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17850A1 -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17850A1
WO2020017850A1 PCT/KR2019/008713 KR2019008713W WO2020017850A1 WO 2020017850 A1 WO2020017850 A1 WO 2020017850A1 KR 2019008713 W KR2019008713 W KR 2019008713W WO 2020017850 A1 WO2020017850 A1 WO 20200178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ing
image
control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71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US17/260,86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90026B2/en
Publication of WO20200178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178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6Spatio-temporal transformations, e.g. video cub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15Mot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41Special mode during image acquisition
    • G06T2207/10152Varying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2Surveill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36Traffic on road, railway or cro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by taking and analyzing the image in real time.
  •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is generall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turn on at night by using a photoconductive device such as a Cds (cadmium sulfide) cell.
  • a photoconductive device such as a Cds (cadmium sulfide) cell.
  • a method of turning on or off a lighting device by using a photoconductive device such as a Cds cell can control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day and night, but the motion of a moving body, for example, a person or a vehicle, is Even without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power is unnecessarily wasted at night by keeping the lamps of all the lighting apparatuses always lit.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602212 (Invention name: lighting control system of Zigbee interlocking power superimposition method, Applicant: Jungho TLC Co., Ltd., registered date: March 4, 2016)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32519 (Inventio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tag, Applicant: SD System Co., Ltd., registered date: May 20, 2008)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by taking and analyzing the image in real time.
  • an image photographing unit for capturing an image in real time, a mo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motion in the image and generating an alarm,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and alarm to the outside, control
  •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an alar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an illumin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ling lighting through the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 controller may divide the image to compare and control the illumination per pixel of each area.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imag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llumination of the other area based on the illumination of one specific area among the divided areas.
  • the motion detection unit may generate different alarms according to gestures.
  • the image capturing unit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camera for capturing 360-degree omnidirectional images.
  •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storage unit may be configured as an external online system in the form of a cloud server, and receive and process data of the lighting unit,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from the cloud server.
  • the ligh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lighting on the ceiling, side, floor in the space.
  • the controller may turn on or turn off the lighting depending on whether the motion detection unit receives an alarm.
  • the lighting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and a user may control the lighting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by operating the terminal.
  • the terminal may be any one of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computer, and a remote controll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by taking an image and analyzing the image in real time, thereby maintaining a uniform illuminance in the same space can reduce eye fatigue.
  •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person to control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mnidirectional lens of the omnidirectiona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illuminance measurement of an image capturing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tep-by-step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method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the lighting unit 150, and the storage unit 160 may be included.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omnidirectional lens of the omnidirectional camer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3 to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measurement of the roughness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camera 111 and may capture an image in real time.
  • the omnidirectional camera 111 may include an aspheric lens of any one of an omnidirectional lens, a mirror lens, and a fisheye lens to capture a 360 degree image.
  • the omnidirectional lens module has a convex first incident surface 111a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first exit surface 111b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eflecting surface (centered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111a). 111c) having a first lens formed thereon.
  • a second incident surface 111d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a second exit surface 111f i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e. It has a lens.
  • the first exit surface 111b is concave
  • the second entrance surface 111d is convex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exit surface 111b and the second entrance surface 111d is formed to be the same and joined.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111a is 21 mm to 23 mm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 e is 10 mm to 12 mm
  • the first exit surface 111 b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111 d are respectively.
  • the radius of curvature is 29mm ⁇ 31m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cus is not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has a measurement interval of 200 to 900 lux, divides the pixels into 1024 pixels, and divides the illuminance into 0 to 255 levels to measure the grade.
  • the motion detector 120 may detect a movement of a person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er 110, generate an alarm, and transmit the generated alarm to the controller 140 through the communicator 130.
  •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may generate different alarms according to gestures.
  • an alarm to control the lighting by setting a person who is difficult to make a specific gesture (for example,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ecognize another gesture. Can be generated.
  • a person who has difficulty using the arm can control the lighting by setting the neck, leg, and the like as a gesture.
  • the communicator 130 may transmit an image and an alarm received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o the outside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 the communicator 130 may transmit an image and an alarm to the controller 140, receiv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illumination unit 150.
  •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ghting unit 150 by wire or wirelessly to determine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signal and receives a signal, respectively, so as to identify and correct a failure in a portion where the signal is not received.
  •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0.
  • the controller 140 may transmit and control a control signal by receiv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f an image and an alar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a light-out control signal to turn off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if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and does not receive the alarm, and the lighting unit detects the movement and receives the alarm.
  •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lighting can be sent to 150.
  • controller 140 may divide regions of the image (for example, divide into 4 and divide into 9), and compare the illumination per pixel of each region.
  • the controller 140 detects an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through the omnidirectional camera 111, and may form a group of pixels by grabbing some criteria of the images of the pixel unit.
  • an example of a certain criter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illuminance.
  •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desired illuminance according to a space (for example, an office, a production plant, a research institute, etc.), and grasp the space of the image to match the illuminance preset by the user. By controlling the lighting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panel, illuminance of the entire space can be controlled collectively.
  • a space for example, an office, a production plant, a research institute, etc.
  • the space of the image may be identified through a specific equipment, a desk arrangement, or the user may set the space in advance.
  •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with the illuminance of the desired region b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other region based on the illuminance of the specific region of the divided region.
  •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entire divided region, thereby reducing eye fatigue caused by uneven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 the user may control the lighting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 the user may operate the terminal 10 to transmit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or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 the user may adjust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an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illumination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changed illuminance.
  • the manager statistically manages the average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the lik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during the reference unit period, such as the monthly unit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umulated light, and repeatedly reports the power amount of the light beyond the threshold from the corresponding value.
  • the manag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lighting unit 150, and the like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the unit period of illumination,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power amount of the lights controlled by the lighting unit 150,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After that,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with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each individual light to derive specificity data,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light that is estimated to have failed in relation to the power amount.
  •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unit period power consumption value of any one of the illumination
  • the sensing weight to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values transmitted in the illumination unit 150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may be compared with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separately provided lights to detect lighting estimated to have failed based on data in which specificity has occurred.
  • the controller 140 may check whether the lighting is properly controlled by comparing the previous image with the current image. If the control is not controlle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terminal 10 of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By sending the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lighting status in real time.
  • the light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trol lighting through a control signal.
  • the lighting unit 15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entire area, respectively.
  • the lighting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floor in the lighting space to build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d store information of images and alarms generat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and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40.
  • the storage unit 160 including a cloud server, can be connected to the data in real tim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an check and control the information of various spac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loud server.
  •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60 of the system are configured as an external online system in the form of a cloud server, and the data of the lighting unit, image capturing unit, and motion detecting unit It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and processing in the cloud server.
  • the user can increase the manageability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service in the clouded server. It also has the effect of receiving services.
  •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captures the image
  • the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motion
  • the control unit analyzes and controls A process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lighting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ling the lighting in the lighting unit, and storing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FIG. 6 is a step-by-step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method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may capture an image in real time (step S110, a photographing step).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camera 111 and may capture an image in real time.
  • the omnidirectional camera 111 may include an aspheric lens of any one of an omnidirectional lens, a mirror lens, and a fisheye lens to capture a 360 degree image.
  • the omnidirectional lens module has a convex first incident surface 111a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first exit surface 111b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reflecting surface (centered on the first incident surface 111a). 111c) having a first lens formed thereon.
  • a second incident surface 111d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e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and a second exit surface 111f i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e. It has a lens.
  • the first exit surface 111b is concave
  • the second entrance surface 111d is convex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exit surface 111b and the second entrance surface 111d is formed to be the same and joined.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incident surface 111a is 21 mm to 23 mm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reflective surface 111 e is 10 mm to 12 mm
  • the first exit surface 111 b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111 d are respectively.
  • the radius of curvature is 29mm ⁇ 31m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cus is not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second lens.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has a measurement interval of 200 to 900 lux, divides the pixels into 1024 pixels, and divides the illuminance into 0 to 255 levels to measure the grade.
  •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may detect a movement of a person in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generate an alarm (step S120, motion detection step).
  •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may generate different alarms according to gestures.
  • an alarm to control the lighting by setting a person who is difficult to make a specific gesture (for example,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ecognize another gesture. Can be generated.
  • a person who has difficulty using the arm can control the lighting by setting the neck, leg, and the like as a gesture.
  •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may transmit an image and an alarm to the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step S130, image and alarm transmitting step).
  • the communica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110,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lighting unit 150 by wire or wirelessly to determine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
  • the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 signal and receives a signal, respectively, so as to identify and correct a failure in a portion where the signal is not received.
  •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0.
  •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nd analyze an image and an alarm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step S140, receiving an image and an alarm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a light-out control signal to turn off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if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does not detect the movement and does not receive the alarm, and the lighting unit detects the movement and receives the alarm.
  •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lighting can be sent to 150.
  • controller 140 may divide regions of the image (for example, divide into 4 and divide into 9), and compare the illumination per pixel of each region.
  • the controller 140 detects an image on a pixel-by-pixel basis through the omnidirectional camera 111, and may form a group of pixels by grabbing some criteria of the images of the pixel unit.
  • an example of a certain criter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illuminance.
  •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desired illuminance according to a space (for example, an office, a production plant, a research institute, etc.), and grasp the space of the image to match the illuminance preset by the user. By controlling the lighting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panel, illumination of the entire space can be controlled collectively.
  • a space for example, an office, a production plant, a research institute, etc.
  • the space of the image may be identified through a specific device, a desk arrangement, or the user may set the space in advance.
  • the controller 140 may set the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with the illuminance of the desired region by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other region based on the illuminance of the specific region of the divided region.
  •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entire divided region, thereby reducing eye fatigue caused by uneven illuminance of the entire region.
  • the user may control the lighting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 the user may operate the terminal 10 to transmit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or a lighting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ing to the lighting unit 150.
  • the user may adjust the predetermined illuminance by manipulating the terminal 10, an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illumination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changed illuminance.
  • the manager statistically manages the average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the lik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during the reference unit period, such as the monthly unit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ccumulated light, and repeatedly reports the power amount of the light beyond the threshold from the corresponding value.
  • the manag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the motion detecting unit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lighting unit 150, and the like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and the like.
  •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n the unit period of illumination,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the power amount of the lights controlled by the lighting unit 150,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After that,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with the power consumption value of each individual light to derive specificity data,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ct the light that is estimated to have failed in relation to the power amount.
  • a sensing weight is applied to each of the power consumption values transmitted in the lighting unit 150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After multiplying by and averaging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the represent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may be compared with the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separately provided lights to detect lighting estimated to have failed based on data in which specificity has occurred. .
  • the light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trol lighting through a control signal (step S150, lighting control step).
  • the lighting unit 150 may receive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entire area, respectively.
  • the lighting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side, floor in the lighting space to build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 the controller 140 may check whether the lighting is properly controlled by comparing the previous image with the current image, and if it is not controlled, the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 10) the user can check the lighting state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contents of the uncontrolled area (terminal transmission step).
  •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nd store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and alarm generat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120 and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40 (step S160, storage step). .
  • the storage unit 160 including a cloud server, can be connected to the data in real tim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an check and control the information of various space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loud server.
  •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storage unit 160 of the system are configured as an external online system in the form of a cloud server, and the data of the lighting unit, image capturing unit, and motion detecting unit It may be implemented by receiving and processing in the cloud server.
  • the user's manageability is increased and stable by providing a corresponding control service in a clouded server. It also has the effect of receiving services.
  • Lighting control system by taking a 360-degree omnidirectional image through one camera, economical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or sensors, overlapping when shooting when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or sensors It is not necessary to calculate the area, and when using multiple cameras or sensor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troller for re-editing the image.
  • the lighting control system by taking an image in real time and analyzing the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eye fatigue by maintaining a uniform illumination in the same space.
  •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rson to control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adv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알람을 생성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영상 및 알람을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알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이 제어되는 조명부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조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같은 공간에서 균일한 조도를 유지시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조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면적이 넓은 장소에 설치된 조명장치는 Cds(cadmium sulfide)셀 등과 같은 광전도소자를 이용하여 야간에만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이 단순히 Cds셀 등과 같은 광전도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방법은 주야에 따라 조명장치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으나, 주변에 동체, 예를 들면, 사람이나 차량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도 야간에는 모든 조명장치의 램프가 항상 점등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같은 공간에서도 부분적으로 조도가 서로 달라 공간 안에 있는 사람의 눈이 더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212호(발명의 명칭 :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출원인 : (주)정호티엘씨, 등록일 : 2016년 3월 4일)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2519호(발명의 명칭 : 무선태그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인 : (주)에스디시스템, 등록일 : 2008년 5월 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조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알람을 생성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영상 및 알람을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알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이 제어되는 조명부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분할하여 각 영역의 픽셀 당 조도를 비교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공간에 따라 기설정된 조도에 맞춰 상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분할된 상기 영역 중에서 하나의 특정영역의 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영역의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감지부는, 제스처에 따라 각각 다른 상기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부는, 360도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는,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외부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해당 조명부, 영상촬영부, 모션감지부의 데이터를 해당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공간에서 천장, 측면, 바닥에 조명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의 알람 수신 여부에 따라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테블릿 PC, 컴퓨터 및 리모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조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같은 공간에서 균일한 조도를 유지시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의 전방위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부의 조도측정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촬영부(110), 모션감지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조명부(150), 저장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의 전방위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부의 조도측정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영상촬영부(110)는 전방위 카메라(111)를 포함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위 카메라(111)는 전방위 렌즈, 미러형 렌즈 및 어안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구비하여 360도 전방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위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입사면(111a)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출사면(111b)이 형성되며, 제1입사면(111a) 중앙에 제1반사면(111c)이 형성되는 제1렌즈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일면에 제2입사면(111d)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반사면(111e)이 형성되며, 제2반사면(111e) 중앙에 제2출사면(111f)이 형성되는 제2렌즈를 구비한다.
또한, 제1출사면(111b)이 오목하게, 제2입사면(111d)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출사면(111b) 및 제2입사면(111d)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며, 제1입사면(111a)의 곡률반경은 21mm ~ 23mm로, 제2반사면(111e)의 곡률반경은 10mm ~ 12mm로, 제1출사면(111b) 및 제2입사면(111d)의 곡률반경은 29mm ~ 31mm로 형성되어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영상촬영부(110)는 측정구간이 200~900럭스(lux)이며, 픽셀을 1024개로 나누고, 조도를 0~255 단계로 등급을 나누어 측정할 수 있다.
모션감지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알람을 생성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션감지부(120)는 제스처(gesture)에 따라 각각 다른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팔을 내리고 걷기만 하면 사람의 위치에만 조명이 켜지도록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사람이 팔을 하늘을 향해 올리면 전체 공간에 조명이 켜지고, 사람이 두 팔을 하늘을 향해 올리면 조명이 켜지지 않도록 알람을 생성함으로써, 다른 기기 없이 조명을 전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제스처와 특정 제스처에 따른 조명의 변화를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제스처를 하기 힘든 사람(예를 들면, 노약자, 장애인 등)도 다른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조명을 제어하도록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팔을 사용하기 힘든 사람은 목, 다리 등을 제스처로 설정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영상촬영부(110)와 모션감지부(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알람을 외부로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부(130)는 영상 및 알람을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촬영부(110), 모션감지부(120), 제어부(140), 조명부(150)와 연결되어 상호 통신을 통해 각각 현재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30)에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고 각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신호가 수신이 되지 않는 부분에 고장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영상 및 알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모션감지부(120)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아 알람을 수신하지 않으면 조명부(150)에 조명을 끄는 소등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람을 수신하면 조명부(150)에 조명을 켜는 점등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영상의 영역을 분할(예를 들면, 4분할, 9분할 등)하고, 각 영역의 픽셀 당 조도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에서 전방위 카메라(111)를 통해 영상을 픽셀 단위로 인지(detection)하게 되는데, 이러한 픽셀 단위의 이미지들을 어떤 기준을 잡아 픽셀 단위의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떤 기준의 일 예로는 조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공간(예를 들면, 사무실, 생산공장, 연구소 등)에 따라 원하는 조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영상의 공간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기설정한 조도에 맞춰 조명부(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공간 전체의 조도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공간은 특정 장비, 책상 배치 등을 통해 파악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분할된 영역 중 하나의 특정영역의 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영역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의 조도로 전체 영역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분할된 영역 전체의 평균 조도를 기준으로 전체 영역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영역의 조도가 균일하지 않아 생기는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조명부(15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조명부(150)에 조명을 끄는 소등 제어 신호를 보내거나 조명부(150)에 조명을 켜는 점등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기설정한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변경된 조도에 맞춰 조명부(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리자는 누적된 조명의 소비전력량의 월 단위와 같이 기준이 되는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량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통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해당 수치에서 임계값 이상으로 벗어난 조명의 전력량이 반복되어 리포팅되는 경우, 해당 조명 제어 시스템의 영상촬영부(110), 모션감지부(120), 통신부(130), 조명부(150) 등에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고장 조명의 검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조명의 단위 기간 소비 전력량을 산출할 때,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조명부(150)에서 제어하는 조명들의 전력량의 평균을 구하여 대표 소비 전력량값으로 한 뒤, 대표 소비 전력량값과 개별 조명의 소비 전력량값을 비교하여 특이성이 발생한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전력량과 관련되어 고장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명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1
여기서,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2
: 대표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3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4
: 해당 조명부 내의 조명 개수
또한, 제 2 실시예로는, 제어부에서 어느 하나의 조명의 단위 기간 소비 전력량값을 산출할 때,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조명부(150) 내에서 전송되는 소비 전력량값 각각에 센싱 가중치를 곱한 후에 평균하여 대표 소비 전력량값으로 한 후, 대표 소비 전력량값을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조명의 소비 전력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이성이 발생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고장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명을 검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5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6
: 대표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7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가중치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8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09
: 해당 조명부 내의 조명 개수
또한, 제어부(140)는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조명이 제대로 제어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제어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제어가 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내용을 송신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명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통신부(13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명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여 전체 영역의 조명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50)는 조명이 공간에서 천장, 측면, 바닥에 구비되어 최적의 조명환경을 구축 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영상촬영부(110)와 모션감지부(120)에서 생성되는 영상 및 알람의 정보와 제어부(140)에서 생성되는 신호 등을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부(160)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동시에 여러 공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해당 시스템의 통신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60)을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외부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해당 조명부, 영상촬영부, 모션감지부의 데이터를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신하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으로 거리가 있는 여러 공간에 별도로 배치된 조명들에 대해 각각 별도의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를 구현하지 않고, 클라우드화된 서버에서 해당 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받게 하는 효과도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상촬영부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모션감지부에서 모션을 감지하며,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에 영상 및 알람의 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에서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통해 조명부에 송신하며, 조명부에서 조명을 제어하고, 저장부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처리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영상촬영부(110)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단계 S110, 촬영단계).
여기에서, 영상촬영부(110)는 전방위 카메라(111)를 포함하고,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위 카메라(111)는 전방위 렌즈, 미러형 렌즈 및 어안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구비하여 360도 전방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위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입사면(111a)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출사면(111b)이 형성되며, 제1입사면(111a) 중앙에 제1반사면(111c)이 형성되는 제1렌즈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일면에 제2입사면(111d)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반사면(111e)이 형성되며, 제2반사면(111e) 중앙에 제2출사면(111f)이 형성되는 제2렌즈를 구비한다.
또한, 제1출사면(111b)이 오목하게, 제2입사면(111d)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출사면(111b) 및 제2입사면(111d)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합되며, 제1입사면(111a)의 곡률반경은 21mm ~ 23mm로, 제2반사면(111e)의 곡률반경은 10mm ~ 12mm로, 제1출사면(111b) 및 제2입사면(111d)의 곡률반경은 29mm ~ 31mm로 형성되어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접합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영상촬영부(110)는 측정구간이 200~900럭스(lux)이며, 픽셀을 1024개로 나누고, 조도를 0~255 단계로 등급을 나누어 측정할 수 있다.
모션감지부(120)는 영상촬영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20, 모션감지단계).
여기에서, 모션감지부(120)는 제스처(gesture)에 따라 각각 다른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팔을 내리고 걷기만 하면 사람의 위치에만 조명이 켜지도록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사람이 팔을 하늘을 향해 올리면 전체 공간에 조명이 켜지고, 사람이 두 팔을 하늘을 향해 올리면 조명이 켜지지 않도록 알람을 생성함으로써, 다른 기기 없이 조명을 전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제스처와 특정 제스처에 따른 조명의 변화를 설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제스처를 하기 힘든 사람(예를 들면, 노약자, 장애인 등)도 다른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설정하여 조명을 제어하도록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팔을 사용하기 힘든 사람은 목, 다리 등을 제스처로 설정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촬영부(110)와 모션감지부(120)는 영상 및 알람을 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30, 영상 및 알람송신단계).
여기에서, 통신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촬영부(110), 모션감지부(120), 제어부(140), 조명부(150)와 연결되어 상호 통신을 통해 각각 현재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30)에서 각각 신호를 송신하고 각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신호가 수신이 되지 않는 부분에 고장이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제어부(140)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 및 알람을 수신하고,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조명부(150)에 송신할 수 있다(단계 S140, 영상 및 알람 수신, 제어신호 송신단계).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모션감지부(120)에서 움직임을 감지하지 않아 알람을 수신하지 않으면 조명부(150)에 조명을 끄는 소등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고,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람을 수신하면 조명부(150)에 조명을 켜는 점등 제어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영상의 영역을 분할(예를 들면, 4분할, 9분할 등)하고, 각 영역의 픽셀 당 조도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에서 전방위 카메라(111)를 통해 영상을 픽셀 단위로 인지(detection)하게 되는데, 이러한 픽셀 단위의 이미지들을 어떤 기준을 잡아 픽셀 단위의 그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떤 기준의 일 예로는 조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공간(예를 들면, 사무실, 생산공장, 연구소 등)에 따라 원하는 조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영상의 공간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기설정한 조도에 맞춰 조명부(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공간 전체의 조도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공간은 특정 장비, 책상 배치 등을 통해 파악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공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분할된 영역 중 하나의 특정영역의 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영역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의 조도로 전체 영역의 조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분할된 영역 전체의 평균 조도를 기준으로 전체 영역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영역의 조도가 균일하지 않아 생기는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조명부(15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조명부(150)에 조명을 끄는 소등 제어 신호를 보내거나 조명부(150)에 조명을 켜는 점등 제어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를 조작하여 기설정한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변경된 조도에 맞춰 조명부(15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관리자는 누적된 조명의 소비전력량의 월 단위와 같이 기준이 되는 단위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량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통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해당 수치에서 임계값 이상으로 벗어난 조명의 전력량이 반복되어 리포팅되는 경우, 해당 조명 제어 시스템의 영상촬영부(110), 모션감지부(120), 통신부(130), 조명부(150) 등에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점을 추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고장 조명의 검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서 조명의 단위 기간 소비 전력량을 산출할 때,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조명부(150)에서 제어하는 조명들의 전력량의 평균을 구하여 대표 소비 전력량값으로 한 뒤, 대표 소비 전력량값과 개별 조명의 소비 전력량값을 비교하여 특이성이 발생한 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전력량과 관련되어 고장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명을 쉽게 검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0
여기서,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1
: 대표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2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3
: 해당 조명부 내의 조명 개수
또한, 제 4 실시예로는, 제어부에서 어느 하나의 조명의 단위 기간 소비 전력량값을 산출할 때,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조명부(150) 내에서 전송되는 소비 전력량값 각각에 센싱 가중치를 곱한 후에 평균하여 대표 소비 전력량값으로 한 후, 대표 소비 전력량값을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조명의 소비 전력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특이성이 발생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고장이 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명을 검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4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5
: 대표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6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가중치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7
: X번째 소비 전력량값
Figure PCTKR2019008713-appb-I000018
: 해당 조명부 내의 조명 개수
조명부(150)는 통신부(13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이 제어될 수 있다(단계 S150, 조명제어단계).
여기에서, 조명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하여 전체 영역의 조명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50)는 조명이 공간에서 천장, 측면, 바닥에 구비되어 최적의 조명환경을 구축 할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단계(단계 S150) 이후에 제어부(140)는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조명이 제대로 제어가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제어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제어가 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내용을 송신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조명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단말기 송신단계).
저장부(160)는 영상촬영부(110)와 모션감지부(120)에서 생성되는 영상 및 알람의 정보와 제어부(140)에서 생성되는 신호 등을 저장하고 보관할 수 있다(단계 S160, 저장단계).
여기에서, 저장부(160)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여,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동시에 여러 공간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해당 시스템의 통신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60)을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외부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해당 조명부,영상촬영부, 모션감지부의 데이터를 해당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신하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리적으로 거리가 있는 여러 공간에 별도로 배치된 조명들에 대해 각각 별도의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를 구현하지 않고, 클라우드화된 서버에서 해당 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받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360도 전방위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복수개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복수개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 촬영 시 겹치는 영역에 대한 계산이 불필요하며, 복수개의 카메라 또는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 이 영상을 재편집하는 별도의 제어기가 필요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조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같은 공간에서 균일한 조도를 유지시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상기 영상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알람을 생성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영상 및 알람을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영상 및 알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조명이 제어되는 조명부와,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을 분할하여 각 영역의 픽셀 당 조도를 비교하고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공간에 따라 기설정된 조도에 맞춰 상기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분할된 상기 영역 중에서 하나의 특정영역의 조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다른 영역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감지부는, 제스처에 따라 각각 다른 상기 알람을 생성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부는, 360도 전방위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제어부, 저장부는,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외부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해당 조명부, 영상촬영부, 모션감지부의 데이터를 해당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신하고 처리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공간에서 천장, 측면, 바닥에 조명이 구비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감지부의 알람 수신 여부에 따라 조명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조명부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테블릿 PC, 컴퓨터 및 리모콘 중 어느 하나인 조명 제어 시스템.
PCT/KR2019/008713 2018-07-16 2019-07-15 조명 제어 시스템 WO20200178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60,864 US11490026B2 (en) 2018-07-16 2019-07-15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66A KR102057476B1 (ko) 2018-07-16 2018-07-16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8-0082466 2018-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7850A1 true WO2020017850A1 (ko) 2020-01-23

Family

ID=6905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713 WO2020017850A1 (ko) 2018-07-16 2019-07-15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0026B2 (ko)
KR (1) KR102057476B1 (ko)
WO (1) WO2020017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74B1 (ko) * 2020-01-02 2020-08-05 김승욱 실내 건축 설계를 위한 조명 배치 방안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97B1 (ko) * 2009-09-07 2010-05-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20120007732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알람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6175B1 (ko) * 2012-06-26 2014-07-09 한정훈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519B1 (ko) 2007-03-13 2008-05-26 (주)에스디시스템 무선태그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US8659230B2 (en) * 2011-06-16 2014-02-25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CN104662999B (zh) * 2012-06-12 2018-09-18 赛西蒂系统股份有限公司 和照明基础设施及收入模型一起使用的计算装置和方法
US9288452B2 (en) * 2013-11-21 2016-03-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device and shutter
KR101602212B1 (ko) 2014-03-26 2016-03-10 주식회사 정호티엘씨 지그비 연동 전원 중첩 방식의 조명제어시스템
US9547964B2 (en) * 2014-07-24 2017-01-17 Heathco, Llc Integrated home lighting and notification system
EP3479654B1 (en) * 2016-06-30 2020-09-30 Signify Holding B.V. Smart light dimm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97B1 (ko) * 2009-09-07 2010-05-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20120007732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알람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된 장치
KR101416175B1 (ko) * 2012-06-26 2014-07-09 한정훈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6448A1 (en) 2021-08-26
KR102057476B1 (ko) 2019-12-19
US11490026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5254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thereof
WO2014038898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object se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200136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light source
WO2018124382A1 (ko) 예측 진단 장치 및 감시 시스템
WO2015115698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6036059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WO2012115408A2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WO2012002742A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O2018038340A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O2016167499A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0141727A1 (ko) 헬스 케어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EP3479562A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emitting elements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O2020017850A1 (ko) 조명 제어 시스템
WO2015023038A1 (ko) 복수의 투사 영상을 중첩되지 않게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69796A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亮度调节装置及终端
WO2019088481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보정 방법
WO2019054626A1 (ko) 제 1 이미지 센서에서 제공된 신호를 이용하여 제 2 이미지 센서에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WO2017010593A1 (ko) 제스쳐 인식 장치
WO2012157793A1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7014392A1 (ko) 전자 액자 및 전자 액자의 이미지 표시 방법
WO2022050742A1 (ko) 깊이 영상을 이용한 착용형 증강현실 장치의 손동작 검출 방법 및 깊이 영상을 이용한 손동작 검출이 가능한 착용형 증강현실 장치
WO2022010193A1 (ko)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전자장치 및 그 전자장치의 카메라 운용 방법
WO202120132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520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ulti-projection theater
WO2021034003A1 (ko) 다중 광도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372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