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56440A1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56440A1
WO2015156440A1 PCT/KR2014/003262 KR2014003262W WO2015156440A1 WO 2015156440 A1 WO2015156440 A1 WO 2015156440A1 KR 2014003262 W KR2014003262 W KR 2014003262W WO 2015156440 A1 WO2015156440 A1 WO 20151564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oaxial connector
conductive gaske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32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US14/411,480 priority Critical patent/US9728910B2/en
Publication of WO20151564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564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xial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axial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obtain improved PIM performance.
  • connection connectors that are widely used include SMA, N, and DIN types.
  • SMA small in size
  • N it takes up less space and is easy to be tightened in a narrow space, but has a problem of poor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M).
  • PIM intermodulation distortion characteristics
  • N-type has excellent PIM characteristics, but it takes up a lot of space because of its larger size than the SMA type.
  • the DIN type also has the best PIM characteristics, but as its size increases, space utilization is less easy.
  • the factor limiting the use of the plug-in connector is an isolation characteristic.
  •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orward and reverse signals in the equipment will have a very sensitive effect on the equipment's ICS performance.
  • plug-in connectors have a very poor sealing property compared to threaded connectors, some inter-module connections have limited application, and thus have not solved the space problem and inconvenience in u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coaxial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obtain improved PIM performance. .
  • the coaxi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sulator through which a conductor penetrates inside of a first housing in a coaxial connector install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 a first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ductive gasket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insulator; And a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ductive gasket in close contact, the second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housing fix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 movable housing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having a front e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conductive gasket; And a bushing movably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movable housing to support a rear end of the movable housing.
  • the coaxi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xial connector install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insulator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enetrates inside the first housing is installed, and the first housing and A first connector accommodating a conductive gasket between the insulators; And a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ductive gasket in close contact, the second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housing fix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A mobile housing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having a front e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asket; And an elastic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mobil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a rear end of the mobile housing.
  • a locking step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housing to catch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housing may be formed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gasket.
  • a tapered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mobile housing to widen toward the front.
  • a tapered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wider toward the rear side.
  • a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block in which the mobile housing is instal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 conne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which are coupled through the conductive gasket may be improved, and an improved PIM performance may be obtained, and at the same time, a spatial issue may be solved and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 the assembly tolerance can be compensated for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econd connector by the bushing or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an be made smooth and robust.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cut in a state in which the coaxial connector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cut in the state of coupling the coaxi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cut in a state in which the coaxial connector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art cut in a state coupled to the coaxi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 the coaxi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axial connector installed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insulator 14 through which the conductor 12 penetrates inside the first housing 11 is installed
  • a first connector 10 accommodating a conductive gasket 18 between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insulator 14;
  • a second connector 20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ductive gasket 18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 the coaxial connector is largely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in a coupled state, and are coupled to the plug-in port to make electrical connections necessary for power and signal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 the first connector 10 has a female connector
  • the second connector 20 has a male connector shape and is coupled while the second connector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 the first housing 11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er and a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 the insulator 14 is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flange of the first housing 11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nductor 12 penetrates inside the insulator 14.
  • a gasket accommodating groove 16 for accommodating the conductive gasket 18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 the gasket accommodating groove 16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11. Therefore, the second connector 20 makes contact while pressing the conductive gasket 18, thereby improving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and 20, thereby improving PIM (intermodulation) than the plug-in connector having a general structure. Distortion signal) performance can be obtained.
  • a tapered portion 17 may be form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first housing 11 in which the gasket accommodating groove 16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housing 30 can be inserted smoothly. Taper portion 17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rear. As the tapered portion 17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 tolerance of the diameter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movable housing 30 can be minimized, thereby achieving a performance improvement effect and at the same time smoothly tightening.
  • Coaxial connector is used for the interface between communication modules mounted in communication equipment. At this time, coaxial connector protrudes out of communication module, and space around tolerance is formed around it, and electromagnetic wave affects the performance of equipment. Alternatively, when two coaxial connectors are fastened, there is also a space between the coaxial connector coupling parts, which causes electromagnetic waves to leak out as before, and due to lack of contact area between the coaxial connectors, isolation and grounding ) The performance may be degraded and the desired performance may not be achieved at the coaxial connector connection.
  • the conductive gasket 18 is provid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in order to improve such performance degradation.
  • the combination of both through the conductive gasket 18 can improve the sealing and grounding performance, allowing the operator to obtain sufficient performance.
  • the second housing 21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connector 20 is also composed of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er and a flang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 the flange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21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2 for fastening to the communication module.
  •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2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ring 24.
  • the fastening ring 24 is illustrated as having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second housing 2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astening ring 2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housing 21.
  • a bushing groove 26 for accommodating the bushing 40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21.
  • the moving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astening ring 24.
  • the movable housing 30 is not fixedly coupled to the fastening ring 24, for example, may be coupled by interference fit.
  • the movable housing 30 coupl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back and forth by an external force.
  • the movable housing 30 can als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ront end 34 of the movable housing 30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asket 18 when the first connector 10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
  • the front end 34 of the mobile housing 30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because the mobile housing 3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 the front end 34 of the mobile housing 30 may be formed to contact only a part of the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gasket 18.
  • the entire contact area of the conductive gasket 18 opposite the front end 34 of the movable housing 30 and the front end 34 of the movable housing 3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ut rather the contact of the conductive gasket 18. Only part of the area is in contact.
  • a large amount of repulsive force may occur.
  • the front end 34 of the mobile housing 3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asket 18 over the entire surface, thereby providing a space S through which the conductive gasket 18 can be released by the repulsive force. It is formed.
  • a tapered portion 36 may be formed inside the front end 34 of the movable housing 30 to increase in width toward the front. This is to machine the front end 34 of the mobile housing 30 so that the front end 34 of the mobile housing 3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gasket 18 over the entire surface.
  • the bushing 40 is instal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 Bushing 40 supports the rear end of mobile housing 30.
  • the bushing 40 may compensate the tolerance for the engagement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axial connector. In other words, an assembly failure may occur due to a toleranc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and assembl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 the movable housing 30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21 may compensate for the occurrence of play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the tolerance.
  • the movement distance is a fine movement of about 1mm.
  •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 in this embodiment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elastic member 50 is introduced in place of the bushing 40 as a configuration for compensating for the tolerance generated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assembled.
  • the elastic member 50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21 and the movable housing 30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movable housing 30.
  • Elastic member 50 has the advantage that can compensate for the assembly tolerance more flexibly than the bushing (40).
  • the locking step 3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housing 30. As such, when the locking jaw 32 is forme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21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32, so that the coupling gap between the second housing 21 and the mobile housing 30 can be properly maintained.
  • the locking jaw 32 is n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housing 30. Instead,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0 is adjusted to be greater than the insertion force of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repulsive force of the conductive gasket 18 to maintain the fastening interval.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도체가 관통하는 절연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절연체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연결 특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PIM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장비내에 RF 입/출력 신호를 서로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널리 사용하는 접속 커넥터는 SMA, N, DIN타입 등이 있다. 보통 사이즈와 RF의 출력파워를 고려하여 이와 같은 보편적인 커넥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SMA 타입은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공간을 적게 차지 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체결이 용이하지만, 상호 변조 왜곡 특성(이하 PIM)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N타입은 PIM 특성이 우수하지만 SMA 타입에 비해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체결을 위해서도 그만큼 넓은 공간이 할애되어야 한다. DIN 타입 또한 가장 우수한 PIM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그만큼 사이즈가 증가함으로 인해 공간적인 활용은 더욱 용이하지 않다.
사용 주파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PIM 특성을 요구하는 환경이 더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PIM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DIN 타입을 사용함이 올바른 선택이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통신 장비의 경량화/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존의 나사산 체결 방식의 커넥터들이 야기하는 공간적인 이슈는 더욱 민감한 사안이 되고 있으며 사용자 측면에서도 사용에 불편함을 야기시키고 있다.
PIM 특성 이외에도 플러그인(Plug-in) 커넥터의 사용에 제약이 되는 요인에는 밀폐(isolation) 특성 등이 있다. 예를 들어 ICS 중계기에서는 장비 내에서 발생하는 순방향과 역방향 신호 사이의 간섭이 장비의 ICS 성능에 매우 민감한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플러그인 커넥터의 경우 나사산 체결 방식의 커넥터에 비해 밀폐 특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일부 모듈간 연결부에 대해서는 적용에 제약이 따랐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인 문제와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하지 못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연결 특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PIM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도체가 관통하는 절연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절연체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통신 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는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이동 하우징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후단을 지지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도체가 관통하는 절연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절연체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통신 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는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이동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후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은 상기 전도성 가스켓의 접촉면적의 일부만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 내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 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성 가스켓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간의 연결 특성이 향상되고 향상된 PIM 성능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공간적인 이슈를 해결하며 사용자의 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싱 또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조립 공차를 보상할 수 있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결합이 부드럽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것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축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한 것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동축 커넥터는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내측에 도체(12)가 관통하는 절연체(14)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과 절연체(14)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18)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10);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18)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축 커넥터는 크게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통신 모듈에 설치되고, 플러그인 포트에 결합되어 통신 모듈의 전원 및 신호에 필요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커넥터(10)는 암커넥터, 제2 커넥터(20)는 수커넥터의 형상을 가지며 제2 커넥터(20)가 제1 커넥터(10)로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 하우징(11)은 대략 중공의 원통과, 원통의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의 중공 부분에는 절연체(14)가 설치되고, 제1 하우징(11)의 플랜지는 통신 모듈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14)의 내측에는 도체(12)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의 내측에는 전도성 가스켓(18)이 수용되기 위한 가스켓 수용홈(16)이 형성된다. 가스켓 수용홈(16)은 제1 하우징(11)의 후단에서 전방 쪽으로 일정 깊이만큼 요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20)가 전도성 가스켓(18)을 누르면서 접촉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커넥터(10,20)의 연결 특성이 향상되면서 일반적인 구조의 플러그인 커넥터보다 향상된 PIM(상호변조왜곡신호)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가스켓 수용홈(16)이 형성된 제1 하우징(11)의 후단 내측에는 이동 하우징(3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테이퍼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7)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17)가 형성됨으로써, 제1 하우징(11)과 이동 하우징(30)의 접촉부의 직경에 대한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성능 개선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원활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장비 내에 실장 되는 통신 모듈 간 인터페이스를 위해 동축 커넥터를 사용하며, 이때 통신 모듈 외부로 동축 커넥터가 돌출되면서 그 주변에는 공차에 따른 공간이 형성되어 장비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전자파가 새어 나오게 됩니다. 또는 두 개의 동축 커넥터가 체결됨에 있어 역시 동축 커넥터 결합부의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앞에서와 같이 전자파가 새어 나오기도 하고, 동축 커넥터 사이의 접촉 면적이 부족함으로 인해 밀폐(isolation) 및 접지(grounding) 성능이 저하되어 동축 커넥터 연결 부분에서 원하는 성능을 얻지 못하기도 합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성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해 전도성 가스켓(18)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결합부에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전도성 가스켓(18)을 통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밀폐 및 접지 성능이 개선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충분한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2 커넥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21) 또한 제1 하우징(11)과 마찬가지로 대략 중공의 원통과, 원통의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로 구성된다. 제2 하우징(21)의 플랜지 부분에는 통신 모듈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21)의 후단에는 체결링(24)이 구비된다. 도 1에서 체결링(24)은 제2 하우징(21)과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링(24)은 제2 하우징(2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하우징(21)의 내측에는 부싱(40)이 수용되기 위한 부싱홈(26)이 형성된다.
체결링(24)의 내측에는 이동 하우징(30)이 결합된다. 이때, 이동 하우징(30)은 체결링(24)에 고정되게 결합되지 않고 예를 들어,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이동 하우징(30)은 외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이동 하우징(30)은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은 제1 커넥터(10)와의 결합 시 전도성 가스켓(18)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동 하우징(30)이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은 대략 링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은 전도성 가스켓(18)의 접촉면적의 일부만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에 대향되는 전도성 가스켓(18)의 접촉면적의 전체와,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이 접촉되는 것이 아니고 전도성 가스켓(18)의 접촉면적의 일부만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전도성 가스켓(18)과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이 전면에 걸쳐 접촉하게 되면 반발력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발력이 많이 발생되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이 전도성 가스켓(18)과 전면에 걸쳐 접촉되지 않게 구성함으로써, 전도성 가스켓(18)이 반발력에 의해 빠져나올 수 있는 공간(S)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 내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이 전면에 걸쳐 전도성 가스켓(18)과 접촉하도록 하지 않기 위해 이동 하우징(30)의 전단(34)을 가공한 것이다.
한편, 제2 하우징(21)과 이동 하우징(30)의 사이에는 부싱(40)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싱(40)은 이동 하우징(30)의 후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부싱(40)은 부싱홈(26)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의 축방향에 대해서 결합길이에 대한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가공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로 인해 조립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부싱(40)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하우징(21)에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30)이 공차로 인해 축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보상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이상에서 부싱(40)은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나, 그 이동거리는 약 1mm인 미세한 이동이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20)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의 조립 시 발생하는 공차를 보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부싱(40) 대신에 탄성부재(50)를 도입하였다. 탄성부재(50)는 제2 하우징(21)과 이동 하우징(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 하우징(30)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50)는 부싱(40)에 비하여 보다 유연하게 조립 공차를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하우징(30)의 외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턱(32)이 형성되면 제2 하우징(21)의 전단이 걸림턱(32)에 걸리기 때문에 제2 하우징(21)과 이동 하우징(30)의 체결간격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이동 하우징(30)의 외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제2 커넥터(20)의 삽입력 및 전도성 가스켓(18)의 반발력보다 크게 조절하여 체결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도체가 관통하는 절연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절연체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통신 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는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이동 하우징의 사이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후단을 지지하는 부싱을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은 상기 전도성 가스켓의 접촉면적의 일부만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 내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 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7. 통신 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치되는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내측에 도체가 관통하는 절연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절연체의 사이에 전도성 가스켓이 수용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통신 모듈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도성 가스켓에 전단이 밀착되는 이동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과 이동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후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동축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은 상기 전도성 가스켓의 접촉면적의 일부만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전단 내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 내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 하우징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블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PCT/KR2014/003262 2014-04-08 2014-04-15 동축 커넥터 WO20151564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11,480 US9728910B2 (en) 2014-04-08 2014-04-15 Coaxial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95 2014-04-08
KR1020140041795A KR102071608B1 (ko) 2014-04-08 2014-04-08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6440A1 true WO2015156440A1 (ko) 2015-10-15

Family

ID=5428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3262 WO2015156440A1 (ko) 2014-04-08 2014-04-15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28910B2 (ko)
KR (1) KR102071608B1 (ko)
WO (1) WO2015156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8193A (ja) * 2016-05-17 2017-11-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WO2023064648A1 (en) * 2021-10-12 2023-04-20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onnector assembl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512A (ko) * 2004-01-27 2005-08-03 성진씨앤티(주) 전기접속용 소형 콘넥터
JP2007042415A (ja) * 2005-08-03 2007-02-15 D D K Ltd 同軸コネクタ
KR20070073831A (ko) * 2004-11-24 2007-07-10 존 메잘린구아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전도성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그 사용 방법
JP2010045045A (ja) * 2009-11-04 2010-02-25 Nanahoshi Kagaku Kenkyusho:Kk コネクタ
KR101132375B1 (ko) *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765A (en) * 1979-02-12 1980-10-14 Raytheon Company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4697859A (en) * 1986-08-15 1987-10-06 Amp Incorporated Floating coaxial connector
US5329262A (en) * 1991-06-24 1994-07-12 The Whitaker Corporation Fixed RF connector having internal floating members with impedance compensation
US5516303A (en) * 1995-01-11 1996-05-14 The Whitaker Corporation Floating panel-mounted coaxial connector for use with stripline circuit boards
US5769652A (en) * 1996-12-31 1998-06-23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JP3358999B2 (ja) * 1999-02-09 2002-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FR2801433B1 (fr) 1999-11-18 2002-05-31 Cit Alcatel Connecteur attenuateur d'hyperfrequences pour equipement loge dans un boitier electromagnetiquement blinde et ensemble incluant un boitier equipe d'un tel connecteur
US6699054B1 (en) * 2003-01-15 2004-03-02 Applied Engineering Products, Inc.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JP4450242B2 (ja) * 2007-04-10 2010-04-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512A (ko) * 2004-01-27 2005-08-03 성진씨앤티(주) 전기접속용 소형 콘넥터
KR20070073831A (ko) * 2004-11-24 2007-07-10 존 메잘린구아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전도성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그 사용 방법
JP2007042415A (ja) * 2005-08-03 2007-02-15 D D K Ltd 同軸コネクタ
JP2010045045A (ja) * 2009-11-04 2010-02-25 Nanahoshi Kagaku Kenkyusho:Kk コネクタ
KR101132375B1 (ko) *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51A (ko) 2015-10-16
US20170018891A1 (en) 2017-01-19
KR102071608B1 (ko) 2020-01-30
US9728910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1B2 (en) Blind mating connector assembly with floating unit and guiding means
US10181692B2 (en) Coaxial connector with translating grounding collar for establishing a ground path with a mating connector
US9979103B2 (en) Connector arrangement
US9170385B2 (en) Connection system for an optical cable
EP3471217B1 (en) Circular bundling, waterproof and fast-insertion type radio frequency connector
US8870602B2 (en) Combination of radio frequency, high speed digital communication, and direct current signals in a single cable assembly
US20010046802A1 (en) Quick connect coaxial cable connector
CN102971921A (zh) 抑制进入和改善接地的同轴连接器
CN111029858B (zh) 一种连接器
US9979132B1 (en) Coaxial connectors with grounding tube for altering a ground path with a conductor
US11804674B2 (en) Contact module, and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KR101097281B1 (ko) 고출력 알에프 푸쉬 커넥터
US10193281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hield assembly
WO2015156440A1 (ko) 동축 커넥터
US20210265780A1 (en) Low intermodulation radiofrequency coaxial connector
CN108199168B (zh) 一种高速动车用矩形差分电路电连接器
JP3204119U (ja) ケーブルテレビ同軸ビデオネットワーク伝送器及びその挿入接続ソケット
CA3127912A1 (en) Constant impedance connector system
CN211045839U (zh) 一种混装射频连接器
KR102299293B1 (ko) 동축 커넥터
US20170047685A1 (en) Anti-interference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N204651627U (zh) 射频同轴连接器及gps干路放大器
US20240120672A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5732467U (zh) 一种射频连接器
CN211351137U (zh) 一种以太网快速插拔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11480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85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85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