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9844A1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9844A1
WO2016129844A1 PCT/KR2016/001122 KR2016001122W WO2016129844A1 WO 2016129844 A1 WO2016129844 A1 WO 2016129844A1 KR 2016001122 W KR2016001122 W KR 2016001122W WO 2016129844 A1 WO2016129844 A1 WO 20161298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mbrella
pole
ring
canopy
lift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1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명성
Original Assignee
강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성 filed Critical 강명성
Publication of WO20161298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98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2Devices for holding umbrellas closed, e.g. 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and more particularly, an umbrella is folded and at the same time a canopy is automatically wound so that a user does not need to directly wind a wet canopy in rainwater, and thus an umbrella is easy to use.
  • the strap 60 when the umbrella is folded and stored, the strap 60 is wound to the outside of the canopy 51 to bind the snap button to fix the canopy 51. At this time, the user may uncomfortable to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canopy 51 by using the strap 60 without winding the canopy 51 wet with rain water so that the canopy 51 is neatly arranged. .
  • rotation ring and the drive gear is preferably a bevel gear.
  • an elastic member fix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and the drive gear is installed inside the drive gear.
  • the third umbrella meat is formed with a ring for guiding the guide rods on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each ring formed on the third umbrella meat is arranged in a spiral away from the pol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mbrella.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inding unit according to the descending of the lifting ring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umbrella 300 and the lifting ring 200 is connected by the second umbrella 400, the tip and the tip of the second umbrella 400, respectively, the first umbrella 300 and the elevating
  • the third umbrella 500 is opened or folded by being hinged to the ring 200, the third umbrella 500 is supported to be able to operate smoothly.
  • the drive gear 620 is supported to the pole 100 and installed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ary ring 610 in engagement with the rotary ring 610, the wire is wound on one side of the drive gear 620 lifting ring Connected with 200.
  • the elastic member 640 is installed in the drive gear to exert a rotational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wire 630. Accordingly, as the lifting ring 200 moves to the lower end of the pole 100, the rotary ring 610 operates to turn the guide rod 611 to wind the canopy 510.
  • the rotary ring 61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ole 100, the support is recessed toward the axis of the pole 100 at the top of the pole 100 to be rotated in place at the top of the pole 100 (100)
  • a groove 140 is formed, and the rotary ring 610 is fitted into the support groove 140 to allow the rotary ring 610 to rotate in place.
  •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ring 610 is supported by the pole pole 100 and the driving gear 620 for engaging the rotary ring 610 to rotate the rotary ring 610 is installed.
  • the driving gear 620 is fixed by the support shaft 621 coupled to the pole 100 so that the drive gear 620 rotates around the support shaft 621.
  • the rotary ring 610 rotates as the driving gear 620 rotates in one direction, but the external force for rotating the driving gear 620 in one direction. When this disappear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exerted from the elastic member 640 to rotate the driving gear 620 in the other direction.
  • a wire 630 is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620, and the free end of the wire 63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200 so that the lifting ring 2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pole 100.
  • the driving gear 620 is rotat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inding unit according to the descending of the lifting ring of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 630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200 is drawn out of the driving gear 620, thereby rotating the driving gear 620 in one direction.
  • the elastic member 640 installed in the drive gear 620 has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compressed.
  • a ring 520 for guiding the guide rod 611 connecting the strap 60 and the rotation ring 610 may be formed in the third umbrella meat 500. This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 6.
  • the guide rod 611 drawn from the rotating ring 610 is connected to the strap 60 through the ring 520 to guide the rod 611 has the same shape as a spiral spring.
  • the guide rod 611 has the form of a spiral spring by the ring 520 formed in the third umbrella meat 500, the canopy 510 is uniformly wound when the umbrella is folded.
  • the turning radius decreases as the upper portion is increased, and when the guide rod 611 having an elastic force is formed on the umbrella, the canopy 510 is wound when the umbrella is folded by the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guide rod 611. On the contrary, when the umbrella is unfolded, the guide rod 611 is pushed up to the canopy 510 to have an umbrella unfolded as shown in FIG.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폴대와, 상기 폴대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되어 폴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링과, 상기 승강 링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힌지 결속된 다수의 제 1 우산살과, 양단부가 제 1 우산살과 승강 링에 힌지 결속되는 제 2 우산살과, 상기 제 1 우산살과 힌지 결속되며 외측면에 캐노피가 마련된 제 3 우산살 및 상기 승강 링과 연계되어 승강 링이 상기 폴대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캐노피에 형성된 스트랩을 감아 캐노피를 권선시키는 권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우산이 접혀짐과 동시에 캐노피가 자동을 권선되어 사용자가 직접 빗물에 젖은 캐노피를 권선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우산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이 접혀짐과 동시에 캐노피가 자동을 권선되어 사용자가 직접 빗물에 젖은 캐노피를 권선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우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油紙)를 발라 비가 올 때 손에 펴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으로 비가 올 때에 펴서 손에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피할 수 있는 생활 도구이다.
이러한 우산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우산 형태에 따라 장우산, 2단우산, 3단우산 등이 있고, 펼침 방법에 따라 수동우산, 자동우산이 있으며, 또한 캐노피 원단의 종류에 따라 투명우산, 천우산, 방수 우산 등이 있다.
이러한 우산은 긴 우산대 위에 캐노피가 방사형으로 펼쳐진 구조를 갖게 된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우산은 하단에 손잡이(11)가 마련된 폴대(10), 폴대(10)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되어 폴대(1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링(20), 승강 링(2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힌지 결속된 다수의 제 1 우산살(30), 양단부가 각각 제 1 우산살(30)과 승강 링(20)과 힌지 결속되는 제 2 우산살(40), 제 1 우산살(30)과 힌지 결속되며 외측면에 캐노피(51)가 마련된 제 3 우산살(50)로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11)가 인접한 폴대(10)의 하단에는 승강 링(20)을 구속하는 스토퍼(12) 및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스토퍼(12)에 구속된 승강 링(20)을 해제하는 누름 버튼(13)이 설치되며, 우산이 접혔을 때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캐노피(51)의 외측면에는 똑딱단추와 같은 결속부재가 마련된 스트랩(6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우산은 우산을 접어 보관할 때 스트랩(60)을 캐노피(51)의 외측으로 감아 똑딱단추를 결속시켜 캐노피(51)를 정돈하게 된다. 이때, 캐노피(51)가 가지런하게 정돈될 수 있게 사용자는 빗물에 젖은 캐노피(51)를 손을 말고 스트랩(60)을 이용하여 캐노피(51)의 외측면을 감아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이 접혀짐과 동시에 캐노피가 자동을 권선되어 사용자가 빗물에 젖은 캐노피를 권선할 필요가 없는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하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폴대와, 상기 폴대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되어 폴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링과, 상기 승강 링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힌지 결속된 다수의 제 1 우산살과, 양단부가 제 1 우산살과 승강 링에 힌지 결속되는 제 2 우산살과, 상기 제 1 우산살과 힌지 결속되며 외측면에 캐노피가 마련된 제 3 우산살 및 상기 승강 링과 연계되어 승강 링이 상기 폴대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캐노피에 형성된 스트랩을 감아 캐노피를 권선시키는 권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선유닛은 상기 캐노피의 외측 상단 폴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 링과, 상기 폴대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 링과 맞물려 회전 링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의 일측에 권선되며 상기 승강 링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구동 기어에 내설되고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 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노피에 형성된 스트랩과 연결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봉은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링과 구동 기어는 베벨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폴대에 결속되는 지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구동 기어가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의 내부에는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축과 구동 기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3 우산살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봉을 안내하는 고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3 우산살에 각각 형성된 고리는 상기 폴대를 중심으로 점점 멀어지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에 의하면, 빗물에 젖은 우산을 접는 것과 동시에 캐노피가 자동으로 권선됨으로써 사용자가 캐노피를 접기 위한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우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권선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권선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승강 링의 하강에 따른 권선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우산이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폴대(100), 폴대(100)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링(200), 승강 링(20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힌지 결속된 다수의 제 1 우산살(300), 양단부가 각각 제 1 우산살(300)과 승강 링(200)에 힌지 결속되는 제 2 우산살(400), 제 1 우산살(300)과 힌지 결속되며 외측면에 캐노피(510)가 마련된 제 3 우산살(500) 및 승강 링(200)과 연계되어 폴대(100)의 하단으로 승강 링(200)이 이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하여 캐노피(510)에 형성된 스트랩(60)을 감아 캐노피(510)를 권선시키는 권선유닛(600)으로 구성된다.
부연자하면, 폴대(100)는 소정를 길이를 갖고, 하단에 사용자가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10)가 마련되며, 손잡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폴대(100)에는 승강 링을 구속하는 스토퍼(120) 및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어 스토퍼(120)에 구속된 승강 링(200)을 해제하는 누름 버튼(130)이 설치된다.
또한, 폴대(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폴대(100)를 축선으로 상하이동하는 승강 링(2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 링(200)은 그 중심이 폴대(100)에 관통된 원통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 링(200)의 하부에는 폴대(100)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120)와 결속되는 결속 홀(210)이 형성되어 우산을 접기 위해 승강 링(200)을 폴대(100)의 하단으로 이동시켰을 때 폴대(100)에 설치된 스토퍼(120)가 승강 링(200)의 결속 홀(210)에 삽입되어 우산이 접혀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링(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1 우산살(300)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데, 제 1 우산살(300)의 기단은 승강 링(200)의 외주면과 힌지 결속되며, 제 1 우산살(300)의 선단은 외측면에 캐노피(510)가 마련된 제 3 우산살(500)과 힌지 결속되어 승강 링(200)이 폴대(100)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것에 따라 제 1 우산살(300)이 제 3 우산살(50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제 3 우산살(500)이 접혀지거나 펼쳐짐으로써 우산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또한, 제 1 우산살(300)과 승강 링(200)은 제 2 우산살(400)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 2 우산살(400)의 선단과 선단은 각각 제 1 우산살(300)과 승강 링(200)에 힌지 결속되어 제 3 우산살(500)이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제 3 우산살(500)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승강 링(200)과 연계되어 우산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승강 링(200)이 폴대(100)를 따라 이동하는 것에 따라 캐노피(510)를 권선시키는 권선유닛(60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우산이 접혀지는 것과 동시에 캐노피(510)가 권선되어 사용자가 직접 캐노피(510)를 권선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권선유닛(600)을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권선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권선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권선유닛은 회전 링(610), 구동 기어(620), 와이어(630), 탄성부재(640)로 구성되는데, 회전 링(610)은 폴대(100)의 상단에서 회전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 링(610)의 외측면에 스트랩(60)과 연결되는 가이드 봉(611)이 마련되어 회전 링(610)이 폴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가이드 봉(611)이 회전 링(6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가이드 봉(611)이 회전 링(61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봉(611)과 연결된 스트랩(60)이 회전 링(6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스트랩(60)이 캐노피(510)의 외측면을 권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링(610)과 스트랩(60)을 연결하게 되는 가이드 봉(611)은 바람직하게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회전 링(610)이 폴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때 유연하게 회전되어 스트랩(60)을 무리하게 권선하지 않도록 하여 스트랩(60)이 캐노피(5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구동 기어(620)는 폴대(100)에 지지되고 회전 링(610)과 맞물려 회전 링(61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구동 기어(620)의 일측에 와이어가 권선되어 승강 링(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탄성부재(640)는 구동 기어에 내설되어 와이어(630)의 인출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 링(200)이 폴대(100)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 링(610)이 작동하여 가이드 봉(611)을 선회시켜 캐노피(510)를 권선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회전 링(610)은 폴대(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폴대(100)의 상단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폴대(100)의 상단에는 폴대(100)의 축선을 향해 함몰된 지지 홈(140)이 형성되고, 지지 홈(140)에 회전 링(610)이 끼워져 회전 링(610)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회전 링(610)의 외측면에는 스트랩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봉(6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폴대(100)의 상단에 회전 링(610)이 설치되고, 회전 링(610)과 제 3 우산살(500)이 연결되면 회전 링(610)이 폴대(10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가이드 봉(611)이 회전 링(61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랩(60)이 캐노피(510)를 권선하게 된다.
한편, 회전 링(610)의 하부에는 폴대(100)에 지지되고 회전 링(610)과 맞물려 회전 링(610)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62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 기어(620)는 폴대(100)에 결속되는 지지축(621)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축(621)을 중심으로 구동 기어(6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회전 링(610)과 구동 기어(620)는 예를 들어 베벨 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회전 링(610)의 하면과 구동 기어(620)의 외주면에는 각각 기어가 형성되어 회전 링(610)의 축선과 구동 기어(620)의 축선이 직각을 이루더라도 구동 기어(620)의 회전력을 회전 링(610)에 전달하여 구동 기어(62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회전 링(610)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 기어(620)의 내부에는 양단이 각각 지지축(621)과 구동 기어(62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640)가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40)는 예를 들어 스파이럴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6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복원력이 압축되었다가 탄성부재(6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압축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구동 기어(620)의 내부에 탄성부재(640)가 설치되면 구동 기어(6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따라 회전 링(610)이 회전하게 되지만 구동 기어(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외력이 사라지면 탄성부재(640)로부터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어 구동 기어(6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구동 기어(620)의 일측에는 와이어(630)가 권선되는데, 와이어(630)의 자유단은 승강 링(200)과 연결되어 승강 링(200)이 폴대(100)를 따라 승강하는 것에 따라 구동 기어(6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작동을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중 승강 링의 하강에 따른 권선 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우산을 접기 위해 승강 링(200)을 폴대(100)의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승강 링(200)과 연결된 제 1 우산살(300) 및 제 2 우산살(400)이 폴대(100)와 인접하게 접철되면서 제 3 우산살(500)의 자유단이 폴대(100)의 하단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 링(200)이 폴대(10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승강 링(200)과 연결된 와이어(630)가 구동 기어(620)로부터 인출되면서 구동 기어(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 기어(620)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640)는 탄성 복원력이 압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렇게 구동 기어(6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 링(200)이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 링(610)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 링(6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이드 봉(611)이 회전하여 스트랩(60)이 캐노피(510)를 권선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접혀진 우산을 펼치기 위해 승강 링(200)을 폴대(100)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구동 기어(620)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640)로부터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어 인출된 와이어(630)가 구동 기어(620)에 권선되는 것과 동시에 구동 기어(6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구동 기어(62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구동 기어(620)와 맞물린 회전 링(610)이 캐노피(510)의 권선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캐노피(510)가 완전하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에 의하면, 빗물에 젖은 우산을 접는 것과 동시에 캐노피(510)가 자동으로 권선됨으로써 사용자가 캐노피(510)를 접기 위한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60)과 회전 링(610)을 연결하는 가이드 봉(611)을 안내하는 고리(520)가 제 3 우산살(500)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봉(611)을 안내하는 고리(520)는 제 3 우산살(500)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고리(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00)를 중심으로 점점 멀어지는 소용돌이형으로 제 3 우산살(500)에 배치된다.
이렇게, 제 3 우산살(500)의 외측면에 고리(520)가 형성되면 회전 링(610)으로부터 인출된 가이드 봉(611)이 고리(520)를 관통하여 스트랩(60)과 연결되어 가이드 봉(611)이 스파이럴 스프링 (spiral spring)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봉(611)이 제 3 우산살(500)에 형성된 고리(520)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의 형태를 갖게 되면, 우산이 접혀질 때 균일하게 캐노피(510)를 권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은 일단이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된 스파이럴 형태의 가이드 봉(611)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 및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산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우산이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봉(611)이 소형돌이 형태를 갖고, 일단이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3 우산살(500)의 끝단을 향해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 봉(611)은 상부로 갈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지며 탄성력이 발휘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상부로 살수록 선회반경이 작아지며 탄성력이 발휘되는 형태의 가이드 봉(611)이 우산에 마련되는 경우 가이드 봉(611)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우산이 접혀졌을 때 캐노피(510)를 권선하게 되며, 이와는 반대로 우산이 펼쳐졌을 때 도 8과 같이 가이드 봉(611)이 캐노피(510)에 밀려 올라가 우산이 펼쳐진 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우산을 접고 펴는 것만으로도 캐노피(510)가 자연스럽게 권선된다.

Claims (7)

  1. 하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폴대;
    상기 폴대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되어 폴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 링;
    상기 승강 링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힌지 결속된 다수의 제 1 우산살;
    양단부가 제 1 우산살과 승강 링에 힌지 결속되는 제 2 우산살;
    상기 제 1 우산살과 힌지 결속되며 외측면에 캐노피가 마련된 제 3 우산살; 및
    상기 승강 링과 연계되어 승강 링이 상기 폴대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캐노피에 형성된 스트랩을 감아 캐노피를 권선시키는 권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선유닛은,
    상기 캐노피의 외측 상단 폴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 링;
    상기 폴대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 링과 맞물려 회전 링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의 일측에 권선되며 상기 승강 링과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구동 기어에 내설되고 상기 와이어의 인출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회전 링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캐노피에 형성된 스트랩과 연결되는 가이드 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봉은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 링과 구동 기어는 베벨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폴대에 결속되는 지지축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구동 기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의 내부에는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축과 구동 기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3 우산살은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 봉을 안내하는 고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 3 우산살에 각각 형성된 고리는 상기 폴대를 중심으로 점점 멀어지는 소용돌이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PCT/KR2016/001122 2015-02-12 2016-02-02 우산 WO201612984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34 2015-02-12
KR1020150021834A KR101635094B1 (ko) 2015-02-12 2015-02-12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844A1 true WO2016129844A1 (ko) 2016-08-18

Family

ID=5635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1122 WO2016129844A1 (ko) 2015-02-12 2016-02-02 우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5094B1 (ko)
WO (1) WO20161298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17A (ja) * 2000-02-02 2001-08-07 Masa Mochizuki リール式傘
JP2005237572A (ja) * 2004-02-25 2005-09-08 Saneho Akita 携帯用傘ホルダー
KR20100064537A (ko) * 2008-12-05 2010-06-15 유비벨록스(주) 우산
KR20110049565A (ko) * 2009-11-05 2011-05-12 성기훈 자동 접이식 우산
KR20120138945A (ko) * 2011-06-16 2012-12-27 박정호 우산천 정리되는 우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14B1 (ko) 2008-11-27 2011-10-28 이경수 우산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917A (ja) * 2000-02-02 2001-08-07 Masa Mochizuki リール式傘
JP2005237572A (ja) * 2004-02-25 2005-09-08 Saneho Akita 携帯用傘ホルダー
KR20100064537A (ko) * 2008-12-05 2010-06-15 유비벨록스(주) 우산
KR20110049565A (ko) * 2009-11-05 2011-05-12 성기훈 자동 접이식 우산
KR20120138945A (ko) * 2011-06-16 2012-12-27 박정호 우산천 정리되는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094B1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53512A1 (ko) 접이식 자동 우산
US10653218B1 (en) Umbrella with projector lighting device
US10016033B2 (en) Adjustable canopy umbrella with auditory pin locking and centering system
US20140069476A1 (en) Foldable tent
US4022233A (en) Venetian umbrella
US4732285A (en) Collapsible structure
WO2014098459A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WO2011081312A2 (ko) 우산식 자동 텐트의 프레임 구조물
EP2107877A1 (en) A portable and compact umbrella
US5690131A (en) Umbrella
WO2016129844A1 (ko) 우산
US20150351505A1 (en) Cantilevered umbrella
KR101348809B1 (ko) 국기 게양대
KR101384760B1 (ko) 중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우산
EP0723407A4 (en) UMBRELLA WITH A RING-SHAPED ROOF RACK
KR20150083541A (ko)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CN211691679U (zh) 一种伸缩式电动车雨棚
CN209528152U (zh) 带有安全装置的自动伞
CA2700040C (en) Automatic folding structure for kites
CN207444467U (zh) 雨伞
EP0049226A2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CN107467834B (zh) 雨伞
US20240081272A1 (en) Pet excrement cleaning device
EP0337980A1 (de) Schirmartiger Wäschetrockner mit Schutzhülle
WO2014030970A2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49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6.12.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49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