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26787A1 -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26787A1
WO2017026787A1 PCT/KR2016/008778 KR2016008778W WO2017026787A1 WO 2017026787 A1 WO2017026787 A1 WO 2017026787A1 KR 2016008778 W KR2016008778 W KR 2016008778W WO 2017026787 A1 WO2017026787 A1 WO 20170267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charging
light
charg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7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용기
이강수
Original Assignee
정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기 filed Critical 정용기
Publication of WO20170267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267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pole lightning arreste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 emitting unit that can easily check the operation of the lightning arrester by irradiating light with power supplied from a lightning current of lightning. It relates to a dipole lightning arrester provided.
  • the lightning arrester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uilding to form a discharge path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ground to safely discharge the charge accumulated in the thundercloud to the ground.
  • the air in the atmospheric layer acts as a good insulator, so there is no insulation breakdown, that is, lightning strikes between the earth and thunderclouds,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ightning strikes occur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earth.
  • a lightning arrester using an electric field phenomenon (tip effect) in which an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at the peak is known, and such a lightning arrester is called a planar rushing method.
  •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As shown,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ilding fixed portion 31 is connected to the ground means, the rod 30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xed portion 31 is charged to the ground charge A rod cap 32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0 to induce lightning strike, an insulator 34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0, and a charging means 45 mounted to the rod 30. Consisting of the rod 30 is embedded in the center of the charging tube (45a).
  • the charging means 45 is made of a tube (tube) in the center of the rod 30 penetrates to the rod 30 toward the rod 30 is formed in the charging tube 45a, the charging tube ( The first cap 45c and the second cap 45d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rod 45a to the rod 30 are formed, and the second cap 45d is formed by the stopper 46 on the insulator 34. Tightly fixed)
  • the lightning arre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erforming a normal operation to safely send the impact current of lightning due to thunderclouds to the groun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learly know whether the user is operating normally.
  • the lightning arrester is a structu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ilding to check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y the operator to climb directly to the narrow work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risk and excessive time required accordingly .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5499 (2011. 3. 22)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emitting unit that can easily check the operation of the lightning arrester by irradiating light from the power supplied from the lightning current of the lightning strike It is to provide a dipole lightning arrester provided.
  • the dipole lightning arresto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is a dipole lightning arrester comprising a rod member to which the ground charge is charged, a charging plate or a charge tube charged by a thundercloud, And a light emit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rod member and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and configured to emit light by electrical energy charged by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by a thundercloud.
  •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fastening bolt which maintains an electrical 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rod member and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and a fastening bolt for forming a detachable concave groove for fixing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t is installed in the removable concave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pr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ght emitting portion.
  • At least one light transmitting hol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bolt to be wrapped.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coupling for forming a complementary coupling to be detachable to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 the light-transmitt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lens for diffusing the irradiated light at the same time as the closed closing to prevent the entry of foreign matter.
  • the terminal piec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terminal pie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piec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terminal pie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inward.
  •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ece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buzzer is additionally insta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and a diffusion lens provided in the light transmission hole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is turned on Not only can be clearly identified, but the light distribution and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unit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charging plate or the charging tub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ec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clearly checking the grounding state of the lightning arrester and whether it is in normal operation.
  • FIG.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ghtning arres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pol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of FIG. 2.
  •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of FIG. 4.
  •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of FIG. 4.
  • FIG. 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coustic buzzer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tube of FIG. 2.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harging plate.
  • the dipol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rod member 100 to which earth charge is charged, a charging plate 200 or a charge tube 300 to be charged by thunderclouds, and the rod member (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and emits light due to electrical energy charged by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by thundercloud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rod member 100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stand perpendicular to the outdoor ground, and serves to charge the ground charge.
  • the lower end of the rod member 1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ixing plate 101 for stably fixing the rod member 100 and at the same time to further impr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earth.
  • the fixed play 101 is a fla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natural that the fasten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surface to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or building structure.
  • insulators 110 are provid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100 to insulate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and the charging tube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sulator 110 is an insulator made of ceramic or synthetic resin, and is divided into a first insulator 110a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od member 100 and a second insulator 110b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a through hole 111 through which the rod member 100 is coupled is formed, and an insulating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tube 300 at an outer circumferential radius thereof. .
  • the insulating protrusion 112 guides the rainwater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harging rod 300 when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harging pipe 300 under the influence of wind,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It has a certain length so as to ensure sufficient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pipe 300 and the rod member 100.
  • the insulating protrusion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ical members having a narrow upper portion and a wide lower portion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ame line.
  • the charging plat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member 100, the installation is made below the first insulator (111a).
  • the charging plate 200 maintains an electrical insulation state with the rod member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ube 300, and is a component in which a polarity opposite to earth charge is charged.
  • the charging plate 200 may repeatedly form the shape of the corrugation 201 at the circumferential edge.
  •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plate 200 facilitates the discharge between the thundercloud and the earth by concentrating the electric field at the time of lightning inflow.
  • the charging pipe 300 is located betwee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rod member 100, that is, between the first insulator 110a and the second insulator 110b,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ate 200 In this case, a charg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earth charge is charged.
  • the charge tube 300 is made of a tube (tube) to form a hollow so that the rod member 100 can be coupled to the center thereof.
  • the rod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130 for supporting the charging tube 200 and the first insulator 110a.
  • a plurality of through grooves 31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charging tube 300.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by the thundercloud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Light emission is performed by the electrical energy charged in the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emits light through corona discharge in accordance with the thundercloud.
  • the user can clearly confirm that the lightning strikes the lightning current to the ground through th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not lit even though the thundercloud is close, it can be seen that a ground fault has occurred in the rod member 100 and the ground. Not only can the building fire, breakage and casualties be prevented, but the lightning arrester is operating normally,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inspection work, which requires the operator to go up to a narrow installation site and check it regularly.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maintains an electrical contact state with respect to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and emits light and emits light 410.
  • a fastening bolt 420 forming a detachable concave groove 421 for fixing one end of the portion 410 and a spring installed in the detachable concave groove 421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ght emitting part 410. 430.
  • the light emitting unit 410 preferably uses a discharge tube (also referred to as an 'arc tube') used in a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nd the like, and may be manufactured and used as an LED device having a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known in the art. It may be.
  • a discharge tube also referred to as an 'arc tube'
  • terminal pieces (411a, 411b) for the electrical curren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respectively.
  • the terminal piece 411a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is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rod 100, and the terminal piece 411b installed at the other end is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 To maintain electrical connection.
  • the fastening bolt 420 is screwed in a state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a fastening screw portion 422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410 at one end thereof.
  • Detachable recessed groove 421 is fixed to support one end of the).
  • a fastening step 421a is formed on the open surface of the detachable concave groove 421 to engage with the terminal piece 411b of the light emitting part 410.
  • the fastening bolt 4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lectrical conduction.
  • the spring 430 is installed in the detachable concave groove 421 and serve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ght emitting unit 410 coupled to the detachable concave groove 421.
  • the spring 430 provides a function of safely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410 from being easily damaged when an external impact occurs and a function of solidifying an electrical connection.
  • At least one light emitting hole 320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410 may be radiated to the outside (FIG. 3). Reference).
  • the transparent hole 320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invading and the light is closed by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be transmitted, or a diffusion lens 330 made of a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diffuse light is coupled. Can be.
  • the diffusion lens 330 serves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10.
  • a terminal piec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rod 100 to receive the terminal piece 411a of the light emitting part 410 inward.
  • the terminal piece 411a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may be installed to have a structure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arging rod 100.
  • a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350 having a protruding structure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410 and the fastening bolt 420 is additionally formed. (See FIG. 4).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unit 35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r mor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 the coupling unit 350 of the light emitting unit can not only clearly identify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installed, but also can form the light-transmitting hole 320 having a protruding exterior structure at various angles.
  • the light distribution and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can be further improved.
  • FIG 5 and 6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unit 350,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unit 350 is detachable from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 a fastening coupler 351 to which complementary coupling is possible is formed.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350 may b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pipe 300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s 350.
  • the first fastening coupler 351a and the second fastening coupler 351b, and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e pipe 300, the first fastening coupler 351a and the 2 fastening grooves 301 are formed to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coupler 351b, respectively.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350 is connected to one point of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in an integrated structure, and the other protruding point is A fastening coupler 351 for attaching and detaching from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is formed.
  • the acoustic buzzer 500 is for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operating state together with the visual operating state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400.
  • the sound buzzer 500 is turned on when the light emitter 410 is turned on, and the sound buzzer 500 is turned off when the light buzzer 500 is turned off. ) Is also turned off.
  • the acoustic buzzer 500 operated by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uses a well-known circuit for changing an electrical signal into a sound when a power supply such as a piezo buzzer or a speaker is omitted. .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plate 200.
  • the light emitting unit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350 is applied as a mediu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art 35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 a light emitting unit 400 by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the rod member 100 and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tube 300, by configuring a light emitting unit 400 to emit light from the electrical energy of the thunderclou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a psychological safety by allowing the user to clearly confirm that the shock current of the lightning strikes the normal operation to safely flow to the ground.
  •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350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and the light transmitting hole 320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coupling portion 350.
  • the charging plate 200 or the charging pipe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ieces 411a and 411b of the light emitting unit 410 to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410, thereby grounding the lightning arrester. It provides the effect of checking the status and clearly confirming normal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부재와, 뇌운에 의하여 대전되는 대전판 또는 대전관으로 구성되는 쌍극자 피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에 의하여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전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낙뢰의 충격 전류가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전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본 발명은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낙뢰의 뇌전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피뢰장치의 작동여부를 외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뢰장치는 뇌운(thundercloud)과 대지 사이에 방전로를 형성하여 뇌운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를 대지로 안전하게 방류시키기 위해 건물의 최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뇌운이 대지에 근접할 경우에 뇌운과 대지 사이의 전위 차는 1억(V)에 이른다.
그러나, 대기층의 공기가 양호한 절연체 역할을 하여 대지와 뇌운 사이에는 절연 파괴 즉, 낙뢰가 일어나지 않으나 뇌운과 대지 사이에 낙뢰가 일어날 가능성은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낙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계가 첨두부에 집중되는 전계 현상(팁효과)을 이용한 피뢰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피뢰장치를 플랭크린 돌침 방식이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장치는 건물의 상단에 설치되어 접지 수단에 연결되는 고정부(31), 상기 고정부(31)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30), 상기 로드(30)의 타단에 결합되어 낙뢰를 유도하는 로드 캡(32), 상기 로드(3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애자(34), 상기 로드(30)에 장착되는 대전 수단(45)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30)는 대전관(45a)의 중심에 내재된다.
상기 대전 수단(45)은 관형(tube)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에 상기 로드(30)가 관통하고 상기 로드(30) 쪽으로 침형의 팁(45b)이 형성되어 있는 대전관(45a), 상기 대전관(45a)의 양단을 상기 로드(30)에 결합시켜 주는 제 1캡(45c) 및 제 2캡(45d)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캡(45d) 쪽은 스토퍼(46)에 의해 상기 애자(34) 쪽으로 밀착 고정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장치는 뇌운에 의한 낙뢰의 충격 전류가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정상적인 작동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를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주변이 환한 낮 시간에는 뇌운이 근접하더라도 이를 전혀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상기 로드가 대지에 접지 불량인 상태라도 이를 확인할 방안이 없어 정상적인 작동으로 오인할 경우가 낙뢰에 의한 건물화재, 파손 및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피뢰장치는 건물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장치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협소한 작업공간으로 곳에 올라가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의 위험성 및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25499호(2011. 3. 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낙뢰의 뇌전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피뢰장치의 작동여부를 외부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는,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부재와, 뇌운에 의하여 대전되는 대전판 또는 대전관으로 구성되는 쌍극자 피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에 의하여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전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점멸작용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착탈용 요입홈을 형성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착탈용 요입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투광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와 체결볼트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돌출된 구조의 발광유닛 결합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는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구멍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마감함과 동시에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로드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단자편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단자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는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 작동시 연계되어 작동하는 음향부저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의 전기적 에너지로부터 발광작용하는 발광유닛을 구성함으로써, 낙뢰의 충격 전류가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전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의 둘레방향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발광유닛 결합부와,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에 형성되는 투광구멍에 설치되는 확산렌즈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발광유닛이 점등되는 위치를 한층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의 광 분포도 및 밝기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는 상기 발광부의 단자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뢰장치의 접지상태 확인 및 정상작동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발광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광유닛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발광유닛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대전관에 음향부저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이 대전판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는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부재(100)와, 뇌운에 의하여 대전되는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과,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에 의하여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대전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로드부재(100)는 옥외 대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것으로, 대지 전하를 대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로드부재(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대지와의 접촉면적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플레이트(101)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10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 부재로써, 표면에는 지면 또는 건축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로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로드부재(100)와 후술할 대전판(200) 및 대전관(300)을 상호 절연시키기 위한 애자(11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애자(110)는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는 절연체로써, 상기 로드부재(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애자(110a)와,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애자(110b)로 구별되며, 상기 제2 애자(110b)에는 상기 로드부재(100)가 관통결합되는 관통구멍(111)이 형성되며 외측의 둘레반경에는 상기 대전관(300)의 안쪽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절연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돌기(112)는 바람의 영향으로 빗물이 상기 대전관(300)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유입된 빗물을 상기 대전로드(300)의 밖같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대전관(300)과 로드부재(100) 간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다.
이를 위한, 상기 절연돌기(112)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다수의 원추형부재가 동일선상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대전판(200)은 상기 로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애자(111a) 아래쪽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대전판(200)은 상기 로드부재(100)와 전기적인 절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대전관(30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이 대전되는 구성요소이다.
아울러, 상기 대전판(200)은 원주방향 가장자리에 주름(201) 모양을 반복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주름(201)에 의해 상기 대전판(200)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균등한 분배방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대전판(200)의 구성은 낙뢰유입시에 전계가 집중됨으로써 뇌운과 대지간에 방전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대전관(300)은 상기 로드부재(100)의 길이방향 일부 구간 즉, 제1 애자(110a)와 제2 애자(110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대전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대지 전하와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전하가 대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대전관(300)은 관형(tube)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으로 상기 로드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재(100)에는 상기 대전관(200) 및 제1 애자(11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대전관(300)의 둘레방향 상부와 하부에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관통홈(310)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발광유닛(400)은 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뇌운에 의하여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대전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 작용을 실시한다.
이러한 상기 발광유닛(400)은 뇌운 근접에 따른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을 통해 발광작용을 실시하게 된다. 즉, 낙뢰의 충격 전류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발광작용을 수행함으로써 피뢰장치를 통해 낙뢰의 충격 전류가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인 안전감을 줄 수 있으며, 반대로 뇌운이 근접했는데도 상기 발광유닛(400)이 점등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로드부재(100)와 대지 사에에 접지불량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로부터 낙뢰에 의한 건물화재, 파손 및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나 매번 정기적으로 작업자가 협소한 설치장소로 올라가서 이를 확인해야하는 점검작업의 불편함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유닛(400)은 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점멸작용하는 발광부(410)와, 상기 발광부(410)의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착탈용 요입홈(421)을 형성하는 체결볼트(420)와, 상기 착탈용 요입홈(42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410)는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에 사용 되는 방전관('아크 튜브'라 하기도 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분야에서 공지된 전압안정화 회로가 부가된 LED소자로 제작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발광부(410)의 양 단부에는 전기 통전을 위한 단자편(411a,411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발광부(410)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편(411a)은 상기 대전로드(100)와 접촉하며, 타측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편(411b)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체결볼트(420)는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을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둘레방향에는 체결용 나사부(422)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발광부(410)의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착탈용 요입홈(421)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용 요입홈(421)의 개방면에는 상기 발광부(410)의 단자편(411b)에 대하여 걸림단속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단턱(4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볼트(420)는 전기적인 통전을 위해 금속재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430)은 상기 착탈용 요입홈(42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착탈용 요입홈(421)에 결합되는 발광부(4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프링(430)은 외부의 충격발생시 상기 발광부(41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 및 전기적 접속을 공고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4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투광구멍(320)이 형성된다(도 3참조).
그리고, 상기 투광구멍(320)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은 투광되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밀폐마감하거나, 광을 확산시키는 유리재,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확산렌즈(33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확산렌즈(330)는 상기 발광부(410)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대전로드(100)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410)의 단자편(411a)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단자편 수용홈(140)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단자편 수용홈(14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단자편(411a)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발광부(410)의 단자편(411a)은 대전로드(100)의 외주면에 직접 면접촉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410)와 체결볼트(420)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돌출된 구조의 발광유닛 결합부(3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도 4참조).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는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발광유닛의 결합부(350)는 발광유닛(400)이 설치되는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되는 외관 구조에 의한 투광구멍(320)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발광부(410)의 광 분포도 및 밝기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은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는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결합구(351)가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는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이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체결용 결합구(351a)과, 제2 체결용 결합구(351b)으로 구성되며,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는 상기 제1 체결용 결합구(351a)와 제2 체결용 결합구(351b)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체결홈(301)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는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 대하여 돌출되는 일 지점이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고, 돌출되는 다른 일 지점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으로부터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결합구(351)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는 상기 발광부(4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편(411a,4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410) 작동시 연계되어 작동하는 음향부저(50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음향부저(500)는 사용자가 상기 발광유닛(400)을 통하여 시각적 작동상태와 더불어 청각적으로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음향부저(500)는 상기 발광부(410)가 켜지면(on) 상기 음향부저(500)도 켜지고(on), 상기 발광부(410)가 꺼지면(off) 상기 음향부저(500)도 꺼지게(off) 된다.
이러한 발광부(410) 양단에 인가되는 접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음향부저(500)는 피에저 부저, 스피커등의 전원인가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화하는 공지된 회로를 활용하는 것이어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유닛(400)이 상기 대전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상기 발광유닛(400)은 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써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는 하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로드부재(100)와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의 전기적 에너지로부터 발광작용하는 발광유닛(400)을 구성함으로써, 낙뢰의 충격 전류가 대지로 안전하게 흘려보내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인 안전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의 둘레방향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의 발광유닛 결합부(350)와,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350)에 형성되는 투광구멍(320)에 설치되는 확산렌즈(3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발광유닛(400)이 점등되는 위치를 한층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부(410)의 광 분포도 및 밝기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대전판(200) 또는 대전관(300)에는 상기 발광부(410)의 단자편(411a,4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410)가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뢰장치의 접지상태 확인 및 정상작동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쌍극자 피뢰장치에 있어서,
    대지 전하가 대전되는 로드부재;
    뇌운에 의하여 대전되는 대전판 또는 대전관; 및,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뇌운에 의하여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전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은 상호 절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극자 피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로드부재와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하여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점멸작용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착탈용 요입홈을 형성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착탈용 요입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투광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와 체결볼트를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돌출된 구조의 발광유닛 결합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 결합부는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보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용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구멍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마감함과 동시에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렌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의 둘레방향에는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 일단에 형성되는 단자편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단자편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판 또는 대전관에는 상기 발광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는 단자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 작동시 연계되어 작동하는 음향부저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PCT/KR2016/008778 2015-08-10 2016-08-10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WO20170267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447 2015-08-10
KR1020150112447A KR101923035B1 (ko) 2015-08-10 2015-08-10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787A1 true WO2017026787A1 (ko) 2017-02-16

Family

ID=57983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778 WO2017026787A1 (ko) 2015-08-10 2016-08-10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5092B2 (ko)
KR (1) KR101923035B1 (ko)
WO (1) WO2017026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5433B (en) * 2015-12-15 2017-12-20 Grafmarine Power generation and cell storage apparatus
USD889295S1 (en) * 2019-03-19 2020-07-07 Omni Lps Co., Ltd. Lightning rod
CN111817249B (zh) * 2020-06-18 2021-08-13 上海河道建设有限公司 一种管理房屋顶防雷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286A (ja) * 1990-05-09 1992-01-22 Sumitomo Electric Ind Ltd 落雷検出報知装置
KR20080035556A (ko) * 2008-04-10 2008-04-23 정용기 피뢰장치
KR101025499B1 (ko) * 2010-08-24 2011-04-04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평판 전극형 쌍극자 대전관 피뢰장치
KR101496979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쌍극자 피뢰장치
KR101512025B1 (ko) * 2014-10-02 2015-04-14 한국산업은행 자성재료로 코팅된 쌍극자 피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8070B1 (en) * 1995-02-13 2005-09-20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741438B2 (en) * 2001-01-29 2004-05-25 Zenji Sakai Lightning-arresting system with underground network
AU2002359036A1 (en) * 2002-12-02 2004-06-23 Young-Ki Chung Bipolar discharge-dissipation lightning air terminals
US20050026749A1 (en) * 2003-07-29 2005-02-03 Pak Yong Kil Motion responding electrically blinking jump rope
US20050252061A1 (en) * 2004-05-14 2005-11-17 Sloan Robert W Guide rod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device
KR200364031Y1 (ko) 2004-07-20 2004-10-11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지능형 낙뢰철탑 표시장치
KR200444559Y1 (ko) 2007-06-26 2009-05-20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서지 보호 장치
WO2011053943A1 (en) * 2009-10-31 2011-05-05 Glenn Lane Charged particle induction from ionosphere to ground
US8929107B2 (en) * 2011-10-21 2015-01-06 Power Integrations, Inc. Active surge protection in a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286A (ja) * 1990-05-09 1992-01-22 Sumitomo Electric Ind Ltd 落雷検出報知装置
KR20080035556A (ko) * 2008-04-10 2008-04-23 정용기 피뢰장치
KR101025499B1 (ko) * 2010-08-24 2011-04-04 (주)의제전기설비연구원 평판 전극형 쌍극자 대전관 피뢰장치
KR101496979B1 (ko) * 2013-11-07 2015-03-02 한국산업은행 쌍극자 피뢰장치
KR101512025B1 (ko) * 2014-10-02 2015-04-14 한국산업은행 자성재료로 코팅된 쌍극자 피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08A (ko) 2017-02-20
KR101923035B1 (ko) 2018-11-28
US9905092B2 (en) 2018-02-27
US20170045216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2883B2 (en) Mast lighting system
WO2017026787A1 (ko) 발광유닛을 구비한 쌍극자 피뢰장치
WO2013125803A1 (ko) 엘이디조명장치 및 그를 가지는 엘이디조명시스템
US20040020684A1 (en) Cable having location-indicating function
WO2015046662A1 (ko) 접지형 엘보접속재
WO2011142505A1 (ko) 열발산 구조를 갖춘 엘이디 가로등장치
KR20080024646A (ko) 지중 배전선로 지상 개폐기의 데드브레이크형 접속 장치
KR101470567B1 (ko) 송전 철탑의 낙뢰 방지 구조
KR20120034546A (ko) 엘이디 모듈 및 컨버터의 과전압, 과전류, 써지 보호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커넥터형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785024B1 (ko) 쌍극자피뢰침(BCAT: Bipolar Conventional Air Terminal)를 이용한 낙뢰경보시스템
ES2661997T3 (es) Unidad de casquete sin efecto corona
WO2018139784A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CN212178620U (zh) 一种照明用灭菌灯
CN105987295A (zh) 一种新型全周光led灯
CN209913298U (zh) 一种用于配电柜的电缆密封装置及配电柜
EP3153411B1 (en) Surge arrester of an airfield lighting system and a secondary circuit of an airfield lighting system
US9822955B2 (en) Breakaway connector and fuse receptacle
CN109116056B (zh) 输电线路上的漏电检测装置组安装结构
CN102270367A (zh) 用在固定警报或指示信号器中的光源
KR100953914B1 (ko) 전력케이블용 절연통 보호장치의 취부구조
WO2013077509A1 (ko) 전류와 누전을 동시에 판단하는 케이블 및 케이블트레이용 표시부재
WO2018092951A1 (ko) 엘이디 소자의 잔광 생성 및 파손을 방지하는 장치
CN215452493U (zh) 一种电力保护器的漏电防止装置
RU197376U1 (ru) Изолирующая подвеска
KR102585631B1 (ko) 배전선로 전기설비의 낙뢰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35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3/07/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35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