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5072A1 -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5072A1
WO2015065072A1 PCT/KR2014/010319 KR2014010319W WO2015065072A1 WO 2015065072 A1 WO2015065072 A1 WO 2015065072A1 KR 2014010319 W KR2014010319 W KR 2014010319W WO 2015065072 A1 WO2015065072 A1 WO 20150650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wer
key
mobile terminal
function
hom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3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원현준
Original Assignee
원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현준 filed Critical 원현준
Publication of WO20150650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50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on / off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perform a power on / off function with one hand conveniently.
  •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s, mobile phones, etc.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aking pictures or videos through a camera, storing voices, playing music files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displaying images or videos.
  •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ality to play games, while others are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 recent terminals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o watch a video or television program.
  • the terminal is mobile
  •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or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may perform a power on / off function by pressing a power button dispos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obil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have.
  • the user can find the power button located on the side or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and by pressing the corresponding power button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power.
  • the user is inconvenient to perform the on / off function of the power button while holding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hand.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continuously slide-touch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wer on / off devic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and easily operate the on / off function of.
  • a power on / off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body part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a display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to display a screen of a specific function; On / off function of power according to the user input unit arranged around the front of the body part and inputting a user's power on / off command, and arranged inside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user's power on / off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user input unit includes a home key, a first function ke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and a second function ke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me key. The at least one of the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continuously touched by the slide, so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 a power on / off device of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body part form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a display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body part to display a screen of a specific function, and a peripheral part around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 a user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and a contact intensity of the slide touch with respect to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 a control unit arranged inside the body unit for sensing and controlling a power on / off function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command of a user input from a user input unit and a contact intensity of a touch sensed by the sensor unit.
  • the user input unit includes a home key, a first function ke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and a second function ke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me key.
  • the fisherman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and the contact strength of the slide tou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You can turn it off.
  • a power on / off device of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body part forming an appearance of a mobile terminal, a display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body part to display a screen of a specific function, and a peripheral por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 a control unit arranged in the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a body disposed inside the body unit to control the power on / 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home key that is slide touched for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including the home key, which is slide touched.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slide tou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turned on / off.
  •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on / off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if there is a user input, Checking whether the home key is input from the home key; and if the user input is input from the home ke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continuously touched. Confirming whether the electrical signal satisfies a reference value for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electrically When the reference value is satisfied,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 the power on / off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e-touched continuously.
  • the power on / off function can be operated easily and simp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no error in perform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by varying an operation condition under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This can be improved.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 slide touch time for power on / off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lide touch distance for power on / off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on / off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mere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prepara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d an interface unit. 170, the controller 180, and the power supply 190 may be included.
  • FIG. 1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like.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nd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 DMB-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 MediaFLO Media Forward Link Only
  • DVD-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 DVD-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a digital broadcast system such as Terrestrial.
  •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not only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 system but also other broadcast systems, and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ut not limited to 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nd Wideband CDMA (WCDMA).
  • GSM 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DMA
  •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the wireless signal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GSM, CDMA, WCDMA, Long Term Evolution) may be used,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to perform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hich i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ultra wideband (UWB) as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etc. may be used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 GPS Global Position System
  •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 the camera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video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and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ay be a memory ( It may be stored in th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 the microphone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the external audio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and the processed voice data i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 the call mode. It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output, and in some cases, the microphone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have.
  •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 the user input unit 130 is a button, a touch sensor (static pressure / located on the front, rear o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Power failure), and although not shown, it may further includ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 the user input unit 130 is a touch switch
  • the user input unit 130 and the touch sensor may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sensing unit 1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ay be generated.
  • the sensing unit 140 may sense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press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pressure sensor may detect the strength of the contact strength of the user touch.
  • the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and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rmine whether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is present. It refers to a sensor that uses force or infrared light to det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a contact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examples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s,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sound output module, an alarm unit, and a haptic module.
  • 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display unit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f 100) is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it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power on / off alarm messag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 the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some of which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 outside can see through.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a flexible display 3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some of which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 outside can see through.
  • transparent display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may include a transparent OLED (TOLED), an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can be seen through the area occupied.
  • TOLED transparent OLED
  • two or more display units may exist.
  •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disposed on the face respectively.
  • the display unit and the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or are integrally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 the touch sensor when the touch sensor has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the touch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unit to form a layer structure, or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to be integrated.
  • the touch screen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s detected by a change i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 the touch screen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 the sound output module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t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includes a receiver, a speaker, and a buzzer. Etc. may be included.
  • the alarm unit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 a signal for inform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 other forms, for example, vibration.
  • the haptic module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can be felt by the user.
  •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module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is vibration, and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can be controlled. Do.
  • the haptic module in addition to vibration, by the pin array vertic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the blow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or inlet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the electrode (eletrode), electrostatic force, etc.
  • Various haptic effects such as an effect and the effect of reproducing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 which can endotherm and generate
  •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udio,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udio, a still image, a video, etc.
  •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the reference value i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input is pressed or the number of touches for performing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a reference value at a press time or a touch time of the user input unit for executin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 RAM Random Access Memory
  •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ROM Read-Only Memory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insi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data to the external device.
  •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For example, wired / wireless headset ports, external charger ports, wired / wireless data ports, memory card ports, ports for connecting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s, The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the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and the like.
  •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is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Can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hat can recogniz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 One and the home key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by continuously sliding the touch.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input unit 130 is slid touch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with the home key,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with the home key.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 the controller 180 may slide the user input unit 130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and the second function key from the first function key, or the home key and the first function key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In the order of the function keys, when the slide is touch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control unit 180 controls that the user input unit 130 slides from the first function key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the second function key, and the home key,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 the first function key and the home key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slide is touched.
  • the controller 180 may allow the user input unit 130 to slide-touch from the first function key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the second function key, the home key, and the first function key, or the second function key. From the function key, when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the first function key, the home key, and the second function key,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user input unit 130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touches the slide with the first function key from the home key.
  •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input unit 130 is touched by a slide from the home key in the order of the first function key and the home key.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user input unit 130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touches the slide with the second function key from the home key.
  •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user input unit 130 is touched by a slide from the home key in the order of the second function key and the home key. Can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80 may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You can turn it off.
  • the controller 180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 touched in succession, the controller 180 performs at least one or more slide touch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slide touch time is within the set tim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continuously touched. It can be turned on / off.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ast touched function key among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display a power on / off alarm message on the display unit before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by a slide touch.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slide touch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which is continuously touched by a slide and received from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the touch intensity of the touch.
  • the contact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applied electrical signal.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including the home key is slide touched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lide tou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It may be.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or an internal power source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battery,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a charging monitoring unit.
  •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that can be charged,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the connection port is an interfac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harger for supplying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t can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170.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of FIG. 2 includes a bar-shaped terminal bod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lide type, the folder type, the swing type, the swivel type, or the lik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coup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Applicable to various structures.
  • the body part 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and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and a rear case, between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built in the formed space.
  •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ase may include a battery, a USIM card, a memory card, and the like that the user needs to remove.
  • the case of the body part 10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have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 the body 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20, an audio output unit 50, a camera 60, a home key 30 which is a user input unit, a sound volume control key 40, The microphone 80, the interface 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 the display unit 20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unit 10, and the sound output unit 50 and the camera 60 are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20,
  • the home key 30 and the microphone 80 may b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 the first function key 3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me key 30.
  • the user input unit including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us,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Can include them.
  • the content input by the user input unit may be variously set.
  • a command such as a start, end, scroll, or the like may be input, or the size of a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50 may be adjusted.
  • a command may be input or a command such as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20 may be input.
  •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may be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to receive a user's command only by the user's touch.
  •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of the user input unit may be a touch switch.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front face 11 of the body portion 10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isplays a screen of a specific function.
  • a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e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t least one of the home keys 30 is slid touched in succession, thereby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That can be controlled.
  • control unit when the user input unit is slide touch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touch inpu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turned on / off.
  • control unit may be touched by the user input unit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control unit, the user input unit is slide touch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the home key 30, or the second function key. From 34,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slide is touched.
  • the controller then slides the user input unit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function key 32.
  • the second function key 34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It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terminal 100.
  • control unit, the user input unit is slide-touched from the home key 30 to the first function key 32, or the user input unit 130 from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 In order of the home key 30, when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the control unit, the user input unit is slide touched from the home key 30 to the second function key 34, or the user input unit 130 from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slid touched in succession. 100)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 control unit may move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slid touched successively, when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at least once. It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terminal 100.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 100)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ast touched function key among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display a power on / off alarm message on the display unit 20 before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 off by a slide touch.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front surface 11 of the body portion 10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creen of a specific function Is disposed around the front surface 11 of the display unit 20 and the body unit 10, and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inside the body unit 10.
  • a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a contact intensity of the slide touch with respect to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unit 10 and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touch and the contact strength of the touch sensed by the sensor unit (not shown)
  • the user input unit includes a home key 30 ), The first function key 32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30, the home key 30 And a second function key 34 disposed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slides and touch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continuously.
  •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n applied electrical signal.
  • 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the strength of the touch intensity of the touch.
  •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0 and the front surface 11 of the body portion 10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It is disposed around the display unit 20 for displaying a screen, the front surface 11 of the body portion 10,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10,
  •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according to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the user input unit is a home which is slide-touched for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es a key 3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periphery of the home key 30 including the home key 30 slides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lide tou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e touch may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30 from the home key 30 or in the direction of the home key 30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30.
  • the controller may mo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to the home screen when the slide touch moves below the reference value.
  • 3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200 uses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disposed a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You can enter the power on / off command.
  • the first function key 3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me key 30.
  •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The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may be touch switches.
  •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may be slide touched by the user for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by the slide touch in succession.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lide touch the user 200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with the home key 30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with the home key.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or the touch key 30 is pressed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 the user 200 moves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home key 30.
  • Slide touch, or slide touch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controller checks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power on / off command. can do.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re not touched. Of the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ast touched function key.
  • the controller chang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to the home screen.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move.
  • a pressure sensor may be further dispos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ressure sensor may sense the contact strength of the slide touch with respect to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put from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 control unit controls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to be continuously slide-touched to input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the pressure sensor.
  • the power on / off function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act strength of the slide touch sens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and the touch intens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 control unit slides the user 200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or the second function. From the key 34,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when the slide touch is made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function key 32.
  • a slide touch is perform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 the key 30 and the first function key 32 are previously set to perform a power on / off command function when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the user 200 uses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perform a power on / off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trol unit slides the user 200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in the order of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and the home key 30. Or when the user touches the slide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in the order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trolled to be off.
  • a slide touch is perform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and the home key 30, or the second function key. From 34, when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are set to perform a power on / off command function when the slide touch is made, the method shown in Figs. Similarly, the user 200 slides a touch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and the home key 30, or the second. When the user touches the slide from the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the controller confirms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power. The on / off command can be performed.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user 200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function key ( 32 in the order of the touch, or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 a slide is performed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to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function key 32. Power on / off when touching or slidingly touching from the second function key 34 to the home key 30, the first function key 32,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If it is set in advance to perform the off command function, as shown in FIG. 6, the user 200 receives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from the first function key 32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perform a power on / off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lide touch the user 200 from the home key 30 to the first function key 32 or from the home key 30 to the second function key 34. ), When the slide touch,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 a slide touch is performed from the home key 30 to the first function key 32 or from the home key 30 to the second function key 34.
  • the user 200 moves from the home key 3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first function key 32 as shown in FIG. 7.
  • Slide touch, or slide touch from the home key 30 to the second function key 34 the controller checks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power on / off command. can do.
  • the control unit slides the user 200 from the home key 30 in the order of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or the home key 30.
  •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 off when the slide touch is made.
  • the slide function is touched in the order of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from the home key 30 or the second function from the home key 30.
  • the key 34 and the home key 30 when the user touches the slide, when the slide is set in advance, the user 200 moves the mobil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8. From the home key 30, slide touch in order of the first function key 32 and the home key 30, or from the home key 30, the second function key 34 and the home key 30.
  • the controller may check the slide touch of the user 200 and perform a power on / off command corresponding thereto.
  •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if the touch cond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is not a preset condition and the home key 30 is not touched. ), 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last touched function key.
  • the controller change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to the home screen. It can also be controlled to move.
  • the control unit slides at least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continuously.
  • the power on / off function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nd the contact strength of the slide touch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and the touch intens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lide touch is performed only onc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continuously slide-touched.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slide touch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are continuously touched. It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FIG. 9 is a view showing a power on / off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200 powers on the user through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disposed around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You can enter the / off command.
  •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lide touch con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second function keys 32 , 3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power on / off alarm message on the display unit 20 before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urned on / off by a slide touch.
  • the controller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unit 20 before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supplies power to the display unit 20 before controll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reason for this is to eliminate the problem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powered off when the user accidentally mishandles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by mistake. .
  • control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20, by displaying an alarm message for the power-off to the user, and confirm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rror on the power on / off,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lide touch time for power on / off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200 powers on the user through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disposed around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You can enter the / off command.
  • the first function key 3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me key 30, and the second function key 34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me key 30.
  • the home key 30 and the first The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may be touch switches.
  •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may be slide-touched by the user for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and 34 and the home key 30 by the slide touch in succession.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control unit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32, 34) and the home (30) key is continuously touched slide, if the slide touch time is within the set time, It can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the slide touch time may be set within about 2 secon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ason is that by preventing the error of the slide touch for power on / off,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 FIG. 11 illustrates a slide touch distance for power on / off control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input unit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home key 30 that is slide touched for a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 the controller (not show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30 including the home key 30, the slide touch, 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lide touch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on / off Can be controlled.
  •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e touch may slide in the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30 from the home key 30 or in the direction of the home key 30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home key 30.
  •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movement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touch point at which the slide touch starts and the second touch point at which the slide touch ends.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be turned on / off 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lide tou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mo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0 to the home screen.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on / off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terminal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 the controller may check whether the user's input is input from the home key among the user input units.
  • the controller may repeat step S10.
  •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is slid continuously touches the user's input.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reference value for the power on / off command is satisfied (S14).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another input key among the user input units (S16).
  •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satisfy the reference value for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ondition that the slide key is continuously touched.
  •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trolled to turn on / off the power.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condi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is slid touched continuously does not satisfy the reference value for the power on / off command of the user. In operation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home key has been touched.
  • the controller can mov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to the home screen.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function key or the second function key is touched (S24).
  • first function key or the second function key If the first function key or the second function key is touched, it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unction key or the second function key (S26).
  • the power on / off apparatus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operation condition in which the home key slides continuously.
  • the on / off function of the power can be operated easily and simp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lmost no error in performing the power on / off function by varying an operation condition under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unction keys and the home key are slid touched continuously. This can be improved.
  •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or partially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Abstract

한 손으로 편리하게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와,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4.11.2014]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편리하게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파워(power)를 온/오프(on/off)해야 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파워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누름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파워 버튼을 찾아서, 해당하는 파워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누름으로써, 파워를 온시키거나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이동 단말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파워 버튼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두 번 터치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터치하기 위한 사용자의 손가락 상태나 외부 환경에 의해, 화면 터치에 자주 오류가 발생하여, 파워의 온/오프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작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와,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를 센싱하는 센서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과,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터치의 접촉 강도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와,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되는 홈 키(home key)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홈 키를 포함한 홈 키의 주변부가,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이 있다면, 사용자의 입력이, 사용자 입력부 중, 홈 키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이 홈 키로부터 입력되면,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기준값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상기 기준값에 만족되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작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작 조건을 가변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오류가 거의 없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슬라이드 터치 시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슬라이드 터치 거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고,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다음,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그리고,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어,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정압/정전)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touch)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 스위치인 경우, 사용자 입력부(130)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터치 센서, 압력 센서,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는, 사용자 터치의 접촉 강도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는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하는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어,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다음,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람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으며,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데,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으며,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여기서,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부(160)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의 눌림 횟수 또는 터치 횟수에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메모리부(160)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의 눌림 시간 또는 터치 시간에 기준값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데,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는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 중, 홈 키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제 2 기능키가 터치식인 터치 스위치인 경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제 1 기능키로부터, 홈 키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로부터, 홈 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제 1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2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1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제 1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2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1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제 1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2 기능키, 홈 키, 제 1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로부터, 홈 키, 제 1 기능키, 홈 키, 제 2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로부터, 제 1 기능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로부터, 제 1 기능 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로부터, 제 2 기능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로부터, 제 2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한 번만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 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이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180)는, 슬라이드 터치시, 홈 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제 1, 제 2 기능키 중, 최종 터치한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슬라이드 터치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에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80)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터치의 접촉 강도를 센싱하는 압력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80)는, 홈 키를 포함한 홈 키의 주변부가,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의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부(1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하는데,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와 리어 케이스(rear case)로 구분될 수 있고,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고, 리어 케이스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케이스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바디부(10)에는, 디스플레이부(20), 음향 출력부(50), 카메라(60), 사용자 입력부인 홈 키(30)와 음향 크기 조절키(40), 마이크(80), 인터페이스(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바디부(10)의 앞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디스플레이부(20)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50)와 카메라(60)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홈 키(30)와 마이크(8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홈 키(30)의 일측에는, 제 1 기능키(32)가 배치될 수 있고, 홈 키(30)의 타측에는, 제 2 기능키(34)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어, 홈 키(30),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을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일 수 있다.
이때,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입력부의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는, 터치(touch) 스위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앞면(11)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 바디부(10)의 앞면(11)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바디부(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30)와, 홈 키(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32)와, 홈 키(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34)를 포함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 제 1 기능키(32)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 제 2 기능키(34)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 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가,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한 번만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 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이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시, 홈 키(30)가 터치되지 않으면,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최종 터치한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20)에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앞면(11)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 바디부(10)의 앞면(11) 주변에 배치되어,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바디부(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 바디부(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과,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센싱되는 터치의 접촉 강도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30)와, 홈 키(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32)와, 홈 키(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34)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미도시)는, 터치의 접촉 강도의 세기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10), 바디부(10)의 앞면(11)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 바디부(10)의 앞면(11)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바디부(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슬라이드 터치되는 홈 키(30)를 포함하며, 제어부(미도시)는, 홈 키(30)를 포함한 홈 키(30)의 주변부가,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터치의 슬라이딩 방향은, 홈 키(30)로부터 홈 키(30)의 주변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홈 키(30)의 주변부로부터 홈 키(30)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슬라이드 터치시,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하일 때,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홈(home)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는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통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능키(32)는, 홈 키(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 기능키(34)는, 홈 키(30)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는 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도 3과 같이, 사용자(200)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3과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의 터치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이 아니고, 홈 키(30)가 터치되지 않으면,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최종 터치한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의 터치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이 아니고, 홈 키(30)가 터치되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홈 화면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에 압력 센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는,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어,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과,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터치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도 4와 같이, 사용자(200)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4와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도 5와 같이, 사용자(200)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5와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는, 도 6과 같이, 사용자(200)가,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 제 1 기능키(32)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 제 2 기능키(34)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6과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제 1 기능키(32)로부터, 홈 키(30), 제 2 기능키(34), 홈 키(30),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제 2 기능키(34)로부터, 홈 키(30), 제 1 기능키(32), 홈 키(30),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도 7과 같이, 사용자(200)가,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7과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도 8과 같이, 사용자(200)가,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 내에,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할 때, 파워 온/오프 명령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8과 같이, 사용자(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홈 키(30)로부터, 제 1 기능키(32),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거나, 또는 홈 키(30)로부터, 제 2 기능키(34), 홈 키(30)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하면, 제어부는, 사용자(200)의 슬라이드 터치를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워 온/오프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의 터치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이 아니고, 홈 키(30)가 터치되지 않으면,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최종 터치한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의 터치 조건이, 미리 설정된 조건이 아니고, 홈 키(30)가 터치되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홈 화면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에 압력 센서가 더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어,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과, 압력 센서로부터 센싱되는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터치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한 번만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 7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는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통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상기 앞서 설명한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터치 조건에 따라서,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조작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 온/오프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는, 제어부가, 슬라이드 터치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20)에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과 같이,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에 대한 조건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해당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20)에 "전원을 종료하시겠습니다까"라는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 번 더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실수로 잘못 조작한 경우, 필요치 않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가 오프되는 문제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원 종료에 대한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고, 파워 온/오프에 대한 에러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슬라이드 터치 시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는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를 통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능키(32)는, 홈 키(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 2 기능키(34)는, 홈 키(30)의 타측에 배치되는데, 홈 키(30) 및 제 1, 제 2 기능키(32, 34)는 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 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30)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32,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30)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슬라이드 터치 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이면,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 터치 시간은, 약 2초 이내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파워 온/오프를 위한 슬라이드 터치의 에러를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슬라이드 터치 거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슬라이드 터치되는 홈 키(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홈 키(30)를 포함한 홈 키(30)의 주변부가, 슬라이드 터치되고,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터치의 슬라이딩 방향은, 홈 키(30)로부터 홈 키(30)의 주변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홈 키(30)의 주변부로부터 홈 키(30)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터치의 슬라이딩 방향이, 홈 키(30)를 지날 때,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가 시작되는 제 1 터치 포인트와 슬라이드 터치가 끝나는 제 2 터치 포인트 사이의 이동 거리 d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이동 단말기(100)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는,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하일 때, 홈 키(30)가 슬라이드 터치되었다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을 홈(home) 화면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0)
이어,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의 입력이, 사용자 입력부 중, 홈 키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2)
만일,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없다고 판단하면, S1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홈 키로부터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기준값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4)
만일,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홈 키로부터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 입력부 중, 다른 입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
그리고,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기준값에 만족한다고 판단하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8)
만일, 제어부는,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기준값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홈 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
만일, 제어부는, 홈 키가 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홈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22)
하지만, 제어부는, 홈 키가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제 1 기능키 또는 제 2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4)
만일, 제 1 기능키 또는 제 2 기능키가 터치되었다면, 제 1 기능키 또는 제 2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6)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작 조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쉽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작 조건을 가변함으로써,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오류가 거의 없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와, 상기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상기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됨에 의해,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제 1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제 1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2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1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제 1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2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1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제 1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2 기능키, 홈 키, 제 1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기능키로부터, 상기 홈 키, 제 1 기능키, 홈 키, 제 2 기능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홈 키로부터, 상기 제 1 기능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홈 키로부터, 상기 제 1 기능 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홈 키로부터, 상기 제 2 기능키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상기 홈 키로부터, 상기 제 2 기능키, 홈 키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터치가 한 번만 수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터치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수행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될 때, 상기 슬라이드 터치 시간이, 설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시, 상기 홈 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최종 터치한 기능키에 상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파워 온/오프 알람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5.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터치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과,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되는 터치의 접촉 강도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홈 키와, 상기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상기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접촉 강도의 세기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7.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중앙에 배치되어,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바디부의 앞면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따라, 파워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을 위해 슬라이드 터치(slide touch)되는 홈 키(home key)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키를 포함한 상기 홈 키의 주변부가, 슬라이드 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상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슬라이딩 방향은,
    상기 홈 키로부터 상기 홈 키의 주변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상기 홈 키의 주변부로부터 상기 홈 키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시,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이동 거리가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홈(home)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20. 홈 키와, 상기 홈 키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기능키와, 상기 홈 키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기능키를 갖는 사용자 입력부와, 특정 기능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다면,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사용자 입력부 중, 홈 키로부터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홈 키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파워 온/오프 명령에 대한 기준값에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홈 키가, 연속으로 슬라이드 터치되는 조건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상기 기준값에 만족되면, 상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파워를 온/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4/010319 2013-10-31 2014-10-31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650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97 2013-10-31
KR1020130131697A KR101453687B1 (ko) 2013-10-31 2013-10-31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5072A1 true WO2015065072A1 (ko) 2015-05-07

Family

ID=5199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319 WO2015065072A1 (ko) 2013-10-31 2014-10-31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3687B1 (ko)
WO (1) WO20150650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5234A (zh) * 2016-10-08 2017-02-22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显示装置
CN106488019A (zh) * 2014-09-12 2017-03-0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开机方法
CN108307044A (zh) * 2018-01-08 2018-07-2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设备
CN108700995A (zh) * 2016-02-15 2018-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用于切换和对齐其应用的方法
CN113268132A (zh) * 2021-05-19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供电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55Y1 (ko) * 2019-02-21 2020-06-04 이동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절약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131A (ko) * 1996-06-07 1998-03-30 김광호 소프트터치 스위치장치
KR20050067296A (ko) * 2003-12-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전원 공급차단 방법
KR20110090656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팬택 휴대단말기의 메탈 돔 스위치 일체형 터치 윈도우
KR20130081923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기능키 수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513B1 (ko) * 2008-02-11 2014-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131A (ko) * 1996-06-07 1998-03-30 김광호 소프트터치 스위치장치
KR20050067296A (ko) * 2003-12-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작전원 공급차단 방법
KR20110090656A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팬택 휴대단말기의 메탈 돔 스위치 일체형 터치 윈도우
KR20130081923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기능키 수행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8019A (zh) * 2014-09-12 2017-03-08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开机方法
CN106488019B (zh) * 2014-09-12 2019-08-1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开机方法
CN108700995A (zh) * 2016-02-15 2018-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用于切换和对齐其应用的方法
EP3396517A4 (en) * 2016-02-15 2019-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AND ALIGNING CORRESPONDING APPLICATIONS
US10976916B2 (en) 2016-02-15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and aligning applications thereof
US11550468B2 (en) 2016-02-15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pplication used therein
CN106445234A (zh) * 2016-10-08 2017-02-22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触摸显示装置
CN108307044A (zh) * 2018-01-08 2018-07-2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设备
CN108307044B (zh) * 2018-01-08 2019-09-17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设备
CN113268132A (zh) * 2021-05-19 2021-08-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供电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687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3529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111873A1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WO2015065072A1 (ko) 이동 단말기의 파워 온/오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00932A1 (ko)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08628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대기화면 구성방법
WO201601022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45275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64858A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5684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19066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8816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WO2018043790A1 (ko) 이동 단말기
WO201107845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WO2018124334A1 (ko) 전자장치
WO2017010595A1 (ko) 키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 시스템
WO201517852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12451A1 (en) Electronic device
WO2021107225A1 (ko)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05558A1 (en) Mobile terminal
WO2018038288A1 (ko) 이동 단말기
WO2016200005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8101508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08287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05326A1 (en) Device and method of unlocking device
WO2015005718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69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69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