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0839A1 -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0839A1
WO2017010839A1 PCT/KR2016/007728 KR2016007728W WO2017010839A1 WO 2017010839 A1 WO2017010839 A1 WO 2017010839A1 KR 2016007728 W KR2016007728 W KR 2016007728W WO 2017010839 A1 WO2017010839 A1 WO 20170108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ode
purifier
present
photo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7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성한
르보비치 바리킨이고르
Original Assignee
강성한
오오오 ˝티오크라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한, 오오오 ˝티오크라프트˝ filed Critical 강성한
Publication of WO20170108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08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자 및 에어로졸 상태의 유해 화학물질, 악취, 알레젠,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균류와 같은 유기, 무기, 및 생물 오염물질로부터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먼지 필터; 0.8-1.5mm 직경의 소결된 글래스 비드의 원형이나 직각 단면을 갖고 그 표면이 100-400m2/g의 비표면적 범위에서 아나타제 이산화 티타늄 나노입자 분말로 코팅된 광촉매 관형 요소; 및 범위 "A"(파장 400-315nm)의 방사선을 갖는 하나 이상의 UV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요소 전에 전기식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식 필터는 와이어 코로나 전극, 및 10 내지 25kV의 상기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간의 전위차 및 1 내지 20kV/cm의 상기 집진 전극과 반발 전극 간의 전기장에서 홈 형태의 고정 및 반발 전극을 포함하는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본 발명은, 생태학 분야에 적용되어 제독(오염물질을 제거하는)하도록 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자 및 에어로졸 상태의 유해 화학물질, 악취, 알레젠,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균류와 같은 유기, 무기, 및 생물 오염물질로부터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기의 주요 적용은 다음과 같다:
1. 의료 시설(수술실, 집중 치료실, 치료실 및 그 밖의 영역) 지역에서 실내 공기의 청정 및 소독.
2. 세균류 생성, 예를 들어 효모균 제조 중 실내 공기의 청정 및 소독.
3. 화학적 및 생물학적 실험을 행하는 실험실 지역에서 공기의 청정 및 소독.
4. 도심 거주지, 호텔 객실, 사무실, 교실과 강당, 및 그 밖의 사교상 목적 지역에서 공기의 청정 및 소독.
5. 유해 축적 흡착제인 공기 증기 물질(예를 들면, 니트로글리세린)의 청정.
사람들이 호흡하는 전술한 대부분의 공기 오염물질은 분자 또는 에어로졸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균과 싸우는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항생제는 근래 들어 미생물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과 관련하여 비효과적이므로, 에어로졸화된 상태의 분자형 유기 오염물질 및 병원균으로부터 복합적인 공기 정화의 문제는 수술후 면역결핍으로 약해진 그리고 전염병에 가장 취약한 환자를 위한 병원에서 특별히 중요하다.
사람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지속적으로 다량의 필수적인 공기(약 하루에 15kg)를 공급받는 가정(거주) 지역에서 복합적인 공기 청정의 문제는 중요하다.
현재의 환기 및 공조 시스템은 300nm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인체 건강에 가장 위험한 에어로졸을 제거하지 못한다.
동시에, 병원균은 청정 장비 및 환기 시스템의 작동 채널에 축적되고 이들은 때때로 병원 감염 및 거주지 내부의 주요 공급원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근본적인 새로운 물리적 및 화학적 토대 및 대기의 포괄적인 청정 및 소독을 위한 장치의 관여와 더불어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여과된 미크로플로라의 완전한 불활성화를 이용한 강한 공기 소독의 문제 해결책은 근래 들어 여러 나라에서 집중적으로 개발된 광촉매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본질은 유연한 UV 범위 "A"(400-315nm)의 영향하에서 활성 산소가 광촉매 - 반도체 이산화 티타늄의 표면에 형성되고 이들이 광촉매와 접촉된 모든 유기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점에 있다.
흔히 알려진 필터와 살균 자외선 조사기에 비해 이러한 방법의 두드러진 특징은 고려되는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분자 및 에어로졸 유기 오염물질이 포집될 뿐만 아니라 무해한 이산화탄소와 물로 될때까지 제거되는 점이다.
광촉매 공기 정화기의 제1(가장 간단한) 고안은 대체로 광촉매 작용의 영향에만 근거를 두고 있다.
상기 광촉매 공기 정화기의 제1 고안은 공기 정화의 다른 원칙들의 조합을 예상하지 못하고, 그래서 이러한 장치는 협소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작업의 고안자는 광촉매 반응기 시스템(AiroCide)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병원실에서 공지된 병원성 박테리아 및 균류 배양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율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는 이산화 티타늄으로 코팅된 복수의 작은 글래스 링을 갖는 반응 챔버이다.
상기 반응 챔버의 내부에는 자외선 범위 "B"(254nm의 평균 파장)를 갖는 경질 방사선을 이용하는 60와트 전력의 램프가 배치되고, 이는 오존의 발생을 배제하지 않는다.
병원의 통상적인 수술실에 공기 청정기(AiroCide)를 설치한 후, 공기를 통해 퍼지는 미생물의 농도가 평균 60%만큼 감소되는 것이 보인다.
상기 광촉매 장치(AiroCide)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이러한 장치가 분자형 유기 탄화수소(예를 들면, 에틸렌)로부터 공기를 정화하는데 양호한 결과를 갖는 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에어로졸에서 공기를 정화하는데 낮은 효율을 갖는다.
2. 자외선 범위 "B"(254nm의 평균 파장)로 작동할 때 오존이 발생될 수 있어,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이 머무르는 지역에서 이러한 장치의 사용을 제한한다.
3. 이러한 장치의 설계는 상기 장치의 장기간 작동시 유지보수를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로의 접근을 어렵게 한다.
"AIRLIFE"라는 상표의 광촉매 공기 정화기의 고안이 널리 알려져 있다(러시아 특허 제2,259,866호, 2005년).
이러한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는 이산화 티타늄 분말이 코팅된 다공성 수지의 광촉매 필터, 방사선 범위 "A"를 갖는 자외선 램프, 팬, 및 먼지 필터이다. 가정용 청정기 "AIRLIFE"의 주요 단점은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로부터 공기를 정화하는 저효율 및 자외선 방사의 작용하에서 청정기의 악화로 인한 폴리머 필터의 광촉매의 짧은 수명이고, 그래서 연속적인 작동시 상기 먼지 필터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있다.
가정용 광촉매 공기 청정기의 고안이 알려져 있다(러시아 특허 제98134호, 2010년).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1. 먼지 필터.
2. 0.8-1.5mm 직경의 소결된 글래스 비드를 갖는 광촉매 요소로서, 그 표면이 150-400m2/g의 비표면적 범위에서 나노입자를 갖는 이산화 티타늄의 아나타제 개량으로 코팅된, 광촉매 요소.
3. 방사선 범위 "A"(360nm의 평균 파장)를 갖는 UV 램프.
4. 정화된 공기를 펌핑하기 위한 팬.
이러한 고안의 장점은 글래스 비드로부터 소결된 광촉매 요소(러시아 특허 제2151632호, 2000년)가 높은 다공성 및 이에 따라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펌핑하는데 대한 낮은 저항을 갖는 점이다.
이러한 광촉매 요소는 광촉매에 의하여 화학적 파괴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광촉매 요소는 글래스 비드에 대한 이산화 티타늄 분말의 매우 높은 접착력을 갖는다.
이는 장기간 사용 후에 공기 청정기의 정비를 상당히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공기 청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통상의 진공 청소기 또는 물 분사를 이용하여 침전된 고형물을 광촉매 요소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안인 가정용 광촉매 공기 정화기는 분자형 탄화수소로부터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탁월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미생물 오염물질의 공기 중 농도의 상당한 감소를 보여준다.
이러한 고안의 단점은 에어로졸로부터, 특히 담배 연기와 같은 오염물질로부터 공기를 정화하는 효율성이 부족한 점이다.
임의의 크기 입자를 갖는 에어로졸로부터 가스를 정화하는데 적절한 보편적인 수단은 정전식 청정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코로나 전극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 전기장을 통해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입자를 이온화하고 충전하는 것에 근거하고 있다.
입자의 침적은 접지된 집전 전극 상에 발생한다.
이러한 대부분의 장치는 대규모로, 즉 산업 부지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고, 작은 거주 지역을 위해 설계된 가정용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장치의 사용은 불합리하다.
광촉매 공기 청정기(러시아 특허 제115661호, 2011년)의 고안이 알려져 있고, 다음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1. 다공성 유전체로 형성된 집진체 및 방전 전극을 갖는 작은 관형 정전식 집진기.
2. 자외선 방사 공급원을 갖는 광촉매 요소.
3. 정화된 공기를 펌핑하기 위한 팬.
상기 관형 정전식 집진기의 구성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주요 단점은 다공성 유기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에어로졸 집진기가 자외선 방사에 의한 유기물의 점진적인 파괴로 인하여 제한된 사용 수명을 갖는 점이다.
또한, 다공성 에어로졸 집진기는 공기 청정기의 장기간 작동시에 주기적으로 청소하기가 어렵다(또는 불가능하다).
근래 들어, 다양한 에어로졸로부터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이른바 "이온 팬 필터"(러시아 특허 제2181466호, 2002년)가 적극적으로 개발되었고, 이러한 이온 팬 필터에서 플레이트 코로나 전극은 집진 전극을 향하는 니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전극 간의 전위차가 약 20kV이고 전자 카메라의 단면이 170×170mm2이면, 이는 그 자체가 약 100m3/h의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이온 팬 필터"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다양한 에어로졸로부터 정화하는 전기식 공기 정화기(러시아 특허 제87104호, 2009년)의 고안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기 정화기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고정 및 반발(settling and repelling) 형태이며 특히 홈이 있는 전극인 코로나의 특정 설계로 인하여 그 자체가 정화된 공기 흐름을 생성한다.
코로나와 집진 전극 간의 전위차는 10 내지 25kV이다. 집진 전극과 반발 전극 간의 전기장은 1 내지 20kV/cm이다.
2. 공기 정화기의 모든 전극 구조는 접을 수 있는 요소를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집진 오염의 누적 한계량 이후에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3. 이러한 고안의 정화기에 의해 생성된 청정 공기의 흐름 자체는 약 100m3/h이다.
이러한 전기식 공기 정화기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전극 공간에서 오존의 발생 및 공기 정화기의 외부로 오존의 출력.
2. 분자형 유기 오염물질로부터 공기를 정화하는데 낮은 효율.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배경기술의 분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정용 광촉매 공기 청정기(러시아 특허 제98134호, 2010년) 및 전기식 공기 정화기(러시아 특허 제87104호, 2009년)의 고안은 질적으로 서로를 보완하고, 이들이 조합되는 경우에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최고의 요건과 매우 넓은 적용성을 충족하는 새로운 고안의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전기식 필터가 광촉매 요소의 입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전기식 필터는 코로나 전극, 및 10 내지 25kV의 상기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간의 전위차 및 1 내지 20kV/cm의 상기 집진 전극과 반발 전극 간의 전기장에서 홈 형태의 고정 및 반발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병의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다양한 유형의 분자 및 에어로졸 오염물질로부터 공기의 완전한 정화를 수행하는 고효율 기기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청구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실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청구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전기식 필터가 광촉매 요소의 입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전기식 필터는 코로나 전극, 및 10 내지 25kV의 상기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간의 전위차 및 1 내지 20kV/cm의 상기 집진 전극과 반발 전극 간의 전기장에서 홈 형태의 고정 및 반발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전기식 필터에서 오존의 발생은 광촉매 공기 정화기의 전체적인 산화 능력에 부가적으로 기여한다. 동일 시간에 광촉매의 산화 능력은 광촉매 요소를 통해 오존을 통과시킴으로써 전체의 잔류 오존을 완전히 분해할 정도로 높고, 그래서 공기 청정기 오존의 출구는 완전히 없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0.8-1.5mm 직경의 소결된 글래스 비드를 갖는 광촉매 요소로서, 그 표면이 100-400m2/g의 비표면적 범위에서 나노입자를 갖는 아나타제 이산화 티타늄 분말로 커버되는, 광촉매 요소, 및 범위 "A"(파장 400-315nm)의 방사선을 갖는 하나 이상의 UV 램프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분자 및 에어로졸 상태의 유해 화학물질, 악취, 알레젠,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균류와 같은 유기, 무기, 및 생물 오염물질로부터 공기를 정화하는 효율이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100-400m2/g의 비표면적 범위에서 나노입자를 갖는 아나타제 이산화 티타늄과 결합한 0.8-1.5mm 직경의 소결된 글래스 비드를 갖는 광촉매 요소 및 범위 "A"(파장 400-315nm)의 UV 램프가 존재한다.
이는 모든 유기 공기 오염물질의 분자 산화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식 필터 청정기의 부가는 0.1 내지 100 마이크론 파장 범위의 방사선 발생을 제공하여, 미립자 상에서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해한 물질 및 미생물의 공기 정화 질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입자 필터와 결합하는, 와이어드 코로나 전극 및 홈 형태의 고정 및 반발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식 필터의 존재는 공기로부터 담배 연기 에어로졸의 유형을 포함하는 모든 액상 모든 고상 입자의 포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상기 코로나 전극으로부터 집진 전극으로 양성 이온의 운동으로 인하여 정해진 전기 변수에서 성형 전극을 갖는 전기식 필터의 존재는 그 자체가 약 100m3/h의 정화된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여, 작업 흐름의 생성은 저소음 저속 팬을 사용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다양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 1]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도 1에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장방형 하우징(1); 먼지 필터(2); 6개의 코로나 와이어 전극 블록(3); 6개의 집진 전극 블록(4); 6개의 반발 전극 블록(5); 두개의 관형 광촉매 요소(6); 자외선 범위 "A"를 갖는 두개의 UV 램프(7); 및 저속 팬(8)을 갖는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에 따른 정화된 공기 내의 오존 함량에 대하여 실험은 도 2에 개시된다.
이때, 측정은 10m3의 밀폐된 박스에서 실행되었다.
오존 농도는 화학 발광 분석기 O3 3.02 P-R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측정 비교는 광촉매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정전식 집진기의 작동 동안 및 광촉매 요소를 포함하는 정전식 집진기의 작동 동안에 이루어졌다.
오존의 최대 허용 농도로서 거주 지역의 대기 내의 이용된 평균 오존의 최대 허용 농도(MPC)는 0.03mg/m3와 같다.
표 1은 2014년 9월 22일자에 본 고안의 청구된 제독 공기 청정기의 실험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얻은 박스에서 오존 누적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광촉매 요소를 갖지 않는 정전식 집진기의 작동 두개의 광촉매 요소를 갖는 정전식 집진기의 작동
현재 시간(분) 오존 농도(Mg/M3) 현재 시간(분) 오존 농도(Mg/M3)
00 0.032 00 0.022
15 0.105 15 0.025
30 0.195 30 0.025
45 0.199 45 0.029
60 0.197 60 0.027
75 0.256 75 0.026
표 1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기 정전식 집진기가 오존을 발생시켜 실험 박스에서 누적되면, 한 시간 동안 농도(0.197mg/m3)는 상기 MPC(0.03mg/m3)의 6배보다 크다.
상기 정전식 집진기와 두개의 광촉매 요소를 조합한 경우, 전체의 실험 시간 동안 박스에서 오존의 농도는 일정하게 남게 되고 MPC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정전식 집진기에 의해 발생된 모든 오존은 두개의 광촉매 요소를 통과함으로써 완전히 분해된다.
[예시 2]
예시 1의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36 평방 미터 작업실의 대기에 에어로졸을 가두기 위해 실험되었다.
에어로졸 입자 함량 카운터는 28.31l/min의 샘플 속도에서 0.3 미크론의 감도를 갖는 SOLAIR 시리즈 300으로 측정되었다.
비교를 위해, 측정은 두가지 버전: 정전식 집진기가 꺼진 경우(표 2) 및 정전식 집진기가 켜진 경우(표 3)에서 이루어졌다.
정전식 집진기가 꺼진 경우에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작동
입자 크기(미크론) 공기 내의 원래 입자 함량 장치의 출구에서 입자의 함량 에어로졸 포집 효율(%)
0.3 13800000 13600000 1.45
0.5 1910000 1830000 4.19
1 411000 365000 11.19
3 39293 29475 24.99
5 17244 11517 33.13
10 1825 734 59.78
정전식 집진기가 켜진 경우에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작동
입자 크기(미크론) 공기 내의 원래 입자 함량 장치의 출구에서 입자의 함량 에어로졸 포집 효율(%)
0.3 18000000 334000 98.14
0.5 4990000 12377 99.75
1 1920000 2643 99.86
3 150000 545 99.64
5 42100 314 99.25
10 3310 62 98.13
결과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정전식 집진기가 꺼진 경우의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크기가 0.3-1 미크론의 입자는 거의 포집하지 않고, 3-5 미크론 입자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의 갇힌 정도는 60% 미만이고, 정전식 집진기가 켜진 경우에 단일 통과에서 대기로부터 에어로졸의 포집 효율은 0.3-10 미크론의 실험된 크기 범위에 걸쳐 98%보다 크다.
[예시 3]
예시 1에서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는 300 리터의 체적을 갖는 밀폐된 박스에서 공기 모형 유기 오염물질 - 아세톤의 제거를 위해 실험되었다.
상기 장치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박스에서 이산화 탄소 농도의 증가율이 취해지고, 이는 아세톤의 완전 산화의 최종 산출물이다.
상기 장치의 실험이 3가지 유형의 작업에서 실행되었다.
1 - 전자식 집진기만이 작동.
2 - 광촉매 요소만이 작동.
3 - 정전식 집진기와 광촉매 요소가 작동.
제1 실시예에서 CO2 농도의 증가율이 0.36ppm/min에 도달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25.9ppm/min에 도달하고; 제3 실시예에서는 26.5ppm/min에 도달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작동 정전식 집진기만은 공기로부터 아세톤을 제거하지 못하고, 기기가 완전히 켜진 경우에 광촉매 요소만이 공기로부터 아세톤을 제거한다.
[예시 4]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는 화학 물리학 문제 연구소의 분자 생물학 실험실에 실험되었다.
실험실의 크기는 35m2이다.
42시간 내에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가 작동하여 275CFU/m2의 초기 농도에서 10배보다 크게 공기 내의 미생물(주로 대장균 및 포도상구균) 함량을 감소시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수행된 실험의 결과는 예시 1 ~ 4에 나타나 있고, 수행된 실험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의 본질적인 특징의 조합이 기술적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이는 다양한 유형의 분자 및 에어로졸 오염물질로부터 공기의 완전한 정화를 수행하는 고효율 기기의 생산을 위해 권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

  1. 먼지 필터; 0.8-1.5mm 직경의 소결된 글래스 비드의 원형이나 직각 단면을 갖고 그 표면이 100-400m2/g의 비표면적 범위에서 아나타제 이산화 티타늄 나노입자 분말로 코팅된 광촉매 관형 요소; 및 범위 "A"(파장 400-315nm)의 방사선을 갖는 하나 이상의 UV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요소 전에 전기식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기식 필터는 와이어 코로나 전극, 및 10 내지 25kV의 상기 코로나 전극과 집진 전극 간의 전위차 및 1 내지 20kV/cm의 상기 집진 전극과 반발 전극 간의 전기장에서 홈 형태의 고정 및 반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PCT/KR2016/007728 2015-07-16 2016-07-15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WO20170108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266 2015-07-16
KR1020150101266A KR101767109B1 (ko) 2015-07-16 2015-07-16 공기 소독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839A1 true WO2017010839A1 (ko) 2017-01-19

Family

ID=5775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728 WO2017010839A1 (ko) 2015-07-16 2016-07-15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7109B1 (ko)
WO (1) WO2017010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754A1 (zh) * 2022-08-05 2024-02-08 深圳先净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滤芯及空气净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569A (ko) * 2017-05-12 2018-11-2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CN108224589A (zh) * 2018-01-16 2018-06-29 漳州迈威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技术空气净化装置
CN111928362A (zh) * 2020-07-13 2020-11-13 香港环境科技研究院有限公司 具备杀灭新型冠状病毒功能的系统、装置及空气消毒器
KR102319134B1 (ko) * 2020-12-15 2021-10-29 성진코퍼레이션(주) 전기장 필터, 자외선 램프, 및 공기 정화 필터를 이용한 공기 살균 장치
KR102336250B1 (ko) * 2021-01-28 2021-12-08 바이러스킬러 주식회사 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압전 촉매
KR102341519B1 (ko) 2021-07-27 2021-12-21 허찬 광촉매 필터 제조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광촉매 필터 제조방법 및 그 광촉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986A (ja) * 1996-08-19 1998-03-0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JPH10323579A (ja) * 1997-05-23 1998-12-08 Fujitsu Ltd 空気浄化装置
JP2001238939A (ja) * 2000-02-29 2001-09-04 Nippon Kobunshi Kk 空気清浄機
JP2002159829A (ja) * 2000-11-28 2002-06-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光触媒反応装置
JP3852429B2 (ja) * 2003-08-06 2006-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986A (ja) * 1996-08-19 1998-03-06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JPH10323579A (ja) * 1997-05-23 1998-12-08 Fujitsu Ltd 空気浄化装置
JP2001238939A (ja) * 2000-02-29 2001-09-04 Nippon Kobunshi Kk 空気清浄機
JP2002159829A (ja) * 2000-11-28 2002-06-0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光触媒反応装置
JP3852429B2 (ja) * 2003-08-06 2006-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清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754A1 (zh) * 2022-08-05 2024-02-08 深圳先净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滤芯及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375A (ko) 2017-01-25
KR101767109B1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0839A1 (ko) 공기 소독기 및 청정기
WO2022071682A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CN104415659A (zh) 用于气体的消毒和净化的等离子体驱动的催化剂系统
JP2003035445A (ja) 空気清浄機
WO2015053426A1 (ko) 타원관 형상의 광촉매모듈 및 이온클러스터 발생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JP2002065836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JP2009519819A (ja) 空気浄化装置
KR101305762B1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JP2000296173A (ja) 空気浄化方法
KR20160129084A (ko) 공기 살균 및 오염 물질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050019692A (ko) 공조라인에 설치가능한 공기살균 청정유닛
US20230241280A1 (en) Multi-function air purifing and sterilizing system
KR20110090539A (ko) 공기 살균정화 장치
CN103331209A (zh) 一种利用电晕放电去除室内空气中微生物气溶胶的方法和装置
WO2023003228A1 (ko) 오존제거 기능을 포함하고 주변 공간을 살균정화하는 공간살균정화기
KR101043967B1 (ko) 출입구 공기 정화장치
JP3632579B2 (ja) 空気浄化装置
US20210396408A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air filtration system
CN107433091A (zh) 风口式电子除尘净化装置
US7160506B2 (en) Electronic disinfection of airborne pollutants
CN205079356U (zh) 对称轴向电离净尘装置
KR20180000070U (ko) 병실 음압기
WO2019124623A1 (ko) 탄소계 코팅층을 갖는 플라즈마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집진기
CN213687168U (zh) 一种优化组合多维空气净化除菌装置
GB2531314A (en) A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kitchen extract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47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4.05.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47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