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26026A1 -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26026A1
WO2015126026A1 PCT/KR2014/009349 KR2014009349W WO2015126026A1 WO 2015126026 A1 WO2015126026 A1 WO 2015126026A1 KR 2014009349 W KR2014009349 W KR 2014009349W WO 2015126026 A1 WO2015126026 A1 WO 20151260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 source
vacuum steam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93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ublication of WO20151260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260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09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of the reduced pressure or vacuum steam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5/00Plants characterised by use of means for storing steam in an alkali to increase steam pressure, e.g. of Honigmann or Koenemann type
    • F01K5/02Plants characterised by use of means for storing steam in an alkali to increase steam pressure, e.g. of Honigmann or Koenemann type used in regenerativ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8Instantaneous electrical steam generators built-up from heat-exchange elements arranged within a confined chamber having heat-retain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1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steam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using vacuum steam, and more specifically, to install a double spiral heat exchanger pipe in a hollow heat source generating pipe, and to generate a vacuum steam to perform a heat source function, generating and spraying a vacuum stea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using vacuum steam, in which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is increased and maintained at a high spe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 vacuum steam is a physical phenomenon occurring inside a heat pipe.
  • a liquid such as water or alcohol is put into a pressure-reduced pipe, and when one side is heated, the liquid becomes a vapor and flows to the other. When the heat is radiated there, the liquid returns to the heating part by capillary action.
  • the heat conduction that applies the principle of transferring heat from a heating part to a heat radiating part by repetition of this action is called a heat pipe.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10-2011-0007444) discloses a heating method using such a vacuum technique.
  • the heat medium is accommodated in a vacuum state and the water pipe (circulation) coil is installed to be immersed in the heat medium in a vacuum state, forming a heat source sphere to heat exchange by utilizing the heat source of light and heater It is to achieve.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ouble spiral heat exchanger pipe in a hollow heat source pipe, and generate a vacuum steam to perform a heat source function, but generate a vacuum steam. And it is to provide a heating system using a vacuum steam to increase and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at high speed at the time of injection, greatl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system using a vacuum steam to perform a heating function using a vacuum steam as a heat source, and to simultaneously perform an indoor air heating function and a boiler pipe heating func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heat source portion, and a pip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t source portion and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 the heat source unit includes at least on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in which a vacuum steam is generated, a heat exchange pipe embedded in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filled with heating water, and formed of a double spiral structure, and installed at a bottom of the heat exchange pipe to generate injection force when a vacuum steam is generated.
  • An injection nozzle part for improving a heater part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and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heat medium and heating and generating heat to generate and spray a vacuum steam, and a sealing part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acuum sealing valve for controlling the vacuum pressure inside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is installed on the top sealing portion and the top sealing por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heating import and export portion is exposed.
  •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is a conical multi-stage structur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formed around each stage, and an accommodation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tage and the stage.
  • the injection nozzle portion is composed of a sus material.
  • a heating water supplement is further formed on the top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 the out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is equipped with a case portion having a heat dissipation fi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base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 the cover portion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upper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double spiral heat exchanger pipe in a hollow heat source pipe, and generates a vacuum steam to perform a heat source function,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pipe increases rapidly at the time of generating and spraying the vacuum steam. It provides the advantage that greatly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heating function using the vacuum steam as a heat source,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perform the indoor air heating function and the boiler pipe heat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system using a vacuum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heat sou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spray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ting system using a vacuum st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t source part 100 has a case portion 1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92, the cover portion 192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180, the base portion ( The water discharge pipe P1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191 is connected to the base 192 again via the water pipe P2 through the pipe 200.
  • the heat source unit 100 performs space heating in a place installed by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and the pipe unit 200 is buried in the bottom surface to perform a floor heating function by the heating water circulating the pipe.
  •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181 ar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unit 180 to increas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 Reference numeral M denotes a heating water circulation pump.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sour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 the heat source unit 100 is at least one or mor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the vacuum steam is generated, heat exchange pipe 120 is formed in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the heating water is filled and formed in a double spiral structure, and the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and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for improving the spraying force and induce the temperature rise efficiency when the vacuum steam generation,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accommodates a predetermined heat medium
  • the upper sealing unit 150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and the upper sealing unit 150 includes a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160 to adjust the vacuum pressure inside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 a heating water supplement part 170 is furth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to replenish the heating water in the heat exchange pipe 120 and the pipe.
  • the heat source generation pipe 110 maintains a vacuum state and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heat by a vacuum steam generated therein.
  • the heat exchange pipe 120 is formed to have a spiral structure downward from the upper inlet 121 and formed to overlap the double spiral structure upward from the lowest point to reach the upper water outlet 122.
  •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vacuum steam generated inside the heat source generation pipe 110 is maximized, so that heat exchange with the heating water flowing therein is made quickly and efficiently. will be.
  •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the configuration is a conical multi-stage structure formed with a through hole 131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ure 4,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32 around each stage It is formed,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ceiving groove 133 is formed between the end and the medium is accommodated.
  •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receives the vacuum steam generated by the heater unit 140 at the bottom and is injected into the heat exchange pipe 120 mainly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 Through 132, the vacuum steam is further atomized to allow ultra-fast injection throughou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 the spraying operation through the atomization of the vacuum steam gives an effect of evenly contacting the hot steam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temperature rise time.
  •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is made of a sus (SUS) material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 the spray grate 130 is composed of a sustain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thermal conductivity, so that the temperature rises easily by the vacuum steam and maintains the elevated temperatur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in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For sake.
  • de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while the initial high temperature high pressure steam contacts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In this case, the generated water droplets (dew) fall down through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 the water drops falling at this time are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heater 140, but are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33 of the injection nozzle 130.
  •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are relatively low temperature water, and when the water flows directly into the heat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eating efficiency drops rapidly.
  • the heater 14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is located, the plurality of heaters 143 is mounted downward.
  • the heater mounting groove 142 is formed, and around the heater mounting groove 143, a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receiving a certain amount of the heat medium.
  • the heat medium fill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is preferably wa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heater 140 heats the water fill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by the heat of the heater 143, and the water fill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by the heating generates a heat source in a vacuum state.
  • the inside of the pipe 110 is physically converted to high pressure steam and starts to be sprayed.
  • the vacuum steam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ter unit 140 is injected into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after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heat exchange pipe 120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ccommodating the heat medium in a droplet state again. Repeating the operation flowing into the groove 142 serves as an energy source of the heat source drive.
  • Reference numeral 144 is a heater 143 support.
  • the upper airtight part 150 is installed to be seal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is configured to expose the heating water inlet 121 and the water outlet 122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 the inlet portion 121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iping unit 200 through the return pipe (P2), the outlet portion 122 is connected to the heating water supplement 170, the connection pipe of the heating water supplement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piping unit 200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P1).
  • the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160 is installed in the top sealing part 150 to control the vacuum pressure inside the heat source generation pipe 110,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 the piston 164 is elastically embedded in the piston 164 by the spring 163 in the coupling body 161 to form a through hole (161a) in the center and the fixing cap 32 is screwed to the coupling body )
  • the fixing cap 162 is screwed with the nut 165 and the support bolt 165a located in the front to maintain the airtight and the nut
  • Loosen the 165 and the vacuum cap of the vacuum pump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lt 165a and is opened by the piston pressurized to configure the vacuum inside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 the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1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ne embodiment, and various design changes are possible.
  • the heating water refill unit 170 is a place where the heating water is charged, the cap portion 171 for filling the heating water, a plurality of outlet holes 17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fastening and fastening to the outlet hole 172 And a connector 173 to be provided.
  •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 first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and the second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 may be composed of the same configuration.
  • the inlet portion 121 'of the second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eating and supplementary portion 170 ', the connecting pipe 173' of the second heating and supplementary portion 170 '. ) Extends downward and connects to the outlet pipe P1 of the pipe part 200.
  • connection configuration effectively connects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 the outer portion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is equipped with an eight-shaped case portion 180 having a heat dissipation fin 18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base portion 191 is installed below the case portion 180 .
  • a cover portion 19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portion 170.
  • the water (heat medium) is fill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of the heater unit 140 through the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160, and then the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 160. Through) makes the insid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in a vacuum state.
  • the second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 is also made the same.
  • the heater 143 When the heater 143 is heated, the water filled in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starts to be heated,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to a constant temperature, the water is converted into steam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ing pipe 110, that is, the injection nozzle part ( 130) to perform a high temperature vacuum steam spray.
  • the high temperature vacuum steam injected from the heat medium accommodating groove 142 of the heater unit 140 instantly heats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which is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introduces the introduced vacuum injection steam.
  •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is mainly injected into the heat exchange pipe 120, and further atomiz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32 to perform ultra-high speed steam injection throughou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Done.
  •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pipe 120, the heat exchange is mad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ater in the heat exchange pipe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generation pipe 110 is increased.
  • the water drops falling at this time are not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heater unit 140, but are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s 133 of the injection nozzle unit 130, rise back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n flow into the heater unit 140, thereby heating the heater unit. To make it good.
  • the heating water having a temperature rise inside the heat exchange pipe 120 includes a second heat exchange pipe 120 ', a heating water supplement part 170, 170', a water outlet pipe P2, an inlet pipe P1, and a pipe part. Perform a floor heating function while circulating 200.
  •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heat source generating pipes 110 and 110 ′ performs a space heating function in the room through the outer case part 180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18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형 열원발생 파이프에 이중 나선형 열교환 파이프를 내장 설치하고, 진공스팀을 발생시켜 열원기능을 수행토록 하되, 진공스팀의 생성 및 분사 시에 열원발생 파이프의 내부 온도가 고속으로 상승되고 또 유지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원부와, 상기 열원부로부터 연장되고 실내공간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부는 진공스팀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열원발생파이프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에 내장되며 난방수가 충전되고 이중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공스팀 발생 시 분사력을 향상시키고 온도상승 효율을 유도하는 분사노즐부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열매체를 수용하며 히팅 발열하여 진공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는 히터부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상단에 밀봉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난방수입수부와 출수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단밀폐부와, 상기 상단밀폐부에 설치되어 열원발생파이프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진공압조절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본 발명은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형 열원발생 파이프에 이중 나선형 열교환 파이프를 내장 설치하고, 진공스팀을 발생시켜 열원기능을 수행토록 하되, 진공스팀의 생성 및 분사 시에 열원발생 파이프의 내부 온도가 고속으로 상승되고 또 유지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진공스팀은 히트파이프(heat pipe) 내부에서 발생되는 물리적 현상이다.
상기 히트파이프란 감압한 파이프 내부에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액체를 넣고 한쪽을 가열하면 액체가 증기로 되어 다른 쪽으로 흐르고, 그곳에서 방열하여 액체가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가 가열부로 되돌아온다. 이 작용의 반복으로 열을 가열부에서 방열부로 전달하는 원리를 응용한 열전도를 히트 파이프라고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10-2011-0007444)에는 이와 같은 진공기술을 이용한 난방방법이 개시된다.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출탕구와 환수구를 구비하고 열매체가 진공상태로 수용되며 수관(순환) 코일이 진공상태의 열매체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열원구체를 형성하여 빛과 히터의 열원을 활용하여 열교환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공스팀 방법은 수관코일이 진공상태의 열매체에 잠기는 형태의 구성으로 순환되는 코일속의 물이 열매체를 냉각하게 됨으로써, 진공 속에서의 열매체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런 구조는, 순환되는 물의 량과 진공상태의 열매체와 난방을 하고자하는 면적을 동시에 모두 온도 상승시켜야 보일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열원의 용량이 대용량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대용량이라 하여도 난방면적에 따라서 방출되는 열로 인하여 장시간의 가열을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형 열원발생 파이프에 이중 나선형 열교환 파이프를 내장 설치하고, 진공스팀을 발생시켜 열원기능을 수행토록 하되, 진공스팀의 생성 및 분사 시에 열원발생 파이프의 내부 온도가 고속으로 상승되고 또 유지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스팀을 열원으로 하여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수행하되, 실내 공기 난방기능과 보일러 배관 난방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원부와, 상기 열원부로부터 연장되고 실내공간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부는 진공스팀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열원발생파이프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에 내장되며 난방수가 충전되고 이중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공스팀 발생 시 분사력을 향상시키는 분사노즐부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저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열매체를 수용하며 히팅 발열하여 진공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는 히터부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상단에 밀봉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난방수입수부와 출수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단밀폐부와, 상기 상단밀폐부에 설치되어 열원발생파이프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진공압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분사노즐부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뿔형태의 다단 구조체로, 각 단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단과 단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분사노즐부는 서스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상단에는 난방수보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열원발생파이프의 외부에는 외주면에 방열핀이 형성된 케이스부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에는 베이스부가,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공형 열원발생 파이프에 이중 나선형 열교환 파이프를 내장 설치하고, 진공스팀을 발생시켜 열원기능을 수행토록 하되, 진공스팀의 생성 및 분사 시에 열원발생 파이프의 내부 온도가 고속으로 상승되도록 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스팀을 열원으로 하여 이용하여 난방기능을 수행하되, 실내 공기 난방기능과 보일러 배관 난방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원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원부의 주요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부의 확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부의 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압조절밸브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진공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열원부(100)와, 상기 열원부(100)로부터 연장 설치되고 실내공간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배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열원부(100)는 베이스부(192)의 상부에 케이스부(18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부(180)의 상부에는 덮개부(192)가 설치되는 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9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출수관(P1)이 배관부(200)를 통해 환수관(P2)을 거쳐 다시 베이스부(192)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열원부(100)는 외부로 열기를 발산하여 설치된 장소의 공간 난방을 수행하며, 상기 배관부(200)는 바닥면에 매립되어 배관을 순환하는 난방수에 의해 바닥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부(18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181)이 더 형성되어 열 발산 효율을 상승시켜준다.
미설명 부호 M은 난방수 순환펌프이다.
상기 열원부(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원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주요부분 측단면도이다.
상기 열원부(100)는 진공스팀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열원발생파이프(11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에 내장되며 난방수가 충전되고 이중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열교환파이프(120)와,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공스팀 발생 시 분사력을 향상시키고 온도상승 효율을 유도하는 분사노즐부(13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열매체를 수용하며 히팅 발열하여 진공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는 히터부(14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상단에 밀봉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난방수입수부(121)와 출수부(122)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단밀폐부(150)와, 상기 상단밀폐부(150)에 설치되어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진공압조절밸브(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상단에는 난방수보충부(17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파이프(120) 및 배관에 난방수를 보충하여 주게 된다.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내부에서 발생된 진공스팀에 의해 발열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열교환파이프(120)는 상단의 입수부(121)를 시작으로 하방으로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최저점에서 다시 상방으로 이중 나선형 구조로 겹치게 형성되어 상부 출수부(122)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이중 나선형구조에 의해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공스팀과 접촉되는 표면적이 최대화되어, 내부에 흐르는 난방수와의 열교환이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로, 그 구성은 도 4에서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원뿔형태의 다단 구조체로, 각 단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32)이 형성되고, 단과 단 사이에는 매체가 수용되는 수용홈(133)이 형성되도록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하부의 히터부(140)에서 발생되어 분사되는 진공스팀을 입력받아 관통공(131)을 통해서는 주로 열교환파이프(120)의 내측으로 분사시키고, 다수개의 분사공(132)을 통해서는 진공스팀을 더욱 더 미립 화하여 열교환파이프(120)의 외측둘레 전반에 걸쳐 초고속 분사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진공스팀 미립화를 통한 분사동작은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 전반에 걸쳐 골고루 고온스팀이 접촉되는 효과를 부여하여 온도상승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열전도도가 높은 서스(SUS)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늘부(130)를 서스재질로 구성한 이유는 열전도도가 높아, 진공스팀에 의해 쉽게 온도상승하고, 또 상승된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의 온도상승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은 분사노즐부(130)를 통한 분사 동작이 수행되면, 초기 고온의 고압 스팀이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는 이슬이 맺히게 되고, 이때 생성된 물방울(이슬)은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낙하되는 물방울들은 히터부(140) 측으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수용홈(133)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들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물로, 이 물이 후술하는 히터부(140)로 바로 유입되면 히팅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들이 고온의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수용홈(133)에 채워지면서 온도가 자체 상승하게 된 후, 이후 수용홈(133)으로부터 넘쳐 흘러내려 히터부(140)로 유입되더라도 저온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히팅효율이 크게 상승하게 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상기 히터부(140)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저면, 분사노즐부(130)가 위치한 부위에 밀봉 설치되는 것으로, 하방으로 다수개의 히터(143)가 장착되는 히터장착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장착홈(143)의 둘레에는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열매체가 일정량 수용되는 열매체수용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열매체수용홈(142)에 충전되는 열매체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히터부(140)는 히터(143)의 발열로 열매체수용홈(142)에 충전된 물을 가열시켜주며, 이러한 가열에 의해 열매체수용홈(142)에 충전된 물은 진공상태의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에서 고압 스팀으로 물리적 변환되어 분사되기 시작한다.
상기 히터부(14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진공스팀은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로 분사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열교환파이프(120)와 열교환을 수행한 후, 물방울 상태로 다시 열매체수용홈(142)으로 유입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열원구동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상기 히터부(140)에서 진공스팀을 생성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온도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44은 히터(143) 지지부이다.
상기 상단밀폐부(150)는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상단에 밀봉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난방수 입수부(121)와 출수부(12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수부(121)는 환수관(P2)을 통해 배관부(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출수부(122)는 난방수보충부(170)에 연결되고, 난방수보충부의 연결관이 출수관(P1)을 통해 배관부(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압조절밸브(160)는 상단밀폐부(150)에 설치되어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밸브로, 그 구성은 도 6에서와 같이 구성된다.
즉 중앙에 통공(161a)을 형성하는 결합 몸체(161)와, 상기 결합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캡(32)의 내부에 스프링(163)에 의해 피스톤(164)을 탄성 내장하여 상기 피스톤(164)이 고정캡(162)의 입구공(162a)을 기밀 차단하되, 상기 고정캡(162)은 전방에 위치하는 너트(165)와 지지볼트(165a)로 나사 결합하여 기밀을 유지함과 함께 상기 너트(165)를 풀고 진공펌프(미 도시)의 진공캡을 지지볼트(165a)에 연결하고 피스톤 가압에 의해 개방하여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를 진공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압조절밸브(160)는 일실시예이며,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난방수보충부(170)는 난방수가 충전되는 곳으로, 난방수를 충전할 수 있는 캡부(171)과,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출입공(172)와, 상기 유출입공(172)에 탈착 체결되는 연결관(17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열원발생파이프(110)와, 제2열원발생파이프(11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서로 동일하다.
다만, 2개의 열원발생파이프(110,110')이 사용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제1열원발생파이프(110)의 입수부(121)와 제2열원발생파이프(110')의 출수부(122')를 연결하고, 제1열원발생파이프(110)의 출수부(122)를 제1난방수보충부(170)에 연결하며, 상기 제1난방수보충부(170)의 연결관(173)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배관부(200)의 환수관(P2)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열원발생파이프(110')의 입수부(121')를 제2난방수보충부(170')에 연결하며, 상기 제2난방수보충부(170')의 연결관(173')을 하방으로 연장하여 배관부(200)의 출수관(P1)에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구성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복수개 사용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연결하여 준다.
한편,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외부에는 외주면에 방열핀(181)이 형성된 8자 형태의 케이스부(180)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부(18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9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170)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19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진공압조절밸브(160)를 통해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에 물(열매체)을 히터부(140)의 열매체수용홈(142)에 충전되도록 하여 준 후, 진공압조절밸브(160)를 통해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제2열원발생파이프(110')도 동일하게 하여준다.
그런 다음, 각 히터부(140,140')의 히터(143)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상기 히터(143)가 발열되면 열매체수용홈(142)에 충전된 물은 가열되기 시작하고 일정한 온도로 상승되면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진공압에 의해 스팀으로 변환되어 상부, 즉 분사노즐부(130)로 고온의 진공 스팀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히터부(140)의 열매체수용홈(142)으로부터 분사된 고온의 진공 스팀은 고전도성 재질인 분사노즐부(130)를 순간 가열시키고, 동시에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유입된 진공 분사 스팀을 관통공(131)을 통해서는 주로 열교환파이프(120)의 내측으로 분사시키고, 다수개의 분사공(132)을 통해서는 더욱 미립화시켜 열교환파이프(120)의 외측둘레 전반에 걸쳐 초고속 스팀 분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고온의 고압 스팀이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교환파이프(120) 내부의 난방수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열원발생파이프(110)의 내부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스팀 분사에 따른 온도가열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에 맺히는 물방울(이슬)은 열교환파이프(120)의 표면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낙하되는 물방울들은 히터부(140) 측으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분사노즐부(130)의 수용홈(133)에 채워지면서 일정한 온도로 다시 상승한 다음 히터부(140)로 유입되어 히터부의 히팅효율을 좋게 하여준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파이프(120) 내부에서 온도 상승된 난방수는 제2열교환파이프(120'), 난방수보충부(170)(170'), 출수관(P2), 입수관(P1) 및 배관부(200)를 순환하면서 바닥 난방기능을 수행한다.
동시에 제1 및 제2열원발생파이프(110,110')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는 외부 케이스부(180) 및 방열핀(181)을 통해 실내의 공간난방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Claims (5)

  1. 열원부(100)와, 상기 열원부(100)로부터 연장되고 실내공간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배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부(100)는 진공스팀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열원발생파이프(11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에 내장되며 난방수가 충전되고 이중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열교환파이프(120)와,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저면에 설치되고 진공스팀 발생 시 분사력을 향상시키는 분사노즐부(13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소정의 열매체를 수용하며 히팅 발열하여 진공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는 히터부(140)와,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상단에 밀봉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파이프(120)의 난방수입수부(121)와 출수부(122)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단밀폐부(150)와, 상기 상단밀폐부(150)에 설치되어 열원발생파이프(110) 내부의 진공압을 조절하는 진공압조절밸브(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원뿔형태의 다단 구조체로, 각 단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분사공(132)이 형성되고, 단과 단 사이에는 수용홈(1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130)는 서스(SUS)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상단에는 난방수보충부(17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발생파이프(110)의 외부에는 외주면에 방열핀(181)이 형성된 케이스부(180)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부(18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91)가,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19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PCT/KR2014/009349 2014-02-18 2014-10-02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WO20151260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327A KR101419680B1 (ko) 2014-02-18 2014-02-18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2014-0018327 2014-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026A1 true WO2015126026A1 (ko) 2015-08-27

Family

ID=5174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9349 WO2015126026A1 (ko) 2014-02-18 2014-10-02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9680B1 (ko)
WO (1) WO2015126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762B1 (ko) 2017-05-30 2018-06-26 (주)온누리에스앤에이치 히트파이프 원리를 이용한 냉온수 매트
CN107436031A (zh) * 2017-08-29 2017-12-05 力聚热力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双气体燃料真空锅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20U (ko) * 1997-02-25 1998-10-26 이길희 난방용 히트 파이프식 라디에이터
KR20010103404A (ko) * 2000-05-10 2001-11-23 손재익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유니트 난방기
KR200338033Y1 (ko) * 2003-10-07 2004-01-07 신아에이티(주) 난방용 열교환기
KR101290833B1 (ko) * 2013-04-16 2013-07-29 김영남 진공 나선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난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151A (ko) * 2009-04-15 2010-10-25 한용희 이동식 라디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620U (ko) * 1997-02-25 1998-10-26 이길희 난방용 히트 파이프식 라디에이터
KR20010103404A (ko) * 2000-05-10 2001-11-23 손재익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유니트 난방기
KR200338033Y1 (ko) * 2003-10-07 2004-01-07 신아에이티(주) 난방용 열교환기
KR101290833B1 (ko) * 2013-04-16 2013-07-29 김영남 진공 나선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680B1 (ko)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2952B (zh) 取暖用自循环锅炉
WO2015126026A1 (ko) 진공 스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CN209267461U (zh) 一种拆装方便的光伏设备逆变器散热装置
CN117287295B (zh) 一种发电机组
CN102031946B (zh) 油嘴套加热装置
CN102606429B (zh) 热辐射内循环发电装置
CN204869772U (zh) 一种电加热热压机
KR101939708B1 (ko) 유수 가열식 구조를 갖는 전기 온수 보일러
CN102635892A (zh) 取暖、洗浴一体化装置
KR200419870Y1 (ko) 전기 보일러
WO2018221968A1 (ko) 히트파이프 원리를 이용한 냉온수 매트
CN207568882U (zh) 一种电泵与控制器的一体式结构
KR101212570B1 (ko) Led를 이용한 난방 패널
WO2014073796A1 (ko) 퇴수콕크가 일체화된 바이패스밸브를 구비한 보일러 및 밸브조립체
CN220229338U (zh) 一种自循环加热的暖气
CN205878313U (zh) 一种新型电暖器
CN103216931B (zh) 电热式节能开水生产线装置
CN203893290U (zh) 自然对流式电暖器及自然对流式供热装置
KR200398059Y1 (ko) 전기 온풍기
CN208059336U (zh) 一种模块化内套筒式新型壁挂太阳能水箱
CN201531991U (zh) 高效余热回收的纳米开水器
KR100881432B1 (ko) 대류를 이용한 보일러
KR200281430Y1 (ko) 전기온수 난방장치
KR200409020Y1 (ko) 전기 온풍기
CN2378681Y (zh) 节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29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9/12/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29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