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33727A1 -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33727A1
WO2015133727A1 PCT/KR2015/000697 KR2015000697W WO2015133727A1 WO 2015133727 A1 WO2015133727 A1 WO 2015133727A1 KR 2015000697 W KR2015000697 W KR 2015000697W WO 2015133727 A1 WO2015133727 A1 WO 20151337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terminal
hole
battery module
terminal assemb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6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경현
황성주
설재중
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655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392886B2/ja
Priority to CN201580011114.9A priority patent/CN106062997B/zh
Publication of WO20151337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3372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7Intermediate parts between battery post and cable end 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erminal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 the power storage device is a device that stores energy when power demand is low and supplies power in an overload or emergency, and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power quality and energy use efficiency.
  • household power storage devices and industrial or commercial medium power storage devices are associated with smart grid technology, and the market size is rapidly growing.
  • the battery module in order for a battery module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by a predetermined device or device, the battery module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 series or parallel manner to configure the battery module, and as the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increases, the battery module expands. It should be easy to maintain and stable structure.
  •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is mounted on a device requiring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to supply power.
  • a power terminal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nd after stacking the battery modules, the power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manufacture a medium-large battery pack.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terminal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that is easy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battery modules, while maintaining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s.
  • a power terminal assembly including a power terminal for input and output of a battery module
  • a power terminal protruding outward
  • An insulating body coupled to the power terminal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 fastening formed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 a bus ba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ower terminal penetrates, and at least one end of the bus bar having a third through hol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body;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inside the battery module;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ructure.
  • the power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to enable the input and output of the battery module in a stable structure
  • the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modules.
  • the components forming the power terminal can be produced separately from the other components assembled to the battery module, it can be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of the other structure is made of an easy expansion structure.
  • a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modules in a variety of forms by the predetermined connection member by the screw formed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 nu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body,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bracket, and the third through hole of the bus bar may b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may be a structur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bolt and the nut. have.
  • the first through hole,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thir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wo or more, so that the assembly stability may be improved by forming a combination at a plurality of sites.
  • the power terminal and the insulating body may be formed in a unitary structure, for example, may be a structure that is integrally coupl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 Ring terminals for connect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cable.
  • connection ring terminal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cable may have a structure mounted between the insulating main body and the bus bar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r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 connection ring terminal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cable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can be made of a structure to prevent the flow of the ring terminal and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 the insulating body in order to secur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ulating body is seated on the bracket, the insulating body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protrusions in the bracket direction, the bracket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inserts into which the protrusions are inserted. . Therefore,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in the assembling process to achie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sulating body is stably seated on the bracket.
  • First through-holes may be formed at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sulating body,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one end portion and an opposite side end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power terminal is formed.
  •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bod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idewalls for protecting the fastening structure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wer terminal.
  • the bracket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fasteners to be mounted on the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in the corner portion.
  • the bracke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fasteners are formed at four corners thereof, so that the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by bolts or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power terminal assembly.
  • the battery module may include a positive power terminal assembly and a negative power terminal assembly,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power terminal assembly and the negative power terminal assembly are coupled to one side of an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battery module, the device specifically, home power supply device, public facility power supply device, large store power supply device,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computer room power supply device, portable power supply Devices, medical equipment power supplie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power supplies, alarm equipment power supplies, evacuation equipment power supplies,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the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of a bus bar and a connecting ca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FIG. 1.
  • the power terminal assembly 100 includes a power terminal 110, an insulating main body 120, a bracket 130, a bus bar 140, and a connection cable 150. Consists of
  • the power terminal 11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ulating main body 120 by insert injection molding, and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nsulating main body 120.
  • the insulating main body 120 has a first through-hole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respectively, around a portion where the power terminal 110 protrudes.
  • sidewalls 124 for protecting the fastening structure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ower terminal 110 in the first through holes.
  • the bracket 130 has a seating groove 134 on which the insulating body 120 is seated, and a second through hol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body 120.
  • fasteners 136 are formed to be mounted on an outer case of a battery module (not shown).
  • the bracket 1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fasteners 136 are formed at four corner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bracket 130 is coupled to the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by a bolt or the like.
  • two linear protrusions 126 are formed in the insulating body 120 in the direction of the bracket 130, and two insertion portions 138 into which the linear protrusions 126 are inserte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 the bracket 130. Perforated Therefore, in the assembling process, the linear protrusions 126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s 138, respectively, so that the insulating main body 120 is stably seated on the bracket 130 at a fixed position.
  • the bus bar 140 has a through hole 142 through which the power terminal 110 penetrates, and a third through hol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insulating body 120 is formed at both end portions thereof. have.
  • the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posi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has a structure that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bolt 162 and by the nut 164.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bus bar and the connecting cable.
  • ring terminals 152 and 154 for connecting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cable 150, and the ring terminal 152 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10.
  • the ring terminal 154 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inside the battery module.
  • the ring terminal 152 of the connecting cable 150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10 is mounted between the insulating main body 120 and the bus bar 140 while being fastened to the power terminal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
  • the ring terminal 152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10 is joined by welding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140 to prevent flow and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 the power termi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uter case of the battery module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the battery module with a stable structure, and easy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modules by a mechanical assembly structure. Do.
  • modularizing the components forming the power terminal can be produced separately from the other components assembled to the battery module, it can be applied to the battery module of a different structure provides an easy expansion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의 입출력을 위한 파워 단자를 포함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로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파워 단자, 상기 파워 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에 체결용 제 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전기 절연성 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파워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3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파워 단자와 접속되고, 타측 단부는 전지모듈 내부의 메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본 발명은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또한, 전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으로 전력계통에 다시 공급해주는 전력 저장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력 저장 장치는 전력 수요가 적을 때 에너지를 저장하고, 과부하 또는 비상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전력 품질 및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전력 저장 장치 및 산업용 또는 상업용 중형 전력 저장 장치는 스마트 그리드 기술과 결부되어 시장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한편,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여야 하고, 전지모듈의 용량이 커질수록 확장성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중대형 전지팩을 구성함으로써 고출력 대용량을 요구하는 디바이스에 상기 중대형 전지팩이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의 일측에 파워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지모듈을 적층 배열한 후, 전지모듈들의 파워 단자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중대형 전지팩을 제조한다.
그러나, 전지모듈들 중 일부 전지모듈의 오작동, 고장에 의한 교체, 검사, 및 전지모듈 연결의 확장 등에 의해 전지모듈들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즉, 전지모듈들의 안정적인 접속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전지모듈들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들의 안정적인 접속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전지모듈들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는,
전지모듈의 입출력을 위한 파워 단자를 포함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로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파워 단자;
상기 파워 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에 체결용 제 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전기 절연성 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파워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3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파워 단자와 접속되고, 타측 단부는 전지모듈 내부의 메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
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는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안정적인 구조로 전지모듈의 입출력이 가능하며, 기계적 조립 구조에 의하여 전지모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파워 단자를 형성하는 부품들을 모듈화 함으로써 전지모듈에 조립되는 다른 부품들과는 별도의 생산이 가능하며, 다른 구조의 전지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파워 단자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나사선이 형성된 구조에 의하여 소정의 접속부재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전지모듈들간의 연결이 가능하며, 연결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너트의 결합도 가능하다.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 브라켓의 제 2 관통구, 및 버스 바의 제 3 관통구는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볼트에 및 너트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제 1 관통구, 제 2 관통구, 및 제 3 관통구는 둘 이상의 다수로 형성되어, 다수의 부위에서 결합을 이룸으로써 조립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파워 단자와 절연성 본체는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접속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접속용 링 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있다.
이러한, 접속 케이블의 일측 단부의 접속용 링 단자는 상기 파워 단자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성 본체 및 버스 바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케이블의 일측 단부의 접속용 링 단자를 상기 버스 바의 일면에 용접함으로써 링 단자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에 절연성 본체가 안착된 구조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성 본체에는 브라켓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절연성 본체가 브라켓에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절연성 본체의 일측 및 대향측 부위에는 각각 제 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 부위 및 그 대향측 단부 부위에 각각 제 1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 부위에는 체결구조의 보호를 위한 측벽이 파워 단자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는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브라켓은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네 모서리 부위에 각각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지모듈은, 양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 및 음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 중 일측에 상기 양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 및 음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버스 바와 접속 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단자 어셈블리(100)는, 파워 단자(110), 절연성 본체(120), 브라켓(130), 버스 바(140), 및 접속 케이블(15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파워 단자(110)는 절연성 본체(120)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절연성 본체(1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본체(120)는 파워 단자(110)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측 단부 부위 및 하측 단부 부위에 각각 제 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관통구들 부위에는 체결구조를 보호하기 위한 측벽(124)이 파워 단자(11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라켓(130)은 절연성 본체(120)가 안착되는 안착홈(134)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본체(120)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모듈(도시하지 않음)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체결구(136)들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130)은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네 모서리 부위에 각각 체결구(136)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절연성 본체(120)에는 브라켓(130) 방향으로 2 개의 선형 돌출부들(126)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130)에는 선형 돌출부들(126)이 각각 삽입되는 2 개의 삽입부들(138)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조립 과정에서, 선형 돌출부들(126)이 각각 삽입부들(138)에 삽입됨으로써 절연성 본체(120)가 브라켓(130)에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버스 바(140)는 파워 단자(110)가 관통되는 관통홈(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단부 부위에는 절연성 본체(120)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3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절연성 본체(120), 브라켓(130), 및 버스 바(140)가 조립되었을 때, 절연성 본체(120)의 제 1 관통구, 브라켓(130)의 제 2 관통구, 및 버스 바(140)의 제 3 관통구는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볼트(162)에 및 너트(164)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버스 바 및 접속 케이블의 구조에 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접속 케이블(150)의 양측 단부에는 접속용 링 단자(152, 15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의 링 단자(152)는 파워 단자(110)와 접속되고, 타측 단부의 링 단자(154)는 전지모듈 내부의 메인 전원와 접속된다. 파워 단자(110)와 연결되는 접속 케이블(150)의 링 단자(152)는 파워 단자(110)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절연성 본체(120) 및 버스 바(1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파워 단자(110)에 접속되는 링 단자(152)는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버스 바(140)의 일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는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안정적인 구조로 전지모듈의 입출력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적 조립 구조에 의하여 전지모듈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다.
또한, 파워 단자를 형성하는 부품들을 모듈화 함으로써 전지모듈에 조립되는 다른 부품들과는 별도의 생산이 가능하며, 다른 구조의 전지모듈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확장성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5)

  1. 전지모듈의 입출력을 위한 파워 단자를 포함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로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파워 단자;
    상기 파워 단자와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에 체결용 제 1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절연성 본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브라켓;
    상기 파워 단자가 관통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 3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파워 단자와 접속되고, 타측 단부는 전지모듈 내부의 메인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단자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구, 제 2 관통구, 및 제 3 관통구는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볼트에 및 너트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단자와 절연성 본체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접속용 링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의 일측 단부의 접속용 링 단자는 상기 파워 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성 본체 및 버스 바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의 일측 단부의 접속용 링 단자는 상기 버스 바의 일면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본체에는 브라켓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절연성 본체의 일측 및 대향측 부위에 각각 제 1접속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본체의 제 1 관통구 부위에는 체결구조의 보호를 위한 측벽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전지모듈의 외부 케이스에 장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구가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단자 어셈블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양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 및 음극 파워 단자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2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가정용 전원장치, 공공시설 전원장치, 대형상점용 전원장치, 비상용 전원장치, 전산실 전원장치, 휴대용 전원장치, 의료설비 전원장치, 소화설비 전원장치, 경보설비 전원장치, 피난설비 전원장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CT/KR2015/000697 2014-03-05 2015-01-23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WO20151337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54674A JP6392886B2 (ja) 2014-03-05 2015-01-23 電池モジュール用パワー端子アセンブリ
CN201580011114.9A CN106062997B (zh) 2014-03-05 2015-01-23 用于电池模块的电力端子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63A KR101688558B1 (ko) 2014-03-05 2014-03-05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KR10-2014-0025863 2014-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33727A1 true WO2015133727A1 (ko) 2015-09-11

Family

ID=5405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697 WO2015133727A1 (ko) 2014-03-05 2015-01-23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92886B2 (ko)
KR (1) KR101688558B1 (ko)
CN (1) CN106062997B (ko)
WO (1) WO20151337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32B1 (ko) * 2018-01-16 2019-09-03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끼움 고정식 단자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955A (ja) * 2009-06-23 2011-01-1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池接続アセンブリ
JP2011258542A (ja) * 2010-06-07 2011-12-22 Sb Limotive Co Ltd バッテリパック
KR20120016350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16446A (ko) * 2012-03-2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40019951A (ko) *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302B2 (en) * 2011-07-28 2016-08-16 Nifco Inc. Electrode constituent member for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955A (ja) * 2009-06-23 2011-01-1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池接続アセンブリ
JP2011258542A (ja) * 2010-06-07 2011-12-22 Sb Limotive Co Ltd バッテリパック
KR20120016350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16446A (ko) * 2012-03-26 2013-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20140019951A (ko) * 2012-08-07 2014-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2886B2 (ja) 2018-09-19
JP2017507459A (ja) 2017-03-16
CN106062997B (zh) 2018-09-28
KR20150104306A (ko) 2015-09-15
CN106062997A (zh) 2016-10-26
KR101688558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5335A1 (ko) 단위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5026202A1 (ko) 연결 구조의 변경이 용이한 적층형 전지모듈
WO2015026103A1 (ko) 전력 저장 장치용 전지팩
TWI504045B (zh) 電池模組及包含此電池模組之電池組
WO2015099476A1 (ko) 서브 모듈들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3089470A1 (ko)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WO2012070782A2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CN103081214B (zh) 具有紧凑结构的电池组
WO2015080421A1 (ko) 카트리지 적층 구조의 전지모듈
WO2015046804A1 (ko) 삽입형 bms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04995760B (zh) 具有新颖结构的电池模块组件
WO2012070783A2 (ko)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WO2013019008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WO2012157856A2 (ko) 전압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5170920A1 (ko) 노이즈 저감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48791A1 (ko) 전압 검출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5026175A1 (ko) 전면에 bms의 통신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5133760A1 (ko) 리셉터클 구조의 전압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8052189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9027149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KR20130116446A (ko) 신규한 구조의 외부 입출력 케이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5133727A1 (ko) 전지모듈용 파워 단자 어셈블리
WO2015026173A1 (ko) 링 단자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4003443A1 (ko) 배터리 모듈
KR102074245B1 (ko) 확장 가능한 구조의 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581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5467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581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