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490B1 - 이중 수로관 - Google Patents

이중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490B1
KR100607490B1 KR1020050023324A KR20050023324A KR100607490B1 KR 100607490 B1 KR100607490 B1 KR 100607490B1 KR 1020050023324 A KR1020050023324 A KR 1020050023324A KR 20050023324 A KR20050023324 A KR 20050023324A KR 100607490 B1 KR100607490 B1 KR 10060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water
pipe
filter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술
Original Assignee
이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술 filed Critical 이영술
Priority to KR102005002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수도나 측구 등을 통해 흐르는 오폐수가 최종 처리되기 이전에 관로상에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중 수로관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외부로부터 오폐수가 도입되어 흐르는 상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에 계단형으로 형성된 단차부; 상기 단차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격판; 상기 상부 관로를 흐르는 오폐수 중의 오염 물질을 일차적으로 여과하여 물과 미생물만을 상기 하부 관로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중 수로관, 중수도, 측구, 암거, 격판, 필터, 토목섬유

Description

이중 수로관 {DOUBLE CONDUIT}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로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가 설치된 격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로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관로 2 : 하부 관로
2a : 연결부 3 : 단차부
4 : 격판 5 : 필터
6 : 송출 관로 7 : 덮개판
본 발명은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이중(二重) 구조로 된 관로 사이에 여과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배수되는 용수를 일차적으로 여과하면서 흘려보낼 수 있게 된 이중 수로관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도시 인구의 증가에 따라 수돗물 소비량과 하수 발생량이 아울러 증가하고 있고, 환경 문제에 따른 수질 보전에 대한 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갈수기 물 부족으로 인해 댐 건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등 최근의 수질 환경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물 부족 문제를 덜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십여년 전부터 중수도(中水道) 제도의 시행을 통해 한 번 사용한 수돗물을 생활용수나 공업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러한 중수도에 이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수로관은 하나로 관통된 관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관로를 통해 생활폐수나 빗물 등을 처리 시설로 도입하여 처리한 뒤 용수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오폐수나 빗물 등을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처리 시설의 대용량화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소요 비용 및 작업 인원의 증가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수도 뿐만 아니라, 도로의 측편에 설치되어 도로면의 물을 배수하는 측구(側溝)에서도, 비나 눈 등으로 인해 생긴 물이 그대로 하수도로 흘러 들어감으로 인해 노면의 각종 오염물질이 하수관 내의 오폐수를 더욱 오염시키게 되므로, 하수종말처리시설에서의 처리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 그 목적은, 중수도나 측구 등을 통해 흐르는 오폐수가 최종 처리되기 이전에 관로상에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이중 수로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개시하고자 하는 이중 수로관의 기술적 특징은, 외부로부터 오폐수가 도입되어 흐르는 상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에 계단형으로 형성된 단차부; 상기 단차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격판; 상기 상부 관로를 흐르는 오폐수 중의 오염 물질을 일차적으로 여과하여 물과 미생물만을 상기 하부 관로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하부 관로를 흐르는 물이 별도의 정화수조로 송출되도록 하부 관로의 측벽에 송출 관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된 구조가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관로는 상단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개구된 상단부에는 별도의 덮개판이 조립되어, 암거가 되는 구조로 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필터는 토목섬유로 특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로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와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로관의 제1실시예 및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가 설치된 격판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측구(側溝)로 적용하는 데에 유리한 U자형 수로관 형태로 개시되어 있는데, 상 ·하 두개의 관로가 일체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단부가 개구된 상부 관로(1)와 이 상부 관로(1)의 아래쪽에 일체로 마련된 하부 관로(2)가 하나의 수로관을 형성하며, 이들 상부 관로(1)와 하부 관로(2)의 사이에는 계단형으로 단차가 진 단차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3)에는 상부 관로(1)와 하부 관로(2) 사이를 차단하는 격판(4)이 설치됨과 아울러, 격판(4)에는 필터(5)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부 관로(1)로 유입된 오폐수가 상부 관로(1) 내부를 흐를 때 격판(4)에 구비된 필터(5)에 의해 오폐수 중의 오염물질이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5)로는, 토목 건설용 고분자 재료로서 필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직포, 부직포, 매트 등과 같은 직물형태로 된 토목섬유(Geo Synthetics)가 적당한데, 이러한 토목섬유는 오폐수 중의 각종 미립자나 불순물은 투과시키지 않고 물과 미생물만이 투과되도록 하므로 오염물질의 일차적 필터링에 적합하다.
한편,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상부 관로(1)는 최종적으로 하수종말처리시설쪽과 연결됨으로써 상부 관로(1) 내부를 흐르는 오폐수가 하수종말처리시설에서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부 관로(1)로부터 격판(4)의 필터(5)에 의해 일차 여과되어 하부 관로(2)로 투과된 물은 하천이나 바다 등 공유수면으로 방류된다.
다른 한편, 하부 관로(2)의 측벽에 연결부(2a)를 구비하여 이 연결부(2a)에 별도의 송출 관로(6)를 설치함으로써, 하부 관로(2)를 흐르는 물이 송출 관로(6)를 통해 정화수조(미도시)로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정화수조로 송출된 물은 소정의 정수과정을 거쳐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이중 수로관이 암거(暗渠)로 개시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상부 관로(1)와 하부 관로(2) 및 이들 사이의 단차부(3)에 설치되는 격판(4)과 필터(5)의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되, 상부 관로(1)의 개구된 상단부를 복개하는 덮개판(7)이 더 구비됨으로써 상부 관로(1)의 수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암거로 개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판(7)은 상부 관로(1)의 상단부에 볼팅 조립되는 구조로 개시되었는데, 덮개판(7)과 이에 대향하는 상부 관로(1)의 상단부에 각각 암나사(1a,7a)를 인서팅하고 여기에 볼트를 조립하면 된다. 이러한 볼팅 조립 방식 이외에 다양한 수단으로 조립 구조를 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수로관이 암거로 개시되면, 지하에 매설되거나 또는 지표면에 덮개판(7)만이 노출된 상태로 시공됨으로써, 도로 시설의 활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수로관은, 도로변의 측구나 암거 또는 중수도 등을 통해 흐르는 오폐수가 종말처리시설에서 최종 처리되기 이전에 관로 내부를 흐르면서 필터에 의해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폐수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자원 절약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오폐수가 도입되어 흐르는 상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하부 관로;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에 계단형으로 형성된 단차부;
    상기 단차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관로와 상기 하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격판;
    상기 상부 관로를 흐르는 오폐수 중의 오염 물질을 일차적으로 여과하여 물과 미생물만을 상기 하부 관로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격판에 설치되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중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관로를 흐르는 물이 별도의 정화수조로 송출되도록 하부 관로의 측벽에 송출 관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로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관로는 상단부가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개구된 상단부에 는 별도의 덮개판이 조립되어, 암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로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토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로관.
KR1020050023324A 2005-03-21 2005-03-21 이중 수로관 KR10060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324A KR100607490B1 (ko) 2005-03-21 2005-03-21 이중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324A KR100607490B1 (ko) 2005-03-21 2005-03-21 이중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7490B1 true KR100607490B1 (ko) 2006-08-02

Family

ID=37184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324A KR100607490B1 (ko) 2005-03-21 2005-03-21 이중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4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648A2 (ko) * 2008-04-15 2009-10-22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200456961Y1 (ko) 2009-11-05 2011-11-30 홍석희 수로관 덮개
KR102006970B1 (ko) * 2018-03-08 2019-08-02 함승완 빗물저류형 이중 측구수로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8648A2 (ko) * 2008-04-15 2009-10-22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WO2009128648A3 (ko) * 2008-04-15 2010-02-18 Cho Eul-Jae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200456961Y1 (ko) 2009-11-05 2011-11-30 홍석희 수로관 덮개
KR102006970B1 (ko) * 2018-03-08 2019-08-02 함승완 빗물저류형 이중 측구수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101410194B1 (ko)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101316530B1 (ko) 우수 저류조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CN106368287A (zh) 市政道路排水系统
KR20110018760A (ko) 장치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0607490B1 (ko) 이중 수로관
KR101764563B1 (ko) 스크류 필터를 이용한 집수, 저류, 여과 통합 빗물 처리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776707B1 (ko) 우수 저류시스템의 저류장치
KR101684697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과 우수 처리 방법
KR101537963B1 (ko)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우수관용 빗물 정수 장치
KR20110056600A (ko) 빗물 정수 시스템
JP2005350867A (ja) 雨水の利用システム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656666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411476B1 (ko)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수로관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200331355Y1 (ko) 우수 및 하천수 정화구조
CN206529744U (zh) 一种沿河v型截污槽
KR101656668B1 (ko)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KR20030068106A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0244260Y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시스템
KR100463062B1 (ko) 정수식물을 이용한 하천 정화 방법
Fujita Full-Fledged Movement on Improvement of the Combined Sewer System and Flood Control Underway in Japan (Keynote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