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7998A1 -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7998A1
WO2016017998A1 PCT/KR2015/007700 KR2015007700W WO2016017998A1 WO 2016017998 A1 WO2016017998 A1 WO 2016017998A1 KR 2015007700 W KR2015007700 W KR 2015007700W WO 2016017998 A1 WO2016017998 A1 WO 20160179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rainwater
rain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70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이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8755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6017998(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이성원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0179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79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purifying device for rainwater pipes for recycling rainwater, and more particularly,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rainwater pipes to which rainwater falls, so that rainwater can be purified and recycled, structurally simpl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t any time. And a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storm drains for recycling rainwater.
  •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abundant water since ancient times, but at some point, Korea is classified as a water shortage country, and it is actually experiencing water shortage.
  • the average annual rainfall in Korea is not as small as 1,300mm, but it is in a situation where we have to worry about water every year.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rain is concentrated in summer, and in most parts of Korea, rainfall during three months in summer exceeds half of the total annual rainfall. Even recently, the amount of daily rain exceeded a month due to local heavy rains.
  • the strata of our country is a condition of poor natural freshwater ability due to the thin topsoil layer, while the consumption of water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the late 60s, especially as the use of domestic water has increased tens of times. Is designated as a water scarcity country by the United Nations.
  • the problem is that water shortages are accelerating even more because of the expected increase in water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facilities.
  • dam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growing water shortage, dams need to be collected in summer, but the construction of dams for water conservation can be difficult in selecting areas. Due to the exponential growth, it is difficult to pursue water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Even if it is assumed that the increase in the cost of dam construction can be covered by raising the water supply value, there is no solution to damage in the reg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dams. As savings must be devise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habitually save water through the government or environmental groups.
  • the rainwater recycling concept should be set as a long-term measure and applied to some areas, such as commercial buildings and manufacturing plants, while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phased plan that will spread to general households in the fu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meet the needs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ainwater pipes coming down through the storm pipe of the building so that rainwater can be induced and purified by the force of rain water falls, and at the same time can be recycl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rain pipes for recycling rainwater that is easily replaced and repaired when wor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clogged rainwater pipes by removing them from time to time to accumulate some floating matters are not completely drained when the various floats generated on the roof is drained through rainwater pipes with rainwater.
  • the main water pipe 100 is provided to allow the rainwater to be drained through the rain pipe 500, and the rain water falling through the main water pipe 100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water pipe 100 is purified.
  •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and the backflow unit 200 for guiding the extra rain water that can not be pass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to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are integrated with or detached from the main water pipe 100.
  • the back flow section 200 is provided with a back flow pipe 210 is formed in a portion of 0.1 to 0.8 ratio size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main water pipe 100, the back flow pipe 210
  • the valve 230 is installed to control the water pressure and remove the accumulated matter accumulated in the back flow pipe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lange 220 so as to be easily connected with the main water pipe 100.
  •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flow unit 200 is configured, the rain water flowed back from the backflow unit 200 is filtered
  • Water purification unit 300 to be purified through the main water is composed of the main water pipe 100 and integral or removable type, the main at the point between the backflow 200 and the water inlet 410 of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 the water pipe 100 is connected to the flange joint, and the water inlet 310 of the water supply part 300 connected to the main water pipe 100 and the flange joint is connected to the valve 320 is fixed,
  • the water inlet unit 310 is a step-by-step water treatment to be supplied with clean water so that one or more filters 331 is connected to the filter housing 330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structure, but is built in the filter housing 330
  • the filter 331 is a flange 340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to be separated and replaced individually,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350 is to pass through the filter housing 330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withdrawn
  •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is composed of the main water pipe 100 or integrally or detachable, the water flow back from the backflow unit 200, the floating water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al drainage treatment through (100).
  • Rain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rainwater pipes for recycling rainwat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rain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rainwater pipes installed in the building can be recycled rainwater into living water only with a simple structure without any other structure and devices, When rainwater pipes are blocked due to the rain water flows down through the auxiliary water pi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lock the phenomenon of clogging rain pipes.
  • First rainwater purifying device (S) for rainwater pipe for recycling rainwat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nected to the existing water pipe 500 and the main water pipe 100, the main water pipe connected to the integral or detachable type rain water Part of the back flow unit 200 and the water flow back flow to the back flow unit 200 to the reverse flow to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to be reused as living water and the remaining backwater rain water not passed to the water purification unit to be completely drained Complementary water pipe 400 is composed of.
  • FIG. 1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rain pipe 500 is provided with a main water pipe 100 through which the rain water is passed, the main water pipe 100,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pipe main pipe 100
  • the backflow part 200 in which the backflow pipe 210 is formed to allow the rainwater falling back to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and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by forming a portion having a ratio of 0.1 to 0.8 in proportion to the diameter may be flowed back into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and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It is either integral with the tube or detachable.
  •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flow unit 200 is provided with a water purification unit 300 to allow a portion of the rain water flowed back from the back flow unit 200 through the filtration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he back flow unit on one side of the main water pipe 100 Water flowed back from the 200, and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water pipe 100 or detachable so that the float can be finally drained, both ends of the main water pipe 100 There is a flange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rain pipe (500).
  • flanges 2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ckflow unit 200, and also the backflow of the backflow unit 200.
  • Pipe 210 may be installed to the valve 230 to adjust the water pressure.
  • the backflow pipe 210 is described above that the inn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water pipe 100, when the inner diameter is small, the rainwater falling through the rain pipe is not passed through the instant flow back to the instantaneous flow back to the moment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to go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 the valve 230 may function as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but when a float is accumulated, it functions to facilitate temporary removal of the float. If the float is not removed from the valve 230, the float 220 may be removed by disassembling the flange 220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ck flow unit 200.
  •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main water pipe 100 and the flange joint at the point between the inflow unit 200 and the inlet 410 of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connected to the main water pipe 100 and the flange joint
  • the valve 32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water inlet 310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 the valve 320 blocks the inflow of rainwater when the filter 331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330 is replaced, thereby facilitating a smooth filter replacement.
  • the water inlet unit 310 is one or more filters 331 is connected to the filter housing 330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structure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by the step-by-step water treatment process, it is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330
  • the filter 331 has a flange 340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er to be separated and replaced individually.
  • the water extraction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filter housing 330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housing 330.
  • the flange consisting of a number of pieces can be easily dismantled separately, so that the filter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individually.
  • the water extraction unit 350 is capable of reusing complete rain water by being connected to a reservoir or a water pipe in which living water is stored so that it can be used as living water.
  • the auxiliary water pipe 400 is composed of the inlet 410 and the outlet 420, the valve 4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let 410, while the inlet 410 is the main water At the point between the flange portion 110 and the water inlet portion 310 of the water purification unit 300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the flange, the water outlet 420 of the backflow unit 200 and the main water pipe At the point between the flange portion 110 configured at the lower end to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main water pipe and the flange joint.
  • the valve 230 By adjusting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ating material or by dismantling the entire backflow unit 200 can be remo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henomenon in which the floating material cannot be drained due to the accumulation of water as in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use the water by treating the ra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 낙하하는 우수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빗물이 정수 되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구조적으로 간단하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보수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되어 빗물이 통수되는 주통수관(100)이 구비되되, 상기 주통수관(100)에는 주통수관(100)의 관 내경 지름에 비해 일부 구간이 0.1 내지 0.8 비율 크기로 형성되어 낙하 되는 빗물이 보조 통수관(400) 및 정수부(300)로 역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관(210)이 형성된 역류부(200)가 주통수관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역류부(200)의 상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처리되도록 하는 정수부(30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주통수관(100)의 일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된 물과, 부유물이 최종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보조통수관(400)이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통수관(100)의 양측 끝단에는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플랜지부(110)가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본 발명은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빗물이 낙하하는 우수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빗물이 정수 되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구조적으로 간단하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보수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물이 풍부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언제부턴가 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로 분류되고 있으며, 실제 물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mm 정도로 적은 량은 아니지만, 매년 물 걱정을 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이유는 많은 량의 비가 여름철에 집중되기 때문이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이 여름철 3개월 동안의 강수량이 일년 전체 강수량의 절반을 초과한다. 심지어 최근에는 국지성 호우로 인해 하루 내린 량이 한 달 치를 초과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지층은 표토 층이 얇아 자연 담수 능력이 열악한 조건에 해당 한 반면 용수의 사용량은 60년대 후반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생활용수의 사용은 수십 배가 증가하는 상황에 이르게 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UN이 정한 물부족 국가로 지정되어 있다. 문제는 인구의 증가와 산업 및 농경시설의 발달로 인한 용수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에 용수의 부족 현상을 더욱더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갈수록 심해지는 물부족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여름철에 집중되는 비를 모아 둘 수 있는 댐 건설이 필요하나, 물 보존을 위한 댐 건설은 지역을 선정하는데 현실적으로 난해한 부분이 있으며, 건설에 따르는 수자원 개발단가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공급 일변도의 수자원 개발정책을 추진하기가 어려운 상황에 있다.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는 상수도 값을 인상시켜 충당할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댐 건설에 따른 해당지역의 훼손은 별다른 해결방법이 없는 상태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 사용을 억제하거나 절감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에 따라 정부나 환경단체를 통한 물 절약을 습관화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댐 건설에 비해 효율적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중수도 시스템(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中水道)인데, 중수도 시스템은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에 설치하여 한번 사용한 수돗물을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다시 처리하는 시설로써 물부족현상을 해결할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그러나 중수도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용수의 회수나 이송을 위한 현재의 상, 하수관과는 별개의 배관설치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막대한 비용을 감안하면 즉각적인 도입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나, 중수도 시스템이나, 빗물 재활용 개념을 장기적 대책으로 설정하고 영업용 건물, 제조공장 등의 일부지역에 우선적으로 적용시키면서 향후에는 일반 가정까지 확산시키는 단계적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야하는 실정이다.
한편, 본원발명과 같이 빗물을 재활용하는 선행기술로는 특허출원 제10-2004-0045789호(발명의 명칭:빗물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수도 처리 시스템)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3-0000277호(고안의 명칭:빗물 재이용 장치)가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물의 우수관을 통해 내려오는 빗물을 우수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빗물이 낙하 되는 힘에 의해 빗물을 유도 및 정수 되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마모가 될 경우 간단하게 교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상에서 발생 된 각종 부유물이 빗물과 함께 우수관을 통해 배수될 때 부유물이 완전 배수되지 않고 일부는 쌓이도록 하여 수시로 제거함으로써 우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S)는,
우수관(500)을 통해 배수 처리되는 빗물이 통수될 수 있도록 주통수관(100)이 구비되며, 상기 주통수관(100)의 하측 방향에는 주통수관(100)을 통해 낙하 되는 빗물을 정수처리하는 정수부(300)와, 그 정수부(300)를 통해 통수되지 못하는 여분의 빗물이 보조 통수관(400)으로 통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류부(200)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착 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부(200)는 주통수관(100)의 관 내경 지름에 비해 일부 구간이 0.1 내지 0.8 비율 크기로 형성되는 역류관(210)이 구비되며, 상기 역류관(210)에는 수압의 조절과 역류관(210)에 누적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밸브(23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 하 양끝단에는 주통수관(100)과 용이한 이음이 되도록 플랜지(220)가 구성되고, 상기 역류부(200)의 상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처리되도록 하는 정수부(300)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부(200)와 보조통수관(400)의 입수부(410) 사이 지점에서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되며,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된 정수부(300)의 입수부(310) 일측에는 밸브(320)가 장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입수부(310)에는 단계별 정수처리가 되어 깨끗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331)가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연결된 필터하우징(330)을 연결 구성시키되, 필터하우징(330)에 내설 된 필터(331)는 낱개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필터와 필터 사이에는 플랜지(340)가 구성되며, 상기 필터하우징(330)을 통과하면서 정수처리된 물이 출수 될 수 있도록 출수부(350)가 필터하우징(33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보조통수관(400)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물과, 부유물이 주통수관(100)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우수관의 구조 변경을 통해 빗물이 정수처리되기 때문에 별다른 구조와 장치 없이 간편한 구조만으로 빗물을 생활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부유물로 인해 우수관이 막힐 경우에도 보조 통수관을 통해 빗물이 내려가기 때문에 우수관이 막히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전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S)는 크게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되는 주통수관(100)과, 주통수관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연결되어 빗물의 일부가 역류되도록 하는 역류부(200) 및 상기 역류부(200)에 역류 된 물을 정수처리하여 생활용수로 재사용하도록 하는 정수부(300) 및 정수부로 통수되지 않은 나머지 역류 된 빗물을 완전 배수처리되도록 하는 보조통수관(40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되어 빗물이 통수되는 주통수관(100)이 구비되되, 상기 주통수관(100)에는 주통수관(100)의 관 내경 지름에 비해 일부 구간이 0.1 내지 0.8 비율 크기로 형성되어 낙하 되는 빗물이 보조 통수관(400) 및 정수부(300)로 역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관(210)이 형성된 역류부(200)가 주통수관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역류부(200)의 상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처리되도록 하는 정수부(30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주통수관(100)의 일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물과, 부유물이 최종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보조통수관(400)이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통수관(100)의 양측 끝단에는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플랜지부(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역류부(200)가 주통수관(100)과 탈 부착형으로 구성될 경우 역류부(200)의 양 끝단에는 플랜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역류부(200)의 역류관(210)에는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230)가 설치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관(210)은 주통수관(100)에 비해 내경 지름이 작게 구성된다고 전술되어 있는데, 내경 지름이 작게 될 경우 우수관을 통해 낙하하는 빗물이 통수되지 못하고 일순간 역류를 하게 되는데 역류가 되는 순간 빗물을 정수부(300)로 유입시켜 정수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밸브(230)는 수압 조절의 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부유물이 쌓일 경우 부유물의 일시적인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밸브(230)에서 부유물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역류부(200)의 상, 하측에 형성된 플랜지(220)를 해체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정수부(300)는 역류부(200)와 보조통수관(400)의 입수부(410) 사이 지점에서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되며,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된 정수부(300)의 입수부(310) 일측에는 밸브(320)가 장착고정된다.
상기 밸브(320)는 필터하우징(330) 내부에 설치된 필터(331)를 교환할 때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주기 때문에 원활한 필터 교체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입수부(310)에는 단계별 정수처리가 되어 깨끗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331)가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연결된 필터하우징(330)을 연결 구성시키되, 필터하우징(330)에 내설 된 필터(331)는 낱개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필터와 필터 사이에는 플랜지(340)가 구성된다.
또한 필터하우징(330)을 통과하면서 단계별 정수처리된 물이 출수 될 수 있도록 출수부(350)가 필터하우징(330)과 연결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 개로 구성된 플랜지는 개별 해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필터 역시 개별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부(350)는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생활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또는 상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완전한 빗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통수관(400)은 입수부(410)와 출수부(420)로 구성되되, 입수부(410)의 일측에는 밸브(430)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입수부(410)는 주통수관의 상측에 구성된 플랜지부(110)와 정수부(300)의 입수부(310) 사이 지점에서 주통수수관과 플랜지 이음 연결되며, 상기 출수부(420)는 역류부(200)와 주통수관의 하측 끝단에 구성된 플랜지부(110) 사이 지점에서 주통수관과 플랜지 이음 연결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정수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넘칠 경우에 보조통수관(400)을 통해 빗물이 완전 배수처리되어, 빗물이 우수관을 통해 충분히 배수가 용이하며, 부유물로 인한 막힘 현상이 발생 될 경우 밸브(230)의 개폐로 인한 수압을 조절하여 부유물을 처리하거나, 역류부(200) 전체를 해체하여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전과 같이 부유물이 쌓여 배수가 되지 못했던 현상을 차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빗물을 정수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우수관(500)에 설치되는 빗물 정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500)에는 우수관(500)을 통해 배수 처리되는 빗물이 통수될 수 있도록 주통수관(100)이 구비되며, 상기 주통수관(100)의 하측 방향에는 주통수관(100)을 통해 낙하 되는 빗물을 정수처리하는 정수부(300)와, 그 정수부(300)를 통해 통수되지 못하는 여분의 빗물이 보조 통수관(400)으로 통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류부(200)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착 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부(200)는 주통수관(100)의 관 내경 지름에 비해 일부 구간이 0.1 내지 0.8 비율 크기로 형성되는 역류관(210)이 구비되며, 상기 역류관(210)에는 수압의 조절과 역류관(210)에 누적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밸브(23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 하 양끝단에는 주통수관(100)과 용이한 이음이 되도록 플랜지(220)가 구성되고, 상기 역류부(200)의 상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처리되도록 하는 정수부(300)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역류부(200)와 보조통수관(400)의 입수부(410) 사이 지점에서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되며, 주통수관(100)과 플랜지 이음 연결된 정수부(300)의 입수부(310) 일측에는 밸브(320)가 장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입수부(310)에는 단계별 정수처리가 되어 깨끗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331)가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연결된 필터하우징(330)을 연결 구성시키되, 필터하우징(330)에 내설 된 필터(331)는 낱개로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필터와 필터 사이에는 플랜지(340)가 구성되며, 상기 필터하우징(330)을 통과하면서 정수처리된 물이 출수 될 수 있도록 출수부(350)가 필터하우징(330)과 연결 구성되고, 상기 보조통수관(400)은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물과, 부유물이 주통수관(100)을 통해 최종 배수처리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본 발명은 빗물이 낙하하는 우수관의 구조를 변경하여 빗물이 정수 되어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구조적으로 간단하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보수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되어 빗물이 통수되는 주통수관(100)이 구비되되, 상기 주통수관(100)에는 주통수관(100)의 관 내경 지름에 비해 일부 구간이 0.1 내지 0.8 비율 크기로 형성되어 낙하 되는 빗물이 보조 통수관(400) 및 정수부(300)로 역류 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관(210)이 형성된 역류부(200)가 주통수관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역류부(200)의 상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 된 빗물의 일부가 여과과정을 거쳐 정수처리되도록 하는 정수부(300)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주통수관(100)의 일측에는 역류부(200)에서 역류된 물과, 부유물이 최종 배수처리될 수 있도록 보조통수관(400)이 주통수관(100)과 일체형 또는 탈 부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통수관(100)의 양측 끝단에는 기존 우수관(50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플랜지부(110)가 구성된 것이다.
PCT/KR2015/007700 2014-07-29 2015-07-24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WO20160179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238 2014-07-29
KR1020140096238A KR101537963B1 (ko) 2014-07-29 2014-07-29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7998A1 true WO2016017998A1 (ko) 2016-02-04

Family

ID=5387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700 WO2016017998A1 (ko) 2014-07-29 2015-07-24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7963B1 (ko)
WO (1) WO2016017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677A (zh) * 2020-12-03 2021-02-26 长安大学 一种雨污水净化处理调蓄系统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0270A (ko) 2020-07-17 2022-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정수 장치
KR20230139938A (ko) 2022-03-28 2023-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정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65U (ja) * 1993-01-11 1994-08-12 修一 雨森 雨水用貯水槽
JPH102077A (ja) * 1996-04-20 1998-01-06 Yoshinobu Abe 雨水利用樋
KR200389968Y1 (ko) * 2005-02-24 2005-07-14 신재보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65U (ja) * 1993-01-11 1994-08-12 修一 雨森 雨水用貯水槽
JPH102077A (ja) * 1996-04-20 1998-01-06 Yoshinobu Abe 雨水利用樋
KR200389968Y1 (ko) * 2005-02-24 2005-07-14 신재보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8677A (zh) * 2020-12-03 2021-02-26 长安大学 一种雨污水净化处理调蓄系统及其施工方法
CN112408677B (zh) * 2020-12-03 2021-11-23 长安大学 一种雨污水净化处理调蓄系统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963B1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52123U (zh) 雨水收集处理系统
CN201305869Y (zh) 雨洪利用装置
KR101333546B1 (ko) 빗물을 집수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맞춤형 우수 처리시설
CN101736774A (zh) 雨洪利用系统
KR100956387B1 (ko) 무동력으로 초기 우수 분리가 가능한 우수 집수 장치
CN103570149B (zh) 从雨水径流中去除污染物的装置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CN205677046U (zh) 一种城市雨水收集过滤装置
CN205222960U (zh) 一种住宅小区雨水处理系统
WO2016017998A1 (ko)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CN102926454A (zh) 悬挂式雨水井过滤装置
CN102392487A (zh) 一种雨污水管道污染物分离装置
CN213038555U (zh) 一种用于雨水收集桶装置的雨水收集盘
CN104532942A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CN213221089U (zh) 一种用于水处理的浮球式浮渣虹吸收集器
CN105692948B (zh) 一种雨水过滤净化装置
CN208561732U (zh) 合流制管网溢流及水体污染一体化削减系统
KR20140095783A (ko) 분리형 초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그 저감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CN208320136U (zh) 一种用于雨水调节池的动态过滤分离系统
CN207546007U (zh) 一种雨水径流调节与污染物去除系统
CN202730942U (zh) 一种排水沟盖板
CN210764871U (zh) 一种小型河道水体修复系统
CN204326227U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CN108970239B (zh) 一种雨水过滤净化装置及过滤方法
KR100607490B1 (ko) 이중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6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6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