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35931A1 -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35931A1
WO2016035931A1 PCT/KR2014/010725 KR2014010725W WO2016035931A1 WO 2016035931 A1 WO2016035931 A1 WO 2016035931A1 KR 2014010725 W KR2014010725 W KR 2014010725W WO 2016035931 A1 WO2016035931 A1 WO 20160359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blind spot
unit
front pill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7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엄기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ublication of WO20160359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359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4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method including a monitor inside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to display an image from outside the vehicle. .
  • a vehicle such as a passenger car is composed of a vehicle body constituting the exterior, an engin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o generate power, and a chassis for transmitting or opera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engine to various power units or drives.
  • the vehicle body is composed of a floor panel forming the floor of the vehicle, a frame for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vehicle body, a filler forming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a roof panel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 door, and the like.
  • the driver secures the driving clock mainly through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when driving, but also secures the driving clock of the rear or rear and rear through the rear view mirror or the side mirror, as well as the side driving clock through the window of the vehicle door. It can be secured.
  • the driver may be disturbed by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the front and the front side of the driving clock.
  • the front driving clock of the vehicle is disturbed by a front pillar called “A filler” located between the front window of the vehicle and the door window of the front door.
  • the front pillar restricts the driver's line of sight in a diagonal direction, and in particular, blind spots are generated by the pillar despit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turning left and right.
  • the driver not only feels frustrated, but also has difficulty in securing safety due to difficulty in safe driving.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75015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d with a flexible monit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illar, by taking an imag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to be displayed on the flexible monitor, the front pillar is maintained as it is It is to provide a blind spot monitoring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a vehicle that can maintain safety at the time of rollover and can be safely driven by eliminating the blind spot by the front pillar.
  •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near and far;
  • a monitor unit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 a blind spot image of the driver covered by the front pillar is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to form a composite image, and the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is extracted from the composite image.
  • a control unit to display the monitor unit.
  • the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pillar of the vehicl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 a monitor unit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an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ind spot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and the actual blind spot image hidden by the front pillar to be matched.
  • Each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lens module unit configured to face each subject to collect incident light, and an image sensor unit which receives the light collected through the lens module unit and converts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 the image senso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front pillar.
  • the image sensor unit may have a large ratio of the vertical length to the horizontal length.
  • the monitor unit may be a display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the same siz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 the controller may form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s as a composite image by using an SIFT algorithm.
  • the controller may extract pixel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from the composite image or the captured blind spo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fine adjustment unit for mov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up, down, left and right; If the image of the blind spot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is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blind spot hidden by the front pillar,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be adjusted so that the image of the blind spot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matches the actual blind spot.
  •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 preset position such that the blind spot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matches the actual blind spot.
  •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ambient temperature, atmospheric humidity or a proximity object outside the vehicle, and a storage unit storing image data.
  •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nd when a near object is detected around the vehicle, a warning signal for this may be output to the monitor unit and the speaker unit.
  • Each imag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infrared irradiation device.
  •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such that onl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is input.
  • the blind spot monitoring method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mage acquisition step of obtaining near and far images, respectively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unit; An image synthesizing step of synthesizing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ring step through an image synthesizing unit; A filler reg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pixel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from the image synthesized through the image synthesis step; And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image extracted through the filler region extraction step through the monitor unit.
  • the image synthesizing step may include forming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into a synthesized image by using a SIFT algorithm.
  • adjusting the fine adjustment unit to match the image of the blind spot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with the actual blind spot. It may include.
  •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utomatically adjusting to a preset position so that the blind spot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and the actual blind spot match.
  • the front pillar is provided by having a flexible monit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illar, and taking an image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displaying it on the flexible monitor. Is maintained as it is to maintain safety when the vehicle is overturned, the blind spots are eliminated by the front pillar is effective to drive safely.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forming a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put image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and 7 illustrate examples of synthesizing an inpu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filler partial image from another composit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unit constituting a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apparatus of a vehicle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 the controller 140 processes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monitor unit 140,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provided in the vehicle 100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140. 200 is included and configured.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are provided outside the front pillar 120 of the vehicle 100, and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focuses on a short distance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focuses on a long distance to take a photograph.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face a subject, a lens module unit R for condensing incident light, and the lens module unit.
  • the image sensor unit S for receiving the light collected through the R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included.
  • the lens module unit R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lenses to form the collected light onto the image sensor unit S.
  • the image sensor unit S may be provided as a linear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or a linear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pillar 120 to secure a view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rovided in the form.
  • CCD charge coupled device
  •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 the image sensor unit S has a vertical length larg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in a ratio of horizontal to vertical length of 3: 4 or 9:16.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may be located at the top. .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are disposed to have the same photographing direction at different heights.
  •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may be installed anywhere where the blind spots covered by the front pillars 120, such as a side mirror, can be photographed.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irradiation device such as an infrared LED, and thus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at night.
  • an infrared irradiation device such as an infrared LED
  •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irradiation device, and during the day to operate the infrared irradiation device by operating the switch. By stopping,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units 131 and 135 may be operated for visible light imaging.
  • the photographing unit 131, 135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not shown) to allow the image input to be made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 the image input through the filter may be output to the monitor unit 140 provided inside the front pillar as it is, so that an image of a portion covered by the front pillar may be displayed without a separate image processing.
  • the monitor 14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illar 120 of the vehicle 100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illar 120.
  • the monitor 140 may be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of a flexible material. hav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LED light emitting diode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the monitor unit 140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illar 120.
  • the monitor 140 displays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 the vehicle 10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210 for detecting the ambient temperature, atmospheric humidity and proximity objects outside the vehicle, the operation unit 230 as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e speaker unit 250 for outputting sound data
  • the communication unit 270 is further provided to transmit various data to the outside.
  • the operation unit 230 and the monitor unit 140 may be provided integrally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the atmospheric humidity of the outside of the vehicl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210 on the monitor unit 140, and when a near object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unit 200 displays it on the monitor unit 140.
  • the speaker unit 250 may also output a warning signal for a nearby object.
  • a warning signal for a near object is output while the vehicle 100 is driving, thereby preventing a collision accident and the like.
  • the warning signal for the proximity objec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such as the driver's mobile terminal.
  • the vehicle 10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290 for storing data, and the control unit 200 stores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290, and the composite image of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also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 the captured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200 to serve as a vehicle black box when an accident occurs.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ind spot monitoring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put image through a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ynthesizing an inpu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filler partial image from another composit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image 131a obtained by capturing the short range is acquir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is obtained.
  • operation S101 a second image 135a of a long distance is obtained.
  • the images acquired through the first photographing unit 131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unit 135 are synthesized into the final image in focus through the image synthesizing unit 139 (S102).
  • the SIFT algorithm is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any algorithm may be used as long as the SIFT algorithm extracts a feature point or a feature vector from an image such as a corner or a contour detector to grasp the feature of the object.
  • the composite image 139a of the first image 131a and the second image 135a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noramic image in which two images are connected to one image.
  • the composite image 139a is the front window image 111a seen through the front window 111 of the vehicle and the side window image 113a seen through the side window 113 and the front as shown in FIG. 8.
  • the front filler image 120a covered by the filler 120 is combined into one image.
  • a portion of the composite image 139a corresponding to the front pillar 120 corresponding to the front pillar 120 is extracted (S103).
  •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pixel is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140 so that the blind spot image covered by the front pillar 120 is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140 (S104).
  • the shape of the image sensor (S)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ront pillar 120,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image input to the recording unit (131, 135) to the monitor unit 140 only through basic image processing. have.
  • the image may be continued after the basic image processing on the captured image, that is, the image processed image of the front pillar 120 Reprocessing to display as is may be necessary.
  • the external image can be displayed to the front pillar 120 in a short time.
  • control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a fine adjustment unit (not shown) that can move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up, down, left and right.
  • the fine adjustment unit is adjusted to adjust the image of the blind spot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140 and the actual blind spot. Zones can be matched.
  •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user.
  • the fine adjustment uni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 preset posi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for example, after the user A sits in the driver's seat and the monitor unit 140 is aligned with the eye level of the user A, the user B sits in the driver's seat finely.
  • the position of the monitor unit 140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eye level of the B user through the adjustment unit.
  • the front window image 111a, the front pillar image 120a, and the side window image 113a are viewed in the form of a panoramic image composed of one window at the vehicle driver's point of view.
  • the frame rate of the front pillar image 120a varies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so that the image is not cut or distorted.
  • the blind spots covered by the front pillars 120 are displayed as images through the inside of the front pillars 120 to secure a continuous view of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when turning left and right, and greatly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It can be secured and can provide comfortable driving.
  • the blind spot monitoring method of the vehicle in steps S101 to S104 may be programmed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memory, a ROM, an EEPROM, and the like so that the computer can read it.
  •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memory, a ROM, an EEPROM, and the like so that the computer can read it.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monit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side of the front pillar in the driving blind spot monitoring device of the vehicle, and ensures continuous visibility of the driver by displaying the blind spot covered by the front pillar as an image through the inside of the front pillar. In addition to preventing accidents when turning left and right, the driver's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to provide a comfortable driving experi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필러 내측에 모니터를 구비하여 차량 외부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 필러 외측에 구비되어 근거리와 원거리를 각각 촬영하는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부착된 모니터부; 및 상기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사각 지대 영상이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입력되어 합성 영상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합성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이 추출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방 필러의 내 측면에 대응되도록 플렉시블 모니터를 구비하고,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플렉시블 모니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필러는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의 전복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전방 필러에 의한 사각지대가 해소되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필러 내측에 모니터를 구비하여 차량 외부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자동차와 같은 차량은 크게 외관을 구성하는 차체와, 차체에 탑재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여러 동력장치 또는 구동장치로 전달하거나 작동시키기 위한 섀시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차체는 차량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 차체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 차체의 측방을 구성하는 필러, 차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루프패널, 도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운전자는 운전시 주로 차량의 전방윈도우를 통해 운전시계를 확보하지만, 백미러 또는 사이드미러를 통해 후방 또는 측후방의 운전시계를 확보함은 물론, 차량의 도어의 윈도우를 통해서도 측방의 운전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운전자는 운전중 차량의 전방필러에 의해 전방 및 측전방의 운전시계를 방해받을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전방윈도우와 전방도어의 도어윈도우사이에 위치하는 일명 “에이필러”라 칭하는 전방필러에 의해 차량의 전방운전시계가 방해를 받게 된다.
전방필러는 운전자의 대각선 방향의 시선을 제한하며, 특히 좌회전 및 우회전 시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임에도 불구하고 그 필러에 의해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답답함을 느낄 뿐 아니라 시야 확보가 어려워 안전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7501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 필러의 내 측면에 대응되도록 플렉시블 모니터를 구비하고,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플렉시블 모니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필러는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의 전복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전방 필러에 의한 사각지대가 해소되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전방 필러 외측에 구비되어 근거리와 원거리를 각각 촬영하는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부착된 모니터부; 및 상기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운전자의 사각 지대 영상이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입력되어 합성 영상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합성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이 추출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는 차량의 전방 필러 외측에 구비되어 촬영을 하는 촬영부;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부착된 모니터부; 및 상기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운전자의 사각 지대 영상이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 모양과 대응되는 부분만이 추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 필러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전방 필러에 가려진 실제 사각지대 영상이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촬영부는 각각 피사체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모듈부와, 상기 렌즈모듈부를 통해 집광된 광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전방 필러의 모양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의 비율이 클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는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동일한 크기인 플렉시블 재질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합성 영상 또는 촬영된 사각지대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들을 추출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부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실제 사각 지대와 불일치하면, 상기 미세조정부를 조정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는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차량 외부의 대기온도, 대기습도 또는 근접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부가 연결되며, 차량 주변에 근접 물체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모니터부와 스피커부로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촬영부에는 적외선 조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에는 전방 필러의 내측면 모양과 대응되는 부분만 영상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은 제1촬영부 및 제2촬영부를 통해 각각 근거리와 원거리 영상이 획득되는 영상획득단계; 상기 영상획득단계를 거쳐 획득된 영상이 영상합성부를 통해 합성되는 영상합성단계; 상기 영상합성단계를 통해 합성된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들이 추출되는 필러영역추출단계; 및 상기 필러영역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영상이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합성단계에서는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단계에서는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실제 사각 지대와 불일치하면, 미세조정부를 조정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는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전방 필러의 내 측면에 대응되도록 플렉시블 모니터를 구비하고, 차량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플렉시블 모니터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필러는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의 전복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전방 필러에 의한 사각지대가 해소되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이루는 촬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이루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통한 입력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을 합성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합성 영상에서 필러 부분 영상을 추출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차량 120: 전방 필러
131: 제1촬영부 135; 제2촬영부
140: 모니터부 200: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이루는 촬영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를 이루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외부에 구비된 제1촬영부(131) 및 제2촬영부(135), 차량(100)의 내부에 구비된 모니터부(140), 상기 제1촬영부(131) 및 제2촬영부(13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가공하여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2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촬영부(131) 및 제2촬영부(135)는 차량(100)의 전방 필러(120)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촬영부(131)는 근거리에 초점을 두어 촬영이 이루어지고, 제2촬영부(135)는 원거리에 초점을 두어 촬영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촬영부(131) 및 제2촬영부(13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피사체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모듈부(R)와, 상기 렌즈모듈부(R)를 통해 집광된 광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부(S)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렌즈모듈부(R)는 집광된 광을 이미지 센서부(S)에 결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S)는 선형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 또는 선형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시야 확보를 위하여 전방 필러(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S)는 가로와 세로의 비가 3:4 또는 9:16 등으로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가 크게 형성된다.
차량(100)의 전방 필러(120) 외측을 길이방향인 상하로 2등분 했을 때, 상기 제1촬영부(131)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촬영부(135)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서로 같은 촬영 방향을 갖도록 배치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는 사이드 미러 등 전방 필러(120)에 의해 가려진 사각 지대를 촬영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에는 적외선 LED 등의 적외선 조사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야간에도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에는 상기 적외선 조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주간에는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적외선 조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켜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가 가시광선 촬영용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촬영부(131, 135)에는 전방 필러의 내측면 모양과 대응되는 부분만 영상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그대로 전방 필러의 내측에 구비된 모니터부(140)로 출력하여, 별도의 영상 처리를 할 필요가 없이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부분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140)는 차량(100)의 전방 필러(120)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12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전방 필러(120)의 내측면은 곡면 형상이므로 상기 모니터부(140)는 플렉시블(Flexible) 재질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140)는 전방 필러(120)의 내측면과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140)에는 상기 제1촬영부(131) 및 제2촬영부(13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차량(100)에는 차량 외부의 대기온도, 대기습도 및 근접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210)가 구비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조작부(230)가 구비되고,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는 스피커부(250),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시키기 위한 통신부(2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30)와 모니터부(140)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센서부(210)에 의해 측정된 차량 외부의 대기온도, 대기습도를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시키며, 차량 주변에 근접 물체가 감지되면 이를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스피커부(250)로도 근접 물체에 대한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의 주행 중에 근접 물체에 대한 경고 신호가 출력되어 추돌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차 등으로 운전자가 부재시 통신부(270)를 통하여 근접 물체에 대한 경고 신호를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 등의 다른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100)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저장부(290)에 저장되도록 하며, 후술하는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의 합성 영상 또한 저장부(2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200)에 저장됨으로써 사고 발생 시에 차량용 블랙박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통한 입력 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을 합성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합성 영상에서 필러 부분 영상을 추출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촬영부(131)를 통해 근거리를 촬영한 제1영상(131a)을 획득하고, 제2촬영부(135)를 통해 원거리를 촬영한 제2영상(135a)을 획득한다(S101).
이어서,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은 영상합성부(139)를 통해 초점이 맞는 최종 영상으로 합성된다(S102).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촬영부(131)와 제2촬영부(135)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특징점(P) 매칭을 통한 영상 간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영상을 합성시키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을 합성시킨다.
SIFT 알고리즘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SIFT 알고리즘 외에 Corner나 Contour Detector 등과 같이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이나 특징벡터를 추출하여 객체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알고리즘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영상(131a)과 제2영상(135a)의 합성영상(139a)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영상이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진 파노라마 영상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합성영상(139a)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창(111)을 통해 보이는 전면창 영상(111a)과 측면창(113)을 통해 보이는 측면창 영상(113a)과 전방 필러(120)에 의해 가려진 전방 필러 영상(120a)이 하나의 영상으로 합쳐진 형태이다.
따라서, 합성영상(139a)에서 전방 필러(120)에 해당하는 범위만큼의 픽셀, 예를 들어, 도 8에서 a, b, c, d가 포함하는 부분을 추출한다(S103).
이어서, 추출된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 필러(120)에 의해 가려진 사각 지대 영상이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104).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센서부(S)의 모양이 전방 필러(120)와 동일한 모양으로 구비하여, 촬영부(131, 135)로 입력된 영상을 기본적인 영상 처리만을 통하여 모니터부(140)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미지 센서부의 모양이 전방 필러(120)의 모양과 동일하지 않은 일반적인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한다면, 촬영된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영상 처리 후에 이어질 수 있는, 즉 영상 처리된 영상을 전방 필러(120)의 모양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재처리를 하는 과정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재처리를 하기 위한 과정이 불필요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외부 영상을 전방 필러(12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에는 상기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전방 필러(120)에 의해 가려진 실제 사각 지대와 불일치하면, 상기 미세조정부를 조정하여 모니터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는 복수의 사용자별로 각각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A사용자가 운전석에 앉아 A사용자의 눈높이로 모니터부(140)가 맞춰진 후, B사용자가 운전석에 앉으면 미세조정부를 통한 자동으로 B사용자의 눈높이로 모니터부(140)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시점에서 전면창 영상(111a), 전방 필러 영상(120a) 및 측면창 영상(113a)이 하나의 창으로 이루어진 파노라마 영상 형태로 보여 지게 된다.
아울러, 전방 필러 영상(120a)의 프레임 속도는 차량(100)의 속도에 따라 달리하여 영상이 끊어지거나 왜곡되지 않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필러(120)에 의해 가려진 사각 지대를 전방 필러(120)의 내측을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연속적인 시야 확보가 이루어져 좌회전 및 우회전 시 안전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야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쾌적한 드라이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계 S101 내지 단계 S104에 따른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을 프로그램화하여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시디롬, 메모리, ROM, EEPROM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방 필러의 내 측면에 대응되도록 플렉시블 모니터를 구비하고,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사각 지대를 전방 필러의 내측을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연속적인 시야 확보가 이루어져 좌회전 및 우회전 시 안전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야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쾌적한 드라이빙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차량의 전방 필러 외측에 구비되어 근거리와 원거리를 각각 촬영하는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부착된 모니터부; 및
    상기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운전자의 사각 지대 영상이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입력되어 합성 영상이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합성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이 추출되도록 하여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
    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2. 차량의 전방 필러 외측에 구비되어 촬영을 하는 촬영부;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부착된 모니터부; 및
    상기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운전자의 사각 지대 영상이 상기 촬영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전방 필러의 내측면 모양과 대응되는 부분만이 추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방 필러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전방 필러에 가려진 실제 사각지대 영상이 일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촬영부는 각각 피사체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모듈부와, 상기 렌즈모듈부를 통해 집광된 광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전방 필러의 모양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가로 길이에 비해 세로 길이의 비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전방 필러의 내측면과 동일한 크기인 플렉시블 재질의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합성 영상 또는 촬영된 사각지대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들을 추출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상하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부가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실제 사각 지대와 불일치하면, 상기 미세조정부를 조정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부는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차량 외부의 대기온도, 대기습도 및 근접 물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부가 연결되며, 차량 주변에 근접 물체가 감지되면 이에 대한 경고 신호를 모니터부와 스피커부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촬영부에는 적외선 조사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는 전방 필러의 내측면 모양과 대응되는 부분만 영상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4. 제1촬영부 및 제2촬영부를 통해 각각 근거리와 원거리 영상이 획득되는 영상획득단계;
    상기 영상획득단계를 거쳐 획득된 영상이 영상합성부를 통해 합성되는 영상합성단계;
    상기 영상합성단계를 통해 합성된 영상에서 전방 필러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의 픽셀들이 추출되는 필러영역추출단계; 및
    상기 필러영역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영상이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영상합성단계에서는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SI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계에서는 상기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이 전방 필러에 의해 가려진 실제 사각 지대와 불일치하면, 미세조정부를 조정하여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의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정부는 모니터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사각지대 영상과 실제 사각지대가 일치되도록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 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18.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CT/KR2014/010725 2014-09-04 2014-11-10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WO201603593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718A KR101623774B1 (ko) 2014-09-04 2014-09-04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4-0117718 2014-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5931A1 true WO2016035931A1 (ko) 2016-03-10

Family

ID=5543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725 WO2016035931A1 (ko) 2014-09-04 2014-11-10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3774B1 (ko)
WO (1) WO2016035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641B1 (ko) * 2017-07-03 2019-06-25 이학로 자동차 사각지대 방지 a 및 c필라 시스템
KR102316523B1 (ko) * 2020-10-29 2021-10-25 아이모스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쿼드런트 디스플레이장치를 활용한 음향 액추에이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734A (ko)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만도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사각지대 위험요소 검출 방법 및장치
KR20120007834A (ko) * 2010-07-15 201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영상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35455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네오콤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5574A (ko) * 2012-07-05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이용한 입체물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73616B1 (ko) * 2012-11-14 2014-03-12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15B1 (ko) 2009-07-27 2011-10-19 브라이트 엘이디 엘렉트로닉 코퍼레이션 평면 광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734A (ko) * 2008-08-07 2010-02-18 주식회사 만도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사각지대 위험요소 검출 방법 및장치
KR20120007834A (ko) * 2010-07-15 2012-0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영상 실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35455A (ko)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네오콤 사각지역 촬영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5574A (ko) * 2012-07-05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이용한 입체물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373616B1 (ko) * 2012-11-14 2014-03-12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774B1 (ko) 2016-05-25
KR20160029197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1400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JP5520142B2 (ja) 鉄道車両の状況監視装置
WO2014088268A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385620Y (zh) 驾驶室视觉障碍消除装置
CN108701415B (zh) 驾驶辅助装置、驾驶辅助方法及驾驶辅助程序
CN108449531A (zh) 悬浮触控摄像头模组、电子设备及触控方法
WO2020122533A1 (ko) 카메라의 시야각 조절을 통한 차량용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79850A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7183915A2 (ko) 영상취득 장치 및 그 방법
WO2016024680A1 (ko) 주행차량의 번호판 인식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WO2016035931A1 (ko) 차량의 운전 사각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US11089230B2 (en) Capturing apparatus, capturing module, capturing system, and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WO2022130888A1 (ja) 撮像装置
WO2018097384A1 (ko) 밀집도 알림 장치 및 방법
WO2021131904A1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WO2021024784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WO2020218716A1 (ko) 자동 주차 장치 및 자동 주차 방법
CN106183733B (zh) 一种集成行车记录仪的前挡风玻璃及汽车
WO2022010221A1 (ko) 차량에 설치되는 인캐빈 안전센서 및 그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WO2020159024A1 (ko) 비동일 카메라 기반 영상 처리 장치
KR102632361B1 (ko) 어라운드 뷰 영상 제공 시스템
JP6702001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230005993A1 (en) Solid-state imaging element
CN108353124A (zh) 电子镜的电路
JP2006197034A (ja) 画像認識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画像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9011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11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