의 표2는 MBSFN-AreaInfoList IE을 보이고 있다.
각 MBSFN 영역 (area)마다 이에 대응하는 MCCH가 존재하며, MBDFN-AreaInfoList IE는 모든 MBSFN 영역의 MCCH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MBSFN-AreaInfo IE는 MCCH 스케줄링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Mbsfn-AreaId 는 MBSFN area ID이다. Non-MBSFNregionLength은 MBFSN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 들 중에서 non-MBSFN 영역에 해당하는 심볼의 개수를 나타낸다. 상기 심볼은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 위치한다. notificationIndicator는 단말에게 MCCH 정보의 변경을 알려주는 PDCCH bit을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Mcch-Config IE는 MCCH 스케줄링 정보를 담고 있다. Mcch-RepetitionPeriod 및 mcch-Offset은 MCCH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Mcch-ModificationPeriod는 MCCH의 전송 주기이며, sf-AllocInfo는 상기 MCCH을 포함하는 프레임 내에 MCCH을 포함한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한다. signallingMCS는 sf-AllocInfo가 지시하는 서브프레임 및 (P)MCH에 적용된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KR2016013422-appb-I000002
MCCH의 MBSFN 영역 설정(MBSFNAreaConfiguration IE)에는 MBSFN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자원의 위치를 지시하며, 단말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MBSFN 서브프레임을 425 단계에서 수신한다. commonSF-Alloc은 MBSFN area에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commonSF-AllocPeriod은 상기 commonSF-Alloc이 지시하는 서브프레임들이 반복하는 주기이다.
Pmch-InfoList IE는 한 MBSFN 영역의 모든 PMCH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표 3]
Figure PCTKR2016013422-appb-I000003
단말은 수신한 MAC PDU의 MAC CE (Control Element) 중 하나인, MCH 스케쥴링 정보 MAC CE(MCH scheduling information MAC CE)에서 원하는 MTCH가 전송되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430단계에서 획득한다. 단말은 MCH 스케쥴링 정보(MCH scheduling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원하는 MTCH을 435 단계에서 디코딩한다.
한편, 종래의 PS-LTE 단말은 일반 단말과 구분되지 않고, 동일한 서비스를 받는다. 즉, 종래에는 PS-LTE 단말과 일반 단말을 구분할 수가 없었다.
이로 인해, PS-LTE 단말은 특정 주파수에서 서비스하는 PS-LTE용 eMBMS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해당 주파수로 이동되어야 하지만, PS-LTE 단말에 대한 구분 또는 PS-LTE 서비스 요청을 위한 별도 메시지가 없어 일반 단말과 차별화된 접속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PS-LTE단말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동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PS-LTE 단말이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인지시키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PS-LTE 단말이 일반 단말과 같이 임의의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특정 조건 만족 시 PS-LTE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PS-LTE 단말이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인지시키는 제1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PS-LTE 단말이 단말 능력 메시지에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S-LTE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임을 알리는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가지는 단말이 자신에게 접속한 경우, 상기 단말을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상기 PS-LTE 단말을 핸드 오버 시킨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도 5를 참고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기지국(510)은 S510 단계에서, 단말 능력 문의 메시지(UECapabilityEnquiry)를 단말(500)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단말(500)은 자신이 PS-LTE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단말(500)이 자신이 PS-LTE를 지원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S520 단계에서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S-LTE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기지국(510)에게 전송한다. 상기 PS-LTE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는 예를 들어, PS-LTE support 일 수 있다.
기지국(510)은 단말(500)로부터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에게 PS-LT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은 eMBMS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10)은 상기 단말(500)이 이미, eMBMS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510)에 접속한 경우에는 별도의 핸드 오버 명령을 단말(500)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기지국(510)이 상기 단말(500)에게 PS-LT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eMBMS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S530 단계에서 상기 단말(500)에게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500)은 S540 단계에서, 상기 단말(500)의 핸드 오버 명령에 따른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 오버는 주파수 간 핸드 오버(inter-frequency handover)일 수 있다.
e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한 단말(500)은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PS-LTE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PS-LTE 단말이 일반 단말과 같이 임의의 주파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중, 특정 조건 만족 시 PS-LTE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PS-LTE 단말은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후,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S 관심 지시(P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기본 호 설정 과정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키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PS 관심 지시(PSInterestIndication)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단말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는 경우라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단말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기지국은 상기 단말을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수 있다. 상기 핸드 오버는 주파수 간 핸드 오버(inter-frequency handover)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으로 PS-LTE 지원을 알리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말(600)과 기지국(610)은 S610 단계에서,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단말(600)은 기지국(610)에게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기지국(610)은 이에 대응하여 단말(600)에게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600)은 다시 기지국(610)에게 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에, 단말(600)은 S620 단계에서, 기지국(610)에게 메시지 전송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600) 내부에서 PS-LTE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전송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단말(600)은 S630 단계에서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S-LTE 관심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6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610)은 상기 단말(600)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는 경우라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단말(600)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기지국(610)은 S640 단계에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6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600)은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한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제3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15를 통해 단말에 방송(broadcast)할 수 있다. 상기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정보는 특정 주파수 자체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함을 알리는 지시자(indication) 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SIB15 메시지에 하기의 표 4와 같이, PS-LTE 지원 주파수 정보(ps-lte-support)를 추가할 수 있다.
[표 4]
Figure PCTKR2016013422-appb-I000004
상기의 내용을 도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게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특정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방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기지국(710)은 우선,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710)은 상기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IB 메시지는 예를 들어, SIB 15일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710)은 S710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SIB 15 메시지를 방송(broadcast) 한다.
그러면, 단말(700)은 기지국(710)이 방송하는 SIB 15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700)은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710)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7100)은 자신이 PS 관심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710)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700) 내부에서 PS-LTE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전송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단말(700)은 S720 단계에서 PS-LTE 관심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7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의 구체적인 과정은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710)은 상기 단말(700)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는 경우라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단말(700)이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에 캠핑하고 있지 않는 경우라면, 기지국(710)은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6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700)은 PS-LTE를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함을 단말에게 알리는 제4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을 단말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PS-LTE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은 상기 PS-LTE 서비스를 특정 주파수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함을 알리는 지시자(indication) 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랜덤 액세스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 1 단계로서 S810 단계에서, 단말(800)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810)은 단말(800)과 기지국(810) 사이의 전송 지연값을 측정하고, 상향링크 동기를 맞춘다. 이 때 단말(800)은 어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할지는 사전에 주어진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세트 내에서 임의로 선택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초기 전송전력은 단말(800)이 측정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경로손실(pathloss)에 의해 정해진다.
제2 단계로서, S820 단계에서 기지국(810)은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단말(8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기지국(810)은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제1 단계에서 측정한 전송지연 값으로부터 단말에게 타이밍 조절 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810)은 스케쥴링 정보로서 단말이 사용할 상향 링크 자원 및 전력제어 명령을 함께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810)은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통해 단말(800)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는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일 수도 있고,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단말(800)이 제2 단계(S820)에서 기지국(810)으로부터 스케쥴링 정보(random access response)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2 단계(820)를 다시 진행한다.
제3 단계로서, S830 단계에서, 단말(800)은 기지국(810)에게 자신의 단말 아이디를 포함한 상향링크 데이터(message 3)를 제2 단계(S820)에서 할당받은 상량링크 자원을 통해 전송한다. 이때 단말(800)의 전송 타이밍 및 전송 전력은 제2 단계(S820)에서 기지국(810)으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따른다.
마지막으로 제4 단계로서, S840 단계에서, 기지국(810)은 단말(800)이 다른 단말과 충돌 없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3 단계(S830)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데이터(message 4)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말(800)은 기지국(810)으로부터 제4 단계(S840)에서 기지국이 전송한 신호가 수신되면, 랜덤 액세스가 성공했음을 판단한다.
만일 단말(800)이 제3 단계(S830)에서 전송한 데이터와 다른 단말의 데이터가 서로 충돌하여 기지국(810)이 단말(800)로부터의 데이터 신호 수신에 실패하면, 기지국(810)은 단말(800)에게 더 이상의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는다.
이에 단말(800)은 일정 시간 구간 동안 기지국(810)으로부터 제4 단계(S84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수신을 하지 못하면, 랜덤 액세스 절차 실패로 판단하고, 제 1 단계(S810)부터 다시 시작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에 성공하면, 단말(800)은 랜덤 액세스에 의해 전력제어(power control)된 단말의 전송전력 값을 기준으로 기지국(810)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혹은 제어채널의 초기 전송전력을 설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PS-LTE 단말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말은 S9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9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단말은 PS-LTE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환경 설정 등의 사용자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공장에서 출고 시 설정된 최초(default)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리도록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은 S94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만약,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리지 않도록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은 S9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PS-LTE 단말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말은 S10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0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1030 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040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PS-LTE는 공공 안전망 관련 서비스이고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재난 시 무선 통신 등이 그 예시이다. 이에 따라, PS-LTE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소방관, 경찰관, 의사, 간호사 등일 수 있다. 이들은 근무 시간에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을 공공 안정망 관련 서비스 사용에 이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근무 시간 이외의 시간에서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을 사생활에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확인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된 현재 시간이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현재 확인된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역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S10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만약, 현재 확인된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S106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PS-LTE 단말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리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말은 S11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1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1130 단계에서, 단말은 접속한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시스템 정보 등을 확인하여, 접속한 기지국의 PS-LTE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OMA(Open Mobile Alliance) 프로토콜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통해, 접속한 기지국의 PS-LTE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접속한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은 S114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만약, 현재 접속한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은 S11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단말이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감지하면, 이를 기지국에 알리는 동작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말은 S12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2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단말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음성 패킷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패킷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고화질 HD 영상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 워키토키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헤더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금융, 영화, 음악, PS-LTE 등의 분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ID) 등을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감지되었다면, 단말은 S1240 단계로 진행하여 PS-LTE 단말임을 기지국으로 알리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환경 설정 등의 사용자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공장에서 출고 시 설정된 최초(default)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 보고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S12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만약, 기지국으로 보고하도록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S126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12의 설명에서는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면, 단말이 PS-LTE 단말임을 기지국으로 알리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단말은 S1240 단계 생략하여, PS-LTE 단말임을 기지국으로 바로 보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는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것을 감지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것이다.
우선, 단말은 S13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3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13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S-LTE 관련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PS-LTE 관련 정보는 기지국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ion)일 수 있다. 또는 상기 PS-LTE 관련 정보는 PS-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PS-LTE 관련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RRC 메시지 등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물리 계층, MAC 계층의 메시지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PS-LTE 관련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단말은 S1340 단계로 진행하여, PS-LTE 지원 기지국에 접속한 경우 이를 표시할 것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환경 설정 등의 사용자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공장에서 출고 시 설정된 최초(default)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할 것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S1350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접속하였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만약, 표시할 것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S1360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접속하였음을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 13의 설명에서는 PS-LTE 관련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표시할 것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단말은 S1340 단계 생략하여, 단말이 PS-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에 접속하였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또한, 상기에서는 PS-LTE 관련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PS-LTE 관련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단말은 사용자에게 단말을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켜줄 것을 기지국에게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실시예로도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은 S14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4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1430 단계에서, 단말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음성 패킷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패킷 송수신 어플리케이션, 고화질 HD 영상 통화 관련 어플리케이션, 워키토키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헤더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금융, 영화, 음악, PS-LTE 등의 분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ID) 등을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감지되었다면, 단말은 S144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PS-LTE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줄 것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45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동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S146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 PS-LTE 주파수 대역으로의 이동(예를 들어, 핸드 오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과 신규 정의된 메시지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핸드 오버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서빙 주파수의 수신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고의적으로 설정하여, 기지국에게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서빙 주파수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47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147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S1480 단계에서 핸드 오버 명령에 따라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 오버는 주파수 간 핸드 오버 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서비스가 제공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은 S15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5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530 단계에서,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540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PS-LTE는 공공 안전망 관련 서비스이고 예를 들어, 긴급 구조, 재난 시 무선 통신 등이 그 예시이다. 이에 따라, PS-LTE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소방관, 경찰관, 의사, 간호사 등일 수 있다. 이들은 근무 시간에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을 공공 안정망 관련 서비스 사용에 이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근무 시간 이외의 시간에서는 자신이 소유한 단말을 사생활에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확인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지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된 현재 시간이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통계적으로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현재 확인된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역에 포함된다면, 단말은 S15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56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보고 요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고 요청이 수신된 경우, 단말은 S1570 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상기에서는 확인된 현재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대역에 해당하는 경우, 기지국에 PS-LTE 단말임을 보고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단말은 기지국에 PS-LTE 주파수 대역으로의 이동(예를 들어, 핸드 오버)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과 신규 정의된 메시지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핸드 오버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서빙 주파수의 수신 신호 세기를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고의적으로 설정하여, 기지국에게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는 서빙 주파수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자신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S158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1585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S1590 단계에서 핸드 오버 명령에 따라 핸드 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 오버는 주파수 간 핸드 오버 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게 PS-LTE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과정에 대해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1600)은 S1610 단계에서 기지국에게 RRC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접속 절차는 단말(1600)과 기지국(1610)이 RRC 연결 메시지를 주고 받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1610)은 S1620 단계에서 OMA 프로토콜에 따른 SMS 메시지를 단말(16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MS 메시지에는 PS-LTE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S-LTE 관련 정보는 기지국(1610)이 PS-LTE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PS-LTE 관련 정보는 기지국(1610) 상에서,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라, PS-LTE 서비스 도중 수신된 호(call)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은 S1710 단계에서 전원이 on 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러면, 단말은 S1720 단계에서 시스템 접속 절차 수행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셀을 서치(search)하고, 서치 결과 가장 센 신호가 수신되는 셀에 대해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730 단계에서, PS-LTE 관련 서비스가 개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 헤더에 포함된 카테고리 정보(금융, 영화, 음악, PS-LTE 등의 분류), 어플리케이션 식별자(ID) 등을 이용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740 단계에서 호(call)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ed, CS)을 통해 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LTE 서비스를 이용하던 도중, WCDMA 등의 3G 통신망을 통해 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ed)을 통해 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LTE 서비스를 이용하던 도중, VoIMS 등의 LTE 통신 망을 통해 호가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은 S1750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1760 단계에서, PS-LTE 서비스 도중 호를 수신하여도 PS-LTE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PS-LTE 서비스 도중 호를 수신하여도 PS-LTE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단말은 S1770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호를 거절한다. 그리고 단말은 PS-LTE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다.
반면, PS-LTE 서비스 도중 호 수신 시 PS-LTE 서비스를 중단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단말은 S1780 단계로 진행하여 PS-LTE 서비스를 중단한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된 호에 연결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알릴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알림 영역(1800)을 통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보고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영역(1800)은 긍정에 상응하는 아이콘과, 부정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사용자로부터의 긍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은 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자동으로 알릴지 여부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자동으로 보고할 지여 부가 설정될 수 있다.
긍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자동으로 알릴 수 있다.
반면, 부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시스템에 최초 접속 시, 기지국에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알리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LTE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한해, PS-LTE 관련 정보를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다고 기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PS-LTE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통계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통계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예시에 대해 기술한다.
도 20에서 기술되는 <접속>은 PS-LTE 관련 서비스에 접속하였음을 의미하고, <비접속>은 PS-LTE 관련 서비스에 접속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접속>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임을 의미하고, <비접속>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미실행 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월요일에는 6시부터 8시까지 비접속 상태이고, 8시부터 19시까지 접속 상태이며, 18시이후에는 비접속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월요일에는 8시부터 19시까지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요일에도 6시부터 8시까지 비접속 상태이고, 8시부터 19시까지 접속 상태이며, 18시이후에는 비접속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화요일에는 8시부터 19시까지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반면, 수요일에는 6시부터 9시까지 비접속 상태이고, 9시 이후에는 비접속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수요일에는 6시부터 9시까지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목요일에는 6시부터 18시까지 접속 상태이고, 18시 이후에는 비접속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목요일에는 6시부터 18시까지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의 예시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통계적 자료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확인된 현재 시간 및 상기 추정된 근무 시간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S-LTE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근무 시간에 한해, PS-LTE 관련 정보를 기지국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단말은 사용자의 PS-LTE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S-LTE 서비스 접속 시간,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 여부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서는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2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알림 영역(2100)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영역(2100)은 긍정에 상응하는 아이콘과, 부정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긍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확인된 현재 시간 및 상기 추정된 근무 시간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로부터 부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키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2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상기 단말이 수집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긍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킬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사용자의 근무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확인된 현재 시간 및 상기 추정된 근무 시간에 기반하여, 기지국에게 PS-LTE 단말임을 보고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부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수집된 정보를 PS-LTE 서비스 이용에 연동시키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감지하면, 이를 기지국에 알릴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2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알림 영역(2300)을 통해, 단말이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감지하면, 이를 기지국에 알릴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영역(2300)은 긍정에 상응하는 아이콘과, 부정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사용자로부터의 긍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은 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 능력 메시지(UE capability)를 통해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단말과 기지국이 신규 메시지를 정의하여, PS-LTE 단말임을 단말이 기지국으로 알릴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의 부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기지국에게 자신이 PS-LTE 단말임을 알리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음을 감지하면, 이를 기지국에 알릴지 여부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2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감지 시, 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것인지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긍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 실행 감지 시,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기지국에게 자동으로 알릴 수 있다.
반면, 부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PS-LTE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감지하더라도, 기지국에 자신이 PS-LTE 단말 또는 PS-LTE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임을 알리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PS-LTE 서비스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호에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2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알림 영역(2500)을 통해, 단말이 PS-LTE 서비스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호에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영역(2500)은 긍정에 상응하는 아이콘과, 부정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긍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PS-LTE 서비스를 중단하고, 수신된 호에 연결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부정에 상응하는 입력 수신을 감지하면, 단말은 수신된 호를 거절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PS-LTE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PS-LTE 서비스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호에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환경 설정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도 2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환경 설정 메뉴를 통해, PS-LTE 서비스 이용 도중 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호에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긍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PS-LTE 서비스 중 호가 수신되면, 상기 PS-LTE 서비스를 중단하고, 수신된 호에 연결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부정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PS-LTE 서비스 중 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호를 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복수 개의 실시예를 구분하여 기술하였지만, 상기 각 실시예가 반드시 독립적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 능력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과정에서는 제1 실시예가 적용되고,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한 후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제2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단말이 SIB 15를 수신하는 동작은 단말이 기지국에 캠핑한 후에는 어느 과정에서라도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2710), 오디오 처리부(2720), 키 입력부(2730), 터치스크린부(2740), 저장부(2750) 및 제어부(276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710)는 단말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27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7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760)로 출력하고, 제어부(27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7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7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키 입력부(2730)는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273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27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2730)가 생략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2740)는 터치센서부(2741) 및 표시부(274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부(27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274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274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27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7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274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76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부(274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긍정 또는 부정에 상응하는 입력을 제어부(276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274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말의 메뉴(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2742)는 단말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단말은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27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2740)는 표시부(274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저장부(2750)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단말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60)는 단말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760)는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60)는 상기 핸드 오버 명령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760)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60)는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고, 감지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6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송수신부(2810), 메모리(2820), 제어부(28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2810)는 단말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2810)는 기지국이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반면, 송수신부(2810)는 기지국이 코어 노드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유선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메모리(28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830)는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830)는 핸드 오버 제어부(28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30)는 상기 단말로부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핸드 오버 제어부(2831)는 상기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 오버 제어부(2831)는 핸드 오버 필요 시, 상기 단말을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시키기 위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30)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30)는 단말에서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30)는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방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2830)와 핸드 오버 제어부(2831)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분되고,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기술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핸드 오버 제어부(2831)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283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감지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알림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영역을 통해 긍정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지원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 중, 호 수신을 감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된 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필요 시, 상기 단말을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시키기 위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에서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방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수신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고, 감지 시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하며,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 중 호 수신을 감지하면, 사용자 설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된 호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알림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알림 영역을 통해 긍정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지원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현재 시간이 특정 시간 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공공 안전망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공공 안전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을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 시킬 필요가 있는지 판단하며, 필요 시 상기 단말을 상기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핸드 오버시키기 위한 핸드 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단말에서 공공 안전망 서비스 개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감지되면,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의 핸드 오버를 요청하는 지시자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공 안전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방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 블록은 시스템 정보 블록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16/013422 2015-11-19 2016-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170867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66713.7A EP3364685B1 (en) 2015-11-19 2016-11-21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public safety net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680067732.XA CN108293217B (zh) 2015-11-19 2016-11-21 无线通信系统中支持公共安全网接入的方法和设备
US15/774,508 US11109211B2 (en) 2015-11-19 2016-11-21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public safety net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467 2015-11-19
KR1020150162467A KR102396800B1 (ko) 2015-11-19 2015-1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6761A1 true WO2017086761A1 (ko) 2017-05-26

Family

ID=5871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422 WO2017086761A1 (ko) 2015-11-19 2016-1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09211B2 (ko)
EP (1) EP3364685B1 (ko)
KR (1) KR102396800B1 (ko)
CN (1) CN108293217B (ko)
WO (1) WO2017086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24B1 (ko) * 2019-12-31 2021-09-06 옥타코 주식회사 PS-LTE용 FIDO 거래인증 기반의 OneID 기록관리 블록체인 시스템
US11877299B2 (en) * 2020-03-05 2024-01-16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resources for group-feedback in multi-cas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1875A (ja) * 1996-07-24 1998-02-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自動緊急通信機能付携帯電話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90023479A (ko) * 2006-05-12 2009-03-0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도시권 통신망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79774A (ko) * 2008-01-18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3418A (ko)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통화를 위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
WO2013051832A2 (ko) * 2011-10-03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관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447B1 (en) 2000-04-10 2009-11-24 Nokia Corporation Telephony services in mobile IP networks
BRPI0413816B1 (pt) * 2003-08-22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de re-seleção de célula para receber dados de pacote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om suporte para mbms
US7924871B2 (en) 2004-11-24 2011-04-12 Nextel Communications Inc. Control channel priority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7715842B2 (en) 2005-04-09 2010-05-11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andover of mobile terminal
KR101216091B1 (ko) * 2005-04-09 2012-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를 위한 제어 메시지 송신 방법
US10178522B2 (en) 2005-08-0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VoIP emergency call support
US20070054664A1 (en) * 2005-09-01 2007-03-08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 connection using hand-off
US7639792B2 (en) 2005-11-23 2009-12-29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management and emergency support for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device
US20070149166A1 (en) 2005-12-23 2007-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oice call continuity for emergency calls
US8340626B2 (en) 2006-04-28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all continuity for VOIP emergency calls
CN100488287C (zh) * 2006-09-22 2009-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紧急呼叫业务的定位方法及系统
US20080171533A1 (en) 2007-01-15 2008-07-17 Sharp Douglas A System, method, and gateway for interfacing public safety and security (pss) systems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KR101370900B1 (ko) * 2007-04-25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긴급 통신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이동 단말
US8254877B2 (en) 2008-01-04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call establishment for IMS emergency calls
US8326324B2 (en) 2008-01-08 2012-12-04 Wi-La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positioning within radio access systems
WO2009091191A2 (en) 2008-01-18 2009-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2497634B (zh) * 2008-03-24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增强网络通讯安全性的方法和无线接入设备
US9148769B2 (en) 2008-05-07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o enable mobile stations to identify calls based on predetermined values set in a call header
US20090296689A1 (en) 2008-06-02 2009-12-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ivacy-Related Requests for an IMS Emergency Session
US8478226B2 (en) 2008-06-02 2013-07-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Updating a request related to an IMS emergency session
CN101668273B (zh) * 2008-09-05 2011-1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紧急业务切换方法
CN101800960B (zh) 2009-02-10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紧急业务会话的切换方法及紧急业务系统
US9515850B2 (en) 2009-02-18 2016-1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n-validated emergency calls for all-IP 3GPP IMS networks
CN101489279B (zh) * 2009-02-26 2010-11-1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客户端接入的控制方法和无线接入系统
US8711721B2 (en) 2010-07-15 2014-04-29 Rivada Network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rbitrage
US8971258B2 (en) 2010-07-31 2015-03-03 Motorola Solutions, Inc. Policy determination for user equipment providng mutual aid in a visited enterprise operating area of a long term evolution system
US8804574B2 (en) 2010-10-01 2014-08-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anguage dependent positioning and signalling
CN103155607B (zh) 2010-10-05 2016-03-23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紧急回叫或点击拨号会话的单无线电语音呼叫连续性
US20140301248A1 (en) 2011-11-02 2014-10-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twork support for other media during ims emergency sessions
CN103167456B (zh) * 2011-12-13 2018-04-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通信终端设备及其紧急通信方法
EP2807857B1 (en) 2012-01-27 2017-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of emergency calls from a circuit switched to a packet switched access network
JP5549695B2 (ja) * 2012-02-27 2014-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67907B2 (en) 2012-03-12 2016-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of user-equipment (UE) undetected emergency calls
JP5981172B2 (ja) * 2012-03-12 2016-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端末
US9294618B2 (en) 2012-04-03 2016-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ll-back to a UE that has made an emergency call via a visited IMS network
WO2014007574A1 (en) 2012-07-05 2014-01-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 proximity-based service for public safety
US9781649B2 (en) * 2012-08-02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MBMS support in heterogeneous network and in-venue
WO2014021650A1 (en) * 2012-08-03 2014-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843741A (zh) * 2012-08-29 2012-12-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源侧、目标侧切换通信装置、通信系统和呼叫切换方法
US9026051B2 (en) 2012-09-28 2015-05-05 Intel Corporation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manage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ing narrowband Wi-Fi in a licensed band
US9307575B2 (en) 2012-11-13 2016-04-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supporting UE relay functions
US8781438B2 (en) 2012-11-21 2014-07-15 Intel Corporation Managing non-voice emergency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084848A1 (en) 2012-11-30 2014-06-05 Nokia Siements Networks Oy Dynamic access class assignment and secondary public safety users offload in public safety network
US9386407B2 (en) 2012-12-26 2016-07-05 Good Egg Medi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a contact center
CA2902991A1 (en) * 2013-03-01 2014-09-04 Rivada Network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rbitrage
US9036635B2 (en) 2013-03-12 2015-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agating public safety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among public safety personnel
WO2014160106A1 (en) * 2013-03-13 2014-10-02 Rivada Network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rbitrage
US9107130B2 (en) 2013-06-18 2015-08-1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offloading procedure management in a public safety communication system
WO2015004142A1 (en) * 2013-07-08 2015-01-15 Nec Europe Ltd. Method for deciding to handover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on network
KR20150015855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케이티 그룹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08710B2 (en) 2013-08-08 2017-03-2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052999B1 (en) 2013-09-11 2015-06-09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determined altitude of a user equipment device located in a building
US9775134B2 (en) * 2013-09-20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verage enhancements of broadcast channels
US10117224B2 (en) 2013-09-20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MAC subheader for D2D broadcast communication for public safety
EP3050332B1 (en) 2013-09-27 2019-02-06 Koninklijke KPN N.V. Public safety system
US9209889B2 (en) 2013-09-30 2015-12-08 Motorola Solutions, Inc. LTE concentrator and distributor system and method for coverage extension
WO2015061983A1 (en) * 2013-10-30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continuity for group communications over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WO2015065053A1 (en) * 2013-10-31 2015-05-0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mbms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5080413A1 (en) * 2013-11-29 2015-06-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inter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42800B2 (en) * 2013-11-29 2018-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nicast request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13621B2 (en) 2014-04-15 2016-04-1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a channel for transmission on a multi-watch portable radio
US9775077B2 (en) * 2014-09-09 2017-09-26 Qualcomm Incorporated Derivation of eMBMs neighbor SAI information with correlation bit-map
US9485109B2 (en) * 2014-10-14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aggregation methods of broadcast channels with broadcast channels or broadcast channels with unicast channels
CN107148785A (zh) * 2014-10-27 2017-09-08 Lg 电子株式会社 在mbsfn服务边界区中提供服务连续性的方法和装置
US10231174B2 (en) * 2015-03-17 2019-03-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ist of cells providing SCPTM service
US10462839B2 (en) * 2015-04-08 2019-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delink terminal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WO2016163835A1 (en) * 2015-04-09 2016-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2 entity in channel change for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160274A1 (en) * 2015-05-07 2018-06-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base station connected to mce by mme
US10070272B2 (en) * 2015-05-15 2018-09-04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broadcast
US10681501B2 (en) * 2015-06-11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2X message
US10375757B2 (en) * 2015-08-11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performing PDCCH monitoring on SCPTM
WO2017026674A1 (ko) * 2015-08-12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이 서비스 연속성 지시자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52317A1 (ko) *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Scptm 전송을 중단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065501A1 (ko) * 2015-10-14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cptm 서비스 연속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57541B2 (en) * 2015-10-30 2020-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ssion
US10524169B2 (en) * 2016-05-18 2019-12-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 by a UE
US10728812B2 (en) * 2016-08-11 2020-07-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BMS service continu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1875A (ja) * 1996-07-24 1998-02-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自動緊急通信機能付携帯電話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90023479A (ko) * 2006-05-12 2009-03-04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도시권 통신망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79774A (ko) * 2008-01-18 2009-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53418A (ko)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통화를 위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
WO2013051832A2 (ko) * 2011-10-03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관심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364685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4685A4 (en) 2018-09-12
US11109211B2 (en) 2021-08-31
CN108293217A (zh) 2018-07-17
US20200252778A1 (en) 2020-08-06
KR102396800B1 (ko) 2022-05-11
EP3364685B1 (en) 2020-11-11
KR20170058639A (ko) 2017-05-29
EP3364685A1 (en) 2018-08-22
CN108293217B (zh)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6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cheme
WO20160992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lect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378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26139A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2134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elay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2090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22030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g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615969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대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61863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aging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620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hoc/network assisted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EP3342220A1 (en) Transmission and receip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v2x terminals
WO201921654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dn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058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l feedback information for carrier over a ul feedback channel in a multicarrier system
WO201919451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logged measurement entry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50204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ming switching operation between macro cell and small 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7135650A1 (en) Transmission and receip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time-frequency synchronization between v2x terminals
WO2020091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information window determination and uplink carrier selection
WO2014157888A1 (ko) 복수의 기지국과 연결된 상황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장치
WO2022154384A1 (en) Coordinated switching gap operations by ue comprising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network
WO2014163419A1 (ko) 무선링크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708676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공 안전망 접속 지원 방법 및 장치
WO2020159168A1 (en) Method for data replication, data counting method, corresponding entities and media
WO2020032544A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노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224019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ification of multicast session activation
WO2022216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efault beam in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67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6671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