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71488A1 -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71488A1
WO2016171488A1 PCT/KR2016/004154 KR2016004154W WO2016171488A1 WO 2016171488 A1 WO2016171488 A1 WO 2016171488A1 KR 2016004154 W KR2016004154 W KR 2016004154W WO 2016171488 A1 WO2016171488 A1 WO 20161714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neck
laryngeal
extension mechanis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1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일모
류지인
Original Assignee
유일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모 filed Critical 유일모
Publication of WO20161714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714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himself at home in a lying position immediately in the form of a pillow and is easy to carry.
  • cervical traction devices are widely used to relieve pressure on nerves, relax tense muscles, improve blood circulation, and relieve pain.
  • Relieving such pressure due to neck traction can alleviate disc herniation, alleviate osteoarthritis and facet joint syndrome.
  • Cervical and cervical muscles are areas that are constantly used for a long time. To reverse the exacerbation of cervical symptoms requires the use of a significant amount of cervical tra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 time of this site.
  • some of the conventional cervical traction devices have chin straps to grasp the head, which can cause or exacerbate TMJ syndrome and can be harmful to the teeth. there is a problem.
  • neck traction devices with neck supports or wedges that pull the back of the head have no adverse effect on the jaw, but can cause wedge slip and generate a force to tilt the head forward. It may ac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ervical curvature, which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vex shape forward.
  • a forehead strap to prevent the head from tipping forward can put pressure or discomfort on the forehead.
  • FIG. 1 a suboccipital release is shown.
  • the suboccipital release is the atlanto by supporting the suboccipital muscle group (s) with the tip of both fingers and gently pulling the occiput in the patient's lying position. Expand the space between the atlantooccpital joint (the lower cervical and first cervical spine) (a 1 ) and the atlantoaxial joint (the first and second cervical spine) (a 2 ) Relieves pain and muscle tension in the bod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has been devised for the following purposes.
  •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pull back and down to draw the cervical C curve without tilting the head forward.
  • Portabl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end supports the user's neck by extending from the front part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laryngeal support that supports the user's larynx. It includes a neck support.
  •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neck support may be rotatably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presses the suboccippital area of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cervical suppor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cervical suppor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cervical support is formed. Can be towed to form a C-curve.
  • At least a front portion of the laryngeal suppor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ck support is formed.
  • At least one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neck support may have an upper end rounded.
  •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may include a recessed first bone portion and a first ridg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ne portion.
  • the upper end of the neck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valley formed recessed, and the second ridg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ne.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neck support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laryngeal support.
  •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neck support may be formed of a hardness that can prevent the bending caused by the user's load.
  • a slip prevention par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neck support.
  • slip preven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larynx support and the neck support.
  • the slip preventing par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force of a reference value or more is coated.
  • the slip preven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 the protrusion of the slip prevention portion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 the protrusion of the slip prevention por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larynx support may have a form inclined forward.
  • the slip preventing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may be formed in a scalloped shape.
  • the larynx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extending from the rear portion.
  • it is formed detachably in the form surrounding the buffer, it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length member for extending the length of the buffer.
  • the neck support may be detachably formed in the larynx support.
  • the buffer part may be detachably formed on the laryngeal support part.
  •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may form a portion of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emovable removable member.
  • a fixing pa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fixed by a user load.
  • Portabl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user can perform the sub-occipital release alone from time to time without the help of others, so that effects such as relieving posterior head muscle stiffness, relieving various tension pains of the head and neck, and relieving systemic tension can be easily obtained.
  • the cervical support serves as a pedestal for the lever at the center of the neck, helping to correct the cervical spine to the desired C-shape.
  • the conventional towing devices to grip the back of the head to be equipped with a forehead strap (forehead strap) to prevent the head from bowing forward when towing, thereby feeling a feeling of pressure or discomfort on the forehea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orehead strap forehead strap
  •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traction force by pressing the forehead with the user's hand when a stronger traction force is required. Therefore, it is easier to adjust the traction than using a separate device, such as a pump,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safe because you can finely control the traction by feedback whether the traction is on the neck.
  • a professional therapist performing a manual treatment can also easily perform neck traction by pressing the forehead of the subject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view showing a sub-oceanic releas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ront view of a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cervical support are pivo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rvical cervical spine of the atlantic joint in the cervical re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cervical support are pivoted by pivoting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user pushing down his forehead downward and backward in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inclination of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in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and the cervical support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ariable length member is coupled to a buffer part in a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aryngeal support in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of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eck re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ryngeal support 10 and a neck support 20.
  • the buffer unit 3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laryngeal support 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upper end 12 is formed to support the larynx of the user. That is, the laryngeal support 10 h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14 to the upper end 12, and the upper end of the laryngeal support 10 when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12 supports the larynx of the user.
  • the laryngeal support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s a whole, and has a shap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user lying down straight from the lower end 14 toward the upper end 12. Accordingly, when the user supports the larynx to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the user can obtain the effect of pulling and stretching the neck to the head.
  • the laryngeal support 10 is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as a whole to the cervical support 20. However, only the front portion 10a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curved toward the cervical support 20. It may have a shaped shape. That is, the laryngeal support 10 may have a form in which at least the front portion 10a is curved toward the cervical support 20.
  • the neck support 20 extends from the front portion 10a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neck of the user. That is, the cervical support 20 is in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user while the laryngeal support 10 is in contact with the larynx of the user. Therefore,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multaneously in contact with the user's larynx and neck. Can be.
  • one neck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plural.
  •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20 extends in a curved form from the front portion (10a) of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10a) to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and thus the user's body with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10) Will be supported.
  • the user supports the body to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cervical support 20, and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cervical support 20 are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t can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the axis.
  • the laryngeal support 10 in the form of an inclined plate may be continuously drawn and stretched using the force to fall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and more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end part 12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the upper end part 22 of the neck support part 20 may be rounded.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comfort.
  • the upper end portion 12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includes a recessed first bone portion 12a and first first portion 1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ne portion 12a.
  • the upper end portion 22 of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20 also includes a second valley portion 22a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a second rib portion 2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valley portion 22a.
  •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cervical support 20 may provide comfort to the user due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human body, and may further increase the neck traction and stretching effect.
  • the first twill 12b formed on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can function as the fingertips of the third and fourth fingertips of the manual sub-osipital release operator.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d 2 of the neck support 20 is thick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d 1 of the laryngeal support 10. This is to thicken the thickness of the neck support 20 so as not to pain the neck of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gentle pivot to the neck.
  • the thickness of the upper end portion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may be formed to be 3mm ⁇ 30mm so as to be close to the thickness of the finger of the handwritten operator, the neck support 20 may be formed of 10mm ⁇ 80mm thick than this.
  •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neck support 20 may be formed to a hardness that can prevent the bending caused by the user's load. This is because the neck traction and stretching effect may be deteriorated when bending occurs in any one part.
  •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neck support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wood, hard plastic, metal.
  • any material that can prevent bending due to the user's loa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buffer portion 30, the buffer portion 30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portion (10b) of the laryngeal support (10).
  • the buffer part 30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when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the neck support part 20 are rotated about the lower end part 14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So that it can be touched to limit the maximum angle of rotation.
  • FIG. 5 is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upper end portion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are pivoted at the center of the cervical spine of the Atlantic joint.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forming a (pivot)
  • Figure 6 is a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yngeal support 10, the upper end 12 and the neck support 20, the upper end 22 )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of leveraging the lower end portion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by pivoting.
  • FIG. 7 is a view showing a user pressing his forehead downward and backward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eck re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as shown in FIGS. 5 to 7.
  •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atlanto-occipital joint (joint formed between the first cervical spine and the cranial base), and the upper end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is the central cervical spine.
  • Pivot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upper end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while the atlanto ospital joint and the cervical spine are bent around the pivot. It prevents slipping in the direction.
  • the head of the user does not touch the floor, so that the traction and extension can be made by the weight of the head itself. This process is described as follows.
  •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of the inclined form receives a force to fall backward.
  • a leverage acting as a pivot of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causes the upper end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to rotate backwardly.
  •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20 to be rotated backwards is blocked by the user's neck and cannot rotate, thereby lifting the central part of the neck to form a deeper C curve on the neck.
  • the deeper C-curve laryngeal bone is to grip the upper end portion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more effectively.
  •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blocked by the laryngeal bone base, and the upper end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is blocked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neck so that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collapsed. Towed and stre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 the laryngeal support 10 has a curved shape toward the neck support 20, so that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rotated backwards and downwards.
  • the atlanto-occipital joint is pressed, and the neck support 20 pulls the neck of the user to form a C-curve.
  • the neck support portion 20 protrudes more upward when rotated backward by the curved shape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can effectively pull the neck of the user.
  • the lower end portion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may be used at a point where a step such as a threshold of a visit is formed.
  • the mat may have a non-slip material such as a yoga mat or a carpet, and may be used on a floor surface that may provide a cushion.
  • the pressing point 5 by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may be somewhat recessed and stably fixed.
  •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appli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upper end 22 of the cervical support 20. On either surface, a slip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slipping may be formed.
  • the slip prevention part is between a user's body and the upper end 12 of the larynx support 10 or the upper end 22 of the neck support 20 in the process of using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ttom surface and Slip is prevented from occurring between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 the slip preventing part may be provided only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the neck support part 20, but alternatively,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the neck support part 20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course.
  • the slip prevention par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slip prevention part may be in a form in which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force of a reference value or more is coated, or the slip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form a slip prevention structure due to irregularities.
  • the anti-slip part may be a cohesive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and other synthetic materials such as latex, which may be coated on part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neck support 20.
  • the position, shape and number of protrusions may be variously formed.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lower end portion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ervical tra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lip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slip preven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 the protrusion 15 is formed to gradually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to form a spike shape, whereby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s s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etc.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protrusion 15 may have a shape inclin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 , and thus a direction in which a load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your support for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portion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lip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slip prevention part is different in that it is formed in a scalloped shape.
  • the slip preventing part has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14a and the recessed part 14b are repeated, and the slip preventing part may increase the pressure applied per contact area with the floor to prevent slipping.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upper end portions 12 and 22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cervical support 20 in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lip prevention pa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part 12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the upper end part 22 of the neck support part 20.
  • the slip preven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 and 23 having an elliptic shape, thereby preventing a slip when contacting the user's body while generating a shiatsu effect on the user's body.
  • the protrusions 13 and 23 are formed on both the first twill 12b and the second twill 22b, and the first trough 12a and the second trough 22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rusions 13 and 23 may be formed only on the first twill 12b and the second twill 22b.
  • the slip prevention par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 variable length member 40 is coupled to the buffer portion 30 in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able length member 40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detachably in a form surrounding the buffer portion 30, and when mounted to the buffer portion 30 to obtain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ength of the buffer portion (30) Can be.
  • the length variable member 40 has an insertion space 42 into which the buffer part 30 is inserted, and has a length d 4 longer than the length d 3 of the buffer part 30. It can be formed to have.
  •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buffer part 30.
  • the length of the variable length member 4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gths.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ing pad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14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may be fixed by a user load.
  • the user raises the body on the fixing pad 50 to apply a load, and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stably use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 the fixing pad 50 is a seating portion 52 on which the user's body is seated, a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52 and the lower end portion 14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hinge portion 54 connected by 53.
  • the user can freely rotate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neck support 20, while applying a load to the seat 52 to prevent slippage.
  • the lower end portion 14 and the seating portion 52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re connected by the hinge part 54, but may be connected by various other methods.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rvical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only the laryngeal support 10 and the cervical support 20, so that the weight and the portability may be improved.
  • 15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uffer unit 30 is provided in a removable form. Specifically, the buffer portion 30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36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aryngeal support 10 so that the buffer portion 30 can be fixed to the laryngeal support 10.
  • shock absorbing portion 30 is formed as detachable as described above, in some cases, the shock absorbing portion 30 may be used in a separate form, or other shock absorbing portions 30 having various lengths and sha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have.
  • 16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eck support 20 and the buffer 30 are detachably formed from the laryngeal support 10. That is, the neck support part 20 and the buffer part 30 are fastened to the larynx support part 10 so that each of the neck support part 20 and the buffer part 30 can be fixed to the larynx support part 10. Fastening protrusions 26 and 36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s 16a and 16b are formed.
  •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20 and the buffer portion 30 of different shapes having various lengths and sha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nd of course, the laryngeal support portion 10 may be replaced.
  •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forms a part of the laryngeal support part 10 and has a form further including a detachable detachable member 11.
  • the laryngeal support 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whol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detachable member 11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Therefore, the length of the laryngeal support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detachable member 11.
  • the detachable member 111 of FIG. 17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detachable member 11 of FIG. 16,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use a side suitable for his or her body size.
  • the detachable members 11 and 111 also include fastening protrusions 13 and 113 which can be inserted into corresponding fastening grooves 16c similarly to the neck support 20 and the buffer part 30.
  • the neck support part 20 and the buffer part 3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 will be.
  •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aryngeal support 10 in the neck traction and exten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aryngeal support 10, the cervical support and the buffer unit are formed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like the eigh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 the coupling groove 16a formed in the laryngeal support 10 is formed at various positions in order to couple the neck support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to expand the degree of freedom of coupling.
  • the fastening groove 16a includes the first region 18a, the second region 18b, the third region 18c and the fourth reg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laryngeal support 10. Each pair was formed in 18d) to allow the neck support to be mounted in a desired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사용자의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 및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부를 지지하는 경부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누운 상태의 사용자 두정부 방향으로 기운 후두 지지부가 머리 무게에 의해 두정부 방향으로 넘어지려는 힘을 이용하여 경부를 견인 및 신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부 지지부는 경추의 중앙부에, 후두 지지부는 아틀란토-오시피탈 관절 부위에 피봇을 형성하여 경부와 두부를 후방으로 굴곡시키고, 이러한 굴곡에 의해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가 파지되어 쓰러지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으로 경부를 두정부 방향으로 견인 및 신장하게 된다. 이때 후두 지지부는 후두부에 피봇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가벼운 견인을 제공함으로써 전문 치료자가 수기로 유도하는 것과 같은 서브오시피탈 릴리즈를 사용자 혼자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본인의 손으로 이마를 하방으로 누르면 강한 견인력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위해 인체 접촉부 및 기타 부위가 점착성이 있는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본 발명은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가 바로 누운 자세로 가정에서 스스로 사용할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부 견인 장치는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고,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주며 혈행을 개선시키고, 또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부의 견인에 의한 압력의 해소는 추간판 탈출증(disc herniation)의 완화, 골관절염(osteoarthritis) 및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의 경감을 가져올 수 있다.
경추와 경부 근육들은 장시간 항시적으로 사용되는 부위이다. 경부 증상들의 악화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부위의 사용 시간에 상응하는 상당한 시간의 경부 견인 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문 치료자들을 찾아가는 데는 시간적, 경제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그 치료법들의 효용성에도 불구하고 치료 빈도와 총 치료 소요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증상이 쉽게 완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가 집에서 곁에 두고 자주, 그리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경부 견인 장치들이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러한 가정용 경부 견인장치들도 턱 스트랩과 무게추를 가지거나, 펌프와 실린더를 가지는 등 아직 덩치가 크고 사용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경부 견인 장치 중 일부는, 두부를 파지하기 위하여 턱 스트랩(chin strap)을 가지는데, 이러한 스트랩은 악관절 증후군(TMJ syndrome)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고, 치아에 해로운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두부를 당겨주는 넥서포트(neck support) 또는 웨지(wedge)를 가진 경부 견인 장치의 경우, 악관절에 악영향은 없지만 웨지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고, 머리를 전방으로 기울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추 굴곡(cervical curvature)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머리가 전방으로 기우는 것을 막기 위한 이마 스트랩(forehead strap)은 이마에 압박감이나 불편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서브오시피탈 릴리즈(suboccipital release)에 대해 도시된다. 상기 서브오시피탈 릴리즈(suboccipital release)는 환자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치료자가 후두하 근육군(suboccipital muscle group)(s) 부위를 양손가락 끝으로 받쳐주고 후두(occiput) 부위를 가볍게 견인하여 줌으로써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atlantooccpital joint, 두개골 하단과 첫 번째 경추 간의 관절)(a1)와 아틀란토액시얼 조인트(atlantoaxial joint, 첫 번째와 두 번째 경추 간의 관절)(a2)의 공간을 확장해 주고 두경부의 통증과 근육 긴장을 해소해 주는 치료법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치료자 없이 자가로 이러한 서브오시피탈 릴리즈를 시행할 수 있는 기구들이 고안되기도 하였으나, 현재까지의 기술들은 후두부를 견인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단순히 압박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 고안되었다.
첫째, 크기를 소형화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쉽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주, 그리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둘째, 턱관절에 장애가 없도록 후두부를 견인하되, 머리를 전방으로 기울게 하지 않고 경추가 C커브를 그릴 수 있도록 후하방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셋째, 견인이 동반된 서브오시피탈 릴리즈를 수행할 수 있는 경부 견인/신장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사용자의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 및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부를 지지하는 경부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하부(suboccippital area)를 가압하고,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경부를 견인하여 C자 커브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적어도 전면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는, 함몰 형성된 제1골부와, 상기 제1골부 양측에 형성된 제1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단부는, 함몰 형성된 제2골부와, 상기 제2골부 양측에 형성된 제2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부 지지부의 전후 두께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전후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경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 전체 표면에 상기 슬립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립방지부는, 기준값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료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립방지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의 돌기는, 하부로 갈수록 횡 방향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의 돌기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는 스캘롭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후면부로부터 연장된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를 감싸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길이가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탈착 가능한 탈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서브오시피탈 릴리즈를 수시로 혼자 수행할 수 있어 후두부 근육 경직의 해소, 두경부의 각종 긴장성 통증의 해소, 전신적 긴장의 해소 등의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후두부만을 압박하는 종래의 기구들과 달리 가벼운 견인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전문치료자가 수기로 행해주는 서브오시피탈 릴리즈의 품질에 근접할 수 있다.
둘째, 크기가 작아 소지, 이동이 용이해 사용자가 외지로 떠나는 상황 등 다양한 상황에서 언제든지 가지고 다니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여성의 핸드백, 남성의 서류가방에 넣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심플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작 비용이 적게 들고, 소비자가 비용적인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다.
셋째, 종래 후두부를 파지하여 견인하는 견인장치들의 경우 고개를 전방으로 숙이게 하는 힘을 작용시켜 일자 목, 거북 목 현상의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없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머리를 후하방으로 견인하면서 경부 지지부가 경부의 중앙부에서 지레의 받침대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경추를 바람직한 C자 형으로 교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종래 후두부를 파지하여 견인하는 견인장치들은 견인 시 고개가 전방으로 숙여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이마에 스트랩(forehead strap)을 장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이마에 압박감이나 불편감을 느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기구는 이러한 스트랩과 같은 장치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보다 강한 견인력이 요구될 때 사용자가 본인의 손으로 이마를 눌러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등의 별도 장치를 이용하는 것보다 쉽게 견인력을 조절할 수 있고, 본인 스스로 견인력이 경부에 미치는 이상 여부를 피드백하여 견인력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수기 치료를 시술하는 전문치료자 역시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이마를 눌러 용이하게 경부 견인을 시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서브오시피탈 릴리즈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 상단부와 경부 지지부 상단부가 각각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 경추 중앙부에 피봇(pivot)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 상단부와 경부 지지부 상단부가 후두 지지부 하단부를 피봇(pivot)으로 레버리지를 형성하는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스로 본인의 이마를 하후방으로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 및 경부 지지부의 상단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완충부에 길이가변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 있어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표현의 경우, 설명의 편의 상 설정된 기준에 의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후두 지지부(10)와 경부 지지부(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12)가 사용자의 후두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하단부(14)로부터 상단부(12)까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가 바닥 등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는 사용자의 후두를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전체적으로 판상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14)에서 상단부(12) 측으로 갈수록 똑바로 누운 사용자의 두정부(top of the head)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후두 지지부(10)에 후두를 지지하게 될 경우, 두정부 측으로 경부를 견인 및 신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전체가 경부 지지부(20) 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전면부(10a)만이 경부 지지부(20) 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적어도 전면부(10a)가 경부 지지부(20) 측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전면부(10a)로부터 연장되며, 사용자의 경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가 사용자의 후두에 접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경부에 접촉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후두 및 경부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하나가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전면부(10a)에서 전방 및 상측으로 곡선 형태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두 지지부(10)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신체를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울어진 판상 형태의 후두 지지부(10)가 지속적으로 두정부 방향으로 쓰러지려는 힘을 이용해 경부를 견인 및 신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는, 함몰 형성된 제1골부(12a)와, 상기 제1골부(12a) 양측에 형성된 제1능부(1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 역시 마찬가지로, 함몰 형성된 제2골부(22a)와, 상기 제2골부(22a) 양측에 형성된 제2능부(22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가 인체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는 한편, 경부 견인 및 신장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에 형성된 상기 제1능부(12b)의 경우, 수기 서브오시피탈 릴리즈 시술자의 3, 4 번 손가락 끝부분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전후 두께(d2)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전후 두께(d1)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경부 지지부(20)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사용자의 경부에 통증을 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경부에 완만한 피봇(pivot)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후두 지지부(10) 상단부(12)의 두께는 수기 시술자의 손가락 두께에 가깝도록 3mm~30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경우 이보다 두꺼운 10mm~80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경도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일 부분에 휨이 발생할 경우, 경부 견인 및 신장 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나무, 경질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이밖에도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후면부(10b)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가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경우, 상기 후두 지지부(10)보다 먼저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두부를 바닥에 부딪히는 등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경부의 과도한 신장 및 견인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 상단부(12)와 경부 지지부(20) 상단부(22)가 각각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 경추 중앙부에 피봇(pivot)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 상단부(12)와 경부 지지부(20) 상단부(22)가 후두 지지부(10) 하단부(14)를 피봇(pivot)으로 레버리지를 형성하는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스로 본인의 이마를 하후방으로 누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는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atlanto-occipital joint, 첫 번째 경추 와 두개저 간에 형성되는 관절)에,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는 경추 중앙부에 각각 피봇(pivot)을 형성하고, 이 피봇 주위로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 경추가 꺾이면서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가 두정부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사용자의 두부가 바닥에 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두부 자체의 무게로 견인 및 신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두부의 무게가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에 인가되면 기울어진 형태의 후두 지지부(10) 상단부(12)는 후하방으로 쓰러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을 피벗(pivot)으로 하는 레버리지(leverage)가 작용하여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는 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후상방으로 회전하려는 경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부에 가로막혀 회전하지 못하고, 경부의 중앙부를 들어 올려 경부에 더 깊은 C커브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더 깊어진 C커브에 의해 후두골저는 더욱 효과적으로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를 파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는 후두골저에 막히고,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는 경부 중앙부에 막혀 본 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가 쓰러지지 않으면서도 경부를 두정부 방향으로 견인 및 신장시키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경부 지지부(20) 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는 후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아틀란토오시피탈 조인트를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부를 견인하여 C자 커브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만곡 형상에 의해 후하방으로 회전 시 상기 경부 지지부(20)는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사용자의 경부를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한편 두정부 방향으로의 견인 및 신장력이 작용하기 위해서는, 피봇으로 작용하는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가 전방으로 미끄러지며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를 방문의 문턱 등 단턱이 형성된 지점에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요가 매트, 카페트 등과 같이 슬립이 일어나지 않는 재질을 가지며, 쿠션을 제공할 수 있는 바닥면에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에 의한 가압 지점(5)이 다소 함몰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본인의 한 손바닥 또는 두 손바닥을 이용하여 이마를 하후방으로 눌러 줄 경우, 더욱 강한 견인력을 얻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적용하지 않았으나,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슬립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적용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슬립방지부는 본 발명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 또는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 사이, 그리고 바닥면과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립방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를 전체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슬립방지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립방지부는 기준값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료가 코팅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슬립방지부가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여 요철에 의한 슬립 방지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슬립방지부는 고무, 실리콘 및 라텍스 등 기타 합성 재료 등 점착력이 있는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의 표면 일부 또는 전체에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돌기의 위치, 형상 및 개수 등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에 형성된 돌기(15)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경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에 슬립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립방지부는 복수의 돌기(15)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기(15)는 하부로 갈수록 횡 방향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스파이크 형태를 이루며, 이에 따라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는 바닥면 등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5)는 전방으로 소정 각도(θ)만큼 기울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하중이 인가되는 방향에 대한 버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같이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에 슬립방지부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슬립방지부는 스캘롭드(scalloped)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상기 슬립방지부는 돌출부(14a)와 함몰부(14b)가 반복되는 형상을 가지며, 바닥과의 접촉 면적 당 인가되는 압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 및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12, 22)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경우, 후두 지지부(10)의 상단부(12) 및 경부 지지부(20)의 상단부(22)에 슬립방지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13, 23)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신체에 지압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기(13, 23)는 제1능부(12b) 및 제2능부(22b), 그리고 제1골부(12a) 및 제2골부(22a)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돌기(13, 23)는 제1능부(12b) 및 제2능부(22b)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슬립방지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완충부(30)에 길이가변부재(4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길이가변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길이가변부재(40)는 상기 완충부(30)를 감싸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완충부(30)에 장착 시 상기 완충부(3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길이가변부재(40)는 내측에 상기 완충부(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4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완충부(30)의 길이(d3)보다 긴 길이(d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완충부(30)의 길이를 가변시켜 본 발명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최대 회전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길이가변부재(4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길이 별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고정패드(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드(5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고정패드(50) 상에 신체를 올려 하중을 가해 고정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패드(50)는 사용자의 신체가 안착되는 안착부(52)와, 상기 안착부(5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와 회전축(53)에 의해 연결되는 힌지부(5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후두 지지부(10) 및 상기 경부 지지부(20)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한편, 안착부(52)에 하중을 가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하단부(14)와 상기 안착부(52)는 힌지부(54)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완충부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로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는 후두 지지부(10) 및 경부 지지부(20)만이 구비되므로, 보다 경량화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경우, 완충부(30)가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부(30)에는 상기 완충부(30)를 후두 지지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두 지지부(10)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3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경우에 따라 완충부(30)를 분리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다양한 길이와 형상을 가지는 다른 완충부(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경우, 경부 지지부(20) 및 완충부(30)가 상기 후두 지지부(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부 지지부(20) 및 상기 완충부(30)에는, 상기 경부 지지부(20) 및 상기 완충부(30) 각각을 상기 후두 지지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체결홈(16a, 16b)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26, 3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다양한 길이와 형상을 가지는 다른 형상의 경부 지지부(20) 및 완충부(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후두 지지부(1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일부를 형성하며, 탈착 가능한 탈착부재(11)를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후두 지지부(10)는 전체가 복수의 부재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탈착부재(1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착부재(11)의 길이에 따라 후두 지지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7의 탈착부재(111)는 도 16의 탈착부재(11)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치수에 적합한 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탈착부재(11, 111) 역시 상기 경부 지지부(20) 및 상기 완충부(30)와 마찬가지로 대응되는 체결홈(16c)에 삽입 가능한 체결돌기(13, 113)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후두 지지부(10)의 탈착부재(11, 111), 경부 지지부(20) 및 완충부(30)의 조합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형태의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에 있어서, 후두 지지부(1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두 지지부(10), 경부 지지부 및 완충부를 서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경부 지지부 및 상기 완충부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후두 지지부(10)에 형성된 체결홈(16a)이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의 자유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홈(16a)은 상기 후두 지지부(10)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제1영역(18a), 제2영역(18b), 제3영역(18c) 및 제4영역(18d)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상기 경부 지지부를 원하는 영역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해당 사용자의 신체에 특화하여 보다 적용이 용이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22)

  1. 기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며, 상단부가 사용자의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 지지부; 및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전면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경부를 지지하는 경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두하부(suboccipital area)를 가압하고,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경부를 견인하여 C자 커브를 형성하도록 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적어도 전면부는,
    상기 경부 지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는,
    함몰 형성된 제1골부와, 상기 제1골부 양측에 형성된 제1능부를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단부는,
    함몰 형성된 제2골부와, 상기 제2골부 양측에 형성된 제2능부를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지지부의 전후 두께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전후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경도로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상단부,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의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 및 상기 경부 지지부 전체 표면에 상기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기준값 이상의 마찰력을 가지는 재료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의 돌기는,
    하부로 갈수록 횡 방향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의 돌기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슬립방지부는 스캘롭드 형태로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후면부로부터 연장된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를 감싸는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길이가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부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는,
    상기 후두 지지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탈착 가능한 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지지부의 하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패드를 더 포함하는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PCT/KR2016/004154 2015-04-23 2016-04-21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WO201617148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106A KR101663813B1 (ko) 2015-04-23 2015-04-23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KR10-2015-0057106 2015-04-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488A1 true WO2016171488A1 (ko) 2016-10-27

Family

ID=5714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154 WO2016171488A1 (ko) 2015-04-23 2016-04-21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3813B1 (ko)
WO (1) WO20161714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243U (ja) * 1983-04-04 1984-10-16 株式会社 中央技研 指圧器
KR200304252Y1 (ko) * 2002-11-06 2003-02-15 류현우 척추ㆍ복부용 지압운동구
KR200321943Y1 (ko) * 2003-05-09 2003-07-3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JP2004321443A (ja) * 2003-04-24 2004-11-18 Sakakibara:Kk 首指圧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096U (ja) * 1983-08-04 1985-02-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交通信号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4243U (ja) * 1983-04-04 1984-10-16 株式会社 中央技研 指圧器
KR200304252Y1 (ko) * 2002-11-06 2003-02-15 류현우 척추ㆍ복부용 지압운동구
JP2004321443A (ja) * 2003-04-24 2004-11-18 Sakakibara:Kk 首指圧器
KR200321943Y1 (ko) * 2003-05-09 2003-07-31 한정민 경추 견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813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01760A1 (zh) 治疗用的拉伸装置
US20210228436A1 (en) Body massaging device
RU24596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позвоночника
US20180280229A1 (en) Body massaging apparatus
WO2017200335A1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WO2016171488A1 (ko)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US6217538B1 (en) Cervical/upper thoracic relaxer
US7658696B2 (en) Multipurpose therapeutic device
KR20170135276A (ko)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US20190000711A1 (en) Apparatus for massaging a body part of a user
WO2017111283A1 (ko) 관절 재활치료기
US20190046392A1 (en) Tetrahedral Massage Device
US20220280371A1 (en) Self-Operable Massage Therapy Device
US5681268A (en) Arm support and carpal nerve protection device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US11065178B2 (en) Spinal massage device
KR20170142579A (ko) 휴대용 경부 견인 및 신장 기구
TWM531858U (zh) 具有重力牽引夾腳裝置之倒立機
CN111135048A (zh) 颈椎小关节错位按摩仪
WO1991015180A1 (e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utotherapy in the cervical, dorsal and lumbar regions
KR102377062B1 (ko) 지지식 목 및 상흉부 스트레칭기
US20070252050A1 (en) Hand positioner device for computer mouse
CN213218775U (zh) 一种自适应踝关节动态牵伸装置
KR102008425B1 (ko) 목 근육 이완장치
WO2023048535A1 (ko) 척추 및 무릎용 재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83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834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