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0361A1 -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0361A1
WO2015080361A1 PCT/KR2014/005838 KR2014005838W WO2015080361A1 WO 2015080361 A1 WO2015080361 A1 WO 2015080361A1 KR 2014005838 W KR2014005838 W KR 2014005838W WO 2015080361 A1 WO2015080361 A1 WO 20150803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unit
electrolyte
docking
elect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8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수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451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976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4517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4640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수산이엔씨
Publication of WO20150803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03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rrect amount of electrolyte is input as an error signal to generate a disinfectant such as high quality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through a control uni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that is easy to disinfect in a large space and an area by continuously dispensing a large amount of disinfectant in a simple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convenience.
  • disinfectant disinfectant such as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is used as a kind of disinfectant that is produced by electrolysis of electrolyte mixed with water. It is being used to be used by general consumers in indoors where children live.
  • the 'portable sterilized washing water generat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0451601 it includes a water tank, a low temperature plasma generating unit, a housing and a discharge unit.
  • the bucket can accommodat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formed on the upper side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er wall and the bottom surface.
  • the low temperature plasma generating uni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and forms a low temperature plasma in the water in the bucket by the low voltage discharge phenomenon in the water to make the water to wash water.
  • the housing accommodates a driving circuit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driving the low temperature plasma generating unit
  • the discharge unit may be mechanic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inlet of the bucket
  • the suction tube is configured to suck the washing water and discharge it from the nozzle.
  •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sterilized water even with a small power, and easy to carry and use using a charger, etc.
  •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machine was not provided, and in order to spray to sterilize a large area surface or space, spraying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lever of the gun-type manual spray, which causes fatigue to the user and accordingly a lot of spraying It's hard too.
  • the electrode plate used for electrolysis is provided in a mesh-shaped plate having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lysis area is not lowered by bubbles, polarization due to bubbles can be prevented, but the electrode plate itself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lectrolysis area is lowe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ims to make it easy for a consumer to check whether an electrolyte required for producing a good disinfectant disinfectant is added,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imple operation continuously sprays a large amount of disinfectant in the form of particulates to facilitate sterilization of a large space and area.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polarization caused by bubbles without maximizing the electrode plate and to maximize the electrolysis area of the electrode plate to maximize the electrolysis efficiency.
  •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includes a generator for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by electrolyzing an electrolyte, a body provided in the generator, and provided in the body, and generated in the generator.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 the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tube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ccommodated, having a columnar shape inside the receiving tube, at least two or more electrode tubes having a different diameter width, and each of the electrode tube has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It is installed so that a gap is superimposed, the installation plate and the installa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tube so that bubbles generated in the gap is circulated with the electrolyte, and to apply power to the electrode tub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ressing column installed on the plate to press the electrode tub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separation.
  • the mounting plate has a first grou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on the lower surface,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tube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and located inside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o inser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pillar, and a terminal member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portion and each of the electrode tubes, and extend from the side of the mounting plate to an upper surface, and to be connected to the ga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irculation hole formed so as to be able to penetrate.
  • the mounting plate preferably comprises a through-hol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meter width of the mounting plate.
  • the pressure column is formed to extend in the outward direction on top, and comprises an extension plat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extension plate is formed in a radially perforated shape so that the bubbles formed in the gap can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bubble hole.
  • the terminal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each electrode tube, and an upper terminal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or each electrode tube, and a terminal bolt having a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portion.
  • the inj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trigger switch for operating the water pump, the main body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rechargeable battery for applying power to the water pump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It is preferably provided, comprising a second grou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docking member used for electrolysis of the generating unit or a chargeable power source of the injection unit, and installed in the docking member, and operating state of the generating unit and the injection unit or contact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a main board and the injection unit, which determine whether or not electrolysis is performed by measuring an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and charging of the injection unit, charging time of the injection unit, and the genera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ub-boar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whether or not the normal coupling between the docking member.
  • the docking member may include a docking body having the main board provided therein, a seat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ocking body, in which the generation unit or the injection unit is inserted, and provided in the seating groove. And a first docking ground part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a second docking ground part provided inside the seating groove and provid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praying part and the main boar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dapter for apply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member.
  • the main board determines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generation unit applied to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and when the applied current value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current value or the generation unit and the injection seated on the docking member
  • the reading unit includes a read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eat is normally seated and generates an error signal when the seat is abnormally seated.
  • control unit may measure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electrolyte during electrolysis of the genera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e error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by judging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injected by the current value.
  • the alarm unit for displaying an error signal to the outsid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generation of disinfectant disinfectant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preferably includes.
  • control unit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h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generation unit required for electrolysis when the error signal of the disinfectant generation.
  • control uni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expiration date display unit for informing when the concentration (ppm)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ed in the generating unit falls below a set value.
  • control unit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that the correct amount of the electrolyte is input to generate a good hypochlorous acid as an error signal,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continuously maintain a large amount of Spraying disinfectant in the form of particulates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sterilization of a large space and area.
  • bubbles generated during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lyte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ubes, thereby maximizing the electrolysis area.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sterilizing washing water generating device.
  • 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ting part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column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6 is a conceptual view of the injection unit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jection device 1 largely includes a generation unit 100, an injection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 the generation unit 1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isinfectant disinfectant such as high quality hypochlorous acid or sodium hypochlorite by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as shown in FIGS. 2 and 3. It includes a receiving tube 110, installation plate 120, electrode tube 130, the pressing pillar 140 and the cover 150.
  • the receiving tube 110 is formed with a space 111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E) therein,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20 to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 210).
  • the receiving pipe 110 is externally illuminated by the operation check LED 322 through the extension plate 141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pipe 110 by the user from the outside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lyte (E) is electrolyzed extern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plastic or glass material so that it can be visually identified.
  • the scale 112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tube 110 to check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E) accommodated.
  • the receiving pipe 110 is coupled to be sealed to the inside when combined with the mounting plate 120 and the main body 210 to prevent the electrolyte (E) contained therein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installation plate 120 is formed to have a plate shape as a whole, the receiving tube 110 and the electrode tube 130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20.
  • the installation plate 120 includes a first ground portion 121, a first insertion hole 122, a second insertion hole 123, a circulation hole 124, a terminal member 125, and a through hole 126. It is desirable to.
  • the first grounding portion 121 is exp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2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grounding portion 313 of the docking body 3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20 to connect the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 130 is provided to be able to supply current coll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switch 324,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de tube 130 to start hypochlorous acid generation by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groove in the inward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pillar 140 can be fitted into the shape fit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20). At this time, the diameter width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is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width as the lower diameter width of the pressing pillar 140, the center of the diameter width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may include a through hole 126.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to be.
  • a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12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20 to have different diameter widths, and are fitted into shape fitting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electrode tubes 130.
  •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ing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130 having different diameters to have the same diameter width as each of the diameter width to be inserted,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 the gaps 13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 tubes 130 to be fit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fixing plate 120 is easily fixed to the mounting plate 120 so that the gap 131 can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130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without the need for the non-conductor.
  •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is hermetically coupled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electrolyte E into the pressure pillar 140.
  • the circulation hole 124 is formed through the installation plate 12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120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At this time, the circulation hole 12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ap 131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electrode tubes 130, the bubble (B) and the electrolyte (E) generated through the gap 131 at the time of electrolysis is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circulating in the accommodation pipe 110. That is, due to the circulation (convection) of the electrolyte E during electrolysis,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of the electrolyte E is smoothly diluted (see FIG. 5).
  • the terminal member 125 is configured to allow the power applied from the main board 320 to be applied to the electrode tube 130 through the first ground portion 121 and the first docking ground portion 313. 125a and the terminal plate 125b.
  • the terminal bolt 125a has a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ground portion 121,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erminal plate 125b or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de tube 130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de tube 130. Make it resolvable.
  • the terminal plate 125b has a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bolt 125a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second insertion holes 123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13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s 123.
  •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tubes 130 are installed so that a current can be collectively supplied. That is, a plurality of terminal bolts 125a may be required to apply currents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130 through the terminal bolts 125a, but the plurality of electrode tubes 130 may be formed by using the terminal plate 125b.
  • the current is collectively applied through a small amount of terminal bolts 125a.
  • the through hole 126 is formed to penetrate perpendicularly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meter width of the mounting plate 120 so that the through hole 126 may be included inside the pressure column 140 to be fitted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Through the pressing pillar 140 to fit the fitting to allow the illumination of the operation check LED 322 to the extension plate 141.
  • the electrode tube 130 is made of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a plurality of in the mounting plate 120 to form a gap 131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123 to have a different diameter width The fitting is inserted. That is, the electrode tube 13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length vertically, so that the bubble (B) generated during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rises smoothly through the gap 131 without a separate hole. And, it will be able to circulate smoothly through the circulation hole 124 with the electrolyte (E).
  • a cylindrical electrode tube 130 is used as an example, but in some cases, it is preferable to have a polygonal column shape so as to increase the area of the electrode tube 130 to be electrolyzed.
  • the pressure column 14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can be fitted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122, the extension plate 141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is formed on the top.
  •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141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upper surfaces of the electrode tubes 130 respectively fit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ertion holes 123 to prevent the electrode tubes 130 from being separated.
  • the extension plate 141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operation check LED 322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141 through the pressure column 140, the extension plate A radial bubble hole 142 (see FIG. 4) is formed in the hole 141, and bubbles B rising through the gap 131 are discharged through the bubble hole 142 to circulate with the electrolyte E. Allows circulation through the ball 124.
  • the extension plate 141 is formed with a hole so that the suction pipe can be inser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ameter width.
  • the cover 150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length vertically, so that the electrode tube 130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120 is not visible to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ceiving tube 110 ( 130)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plate 120 to fit the shape to surround the side. At this time, the cover 150 is pressuriz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141 to b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120, and by patterning the pattern of the intaglio and embossed on the outer surface to allow the consumer to purchas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aise.
  • the cover 150 whil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tube 130 is relatively aesthetically deteriorated through the cover 150, various shapes of patter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150 to derive a soft light through the extension plate 141. At the same time, the pattern can be subtly express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function of psychologically stable lighting such as a sleeping lamp or lighting having excellent aesthetics.
  • the diffusion block 1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hole 126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operation check LED 322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nsion plate 141 to easily diffuse.
  • the generation unit 100 when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electrode tube 130,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is made through the electrode tube 130, the electrolysis Bubble B generated in the gap 131 at the time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E without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tube 130 through the bubble hole 142 of the circulation hole 124 and the extension plate 141.
  • the electrolytic area of the electrode tube 130 can be secured, so that a disinfectant disinfectant can be generated within a short time.
  • the injection unit 200 the main body in a configuration for injecting a high-quality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through the generation unit 100 to the outside 210, a water pump 220, a fixing protrusion 230, a second ground part 240, and a rechargeable battery 250 are included.
  • the main body 2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tube 110 in the lower, and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ed in the receiving tube 110 inside the water pump A suction pipe is introduced into the pressure column 140 to be sucked by the 220 to be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zzle 221.
  • the main body 210 is preferably screwed or coupled to fit the top of the receiving tube 110 so that the electrolyte (E)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main body 210 is formed through the gripping groove 212 to be gripped by the user, the trigger groove 212 is provided with a trigger switch 211 for the user to operate the water pump 220.
  • the water pump 220 is instal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board 330 provided in the body 210.
  • the water pump 220 is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sub-board 3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switch 211, the hypochlorous acid generated inside the receiving pipe 110 in accordance with the applied electrical signal (not shown) Inhalation) to spray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through the nozzle 221.
  • the water pump 220 is also used as a semi-automatic injection method in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from the sub-board 330 only when the trigger switch 211 is pressed, but one push of the trigger switch 211 as necessary.
  •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board 330 automatically detects whether there is no contamination even if the trigger switch 211 is not pressed It is preferable to use either an automatic spraying method that can be sprayed or a manual spraying method that can be sprayed by air pumping such as a conventional sprayer without being electrically operated.
  • the water pump 2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e injection method by the nozzle 221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if necessary by using an ultrasonic or low temperature steam method using a vibrator The resulting disinfectant may be sprayed.
  •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generation unit 1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plate 120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in the interference fitting manner the main body 210 Be fixed so as not to deviate from.
  • the second ground portion 240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ocking ground portion 314 of the docking body (311).
  • the second ground part 2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 board 330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provided in the main body 210, and the second docking ground part 3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20.
  •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is provided to be chargeable through the second grounding part 240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the injection part 200 is used to operate the subboard 330 when the docking body 311 is separated from the docking body 311. Supply the power you need.
  • the main body 210 having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ver (not shown) for maintenanc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 the injec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sub-board 330 and the water pump 220 even after the user is moving or moving through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generation unit 100 and the injection unit 200, and the electrolysis unit generates the sterilization disinfectant.
  • the docking member 310, the main board 320 and the sub-board 330 as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rror for generating a good disinfectant disinfectant by measuring the current value per second applied to the electrolyte at the time .
  • the docking member 310 is a power supply to the power source required for the electrolysis of the generating unit 100 or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of the injection unit 200 is seated by the injection unit 200 hermetically coupled to the generating unit 100. It comprises a docking body 311, the seating groove 312 and the adapter 315 as a configuration for filling the.
  • Docking body 311 is made of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sliding prevention pad (not shown) to be mounted on the ground or shelf.
  • the seating groove 312 is formed to have a groove inward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ocking body 311, and a portion of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tube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rotrusion 2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ube 110.
  • the generating unit 100 and the injection unit 200 may be mounted on the docking body 311 by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te 120.
  • the first docking ground portion 3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portion 121 formed on the mounting plate 120 and the second ground portion 240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23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12.
  • a second docking ground part 314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tube 130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through the main board 320.
  • the seating groove 312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generating unit 100 and the injection unit 200 to be seated to enable a stable seating.
  • the adapter 315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docking body 311, and rectifies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rated voltage to provide the rectified power to the main board 320.
  • the main board 320 is provided in the docking body 311, as shown in Figures 2 and 8, the readout unit 321 in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unit 100 and the injection unit 200 , An operation check LED 322, a power supply 323, a touch switch 324, and a microcomputer 325.
  • the reading unit 321 measures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electrolyte E at the time of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in order to generate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 the generation unit 100, and whether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quality hypochlorous acid. Read it. 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E) is more than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for producing a good disinfectant disinfectant, since the current value consumed per second required for electrolysis through the electrode tube 130 is relatively increased or decreased 321 reads the current value per second to generate an error signal when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preset current value so that the consumer can recognize it. At this time, the error sign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larm unit so that the consumer can recognize at least one of the LED or sound signal that can represent a variety of colors.
  • the reading unit 321 is connected whether the first grounding unit 121 and the first docking grounding unit 313 or the second grounding unit 240 and the second docking grounding unit 314 are no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case of abnormal connection,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an connect normally.
  • the operation check LED 3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320 and receives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323 to irradiate the light into the accommodation pipe 110, and the light is extended through the extension plate 141.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operation check LED 322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nsion plate 141 so that the color of the electrolysis proceeds and the completion of the electrolysis proceeds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electrolysi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ard 32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 operation confirmation LED 322 can also be used as an optical fiber.
  • the power supply unit 323 rectifies the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adapter 315 to apply the rectified power necessary for the control unit 300, the injection unit 200, and the generation unit 100.
  • the touch switch 324 is an operation switch for the electrolysis of the generation unit 100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ocking body 311 is installed to be touchable. At this time, the touch switch 324 is provided with a light-emitting L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dentify whether the electrolysis proceeds from the outside by the microcomputer 325 so that different colors can be emitt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r completion of electrolysis. It is desirable to be controlled.
  • the microcomputer 325 controls the readout unit 321, the operation confirmation LED 322, the power supply unit 323, and the touch switch 324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325 may store the reference current value in advance so that the reading unit 321 may easily determine whether an error occurs, and the reference current value is preferably 450 mA.
  • the sub-board 3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the water pump 220 and the trigger switch 211, the trigger switch 211 is supplied with th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hrough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is charged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10 to operate the water pump 220 by the on / off.
  • the sub-board 33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body LEDs 331 to visually identify the state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250,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mp 220 and the electrolysis state of the generation unit 100, etc. It is preferable.
  • control unit 300 measures the current value per second required for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before the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E) for the generation of disinfectant disinfectant to determine whether the error in advance to the user By recognizing, good disinfectant production can be achieved.
  • 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jector 1 with the naked eye by using a sound or a color changeable LED to provide convenience.
  • the control unit 300 further includes the expiration date display unit (L).
  • the expiration date display unit L is composed of a red LED. That is, the expiration date display unit (L) knows that the expiration date of the disinfectant generated by the user is turned on when the indicator light such as a red LED is turn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disinfection power of the disinfectant generated by the generation unit 100 is reduced Discard the generated disinfectant and plan for new production.
  • the effective period of the disinfectant refers to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ppm) has dropped below a certain level after the generation of the disinfectant.
  • the expiration date display unit (L) may be operated by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disinfectant in real time. In the example, by setting the time through a pre-test, when the set period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s generated, the expiration date display (L) is turned on.
  •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o measure the current value required during electrolysis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olyte through the reading unit 321 of the control unit 300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omparing the measured current value and the reference current value with each other has an effect that can be confirmed as an error signal whether the correct amount of the electrolyte (E) was injected to produce a good disinfectant disinfectant.
  •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1 unlike the user to carry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ed in the air carried by the user, the pusher member for sterilizing the bottom surface (G) (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generated by combining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injector 1 to 400 is sprayed onto the bottom surface G to sterilize.
  •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270 having an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nd having a second nozzle 410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can be easily sprayed on the bottom surface G.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sterilize the bottom surface (G) through the connecting pipe (270).
  •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ipe 270 is fixed to the free movem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er member 400 so that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can be easily sprayed on the bottom surface (G), the trigger switch 211 above the pusher member 400 Injection switch 420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s provided separately.
  • control unit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that the correct amount of the electrolyte is input to generate a good hypochlorous acid as an error signal,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continuously maintain a large amount of Spraying disinfectant in the form of particulates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sterilization of a large space and area.
  • bubbles generated during electrolysis of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lyte may be circulated through the gap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tubes, thereby maximizing the electrolysis are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통하여 양질의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해 올바른 전해질의 양이 투입되었는지를 에러신호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미립자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여 넓은 공간 및 면적의 살균소독이 용이한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는 전해질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워터펌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분사부 및 상기 생성부와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살균소독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본 발명은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통하여 양질의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해 올바른 전해질의 양이 투입되었는지를 에러신호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미립자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여 넓은 공간 및 면적의 살균소독이 용이한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등의 살균소독제(DISINFECTANT)는 물이 혼합된 전해질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하는 살균제의 일종으로 사용되며, 근래에는 병원이나 면역력이 취약한 유아들이 생활하는 실내에서 일반소비자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601호인 '휴대용 살균 세정수 생성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물통과 저온 플라즈마 생성부, 하우징과 토출부를 포함한다. 물통은 외벽과 바닥면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측에 형성된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저온 플라즈마 생성부는 물통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수중 저전압 방전 현상에 의해 물통 속의 물에 저온 플라즈마를 형성하여 물을 세정수로 만든다. 하우징은 저온 플라즈마 생성부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부 및 전원부를 수용하고, 토출부는 물통의 투입구에 기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고, 흡입관이 세정수를 흡입하여 노즐에서 토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적은 전력으로도 살균수의 제조가 용이하고, 충전기 등을 이용하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사용시 부주의에 의하여 양질의 살균수가 제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구성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넓은 면적의 표면, 또는 공간을 살균하기 위하여 분사하기 위해서는 건타입의 수동스프레이의 레버를 지속적으로 눌러주어 분사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주며 이에 따라 많은 분사도 힘들다.
또한 전기분해에 사용되는 전극판이 기포에 의해 전기분해면적이 저하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메쉬(mesh) 형태의 판으로 구비되어 있어, 기포에 의한 분극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전극판 자체의 전기분해면적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비자가 용이하게 양질의 살균소독제 생성에 필요한 전해질이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미립자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여 넓은 공간 및 면적을 살균소독 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극판을 메쉬 형태로 형성하지 않고도 기포에 의한 분극현상을 방지하고, 전극판의 전기분해면적을 최대화하여 전기분해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는 전해질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워터펌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분사부 및 상기 생성부와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살균소독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성부는 전해질이 수용되는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 내부에 기둥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서로 다른 지름 폭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관과, 각각의 상기 전극관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포개지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전해질과 함께 순환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관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전극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설치판 및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관 상면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기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판은 하면에 상기 제어부와 접촉하는 제1접지부와, 상면에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삽입공과, 상기 제1삽입공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설치판 상면에 상기 가압기둥 하부가 삽입하도록 형성된 제2삽입공과, 상기 제1접지부와 각각의 상기 전극관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설치판 측면에서 상면까지 이어지며, 상기 간극과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판은 상기 설치판 지름 폭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기둥은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판은 상기 간극에 형성된 상기 기포가 상기 전해질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방사형태로 천공형성된 기포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부재는 상면이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면과 연결되는 단자판 및 상부가 상기 단자판 또는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면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단자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를 동작시키는 트리거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지 및 상기 본체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의 전기분해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분사부의 충전 가능한 전원이 인가가능하도록 하는 도킹부재와, 상기 도킹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생성부 및 상기 분사부의 동작상태나 상기 제어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해질 양에 따라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전기분해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분사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의 충전, 상기 분사부의 충전시기 및 상기 생성부와 상기 도킹부재 간의 정상적인 결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서브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킹부재는 내부에 상기 메인보드가 구비되는 도킹몸체와, 상기 도킹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생성부 또는 상기 분사부가 삽입 안착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성부와 상기 메인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도킹접지부와, 상기 안착홈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와 상기 메인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도킹접지부 및 상기 보드부재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전해질의 전기분해시에 가해지는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판단하며, 인가된 전류 값이 기준전류값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도킹부재에 안착하는 상기 생성부와 상기 분사부가 정상적으로 안착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으로 안착시에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판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가 전기분해시에 상기 전해질에 가해지는 전류 값을 측정하고, 그 전류 값에 의해 상기 전해질의 투입량을 판단하여 상기 살균소독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토대로 살균소독제 생성에 오류가 발생시에 오류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살균소독제 생성의 오류신호가 발생시에 전기분해에 필요한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의 농도(ppm)가 설정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이를 알리는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하여 양질의 차아염소산을 생성하기 위해 올바른 전해질의 양이 투입되었는지를 에러신호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미립자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여 넓은 공간 및 면적의 살균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전해질을 전기분해시에 발생하는 기포 및 상기 전해질이 전극관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순환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분해면적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살균 세정수 생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생성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가압기둥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생성부 작용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분사부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이하, 간략하게 '분사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1)는 크게 생성부(100), 분사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생성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질(E)의 전기분해에 의해 양질의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등과 같은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관(110), 설치판(120), 전극관(130), 가압기둥(140) 및 커버(150)를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여기서, 수용관(110)은 내부에 전해질(E)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하부가 설치판(120) 상면과 결합하고, 상부가 본체(210)와 결합한다. 이때 수용관(110)은 외부에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수용관(110) 내부에 구비되는 연장판(141)을 통해 동작확인엘이디(322)의 조명이 투광하여 전해질(E)의 전기분해 여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의 플라스틱재질 또는 유리재질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수용관(110) 외면에는 수용되는 전해질(E)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112)이 표시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나아가, 수용관(110)은 내부에 수용된 전해질(E)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판(120) 및 본체(210)와 결합시에 내부가 밀폐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설치판(1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수용관(110) 및 전극관(130)이 밀폐 결합하고, 하면이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설치판(120)은 제1접지부(121), 제1삽입공(122), 제2삽입공(123), 순환공(124), 단자부재(125) 및 관통공(12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제1접지부(121)는 설치판(120) 하면에 노출 형성되며,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킹몸체(311)의 제1도킹접지부(313)와 연결되어 다수의 전극관(130)에 일괄적으로 전류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터치스위치(324)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전극관(130)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질(E)의 전기분해에 의해 차아염소산 생성을 시작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제1삽입공(122)은 설치판(120) 상면에 가압기둥(140) 하부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가능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홈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공(122)의 지름 폭은 가압기둥(140)의 하부 지름 폭과 동일한 지름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삽입공(122)의 지름 폭 중앙에는 관통공(126)을 포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제2삽입공(123)은 설치판(120) 상면에 서로 다른 지름 폭을 갖도록 다수 형성되며, 다수로 구비되는 각각의 전극관(130) 하부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이때 제2삽입공(123)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다수의 전극관(130)이 삽입가능하게 각각의 지름 폭과 동일한 지름 폭을 갖도록 링 형상으로 다수 형성되며, 제2삽입공(123)에 끼움 결합하는 각각의 전극관(130) 사이에는 간극(131)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삽입공(123)을 통하여 다수의 전극관(130)들 사이에 부전도체 없이도 간극(13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판(120)과 고정이 용이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제2삽입공(123)은 가압기둥(140) 내부로 전해질(E)의 유입이 불가하도록 밀폐 결합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순환공(124)은 설치판(120) 측면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제2삽입공(123)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설치판(120) 상면과 이어지도록 관통형성된다. 이때 순환공(124)은 각각의 전극관(130)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13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전기분해시에 간극(131)을 통하여 생성되는 기포(B) 및 전해질(E)이 수용관(110) 내부에서 순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분해시에 전해질(E)을 순환(대류)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전해질(E)의 농도차이를 원활하게 희석하여 주는 것이다(도 5 참조).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단자부재(125)는 메인보드(3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이 제1접지부(121) 및 제1도킹접지부(313)를 통해 전극관(130)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자볼트(125a) 및 단자판(125b)을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단자볼트(125a)는 하부가 제1접지부(121)와 접촉하고, 상부가 단자판(125b) 또는 전극관(130) 하면과 면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전극관(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분해 가능하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단자판(125b)은 하부가 단자볼트(125a) 상부와 접촉하고, 상부가 각각의 제2삽입공(123) 내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전극관(130)이 상기 제2삽입공(123)에 삽입시에 다수의 상기 전극관(130)에 일괄적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단자볼트(125a)를 통해 다수의 전극관(130)에 각각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단자볼트(125a)가 소요될 수 있으나 단자판(125b)의 사용으로 다수의 전극관(130)이 제2삽입공(123)에 구비시에 적은 양의 단자볼트(125a)를 통해 일괄적으로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관통공(126)은 제1삽입공(122)과 끼움 결합하는 가압기둥(140) 내측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설치판(120) 지름 폭 중앙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며, 제1삽입공(122)에 끼움 결합하는 가압기둥(140)을 통해 연장판(141)으로 동작확인엘이디(322)의 조명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전극관(130)은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로 다른 지름 폭을 갖도록 제2삽입공(123)을 통해 간극(131)이 형성되게 설치판(120)에 다수가 끼움 삽입된다. 즉, 전극관(130)은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전해질(E)의 전기분해시에 발생하는 기포(B)가 별도의 타공이 없이도 간극(131)을 통해 원활하게 상승하게 되고, 전해질(E)과 함께 순환공(124)을 통해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전극관(130)을 일 예로 사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전기분해되는 전극관(130)의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다각의 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가압기둥(140)은 하부가 제1삽입공(122)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연장판(141)이 형성된다. 이때 연장판(141) 하면은 다수의 제2삽입공(123)에 각각 끼움 결합하는 전극관(130)들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관(130)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연장판(141)은 동작확인엘이디(322)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가압기둥(140) 내부를 통해 연장판(141) 상면을 통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연장판(141)에 방사형태의 기포공(142: 도 4 참조))이 천공 형성되어 간극(131)을 통해 상승하는 기포(B)가 기포공(142)을 통해 배출되어 전해질(E)과 함께 순환공(124)을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나아가, 연장판(141)은 지름 폭 중앙부에 흡입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커버(150)는 수직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설치판(120)에 다수 구비되는 전극관(130)이 수용관(110)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전극관(130) 측면을 감싸도록 하부가 설치판(120)에 형상맞춤으로 끼움 삽입된다. 이때 커버(150)는 상면이 연장판(141)의 하면에 의해 가압하여 설치판(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외면에 다양하게 음각 및 양각의 문양을 패턴화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심리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150)를 통해 비교적 심미감이 저하되는 전극관(130)의 외면을 가림과 동시에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커버(150) 외면에 형성하여 연장판(141)을 통해 은은한 조명을 도출함과 동시에 그 패턴이 은은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등과 같은 심리적으로 안정감 있는 조명등이나 심미감이 우수한 조명등의 기능으로도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확산블럭(160)은 동작확인엘이디(322)를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연장판(141)을 통해 투광되어 용이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관통공(126) 내측에 고정구비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성부(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관(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극관(130)을 통해 전해질(E)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지고, 전기분해시에 간극(131)에서 발생하는 기포(B)는 순환공(124) 및 연장판(141)의 기포공(142)을 통해 전극관(130) 표면에 체류하지 않고 전해질(E)과 함께 수용관(110) 내부에서 자유로이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전극관(130)의 전기분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단시간 안에 살균소독제가 생성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그리고, 상기 분사부(2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100)를 통해 전해질(E)의 전기분해로 생성된 양질의 살균소독제를 외부에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210), 워터펌프(220), 고정돌기(230), 제2접지부(240) 및 충전지(250)를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여기서,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수용관(110)의 개방된 상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관(110)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워터펌프(220)에 의해 흡입되어 노즐(22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가압기둥(140)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관이 구비된다. 이때 본체(210)는 수용관(110) 상부와 나사 결합하거나 또는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여 전해질(E)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본체(21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파지홈(21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파지홈(212) 내부에는 사용자가 워터펌프(220)를 작동하기 위한 트리거스위치(211)가 구비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워터펌프(220)는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서브보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워터펌프(220)는 트리거스위치(211)의 동작에 따라 서브보드(330)를 통해 전기신호가 인가되며, 인가된 전기신호에 따라 수용관(110) 내부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을 흡입관(미도시)으로 흡입하여 노즐(221)을 통해 본체(210) 외부로 살균소독제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워터펌프(220)는 트리거스위치(211)가 눌러진 상태에서만 서브보드(330)에서 전기신호가 인가되어 작동하는 반자동분사 방법으로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 트리거스위치(211)의 한 번의 누름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워터펌프(220)가 동작하는 방법, 서브보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오염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오염 여부를 감지하여 트리거스위치(211)를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자동분사 방법 및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통상의 분무기와 같은 공기 펌핑에 의해 분사할 수 있는 수동분사 방법 중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워터펌프(220)는 일 예로, 본체(210)에 구비된 노즐(221)에 의해 분사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필요에 따라 진동자를 이용한 초음파 또는 저온스팀방식으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분사될 수 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고정돌기(230)는 본체(210)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본체(210)와 결합하는 설치판(120)의 하부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생성부(100)가 본체(2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지지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제2접지부(240)는 도킹몸체(311)의 제2도킹접지부(3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30) 외면에 노출 형성된다. 이때 제2접지부(240)는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 서브보드(330) 및 충전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도킹접지부(314)를 통해 충전지(250)에 전원을 충전시켜 본체(210)가 도킹몸체(311)와 분리된 이후에도 서브보드(33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메인보드(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본체엘이디(331)를 통해 전기분해 상태 여부 등을 조사되는 조명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충전지(250)는 본체(210) 내부에 제2접지부(240)를 통하여 충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분사부(200)가 도킹몸체(311)와 분리시에 서브보드(330)의 작동에 필요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충전지(250)가 구비된 본체(210)는 상기 충전지(25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덮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200)는 충전지(2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 또는 이동 후에도 서브보드(330) 및 워터펌프(220)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트리거스위치(211)의 간편한 동작으로 워터펌프(220)를 통해 살균소독제를 자동 또는 반자동 상태로 분사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부(100) 및 분사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부(100)가 살균소독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전기분해시에 전해질에 가해지는 초당 전류 값을 측정하여 양질의 살균소독제 생성을 위한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킹부재(310), 메인보드(320) 및 서브보드(330)을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여기서, 도킹부재(310)는 생성부(100)와 밀폐 결합한 분사부(200)가 안착하여 상기 생성부(100)의 전기분해에 필요한 전원 또는 상기 분사부(200)의 충전지(250)에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킹몸체(311), 안착홈(312) 및 어댑터(315)를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도킹몸체(311)는 일 예로 소정높이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가 지면 또는 선반 등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에 밀림방지패드(미도시)가 구비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안착홈(312)은 도킹몸체(311) 상부에 내측으로 홈을 갖도록 형성되며, 수용관(110) 하부 외면과 고정돌기(230) 하부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용관(110) 하부에 구비되는 설치판(120) 하면과 면 접촉하여 도킹몸체(311)에 생성부(100) 및 분사부(200)가 거치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안착홈(312) 내면에는 설치판(120)에 형성된 제1접지부(121)와 고정돌기(230)에 형성된 제2접지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도킹접지부(313) 및 제2도킹접지부(314)가 구비되어 메인보드(320)를 통해 전극관(130)과 충전지(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안착홈(312)은 안착하는 생성부(100) 및 분사부(200)와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안착 가능하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어댑터(315)는 도킹몸체(311)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정격전압으로 정류하여 메인보드(320)에 정류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메인보드(32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킹몸체(311) 내부에 구비되며, 생성부(100) 및 분사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판독부(321), 동작확인엘이디(322), 전원공급부(323), 터치스위치(324) 및 마이컴(325)을 포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판독부(321)는 생성부(100)에서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해 전해질(E)을 전기분해시에 상기 전해질(E)에 공급되는 전류 값을 시간대비로 측정하여 양질의 차아염소산 생성이 가능한지를 판독한다. 즉, 전해질(E)의 양이 양질의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치 이상이거나 미만인 경우에는 전극관(130)을 통해 전기분해시에 필요한 초당 소모되는 전류 값이 상대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판독부(321)는 이 초당 전류 값을 판독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 값과 차이가 있는 경우에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에러신호는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엘이디 또는 음향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소비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살균소독제 생성의 오류신호가 발생시에 전기분해에 필요한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판독부(321)는 제1접지부(121)와 제1도킹접지부(313) 또는 제2접지부(240)와 제2도킹접지부(314)가 서로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의 연결상태 여부를 확인하며, 비정상적으로 연결시에는 에러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상연결 할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동작확인엘이디(322)는 메인보드(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부(323)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수용관(110) 내부로 조명을 조사하며, 연장판(141)을 통해 그 조명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작확인엘이디(322)는 메인보드(320)의 제어에 의해 전기분해 진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식별가능하도록 전기분해 진행시와 완료시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발광하도록 하여 연장판(141)을 통해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동작확인엘이디(322)는 광섬유 등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에 유의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전원공급부(323)는 어댑터(315)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정류하여 제어부(300), 분사부(200) 및 생성부(100)에 필요한 정류된 전원을 인가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터치스위치(324)는 생성부(100)가 전기분해 하기 위한 작동스위치로써 도킹몸체(311) 외면에 노출되어 터치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터치스위치(324) 내부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전기분해 진행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가능한 엘이디가 구비되어 전기분해 진행이나 완료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이 발광할 수 있도록 마이컴(325)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마이컴(325)은 상술한 판독부(321), 동작확인엘이디(322), 전원공급부(323) 및 터치스위치(324)를 제어한다. 이때 마이컴(325)에는 기준전류값이 미리 저장되어 판독부(321)가 에러 여부를 판단시에 용이하도록 하며, 기준전류값은 450mA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서브보드(330)는 충전지(250), 워터펌프(220) 및 트리거스위치(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지(250)를 통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트리거스위치(211)의 온/오프에 의해 워터펌프(220)를 동작할 수 있도록 본체(210)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서브보드(330)는 충전지(250)의 충전상태, 워터펌프(220) 작동상태 및 생성부(100)의 전기분해 상태 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본체엘이디(33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0)는 살균소독제의 생성을 위해 전해질(E)을 전기분해 하기 이전에 상기 전해질(E)의 전기분해시에 필요한 초당 전류 값을 측정하여 에러 여부를 미리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살균소독제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음향 또는 다양한 색상 변화 가능한 엘이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분사장치(1)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제어부(300)에는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L)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L)는 적색 LED로 구성된다. 즉,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L)는 생성부(100)에서 생성한 살균소독제의 소독력이 감소되는 시점이 되면 본체 외부에 적색 LED 등의 표시등이 켜져 사용자가 생성된 소독제의 사용기한이 경과됨을 알고 생성된 살균소독제를 버리고 새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소독제의 유효기간은 살균소독제 생성후 살균소독제의 농도(ppm)가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졌을 때를 말하는데, 살균소독제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L)를 작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시간을 설정하여 살균소독제 생성 후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L)가 켜지도록 하는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제어부(300)의 판독부(321)를 통하여 전해질 양에 따라 전기분해시에 소요되는 전류 값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전류 값과 기준전류값을 서로 비교하여 양질의 살균소독제를 생성하기 위해 올바른 전해질(E)의 양이 투입되었는지를 에러신호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 생성이 가능한 분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독제 분사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여 공기 중에 생성된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는 것과는 달리, 바닥면(G) 살균을 위해 밀대부재(400)에 살균소독제 분사장치(1)를 결합하여 생성된 살균소독제를 바닥면(G)에 분사시켜 살균시킨다. 이때 본체(210)에는 바닥면(G)에 살균소독제를 용이하게 분사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본체(210)와 결합하고, 하부에 제2노즐(410)이 구비된 연결관(27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270)을 통해 바닥면(G)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아울러, 연결관(270) 하부는 바닥면(G)에 용이하게 살균소독제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밀대부재(400) 하부에 자유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하며, 밀대부재(400) 상부에 트리거스위치(21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분사스위치(420)가 별도 구비된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를 통하여 양질의 차아염소산을 생성하기 위해 올바른 전해질의 양이 투입되었는지를 에러신호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량의 미립자 형태의 소독제를 분사하여 넓은 공간 및 면적의 살균소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또한 전해질을 전기분해시에 발생하는 기포 및 상기 전해질이 전극관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순환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분해면적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26.09.2014] 

Claims (14)

  1. 전해질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소독제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생성부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워터펌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분사부; 및
    상기 생성부와 상기 분사부를 제어하며,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전해질이 수용되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 내부에 기둥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서로 다른 지름 폭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관;
    각각의 상기 전극관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서로 포개지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전해질과 함께 순환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관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전극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설치판; 및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관 상면을 가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은
    하면에 상기 제어부와 접촉하는 제1접지부;
    상면에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삽입공;
    상기 제1삽입공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설치판 상면에 상기 가압기둥 하부가 삽입하도록 형성된 제2삽입공;
    상기 제1접지부와 각각의 상기 전극관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자부재; 및
    상기 설치판 측면에서 상면까지 이어지며, 상기 간극과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은
    상기 설치판 지름 폭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둥은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연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판은 상기 간극에 형성된 상기 기포가 상기 전해질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방사형태로 천공형성된 기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재는
    상면이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면과 연결되는 단자판; 및
    상부가 상기 단자판 또는 각각의 상기 전극관 하면과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단자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를 동작시키는 트리거스위치;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펌프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지; 및
    상기 본체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충전지의 충전을 위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의 전기분해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분사부의 충전 가능한 전원이 인가가능하도록 하는 도킹부재;
    상기 도킹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생성부 및 상기 분사부의 동작상태나 상기 제어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해질 양에 따라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측정하여 전기분해 여부를 결정하는 메인보드; 및
    상기 분사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의 충전, 상기 분사부의 충전시기 및 상기 생성부와 상기 도킹부재 간의 정상적인 결합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서브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재는
    내부에 상기 메인보드가 구비되는 도킹몸체;
    상기 도킹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생성부 또는 상기 분사부가 삽입 안착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생성부와 상기 메인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도킹접지부;
    상기 안착홈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와 상기 메인보드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도킹접지부; 및
    상기 보드부재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상기 전해질의 전기분해시에 가해지는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판단하며, 인가된 전류 값이 기준전류값과 상이한 경우 또는 상기 도킹부재에 안착하는 상기 생성부와 상기 분사부가 정상적으로 안착하였는지를 판단하여 비정상적으로 안착시에 에러신호를 발생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소독제 분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가 전기분해시에 상기 전해질을 통하여 가해지는 전류 값을 측정하고, 그 전류 값에 의해 상기 전해질의 투입량을 판단하여 상기 살균소독제 생성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토대로 살균소독제 생성에 오류가 발생시에 오류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살균소독제 생성의 오류신호가 발생시에 전기분해에 필요한 상기 생성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된 살균소독제의 농도(ppm)가 설정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 이를 알리는 유통기한 경과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PCT/KR2014/005838 2013-11-27 2014-07-01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WO201508036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173 2013-11-27
KR1020130145174A KR101569764B1 (ko) 2013-11-27 2013-11-27 살균세척제 생성장치
KR10-2013-0145174 2013-11-27
KR1020130145173A KR101546400B1 (ko) 2013-11-27 2013-11-27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361A1 true WO2015080361A1 (ko) 2015-06-04

Family

ID=5319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838 WO2015080361A1 (ko) 2013-11-27 2014-07-01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8036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559U (ko) *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전해식 손소독기
KR20110091343A (ko) * 2010-02-05 2011-08-11 임종태 살균력을 갖는 스프레이
KR20110116131A (ko) * 2008-12-17 2011-10-25 텐난트 컴파니 액체를 통하여 전하를 인가하여 살균 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134573B1 (ko) * 2010-08-02 2012-04-13 안현구 살균수 나노 분사 장치
KR20130052402A (ko) * 2011-11-11 2013-05-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터널식 방역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559U (ko) * 2007-11-09 2009-05-13 서순기 전해식 손소독기
KR20110116131A (ko) * 2008-12-17 2011-10-25 텐난트 컴파니 액체를 통하여 전하를 인가하여 살균 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1343A (ko) * 2010-02-05 2011-08-11 임종태 살균력을 갖는 스프레이
KR101134573B1 (ko) * 2010-08-02 2012-04-13 안현구 살균수 나노 분사 장치
KR20130052402A (ko) * 2011-11-11 2013-05-2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터널식 방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400B1 (ko)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CN104775131B (zh) 便携式氢水制备装置
KR101781012B1 (ko) 전해수 제조 장치, 전해수의 제조 방법 및 전해조
KR20130073831A (ko) 수소수 제조 장치
KR101724631B1 (ko) 수소 발생 장치
KR20150103914A (ko)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WO2015080361A1 (ko) 살균소독제 분사장치
KR200403522Y1 (ko) 포터블 살균수 생성기
JP2019025218A (ja) 電解水散布装置
KR100756030B1 (ko) 휴대용 전해소독수 생성장치
KR101944884B1 (ko) 전해 살균수 제조 장치
JP2007044573A (ja) 次亜水生成ボトル
KR101433117B1 (ko) 충전식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101406146B1 (ko) 살균 및 세척수 제조 분사기
KR100979808B1 (ko) 손 소독기
KR102525449B1 (ko) 틀니 착용자의 구강관리를 위한 스마트 틀니 세척장치
KR20110048692A (ko) 이온수기
CN211613124U (zh) 杀菌消毒剂喷射装置
KR101606805B1 (ko) 누수방지용 캡을 가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
KR200419542Y1 (ko) 구강 세정용 가글액 제조장치
JP5871766B2 (ja) 電解層、電解水製造装置及び電解水の製造方法
CN208140567U (zh) 具自洁及自检功能的溶氧感测装置
JP2020092862A (ja) 口腔洗浄装置
KR101908526B1 (ko) 모바일 단말기로 제어하는 차아염소산 생성장치
CN216676689U (zh) 消毒液制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55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55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