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43919A1 -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 Google Patents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43919A1
WO2016143919A1 PCT/KR2015/002325 KR2015002325W WO2016143919A1 WO 2016143919 A1 WO2016143919 A1 WO 2016143919A1 KR 2015002325 W KR2015002325 W KR 2015002325W WO 2016143919 A1 WO2016143919 A1 WO 20161439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mp
signal
unit
case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3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232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43919A1/ko
Publication of WO20161439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439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9/00Lanterns, e.g. hurricane lamps or candl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tern operated by a non-conta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that is driven to be turned on or off even when the contact is not in contact.
  • a portable lamp for freeing both hands of the user is widely used, and the portable lamp can be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head or pocket through a visor or band of a hat to ensure its activity.
  • the portable lamp is turned on f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Should be turned off. This is because when the light from the portable lamp shines on the water, the fish become alert and interfere with fishing.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lamp power switch during the night fishing for several tens to hundreds of times, the inconvenience was very large, and if you touch the power switch with a hand that touched the bait, the portable lamp easily becomes dirty. There was a downside.
  •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2-103535 Portable Lamp Using Tilt Detection and Its Control Method, Lee Jung-min and one other person
  • the power supply unit 50 as shown in FIG.
  • a light emitting unit 20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50
  • Sensor unit 30 for detecting the tilt of the portable lamp attached to the user's head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 a control block 40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ight emit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30.
  • the control block 40 of the power supply unit 50 is supplied to the lamp. Shut off or apply power.
  • the lamp is turned on or off as the lamp is tilted.
  • the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fisherman's head is tilted down to attach the bait or remove the fish from the fishing needle when installed on the fisherman's hat, and the work is completed and the head is turned up again.
  • the rice cake or fish soiled hand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and off without touching the switch not shown.
  • the light of the lamp is reflected in the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sh are ale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other side or the pers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tern which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in which the lamp is operated by non-contacting, but provides a lantern in which the lamp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in which the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off in accordance with the proximity movement of the lamp.
  • the driving of the lamp is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vements, and it can communicate wirelessly by interlocking with the mobile phone, the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phon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ilt, and the tilt can be detected mechanically. It provides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to detect and confirm the separation distance.
  • the above object is a case; A lamp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to emit light; A non-contact switch operative to turn on or turn off the lamp;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lamp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of the non-contact switch; And 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lamp by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non-contact switch is configured as a motion sensor configured to provide a switching signal by detecting a proximity state movement of the case. This is achieved by a possible lantern.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detection of the proximity movement; A comparator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by comparing a count count counted in the counter with a preset control count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amp; And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control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d to the lamp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mparison unit.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case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the user's mobile phone, and the control unit applies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with the mobile phone to the controller so that the control unit switches to a call mode with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otion sensor.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o output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a telephon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outputting a signal input to the signal processor as a voice or converting the input voice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a screen.
  • a tilt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inclination of the case and apply it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ase.
  •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case, the housing having a space therein;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teel balls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by the inclination of the housing in the housing; And a position senso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steel ball and applying a posi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 the signal processor includes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that the mobile phone is separated from the set distance; And an alarm module generating an alarm visually or audibly by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 the fixing clip is fitt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visor provided in the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the fixing clip is horizontally fixed to be mounte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case; An elastic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art and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elastic portion to be inclined and having an end facing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 the fixing clip further comprises an adjuster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adjust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the holder in the form of a hole in which an internal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a lifting member which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lder, and has a male screw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 a seating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seated inside the horizontal fixing unit as the elevating member rotates to elevate;
  • a gripp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fixedly installed to rotate the elevating member.
  • the holder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descends along the lift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desc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is widened.
  • the holder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rises along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 the width of the opening is narrowed.
  • the lantern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off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case by the motion sensor, there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amp in a non-contact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amp can be turned on or off quickly at the desired position without touching.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witches to the communication mode with the mobile phone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without contact, and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slope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 the tilt detection unit can easily detect the tilt by detecting the tilt by the movement of the metal steel ball, and can easily implement the tilt detection unit, the distance detection when the mobile phone is spaced at a set distance
  • the sensor activates the alarm module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loss.
  • a fixed clip has an effect that is fixed to the visor just by inserting a fixed clip on one side of the visor provided in the cap, the horizontal fixing, the elastic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is integrally made easy to manufacture.
  • the elastic material touches both sides of the visor to absorb the pressing pressure by the elastic part, thereby preventing the shape of the visor from being deformed. It works.
  • the adjuster is composed of a holder, a lifting member, a seating member and a holding member is easy to manufa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is easy to use.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tern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ntern capable of operating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unit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add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lantern capable of contactles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ilt detection unit of a lantern capable of operating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fixing clip.
  • 1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sor is coupled to the fixed clip.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juster is mounted to a fixed clip.
  • Fig. 1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djust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contact operation of th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non-contact operation of the lanter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4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6 is a non-contac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lantern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unit of the lantern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8 is add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a lantern capable of non-contact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 Figure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of the lantern can operate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 the lantern which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includes a case 1, a lamp 2, a non-contact switch, a control unit 7 and a power supply unit 8 as shown in FIGS.
  • the case 1 is formed in an enclosure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xing clip (3) is fixed to the visor (Ca) of the cap (C) as shown in the upper or lower surface It is provided.
  • the case 1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light 2a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case 1 is a jack that is coupled to the jack of the power switch (S1) for controlling the power, the lamp switch (S2)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amp 2 to be described later, the earphone not shown as shown in FIG. Holder J is provided.
  • the power switch S1 may turn on the lamp 2 when the power is turned on. However, the lamp 2 is not lit and only the lamp switch S2 is turned on.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 the lamp switch (S2) may be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button type, dial type or lever type, and applies o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witch (S1) to the lamp (2).
  • the brightness of the lamp 2 to be described below is adjusted to one stage, and when it is operated again, the brightness of the lamp 2 is adjusted to two or more stages of brightness.
  • the lamp switch (S2) to control the brightness in one stage by turning on only one lamp (2) when the lamp (2) is composed of a plurality, otherwise the two to four lamps (2) By sequentially lighting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to 2 to 4 stages.
  •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of the quantity and brightness of the lamp 2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 the jack holder (J) transfers the MP3 typ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jack of the earphone.
  • the lamp 2 is a light sourc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1 to emit light, and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ase 1 as shown in FIGS. 2 to 3, but may be configured as one. Rather,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in plural as shown for the brightness control, consisting of LED.
  • the lamp 2 when the lamp 2 is composed of a chip LED (Chip LED) having excellent brightness about 8 times higher than a general LED, the lamp 2 is configured as one, and brightness is controlled by dimming control as described below.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ED, the brightnes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EDs that are configured to be plural and lit as described below. This is a general description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Chip LED Chip LED
  • the lamp 2 may be installed to move the lens (L) in front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in FIG.
  • the lens L adjusts the focus while being approached or spaced apart from the lamp 2. Therefore, the lamp 2 may be adjusted to the irradiation distance or the irradiation width by the lens (L),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that is, such as mountain climbing or jogging or riding a bicycle.
  • the lens L may be configured as a concave lens or a convex lens. Alternatively, the lens L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lenses commonly distributed such as a toric lens.
  • the lens L may be movably fixed to the case 1 by a conventional mechanical structure such as a dial type or a lever type. Since the lens (L) and the mechanical structure are easily accessible on the marke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 the non-contact switch is operated for switching on or off of the lamp 2, and for non-contact switching.
  • the non-contact switch is installed in the case (1) as shown in Figures 3 to 5, composed of a conventional motion sensor (5) to detect the proximity movement of the case (1) to provide a switching signal do.
  •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mp 2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signal of the non-contact switch, and together with the motion sensor 5, the power supply unit 8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as shown in FIG. To control its operation.
  • the control unit 7 is composed of a counter 7a, a comparator 7b and a switching unit 7c as shown in FIG.
  • the counter 7a count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proximity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5.
  • the comparator 7b compares the number of counts counted by the counter 7a with a preset set number of control times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amp 2 to apply a control signal.
  • the comparison unit 7b may turn on when the preset control frequency is about 2-5 seconds, turn off when 2 times, turn off when 3 times, turn 2 when brightness is 4, turn 2 when brightness is 3, In case of 5 times, the brightness can be set in 3 levels.
  • the comparing unit 7b counts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7a and the set control count. After comparing the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lamp (2) to turn on or off or adjust the brightness in steps.
  • the switching unit 7c control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8 supplied to the lamp 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mparison unit 7b.
  • the switching unit 7c supplie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8 by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mparator 7b to turn on the lamp 2, or vice versa to cut off the supply power. 2) is turned off, and when the lamp 2 is turned on, the dimming of the lamp 2 is adjust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amp 2 or the plurality of lamps 2 are sequentially turned on one by one. Turn on or off to adjust the brightness.
  • the power supply unit 8 to supply power to the lamp 2 by the control unit (7).
  • the power supply unit 8 may be configured as a replaceable battery, but rath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 rechargeable battery, and when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battery, it is preferable to be charged through a USB not shown.
  • case 1 should be provided with a USB port 50 for charging as shown in FIG. 4.
  • the case 1 is provided with an indicator light (2a) consisting of LEDs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ower supply unit 8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7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be described later
  • the operating condition of (10) is displayed.
  • Lantern capable of non-contact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visor (Ca) of the cap (C) by the fixing clip (3) mounted to the case (1), as shown in FIG.
  • the motion sensor 5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S1.
  • the case 1 is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visor (Ca) as shown in Figure 3 by the fixing clip (3).
  • the motion sensor 5 detects a movement in the proximal position of the case 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7 when the proximity movement is detected once for 3 seconds.
  • the user shakes his hand once to the left or to the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 motion sensor 5 detects the proximity movement.
  • the controller 7 counts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tion sensor 5, and the comparator 7b compares the set control frequency with the counter 7a.
  • the comparator 7b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switching part 7c as one detection is set to light in the preset control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Apply a lighting signal.
  • the switching unit 7c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8 to the lamp 2 to light the lamp 2.
  • the comparison unit 7b sets the preset control when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is counted in the counter 7a by the motion sensor 5, that is, when the proximity motion is detected twice for 3 seconds. As the detection is set to turn off twice in the number of times, a power-off signal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7c to cut off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8 supplied to the lamp 2.
  • the comparison unit 7b may adjust the setting control frequency as one step to three steps as described above.
  • the signal of the first to third stages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7c to turn on the plurality of lamps 2 installed in the case 1 one by one to adjust brightness or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amps 2.
  • the dimming of the lamp 2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applied power.
  • the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60 as shown in FIG.
  • the communication unit 60 is paired with a user's mobile phone by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to confirm a received number or text received on the mobile phone or to make a call.
  •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 the user can make a call or check a received number or a received text by the communication unit 60 without taking out the mobile phone HP from a pocket or a bag.
  • the communication unit 6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proximity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sensor 5 is detected six times in, for example, about 2-5 seconds.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6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various detection frequencies. It may be.
  • the communication unit 6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a signal processing unit 20,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0, and a display module 4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s installed in the case 1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 receives a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a text signal, a received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with the cellular phone HP by the above-described local area network, 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 the control signal 7 transmits and receives a confirmation signal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obile phone HP to switch to the call mode with the mobile phone HP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motion sensor 5 describ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receives a received signal from the mobile phone when the telephone is received by the mobile phone HP, or a voice signal or a text signal to enable a voice call or a text call from the mobile phone HP. Receive or transmit.
  • the signal processor 20 is capable of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processes such that the above-mentioned reception number signal, the voice signal, or the text signal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can be output visually or audibly.
  • the telephon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0 is configured as a speaker or a microphone to output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20 as a sound to enable hearing confirmation, or when a voice for a call is input, a voice signal is input. Convert to and send.
  • the telephon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0 includes a speaker for outputting voice or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and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 the display module 40 outputs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20 to the screen so that visual confirmation is possible.
  • the display module 40 is installed in the case 1 to face the user's eyes as shown in FIG. 4, and outputs the text signal to display the received number or received text on the mobile phone.
  • the lantern that can be op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ilt detection unit 9 as shown in FIG.
  •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9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case 1 so that the control unit 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ase 1 to the control unit 7. To be authorized.
  • the communication unit 60 is interlocked with the mobile phone HP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ase 1.
  • control unit 7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when the case 1 is inclined by the tilt detection unit 9, and when the motion sensor 5 detects one to three close-up movements. Activat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can operate even if six proximity state movements are not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provides convenience in use unlike the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s operated when the user shakes his hand six times in the vicinity of the motion sensor 5 in the former case, but in the latter case, the hand is moved left and right in a state where the tilt is detected by the tilt detecting unit 9.
  • you shake only once or three times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an the former.
  • the controller 7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which the tilt is detected from the tilt detector 9, and the motion sensor 5. As a signal from which proximity motion is detected is transmitt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is operated without interlocking the driving of the lamp 2, thereby interworking the mobile phone HP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 the user can make a call by the communication unit 60.
  • the user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to the mobile phone HP and the recep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40 or the indicator 12a, the user bows his head to operate the tilt detection unit 9 and simultaneously Shake hands close to the case 1 to operate the motion sensor 5 to be able to make a call.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hen the horizontal is detected from the tilt detection unit 9 and the proximity motion is detected from the motion sensor 5.
  • the inclination detector 9 is composed of a housing (H), inclined surface (IN), steel ball (B) and the position sensor as shown in FIG.
  • the housing H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 and has a space therein as shown.
  • the inclined surface IN is incl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H as shown.
  • the steel ball B is a metal bead,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by the inclination of the housing H inside the housing H as shown.
  • the position sensor detects a position of the steel ball B and applies a position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7.
  • the position sensor is configured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housing (H)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eel ball (B) as the magnetic field is changed by the steel ball (B).
  • the positi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H) as shown in the drawing,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9a) and the magnetic field is changed as the current is energized to form a magnetic field, the steel ball (B) is close to and
  • the magnetic field sensing unit 9b detects a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9a and applies a magnetic field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7.
  • the gas detector is composed of almost the same concept as the metal detector for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metal by the magnetic field.
  • the tilt detection unit 9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head is bowed down and the housing (H) is inclined together with the case 1 described above, the steel ball (B) is a groove-shaped sheet of the inclined surface (IN) It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IN in the state seated at ST.
  • the magnetic field detection unit 9b detects a magnetic field changed in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9a by the movement of the steel ball B and applies a magnetic field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7.
  • control unit 7 may check the inclination of the case 1, that is, the steel ball (B) is separated from the sheet (S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se 1 is not in a horizontal state, such When the proximity motion is detected from the above-described motion sensor 5 in th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phone is receiv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60 is operated.
  • the aforementioned sheet ST is formed so as to face the position of the steel ball B with the magnetic field forming portion 9a when the housing H is completely horizontal or almost horizontal.
  • the magnetic field detecting unit 9b may easily detect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field forming unit 9a since the steel ball B is not easily flown due to being seated on the sheet ST.
  • the magnetic field detecting portion 9b is not easily flowed by the steel ball B by the sheet ST, and the steel ball B is the sheet ST only when the housing H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ince it is separated from the magnetic field change portion (9a) it can be easily detected.
  • the tilt detection unit 9 may be mechanically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 the inclination detection unit 9 requires a high cost, but a general inclination sensor capable of reducing the installation area due to its small size. You can also apply.
  • the signal processor 20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21 and the alarm module 22 as shown in FIG.
  • the distance sensor 21 detects that the mobile phone is spaced apart from the set distance.
  • the alarm module 22 generates an alarm visually or audibly by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21.
  • the user can prevent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HP) by operating the alarm module 22 by the distance sensor 21 when the mobile phone (HP) is away from the case (1). .
  •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is provided with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 or a radio unit 27 as shown in FIG.
  • 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25 is a component for storing and outputting various music, and as shown, is composed of a sound source storage unit 25a and a sound source transmission unit 25b.
  •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25a stor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put to the aforementioned USB port 50, and stor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Bluetoo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 .
  • the sound source transmitter 25b reads an output request sound source among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25a and applies it to the signal processor 20.
  •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 converts the read sound source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earphone or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jack holder J.
  •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25a are displayed in the display module 40 as a list, and any one of them is selected as the above-described lamp switch S2 is operated.
  • the radio unit 27 receives a radio signal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or earphone described above.
  • the radio unit 27 includes a receiver not shown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filter unit not shown for filtering the frequency set in the radio signal of the receiver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frequency to the signal processor 20.
  • the radio unit 27 transmits a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to the signal processor 20 to output radio sound to a speaker or earphone.
  • the user can listen to the stored sound source or radio when necessary.
  • the fixed clip (3) comprises a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elastic portion (3b) and inclined portion (3c) as shown in FIG.
  • the horizontal fixing part 3a is horizont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case as shown.
  • the method of fixing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to the case is fixed by an adhesive, screwing or welding, such a fixing method is a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 the elastic portion 3b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as shown, and is formed to be curved such that the opposite end to be extended is opposed to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 the elastic portion 3b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3c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clined portion 3c is inclinedly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3b as shown, and the opposite end to be formed is formed to face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 the fixing clip 3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4 and an adjuster 6.
  • the elastic material 4 is attached to the inner front of the fixing clip 3 as shown in FIG. That is,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the elastic portion 3b and the inclined portion 3c are attached to the entire inner side.
  • the elastic material 4 is a material that absorbs the pressing pressure by the elastic part 3b described abov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rubber, urethane, or sponge.
  • the adjuster 6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width W of the opening 3d formed by the end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c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2. Similarly, the holder 6a, the elevating member 6b, the seating member 6c and the holding member 6d are included.
  • Holder 6a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3c) as shown. At this time, the holder 6a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internal thread formed in the holder 6a is not limited, and an external thread may be formed.
  • the lifting member 6b is formed to have a length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provided inside the holder 6a. At this time, the elevating member 6b is formed with a male screw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elevating member is not limited, and the male screw or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or 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6a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6b, Rotationally coupled.
  • the seating member 6c is provided to be fix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member 6b as shown. At this time, the seating member (6c) is located inside the fixed clip (3), the upper surface is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while being elevated by the lifting member (6b) rotated.
  • the holding member 6d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member 6b as shown. At this time, the holding member (6d)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clip (3).
  • the fixing clip 3 is detachably fixed to the visor Ca provided in the cap C,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xed clip 3 is the pressing pressure by the elastic portion 3b is generated so that each of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and the inclined portion (3c)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visor (Ca) to secure the movement.
  • the fixing clip 3 is the elastic material 4 is attached to the inner front as shown in Figure 11 so that the elastic material 4 abuts on both sides of the visor (Ca). Therefore, when the fixing clip 3 is fixed to the visor Ca, the elastic material 4 absorbs a part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visor Ca, so that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and the inclination of the fixing clip 3 are inclined.
  • the part 3c can be prevented from deforming the shape by pressing a part of the visor Ca.
  • the fixing clip 3 has a width W of the opening 3d formed in the fixing clip 3 by the adjuster 6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ing clip 3. This can be adjusted as follows.
  • the lifting member 6b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6a rotates and rises, the seating member 6c and the material 6c are attached to the horizontal fixing part 3a.
  • the holder 6a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3c descends along the elevating member 6b, and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c is lowered, so that the width W of the opening 3d is wide. You los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insert the visor (Ca) through the widened opening (3d).
  • the lifting member 6b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6a rotates and descends, the seating member 6c and the material 6c are removed from the horizontal fixing portion 3a.
  •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3c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width W of the opening 3d is increased. It becomes narrower. Therefore, the fixing clip 3 is more securely fixed to the visor Ca inserted into the opening 3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램프(2)와; 상기 램프(2)의 점등이나 소등을 위해 작동하는 비접촉식 스위치와;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7); 및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상기 램프(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부(8);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1)의 근접상태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션센서(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션센서(5)에 의해 상기 램프(2)가 비접촉식으로 구동된다.

Description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본 발명은 비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되어도 점등이나 소등이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과 같이 어두운 환경에서 야간 보행, 야간 작업, 야간 낚시, 야간 등산 등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램프 또는 전등을 휴대하면 램프 또는 전등을 들고 있는 손의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각종 야간 활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휴대용 램프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램프는 모자의 챙이나 밴드 등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또는 포켓 등에 분리가능하게 착용되어 그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휴대용 램프는 그 점등 내지 소등 조작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야간 활동 시에 매우 번거러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야간 낚시의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전방측으로 기울여 미끼를 바늘에 끼우거나 기타 채비 손질을 할 경우에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휴대용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러한 작업 후에 사용자의 머리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반드시 휴대용 램프를 소등시켜야 한다. 이는 휴대용 램프의 빛이 물가에 비춰지면 물고기가 경계심을 갖게 되어 낚시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건너편에 있는 사람에게 비춰져 낚시를 방해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야간 낚시를 하는 동안 휴대용 램프의 전원스위치를 수십 ~ 수백회에 걸쳐 조작함에 따라 그 불편함이 매우 컸으며, 또한 미끼를 만지던 손으로 전원스위치를 만지게 될 경우 휴대용 램프가 쉽게 더러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공개된 공개 제10-2012-103535호(기울기 감지를 이용한 휴대용 램프 및 그 제어방법, 이정민 외 1명)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0); 상기 전원공급부(50)에 접속된 발광부(20);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된 휴대용 램프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30); 및 상기 센서부(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2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블록(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감지를 이용한 휴대용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램프의 기울어짐을 상기 센서부(30)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블록(40)에 감지신호를 전송할 경우 상기 제어블록(40)이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램프는 기울어짐에 따라 램프가 점등되거나 소등된다.
특히나 상기 램프는 낚시를 하는 사람의 모자에 설치될 경우 미끼를 끼우거나 물고기를 낚시바늘에서 분리하기 위해 낚시를 하는 사람의 머리가 아래로 기울어질 때 자동으로 켜지고, 작업이 완료되어 머리가 다시 위로 들어 올려질 때 자동으로 소등됨으로써, 떡밥이나 생선 오물이 묻은 손을 미도시된 스위치에 접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머리가 들어 올려진 후 상기 램프가 소등되므로 낚시의 경우 상기 램프의 조명이 물에 조사된 후 소등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램프의 조명이 물에 비치므로 물고기들이 경계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명이 반대편이나 옆 사람에게 조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비접촉에 의해 램프가 작동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을 제공하되, 램프의 근접상태 움직임에 따라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을 제공한다.
특히나 움직임 횟수에 따라 램프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휴대전화와 연동되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기울기에 따라 휴대전화와의 연동이 제어되고, 기계식으로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고, 휴대전화와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확인시킬 수 있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등이나 소등을 위해 작동하는 비접촉식 스위치와;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의 근접상태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션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상태 움직임의 감지횟수를 카운팅하도록 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횟수와 상기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사전설정된 설정제어횟수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와의 통화모드로 전환하시키도록 휴대전화와의 송수신 확인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가능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화통화 송수신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경사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강구; 및 상기 강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위치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위치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휴대전화와 설정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거리감지센서; 및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동작에 의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모자에 구비되는 챙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고정부; 상기 수평고정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만곡되게 연장형성되며,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끝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수평고정부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대향되게 구비되는 경사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의 내측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챙의 양측면에 맞닿으며, 상기 고정클립의 탄성부에 의한 누르는 압력을 흡수하여 상기 챙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탄성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수평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경사부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을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저스터는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멍형태의 홀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회전하여 승강함에 따라 상기 수평고정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 회전결합된 승강부재가 회전함하여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수평고정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면,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 홀더가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경사부의 끝단이 하강하여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 회전결합된 승강부재가 회전하여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수평고정부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이격되면,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 홀더가 상기 승강부재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부의 끝단이 승강하여 상기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은 모션센서에 의한 케이스의 근접상태 움직임에 따라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됨으로써 비접촉식으로 램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케이스에 신체를 접촉하지 않고도 램프를 원하는 위치에서 신속하게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나 모션센서에서 감지되는 근접상태 움직임의 횟수에 따라 램프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램프의 점등 및 소등과 함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무선통신부가 마련되어 모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부가 휴대전화와의 통화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비접촉으로 편리하게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에 따라 무선통신부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무선통신부의 작동을 원하는 조건에서만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기울기 감지부가 금속재 강구의 이동에 의해 기울기를 감지함으로써 기울기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울기 감지부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휴대전화가 설정된 거리로 이격될 경우 거리감지센서가 알람모듈을 작동시킴으로써 휴대전화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클립을 제공하여 모자에 구비되는 챙의 일측에 고정클립을 끼워넣는 것만으로 챙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고, 수평고정부, 탄성부 및 경사부이 일체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탄성재를 제공하여 고정클립이 모자의 챙에 끼워져 챙의 양면을 누르더라도 탄성재가 챙의 양면에 맞닿아 탄성부에 의한 누르는 압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챙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저스터를 제공하여 수평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경사부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을 조절하여 챙을 고정클립의 내부로 편리하게 삽입시키거나, 챙을 고정클립으로부터 편리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고정클립의 내부에 삽입된 챙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어저스터는 홀더, 승강부재, 안착부재 및 파지부재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랜턴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통신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통신부에 추가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기울기 감지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고정클립에 탄성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고정클립에 챙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고정클립에 어저스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어저스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케이스2; 램프
3; 고정클립4; 탄성재
5; 모션센서6; 어저스터
7; 제어부8; 전원부
9; 기울기 감지부10; 무선통신부
20; 신호처리부21; 거리감지센서
22; 알람모듈30; 송수신모듈
40; 디스플레이모듈50; USB포트
60; 통신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통신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통신부에 추가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기울기 감지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 램프(2), 비접촉식 스위치, 제어부(7) 및 전원부(8)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태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C)의 챙(Ca)에 고정되는 고정클립(3)이 상부면이나 하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2a)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S1)나 후술되는 램프(2)의 밝기를 조절하는 램프스위치(S2), 미도시된 이어폰의 잭이 결합되는 잭홀더(J)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S1)는 한번 가압될 경우 전원이 온(ON)되고 두번 가압될 경우 전원이 오프(OFF)된다.
이러한 상기 전원스위치(S1)는 전원이 온(ON)될 경우 상기 램프(2)를 점등을 시킬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램프(2)는 미점등하고 상기 램프스위치(S2)만이 온(ON)되도록 구성할 수도있다.
또한 상기 램프스위치(S2)는 통상의 버튼식이나 다이얼식 또는 레버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스위치(S1)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2)에 인가하거나 차단한다.
상기 램프스위치(S2)는 한번 조작될 경우 후술되는 상기 램프(2)의 밝기가 1단으로 조절되고, 다시 조작될 경우 상기 램프(2)의 밝기가 2단 이상의 밝기로 조절된다.
이때, 상기 램프스위치(S2)는 상기 램프(2)가 복수로 구성될 경우 하나의 상기 램프(2)만을 점등시켜서 1단으로 밝기를 조절하고, 이와 달리 2 내지 4개의 상기 램프(2)들을 순차적으로 점등시켜서 2단 내지 4단으로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상기 램프(2)의 수량 및 밝기의 조절단계는 전술한 바와 달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잭홀더(J)는 후술되는 음원제공부(25)에 저장된 MP3 형태의 음원을 이어폰의 잭으로 전달한다.
상기 램프(2)는 케이스(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광원으로써,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전방에 설치되고, 하나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보다는 밝기조절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램프(2)는 일반적인 LED 보다 약 8배 정도로 광도가 우수한 칩LED(Chip LED)로 구성될 경우 하나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디밍조절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고, 일반적인 통상의 LED로 구성될 경우 복수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점등되는 LED의 수량에 따라 밝기가 조절된다. 이러한 내용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통상적인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램프(2)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렌즈(L)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렌즈(L)는 상기 램프(2)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면서 촛점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램프(2)는 상기 렌즈(L)에 의해 조사거리나 조사폭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 즉 등산이나 조깅과 같은 운동 또는 자전거 타기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렌즈(L)는 오목렌즈나 볼록렌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토릭렌즈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다양한 렌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L)는 다이얼식이나 레버식 등의 통상적인 기계적 구조에 의해 상기 케이스(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렌즈(L) 및 기계적 구조는 현재 시중에서 용이하게 접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기에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램프(2)의 점등이나 소등을 위해 스위칭작동하며, 비접촉으로 스위칭작동한다.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의 근접상태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통상의 모션센서(5)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는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2)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와 함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센서(5)와 전원부(8) 및 통신부(6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7a), 비교부(7b) 및 스위칭부(7c)로 구성된다.
상기 카운터(7a)는 상기 모션센서(5)에서 감지되는 근접상태 움직임의 감지횟수를 카운팅하도록 한다.
상기 비교부(7b)는 상기 카운터(7a)에서 카운팅된 횟수와 상기 램프(2)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사전설정된 설정제어횟수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비교부(7b)는 그 예로써, 사전설정된 상기 설정제어횟수가 약 2-5초 이내에 1회일 경우 점등, 2회일 경우 소등, 3회일 경우 밝기조절 1단계, 4회일 경우 밝기조절 2단계, 5회일 경우 밝기조절 3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비교부(7b)는 상기와 같은 설정시간 동안 상기 모션센서(5)에서 감지된 근접상태 움직임의 횟수를 상기 카운터(7a)가 카운팅할 경우 상기 카운터(7a)의 카운팅 값과 설정된 설정제어횟수를 비교한 후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램프(2)를 점등하거나 소등 또는 단계별로 밝기를 조절한다.
상기 스위칭부(7c)는 상기 비교부(7b)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2)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부(8)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위칭부(7c)는 상기 비교부(7b)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부(8)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램프(2)를 점등하거나, 이와 반대로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램프(2)를 소등시키며, 이와 달리 상기 램프(2)가 점등된 상태일 경우 상기 램프(2)의 밝기조절을 위해 상기 램프(2)의 디밍을 조정하거나 복수의 상기 램프(2)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점등이나 소등시켜서 밝기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전원부(8)는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상기 램프(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8)는 교환식 배터리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보다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할 경우 미도시된 USB를 통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케이스(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을 위한 USB 포트(50)가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로 구성된 표시등(2a)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8)의 잔량이나 상기 제어부(7)의 작동상태 또는 후술되는 무선통신부(10)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장착된 상기 고정클립(3)에 의해 상기 모자(C)의 상기 챙(Ca)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스위치(S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션센서(5)가 작동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는 상기 고정클립(3)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챙(Ca)의 상부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모션센서(5)는 상기 케이스(1)의 근접위치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며, 예를 들어서 3초 동안 근접상태 움직임이 한번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7)에 이를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모션센서(5)가 근접상태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손을 상기 케이스(1)에 근접한 상태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한번 흔든다.
상기 제어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션센서(5)에서 전달되는 감지신호를 상기 카운터(7a)가 카운팅하고, 상기 비교부(7b)가 상기 설정제어횟수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비교부(7b)는 상기 카운터(7a)에서 감지횟수가 1회로 카운팅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설정된 상기 설정제어횟수에서 1회 감지는 점등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7c)에 점등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7c)는 상기 전원부(8)에서 상기 램프(2)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램프(2)를 점등한다.
하지만 상기 비교부(7b)는 상기 모션센서(5)에 의해 상기 카운터(7a)에서 감지횟수가 2회로 카운팅될 경우, 즉 근접상태 움직임이 3초 동안 2회 감지될 경우 사전에 설정된 상기 설정제어횟수에서 2회 감지는 소등으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7c)에 소등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램프(2)로 공급되는 상기 전원부(8)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달리 상기 비교부(7b)는 상기 모션센서(5)에 의해 상기 카운터(7a)에서 감지횟수가 3회 내지 5회로 카운팅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제어횟수가 밝기조절 1단계 내지 3단로 설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7c)에 1단계 내지 3단계의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램프(2)들을 차례로 하나씩 더 점등시켜서 밝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램프(2)에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램프(2)의 디밍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통신부(6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페어링되어 휴대전화에 수신된 수신번호나 문자를 확인시키거나 통화를 가능케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통신부(60)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HP)를 주머니나 가방에서 꺼내지 않고 통화하거나 수신번호 또는 수신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모션센서(5)에서 감지되는 근접상태 움직임이 예를 들어 약 2-5초간 6회 감지될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다양한 감지횟수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횟수의 설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통신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부(10), 신호처리부(20), 송수신모듈(30) 및 디스플레이모듈(40)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전술한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어 전술한 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상기 휴대전화(HP)와 음성신호나 문자신호 또는 수신전화번호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술한 상기 제어부(7)가 전술한 상기 모션센서(5)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상기 휴대전화(HP)와의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휴대전화(HP)와의 송수신 확인신호를 상기 제어부(7)에 인가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상기 휴대전화(HP)에 전화가 수신될 경우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휴대전화(HP)로부터 음성통화나 문자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신호나 문자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한다.
상기 신호처리부(20)는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가능하게 처리한다.
즉 신호처리부(20)는 상기 무선통신부(10)에서 수신되는 전술한 상기 수신번호신호나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문자신호가 시각이나 청각으로 확인가능하게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은 스피커나 마이크로 구성되어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청각확인이 가능하도록 소리로 출력하거나, 통화를 위한 음성이 입력될 경우 입력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은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나 음성이 입력되어 음성신호로 변환되는 마이크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은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처리된 신호를 시각확인이 가능하도록 화면으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며, 상기 문자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휴대전화에 수신된 수신번호나 수신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울기 감지부(9)가 구비된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9)는 상기 제어부(7)가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에 인가하도록 한다.
즉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HP)와 연동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9)에 의해 상기 케이스(1)가 기울어지고, 상기 모션센서(5)에서 1회 내지 3회의 근접상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6회의 근접상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바와 달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전자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모션센서(5)의 근처에서 손을 6회 흔들어야 작동되었지만, 후자의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부(9)에서 기울기가 감지된 상태에서 좌우로 손을 1회 내지 3회만 흔들면 작동되므로 전자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서 낚시를 하는 사람의 경우 머리가 숙여진 상태에서 손을 좌우로 흔들게 되면,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9)로부터 기울기가 감지된 감지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모션센서(5)로부터 근접상태 움직임이 감지된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상기 램프(2)의 구동을 제어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부(10)를 작동시켜서 상기 휴대전화(HP)와 상기 통신부(60)를 연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통신부(60)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휴대전화(HP)로 전화가 수신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40)이나 상기 표시등(12a)에 수신이 표시될 경우 머리를 숙여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9)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1)와 근접상태로 손을 흔들어서 상기 모션센서(5)를 작동시켜야 통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부(10)는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기울기 감지부(9)로부터 수평이 감지되고, 상기 모션센서(5)로부터 근접상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울기 감지부(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 경사면(IN), 강구(B) 및 위치감지기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H)은 전술한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IN)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에 경사형성된다.
상기 강구(B)는 금속재 구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경사면(IN)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강구(B)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에 위치감지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위치감지기는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서 자장을 형성하여 상기 강구(B)에 의해 자장이 변화함에 따라 상기 강구(B)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감지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류가 통전되어 자장을 형성하며, 상기 강구(B)가 근접함에 따라 자장이 변화되는 자장형성부(9a) 및 상기 자장형성부(9a)의 변화되는 자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에 자장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자장감지부(9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위침감지기는 자장으로 금속의 위치를 확인하는 금속탐지기와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기울기 감지부(9)는 사용자의 머리가 숙여져서 상기 하우징(H)이 전술한 상기 케이스(1)와 함께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강구(B)가 상기 경사면(IN)의 홈형상 시트(ST)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IN)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자장감지부(9b)는 상기 강구(B)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자장형성부(9a)에서 변화되는 자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로 자장감지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즉 상기 강구(B)가 상기 시트(ST)에서 이탈하여 상기 케이스(1)가 수평상태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상기 모션센서(5)로부터 근접상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6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상기 시트(ST)는 상기 하우징(H)이 완전 수평이거나 거의 수평일 경우 상기 강구(B)의 위치를 상기 자장형성부(9a)와 대면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장감지부(9b)는 상기 강구(B)가 상기 시트(ST)에 안착되어 쉽게 유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자장형성부(9a)의 자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장감지부(9b)는 상기 시트(ST)에 의해 상기 강구(B)가 쉽게 유동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H)이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경우에만 상기 강구(B)가 상기 시트(ST)에서 이탈하므로 상기 자장형성부(9a)의 자장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기울기 감지부(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크기가 소형이어서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통상의 기울기센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울기센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감지센서(21) 및 알람모듈(22)이 구비된다.
상기 거리감지센서(21)는 상기 휴대전화와 설정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알람모듈(22)은 상기 거리감지센서(21)의 동작에 의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휴대전화(HP)가 상기 케이스(1)로부터 멀어질 경우 상기 거리감지센서(21)에 의해 상기 알람모듈(22)이 작동함으로써 상기 휴대전화(HP)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제공부(25) 또는 라디오부(27)가 구비된다.
상기 음원제공부(25)는 다양한 음악을 저장하여 출력시키는 구성요소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저장부(25a) 및 음원 전송부(25b)로 구성된다.
상기 음원 저장부(25a)는 전술한 USB포트(50)로 입력되는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며, 상기 무선통신부(10)의 근거리 통신망(예: 블루투스)을 통해 다수의 음원이 입력되면 이를 저장한다.
상기 음원 전송부(25b)는 상기 음원 저장부(25a)에 저장된 음원들 중 출력요청된 음원을 독출해서 상기 신호처리부(20)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처리부(20)는 독출된 음원을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전술한 스피커나 상기 잭홀더(J)에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음원의 음향을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음원 저장부(25a)에 저장된 다수의 음원은 전술한 디스플레이모듈(40)에 리스트로 현시되며, 전술한 상기 램프스위치(S2)가 조작됨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상기 라디오부(27)는 라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전술한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라디오부(27)는 라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미도시된 수신부 및 수신부의 라디오신호에서 설정된 주파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는 미도시된 필터부로 구성된다.
상기 라디오부(27)는 수신부로 수신된 라디오신호를 필터부가 상기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여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라디오 음향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저장된 음원이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한편, 고정클립(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고정부(3a), 탄성부(3b) 및 경사부(3c)을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수평고정부(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고정부(3a)이 케이스에 고정되는 방법은 접착제, 나사결합 또는 용접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방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부(3b)은 도시된 봐와 같이 수평고정부(3a)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되는 반대편 끝단이 수평고정부(3a)에 대향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b)은 후술하는 경사부(3c)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게 형성된다.
경사부(3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b)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되는 반대편 끝단이 수평고정부(3a)의 타측 끝단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고정클립(3)은 탄성재(4) 및 어저스터(6)를 더 포함한다.
탄성재(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3)의 내측 전면에 부착된다. 즉, 상기 수평고정부(3a), 탄성부(3b) 및 경사부(3c)으 내측 전체에 부착된다.
탄성재(4)는 전술한 탄성부(3b)에 의한 누르는 압력을 흡수하는 재질로, 예컨대 고무, 우레탄 또는 스폰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어저스터(6)는 수평고정부(3a)의 끝단과 경사부(3c)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개구부(3d)의 폭(W)을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a), 승강부재(6b), 안착부재(6c) 및 파지부재재(6d)를 포함한다.
홀더(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c)의 일측에 관통형성된다. 이때, 홀더(6a)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러나, 홀더(6a)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승강부재(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홀더(6a)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승강부재(6b)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러나, 승상부재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승강부재(6b)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홀더(6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에 대응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홀더(6a)에 회전결합된다.
안착부재(6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b)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게 마련된다. 이때, 안착부재(6c)는 고정클립(3)의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되는 승강부재(6b)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면이 수평고정부(3a)의 내측면에 안착된다.
파지부재재(6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6b)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게 마련된다. 이때, 파지부재재(6d)는 고정클립(3)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에 구비되는 고정클립(3)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클립(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자(C)에 구비되는 챙(C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고정클립(3)은 탄성부(3b)에 의한 누르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수평고정부(3a) 및 경사부(3c) 각각이 챙(Ca)의 양측면을 눌러 움직임을 확실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고정클립(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전면에 탄성재(4)가 부착되어 있어 챙(Ca)의 양측면에 탄성재(4)가 맞닿게 된다. 따라서, 고정클립(3)이 챙(Ca)에 고정될 때, 탄성재(4)가 챙(Ca)에 가해지는 압력의 일부를 흡수하여 고정클립(3)의 수평고정부(3a) 및 경사부(3c)이 챙(Ca)의 일부를 눌러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클립(3)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3)의 일측에 설치되는 어저스터(6)에 의해 고정클립(3)에 형성되는 개구부(3d)의 폭(W)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a)에 회전결합된 승강부재(6b)가 회전하여 상승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6c)재(6c)가 상기 수평고정부(3a)에 안착되어 지지되면, 상기 경사부(3c)에 형성된 홀더(6a)가 상기 승강부재(6b)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경사부(3c)의 끝단이 하강하여 개구부(3d)의 폭(W)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넓어진 개구부(3d)를 통해 챙(Ca)을 쉽게 삽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6a)에 회전결합된 승강부재(6b)가 회전하여 하강함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6c)재(6c)가 상기 수평고정부(3a)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이격되면, 상기 경사부(3c)에 형성된 홀더(6a)가 상기 승강부재(6b)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부(3c)의 끝단이 승강하여 상기 개구부(3d)의 폭(W)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클립(3)이 개구부(3d)에 삽입된 챙(Ca)에 더욱더 확실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1)

  1.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발산하도록 하는 램프(2)와;
    상기 램프(2)의 점등이나 소등을 위해 작동하는 비접촉식 스위치와;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7); 및
    상기 제어부(7)에 의해 상기 램프(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부(8);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상기 케이스(1)의 근접상태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모션센서(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는 상기 근접상태 움직임의 감지횟수를 카운팅하도록 하는 카운터(7a)와;
    상기 카운터(7a)에서 카운팅된 횟수와 상기 램프(2)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사전설정된 설정제어횟수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인가하도록 하는 비교부(7b); 및
    상기 비교부(7b)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2)에 공급되는 상기 전원부(8)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는 스위칭부(7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휴대전화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7)가 상기 모션센서(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전화와의 통화모드로 전환하시키도록 휴대전화와의 송수신 확인신호를 상기 제어부(7)에 인가하는 무선통신부(10)와;
    상기 무선통신부(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가능하게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0)와;
    상기 신호처리부(20)로 입력되는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화통화 송수신모듈(30); 및
    상기 신호처리부(20)에서 처리된 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가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케이스(1)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에 인가하도록 하는 기울기 감지부(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9)는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에 경사형성되는 경사면(IN)과;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기울기에 의해 상기 경사면(IN)을 따라 이동하는 강구(B); 및
    상기 강구(B)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에 위치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위치감지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20)는 상기 휴대전화와 설정거리로 이격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거리감지센서(21); 및
    상기 거리감지센서(21)의 동작에 의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모듈(2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모자에 구비되는 챙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클립;을 더 포함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고정부;
    상기 수평고정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만곡되게 연장형성되며,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끝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수평고정부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대향되게 구비되는 경사부;으로 구성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의 내측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고정클립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챙의 양측면에 맞닿으며, 상기 고정클립의 탄성부에 의한 누르는 압력을 흡수하여 상기 챙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는 탄성재;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수평고정부의 끝단과 상기 경사부의 끝단이 서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개구부의 폭을 조절하는 어저스터;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는,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멍형태의 홀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회전하여 승강함에 따라 상기 수평고정부의 내측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되는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PCT/KR2015/002325 2015-03-11 2015-03-11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WO20161439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2325 WO2016143919A1 (ko) 2015-03-11 2015-03-11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2325 WO2016143919A1 (ko) 2015-03-11 2015-03-11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3919A1 true WO2016143919A1 (ko) 2016-09-15

Family

ID=5687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325 WO2016143919A1 (ko) 2015-03-11 2015-03-11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4391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543B1 (en) * 1999-11-12 2001-03-27 David Vincent Henry Flashlight holder assembly
KR200396869Y1 (ko) * 2005-07-13 2005-09-27 장성기 헤드램프
KR20080113655A (ko) * 2007-06-25 2008-12-31 손대업 탈부착형 발광기
KR20120103535A (ko) * 2012-07-24 2012-09-19 이정민 기울기 감지를 이용한 휴대용 램프 및 그 제어방법
KR101454761B1 (ko) * 2013-05-23 2014-10-27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543B1 (en) * 1999-11-12 2001-03-27 David Vincent Henry Flashlight holder assembly
KR200396869Y1 (ko) * 2005-07-13 2005-09-27 장성기 헤드램프
KR20080113655A (ko) * 2007-06-25 2008-12-31 손대업 탈부착형 발광기
KR20120103535A (ko) * 2012-07-24 2012-09-19 이정민 기울기 감지를 이용한 휴대용 램프 및 그 제어방법
KR101454761B1 (ko) * 2013-05-23 2014-10-27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416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WO2017014350A1 (ko) 전자기기
WO2015012452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7018552A1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9026A (ko) 주변광 센서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들
WO2016175429A1 (ko)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032011A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WO20151525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WO2016148356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센서 제어 방법
KR101454761B1 (ko)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US113374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ty beacon for a welding protection device
WO2018236037A1 (ko) 피부 관리 기기
WO2015190641A1 (ko) 무선 리시버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32787A1 (ko) 피부 관리 기기
WO2017007101A1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WO2020141727A1 (ko) 헬스 케어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48474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알림 출력 방법
WO2016143919A1 (ko)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WO2014148742A1 (ko) 리셉터클형 무선전력 전송장치
CN213206069U (zh) 挂脖风扇及风扇控制电路
WO2021242077A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44011A1 (ko) 휴대용 음향기기
WO2016137070A1 (ko) 웨어러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17850A1 (ko) 조명 제어 시스템
WO2015080377A1 (ko) 모션 감지 스위치 및 휴대단말기 모션 제어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847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847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