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69Y1 - 헤드램프 - Google Patents

헤드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69Y1
KR200396869Y1 KR20-2005-0020435U KR20050020435U KR200396869Y1 KR 200396869 Y1 KR200396869 Y1 KR 200396869Y1 KR 20050020435 U KR20050020435 U KR 20050020435U KR 200396869 Y1 KR200396869 Y1 KR 200396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hole
lamp
tight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기
최신영
한인숙
Original Assignee
장성기
유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기, 유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성기
Priority to KR20-2005-0020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49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92Endoscope light sources 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정면으로 램프부(10)가 형성되며, 클립결합부(20)에 의해 헤드밴드 또는 안경에 결합되는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립결합부(20) 정면에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쌍의 수용아암(110)으로 형성되어 수용아암(110)의 내측으로 공간부(120)를 형성시키고, 측면으로 조임너트부(130)가 상기 한쌍의 수용아암(110)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본체부(100)와; 구름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20)에 양측 일부분이 수용되며,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공(210)과, 상기 수용공(210)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아암(110)에 평행하게 형성된 조임공(220)으로 구성된 방향조절부(200)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l'부분(310)은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수용공(210)에 상하로 수용되며, '_'부분(320)에는 상기 램프부(10)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부(1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가 조절되고,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에 따라 상기 'l'자 부분이 상기 수용공(210)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램프부(10)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램프부의 높이 및 방향 조절을 자유롭고 미세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소형으로써 휴대용으로도 편리하고 가벼운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헤드램프{head lamp}
본 고안은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조절과 방향조절이 자유로워 병변부위 등의 관찰이나 수술시 사용이 용이한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비인후과, 치과 뿐 아니라 모든 내외과계의 진단 및 수술시에는 조명장치에 의해 병변부위를 밝게 한 후 진단 및 치료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환자 및 의사의 외부에 위치시켜 주변 전체를 밝게 하거나 의사의 머리부위에 착용이 가능한 헤드미러(head mirror)를 이용하거나, 헤드밴드에 조명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기존의 조명장치는 치료부위를 관찰하기에는 조명장치가 커서 휴대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헤드밴드 부착형의 경우에는 높이 및 방향 조절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헤드램프의 대부분은 부피가 커서 장시간 사용시에는 목이나 머리의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술부위 및 치료부위를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해 확대경을 별도로 착용하고 헤드램프가 부착된 헤드밴드를 착용하거나, 헤드밴드에 확대경 및 헤드램프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착용하여 사용하나, 이는 사용자의 피로감을 더욱더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에게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밴드 또는 안경에 결합되어 램프부의 높이 및 방향의 미세조절이 자유롭고, 소형으로 휴대용으로도 간편한 헤드램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정면으로 램프부가 형성되며, 클립결합부에 의해 헤드밴드 또는 안경에 결합되는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립결합부 정면에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쌍의 수용아암으로 형성되어 수용아암의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시키고, 측면으로 조임너트부가 상기 한쌍의 수용아암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구름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양측 일부분이 수용되며,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공과, 상기 수용공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아암에 평행하게 형성된 조임공으로 구성된 방향조절부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l'부분은 상기 방향조절부의 수용공에 상하로 수용되며, '_'부분에는 상기 램프부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임공의 너비가 조절되고, 상기 조임공의 너비에 따라 상기 'l'자 부분이 상기 수용공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램프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램프는, 상기 높이조절부의 '-'부분 말단에 일측 라쳇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를 결합시키는 램프부결합부에 타측 라쳇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라쳇과 상기 타측 라쳇이 결합고정되어, 상기 램프부가 상하회전 및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램프부의 높이 및 방향 조절을 자유롭고 미세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소형으로써 휴대용으로도 편리하고 가벼운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작동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는 정면으로 램프부(10)가 형성되며, 클립결합부(20)에 의해 헤드밴드 또는 안경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00), 방향조절부(200), 높이조절부(30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클립결합부(20) 정면에 형성되며, 대향되는 수용아암(arm)(110)으로 형성되어 수용아암(110)의 내측으로 공간부(120)를 형성시키고, 측면으로 조임너트부(130)가 상기 한쌍의 수용아암(110)을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은 상기 클립결합부(20)와 나사에 의해 결합되거나, 사출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며, 타측에는 한쌍의 대향되는 수용아암(110) 내측으로 공간부(120)를 형성시킨다.
상기 공간부(120)는 상기 수용아암(110)의 내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과, 각 수용아암(110)이 이격형성되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간부(120)에는 후술할 방향조절부(200)의 양측 일부분이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으로는 조임너트부(130)가 상기 한쌍의 수용아암(110)을 관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조임너트부(130)는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대향되는 수용아암(110)을 각각 관통하는 나사산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0) 다른 측면까지 형성된 조임너트부(130) 말단에는 정지너트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할 조임볼트부(330)의 결합시 필요이상의 조임을 막도록 한다.
상기 조임너트부(130)와 이에 결합되는 후술할 조임볼트부(330)의 조절에 의해 상기 공간부(12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방향조절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방향조절부(200)는 구형의 구름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20)의 상기 수용아암(110)의 오목한 부분에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양측 일부분이 수용되어, 상기 공간부(120)에 걸려 있으면서 상기 공간부(120)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중심부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210)은 후술할 높이조절부(300)의 'l'부분(310)이 수용되므로,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l'부분(31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사각으로 형성되어 'l'부분(310)이 일정 정도 마찰력을 부여하여 높이조절부(300)가 무단히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210)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아암(110)에 평행하게 조임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공(220)은 상기 수용공(210)에서 시작하여 상기 수용아암(110)에 평행하게 상기 본체부(100) 측까지 형성된다. 상기 조임공(220)은 좁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210)에 높이조절부(30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를 조일 때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지지축으로 하여 상기 조임공(220)이 탄성적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공(210)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수용공(210)에 수용된 높이조절부(300)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적절한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부(300)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l'부분(310)은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수용공(210)에 상하로 수용되며, '_'부분(320)의 단부에는 램프부(10)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부(1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가 조절되고,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에 따라 상기 'ㅣ'부분(310)이 상기 수용공(210)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램프부(10)의 높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300)와 상기 램프부(10) 사이에 라쳇(ratchet)이 형성되어, 상기 램프부(10) 자체가 상하회전하며 일정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라쳇은 높이조절부(300)의 '-'부분(320) 말단에 일측 라쳇(340)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10)와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결합시키는 램프부결합부(400)에 타측 라쳇(410)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라쳇(340)과 상기 타측 라쳇(410)이 결합고정되어, 전체 헤드램프의 중심에서 상기 램프부(10)가 상하회전 및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클립결합부(20)에 의해 헤드밴드 또는 안경 등에 결합시킨다.
상기 램프부(10)의 전원버튼을 켜고, 상기 조임볼트부(330)를 풀거나 잠그게 되면 상기 한쌍의 대향되는 수평아암의 결합이 느슨해지면서, 상기 공간부(120)의 너비가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조임공(220)의 너비가 넓어지고 상기 수용공(210)의 너비도 서서히 넓어지게 된다.
상기 수용공(210)의 너비가 넓어지면, 사용자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l'부분(310)을 상기 수용공(21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램프부(1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210)의 너비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임볼트부(330)를 다 풀더라도 상기 높이조절부(300)가 무단히 외부로 이탈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적절하게 높이조절이 된 램프부(10)는 전후좌우의 미세한 방향조절을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300)나 램프부(10)를 사용자가 잡고서 상기 방향조절부(200)를 상기 공간부(120) 내부에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방향조절부(200)는 상기 공간부(120) 내부에서 구르는 구름볼과 유사하게 미세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램프부(10)의 높이 및 방향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조임볼트부(330)를 잠궈서 램프부(10)의 높이 및 방향을 정확하게 고정하여 환자의 병변부위나 치료부위, 진단부위, 수술부위를 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 방향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램프부의 높이 및 방향 조절을 자유롭고 미세하게 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소형으로써 휴대용으로도 편리하고 가벼운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요부단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헤드램프의 작동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부 20 : 클립결합부
100 : 본체부 110 : 수용아암
120 : 공간부 130 : 조임너트부
200 : 방향조절부 210 : 수용공
220 : 조임공 300 : 높이조절부
310 : 'l'부분 320 : '_'부분
330 : 조임볼트부 340 : 일측 라쳇
400 : 램프부결합부 410 : 타측 라쳇

Claims (2)

  1. 정면으로 램프부(10)가 형성되며, 클립결합부(20)에 의해 헤드밴드 또는 안경에 결합되는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립결합부(20) 정면에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쌍의 수용아암(110)으로 형성되어 수용아암(110)의 내측으로 공간부(120)를 형성시키고, 측면으로 조임너트부(130)가 상기 한쌍의 수용아암(110)을 관통되도록 형성된 본체부(100)와;
    구름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20)에 양측 일부분이 수용되며,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수용공(210)과, 상기 수용공(210)에 연통되어 상기 수용아암(110)에 평행하게 형성된 조임공(220)으로 구성된 방향조절부(200)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l'부분(310)은 상기 방향조절부(200)의 수용공(210)에 상하로 수용되며, '_'부분(320)에는 상기 램프부(10)가 결합되어, 상기 조임너트부(130)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부(3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가 조절되고, 상기 조임공(220)의 너비에 따라 상기 'l'자 부분이 상기 수용공(210)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상기 램프부(10)의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조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는,
    상기 높이조절부(300)의 '-'부분(320) 말단에 일측 라쳇(340)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부(10)와 상기 높이조절부(300)를 결합시키는 램프부결합부(400)에 타측 라쳇(410)이 형성되어, 상기 일측 라쳇(340)과 상기 타측 라쳇(410)이 결합고정되어, 상기 램프부(10)가 상하회전 및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램프.
KR20-2005-0020435U 2005-07-13 2005-07-13 헤드램프 KR200396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35U KR200396869Y1 (ko) 2005-07-13 2005-07-13 헤드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35U KR200396869Y1 (ko) 2005-07-13 2005-07-13 헤드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69Y1 true KR200396869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35U KR200396869Y1 (ko) 2005-07-13 2005-07-13 헤드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97B1 (ko) 2010-02-19 2012-07-1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헤드램프
WO2016143919A1 (ko) * 2015-03-11 2016-09-15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497B1 (ko) 2010-02-19 2012-07-18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의료용 헤드램프
WO2016143919A1 (ko) * 2015-03-11 2016-09-15 비클시스템 주식회사 비접촉방식의 작동이 가능한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175B2 (en) Thoracic retractor
CN211381276U (zh) 腹腔镜万向固定支架
EP2156795A3 (en) Double threaded tissue tack
US20110063827A1 (en) Light System
JP2006501897A5 (ko)
CN206641900U (zh) 多轴动态外固定器
CN104814779A (zh) 一种可以多方向多角度调节的外固定架穿针夹具
KR200396869Y1 (ko) 헤드램프
US20170112506A1 (en) Medical motor drill with angle adjusting function
CN1560661A (zh) 额戴式冷光源摄像显微或放大镜
CN205322511U (zh) 外科头戴式放大镜
CN108036217B (zh) 一种耳鼻喉临床用照明装置
CN216294003U (zh) 一种腹腔镜稳定装置
CN209916087U (zh) 适用于踝关节镜手术的新型牵引装置
CN112690946A (zh) 眼科治疗用防护面罩
CN208905702U (zh) 牙科种植体专用螺丝起
CN208756124U (zh) 一种铰链式头颅骨盆环
CN219374581U (zh) 用于连接撑开器与显微内镜的稳定装置
CN205137144U (zh) 一种眼科检查手电筒
JP3022512U (ja) 頭部または顔面装着型医療用照明装置
KR200380952Y1 (ko) 해드램프
CN205322467U (zh) 颈后横向可调节螺钉
KR100672732B1 (ko) 해드램프
ES2544817T3 (es) Soporte articulado
CN212592037U (zh) 一种耳鼻喉医用额戴反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