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227A -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 Google Patents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227A
KR20120054227A KR1020100115498A KR20100115498A KR20120054227A KR 20120054227 A KR20120054227 A KR 20120054227A KR 1020100115498 A KR1020100115498 A KR 1020100115498A KR 20100115498 A KR20100115498 A KR 20100115498A KR 20120054227 A KR20120054227 A KR 20120054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erration
gate
tidal
flow
sl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641B1 (ko
Inventor
손형익
Original Assignee
청오건설(주)
손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오건설(주), 손형익 filed Critical 청오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11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making use of a da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8Tide or wave power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03B13/083The generator rotor being mounted as turbine rotor r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50Hydropower in dwel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조위와 내수위를 격리하는 방조제(11)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조력발전을 하는 조력발전소에 관한 것으로서, 수차설치부(110);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으로 구성되어,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과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이 개방되어 외조위에서 내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및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과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이 개방되어 내조위에서 외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수차(22)가 회전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Double Current Tidal Electric Power Station}
본 발명은 조석간만에 의한 해수의 위치에너지 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조력발전소에 관한 것으로서 외조위와 내수위를 격리하는 방조제에 설치되어 밀물과 썰물의 방향에 관계없이 수차설치부에 일정한 방향으로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어 발전소 시설공사의 경제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조력 에너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양에너지 자원 중에서도 조력발전에 관한 것인데, 조력발전은 조석에 의해 이동하는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에너지의 차이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호수(조지) 수에 따라 단조지식, 복조지식, 해수의 이용방향에 따라 단류식, 복류식으로 구분되며, 단류식은 발전시 이용하는 조석에 따라 창조식과 낙조식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서해안 시화호에서 건설중인 조력발전소는 방조제를 중심으로 외해 수위는 관리수위를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상하로 수 m씩 변화하고, 반면에 호수(조지) 내에서는 관리수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발전시 외해 수위가 높고 호수의 수위가 낮게 유지되는 창조식 발전방식을 택하고 있다.
조력발전에서 얻을 수 있는 발전출력은 수차발전기의 효율과 해수통과 단면적에 비례하고 조석간만의 차에 의한 해수와 호수의 수위 차의 3/2제곱에 비례하므로 우수한 성능의 수차발전기와 발전기 날개가 크고 조석간만의 차가 클수록 경제성이 높게 된다.
해양에너지 자원 중에서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또 하나의 발전방식인 조류발전은 조류의 유속이 빠른 곳에 수차발전기를 설치하여 조류의 운동에너지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방식이다. 조류를 이용한 조류발전은 넓은 의미의 해류발전에 포함되며(이하에서, '조류발전' 또는 '조류'를 '해류발전' 또는 '해류'로 통칭한다), 수차발전기 종류에 따라 헬리칼(Helical)식, HAT(Horizontal Axis Turbine)식, VAT(Vertical Axis Turbine)식으로 구분되며, 수차발전기 설치방법에 따라 부유식, 착저식으로 구분된다.
조력발전은 인공적으로 방조제를 만들고 방조제의 안쪽과 바깥쪽 해수의 낙차를 이용해 발전하지만 해류발전은 통상적으로 자연적으로 흐르는 해류의 길목에 수차발전기를 설치해 발전한다. 해류발전은 풍력발전과 원리가 비슷한데, 바람 대신 지속적으로 흐르는 해류를 이용해 터빈을 돌린다는 점이 다르다. 다만, 해류발전의 경우 전력/면적 밀도는 해양풍력의 경우보다 약 4배 정도 더 크며, 이는 해수의 밀도가 공기의 밀도에 비해 약 840배 크기 때문으로 같은 시설용량일 경우 풍력발전기에 비하여 해류발전기의 크기가 훨씬 작다.
해류발전에서 얻을 수 있는 발전출력은 수차발전기의 효율과 해수통과 단면적에 비례하고 해류속도의 3제곱에 비례하므로 높은 유속은 해류발전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조력 및 해류에너지는 달, 태양 및 지구 사이의 만류인력에 기인하는 에너지로 태양계가 존속하는 한 지속되는 무한한 청정에너지이고, 조석의 주기성으로 인하여 기상과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전출력의 장기적인 예측이 가능하며,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며 전력망 내 연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발전이 단속적이고 발전부지가 육지에서 멀리 떨어질 경우는 송전선로 구축 등으로 인한 초기 투자비가 많은 것이 단점이다.
즉 종래의 조력발전 시설은 단조 복류식의 경우 수차 및 유수공의 구조 상 조류 방향이 반대로 바뀔 경우 양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은 상대적으로 수차의 에너지 전환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조류이 유출입이 제한되어 복류식 발전에 대한 실질적 효과가 적다. 따라서 대부분 창조 혹은 낙조 중에 어느 한 방향만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단류식 발전을 채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력 에너지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차설치부의 양단에 이중 수문을 설치하여 밀물 때에 해양측의 유입 수문과 내수측의 배출수문을 개방하여 발전이 가능한 조력발전소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수차설치부의 양단에 이중 수문을 설치하여 썰물 때에 내수측의 유입수문과 해양측의 배출수문을 개방하여 조류가 밀물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차설치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수차의 효율이 최적화된 조력발전소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해수면과 조지(내수)의 수위차가 발전 수위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발전 중단 시점에서 수문을 최대한 개방하여 고조 또는 저조시에 해수면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정한 다음 수문을 닫아 다음 발전시간대에 필요한 수위차를 최대한 확보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1개의 조지를 사용하여 양방향 발전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공사비로 조력에너지 이용을 극대화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조위와 내수위를 격리하는 방조제(11)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조력발전을 하는 조력발전소에 관한 것으로서, 방조제(11) 사이의 열린 공간의 중앙부에 방조제(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열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수차(22)와 발전기(33)로 구성되는 수차설치부(110);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해양측유입수문(120);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해양측배출수문(130);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수측배출수문(150);으로 구성되어,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과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이 개방되어 외조위에서 내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및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과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이 개방되어 내조위에서 외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수차(22)가 회전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개의 조지를 이용하여 밀물과 썰물의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율로 조력 발전이 가능하여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이중 구조의 수문을 조합하여 개폐함으로써 수차유수공을 통과하는 해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함으로써 수차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어 조력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곡선날개부(160)를 설치하여 해수의 방향을 완만하게 유도할 수 있다.
넷째, 고조시 및 저조시에 개폐식 수문(55)을 모두 개방하여 해수면과 조지의 수위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다음 발전시에 필요한 수위차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배치도이다.
도2는 밀물시 발전시간대의 개폐식 수문(55)의 개방상태를 도시한다.
도3은 썰물시 발전시간대의 개폐식 수문(55)의 개방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밀물시 해양과 조지의 수위가 최소 발전 수위차 이하가 되는 시점부터 조지의 수위가 설계최고점에 올라갈 때까지 수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5는 썰물시 해양과 조지의 수위가 최소 발전 수위차 이하가 되는 시점부터 조지의 수위가 설계최저점에 내려갈 때까지 수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은 해양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화되는 시점부터 발전 수위차가 되는 시점까지 수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7은 개폐식 수문(55)의 개폐와 발전시간대에 따른 외조위(해수면)와 내조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단위 발전소(100) 2개를 1조로 구성하여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9는 단위 발전소(100) 2개를 1로로 구성하여 설치하되, 각각의 단위 발전소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배열된 경우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외조위와 내수위를 격리하는 방조제(11)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조력발전을 하는 조력발전소에 관한 것인데, 도1에는 상기 수차설치부(110),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위 발전소(100)가 도시되어 있다.
수차설치부(110)는 방조제(11) 사이의 열린 공간의 중앙부에 방조제(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열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수차(22)와 발전기(33)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차설치부(110)에는 다수 개의 수차(22)와 발전기(33)가 방조제(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병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각의 수차(22)는 개별적으로 구분된 수차유수공(44) 내부에 설치된다.
수차(22)의 구체적 형태나 규격 등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방향으로 흐르는 조류에 따라 발전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차가 선택될 수 있다.
수차(22)와 발전기(33)의 연결구조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반적인 유형이 선택될 수 있다.
해양측유입수문(120)의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해양측배출수문(130)의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내수측유입수문(140)의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내수측배출수문(150)의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이 다아아몬드 형상을 이루고 그 중앙부를 수차설치부(110)가 방조제(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형상이 된다.
도2는 밀물시 발전시간대의 개폐식 수문(55)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데, 해양측유입수문(120)과 내수측배출수문(150)이 개방되어 외조위에서 내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여 도면 상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흐르는 조류가 수차유수공(44)을 통과하면서 수차(22) 및 발전기(33)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3은 썰물시 발전시간대의 개폐식 수문(55)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데, 내수측유입수문(140)과 해양측배출수문(130)이 개방되어 내조위에서 외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고 이 경우에도 도2와 마찬가지로 도면 상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흐르는 조류가 수차유수공(44)을 통과하면서 수차(22) 및 발전기(33)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밀물과 썰물시에 수차설치부(110)를 통과하는 조류의 방향이 동일하여 밀물과 썰물에 상관없이 동일한 효율로 발전이 가능한 복류형 조력발전소를 구현할 수 있다.
곡선날개부(16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양측 단부 및 내수위 측 양측 단부 각각에 설치되며 수차설치부(110)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단면의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곡선날개부(160)는 수차설치부(110) 양측 단부의 각진 모서리 부위에서 조류가 급격히 돌아가면서 발생되는 와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개폐식 보조수문(170)은 해양측유입수문(120)의 일측 단부와 방조제(11)의 단부 사이 및 해양측배출수문(130)의 일측 단부와 방조제(11)의 단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방조제(11)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식 보조수문(170)은 해수면과 조지(내수)의 수위차가 발전 수위 이하로 떨어질 경우 발전 중단 시점에서 다른 개폐식 수문(55)들과 함께 개방되어 신속하게 고조 또는 저조시에 해수면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폐식 보조수문(170)은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식 수문(55)만으로도 충분한 경우에는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첨부도면에는 편의상 도1에만 개폐식 보조수문(1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나머지 도면들은 개폐식 보조수문(170)이 없는 형태로만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도면들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개폐식 보조수문(170)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의 운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밀물시간대가 시작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을 모두 닫고 대기하다가(수문폐쇄대기시간) 외조위(해양) 수위가 높아져 내수위(조지)와의 수위차가 최소 발전 수위차에 도달하는 시점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측유입수문(120)과 내수측배출수문(150)을 동시에 개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밀물시간대가 끝나가는 적정 시점(해양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 발전 수위차 이하가 되는 시점)에 발전을 중단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을 모두 개방하여 조지의 수위가 설계최고점까지 올라가도록 한다. 즉 내수위가 외조지(해양)의 수위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해수를 조지 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썰물시간대가 시작되는 적정시점(해수가 역류하는 시점)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을 모두 닫고 대기하다가 외조위의 수위가 낮아져 해양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 발전 수위차에 도달하는 시점에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수측유입수문(140)과 해양측배출수문(130)을 동시에 개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썰물시간대가 끝나가는 적정시점(해양과 조지의 수위차가 최소 발전 수위차 이하가 되는 시점)에 발전을 중단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을 모두 개방하여 조지의 수위가 설계최저점까지 내려가도록 한다. 즉 내수위가 외조지(해양)의 수위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해수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전을 할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조시 수문개방시간, 고조시 수문개방시간, 및 수문폐쇄 대기시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밀물과 썰물시간대에 발전을 지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을 구성하는 개폐식 수문(55)이 최대로 개방되면 고조 및 저조시에도 해수면과 조지 사이에 해류의 흐름이 발생되어 해수면과 조지의 수위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개폐식 수문(55)은 충분한 개방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도8은 수차설치부(110), 해양측유입수문(120), 해양측배출수문(130),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내수측배출수문(150)으로 구성되는 단위 발전소(100) 2개 이상이 방조제(11)를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1조를 이루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9는 1조를 이루며 이웃하는 단위 발전소(100)가 서로 좌우 대칭 구조로 설치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하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단위 발전소(100) 3개 이상이 1조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방조제
22:수차
33:발전기
44:수차유수공
55:개폐식 수문
100:단위 발전소
110:수차설치부
120:해양측유입수문
130:해양측배출수문
140:내수측유입수문
150:내수측배출수문
160:곡선날개부
170:개폐식 보조수문
180:보수점검용 수문설치 레일
190:섬프피트(sump pit)

Claims (7)

  1. 외조위와 내수위를 격리하는 방조제(11)에 설치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조력발전을 하는 조력발전소에 관한 것으로서,
    방조제(11) 사이의 열린 공간의 중앙부에 방조제(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이 배열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수차(22)와 발전기(33)로 구성되는 수차설치부(110);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해양측유입수문(120);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해양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해양측배출수문(130);
    일측 단부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일측 단부는 이웃하는 방조제(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내수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내수위 측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다수 개의 개폐식 수문(55)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수측배출수문(150);
    으로 구성되어,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과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이 개방되어 외조위에서 내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및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과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이 개방되어 내조위에서 외조위 방향으로 조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수차(22)가 회전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2. 제1항에서,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해양 측 양측 단부 및 내수위 측 양측 단부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수차설치부(110)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단면의 기둥 형상을 이루는 곡선날개부(16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3. 제1항에서,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의 일측 단부와 방조제(11)의 단부 사이 및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의 일측 단부와 방조제(11)의 단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방조제(11)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개폐식 보조수문(17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4. 제1항에서,
    상기 수차설치부(110)에는 다수 개의 수차(22)와 발전기(33)가 방조제(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5. 제1항에서, 상기 수차설치부(110),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으로 구성되는 단위 발전소(100) 2개 이상이 방조제(11)를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1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6. 제5항에서,
    1조를 이루며 이웃하는 단위 발전소(100)는 서로 대칭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7.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해양측유입수문(120), 상기 해양측배출수문(130), 상기 내수측유입수문(140) 및 상기 내수측배출수문(150)을 구성하는 개폐식 수문(55)이 최대로 개방되면 고조 및 저조시에도 해수면과 조지 사이에 해류의 흐름이 발생되어 해수면과 조지의 수위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KR1020100115498A 2010-11-19 2010-11-19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KR101180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8A KR101180641B1 (ko) 2010-11-19 2010-11-19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8A KR101180641B1 (ko) 2010-11-19 2010-11-19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27A true KR20120054227A (ko) 2012-05-30
KR101180641B1 KR101180641B1 (ko) 2012-09-18

Family

ID=4627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498A KR101180641B1 (ko) 2010-11-19 2010-11-19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72B1 (ko) * 2017-09-22 2019-02-22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조력발전시스템
KR20190091902A (ko) * 2018-01-30 2019-08-07 유원기 조력 발전장치
CN111075635A (zh) * 2019-11-30 2020-04-28 孙汉东 一种新型潮能发电装置
CN114909248A (zh) * 2021-02-08 2022-08-16 张鸿森 潮汐发电装置与用于容置发电设备的容器组件
GB2605174A (en) * 2021-03-25 2022-09-28 Verderg Ltd Tidal barrage
CN114909248B (zh) * 2021-02-08 2024-05-24 张鸿森 潮汐发电装置与用于容置发电设备的容器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89B1 (ko) 2006-11-14 2008-04-15 김태호 조격 정수 부치 이중 발전 시스템
KR100883756B1 (ko) 2008-03-25 2009-02-12 장경수 수문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복합 해양발전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72B1 (ko) * 2017-09-22 2019-02-22 주식회사 성강이지에스 조력발전시스템
KR20190091902A (ko) * 2018-01-30 2019-08-07 유원기 조력 발전장치
CN111075635A (zh) * 2019-11-30 2020-04-28 孙汉东 一种新型潮能发电装置
CN111075635B (zh) * 2019-11-30 2020-10-27 孙汉东 一种潮能发电装置
CN114909248A (zh) * 2021-02-08 2022-08-16 张鸿森 潮汐发电装置与用于容置发电设备的容器组件
CN114909248B (zh) * 2021-02-08 2024-05-24 张鸿森 潮汐发电装置与用于容置发电设备的容器组件
GB2605174A (en) * 2021-03-25 2022-09-28 Verderg Ltd Tidal barrage
WO2022200789A1 (en) * 2021-03-25 2022-09-29 Verderg Limited Tidal barrage
GB2605174B (en) * 2021-03-25 2023-06-07 Verderg Ltd Tidal bar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641B1 (ko)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ot Review of small hydropower technology
KR100867547B1 (ko) 조력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통합발전시스템
KR100883756B1 (ko) 수문발전과 해류발전을 겸하는 복합 해양발전시스템
US10605224B2 (en)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 using ebb and flow of seawater
GB2436857A (en) two-way tidal barrage with one-way turbines
KR101039080B1 (ko) 유조선형 조력발전장치
KR101180641B1 (ko) 단조지식 복류형 조력발전소
US10801466B1 (en) Integrated system for optimal continuous extraction of head-driven tidal energy with minimal or no adverse environmental effects
Simmons et al. Archimedes screw generators for sustainable micro‐hydropower production
KR101507761B1 (ko) 조류발전용 부유체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US6792753B2 (en) System for generating power
GB2460340A (en) Low head tidal barrage system
KR101389433B1 (ko) 수력 양수발전 시스템
JP6855075B2 (ja) 潮力発電システム
KR20120001971A (ko) 가물막이댐을 이용한 소규모 조력발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Halder et al. Efficient hydroenergy conversion technologies, challenges, and policy implication
TW202113224A (zh) 將波浪動能轉換成位能的構造
KR102375271B1 (ko) 양방향 유속증속 수력발전장치
RU4978U1 (ru)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при гидроузле, включающем плотину
KR20110031519A (ko) 3단계 내지 5단계로 발전하는 복합 복조식 조력발전소
CN104863086A (zh) 利用海水发电的防波堤
CA2694150A1 (en) The helical pathway system and method for harvesting electrical power from water flows using oval helical turbines
JP3103364U (ja) 海水水圧発電装置
KR101379597B1 (ko) 조류발전시스템
KR20060072103A (ko) 효용에 따른 조지조성과 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