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64209A1 -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64209A1
WO2016064209A1 PCT/KR2015/011183 KR2015011183W WO2016064209A1 WO 2016064209 A1 WO2016064209 A1 WO 2016064209A1 KR 2015011183 W KR2015011183 W KR 2015011183W WO 2016064209 A1 WO2016064209 A1 WO 201606420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water
screw
hul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1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형
Original Assignee
김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형 filed Critical 김대형
Publication of WO201606420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6420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ate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e.g. from tidal flows, waves or curr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은,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다수의 수문이 형성되는 둑 및 상기 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수문 근처에 배치되어 그 수문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은, 선체부(10);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발전부(50)는, 연결대(51); 발전본체(52); 수직날개(56); 수평날개(57); 스크류(55); 작업해치(12); 지지대(53); 및 이동통로(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본 발명은 수상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쉬우면서 강 수면위에서 뜬 채로 수압을 이용하여 대량의 전력 단위로 발전하여 수요가에게 공급할 수 있는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강에서 댐 또는 둑을 이용한 수압을 이용한 수력 발전설비는 초기 건설시 발전설비 및 용량이 결정되어 댐 또는 둑의 일측에 설치되는 발전기를 이용하여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수력 발전설비는 한번 시공시 용량이 고정되어 있어 발전량 대비 초기 투자비용이 높은 비용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수량 및 수요량에 따라 발전 설비를 늘리고 줄이는 등의 유연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발전설비는 댐 또는 둑 시설과 고정되어 있기에 고장 및 수리는 해당 발전설비로 가서 이루어져야 하며, 수리 및 보수가 필요한 거대한 장비 및 부품은 따로 떼어내어 교체 또는 보수 이후 재장착하여 운전해야만 하고, 그 보수 기간 동안에는 발전설비가 휴전에 들어가야 하는 한계가 있으며, 그만큼 발전량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름철 홍수나 가뭄시 수량이 많아진 경우에도 고정된 발전설비의 특징상 설비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으며, 최대 발전 한계를 초과하면 넘치는 물은 수문을 통해 발전하지 않고 방류시켜야 하는 등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으로서, 수량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발전설비를 이동시킬 수 있고, 고효율로 발전 및 송배전이 가능하며, 고장 및 유지 보수 작업시 신속하게 선체에서 해당 발전부로 바로 가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보수가 필요한 수상발전선을 이동시킨 후 정상적인 수상발전선을 투입하여 바로 가동시킬 수 있는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는 수상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은,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다수의 수문(3)이 형성되는 둑(2) 및 상기 둑(2)의 어느 하나 이상의 수문(3) 근처에 배치되어 그 수문(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100)은,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선체부(10)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류의 방향에 따라 스크류(55)의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선체부(10)는 수중으로 잠기는 영역에 해당하는 하부 영역과 수상으로 떠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영역 중 상부 영역의 상부면 상에는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하부 영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전부(50)는, 축이 선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서 회전축(54)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축(58) 또는 유니버셜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발전본체(52) 중 스크류(55)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연장되어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 중 중간 영역에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며, 수류가 갑자기 변화시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발전본체(52) 중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가 형성된 반대측에 연결되고, 발전본체(52) 내부의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55); 선체부(10)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류(55)의 상향 전방의 위치에 근접된 이격거리의 위치에,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 발전본체(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로 구성되는 지지대(53); 및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 상에 형성된 발전본체(52) 및 작업해치(12)를 하나의 단위로 선체부(10)의 상부 영역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위로 연통되도록 하는 이동통로(11);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은, 수량의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하여 발전설비를 이동시킬 수 있고, 고효율로 발전 및 송배전이 가능하며, 고장 및 유지 보수 작업시 신속하게 선체에서 해당 발전부로 바로 가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보수가 필요한 수상발전선을 이동시킨 후 정상적인 수상발전선을 투입하여 바로 가동시킬 수 있는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고 발전 용량을 유동성 있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의 발전부 단위체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이 다수 배치된 일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이 다수 배치된 다른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 부호의 설명]
1 : 강 10 : 선체부
11 : 이동통로 12 : 작업해치
50 : 발전부 51 : 연결대
52 : 발전본체 53 : 지지대
54 : 회전축 55 : 스크류
56 : 수직날개 57 : 수평날개
60 : 변전소 70 : 송전소
80 : 배전소 90 : 닻줄
91 : 닻 100 : 수상발전선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은,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다수의 수문(3)이 형성되는 둑(2) 및 상기 둑(2)의 어느 하나 이상의 수문(3) 근처에 배치되어 그 수문(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100)은,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선체부(10)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류의 방향에 따라 스크류(55)의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선체부(10)는 수중으로 잠기는 영역에 해당하는 하부 영역과 수상으로 떠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영역 중 상부 영역의 상부면 상에는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하부 영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전부(50)는, 축이 선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서 회전축(54)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축(58) 또는 유니버셜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발전본체(52) 중 스크류(55)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연장되어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 중 중간 영역에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며, 수류가 갑자기 변화시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발전본체(52) 중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가 형성된 반대측에 연결되고, 발전본체(52) 내부의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55); 선체부(10)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류(55)의 상향 전방의 위치에 근접된 이격거리의 위치에,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 발전본체(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로 구성되는 지지대(53); 및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 상에 형성된 발전본체(52) 및 작업해치(12)를 하나의 단위로 선체부(10)의 상부 영역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위로 연통되도록 하는 이동통로(11);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의 발전부 단위체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이 다수 배치된 일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 발전선이 다수 배치된 다른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다수의 수문(3)이 형성되는 둑(2) 및 상기 둑(2)의 어느 하나 이상의 수문(3) 근처에 배치되어 그 수문(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100)은,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선체부(10)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류의 방향에 따라 스크류(55)의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선체부(10)는 수중으로 잠기는 영역에 해당하는 하부 영역과 수상으로 떠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영역 중 상부 영역의 상부면 상에는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하부 영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전부(50)는, 축이 선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서 회전축(54)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축(58) 또는 유니버셜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발전본체(52) 중 스크류(55)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연장되어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 중 중간 영역에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며, 수류가 갑자기 변화시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발전본체(52) 중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가 형성된 반대측에 연결되고, 발전본체(52) 내부의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55); 선체부(10)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류(55)의 상향 전방의 위치에 근접된 이격거리의 위치에,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 발전본체(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로 구성되는 지지대(53); 및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 상에 형성된 발전본체(52) 및 작업해치(12)를 하나의 단위로 선체부(10)의 상부 영역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위로 연통되도록 하는 이동통로(1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일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에서 수량에 따라 둑(2)의 다수의 수문(3) 개폐는 적절하게 조절 제어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발전선(100)이 배치된 근처의 수문(3)만 열고 나머지 수문(3)은 닫아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의 수상발전 시스템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둑(2) 및 상기 둑(2)을 기준으로 상류의 일측에서 하류의 일측으로 물이 이동되는 바이패스 수로(5)에서 흐르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문(3)은 강(1)의 수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개폐 여부 및 개폐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수상발전 시스템은, 발전 운용시 해당 수상발전선의 발전 설비 보수, 수리 또는 교체시 후술하는 수상발전선 구조상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큰 대규모 보수인 경우 해당 수상발전선을 육지로 이동시킨 후, 정상적인 수상발전선을 즉각 투입 대체하여 바로 발전할 수 있기에 보수로 인한 발전설비 정지 등의 휴전, 미가동의 휴무에 의한 손실 등을 방지하고,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강의 수량 및 전력 수요량에 따라 유동적으로 최적의 효율 및 상태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발전선(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1)의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바지선과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상기 선체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수압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상기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상기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한다.
상기 선체부(10)는 평면도상 사각형상을 갖기에 어느 방향으로 수류가 설정되더라도 가운데가 움푹 파인 단면이 V자형인 기존의 선박에 비해 수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닻줄(90) 및 닻(91)은 선체부(10)와 최소한 3개가 연결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 선체부(10)가 회전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도시되었지만 8개,10개,12개 이상 등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수류 발전시 선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상발전선(100)은 상기 선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 변환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여 지상의 수요가로 바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전부(50)는, 상기 선체부(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상기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 끼워진 지지축(58)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미도시) 및 감속기(미도시)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상기 발전본체(52)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상기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상기 발전본체(52)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상기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상기 발전본체(5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과 상기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통해 발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류(55) 및 상기 스크류(55)와 근접하여 선체부(10)의 바닥면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부(10)의 내부공간과 상기 발전본체(52) 및 상기 작업해치(12)와 연통되는 이동통로(11)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날개(56)는 수류가 갑자기 변화하면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평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날개(57)는 수류가 갑자기 변화하면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즉, 발전본체(52)의 내부 벽면에 지지축(58)이 연결대(5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발전본체(52)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지지축(58)을 기준으로 발전본체(52)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발전본체(52)가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즉,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에 의해 연결대(51)가 회전되고 지지축(58)을 기준으로 발전본체(52)가 회전됨으로써 자동으로 스크류(55)가 상,하,좌,우 수류의 정확한 정방향을 바라보게 하여 회전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축(58)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휠을 구동하는 유니버셜 샤프트(미도시)로 대체되어 보다 부드럽게 발전본체(52)가 상,하,좌,우 2차원적으로 수류의 정방향을 향해 즉각적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대(51)뿐만 아니라 유니버셜 샤프트에서도 발전본체(5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회전 저항을 줄임으로써 신속한 수류 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고효율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해치(12)는 수상에 표류하는 쓰레기나 그물, 이물질 등이 스크류(55) 또는 회전축(54)에 걸려 발전을 방해하거나, 관련 부품 보수 및 교체시 작업자가 직접 열고서 해당 부분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선체부(10)의 내부공간과 이동통로(11)를 통해 연결되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며, 발전본체(52)와도 드나들 수 있어 신속한 조치 및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즉각적인 조치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본체(52)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54)을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lignumbait)로 구성되는 지지대(5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53)는 회전축(54)을 지지하는 일종의 베어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물에 포함된 이물질, 회전 마찰력에 저항해 수십년 사용하더라도 공극 발생이나 부식이 거의 없도록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에 따라 수류에 대해 선체를 이동가능하게 하면서 세부적인 수류 변화에 대해 능동적으로 각 발전부 단위체가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각 구성 부품의 유지 보수 주기를 최대화하면서 작업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추가 운영 비용을 최소화시키고 가동률을 최대한 끌어올려 최상의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단위 체적당 극대화된 전력 발전 및 변전, 송배전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킨 수상 발전선 및 이를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수상발전 시스템은 강에서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수량에 대응하여 유동성있게 수상발전선의 대수를 조절 배치하여 유용한 전기를 수용가에게 극대화된 효율로 제공할 수 있고, 발전용량을 유동성있게 조절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강이나 뚝, 저수지 등 에서 닻으로 고정되어 발전 효율을 친환경적으로 극대화하면서 설치 이동성이 높아 수상발전선을 투입하여 유동성있는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고 발전 용량을 유동성 있게 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다수의 수문(3)이 형성되는 둑(2) 및
    상기 둑(2)의 어느 하나 이상의 수문(3) 근처에 배치되어 그 수문(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100)은,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선체부(10)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류의 방향에 따라 스크류(55)의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선체부(10)는 수중으로 잠기는 영역에 해당하는 하부 영역과 수상으로 떠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영역 중 상부 영역의 상부면 상에는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하부 영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전부(50)는,
    축이 선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서 회전축(54)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축(58) 또는 유니버셜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발전본체(52) 중 스크류(55)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연장되어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 중 중간 영역에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며, 수류가 갑자기 변화시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발전본체(52) 중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가 형성된 반대측에 연결되고, 발전본체(52) 내부의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55);
    선체부(10)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류(55)의 상향 전방의 위치에 근접된 이격거리의 위치에,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
    발전본체(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로 구성되는 지지대(53); 및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 상에 형성된 발전본체(52) 및 작업해치(12)를 하나의 단위로 선체부(10)의 상부 영역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위로 연통되도록 하는 이동통로(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
  2. 강(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둑(2) 및
    상기 둑(2)을 기준으로 상류의 일측에서 하류의 일측으로 물이 이동되는 바이패스 수로(5)에서 흐르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다수의 수상발전선(1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상발전선(100)은,
    수상에서 부유상태를 유지하고, 선체 형상이 육면체 형상을 갖는 선체부(10); 선체부(10)의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류의 방향에 따라 스크류(55)의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한 스크류(55)의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다수의 발전부(50); 및 선체부(10)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최소한 3 개 이상의 닻줄(90)과 닻줄(90)과 연결되어 바닥부에 고정되는 닻(91)을 포함하고,
    선체부(10)는 수중으로 잠기는 영역에 해당하는 하부 영역과 수상으로 떠있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부 영역 중 상부 영역의 상부면 상에는 발전부(50)에 의해 발전된 전기를 가공하는 변전소(60), 송전소(70) 및 배전소(80)를 포함하며,
    하부 영역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발전부(50)는,
    축이 선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연결대(51);
    연결대(51)로부터 연장되는 중앙부에서 회전축(54)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축(58) 또는 유니버셜 샤프트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내부에 발전기 및 감속기를 구비하는 발전본체(52);
    발전본체(52) 중 스크류(55)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연장되어 길이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평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는 수직날개(56);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 중 중간 영역에 수직날개(56)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류에 대해 수직 정방향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도록 하며, 수류가 갑자기 변화시 수류를 가르는 힘에 의해 수류의 수직 정방향을 향해 연결대(51)의 회전으로 발전본체(52)가 향하여 스크류(55)와 수류가 정면으로 부딪혀 회전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수평날개(57);
    발전본체(52) 중 수직날개(56) 및 수평날개(57)가 형성된 반대측에 연결되고, 발전본체(52) 내부의 감속기와 연결되는 회전축(5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스크류(55);
    선체부(10)의 바닥면 상에서 스크류(55)의 상향 전방의 위치에 근접된 이격거리의 위치에,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의 외주면 상에 구비되는 작업해치(12);
    발전본체(5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55)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리그넘바이트로 구성되는 지지대(53); 및
    선체부(10)의 하부 영역 중 바닥면 상에 형성된 발전본체(52) 및 작업해치(12)를 하나의 단위로 선체부(10)의 상부 영역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도록 하나의 단위로 연통되도록 하는 이동통로(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시스템.
PCT/KR2015/011183 2014-10-24 2015-10-22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WO201606420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591 2014-10-24
KR1020140145591A KR20160048599A (ko) 2014-10-24 2014-10-24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209A1 true WO2016064209A1 (ko) 2016-04-28

Family

ID=5576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183 WO2016064209A1 (ko) 2014-10-24 2015-10-22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8599A (ko)
WO (1) WO20160642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6978A (zh) * 2018-04-17 2018-09-1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防止高混凝土坝坝内廊道顶拱开裂的方法
US20190145372A1 (en) * 2016-03-16 2019-05-16 Novige Ab Floating platfor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649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이노앤파워 수직기어 구동 일체형 유체흐름 발전장치
US20090115193A1 (en) * 2007-06-25 2009-05-07 Branco Anthony J Water turb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101071644B1 (ko) * 2009-12-14 2011-10-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상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발전장치
JP4865984B2 (ja) * 2000-10-03 2012-02-01 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絡チャネルを有する炭化ケイ素パワー金属酸化物半導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20140026254A (ko) * 2012-08-23 2014-03-05 김대형 수상발전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5984B2 (ja) * 2000-10-03 2012-02-01 ク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絡チャネルを有する炭化ケイ素パワー金属酸化物半導体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20090115193A1 (en) * 2007-06-25 2009-05-07 Branco Anthony J Water turbine for generating electricity
KR20090037649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이노앤파워 수직기어 구동 일체형 유체흐름 발전장치
KR101071644B1 (ko) * 2009-12-14 2011-10-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상 부유구조물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40026254A (ko) * 2012-08-23 2014-03-05 김대형 수상발전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45372A1 (en) * 2016-03-16 2019-05-16 Novige Ab Floating platform
US11085414B2 (en) * 2016-03-16 2021-08-10 Novige Ab Floating platform
CN108536978A (zh) * 2018-04-17 2018-09-1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防止高混凝土坝坝内廊道顶拱开裂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599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990A (en) Tidal power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636111B (zh) 水力涡轮发电机装置
US4241283A (en) Hydro-electric power plant
KR100992067B1 (ko) 교각을 이용한 수력 발전장치
CN101012799A (zh) 无坝水能发电系统
CN107515096A (zh) 四面生潮的多流态潮汐流模拟试验装置及其方法
WO2010114496A2 (en) Floating waterwheel serving primarily as a multifunctional energy generator
WO2016064209A1 (ko) 수상발전선을 이용한 수상발전 시스템
US20120200089A1 (en) Unit for a hydroelectric power plant and modular hydroelectric power plant comprising said unit
WO2013089398A1 (ko) 해류 또는 조류를 이용하는 발전장치
WO2015174706A1 (ko) 조류발전용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KR20100114990A (ko) 낙차수압을 이용한 수력발전 시스템
KR20120054227A (ko)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CN211172272U (zh) 一种用于冲洗分流制市政污水管的系统
KR20110107885A (ko) 프로펠러를 이용한 수중 조류발전기
KR102099385B1 (ko) 조력 발전장치
RU144821U1 (ru)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й водосброс плотины (варианты)
DE102006014205A1 (de) Schwimmendes Wasserrad als Kleinkraftwerk zur Gewinnung von elektrischem Strom
CN103114565B (zh) 适用于斜坡急流河道引流发电的截流引水系统及水电站
CN104988885A (zh) 横轴水力自控旋转闸门
KR102192647B1 (ko) 조력 발전장치
JP2013079539A (ja) 水力発電装置
CN104806423A (zh) 静水循环发电抗旱涝
JP3124605U (ja) 治水型水力システム
EP4184002A1 (en) Hydropower b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1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517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