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70863A1 -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70863A1
WO2015170863A1 PCT/KR2015/004487 KR2015004487W WO2015170863A1 WO 2015170863 A1 WO2015170863 A1 WO 2015170863A1 KR 2015004487 W KR2015004487 W KR 2015004487W WO 2015170863 A1 WO2015170863 A1 WO 20151708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udy
mobile terminal
data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44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설태영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탐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탐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탐생
Publication of WO20151708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708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while ensuring a tim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fully concentrate on the study while avoiding the temptation of various push alarms and games, How to provide study data to grasp the actual study time for a specific goal, provide statistical data on study time, provide comparison data with other users, and share study data among study group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 Smartphone addiction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an overuse of a smartphone causes an obstacle in daily life.
  • smartphone addiction rate of adults (20 to 49 years old)
  • the percentage of smartphone addictions among teenagers (ages 10 to 19) was 18.4%, the highest among teenagers.
  • the fact that adolescents are most addicted to smartphones means that their concentration is most disrupted by smartphones.
  • Smartphones prevent the user from fully focusing on one problem. This is a problem that can occur enough, even if not addicted to smartphones. This fact is openly known to most smartphone users. In other words, it has been a long time since the recognition that smartphones interfere with studying. As a result, users have recently been returned to feature phon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the network and provide a lock screen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o ensure that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freely concentrate on the study to get away from the temptation of various push alarms and games, and practically for each specific goal Collect and understand study time, provide statistical data about study time, provide comparison data with other users, share study data between study groups to provide study data to enhance the user's motivation to study, It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used.
  • the study start step is inputted by the user, the study start step of starting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 a lock scree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screen so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Study termination step is input by the user, the study termination step of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is completed;
  • a study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study time, study start time, and study end time as study data.
  • the study data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tudy data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After the study data storage step, the study data providing step of transmitting the study data to the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Study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study data in the server; An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nalysis data by analyzing study data received for a plurality of users based on at least one of time, target test, region, school, birth year, grade, and study time; An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the analysis data generated at the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And an analysis data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transmitted analysis data.
  • the analysis data comparison step of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ived analysis data and the stored study data of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 the user setting a target setting step for setting a specific goal to measure the study time; and after the study data storage step, the pass data for the specific target stored in the server to the server Receiving pass data receiving step; And a pass data comparison step of calculating and comparing a difference between the stored study data of the user and the received pass data.
  •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the analysis data analyzed by at least one of the time, target test, birth year, region, school, grades and study time based on the wireless network through a wireless network
  •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erver
  •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of a user
  •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mobile terminal, wherein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by a user and measurement of study time is performed. Beginning study start phase; A lock screen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screen so that a lock screen is set on a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 push alarm blocking step of blocking a push alarm provided to the user by the mobile terminal; Study termination step is input by the user, the study termination step of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is completed; And a study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length of study time, study start time, and study end time as study data.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present invention by blocking the study disruption element of the smart phone at the same time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study time for each specific targe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mart phone is substantially helpful for learning. This effect can be inferred by the social success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ranked No. 1 in education applications in Korea within three months after the beta service was uploaded to Google Play (https://play.google.com/store) on November 25, 2013, As of PCT filing date, more than 650,000 download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alone.
  • the study data, analysis data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pired by the user's motivation to study, the driving force is provided.
  • the user has an effect of causing self reflec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individual user and the group by the study data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study data of another user, or the analysis data.
  • the user's study time is evaluated to induce the user to concentrate on the learning process, not the result of learning.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be faithful to the process, thereby obsessing with the result when studying, preventing the concentration from being reduced and preventing helplessness according to the result.
  • the user arbitrarily forms a study group to share a goal and study time with acquaintances having similar goals, so that the competition is caused even without studying together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 FIG. 1 is a simplified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terminal of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of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ep-by-step function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study data analysis method of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 for study group data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 for a study group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alysis data provided for a study group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group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time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udy time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using NF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simplified flowchart show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according to the above.
  •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setting step (S10),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study time end step (S30).
  • S10 setting step
  • S20 study time measurement step
  • S30 study time end step
  • the application may be written in the abbreviation of "app”.
  • Setting step (S10) is a preparation step for measuring the study time.
  • the setting step S10 may include an application installation step,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100, an environment setting step, and a goal setting step S120.
  •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step is to download the application from the server and install it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 Application execution step (S100) is a step of executing the installed application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 the time when the date is changed can be set to the time when the user mainly finishes studying.
  • targets such as qualifications, employment, examination, study abroad, foreign language, elementary school student, middle school student, and high school student can be set.
  • small targets such as subjects and specific ranges can be set.
  • the measurement of study time may be measur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 large goal and a small goal, or the study time for a large goal may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study time only for a small goal.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is a step of measuring the study time for a specific target.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may include a study start information input step (S200), screen lock and push alarm blocking step (S220).
  • Study start information input step (S200) is a step in which the user starts the study time measurement for each specific target.
  •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surement of study time begins.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is started,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 push alarm may be blocked.
  • Blocking of push alarms can be implemented by setting airplane mode to block all data communication such as phone, text and internet (for example, Wifi, etc.). It may be implemented as.
  •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method that is not simp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lock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 a method of bypassing a VPN tunnel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or connecting to a VPN server provided separately may be used.
  • a method of bypassing the VPN tunnel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ush alarm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blocked without limiting the traffic of the VPN server, which may occur when there are many users. do.
  • a method of connecting to a VPN server provided separately while blocking all push alarms generated by a third party, at the same time the study data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the VPN server to the mobile terminal in real time The effect that can be provided is generated.
  • a mobile terminal based on an open OS such as Android not only a mobile terminal based on an open OS such as Android, but also a mobile terminal based on a closed OS such as IOS.
  • the effect of applying the push alarm blocking of the mobile terminal is generated.
  • a closed OS such as IOS
  • a mobile terminal may be used as a command of an application unless the user manually sets the airplane mode or blocks the network. was unable to block push alarm.
  • the VPN protocol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nge that can be clearly predi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include all.
  • VPN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t through the following steps.
  • the VPN configuration includes a VPN setting request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VPN setting request for a specific VPN gatewa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VPN vendor; Upon request for VPN configuration, template information including data commonly required for VPN configuration for the VPN gateway corresponding to the VPN vendor, and connection including unique data for VPN configuration for the VPN gateway. Receiving VPN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VPN configu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a certificate required for VPN configuration for the VPN gateway; And a VPN setting step of performing a VPN setting on the VPN gateway using the received VPN setting information.
  • the VPN tunnel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bypass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us the VPN vendor may be set as the mobile terminal.
  •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can block the execution except the allowed application.
  • an icon may be separately displayed in the lock screen.
  • the execution of allowable applications can be set up so as not to affect the measurement of study time.
  • the study time can be displayed in the lock screen. The displayed study time may be displayed for the total study time of the day and the study time target for the current study time.
  • the VPN when a VPN is used, the VPN may be terminated when the allowed application is executed.
  •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20) can pause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on the lock screen. In the paused lock screen state, you can change the goal of measuring study time. If you change your goals, you can start measuring your study time for those goals.
  • Study time end step (S30) is the study end information input step (S300), study data storage step (S320), study data providing step (S330), study data receiving step (S340), study data analysis and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 S350), the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S360, and the analysis data display step S370.
  •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nput step (S300) is a step in which the user ends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of the specific target that began to measure the study time.
  • the study end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ends.
  • the screen lock is released, and the push alarm blocking can also be released.
  • the study end information is when the user inputs the back or cancel butt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gravity sensor of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r set the target time in the setting step (S10), It may be input in the case of reaching the target time.
  • Study data storage step (S320) is a step of storing the study data for the study time of the user measured for a specific target in the mobile terminal 110 or server 130.
  •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FIG. 1 may be implemented only in an individual mobile terminal without a server, and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FIG. 2 may be implemented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 server and a mobile terminal.
  • Study data providing step (S33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study data of the user from the mobile terminal 110 to the server (130).
  • Study data receiving step (S340) is a step of receiving the study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 the generated study data may include a total amount of study time, study time for a specific goal, study start time for a specific goal, study end time for a specific goal, and the like.
  • Study data providing step (S330) may be implemented by the synchronization of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check login information, check new study data or new analysis data no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ynchronization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 Study data analysis and analysis data generation step (S350) is a step of generating analysis data by analyzing the study data.
  • study data can be analyzed by time, by target test, and by user's grades, and the analysis data can include study data analyzed by time, by target test, and by user's grades.
  • Analysis data transmission step (S360)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elected analysis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user request.
  • Analysis data display step (S370) is a step of displaying the analysis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user.
  •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while the user is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or disintegra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smart phone, the feedback on the study time and continuous concentration time in real time It can be received, the effect is substantially beneficial to the user's learning.
  • a smart phone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help learning while providing various functions, can be substantially helped in learning.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provides a stud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of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terminal 110, a wireless network (120, communication network), server 130, database 140 of each user It can be composed of).
  • Mobile terminal 110 is implemented in a portable (PORTABLE) is preferably owned at least one per user.
  • the mobile terminal 110 is a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change and expand its function through an application, and is typically a smart phone, a smart pad, a tablet computer, and a tablet computer. , LAPTOP COMPUTER.
  • These mobile terminals 110 may not onl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various web browsers, but may also download and install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on the Internet.
  • the mobile terminal 110 is a smartphone, a smart pad, a tablet computer or a notebook
  • the mobile terminal 11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as a terminal of mobile communication, that is, a wireless network,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amera and a voice recognition may be added.
  •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a gravity sensor 111, an input unit 112, a storage unit 113, a display unit 114, a program execution unit 115,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and a device control unit. 117.
  • the gravity sensor 111 may measur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in real time or at a specific time period and provide the same to the device controller 117.
  • the mo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ravity sensor 111 may be used as one of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at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input step (S300).
  • the input unit 112 may be a touch screen, a voice recognition unit,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 the device may be applicable.
  • the storage unit 113 may refer to storage means in the mobile terminal 110 capable of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or a user.
  • the display unit 114 may correspond to an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or an audio output unit.
  • the program execution unit 115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executing an application.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server 130 through a wireless network.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may further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in particular an NFC function.
  • the device controller 117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such as a CPU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10 as a whole.
  • the wireless network 120 (communication network) is responsi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server 130 that is remotely spaced apart.
  • the wireless network 120 may be implemented a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WCDMA (Wideband CDMA), LTE network, 4G network and the like.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DMA
  • LTE Long Term Evolution
  • 4G 4G network and the like.
  • the wireless network 120 may include a base station or node B, a base station controller or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 switch (MSC),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to be implemented.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MSC switch
  • the server 1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 a study data analyzer 132, a study data extractor 133, and a server controller 134.
  • the communication unit 131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10 and a wireless network
  • the study data analysis unit 132 i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alysis data by analyzing the stud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40
  • the study data extraction unit 133 may be a component for extracting significant informa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study data existing in the database 140 or the mobile terminal 110
  • the server controller 134 may operate the server 130. It can be a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overall.
  • the database 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study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analysis data analyzed by the study data analysis unit, and the like.
  • the study data may include the total amount of study time, study time by a specific goal, study start time by a specific goal, study end time by a specific goal, and the like.
  • the database 14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of the server 130. When located outside, it may be set to store the data and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server 130.
  • the mobile terminal 110 may refer to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using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the mobile terminal 1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server 130, an input unit 112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input, a program execution unit 115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113 for storing the study data or analysis data, the display unit 114 for providing a user sense the study data or analysis data, the gravity sensor 111 for providing mov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have.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to be executed on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readable on the computer system to be performed by each step of the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of any one of the above described Characterized in that recorded.
  •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ep-by-step function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nvironment setting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whether to block the network, a function of setting an allowable application (blocking exception application), a date change and a time selection function, a function of setting a study target time, and the like.
  • the goal setting may include adding and modifying goals, inputting and editing pictures for each goal, adjusting the order or importance of goals, and deleting a goal.
  • screen lock, push alarm blocking, running application monitoring, time measurement, allowing applications (blocking exception application), etc. is possible.
  • Screen lock and blocking of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to block all data communication such as telephone, text and internet, or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permits telephone and text and blocks only data communication such as internet.
  •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method that is not simp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lock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 screen lock and push alarm blocking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during study time measurement.
  • Running application monitoring can also be maintained continuously during study time measurement.
  • the study time measurement can be paused or resumed, and the study time measurement can be ended.
  • the ability to switch between goals while measuring study time may also be included.
  • the allowed applica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exposing an icon in the lock screen.
  • the study data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study data when clicking the icon,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configured so as not to affect the study time measurement.
  • Study time end step (S30) may include the end of study time measurement, study data storage,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 input of the back button or the end button of the user may be study end information.
  •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d through the gravity sensor may be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 the study termination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When setting the study target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not be able to release the push alarm block until the target time is achieved.
  • the total amount of study time for each goal may be stored, or the study start time and end time for each goal may be stored.
  • the login can be confirmed at the server, and if the login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udy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is not uploaded to the server and the new study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It may include.
  •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function for receiving a new analysis data provided by the server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study data analysis method of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udy data may be analyzed in a server and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of synchronizing with a mobile terminal.
  • the analysis data may be generated within the mobile terminal.
  • th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before or after the user requests the analysis data.
  • the server receives the study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of a plurality of users, stores in the database, and extracts significant study data from the study data extraction unit to analyze the analysis data based on the study data extracted or stored in the study data analysis unit Can be generated.
  • the analysis data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of study data divided into time zones,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 such analytical data may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arget, birth, region, total user, and school.
  • the target detail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ig goal set by a user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 junior high school student, high school student, foreign language test, certification test, job preparation, exam preparation, and study preparation.
  • detailed information by region may refer to information divided by country and region code (the number of Korean education offices is 16.).
  • the school-specific information may be given a separate school code for each school.
  • such analytical data may include the amount of study and grade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study, grade classification, such as the average amount of study by the top 1%, 5% units of stud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ime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study amount and grad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analysis data to the user.
  • the database may also contain additional case data.
  • the success case data may mean study data of successful candidates for the target. Such success case data can also provide customized analysis data to the use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time information, detailed information, study amount and grade information.
  • Successful candidates for the target can be registered as mentors within the study data provision system. The registered mentor may provide a 1: 1 question and answer to the user.
  • the analysis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s study data and analysis data.
  • the analysis data may be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a difference between the downloaded analysis data and the user's study data may be calculated, and comparative statistics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 the user's login can be confirmed, and the study data and the analysi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erver and the mobile terminal.
  • Synchronized data may also include case data.
  • comparison analysis data or success case data may be downloaded from a serv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 difference calculation function the difference between study data, analysis data, and success case data can be calculated.
  • the comparative statistics implementation function can implement comparative statistics by using graphs, time texts, etc., and can also provide 1: 1 question and answer answer information with the mentor and comparative statistics interpretation information.
  • the analyzed data may be provided as detailed statistical data for a specific period to individuals, parents, teachers, and the like. Such detailed statistical data can be converted into printable information of A4 size so that it can be printed and checked directly at home, school, or the like.
  •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study group data in the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 for a study group is shown.
  •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alysis data provided for a study group in a study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study group.
  •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method of generating a study group.
  • the method of generating a study group may include a study group generation step, a study group start step, a subscription application reception, and an authorization step.
  • the generated study group information may include D-day, group name and introduction, recruitment number, daily target study time and performance, public / private status, start date, and the like.
  • the search may be implemented by the generation date information and the words included in the above information.
  • FIG. 9 illustrates the method of providing study data in the study group.
  • a user may select a specific goal to authenticate to a study group, invite another user to the study group, and the group leader may forcibly remove the specific user.
  • the competition between the group members can collect the study data on the certification target of the group member,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daily study amount for each group member, can be ranked. In particular, if the number of study fluctuates, push alarms can be provided to all the group members to inspire the entire group.
  • Group bulletin board of the study group can be configured to enable posting uploads, comments, photos attached, videos attached, their study data attached.
  • Group bulletin boards can be discussion forums based on study and analysis data.
  • FIG. 10 shows a method for providing study data between a study group and another study group.
  • the ranking of group member average study amount can be calculated among study groups, the maximum study amount in a group can be compared between study groups, and the attendance rate ranking or attendance number ranking can be compared with each study group. have.
  • one study group can be selected to allow 1: 1 competition between study groups.
  • first search for another study group apply for 1: 1 battle, then set the battle period and set the product, if the other study group approved The battle may be configured to begin. Within the battle perio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tailed study data of the opponent study group, the final victory study group is confirmed at the end of the battle period, the victory study group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product.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group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udy group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cription request transmission step (S41), subscription approval receiving step (S42),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43), study data It may include a transmitting step (S44), statist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S45).
  • the subscription request transmission step (S41) is a step of transmitting a subscription request to a specific study group from a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to a server.
  • the subscription approval receiving step (S42) is a step of receiving a subscription approval for a specific study group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specific user who sent the subscription request.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43) is a step of generating a study data by measuring the study time in a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 the study data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study start time, and study quantity information.
  • Study data transmission step (S44)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tudy data measured in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of the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to the server.
  • Statistical information receiving step (S45) is a step of receiving the study tim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tudy group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n the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 the study time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specific study grou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udy amount ranking in the group, the average study amount in the group, the status of the completion of the common goal and the average study amount ranking between the groups.
  • the main screen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for a study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p name, group ranking, completion status, and study individual ranking. May be included.
  • the common goal performance screen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for the study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eriod, a goal achievement bar, a study time, a personal profile display, and the like.
  • Daily ranking screen of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for the study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e, average study time, study time individual ranking.
  • Study data providing method can provide a total comparative statistics for the study data of the individual. This is a comparable statistic without synchronization with the server.
  • the quality of study is 1 to 100 points per hour, and the quality of study is high when one subject is studied for a long time. That is, the quality of the study can be evaluated for a score of 1 hour, such as a sequence of ranks.
  • 1 point for 1 hour of continuous study for 1 hour 3 points for 2 hours of continuous study, 7 points, 4 for 3 hours of continuous study
  • you study continuously for 13 hours you can set 13 points.
  • 1 point (1 hour) + 3 points (2 hours) + 7 points (3 hours) + 13 points (4 hours) + 21 points (5 Time) it is evaluated as 45 points.
  • the user can be guided by a concentrated study method based on this study quality data.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udy time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pecific goal setting step (S51), study time measuring step (S52), study data transmission step (S53), goal achievement determination step (S54), point payment step (S55), point use step It may include (S56).
  • the specific goal setting step S51 is a step in which a specific goal is directly set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or a specific goal is set in the server of the service provider.
  • This particular goal is for the payment of points (compensation for study time) and may be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public goal) or not displayed (private goal).
  • An open goal is an advantage that the goal is visible to the user
  • a private goal is an advantage that can induce the user to have a correct study habit before the user notices.
  • this goal can be achieved by completing study time over a certain time, completing study time over a certain continuous time for a particular subject, and completing a group mission in a study group.
  • the target may not be composed of a one-time goal (for example, 10000 points paid when the study time is achieved 100 hours), it may be composed of a continuous goal (for example, 100 points paid per hour of study time).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S52) may be used to provide a study data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udy data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study start time, and study quantity information.
  • Study data transmission step (S53) is a step of transmitting the study data measured in the study time measurement step of the mobile terminal of a specific user to the server.
  • the target achievement determination step (S54)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specific target is achieved based on the study data transmitted to the server. Determination of whether this goal is achieved is possible not only in the server but also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er be centrally managed for security reasons.
  • the point payment step (S55) is a step in which the server pays a point suitable for achieving a specific goal to the user, and stores the information as much as the point paid in the user information.
  • the paid poin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 the user's mobile terminal transmits a point use request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receiving the point use request permits the transaction for a specific product.
  • Study time compensation system for using these points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in cash at the associated shopping mall, to be credited to the various carriers' points card, or to purchase various gifts or products on the user's mobile terminal applic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electronic payment). Eventually, the user using this becomes the advertiser, and the merchant selling the product or service becomes the advertiser.
  •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udy time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urality of affiliated server server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30.
  • it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for cash in a linked shopping mall, can be credited to various carriers' points card, or can purchase various electronic devices or products (electronic payment) on the applicatio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 a point use screen may be configured, and a payment system that can purchase a product using only points acquired using the study time, or replace a portion of cash with points. It can be implemented in this mobile terminal.
  • the study time compensa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 positive feedback for the study time at the same time as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the effect of inspiring the user's learning motivation is generat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dvertisers selling products related to learning can be advertised at a low price.
  • the initial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same day study time, specific target study time, goal setting, start button, target name.
  • the study screen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history screen.
  • the daily statistics screen may be displayed as a graph of what kind of study did on what percentage of the day.
  • the weekly statistics screen may be displayed as a graph of how much study was done during the week.
  • the monthly statistics screen may be displayed in a graph of how much study did each week.
  • the study start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ay study time, a specific target study time, a stop button, a target name, an allowable application.
  • Study start screen can be set to the lock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Studying time may be stopped when the lock screen is released, but the execution of the displayed allowable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affect the study time.
  •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NFC In connection with the method for blocking a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NFC. This is due to the ease of description for the skilled person and does not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Zigbee, ZWB, UWB, ANT, Wifi, SUN, etc.) except for NFC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Zigbee, ZWB, UWB, ANT, Wifi, SUN, etc.
  • an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In connection with a method for blocking a mobile termi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NFC degree reception step, study start information reception step, screen lock and push alarm blocking step may be included.
  • the mobile terminal blocking metho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used in a theater, a public institution, a school, a school, a library, a reading room, and the like.
  • a theater a public institution
  • a school a school
  • a library a reading room
  • the smart phone is blocked and the study time measurement is started, the effect of receiving the attendance state of the user is generated. This may induce a user to tag the smartphone on the NFC target, and the effect of more easily automating the attendance determination is further generated.
  • Figure 14 is a simplified flowchart showing a study data providing method us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the study data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a study time measurement step, and a study time end step.
  • the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is a preparation step for measuring study time.
  •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may include the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S101), NFC information receiving step.
  • First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S101) is a step of placing the smartphone on the effective distance of the pre-installed NFC device, the user has already installed the application.
  • the pre-stor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in the NFC, and the NFC may set a specific location, a specific place, a specific goal, a specific subject, a specific study period, and such information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Can be sent.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is to measure the study time for each specific goal.
  • Study time measurement step may include a study start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01), screen lock, push alarm blocking and atten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21).
  • Study start information receiving step (S201) is a step of receiving study start information from the NFC device already installed, and starts the study time measurement. The study star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the NFC information, the study star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eat or institution.
  • study star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measurement of study time begins. As soon as the measurement of the study time starts, the lock screen is displayed, the push alarm is blocked, and the attendan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 Blocking of push alarms can be implemented by setting airplane mode to block all data communication such as phone, text and internet (for example, Wifi, etc.). It may be implemented as.
  • the blocking of the push alarm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method that is not simply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blocking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 Study end information input step (S301) may be input when the predetermined target time of the NFC information received in the NFC effective distance entry step (S10) has reached, such as when the deviation from the effective distance of NF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푸시알람과 게임 등의 유혹에서 벗어나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한편, 특정 목표별 실질적인 공부시간을 파악하고,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데이터를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간 공부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공부 방해요소를 차단하는 동시에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이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푸시알람과 게임 등의 유혹에서 벗어나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한편, 특정 목표별 실질적인 공부시간을 파악하고,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데이터를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간 공부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수능 고득점, 자격증 취득, 고시 합격 등의 명확한 목표를 위해 공부하는 학습자들은 최근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겪고 있다. 대한민국의 전 국민의 절반가량이 스마트폰을 쓰는 가운데, 대한민국의 방송통신위원회의 2011년 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10명 중 적어도 2명 가량이 스마트폰 중독 상태로 나타났다. 또 스마트폰 이용자는 모바일 메신저와 게임, 뉴스 검색 등을 하는 데 하루 평균 4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조사된다고 보고되는 실정이다.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의 과다 사용으로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사태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의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발표한 "2012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10~49세 스마트폰 이용자 1만68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조사에서 성인(만 20~4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9.1%로 집계된 반면, 청소년(만 10~19세)의 스마트폰 중독률은 18.4%로 10대들의 중독률이 가장 높았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가장 높다는 사실은, 스마트폰에 의해 청소년들의 집중력이 가장 많이 와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한가지 문제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비단 스마트폰에 중독된 정도가 아니라도 충분히 발생될 수 있는 문제이다. 이러한 사실은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공공연하게 알려져 있다. 즉 스마트폰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인식이 발생된지는 오래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다시 종래에 이용되던 피처폰(feature phone)으로 회귀하는 사용자도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의 포기가 과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첫째로 스마트폰 사용의 포기는 정보 접근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특히나 한정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수험생에 있어서,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거나, 학습에 도움되는 각종 콘텐츠를 필요할 때 바로 이용할 수 없다면 다른 수험생들과의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둘째로 불가피하게 스마트폰의 사용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정 사용기간을 들 수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구매는 2년이라는 약정 사용기간을 수반한다.
결국 수험생 등의 학습자는 스마트폰을 사용해도 집중력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도 위에 언급된 문제가 발생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위에 언급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정보 접근력을 유지하면서도, 스마트폰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력 방해, 집중력 와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나아가 스마트폰이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부시작과 동시에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잠금화면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각종 푸시알람과 게임 등의 유혹에서 벗어나 온전히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는 한편, 특정 목표별 실질적인 공부시간을 수집하여 파악하고, 공부시간에 대한 통계데이터를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데이터를 제공하고, 스터디 그룹간 공부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상기 공부데이터 송신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공부데이터를 수신하는 공부데이터 수신단계;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수신된 공부데이터를 시간별, 목표 시험별, 지역별, 학교별, 생년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송신하는 분석데이터 송신단계; 및 송신된 상기 분석데이터를 수신하는 분석데이터 수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데이터 수신단계 이후에, 수신된 상기 분석데이터와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분석데이터 비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부시작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공부시간을 측정하려는 특정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설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서버에 저장된 상기 특정 목표에 대한 합격자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합격자 데이터 수신단계; 및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공부데이터와 수신된 상기 합격자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여 비교표시하는 합격자 데이터 비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복수 사용자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시간별, 목표 시험별, 생년별, 지역별, 학교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석된 분석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서 제공받는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서 획득한 분석데이터 요청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제2항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분석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고,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화면이 제어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는 공부종료단계; 및 측정된 상기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가 공부데이터로 저장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공부 방해요소를 차단하는 동시에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 및 분석하여, 스마트폰이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본 발명의 출원인의 사회적 성공에 의해 추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3년 11월 25일 베타 서비스를 구글 플레이(https://play.google.com/store)에 업로드 한 이후, 출시 3개월 만에 대한민국내 교육 어플리케이션 부문 1위를 차지하였고, PCT 출원일 현재 대한민국에서만 65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가 실시된 바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공부데이터, 분석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공부 의욕이 고취되고, 구동력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공되는 해당 사용자의 공부데이터, 타 사용자의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에 의해 개인 사용자와 그룹의 자기반성과 경쟁심이 유발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선생님이나 학부모가 관리 범위 내의 학생들에 대한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학생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공부시간을 평가하여 사용자가 학습의 결과가 아닌, 학습의 과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과정에 충실하게 되어 공부할 때 결과에 집착하여 집중력이 저감되는 것이 방지되고, 결과에 따른 무력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스터디 그룹을 조성하여 유사한 목표를 갖는 지인들과 목표와 공부시간을 공유하여 서로 근접한 곳에서 함께 공부하지 않아도 경쟁심이 유발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부시간의 측정과 동시에 공부시간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적절한 시간에 제공해주어 사용자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여덟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학습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광고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이동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단계별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공부데이터 분석방법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 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터디그룹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시간 보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시간 보상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크게 설정단계(S10), 공부시간 측정단계(S20), 공부시간 종료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앱"이라는 줄임말로 병기될 수 있다.
설정단계(S10)는 공부시간 측정을 위한 준비 단계이다. 설정단계(S1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00), 환경설정 및 목표설정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설치단계는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단계이다. 환경설정단계에서는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동안의 전화, 문자 또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 차단여부, 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허용 어플리케이션), 공부 목표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날짜가 변경되는 시간을 사용자가 주로 공부를 끝내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목표설정단계에서는 자격증, 취업, 고시, 유학, 외국어,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등의 대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목표를 설정한 후에, 과목, 구체적 범위 등의 소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공부시간의 측정은 대목표, 소목표를 구분하지 않고 측정될 수도 있고, 소목표에 대해서만 공부시간을 측정하여 대목표에 대한 공부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공부시간 측정단계(S20)는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공부시간 측정단계(S20)는 공부시작정보 입력단계(S200),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 차단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시작정보입력단계(S200)는 사용자가 특정 목표별로 공부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기에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면,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된다.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동시에 잠금화면이 표시되고, 푸시알람이 차단될 수 있다. 푸시알람의 차단은 비행기모드의 설정으로 전화, 문자 및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Wifi 등) 모두가 차단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전화 및 문자는 허용하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차단하는 방식 이외에도 단순히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VPN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이동단말기의 VPN 터널을 해당 이동단말기로 우회시키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VPN 서버로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해당 이동단말기의 VPN 터널을 해당 이동단말기로 우회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많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VPN 서버의 트래픽의 제한없이 이동단말기의 푸시알람을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별도로 구비되는 VPN 서버로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3자에 의해 발생되는 푸시알람은 모두 차단하면서, 동시에 VPN 서버에서 해당 이동단말기에 실시간으로 공부데이터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VPN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단말기의 푸시알람을 차단하는 경우, 안드로이드와 같은 개방적 OS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단말기뿐만 아니라, IOS와 같은 폐쇄적 OS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에도 해당 이동단말기의 푸시알람 차단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종래에는 안드로이드와 같은 개방적 OS에서만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 이동단말기의 푸시알람 차단이 가능했었고, IOS와 같은 폐쇄적 OS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비행기 모드를 설정하거나 네트워크를 차단하지 않는 이상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으로는 이동단말기의 푸시알람 차단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VPN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단말기의 푸시 알람을 차단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권리범위로 정의되는 VPN 프로토콜은 본 발명의 출원시에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PN 설정은 이하의 단계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PN의 설정은 특정 VPN 벤더에 대응되는 특정 VPN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한 VPN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VPN 설정 요청 수신 단계; VPN 설정 요청에 따라, VPN 벤더에 대응되는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템플릿(template) 정보,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필요한 고유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커넥션(connection) 정보,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필요한 인증서(certific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PN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VPN 설정 정보 수신 단계; 및 수신된 VPN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수행하는 VPN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VPN의 설정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해당 이동단말기의 VPN 터널을 해당 이동단말기로 우회시키는 경우에는 VPN 벤더를 해당 이동단말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부시간 측정단계(S20)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고는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허용 어플리케이션은 잠금화면 내에 아이콘이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공부시간의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화면 내에는 측정되는 공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공부시간은 하루의 총 공부시간 및 현재 공부시간 측정 중인 목표에 대해 공부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VPN이 이용되는 경우,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는 VPN을 종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부시간 측정단계(S20)에서는 잠금화면에서 공부시간의 측정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일시정지된 잠금화면의 상태에서는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목표를 변경할 수 있다. 목표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목표에 대한 공부시간의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공부시간 종료단계(S30)에서는 측정되는 공부시간을 종료하고, 측정된 공부시간을 표시하고, 측정된 공부시간을 토대로 각 목표별 공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공부시간 종료단계(S30)는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 공부데이터 저장단계(S320),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 공부데이터 수신단계(S340), 공부데이터 분석 및 분석데이터 생성단계(S350), 분석데이터 송신단계(S360), 분석데이터 표시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는 사용자가 공부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 특정 목표의 공부시간 측정을 종료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기에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되면,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된다. 동시에 화면 잠금이 해제되고, 푸시알람 차단 또한 해제될 수 있다. 공부종료정보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뒤로가기 또는 취소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단말기의 중력센서에서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설정단계(S10)에서 사용자가 목표시간을 설정하였고, 설정한 목표시간이 도달한 경우 등의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공부데이터 저장단계(S320)에서는 특정 목표에 대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공부시간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이동단말기(110) 또는 서버(13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도 1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서버 없이 개인의 이동단말기에서만 구현이 가능하고, 도 2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정보교환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는 저장된 사용자의 공부데이터를 이동단말기(110)에서 서버(13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공부데이터 수신단계(S340)는 이동단말기의 무선통신부에서 송신된 공부데이터를 서버의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생성되는 공부데이터에는 공부시간 총량,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 특정 목표별 공부시작시각, 특정 목표별 공부종료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 제공단계(S330)는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동기화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에서는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신규 공부데이터 또는 신규 분석데이터를 확인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을 제공하고 실시간을 공부데이터, 분석데이터가 동기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의 성공/실패 여부도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공부데이터 분석 및 분석데이터 생성단계(S350)는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공부데이터의 분석방법에서는 시간별, 목표 시험별, 사용자의 성적별로 공부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고, 분석데이터는 시간별, 목표 시험별, 사용자의 성적별로 분석되는 공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데이터 송신단계(S3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분석데이터를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이동단말기의 무선통신부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분석데이터 표시단계(S370)는 서버에서 송신받은 분석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의해 집중력을 방해받거나 집중력이 와해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공부시간과 연속적 집중 시간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던 스마트폰이 비로소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에 대해 기재한다.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이동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이동단말기(110), 무선 네트워크(120, 통신망),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110)는 휴대형(PORTABLE)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마다 적어도 하나를 소유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기능을 변경 및 확장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통신기기로서, 대표적으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컴퓨터(TABLIT PC), 노트북(LAPTOP COMPUTER) 등이 있다. 이들 이동단말기(110)는 다양한 웹브라우저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터넷 상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동단말기(110)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컴퓨터 또는 노트북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즉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카메라, 음성인식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센서(111), 입력부(112), 저장부(113), 표시부(114), 프로그램 실행부(115), 무선통신부(116), 기기 제어부(117)로 구성될 수 있다.
중력센서(111)에서는 이동단말기(110)의 움직임 정보를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 주기로 측정하여 기기제어부(117)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중력센서(111)에서 제공하는 움직임 정보는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0)에서 공부종료정보 중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112)는 터치스크린, 음성인식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저장부(113)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110) 내의 저장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부(114)는 터치스크린, 음성출력부 등의 출력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부(115)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이 해당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6)는 서버(13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해당 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6)는 근거리 통신 기능, 특히 NFC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제어부(117)는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와 같은 구성이 해당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20, 통신망)는 이동단말기(110)와 원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서버(130) 간의 무선 통신을 담당하게 된다. 무선 네트워크(120)의 일실시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망, WCDMA(Wideband CDMA), LTE망, 4G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무선 네트워크(120)는 구현되는 망의 특성에 따라서 기지국 또는 노드 B, 기지국 제어기 또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교환기(M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31), 공부데이터 분석부(132), 공부데이터 추출부(133), 서버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1)는 이동단말기(110)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고, 공부데이터 분석부(132)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며, 공부데이터 추출부(133)는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이동단말기(110)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공부데이터 중 유의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134)는 서버(13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공부데이터, 공부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분석데이터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에는 공부시간 총량,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 특정 목표별 공부시작시각, 특정 목표별 공부종료시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외부에 위치할 경우 서버(130)와 연동하여 데이터 및 정보 수신시 이를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110)는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6),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받는 입력부(112),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실행부(115),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13), 공부데이터 또는 분석데이터를 사용자가 감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표시부(114), 이동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제공하는 중력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바 중 어느 하나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각 단계에 의해 수행되도록 컴퓨터 시스템상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기능의 실시예를 기재하도록 한다.
(1) 단계별 기능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단계별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단계(S10)에서는 환경설정과 목표설정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환경설정에서는 네트워크 차단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 허용 어플리케이션(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기능, 날짜 변경 및 시각 선택 기능, 공부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기능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목표설정에는 목표의 추가 및 수정, 목표별 사진 입력 및 수정, 목표의 순서 또는 중요도 조정, 목표의 삭제 기능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공부시간측정단계(S20)에서는 화면잠금, 푸시알람 차단,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 시간측정, 허용 어플리케이션(차단 예외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이 가능하다.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의 차단은 전화, 문자 및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 모두가 차단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전화 및 문자는 허용하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차단하는 방식 이외에도 단순히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화면잠금 및 푸시알람 차단은 공부시간측정 중에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을 잠그는 등의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어플리케이션 감시는 공부시간측정 중에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시간 측정에서는 공부시간 측정을 일시중지하거나 재개할 수 있고, 공부시간측정을 종료할 수도 있다.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도중에 목표를 전환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허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에서는 허용 어플리케이션을 잠금화면 내에 아이콘이 노출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 클릭시 공부데이터 환경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공부시간 측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부시간종료단계(S30)에서는 공부시간측정 종료, 공부데이터 저장, 서버와 동기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부시간측정 종료에서는 사용자의 뒤로가기 버튼 또는 종료 버튼의 입력이 공부종료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중력센서를 통해 제공되는 이동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공부종료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공부 목표시간이 달성된 경우에 자동으로 공부종료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공부 목표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목표시간을 달성할 때까지 푸시알람 차단을 해제할 수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부데이터의 저장에는, 목표별 공부시간의 총량이 저장될 수도 있고, 목표별 공부시작시각과 종료시각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서버와의 동기화에는, 서버에서 로그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로그인이 확인된 경우, 이동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공부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드되지 않은 공부데이터인지 판단하고, 신규 공부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에서 요청한 서버에서 제공되는 신규 분석데이터를 이동단말기가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2) 공부데이터 분석방법 및 분석데이터 활용방법
공부데이터의 분석기능 및 분석데이터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공부데이터 분석방법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에서 공부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동단말기와 동기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의 공부데이터가 요구되지 않는 분석데이터의 경우에는 이동단말기 내에서 자체적으로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서버에서는 사용자가 분석데이터를 요청하기 전, 또는 요청한 후에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에서는 복수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송신된 공부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공부데이터 추출부에서 유의적인 공부데이터를 추출하여 공부데이터 분석부에서 추출된 또는 저장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시간대별, 일간, 주간, 월간, 연간으로 구분되는 공부데이터의 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대목표별, 생년별, 지역별, 전체 사용자, 학교별 등의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목표 상세정보는 초등학생 여부, 중학생 여부, 고등학생 여부, 외국어 시험, 자격증 시험, 취업 준비, 고시 준비, 유학 준비 등의 사용자가 설정한 큰 목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상세정보는 국가와 지역코드(대한민국의 교육청 수는 16개이다.)로 구분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학교별 상세정보는 학교별로 별도의 학교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데이터는 공부량 상위 1%, 5% 단위별 평균 공부량 등의 공부량 분류, 성적분류 등의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시간정보, 상세정보,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성공사례 데이터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성공사례 데이터는 대목표에 대한 합격자의 공부데이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공사례 데이터 또한 위에 언급된 시간정보, 상세정보, 공부량 및 성적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분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대목표에 대한 합격자 등은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 내에서 멘토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된 멘토는 사용자에게 1:1 질의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10)에서는 서버에서 분석데이터를 제공받아 자신의 공부데이터와 분석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표시될 수 있다. 서버와 동기화되면 분석데이터가 이동단말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고, 다운로드된 분석데이터와 사용자의 공부데이터와의 차이가 계산될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 상에서 비교통계가 구현될 수 있다.
서버와 동기화 기능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이 확인될 수 있고, 서버와 이동단말기의 사이에서 공부데이터와 분석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동기화되는 데이터에는 성공사례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분석데이터 다운로드 기능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교용 분석데이터 또는 성공사례 데이터가 서버에서 다운로드될 수 있다. 차이 계산 기능에서는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성공사례 데이터의 차이가 계산될 수 있다. 비교통계 구현 기능에서는 그래프, 시간 텍스트 등을 활용하여 비교통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멘토와의 1:1 질의응답 답변 정보, 비교통계 해석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된 데이터는 개인, 학부모, 선생님 등에게 특정 기간 동안의 상세 통계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세 통계데이터는 가정, 학교 등에서 직접 인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A4사이즈의 출력 가능한 정보로 전환될 수 있다.
(3)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과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 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한 기능을 도시한 블럭도,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스터디 그룹에 대해 제공되는 분석데이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스터디 그룹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는 스터디그룹의 생성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스터디그룹의 생성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디 그룹 생성단계, 스터디 그룹 개시단계, 가입신청 접수 및 허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되는 스터디 그룹의 정보는 D-day, 그룹명 및 소개, 모집인원, 일일 목표 공부시간 및 수행량, 공개/비공개 여부, 시작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되는 스터디 그룹 검색창에서 생성날짜 정보와 위의 정보에 포함된 단어로 검색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사용자가 게시된 특정 스터디 그룹을 발견하고 가입신청을 하는 경우, 스터디 그룹의 그룹장이 가입을 승인 또는 거절할 수 있으며, 모집인원이 모두 찬 경우에는 스터디 그룹의 신청이 불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9에서는 스터디 그룹 내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터디 그룹에 인증할 특정 목표를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를 스터디 그룹으로 초대할 수 있으며, 그룹장은 특정 사용자를 강제로 퇴장시킬 수 있다. 또한 그룹원 간의 공부량 경쟁을 위하여 그룹원의 인증 목표에 대한 공부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고, 일일공부량을 그룹원별로 출력할 수 있으며, 랭킹을 매길 수 있다. 특히 공부량 1위가 변동되는 경우에는 전 그룹원에게 푸시알람을 제공하여 그룹원 전체의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서버와의 동기화 기능을 이용하여 그룹원의 출석체크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스터디 그룹의 그룹 게시판을 별도로 운영하여, 게시물 업로드, 댓글 쓰기, 사진 첨부, 동영상 첨부, 자신의 공부데이터 첨부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룹 게시판은 공부데이터 및 분석데이터을 기반으로 한 토론의 장이 될 수 있다.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해서, 도 10에서는 특정 스터디 그룹과 다른 스터디 그룹간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원 평균 공부량의 순위를 스터디 그룹간 계산할 수 있고, 그룹내 최고 공부량을 각각의 스터디 그룹끼리 비교할 수 있으며, 출석률 순위 또는 출석인원 순위를 각각의 스터디 그룹끼리 비교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다른 스터디 그룹을 선정하여 스터디 그룹간 1:1 경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따르면, 먼저 다른 스터디 그룹을 검색하고, 1:1 배틀을 신청한 후, 배틀 기간을 설정하고 상품을 설정하며, 상대 스터디 그룹이 승인하는 경우에는 배틀이 시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틀 기간 내에는 상대 스터디 그룹의 상세 공부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배틀 기간 종료시 최종 승리 스터디 그룹이 확정되고, 승리 스터디 그룹은 기설정된 상품을 수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은 가입요청 송신단계(S41), 가입승인 수신단계(S42), 공부시간 측정단계(S43), 공부데이터 송신단계(S44), 통계정보 수신단계(S4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요청 송신단계(S41)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특정 스터디 그룹에의 가입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가입승인 수신단계(S42)는 가입요청을 전송한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특정 스터디 그룹에의 가입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공부시간 측정단계(S43)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공부시간을 측정하여 공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공부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공부 시작시간 및 공부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 송신단계(S44)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의 공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공부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통계정보 수신단계(S45)는 서버에서 송신되는 상기 특정 스터디 그룹의 공부시간 통계정보를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때 특정 스터디 그룹의 공부시간 통계정보는, 그룹내의 공부량 랭킹, 그룹내의 평균 공부량, 공동 목표 완수 현황 및 그룹간 평균 공부량 랭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메인 화면은 그룹명, 그룹 랭킹, 완수 현황, 공부량 개인 랭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공동 목표 수행 화면은 기간, 목표달성 여부 표시바, 공부 시간, 개인 프로필 표시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터디 그룹에 대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일간 랭킹 화면은 날짜, 평균 공부시간, 공부시간 개인 랭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4) 개인 공부데이터 비교통계 제공(공부의 질 관련 데이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개인의 공부데이터에 대한 총체적인 비교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서버와의 동기화 없이도 가능한 비교통계이다. 단순히 일간, 주간, 월간, 연간 공부데이터 비교통계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공부의 연속성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하여 특정 기간 동안 공부의 질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 한가지 과목을 10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와 10가지 과목을 1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것은 공부의 질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공부방법에 대한 유도 및 집중력 있는 공부에 대해 곧바로 보상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공부의 질을 1시간에 1점 내지 100점으로 평가하고, 오랫동안 한가지 과목을 공부한 경우의 공부의 질이 높다고 가정한다. 즉, 이러한 공부의 질은 등비수열 등으로 1시간의 점수가 평가될 수 있다. 2를 공비로 하는 등비수열을 이용하여 1시간에 한가지 과목을 1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1점, 2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3점, 3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7점, 4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13점, 5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 21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한 과목을 5시간 동안 연속하여 공부한 경우에는 1점(1시간째)+3점(2시간째)+7점(3시간째)+13점(4시간째)+21점(5시간째)이므로 45점으로 평가된다. 한시간에 한 과목씩 5시간을 공부한 경우에는 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1점(1시간째)이므로 5점으로 평가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공부의 질 데이터를 토대로 집중력 있는 공부 방법으로 유도될 수 있다.
(5) 공부시간 보상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시간 보상방법과 관련하여,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시간 보상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목표 설정단계(S51), 공부시간 측정단계(S52), 공부데이터 송신단계(S53), 목표 달성 여부 판정단계(S54), 포인트 지급단계(S55), 포인트 사용단계(S56)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목표 설정단계(S51)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특정 목표가 직접 설정되어 서버에 전송되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에서 특정 목표가 설정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특정 목표는 포인트의 지급(공부시간에 대한 보상)을 위한 것이며,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 표시되거나(공개적 목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비공개적 목표). 공개적 목표는 사용자에게 목표가 가시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장점이고, 비공개적 목표는 사용자가 알아채기 전에 사용자가 올바른 공부 습관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목표로는 특정 시간 이상의 공부시간을 완수하는 것, 특정 과목에 대해 특정 연속 시간 이상의 공부시간을 완수하는 것, 스터디 그룹에서의 단체 미션을 완수하는 것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목표는 일회적 목표(예를 들면, 공부시간 100시간 달성 시 10000포인트 지급)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연속적 목표(예를 들면, 공부시간 1시간에 100포인트 지급)로 구성될 수 있다.
공부시간 측정단계(S5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공부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공부 시작시간 및 공부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데이터 송신단계(S53)는 특정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의 공부시간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공부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목표 달성 여부 판정단계(S54)는 서버에 송신된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기설정된 특정 목표의 달성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 여부의 판정은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도 가능하나, 보안상의 문제 때문에 서버에서 중앙관리함이 바람직하다.
포인트 지급단계(S55)는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목표 달성에 걸맞는 포인트를 지급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지급된 포인트만큼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지급된 포인트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도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인트 사용단계(S56)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에서 포인트 사용 요청을 서버로 송신하고, 포인트 사용 요청을 수신한 서버에서 이를 승인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거래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인트를 사용하기 위한 공부시간 보상 시스템은 연계된 쇼핑몰에서 현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각종 통신사의 포인트 카드에 적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각종 기프티콘 또는 상품을 구매(전자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결국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피광고자가 되는 것이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가맹점이 광고자가 되는 것이다.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시간 보상방법이 수행되는 공부시간 보상 시스템과 관련하여,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시간 보상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부시간 보상 시스템은 서버(130)에 복수개의 가맹점 서버(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계된 쇼핑몰에서 현금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각종 통신사의 포인트 카드에 적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각종 기프티콘 또는 상품을 구매(전자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시간 보상방법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포인트 사용 화면이 구성될 수 있으며, 공부시간을 이용하여 획득한 포인트만으로 상품을 구매하거나, 포인트로 현금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이 이동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시간 보상방법에 의하면 공부시간의 측정과 동시에 공부시간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을 적절한 시간에 제공해주어 사용자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학습과 관련된 상품을 판매하는 광고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광고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6) 실시 화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대한 실시 화면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초기 화면과 관련하여, 초기 화면에는 당일 공부시간, 특정 목표 공부시간, 목표설정, 시작버튼, 목표명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히스토리 화면과 관련하여, 히스토리 화면에는 공부 내역이 연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일간통계 화면에는 하루 중 몇%에 어떤 공부를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주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주간통계 화면에는 주간 중에 어떤 공부를 얼마나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월간통계 화면과 관련하여, 월간통계 화면에는 각 주별로 어떤 공부를 얼마나 하였는지가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공부시작 화면과 관련하여, 공부시작 화면에는 당일 공부시간, 특정목표 공부시간, 정지 버튼, 목표명, 허용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공부시작 화면은 이동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잠금화면을 풀게되면 공부시간이 중지될 수 있으나, 표시된 허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공부시간에 영향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7)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 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 방법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근거리 통신의 대표적인 예로 NFC를 이용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대한 설명의 용이성 때문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를 제외한 다른 근거리 통신(RFID, BLE를 포함하는 Bluetooth, 지그비, UWB, ANT, Wifi, SUN 등을 포함)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 방법과 관련하여,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 NFC 정도 수신 단계, 공부 시작 정보 수신 단계, 화면 잠금 및 푸시알람 차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 방법은, 극장, 공공기관, 학교, 학원, 도서관, 독서실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위의 특정 장소이나 장소에서 이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장소이나 장소에 진입할 때 이동단말기의 차단을 푸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극장, 공공기관, 학교, 학원, 도서관, 독서실 등에서는 스마트폰의 푸시알람에 의해 개인의 권익이 몰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장소에서는 스마트폰의 전원을 종료하기를 권유하거나, 스마트폰을 강제로 수거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스마트폰의 분실 위험 등에 의해 제대로 적용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 진입할 때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타인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차단되고 공부시간 측정이 시작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출결 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NFC 타겟에 태그하는 것을 유도할 수도 있고, 간편하게 출결 판단을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더 발생되는 것이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의 각각의 구체적인 단계는 이하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서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과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을 도시한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은 크게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 공부시간 측정단계, 공부시간 종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는 공부시간 측정을 위한 준비 단계이다.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는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S101), NFC 정보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S101)는 사용자가 이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둔 상태에서, 기설치된 NFC 장치의 유효거리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NFC 정보 수신 단계에서는 NFC에 기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NFC에는 특정 위치, 특정 장소, 특정 목표, 특정 과목, 특정 공부시간(period)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공부시간 측정단계는 특정 목표별 공부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공부시간 측정단계는 공부시작정보 수신단계(S201), 화면잠금, 푸시알람 차단 및 출석정보 송신단계(S2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부시작정보 수신단계(S201)는 기설치된 NFC 장치에서 공부시작정보를 수신하고, 공부시간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공부시작정보는 상기 NFC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고, 이러한 공부시작정보에는 해당 좌석 또는 기관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에 공부시작정보가 입력되면,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된다. 공부시간의 측정이 시작되는 동시에 잠금화면이 표시되고, 푸시알람이 차단되며, 출석 정보가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푸시알람의 차단은 비행기모드의 설정으로 전화, 문자 및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Wifi 등) 모두가 차단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전화 및 문자는 허용하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푸시알람의 차단은 유/무선 통신, 근거리 통신 등을 차단하는 방식 이외에도 단순히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공부종료정보 입력단계(S301)는 NFC 유효거리 진입 단계(S10)에서 수신한 NFC 정보 중 기설정된 목표시간이 도달한 경우, NFC의 유효거리에서 벗어난 경우 등의 경우에 입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이동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공부데이터 제공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목표정보를 포함하는 공부시작정보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입력되고,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목표정보에 대한 공부시간의 측정을 시작하는 공부시작단계;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에 잠금화면이 설정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화면을 제어하는 잠금화면 제어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푸시알람이 차단되는 푸시알람 차단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표정보에 대한 공부종료정보가 상기 이동단말기에 입력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목표정보에 대한 공부시간의 측정이 종료되며,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푸시알람 차단단계에서 차단된 상기 푸시알람의 차단 해제를 수행하는 공부종료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기가 측정된 상기 목표정보에 대한 공부시간의 길이, 공부시작시각 및 공부종료시각 중 적어도 하나인 공부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이동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상기 공부데이터를 송신하는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화면 제어단계 및 상기 푸시알람 차단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수신된 공부데이터를 시간별, 목표 시험별, 지역별, 학교별, 생년별, 성적별 및 공부시간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상기 서버에서 분석되어 생성되는 분석데이터를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분석데이터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시작단계 이전 또는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특정 스터디 그룹에의 가입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가입요청 송신단계;
    상기 특정 스터디 그룹에의 가입 승인을 수신하는 가입승인 수신단계;
    공부시간을 측정하여 공부데이터를 생성하는 공부시간 측정단계;
    상기 공부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공부데이터 송신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송신되는 상기 특정 스터디 그룹의 공부시간 통계정보를 수신하는 통계정보 수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4. 재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데이터 저장단계 이후에,
    상기 공부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서버에서 계산된 포인트 정보를 상기 서버에서 수신하는 포인트 정보 수신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포인트 사용 요청을 입력받는 포인트 사용 입력단계; 및
    상기 포인트 사용 요청을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포인트 사용 송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알람 차단단계는,
    특정 VPN 벤더에 대응되는 특정 VPN 게이트웨이(gateway)에 대한 VPN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VPN 설정 요청 수신 단계;
    상기 VPN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VPN 벤더에 대응되는 상기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공통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템플릿(template) 정보, 상기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필요한 고유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커넥션(connection) 정보, 상기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위해 필요한 인증서(certific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PN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VPN 설정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된 VPN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PN 게이트웨이에 대한 VPN 설정을 수행하는 VPN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부시작단계는,
    기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차단 정보를 수신하는 차단정보 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PCT/KR2015/004487 2014-05-09 2015-05-0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WO201517086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728A KR20150128391A (ko) 2014-05-09 2014-05-09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이를 이용한 이동단말기 및 기록매체
KR10-2014-0055728 2014-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0863A1 true WO2015170863A1 (ko) 2015-11-12

Family

ID=5439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4487 WO2015170863A1 (ko) 2014-05-09 2015-05-06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28391A (ko)
WO (1) WO2015170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0304A (zh) * 2015-12-14 2016-05-04 苏州天平先进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在锁屏app中基于用户兴趣的社区模式及系统
KR102001212B1 (ko) * 2018-01-25 2019-07-18 심현보 인공지능 타이머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공부시간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39686A (ja) * 2018-02-15 2019-08-22 Kddi株式会社 学習管理装置、学習管理方法及び学習管理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684A (ko) * 2003-12-05 2006-12-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장치로 향하는 원치 않는 트래픽을 제어하는방법 및 장치
KR20100078517A (ko) * 2008-12-30 2010-07-08 메가스터디(주) 학습계획형 강의시스템
KR20120136948A (ko) * 2011-06-10 2012-12-2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684A (ko) * 2003-12-05 2006-12-0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장치로 향하는 원치 않는 트래픽을 제어하는방법 및 장치
KR20100078517A (ko) * 2008-12-30 2010-07-08 메가스터디(주) 학습계획형 강의시스템
KR20120136948A (ko) * 2011-06-10 2012-12-20 (주) 프라이스톤스 게임 동특성에 기초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MEGASTUDY Smart Learning App.>", MEGASTUDY SMART LEARNING APP. CONTROLLING LEARNING WILL., 24 July 2013 (2013-07-2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blog.naver.com/megastudy_1/501760476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91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0863A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20190045886A (ko) 카메라 및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한 순수 공부시간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6089057A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시간 보상방법, 보상 시스템, 이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6353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101709455B1 (ko)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101687152B1 (ko) Vpn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KR20190045771A (ko) 학생 공부 태도를 판별하여 독서실 관리자에게 조치를 지시하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190045774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공부태도 데이터를 취합하여 문자 메시지를 통해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045767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책상 착석, 이탈 정보 수집 방법
KR101763537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20160131953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101709454B1 (ko)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101709453B1 (ko)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20180045988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나이별 학년별 일간 총 공부시간 랭킹 제공방법
KR2018004599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 시간 측정 중 멘토 클라이언트에 공부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KR20160089608A (ko) 이동단말기 차단방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 제공방법
KR101746350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746349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101746348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스터디 그룹 제공방법
KR20150042166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공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정보 제공방법, 그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90045770A (ko) 학생 공부 태도를 판별하여 독서실 관리자에게 보여주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190045769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공부 태도 데이터의 취합 방법
KR20190045772A (ko) 불량한 학생 공부 태도를 판별하여 독서실 관리자에게 조치를 지시하고, 조치한 내역을 기록하는 독서실 관리 시스템
KR20190045773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공부 확률 데이터를 취합하여 앱을 통해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KR20190045768A (ko) 거리감지센서를 활용한 책상 위 수면시간 정보 수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892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303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892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