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19358A1 -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 Google Patents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19358A1
WO2015119358A1 PCT/KR2014/010358 KR2014010358W WO2015119358A1 WO 2015119358 A1 WO2015119358 A1 WO 2015119358A1 KR 2014010358 W KR2014010358 W KR 2014010358W WO 2015119358 A1 WO2015119358 A1 WO 20151193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enofibrate
nanoparticles
gelatin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3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한곤
김동욱
박종혁
메무드 유사프아비드
용철순
김종오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51193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1935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Dendrimers
    • A61K9/5169Proteins, e.g. albumin, gelat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anoparticles in which a gelatin-containing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fenofibrate, wherein the nanoparticles do not contain ethanol or contain 0.2 wt% or less.
  • fenofibrate is known as isopropyl 2- [4- (4-chlorobenzoyl) phenoxy] -2-methelpropanoate and is mainly used as a treatment for hyperlipidemia.
  • fenofibrate is a very poorly soluble drug in water and therefore difficult to dissolve in water-soluble media and exhibits an unsatisfactory dissolution profi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low bioavailability due to poor absorption in the living body after oral administration.
  • fenofibrate itself is known to have a homogeneous absorption and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due to food effects.
  • European Patent No. 0330532 discloses a co-mi croni zed mixture of surfacta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and fenofibrate up to 15 iM or less. It has been previously marketed as Lipidylsufram TM tablets in a tablet form that is free of food effects.
  • International Application Publication No. WO99 / 29300 discloses a formulation in the form of self-emulsifying preconcentrates to reduce food effects on fenofibrat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70,420 uses ethanol-methylene in which poorly soluble drugs dissolve the coating material by using texturing and gelatin as a coating material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of poorly soluble drugs such as ibuprofen and digoxin. After dissolving in an aqueous chloride solution, the solution is instantaneously dried using a spray dryer to evaporate only water, and the fenofibrate-ethanol solution discloses a solid elixir surrounded by a coating material. The solid elixirs are ibuprofen and digoxin, etc.
  • sikyeoteuna increase the solubility, dissolution and in vivo availability of poorly soluble drugs strength group ⁇ hagieneun application to siljepum the product strength is very weak because it made of a low polymer of dextrin and gelatin liquidity I have a problem.
  • the present inventors allow ethanol dissolved in fenofibrate to pass through the gelatin membrane and evaporate with water so that fenofibrate alone or without ethanol is present in the gelatin membrane. These nanoparticles were confirmed that the fluidity of the microspheres and the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fenofibrate was improved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anoparticle having a gelatin-containing coating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fenofibrate, the nanoparticles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nanoparticles 50 to 88% by weight of gelatin and 12 to 50% by weight of fenofibrate, and the inside of the nanoparticles to provide a nanoparticle containing no ethane or less than 0.2% by weigh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mixed solution by mixing fenofibrate-dissolved ethanol and gelatin aqueous solution, or to prepare a mixed solution of fenofibrate and gelatin dissolved in a mixture of ethane and water; And spray drying the mixed solution at an intake temperature of 110 to 120 ° C. to provide nanoparticles.
  •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gelatin as a coating material, and have excellent fluidity of microspheres, and existing drugs are surrounded by a coating material together with ethanol and have poor fluidity, and 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fenofibrate are improved.
  • Figure 1 shows a SEM photograph of the composition of fenofibrate 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s.
  • Figure 2 shows the dissolution rate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fenofibrate-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s and fenofibrate powder.
  • Figure 3 illustrates by comparing the pharmacokinetics of the composition and the fenofibrate powder of gelatin nanoparticles containing fenofibrat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nanoparticle in which a gelatin-containing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outside of fenofibrate, the nanoparticle is 50 to 88% by weight gelatin and 12 to 50% by weight of fenofibrate It contains 3 ⁇ 4, the inside of the nanoparticles is not related to nanoparticles that do not contain ethanol or less than 0.2% by weight.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nanoparticles
  • Ethane has a lower boiling point than water, so if it is simply evaporated, it will fly before water.However, if gelatin is dried by adding gelatin that is affinity for water but insoluble in ethanol, the concentration of gelatin on the surface may be increased by initial evaporation. It increases, forming a kind of film. The membrane acts as a selective membrane,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the vapor and evaporate, but ethanol will remain inside because it cannot pass through the membrane. So the water evaporates and the ethane gets gelatin nanoparticles surrounded by this membrane. This phenomenon occurs efficiently in the instantaneous drying method, so it is necessary to use a spray dryer. Gelatin nanoparticles can be obtained by spraying the resulting solution in a spray dryer, but since the composition contains ethane, the gelatin nanoparticles are sticky and stick together, so stability is a problem.
  • the present inventors in the spray dryer to the internal temperature of more than iio ° c, ethane dissolves fenofibrate is passed through the gelatin membrane and evaporated with water so that fenofibrate alone in the gelatin membrane without ethane, or ethane is 0.2% It produced nanoparticles present in less than.
  • the inside of the nanoparticles may be nanoparticles that do not contain ethanol or contain less than 0.01% by weight.
  • Gelatin which is a coating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perty of dissolving ethane well in water, but not in water.
  • ethanol as the solvent.
  • Commercially available ethane may be selected from spirits and absolute ethanol.
  • gelatin and fenofibrate are dissolved using a mixture of ethanol and water, or fenofibrate is dissolved in ethanol and gelatin in water, respectively, and then mixed, and then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pray dried.
  • the composition can be prepared.
  • the ethanol content can be adjusted to the intake air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spray drying.
  • the intake temperature is preferably not more than not, more preferably may be not: to i20 ° C.
  • the air intake temperature is less than iio ° c during spray drying, the content of ethane in the gelatin nanoparticle composition is 2% by weight or more, and the nanoparticles adhere to each other. It can be difficult to commercializ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noparticles having a solubility in water of 10 yg / ml or more at room temperature. have.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noparticles having an angle of repose of 35 ° or less at room temperatur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noparticles having a dissolution rate of fenofibrate of 80 wt% or more within 1 hour when the dissolution rat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Paddle method of the Korean Pharmacopoeia Dissolution Test Method 2.
  • compositions comprising nanoparticles comprising the fenofibrat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nanoparticles.
  • the excipient means an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ingredient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 suitable excipients which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1) lactose, lactose, manny, cellulose, sorbide, and the like, or any combination thereof, and 2) colloidal silicon dioxide, talc.
  • Lubricants of any of these or any combination thereof 3) magnesium stearate, stearic acid, hydrogenated oil, sodium stearyl fumarate or the like or lubricants of any combination thereof, 4) coloring agents or preservatives.
  • the types of excipi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listed above, and various excipients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unit packaging as it is, or may be used by stratifying the skin by unit dose.
  • the fenofibrate was dissolved in ethane and gelatin was dissolved in water, and then mixed and spray-dried (Buchi Mini-spray dryer, Buchi, German) at room temperature in a composition as shown in Table 1, followed by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 8 was prepared.
  • the spray drying conditions were a solution rate of 7 ml / min and an intake temperature of 110 ⁇ 120 ° C.
  • an inlet temperature of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are each 70 - was 80 ° C, 90 ⁇ 100 ° C.
  • 1 is a SEM photograph of the prepared Example 1.
  • the composi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were determined by SEM photographs to determine that gelatin nanoparticles could not be prepared.
  •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prepared above were dissolved in 10 ml of acetonitrile-purified water (1.5 ml / ml), respectively, and filtered through a Millipore filter, and the ethanol content of the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 GC gas liquid chromatography
  • Poracak Q chromosorb 101 column (porapak Q, Chromosorb 101 column) was used, and nitrogen gas was used as a carrier gas.
  • the temperatures of the column, detector and injector were 80, 160 and 130 ° C., respectively.
  • Ethanol content results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are shown in Table 2, and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have an inspiratory silver content of 110 to 120 ° C regardless of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In the case it contains little ethane.
  •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were prepared by changing only the same composition or intake temperature conditions (70-80 ° C and 90 ⁇ 100 ° C) as in Example 1, in which case the content of ethane higher than 2% by weight Content is indicated.
  • Examples 1 to 5 Comparative Examples 1 to 4, 7, 8, and fenofibrate powder prepared above were added to 1 ml of purified water, and placed in an eppendorf tube,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7 days. This solution was filtered through a Millipore filter. The solubility of fenofibrate was then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HPLC conditions were C18 column (25 cm X 0.46 cm I .D., Particle size 5.0 j3 ⁇ 4m), blood flow rate 2 ml / min, injection volume 100 uL, UV wavelength 285 nm, column temperature 30 ° C and The mobile phase was acetonitrile / water (phosphate 0, 1 addition) (54/46).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solubility of fenofibrate powder is 0.35 ⁇ 0.05 yg / ml, almost in water
  • the ratio of gelatin in the composition of the nanoparticles in the composition of the nanoparticle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exceeds 88% by weight,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solubility, but the fenofibrate solubility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s 5 ug / ml or less.
  • the solubility is 10 to 20 ug / ml, indicating that the poorly soluble fenofibrate solubility is increased by about 30 times or more. It was.
  •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are gelatin nanoparticles prepared by changing only the same composition and intake temperature conditions (70 to 80 ° C. and 90 to 100 ° C.) as in Example 1, and in Example 2, about 2 wt% of ethanol It was evaluated to contain more than%, but when comparing the solubility of Example 1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lubility of the drug.
  • Example 4 Dissolution evaluation of fenofibrate-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above (20 mg equivalent of fenofibrate) and fenofibrate powder (20 mg equivalent of fenofibrate) were laminated on a hard saccharel, followed by two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a dissolution test was carried out at 36.5 ° C. in 900 ml of an aqueous solution of Tween 80 2% (w / v) by a two-method paddle method. Samples were taken at a given time, filtered with a Millipore filter, and quant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periment 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 Example 2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administered 20 mg / kg equivalent dose of fenofibrat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higher initial dissolution rate when comparing the dissolution rate with fenofibrate powder. In particular, at 30 minutes, the dissolution rate was about 4 times higher than that of fenofibrate powder. Therefore,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composition of the new fenofibrate-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s confirmed that the dissolution rate of fenofibrate is large.
  • Experimental Example 5 In vivo kinetics of fenofibrate-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 composition
  • Example 1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above (administered 20 mg / kg equivalent dose of fenofibrate) and fenofibrate powder (administered 20 mg / kg equivalent dose of fenofibrate) were charged into microcapsules, and then rats (Ma le) with 0.01 ml of water. Sprague- Dawl ey rat s, 250-300 g) were administered orally to each of six animals.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femoral artery and cut back by adding acetonitrile containing internal standard solution (clofibric acid).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was volatilized with nitrogen gas, a mobile phase was added, and quantif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periment 2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Example 1 administered 20 mg / kg equivalent amount of fenofibrate as shown in FIG. 3 showed that the blood concentration was very high when fenofibrate powder and blood concentration were compared.
  •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UC and Cmax, especially in the case of AUC, which was about 5 times higher than the powder ⁇
  • a new fenofibrate-containing gelatin The composition of nanoparticles has been shown to greatly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fenofibrate,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creased dissolution rate followed by an increase in solubility by fenofibrate containing gelatin nanoparticles.
  • Example 1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above was stored at 25 ° C. for 12 month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fenofibrate. About 1 g of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stirred with 10 ethanol, filtered with a Millipore filter, and quantif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periment 2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Example 6 the fenofibrate content and properties in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12 months, in particular, the powder did not stick to each other and did not cause coarse phenomenon at 98% at 25 ° C. The above was maintained. From this it could be determined that the formulation is stable for at least 1 year at 25 ° 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0.2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세세
【발명의 명칭】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기술분야】
본 발명은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0.2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페노피브레이트의 화학명은 이소프로필 2-[4-(4- 클로로벤조일)페녹시 ]-2-메텔프로파노에이트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고지할증 치료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페노피브레이트는 물에 매우 난용성인 약물이기 때문에 수용성 매질에 녹이기 어렵고, 만족스럽지 못한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구 복용 이후에 생체 내에 흡수가 저조하여 생체이용를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페노피브레이트는 그 자체가 음식물 영향으로 인해 생체 내 흡수가 균일하지 않고 개체차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페노피브레이트의 수난용성을 해결하고 생체이용를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럽특허 게 0330532호는 라우릴 황산나트륨과 같은 계면활성제와 페노피브레이트의 15 iM 이하의 미분화된 흔합물 (co- mi croni zed mixture)을 개시한 바 있으며, 식이영향 ( food ef fect )을 받지 않는 정제 형태의 제제로서 현재 리피딜슈프라 TM정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국제출원공개 제 W099/29300호는 페노피브레이트에 대한 음식물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체 -유화 예비농축물 형태의 제형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52 , 089호는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경구용 마이크로에멀견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생체이용율 개선효과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또는 에탄을과 같은 히드록시 알칸의 사용으로 인한 문제, 예를 들어 히드록시 알칸이 젤라틴 피막을 통해 휘산하여 조성비나, 성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에멀젼 제제는 얻어지는 고형 제제 즉젤라틴 캡슐제의 부피가 너무 커서 환자의 복용 순웅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770 , 420호는 이부프로펜 및 디곡신 등 난용성 약물의 생체내이용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텍스트린 및 젤라틴 등을 피막물질로 사용하여 난용성 약물을 피막물질이 녹아 있는 에탄올- 메칠렌클로라이드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이 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건조시켜 물만 증발시키고 페노피브레이트-에탄올용액은 피막물질에 둘러싸여진 고형엘릭실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고형엘릭실제는 이부프로펜 및 디곡신 등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 용출 및 생체내이용율을 증가시켰으나 강도기 약한 고분자인 덱스트린 및 젤라틴 등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실제품으로 응용하기에는 이 제품이 강도가 매우 약하고 유동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게 694 , 235 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부프로펜 및 이트라코나졸 등 난용성을 해결한 젤라틴 초미세미립구를 개발하였다. 이 상기 미립구는 젤라틴 및 메칠셀를로오스로 제조하여 강도는 해결하였으나 미립구 내에 에탄올이 함유가 되어 있어 경시변화시 만족할만한 안정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지혈증 치료제인 페노피브레이트의 생체 이용율을 증가시킨 새로운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나노입자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페노피브레이트흩 녹인 에탄올이 젤라틴막을 통과하여 물과 함께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젤라틴막 안에 페노피브레이트가 에탄올 없이 단독으로 있거나, 에탄올이 0. 미만으로 존재하는 나노입자를 제조하였고 이러한 나노입자는 미립구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페노피브레이트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나노입자 총 중량에 대하여 젤라틴 50 내지 88중량 ¾> 및 페노피브레이트 12 내지 50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을을 포함하지 않거나 0.2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페노피브레이트가 용해된 에탄올 및 젤라틴 수용액을 흔합하여 흔합용액을 제조하거나, 페노피브레이트 및 젤라틴이 에탄을과 물의 흔합용액에 용해된 흔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흔합용액을 흡기온도 110 내지 120°C에서, 분무건조하여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젤라틴이 피막물질로 되어 있어서 미립구의 유동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약물이 에탄올과 함께 피막물질에 둘러싸여 있어 빈약한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페노피브레이트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의 SEM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 및 페노피브레이트분말과의 용출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 도 3은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 및 페노피브레이트분말과의 체내동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나노입자 총 중량에 대하여 젤라틴 50 내지 88중량 % 및 페노피브레이트 12 내지 50중량 ¾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0.2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에 관한 것아다.
본 발명의 다른 일구현예는, 상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페노피브레이트가 용해된 에탄올 및 젤라틴 수용액을 흔합하여 흔합용액을 제조하거나, 페노피브레이트 및 젤라틴이 에탄올과 물의 흔합용액에 용해된 흔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흔합용액을 흡기온도 110 내지 120°C에서 분무건조하여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에탄을은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점을 가지므로 단순히 증발시키면 물보다 먼저 날아가지만, 물에는 친화성이 있으나 에탄올에는 녹지 않는 젤라틴을 첨가하여 순간적으로 건조시키면 초기 증발에 의해 표면에 젤라틴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어 일종의 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 막은 선택막으로 작용하여 물은 확산에 의해 통과되어 증발될 수 있으나 에탄올은 이 막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그래서 물은 증발되고 에탄을은 이 막으로 둘러싸인 젤라틴 나노입자를 얻게 된다. 이 같은 현상은 순간건조방식에서 효율적으로 일어나므로 분무건조기의 이용이 필수적이다ᅳ 에탄올과 물의 흔합용액에 에탄올에 용해성이 높은 페노피브레이트와 물에는 용해가 잘되나 에탄을에는 녹지 않는 젤라틴을 넣고 5(rc에서 가은하여 생성된 용액을 분무건조기에서 분무하면 젤라틴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에탄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젤라틴 나노입자가 끈적이고 서로 달라붙은 현상을 나타내어 안정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분무건조기에서 내부 온도를 iio°c 이상으로 하여, 페노피브레이트를 녹인 에탄을이 젤라틴막을 통과하여 물과 함께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젤라틴막 안에 페노피브레이트가 에탄을 없이 단독으로 있거나, 에탄을이 0.2% 미만으로 존재하는 나노입자를 생성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0. 1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막물질인 젤라틴은 에탄을에 잘 녹지 않고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 있어서, 피막물질인 젤라틴을 나노입자 조성물 중 50 내지 88중량 %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라틴이 50중량 %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나노입자가 형성되지 않고 유동성이 탁월하지 못하여 제품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고, 88 중량 %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페노피브레이트의 함량이 감소하고, 페노피브레이트의 용해도가 저하되어 페노피브레이트의 생체 이용율 증가가 크게 나타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제조시, 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탄을로서, 주정 또는 절대에탄올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 제조시, 에탄올과 물의 흔합액을 사용하여 젤라틴 및 페노피브레이트를 용해시키거나, 페노피브레이트를 에탄올에 및 젤라틴을 물에 각각 용해시키고 이들을 혼합한 다음, 분무건조방식으로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노피브레이트 및 젤라틴이 용해된 에탄올 및 물의 흔합 용액을 분무건조하면 물은 분무건조시 젤라틴을 피막형성시키고 증발되고, 페노피브레이트를 용해시킨 에탄올은 젤라틴 피막물질에 의해 순간적으로 봉입되었다가 페노피브레이트만 젤라틴 피막물질 속에 놓아두고 에탄을은 증발되어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가 형성된다.
이 때, 에탄올 함량은 분무건조시의 흡기온도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분무건조시 흡기온도는 no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not: 내지 i20°c 일 수 있다. 분무건조시 흡기온도가 iio°c 미만인 경우,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 중의 에탄을의 함량이 2 증량 % 이상이 되어, 나노입자가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가지기 때문에 유동성이 탁월하지 못하고 경시변화시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제품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페노피브쩨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에탄올 함량을 실험예 1에서 평가한 결과, 흡기은도 조건이 110 ~ 120°C인 경우에는 거의 에탄을이 함유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
또한, 실험예 2를 통하여 본 발명 나노입자의수성 용해도를 평가한 결과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 젤라틴의 비율이 50 내지 88 중량 % 일 경우에는 용해도가 10 u g/ml 이상을 나타내어, 난용성인 페노피브레이트 용해도가 약 30배 이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표 3)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실온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y g/ml 이상인 나노입자일 수 있다.
또한, 실험예 3을 통하여 본 발명 나노입자의 유동성을 평가한 결과, 젤라틴이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에 50 내지 88 중량 % 함유한 조성물에서는 안식각이 35° 이하로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실온에서 안식각이 35° 이하인 나노입자일 수 있다.
또한, 실험예 4를 통하여 본 발명 나노입자의 용출시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초기 용출속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새로운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은 페노피브레이트의 용출율을 큰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대한약전 용출시험법 제 2법 패들 (paddle) 법에 따라 용출율 측정시, 1 시간 이내 페노피브레이트의 용출율이 80 중량 % 이상인 나노입자일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일구현예는, 상기 페노피브레이트를 포함하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나노입자 외에도,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부형제라 함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임의의 불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고분자 외에,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당한 부형제로는, 1) 락토스, 유당, 만니를, 셀를로오스, 소르비를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희석제, 2)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탈크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활택제, 3)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경화유, 나트륨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윤활제, 4)착색제 또는 방부제 등이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의 종류에는 상기 나열된 것들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부형제들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그대로 단위 포장하여 투여할 수도 있으며, 단위 투여량만큼씩 갑샐에 층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꾀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ᅳ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온에서 페노피브레이트는 에탄을 에 녹이고 젤라틴은 물에 용해시킨 다음 흔합하여 분무건조 (Buchi Mini-spray dryer , Buchi , German)하여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을 제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 조건은 용액속도 7 ml /min 및 흡기온도 110 ~ 120°C이었다. 예외적으로, 비교예 7 및 8의 흡기온도는 각각 70 - 80 °C , 90 ~ 100°C이었다. 도 1은 제조된 실시예 1의 SEM 사진이다. 그러나, 비교예 5 및 6의 조성은 SEM 사진으로 판단한 결과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1】
Figure imgf000009_0001
*1) 제조시 첨가한 량 (ml )이며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에는 함유되지 않음. 실험예 1.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내의 에탄올 함유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 약 250 mg을 각각 아세토니트릴-정제수 ( 1.5 ml /ml ) 10 ml에 녹이고 밀리포아여과기로 여과한 다음 조성물내의 에탄올 함량을 가스액체크로마토그래피 (GC)로 측정하였다. 포라팍 Q 크로모소브 101 컬럼 (porapak Q , Chromosorb 101 column)을 이용하였으며, 운반가스로 질소가스를 사용하였다. 컬럼, 검출기 및 주입기의 온도는 각각 80, 160 및 130 °C이었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 에서의 에탄올 함량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으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6 은 조성물의 조성에 상관없이 흡기은도 조건이 110 ~ 120°C인 경우에는 거의 에탄을이 함유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7 및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이나 흡기온도 조건 (70 - 80 °C 및 90 ~ 100°C )만 변경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이 경우 에탄을의 함량이 2 중량 % 이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imgf000010_0001
실험예 2.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의 수성 용해도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4, 7 , 8 및 페노피브레이트 분말을 각각 정제수 1 ml에 첨가하고 에펜도르프 튜브 (eppendorf tube)에 넣은 후 실온에서 7일간 교반하였다. 이 액을 밀리포아여과기로 여과한 . 다음 페노피브레이트의 용해도를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측정하였으며. 이 때 HPLC 조건은 C18 컬럼 (25 cm X 0.46 cm I .D. , 입자크기 5.0 j¾m) , 혈류속도는 2 ml/min , 주입량은 100 uL , UV 파장은 285 nm , 컬럼온도는 30 °C 및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물 (인산 0 , 1 첨가) (54/46)이었다.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4, 7, 8 및 페노피브레이트 분말에서의 페노피브레이트 용해도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페노피브레이트 분말의 용해도는 0.35±0.05 y g/ml으로서 물에 거의 녹지 않았으며, 비교예 1 내지 4 에서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 젤라틴의 비율이 88 중량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간의 용해도 증가가 나타났으나, 5 u g/ml 이하로서 페노피브레이트 용해도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다ᅳ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5에서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 젤라틴의 비율이 50 내지 88 중량 % 일 경우에는 용해도가 10 ~ 20 u g/ml 로서 난용성인 페노피브레이트 용해도가 약 30배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5 및 6에서 젤라틴의 비율이 50 중량 % 미만일 경우에는 SEM 사진으로 판단한 결과 젤라틴 나노입자를 제조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서 용해도 평가를 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7 및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이나 흡기온도 조건 (70 ~ 80 °C 및 90 ~ 100°C )만 변경하여 제조한 젤라틴 나노입자로서, 상기 실험예 2에서 에탄올 약 2 중량 %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시예 1과 용해도를 비교한 경우 약물의 용해도에서는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3】
Figure imgf000011_0001
실험예 3.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의 유동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안식각을 측정하여 유동성을 평가하였다. 분체특성 측정기 (powder tester , Hosokawa Mi cron, Japan)의 하단에 원판을 설치하고 이 원판 하단 밑에서 위로 10 cm 떨어진 곳에 아래로부터 차례대로 분체특성 측정기 구조물인 깔대기, 24 mesh 체 및 상하가 뚫린 원통을 장치하였다. 분체특성 측정기를 일정한 진동 ( 180 sec/60 cyc le supply)을 주면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물 10 g을 낙하시킨 다음 원판에 떨어져 형성된 시료의 각도를 분체특성 측정기 구조물인 각도기로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안식각이 35° 이하일 경우에는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내며,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 와 같이 젤라틴이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에 50 내지 88 중량 % 함유한 조성물에서는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젤라틴이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에 88 중량 % 초과로 함유한 조성물에서도 안식각이 35。 이하로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5 및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젤라틴을 나노입자의 조성물 중 50 중량 % 미만으로 함유한 조성물에서는 젤라틴 나노입자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안식각이 45-47° 로 유동성이 저하되었으며, 젤라틴이 나노입자^ 조성물 중에 50 중량 % 이상 함유한 조성물에서 유동성아 탁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ᅳ 비교예 7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이나 흡기은도 조건 (70-80 °C )만 변경하여 제조한 젤라틴 나노입자는 에탄을이 약 3중량 % 함유되었기 때문에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가지므로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나노입자의 조성으로는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비교예 8의 경우에도 에탄올이 약 2중량 % 이상 함유되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가지므로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나노입자의 조성으로는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표 41
Figure imgf000012_0001
실험예 4.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조성물의 용출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의 조성물 (페노피브레이트 20 mg 해당량) 및 페노피브레이트 분말 (페노피브레이트 20 mg 해당량)을 경질갑셀에 층전한 다음 트원 대한약전 제 2법 패들법으로 트윈 80 2% (w/v) 수용액 900 ml에서 36.5°C에서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주어진 시간에 시료를 채취하고 밀리포아여과기로 여과한 다음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조성물 (페노피브레이트 20 mg/kg 해당량 투여)은 페노피브레이트 분말과 용출율을 비교하면 초기 용출속도가 매우 유의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0분에서는 용출률이 약 4배나 페노피브레이트 분말보다 높았다. 따라서 이 실험 결과 새로운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은 페노피브레이트의 용출율을 큰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의 체내동태시함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의 조성물 (페노피브레이트 20 mg/kg 해당량 투여) 및 페노피브레이트 분말 (페노피브레이트 20 mg/kg 해당량 투여)을 미세 캅셀에 충전한 다음 물 0. 1 ml와 함께 쥐 (Ma l e Sprague- Dawl ey rat s , 250-300 g) 6마리에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대퇴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다음 내부표준액 (클로피브릭산)을 함유한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재단백하였다. 원심분리후 상등액을 질소가스로 휘발시키고 이동상을 첨가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조성물 (페노피브레이트 20 mg/kg 해당량 투여)은 페노피브레이트 분말과 혈중 농도를 비교하면 혈중농도가 매우 유의하게 높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조성물은 AUC 및 Cmax 가 유의성 있게 증가함을 보였으며, 특히 AUC의 경우에는 약 5배나 분말보다 높음을 나타내었다ᅳ 따라서 이 실험 결과 새로운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의 조성물은 페노피브레이트의 생체내 이용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향상은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에 의한 용해도 증가에 이은 용출율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였다.
【표 5】
파라메타 페노피브레이트 분말 실시예 1
AUC (h · ii g/ml ) 17.72 士 1.52 88.80 土 25.42* Qnax ( μ g/ml ) 2.36 士 0.34 9. 14 士 2.47*
Tmax(h) 1.58 士 0.20 1.75 土 0.27
ti/2(h) 6.08 士 0.92 6. 17 土 0.58
KeiCh"1) 0. 12 士 0.02 0. 11 土 0.01
MRT (h) 7.41 士 0.50 7.91 土 0.21
* P<0.05 compared wi th fenof ibrate powder
**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 .E . (n=6) . 실험예 6. 실온에서의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의 조성물을 25 °C에서 12개월간 보관하면서 페노피브레이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의 조성물 약 1 g을 에탄올 10 를 넣어 교반한 다음 밀리포아여과기로 여과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로 실험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조성물에서의 페노피브레이트 함량 및 성상은 12개월 동안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특히 분말이 서로 달라붙지 않아 웅집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25 °C에서 98 %이상을 유지하였다. 이로부터 이 제제는 25 °C에서 적어도 1년간 안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표 6】
Figure imgf000014_0001
함량 (mg/g> 중량 %) 12.21 (98.87) 성 상 무변화 (무응집) 함량 (mg/g, 중량 12.24 (99.19)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로서,
상기 나노입자는 나노입자 총 중량에 대하여 젤라틴 50 내지 88중량 % 및 페노피브레이트 12 내지 50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을을 포함하지 않거나 0.2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 내부는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거나 0. 1중량 % 이하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입자.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실온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
U g/ml 이상인 나노입자.
[청구항 4
게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실온에서 안식각이 35° 이하인 나노입자.
【청구항 5】
거 U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대한약전 용출시험법 게 2법 패들 (paddle) 법에 따라 용출율 측정시, 1 시간 이내 페노피브레이트의 용출율이 80 중량 % 이상인 나노입자.
[청구항 6】
페노피브레이트가 용해된 에탄을 및 젤라틴 수용액을 흔합하여 흔합용액을 제조하거나, 페노피브레이트 및 젤라틴이 에탄올과 물의 흔합용액에 용해된 흔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흔합용액을 흡기온도 110 내지 120°C에서 분무건조하여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페노피브레이트 외부에 젤라틴 함유 피막층이 형성되어 있는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PCT/KR2014/010358 2014-02-05 2014-10-31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WO20151193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87 2014-02-05
KR1020140013087A KR101576587B1 (ko) 2014-02-05 2014-02-05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9358A1 true WO2015119358A1 (ko) 2015-08-13

Family

ID=5377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358 WO2015119358A1 (ko) 2014-02-05 2014-10-31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6587B1 (ko)
WO (1) WO201511935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939B1 (ko) * 1991-12-27 1994-04-09 김종국 고형 엘릭실제(Elixira)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0620A (ko) * 2005-04-21 2006-10-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이부프로펜 함유 젤라틴 초미세 미립구
US20090035379A1 (en) * 1997-01-17 2009-02-05 Cabinet Hirsch Fenofibrate compositions
KR20100052262A (ko) * 2008-11-10 2010-05-19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약물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분말의 제조방법, 그에의해 제조된 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20017043A (ko) * 2009-05-27 2012-02-2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난용성 약물 함유 미립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939B1 (ko) * 1991-12-27 1994-04-09 김종국 고형 엘릭실제(Elixira)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35379A1 (en) * 1997-01-17 2009-02-05 Cabinet Hirsch Fenofibrate compositions
KR20060110620A (ko) * 2005-04-21 2006-10-2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이부프로펜 함유 젤라틴 초미세 미립구
KR20100052262A (ko) * 2008-11-10 2010-05-19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약물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분말의 제조방법, 그에의해 제조된 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20017043A (ko) * 2009-05-27 2012-02-27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난용성 약물 함유 미립구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USAF, ABID ET AL.: "Microencapsulation of fenofibrate with gelatin using ethanol via the solvent-evaporation method using the spray drying technique: in vivo and in vitro investigation", ASIAN FEDERATION OF PHARMACEUTICAL SCIENCES CONFERENCE PROCEEDINGS, 2013, pages 48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65A (ko) 2015-08-13
KR101576587B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1507B2 (ja) 少なくとも1種の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及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マー性安定化マトリックス形成性成分の安定な非晶質のハイブリッドナノ粒子を含む医薬組成物
JP6932746B2 (ja) エンザルタミドの製剤
Jiang et al. Dual strategies to improve oral bioavailability of oleanolic acid: Enhancing water-solubility, permeability and inhibiting cytochrome P450 isozymes
Weng et al. Cocrystal engineering of itraconazole with suberic acid via rotary evaporation and spray drying
Pradh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pray-dried valsartan-loaded Eudragit® E PO solid dispersion microparticles
Kim et 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valsartan–polymer–surfactant composite nanoparticles by using the supercritical antisolvent process
EP2083799A1 (en) Micellar nanoparticles of chemical substances
JP6828123B2 (ja) 少なくとも1種の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及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マー性安定化マトリックス形成性成分を含む安定な非晶質のハイブリッドナノ粒子を製造する方法
TW201018468A (en) Inhalable particles comprising tiotropium
Hanna et al. Respirable controlled release polymeric colloid (RCRPC) of bosentan for the manage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in vitro aerosolization,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in vivo pulmonary absorption
Bukara et al. In vivo performance of fenofibrate formulated with ordered mesoporous silica versus 2-marketed formulations: a comparative bioavailability study in beagle dogs
Ha et al.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celecoxib microparticle surface modified by hydrophilic cellulose and surfactant
Yousaf et al. Novel fenofibrate-loaded gelatin microcapsules with enhanced solubility and excellent flowability: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Strojewski et al. Kollidon® VA 64 and Soluplus® as modern polymeric carriers for amorphous solid dispersions
Al-Nimry et al. Preparation and optimization of sertraline hydrochloride tablets with improved dissolution through crystal modification
Ikeuchi-Takahashi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orally disintegrating tablets containing taste masked microparticles of acetaminophen
JP2009506027A (ja) 初期溶解率が改善されたプランルカスト固体分散体の薬剤学的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119358A1 (ko) 신규한 페노피브레이트 함유 젤라틴 나노입자
Cho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exibuprofen formulation with fast onset and prolonged effect
Pathak et al. A review on liquisolid technology
TW200824711A (en) Embedded micellar nanoparticles
WO2018118929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suvorexant
KR100790954B1 (ko) 이트라코나졸 함유 젤라틴 초미세 미립구
KR100818701B1 (ko) 이부프로펜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Mude Resolving Solubility Problems and Providing an Overview of Excipients to Boost Oral Drug Bioavail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1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14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