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5051A1 -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5051A1
WO2015065051A1 PCT/KR2014/010268 KR2014010268W WO2015065051A1 WO 2015065051 A1 WO2015065051 A1 WO 2015065051A1 KR 2014010268 W KR2014010268 W KR 2014010268W WO 2015065051 A1 WO2015065051 A1 WO 20150650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cpu
application
que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02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윤정
곽정호
최옥영
정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업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업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0048.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766020B/zh
Priority to US15/033,561 priority patent/US9705774B2/en
Publication of WO20150650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50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88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vice such as a terminal using the same.
  • a terminal may select a network, perform adaptive and modulation coding (AMC), or control transmission power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network environment.
  • AMC adaptive and modulation coding
  • the network selection, AMC,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have been independent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network environ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integrally controlling CPU speed, network selection, AMC, and transmission power in consideration of a smartphone power consumption model (CPU and network interfa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while ensuring output optimiz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output and power consump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PU and network conditions of a terminal.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transmission delay in a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ng an application based on a queue of a terminal and a network, and controlling a CPU speed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elected application.
  •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 network set, a data rate, and a transmission power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selected application and the controlled CPU speed.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transmission delay, and includes a radio frequency (RF) unit for receiving and / or transmitting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ata received and / or transmitted through the RF unit.
  • the controller may select an application to be processed in the terminal, control a processing speed of the terminal, determine a network to which the data is to be transmitted, and determine a combination of a data rate and a transmission power.
  • RF radio frequency
  • the CPU speed, the network selection, the AMC and the transmission power can be collectively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model (CPU and network interface) of the smartphone.
  • the output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optimized in consideration of the CPU and the network state of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wer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operation perform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 network considering only the network environment or independently performs AMC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and processes / transmits all traffic as quickly as possible regardless of delay tolerance of application traffic. I have taken the way.
  • the smartphone's power consumption model (CPU and network interface) is considered to integrate CPU speed, network selection, AMC and transmit power. It needs to be controlled.
  •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receives a delay-insensitive application, that is, a delay tolerant applica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s considered. You can decide which network to choose.
  • the terminal can reduce the terminal power much while taking an appropriate delay.
  • the network selection problem has not been considered with heterogeneous networks or at the same time with the terminal problems.
  • WiFi networks (IEEE 802.11) consider data rates (e.g., MCS: Modulation and Modifications)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ta rate'), transmit power, and bit error rate. Coding Scheme) and transmit power can be adjusted.
  • MCS Modulation and Modifications
  • target bit error rate 0.01%
  • combinations of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that match the target bit error rate may be determined.
  • one of the combinations of data rate and transmit power may be selected to use the least power.
  • the specific method of determining the combination of data rate and transmission power is as follows.
  • th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packet to the WiFi AP a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and the lowest data rate.
  • the WiFi AP transmits an ACK packe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e highest transmission power and the lowest data rate as feedback on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terminal receiving the ACK packet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power to match each MCS level (data rate)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 MCS level data rate
  • the efficiency of the transmission power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ata rate based on Shannon capacity.
  • the CPU power of a smartphone is proportional to more than a square of a CPU clock speed. Therefore, if there is no problem in the processing load in the terminal, the lower the CPU clock speed,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the CPU power.
  • the current CPU chipsets in many smartphones have several clock adjustment protocols. For example, in the case of on-demand, in response to the terminal load, a high load increases the clock speed, and a low load decreases the clock speed. In the case of conservative, when the terminal load becomes high and then decreases, the clock speed is gradually lowered. In the case of Powersave, the clock is always operated at the minimum clock, and in the case of Performance, the clock is always used at the maximum clock.
  • the LCD display uses the highest power. But since the power usage of the display is related to the user experience, apart from this, the second and third most intensive modules are the CPU and the cellular (3G) or WiFi network interface. The power usage of these second and third modules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Therefore, optimizing the CPU and network power at the same time greatly affects the overall power saving of the smartphone.
  •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etwork also depends on which network is selected or how to combine the transmission power and data rate of a given network.
  • 3G networks are always available, the power required to transmit one bit is greater than that of a WiFi network, while the WiFi network is available intermittently but less than that of a 3G network.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wer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ach CPU and network part is modeled as a queue.
  • Delay tolerant networking applications (NAs) and delay tolerant non-networking applications (NNAs) may be used for the input of the CPU queues.
  • data A NA for an NA application may be queued in a NA CPU queue
  • data A NNA for a NAA application may be queued in an NNA CPU queue.
  • the delay tolerant networking application may be, for example, an application that simultaneously uses CPU and network resources such as Dropbox or application update.
  • the delay-tolerant non-network application may be an application that uses only CPU resources without using network resources such as video encoding.
  • NNA Unlike NA, which uses only CPU resources, NNA must be guaranteed its performance without being affected by network conditions. However, with one CPU queu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guarantee performance without being affected by network conditions. For example, if the network is a bottleneck with NA traffic in front of the queue and NNA traffic behind the queue, the network environment can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NNA traffic behind it.
  • the CPU determines which application ⁇ (t) to process for each time slot.
  • ⁇ (t) represents an application to be processed in time slot t.
  • s (t) represents the CPU speed (CPU clock) at time t.
  • the processed data enters a network queue.
  • the network queue may determine which network l (t) to select.
  • l (t) means the network selected at time t.
  • a 3G network may be selected, a WiFi network or a 4G network may be selected, or all networks may be selected or none may be selected.
  • the combination i (t) of transmit power and AMC data rate may be determined.
  • i (t) means a combina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determined at time t and the AMC mode.
  • the amount of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uplink for each time slot according to l (t) and i (t).
  •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application that uses the minimum CPU and network power while maintaining a finite average CPU and network queue. It provides a method for jointly determining the CPU clock speed adjustment s (t), the network selection l (t), and the combination i (t) of the transmission power and data rate of the selected network at every time slot. At this time, maintaining the network queue finitely means processing the data entering the queue to be serviced within a finite time.
  • Equation 1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rmining an optimal CPU speed and transmit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quation 1 P c (s (t)) is the CPU power consumption when using a CPU speed of s (t), and Pn (l (t), i (t), t) is the network set selection l (t ) And the combination of AMC and transmit power, i (t), means network power consumption in the t time slot.
  • the selectable network set is illustrated as including 3G, WiFi, 3G and WiFi, and four cases in which no data is transmitt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4G, LTE, LTE-A, LTE-U and Combinations including these can also be used as selectable network sets.
  •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application that minimiz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PU and network while processing / transmitting NA and NNA data in the smartphon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djusts the CPU clock speed, selects a network, and transmits power of the selected network. And combinations of data rates are determined.
  • each selection and determination that is, application selection, CPU clock speed adjustment, network selection, and network combination power and data rate combination determination are jointly processed every time slot.
  • the Wi-Fi network when the Wi-Fi network is generally used compared to the cellular network,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energy consumption per bit is lower. If the Wi-Fi network is not available,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network queue and the CPU queue, waiting for the time to use the Wi-Fi network (that is, the opportunity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even if there is a delay). By sending it, you can choose to send as much as possible over the Wi-Fi network (unless there is a problem with delay or queue).
  • the energy efficiency consumed at the network interfa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ata rate attainable.
  •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network can be reduced if possible. For example, when the network traffic is high, the network transmission power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data rate to quickly send out the network traffic, and when the network traffic is low, the network transmission power can be lowered to increase power efficiency.
  • the CPU part when a bottleneck occurs in the network, the amount of traffic in the network queue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other words, if there is a lot of network traffic, the CPU speed can be lowered to save CPU power. On the contrary, if a bottleneck occurs in the CPU part compared to the network part, the CPU speed can be increased to properly match the speed of the CPU part and the network part.
  • NNAs non-networked applications
  • NAs network-enabled applications
  • the power of the CPU and the network can be determined integrally by four controls in the CPU and the network: application selection, CPU clock speed adjustment, network selection, and the combination of transmit power and data rate of the selected network.
  • application selection for example, one parameter (V)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tradeoff between the total power and the total delay of the application.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a way of mathematically solving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constraints. For example, in order to keep the average queues of the CPU and network as finit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output as much traffic from the queue as possible every time slot, and corresponding to the objective function. To minimize power use, you may want to consider minimizing CPU speed and network speed. These two points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need to determine the tradeoff between them most effectively.
  • the application can be divided into several cases depending on which application, the NA or the NNA, has more traffic. If the network queue is the bottleneck, it is always necessary to service the NNA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NNA. If the network queue is not the bottleneck,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ich application is more urgent.
  • condition 1 it is determined whether condition 1 is satisfied.
  • Condition 1 Does more data remain in the network queue than the maximum amoun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in the current time slot t? That is, do you satisfy the condition of Equation 2?
  • Q n is data remaining in the network queue
  • ⁇ max (t) means the maximum amoun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for the combination i (t) of the network set l (t), AMC and power control at time t.
  • condition 1 If condition 1 is not satisfied, that is, if Q n (t)> ⁇ max (t) is not satisfied, it is determined whether condition 2 is satisfied.
  • Condition 2 Q n (t) ⁇ ⁇ max (t), and is the NNA queue larger than the total NA queue (NA CPU queue + network queue)? That is, do you satisfy the condition of Equation 3?
  • Equation 3 Q c NA (t) is the data amount of the CPU queue for the application NA, and Q c NNA (t) is the data amount of the CPU queue for the application NNA.
  • ⁇ NA and ⁇ NNA may be weights for the NA application and the NAA application, respectively.
  • Case 2 is applied if condition 2 is satisfied, i.e. if Q n (t) ⁇ ⁇ max (t) and expression 3 is satisfied.
  • condition 2 is not satisfied, i.e. Q n (t) ≤ max (t) and equation 3 is not satisfied, case 3 applies.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ase 1 Since Case 1 is the bottleneck on the network side, it makes no sense to select NA to send data from the CPU queue to the network queue. In case 1, NNA is chosen because selecting NNA is more effective than reducing the total queue in the system.
  • Equation 4 is divided into two terms: If the CPU power consumption is P C when the CPU clock speed is s (t) at time t, the first term VP c (s (t)) is a term relating to reducing the CPU power. It can be seen. Second term in equation 4 Is a term for reducing the queue of the NNA, that is, a term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queue. Therefore, Equation 4 may be referred to as a method of deriving the parameter V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mission power and the elements necessary to control the CPU queue of the NNA.
  • V is an energy-delay tradeoff parameter, which adjusts a tradeoff between energy (power consumption) and delay.
  • V is a controllable parameter. If V is large, a more weighted method is applied to reduce energy. If V is small, a more weighted delay method is applied.
  • the NNA's CPU queue is large, it can operate at high CPU speeds (i.e. give up some power savings for queue stability), and if the queue is small, at low CPU speeds (to save power), It can work.
  • Equation 5 The choice of network set and the control of AMC & transmit power can be determined by Equation 5.
  • Equation 5 also has the same meaning as Equation 4 regarding the CPU clock speed. That is,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network is P n when the CPU clock speed is s (t) at time t, the first term of Equation 5 can be regarded as a term for reducing network power.
  • the second term of Equation 5 can be seen as a term for reducing the queue of NA, that is, a term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queue. That is, Equation 5 can be said to determine the parameter V that minimi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twork power and the elements necessary to maintain the overall queue for the NA.
  • the network side is the bottleneck, so the overall NA queue (NA CPU queue + network queue) is often large. Therefore, the network set l (t) and AMC & transmit power combination i (t) can be selected to eliminate the bottleneck.
  •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PU clock speed adjustment of NA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6.
  • Equation 7 The selection of the network set and the control of the AMC & transmit power can be determined by Equation 7.
  • the network set with the fastest network speed and the AMC & transmit power combination is selected, but should be set so that no more data is drawn out than the current network queue.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as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NNA's CPU queue is large, it can operate at high CPU speeds (i.e. give up some power savings for queue stability), and if the queue is small, at low CPU speeds (to save power), It can work.
  • Equation 8 The choice of network set and the control of AMC & transmit power can be determined by Equation 8.
  • the network may not be selected and data may not be transmitted at all.
  • the energy-delay tradeoff parameter, V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several circumstances, such as:
  • the power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by setting the V high,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transmission delay may not be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by setting the V low.
  • smartphone battery levels can also be considered. If the battery level is high, you can set V low to reduce the transmission delay.
  • V may be controlled to the value V 'adjusted by Equation 9 as follows.
  • V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delay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and V 'may be dynamically adjusted by WiFi time utilization, battery level, and average file size.
  • Equation 9 is an exemplary embodiment, and V ′ may be controlled in another manne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environments in addition to the environments described herein.
  • the UE may inform the evolved NodeB (eNB), that is, the base station, the time utilization rate of WiFi measured so far.
  • the eNB may help the newly-incoming terminal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V 'by transmitting the average of the WiFi time utilization rates of the UEs in the specific area to the new terminal.
  • information such as the size of data required by the eNB to the UE may also be transmitted from the eNB to the UE to determine V ′.
  • An eNB is a terminal capable of schedul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BS),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 cell, a node, or the like.
  • BS base station
  • BTS base transceiver system
  • Wi-Fi availability may be replaced by the probability that the UE enters the Wi-Fi range of the eNB. In this case, it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that such a probability may be different for each terminal.
  • the UE can inform the eNB of the delay that can be tolerated.
  • the eNB may set the V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delay that can be accommodated by the UE and WiFi availability.
  • the V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terminal, and in order to consider terminals having such different values, a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for each terminal differently.
  • a plurality of queues may be set by grouping terminals having the same V value and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 the eNB may set the V value cell-specific in consideration of all V values of respective terminals.
  • the V value may be an average value or a weighted sum / average value.
  •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each packet or data by applying the V value optimized to the transmission target of the applied data.
  •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 unit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as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However, each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a separate unit.
  • the controller selects an application (S510).
  • the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applications using a network and applications not using a network in consideration of a queue state, a network state, and a CPU speed. Details of application selection are a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speed of the CPU to be applied to the selected application (S520).
  • the control of the CPU speed may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network state, the state of the queue, and the like. Details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PU clock speed have been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may perform network selection and data rate / power control (S530).
  • the control unit may select an optimal network through tradeoffs between factors to be considered, such as power and data processing speed, and determine a combination of the most efficient transmission power (power consumption) and data rate.
  • the content is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 the selection data rate and the power combination of the control network of the selection CPU speed of the appl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the order of determ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a combination of data rate and power can be determined and the network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following conditions: 1 by selecting the application, 2 controlling the CPU speed, 3 selecting the network, and 4 finding conditions to optimize the determination of the data rate and power combination. You can also derive the results required by each 1 ⁇ 4 at once.
  • the controller may perform the necessary control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terminal side state and the network side state. That is, considering the speed of the CPU, the CPU queue, the network queue, the CPU power consumption, the network power consumption, etc. together,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decisions required by 1 to 4. Details of this are as described above.
  •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will first be described to the control unit 60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ing the control operation.
  • the controller 600 may include a CPU clock controller 610, a network queue 620, a network selector 630, and a data rate / power controller 640.
  • the CPU clock controller 610 controls the speed of the CPU.
  • the control method of the CPU speed is as described above.
  • Network queue 620 controls the queuing of the network.
  • the network selector 630 may select a network to transmit data based on the result derived from the control process. Specific methods for selecting a network are as described above.
  • the data rate / power control unit 640 may determine a combination of data rate and power. The specific method for determining this combination is a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600 includes the CPU clock controller 610, the network queue 620, the network selector 630, and the data rate / power controller 640, but the network queue 620 is illustrated. May be excluded from the control unit in a separate configuration.
  • the controller 600 may include a CPU queue.
  • the CPU queue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600 or exist in a communication terminal other than the control unit 600, or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queue for the NA and the NNA,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on which application to select.
  • the controller 600 may compare the amount of data in the CPU queue and select either NA or NNA.
  • the communication terminal 700 may include a controller 710, an RF unit 720, and a memory 730.
  • the controller 710 may perform each operation of the controll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RF unit 720 may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ased on parameter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710 (eg, network set, transmission power, etc.).
  • the memory 73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710, including a CPU queue and a network queue.
  • At least one of the CPU queue and the network queue may belong to the controller 710.
  • the methods are described based on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steps, and any steps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or simultaneously from other steps as described above. have.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e examples of various aspects.
  •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ich also belongs to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를 통해 수신 및/또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의 처리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가 전송될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데이터 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통신 단말에서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등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통신 환경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환경만을 고려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거나 AMC (Adaptive and Modulation Coding)을 수행하거나 또는 전송 전력을 제어해 왔다.
이때, 네트워크의 선택, AMC, 전송 전력 제어는 네트워크 환경만을 고려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또한, 현재 통신 방식에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트래픽의 지연 허용 오차(delay tolerance, 이하, ‘지연 톨러런스’라 함)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트래픽을 최대한 빠른 속도로 처리/전송하고 있다.
이런 기존 방식과는 달리,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 모델 (CPU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을 고려하여 CPU 속도의 제어와 함께, 네트워크 선택, AMC 및 전송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처리량 최적화(Throughput optimality)를 보장하면서 단말 전체의 전력 소모는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 모델 (CPU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을 고려하여 CPU 속도와 네트워크 선택, AMC 및 전송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출력의 최적화를 보장하면서 단말의 전력 소모는 최소화하는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의 CPU와 네트워크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출력과 전력 소모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통신 단말에서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과 네트워크의 큐(Queue)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어된 CPU 속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네트워크 세트,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통신 단말로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를 통해 수신 및/또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의 처리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가 전송될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데이터 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 모델 (CPU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을 고려하여 CPU 속도와 네트워크 선택, AMC 및 전송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의 최적화를 보장하면서 단말의 전력 소모는 최소화하여 통신 단말이 효과적으로 운용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CPU와 네트워크 상태를 동시에 고려하여 출력과 전력 소모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예를 간단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1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2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3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통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제어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기존에는 통신 단말에서 네트워크 환경만을 고려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거나 AMC 및 전송전력 제어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 했고, 어플리케이션 트래픽의 지연 톨러런스(delay tolerance)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트래픽을 최대한 빠른 속도로 처리/전송하는 방식을 취해 왔다.
하지만, 각 통신 네트워크 관련 프로세스를 독립적으로 처리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지연 오차를 무시하는 기존 방식 대신, 스마트폰의 전력 소모 모델 (CPU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을 고려하여 CPU 속도와 네트워크 선택, AMC 및 전송 전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처리량을 최적화 할 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단말 전체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러와 WiFi 망이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이 지연에 둔감한 어플리케이션, 즉 지연 내성 어플리케이션(Delay Tolerant Application)을 서비스 받을 때, 단말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어떤 네트워크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3G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를 일반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3G 네트워크가 단위 비트(bit)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이 WiFi 네트워크보다 3~4배 정도 더 많다는 사실과 3G 네트워크는 항상 이용 가능하지만, WiFi 네트워크는 간헐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WiFi 핫스팟) 사실에 기반하여, 그리고 현재 단말에 남아있는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전체 크기 정보를 활용하여 전력 효율이 좋은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고 단말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조금만 있다면 (긴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3G 네트워크를 통해 최대한 빨리 전송하는 것보다 전력 효율적인 WiFi 네트워크를 만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전송하는 것이, 지연에 따른 약간의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더 적은 전력으로 지연 내성 어플리케이션(Delay Tolerant Application)을 서비스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단말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전체 크기가 크다면 (예를 들어, 단말에서 오래 기다려서 이제는 보내야 할 데이터가 많다면), 3G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네트워크 선택을 제어한다면, 단말은 적절한 딜레이를 감수하면서 단말 전력을 많이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네트워크 선택 문제가 이기종 네트워크와 함께 고려하거나 단말 문제들과 동시에 고려되지 않았다.
WiFi 네트워크(IEEE 802.11)는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 이하, ‘데이터율’이라 함)과 전송 전력, 그리고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데이터 율(예컨대,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과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목표로 하는 비트 에러율(target bit error rate)이 정해지면 (예, 목표 비트 에러율 = 0.01 %), 그 목표 비트 에러율에 맞는 데이터율과 전송 전력의 조합들이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율과 전송 전력의 여러 조합들 중에 가장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목표 비트 에러율이 정해졌을 때, 데이터율과 전 송 전력의 조합을 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 단말과 WiFi AP(Access Point)와의 관계에서, 통신 단말이 최대 전송 전력과 가장 낮은 데이터율로 WiFi AP에게 패킷을 전송한다. WiFi AP는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패킷에 대한 피드백으로 가장 높은 전송 전력과 가장 낮은 데이터율로 ACK 패킷을 통신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 패킷을 수신한 단말은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각 MCS 레벨(data rate)에 맞도록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데이터율과 전송 전력의 조합을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네트워크 환경(이기종 네트워크)과 단말 특성을 함께 고려하지 않았었다. 일반적으로 전송 전력의 효율성은 샤논 용량(Shannon capacity)에 의할 때 데이터율(data rate)에 반비례한다.
한편, 스마트폰의 CPU 전력은 CPU 클럭 속도의 제곱 이상 세제곱 이하에 비례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단말 내의 처리 부하에 문제가 없다면, CPU 클럭 속도를 낮출수록 CPU 전력의 효율성은 높아진다.
현재 여러 스마트폰에 탑재된 CPU 칩셋은 여러 가지 클럭 조절 프로토콜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온디멘드(Ondemand)의 경우, 단말 부하에 맞춰, 부하가 높으면 클럭 속도를 높이고, 부하가 낮으면 클럭 속도를 낮춘다. 컨저버티브(Conservative)의 경우는 단말 부하가 높다가 낮아지면 점진적으로 클럭 속도를 낮춘다. 또한, 파워세이브(Powersave)의 경우는 항상 최소 클럭으로 동작하고, 퍼포먼스(Performance)의 경우는 항상 최대 클럭으로 사용한다.
최근 스마트폰 내의 하드웨어 모듈 별 전력 소모량을 비교해 보면, LCD 디스플레이가 가장 높은 전력을 사용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의 전력 사용량은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것이므로, 이것을 제외하면,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모듈은 CPU와 셀룰러 (3G) 혹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다. 이 두 번째 및 세 번째 모듈들의 전력 사용량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CPU와 네트워크 전력을 동시에 최적화 하는 것은 스마트폰 전체 전력을 절감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스마트폰 CPU의 소비 전력(PC)은 CPU 클럭 속도(s)에 관계되고, Pc(s)=αs3+β의 관계와 같은 비례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CPU의 단말 내의 처리 부하에 문제가 없는 한, CPU 클럭을 낮추는 것이 전력 효율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네트워크의 소비 전력은 어떤 네트워크를 선택하느냐, 혹은 정해진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 및 데이터율(data rate)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3G 네트워크는 항상 사용 가능 하지만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는데 드는 전력이 WiFi 네트워크에 비해 크고, WiFi 네트워크는 간헐적으로 사용가능 하지만 하나의 비트를 전송하는데 드는 전력이 3G 네트워크에 비해 작다.
따라서 3G 네트워크만 사용 가능하더라도 3G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바로 전송하지 않고, WiFi 네트워크를 만났을 때 전송한다면, 딜레이를 감수하고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해진 네트워크의 특정 비트 에러율을 만족하는 전송 전력과 데이터율의 조합을 고려하면, 데이터율이 높아질수록 단위 비트를 전송하는데 네트워크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따라서 이 경우,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지 않다면, 데이터율을 낮출수록 전력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CPU와 네트워크에서 속도를 낮추는 것은 추가적인 딜레이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전력 효율성과 트래픽이 겪게 되는 딜레이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고화질 영화 다운로드, 파일 백업, 업데이트 등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고, 데이터 크기가 큰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런 딜레이에 민감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딜레이를 허용함으로써 높은 전력 효율성을 누릴 수도 있다.
이제부터 스마트폰 단말 내의 CPU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G, WiFi)를 고려한 전력 소모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일 예를 간단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CPU와 네트워크 파트는 큐(Queue)로 모델링 된다. CPU 큐(Queue)의 입력에 지연 내성 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Delay tolerant networking application: NA)과 지연 내성 논-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Delay tolerant non-networking application: NNA)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NA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ANA가 NA CPU 큐에 큐잉되며, NAA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ANNA가 NNA CPU 큐에 큐잉될 수 있다.
지연 내성 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드롭 박스(Dropbox)나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등과 같은 CPU와 네트워크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한, 지연 내성 논-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은 비디오 인코딩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CPU 자원만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CPU 자원만을 사용하는 NNA는 네트워크 자원까지 사용하는 NA와는 달리, 네트워크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성능을 보장받아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CPU 큐로는 이것이 네트워크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 예를 들어, NA 트래픽이 큐의 앞에 있고, NNA 트래픽이 큐의 뒤에 있는 상황에서 네트워크가 병목 지점이면, 네트워크 환경에 의해서 뒤에 있는 NNA 트래픽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CPU 파트의 큐로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두 개의 큐가 필요할 수 있다. 이렇게 CPU 큐를 두 개 둠으로써 뒤에서 제안할 방법이 네트워크 환경에 의해 NNA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NA를 서비스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각 시간 슬롯마다 CPU는 어떤 어플리케이션(θ(t))을 처리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θ(t)는 시간 슬롯 t에서 처리할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속도로 CPU 클럭(s(t))을 설정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즉,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CPU 스피드가 제어된다. s(t)는 시간 t에서의 CPU 스피드 (CPU 클록)을 나타낸다.
처리된 데이터는 네트워크 큐로 들어가게 된다. 네트워크 큐는 어떤 네트워크(l(t))를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l(t)는 시간 t에서 선택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네트워크 큐에서 선택될 수 있는 네트워크로서 3G 네트워크가 선택되거나 WiFi 네트워크 또는 4G 네트워크가 선택될 수도 있고, 모든 네트워크가 다 선택되거나 하나도 선택되지 않을 수 도 있다. 특정 네트워크가 선택되었다면, 전송 전력과 AMC 모드(data rate)의 조합(i(t))이 결정될 수 있다. i(t)는 시간 t에서 결정된 전송 전력과 AMC 모드의 조합을 의미한다.
통신 단말에서는 l(t), i(t)에 따라서 각 시간 슬롯마다 그 양 만큼의 데이터가 업링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평균 CPU와 네트워크 큐(network queue)를 유한하게 유지하면서, CPU와 네트워크 전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1
, CPU 클럭 속도 조절 s(t), 네트워크 선택 l(t), 선택된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과 데이터 율의 조합 i(t)들을 매 시간 슬롯마다 공동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네트워크 큐를 유한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큐에 들어오는 데이터를 유한 시간 내에 서비스 되도록 처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식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최적의 CPU 속도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수식 1>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2
수식 1에서 Pc(s(t))는 s(t)의 CPU 속도를 사용했을 때의 CPU 전력 소모량이고, Pn(l(t),i(t),t)는 네트워크 세트 선택 l(t) 및 AMC와 전송 전력의 조합 i(t)를 사용했을 때, t 시간 슬롯에서의 네트워크 전력 소모량을 의미한다.
수식 1에서는 선택 가능한 네트워크 세트는 3G, WiFi, 3G 및 WiFi, 그리고 아무 데이터도 전송하지 않는 4가지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했으나, 이는 예시일 뿐으로, 4G, LTE, LTE-A, LTE-U과 이들을 포함하는 조합 등도 선택 가능한 네트워크 세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내의 NA와 NNA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내에 처리/전송하면서 CPU와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CPU 클럭 속도를 조절하며,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과 데이터율의 조합들을 결정한다. 이때, 각각의 선택과 결정, 즉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CPU 클럭 속도 조절, 네트워크 선택, 네트워크 전송 전력 및 데이터율의 조합 결정은 매 시간 슬롯마다 공동으로 처리된다.
1) 네트워크 파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망에 비해서 Wi-Fi 망을 사용하게 되었을 경우, 비트당 에너지 소모가 적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Wi-Fi 망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네트워크 큐와 CPU 큐의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Wi-Fi 망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까지 기다려서 (즉, 지연(delay)이 생기더라도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지 수 있도록) 전송함으로써, (지연이나 큐(queue)의 상황에 문제가 없다면) 최대한 Wi-Fi 망으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2)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특정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을 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소모되는 에너지 효율은 얻을 수 있는 데이터율(data rate)에 반비례한다는 사실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큐와 CPU 큐에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 될 수 있으면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전송 전력을 높임으로써 데이터율을 증가시켜 네트워크 트래픽을 빠르게 내보내고, 네트워크 트래픽이 적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전송 전력을 낮춰서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또한, CPU 큐의 트래픽 양을 고려할 수도 있다. 즉, CPU 트래픽이 많다면, 딜레이를 줄이고 빠르게 트래픽을 빼내기 위하여 네트워크 선택에 있어서 CPU 큐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U 트래픽이 많으면, 딜레이를 줄이기 위하여 WiFi 망을 기다리지 않고, 3G로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4) CPU 파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병목이 발생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큐의 트래픽 양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이 있다면, CPU 속도를 낮추어서, CPU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네트워크 파트에 비해 CPU 파트에서 병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CPU 속도를 높여서 CPU 파트와 네트워크 파트의 속도를 적절하게 맞출 수 있다.
5)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NA)를 서비스하는데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NNA)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큐에서 병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NNA를 서비스하고, (병목이 있더라도) 네트워크 큐에서 발생하는 병목이 아닌 경우에는 NA와 NNA를 공평하게 혹은 트래픽이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우선해서 서비스하도록 할 수 있다.
6) CPU와 네트워크에서의 네 가지 제어 (어플리케이션 선택, CPU 클럭 속도 조절, 네트워크 선택, 선택된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과 데이터율의 조합)에 의하여 CPU와 네트워크의 전력이 통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파라미터(V)를 조정하여, 전체 전력과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지연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목적 함수와 제한 조건을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방식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한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CPU와 네트워크의 평균적인 큐를 유한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매 시간 슬롯마다 큐로부터 트래픽을 최대한 많이 출력해야 한다는 점과, 목적 함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CPU와 네트워크의 평균 전력을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CPU 속도와 네트워크 속도를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두 포인트는 서로 상충되는 것으로서 둘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가장 효과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i) 네트워크 큐가 병목 지점인지, (ii) 네트워크 큐가 병목 지점이 아니라면, NA와 NNA 중 어느 어플리케이션이 트래픽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몇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큐가 병목 지점이면, NNA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항상 NNA를 서비스 할 필요가 있고, 네트워크 큐가 병목 지점이 아니라면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더 급하냐를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먼저 조건 1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조건 1: 현재 시간 슬롯 t에서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양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네트워크 큐에 남아있는가? 즉, 수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가?
<수식 2>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3
이때, Qn은 네트워크 큐에 남아 있는 데이터이며, μmax(t)는 시간 t에서 네트워크 세트 l(t), AMC 및 전력 제어의 조합 i(t)에 대하여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량을 의미한다.
(1) 수식 2에서 만약 Qn(t)>μmax(t)이라면, 케이스 1을 적용한다.
만약 조건 1을 만족하지 않으면, 즉 만약 Qn(t)>μmax(t)를 만족하지 않다면, 조건 2를 만족하는지 판단한다. 조건 2: Qn(t)≤μmax(t)이고, 전체 NA 큐 (NA CPU 큐 + 네트워크 큐)보다 NNA 큐가 더 큰가? 즉, 수식3의 조건을 만족하는가?
<수식 3>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4
수식 3에서 Qc NA(t)는 어플리케이션 NA에 대한 CPU 큐의 데이터 량이고, Qc NNA(t)는 어플리케이션 NNA에 대한 CPU 큐의 데이터량이다. γ NAγ NNA는 각각 NA 어플리케이션과 NAA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2) 만약 조건 2를 만족하면, 즉 Qn(t)≤μmax(t)이고 수식 3을 만족한다면, 케이스 2를 적용한다.
(3) 만약 조건 2를 만족하지 않으면, 즉 Qn(t)≤μmax(t)이고 수식 3을 만족하지 않으면, 케이스 3을 적용한다.
위에서 제시한 세 가지 케이스들에 대한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케이스 1: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1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스 1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선택, CPU 클럭 속도 조절, 네트워크 세트 선택 및 AMC와 전송 전력의 조합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케이스 1은 네트워크 쪽이 병목 지점인 경우이므로 NA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CPU 큐에서 네크워크 큐로 보내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것보다 NNA를 선택하는 것이 시스템 내의 전체 큐를 줄이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케이스 1에서는 NNA를 선택한다.
CPU 클럭 속도 조절
CPU 클럭 조절은 다음의 수식 4에 의해 결정된다.
<수식 4>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6
수식 4는 두 개의 항으로 나뉘는데, 시간 t에서 CPU 클록 속도가 s(t)일 때 CPU의 소모 전력이 PC라면, 첫 번째 항 VPc(s(t))은 CPU 전력을 줄이는 것에 관한 항이라고 볼 수 있다. 수식 4의 두 번째 항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7
은 NNA의 큐를 줄이기 위한 항 즉, 큐의 안정성(stability)을 유지하기 위한 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식 4는 CPU 쪽에서 전송 전력과 NNA의 CPU 큐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 V를 유도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식 4에서 V는 에너지-지연 트레이드오프 파라미터로서, 에너지(전력 소모)와 지연(delay)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조정하는 파라미터이다. V는 제어가 가능한 파라미터로서 V가 크다면, 에너지를 줄이는데 좀 더 무게를 둔 방법이 적용되게 되고, V가 작다면, 지연을 더 무게를 둔 방법이 적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NNA의 CPU 큐가 크면, 높은 CPU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고 (즉, 큐의 안정성을 위해 전력 절감을 조금은 포기할 수 있고), 큐가 작으면,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낮은 CPU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세트 선택, AMC ( 데이터율 ) & 전송전력 제어
네트워크 세트의 선택과 AMC & 전송 전력의 제어는 수식 5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5>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8
수식 5도 CPU 클럭 속도에 관한 수식 4와 의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시간 t에서 CPU 클록 속도가 s(t)일 때 네트워크의 소모 전력이 Pn이라면 수식 5의 첫 번째 항은 네트워크 전력을 줄이기 위한 항이라고 볼 수 있다. 수식 5의 두 번째 항은 NA의 큐를 줄이기 위한 항 즉, 큐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항으로 볼 수 있다. 즉, 수식 5는 네트워크 전력과 NA에 대한 전체 큐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 V를 결정하기 위한 식이라고 할 수 있다.
케이스 1에서는 네트워크 쪽이 병목 지점이므로 전체 NA 큐(NA CPU 큐 + 네트워크 큐)가 큰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병목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는 네트워크 세트 l(t)와 AMC & 전송전력 조합 i(t)을 선택할 수 있다.

케이스 2: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09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2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스 2에 대한 대한 어플리케이션 선택, CPU 클럭 속도 조절, 네트워크 세트 선택 및 AMC와 전송 전력의 조합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선
케이스 2에서는 네트워크에 CPU 쪽이 병목 지점이므로 NA와 NNA는 공평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큐를 포함하는 전체 NA 큐와 NNA 큐를 비교해서 더 큰 큐를 가진 어플리케이션, 즉 더 급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야 한다. 그런데 케이스 2에서는 전체 NA 큐가 더 크므로 NA가 선택된다.
C PU 클럭 속도 조절
NA의 CPU 클럭 속도 조절은 수식 6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6>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0
즉, 수식 6에 의하면, 전체 NA 큐가 크면, 높은 CPU 속도에서 동작한다.
네트워크 세트 선택 AMC & 전송전력 제어
네트워크 세트의 선택과 AMC & 전송 전력의 제어는 수식 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7>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1
따라서, 전체 NA 큐가 크면, 네트워크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 세트와 AMC & 전송 전력 조합이 선택되지만, 현재 네트워크 큐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케이스 3: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3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케이스 3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선택, CPU 클럭 속도 조절, 네트워크 세트 선택 및 AMC와 전송 전력의 조합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선택
케이스 3에서는 네트워크에 비해 CPU가 병목 지점이다. 따라서, NNA 큐와 전체 NA 큐를 비교하여 더 큰 큐를 가진 (즉, 더 급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3에서는 NNA가 선택된다.
CPU 클럭 속도 조절
케이스 1과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즉, CPU 클럭 조절은 수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NA의 CPU 큐가 크면, 높은 CPU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고 (즉, 큐의 안정성을 위해 전력 절감을 조금은 포기할 수 있고), 큐가 작으면, (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낮은 CPU 속도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세트 선택 AMC & 전송 전력 제어
네트워크 세트의 선택과 AMC & 전송 전력의 제어는 수식 8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식 8>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3
케이스 3에서는 전체 NA 큐가 작으면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네트워크 세트와 AMC & 전송 전력 조합을 선택하되, 현재 네트워크 큐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가 빠져나가지 않아야 한다.
만약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4
의 조건이라면, 네트워크를 선택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에너지-지연 트레이드오프 파라미터 V의 선택>
에너지-지연 트레이드오프 (Energy-delay tradeoff) 파라미터인 V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첫 번째로, WiFi 커버리지에 있는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면 (예. 매일 같은 WiFi 커비리지 내의 장소에 몇 시간 동안 머무름), 그 시간으로 고려할 수 있다. WiFi 커버리지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다면, V를 높게 설정하여 단말의 전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반대의 경우라면 V를 낮게 설정하여 전송 지연을 필요 이상 늘리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로, 스마트폰 배터리 레벨도 고려할 수 있다. 배터리 레벨이 높으면, V를 낮게 설정하여 전송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세 번째로,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크기를 고려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크기가 크다면, V를 낮게 설정하여 하나의 파일을 전송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게 한다.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크기가 큰 지 작은 지는 일반적인 파일의 평균 크기를 기준으로 설정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V를 정하기 위한 한가지 실시 예로, WiFi 시간 이용률: x%, 배터리 잔량: y%, 평균 파일 크기 대비 현재 파일 크기의 비율: k%, 평균적인 파일의 크기: z, 현재 파일의 크기: zk/100라고 하면, V는 다음과 같이 수식 9에 의해 조정된 값 V’으로 제어 될 수 있다.
<수식 9>
Figure PCTKR2014010268-appb-I000015
수식 9에서, V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송 지연 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지고, V’는 WiFi 시간 이용률, 배터리 잔량, 평균 파일 크기에 의해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수식 9는 하나의 실시 예이며, 여기서 제시한 환경 외에 여러 가지 환경을 고려하여 다른 식으로 V’가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지금까지 측정한 WiFi의 시간 이용률을 eNB(evolved NodeB) 즉, 기지국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eNB는 특정 지역의 단말들의 WiFi 시간 이용률의 평균을 새로 그 지역에 들어오는 단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새로 들어오는 단말이 V’을 더 정확하게 정할 수 있도록 도울 수도 있다. 또한 eNB에서 단말에게 요구하는 데이터의 크기 등의 정보들도 V’을 정하기 위해서 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어 방법은 eNB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eNB는 무선 통신의 스케줄링이 가능한 단말로서, 기지국(base station, BS), BTS(base transceiver system), 셀(cell), 노드(node)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Wi-Fi 이용 가능성(availability)은 단말이 eNB의 Wi-Fi 범위(range)에 들어올 확률로 대치 될 수 있다. 이때, 각 단말 별로 그러한 확률이 다를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단말이 견딜 수 있는 지연도 eNB에게 알려줄 수 있다.
eNB는 단말이 수용할 수 있는 지연과 WiFi 가용성(availability) 등을 고려하여 V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V값은 각 단말에 대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른 값을 가지는 단말들을 고려하기 위해서 각 단말 별로 제어 방법이 달리 수행될 도 있다.
또한, V값이 같은 단말들을 묶어서 여러 개의 큐를 설정해 놓고 병렬적으로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각 단말을 각각 고려할 때는 하나의 네트워크 리소스나 큐를 어떻게 나누어 쓸 수 있을 것인가를 고려해야 하고, 이를 위해 각 단말에게 지정된 리소스를 할당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는 각 단말들의 V값을 모두 고려하여 eNB가 V값을 셀 특정(cell-specific)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V 값은 평균 값이거나 가중치가 적용된 합/평균(weighted sum/average)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V값을 해당 적용 데이터의 전송 대상에게 최적화된 V값을 적용하여 패킷 별 혹은 데이터별로 상술한 제어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현재 스마트폰에서 CPU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WiFi, 3G)들은 전체 전력의 50% 이상을 소모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종류의 모듈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스마트폰 전력 관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PU 속도 제어, 네트워크 선택, AMC & 전송전력 제어를 동시에 하는 제어 구조를 적용하면, CPU 전력과 WiFi, 3G 네트워크 전력을 상당히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실제 트레이스 기반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방법 대비 최대 45%의 전력 절약이 가능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CPU와 네트워크 전력을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앞으로 LTE 또는 LTE-A와 같이, 전력 효율적인 네트워크 (단위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들어가는 전력이 작은 네트워크)를 많이 사용할수록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점점 더 많이 절약할 수 있다. 실제로,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시간적인 WiFi 커버리지가 길어질수록, 기존 전력 소모 대비 제안 방법에 따른 전력 소모의 절약 이득이 최대 75%까지 커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제어 동작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단말 내 제어부가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각 제어 동작은 별도의 유닛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510). 제어부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이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중 큐의 상태, 네트워크의 상태, CPU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는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CPU의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S520). CPU 속도의 제어는 네트워크 상태, 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CPU 클록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는 네트워크 선택 및 데이터율/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30). 제어부는 전력과 데이터 처리 속도 등 고려할 인자들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통해 최적의 네트워크를 선택함과 동시에 가장 효율적인 전송 전력(소모 전력)과 데이터율 사이의 조합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의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CPU 속도의 제어 네트워크의 선택 데이터율과 전력의 조합 결정의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율과 전력의 조합을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①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② CPU 속도의 제어, ③ 네트워크의 선택 및 ④ 데이터율과 전력 조합의 결정을 최적화하는 조건을 찾아서 각 ① ~ ④에서 요구하는 결과를 한번에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는 단말측 상태와 네트워크 측 상태를 모두 고려하여 필요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CPU의 속도, CPU 큐, 네트워크 큐, CPU 소모 전력, 네트워크 소모 전력 등을 함께 고려하여 ① ~ ④에서 요구하는 결정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의 제어부(600)에 구성을 우선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CPU 클록 제어부(610), 네트워크 큐(620), 네트워크 선택부(630) 및 데이터율/전력 제어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CPU 클록 제어부(610)는 CPU의 속도를 제어한다. CPU 속도의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네트워크 큐(620)는 네트워크의 큐잉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선택부(630)는 제어 과정에서 도출되는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데이터율/전력 제어부(640)는 데이터율과 전력의 조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조합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의 예에서는 제어부(600)가 CPU 클록 제어부(610), 네트워크 큐(620), 네트워크 선택부(630) 및 데이터율/전력 제어부(6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네트워크 큐(620)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어부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CPU 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에 포함되거나 혹은 제어부(600) 외 통신 단말 내에 존재하거나 CPU 큐는 NA와 NNA에 대한 별도의 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00) CPU 큐 내 데이터 량을 비교하여 NA 혹은 NN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단말(700)은 제어부(710), RF 부(720),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도 6에서 설명한 제어부의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RF부(720)는 제어부(710)가 결정한 파라미터들(예컨대, 네트워크 세트, 전송 전력 등)에 기반해서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CPU 큐와 네트워크 큐를 비롯하여, 제어부(7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 큐와 네트워크 큐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710)에 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시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형태들을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속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4)

  1. 통신 단말에서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과 네트워크의 큐(Queue)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어된 CPU 속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네트워크 세트,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세트,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병목 현상의 위치 및 큐의 상태를 기반으로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세트,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의 큐 상태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이용할 네트워크 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네트워크 상에 병목이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CPU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네트워크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단말 측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율과 전송 전력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CPU 속도, 네트워크 세트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율과 전송 전력의 조합은,
    전송 전력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연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CPU와 네트워크의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의 큐로부터 최대한 빨리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통신 단말로서,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를 통해 수신 및/또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단말에서 처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단말의 처리 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가 전송될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데이터 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큐의 데이터량과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량을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상기 단말의 처리 속도 제어, 상기 네트워크의 결정 및 상기 데이터 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에 대한 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네트워크 상에 병목이 없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단말 측에 병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율과 전송 전력의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CPU 속도, 네트워크 세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 전력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연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CPU와 네트워크의 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의 큐로부터 최대한 빨리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의 조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과 네트워크의 큐(Queue)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선택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CPU 속도를 제어하는 CPU 클록 제어부;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어된 CPU 속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네트워크 세트,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데이터율 및 전송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PCT/KR2014/010268 2013-10-29 2014-10-29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WO20150650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0048.XA CN105766020B (zh) 2013-10-29 2014-10-29 控制传输功率和传输延迟的方法和使用其的通信终端
US15/033,561 US9705774B2 (en) 2013-10-29 2014-10-29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transmission delay,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97191P 2013-10-29 2013-10-29
US61/897,191 2013-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5051A1 true WO2015065051A1 (ko) 2015-05-07

Family

ID=5300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0268 WO2015065051A1 (ko) 2013-10-29 2014-10-29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05774B2 (ko)
CN (1) CN105766020B (ko)
WO (1) WO20150650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167A1 (en) * 2015-09-29 2017-04-06 Intel IP Corporation Conditional random access
CN109314920A (zh) * 2016-06-09 2019-02-05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在车辆与非车载存储单元之间传输数据的数据传输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CN109218222B (zh) * 2017-06-30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发送端调速的方法、装置和系统
KR20200034499A (ko)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와 통신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182616B (zh) * 2019-12-20 2020-09-29 翱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功耗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32B1 (en) * 2002-05-31 2003-05-09 Palm Palm Tech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power managing function and power managing method thereof
KR20040093630A (ko) * 2003-04-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과 그 장치
US20060015636A1 (en) * 2004-07-01 2006-01-19 Alcatel Method for selecting among network interfaces,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and application
WO2012064067A2 (ko) * 2010-11-10 2012-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간 접속변경 방법을 지원하는 정책제공장치 및 단말장치
KR20130084660A (ko) * 2010-09-16 2013-07-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의 관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3308B2 (en) * 2004-10-20 2013-06-11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Terminal transmit power control with link adaptation
US8320272B2 (en) * 2010-02-12 2012-11-27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echnology selection
US9258248B2 (en) * 2011-04-01 2016-02-09 Alcatel Lucent Energy-efficient network device with coordinated scheduling and processor rate control
KR101881019B1 (ko) * 2011-10-26 2018-07-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32B1 (en) * 2002-05-31 2003-05-09 Palm Palm Tech Mobile terminal having enhanced power managing function and power managing method thereof
KR20040093630A (ko) * 2003-04-29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이 역방향 데이터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과 그 장치
US20060015636A1 (en) * 2004-07-01 2006-01-19 Alcatel Method for selecting among network interfaces, device with multiple network interfaces and application
KR20130084660A (ko) * 2010-09-16 2013-07-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의 관리
WO2012064067A2 (ko) * 2010-11-10 2012-05-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기종 네트워크 간 접속변경 방법을 지원하는 정책제공장치 및 단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8167A1 (en) * 2015-09-29 2017-04-06 Intel IP Corporation Conditional random access
CN109314920A (zh) * 2016-06-09 2019-02-05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在车辆与非车载存储单元之间传输数据的数据传输方法
CN109314920B (zh) * 2016-06-09 2021-04-13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在车辆与非车载存储单元之间传输数据的数据传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5774B2 (en) 2017-07-11
CN105766020A (zh) 2016-07-13
US20160285727A1 (en) 2016-09-29
CN105766020B (zh)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65051A1 (ko) 전송 전력 및 전송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신 단말
US202000153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US11102720B2 (en) User equipment battery consumption
WO2008012672A2 (en) Providing dynamically controlled cqi technique adapted for available signaling capacity
WO2014101674A1 (zh) 负载均衡的方法和网络控制节点
US9907111B2 (en) Discontinuous transmission for a mobile phone network node
EP2856682B1 (en) Table-based link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ssions
CN104427552A (zh) 一种载波聚合中负载均衡的方法
US10555215B2 (en) Managemen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allocation method
US10075255B2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inter-cell-interference coordination
US962908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jecting auxiliary information about user equipment
US20160050671A1 (en) Central controller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thereof for use in a cellular network
CN102118870A (zh) 终端调度方法和设备
WO2015027469A1 (zh) 下行信道聚合级别的确定方法、设备和系统
CN104378785A (zh) 一种微小区的上下行子帧重配置方法和装置
CN102316519B (zh) 一种调整物理控制格式指示信道取值的方法和装置
EP2936883B1 (en) Power saving in wlan stations using data accumulation at an access point
EP25498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optimized scheduling
CN113056004B (zh) 一种上行传输控制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09076462B (zh) 用于无线设备的覆盖范围扩展
CN104429144A (zh) 资源调度方法、信息交互方法及设备
Kong et al. Tradeoff design of radio resource scheduling for power and spectrum utilizations in LTE uplink systems
US202301998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operating modes associated with bandwidth parts for efficient battery consumption
Yu et al. Weighted tradeoff between effective capacity and energy efficiency
Chandra et al. QoS-Aware Traffic Offloading for Energy Efficient D2D Communication in 5G Network for Io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76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33561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76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