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4891A1 -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4891A1
WO2015064891A1 PCT/KR2014/007045 KR2014007045W WO2015064891A1 WO 2015064891 A1 WO2015064891 A1 WO 2015064891A1 KR 2014007045 W KR2014007045 W KR 2014007045W WO 2015064891 A1 WO2015064891 A1 WO 20150648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map
map data
traffic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70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영수
엄준회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50648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48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traffic summary map based on a map display are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ummary map corresponding to a touch input from a user in map data displayed on a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traffic summary map based on a map display area for generating at least one information of a departure point, a destination, or a request route by analyzing an input touch, and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using the same.
  • the traffic information requir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driver in the form of radio or TV (including DMB) based on the radio wave output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 Such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as an information structure generated by a broadcaster or a traffic information generating company that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and a process for checking a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is complicated and not intuitive.
  •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3191 (registered on Dec. 3, 2008), which is a prior art, provides a searched route when a route is searched by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set by a user. You must request a summary map using.
  • the process of requesting such a summary map is performed through a complicated function menu provided by a terminal such as a navigation system, and when a user requests a corresponding process through a plurality of menus, a request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generated. Is done.
  • the user may have to select and move a complicated menu to perform a function provided by the termina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route by touching map data output on a screen and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by the set rou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for setting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by recognizing the touch of the screen on which the map data is output, and setting the request route by recognizing the dragging.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large or reduce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by a method such as double-clicking, and to input a starting point, a destination, or an expected route from the enlarged or reduced map data by touching and dragging. hav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map data according to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for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by performing a touch input on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without finding and inputt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terminal such as a navigation device.
  • a method for displaying a traffic summary map based on a map display area includes: a first step of a control unit outputting first preset map data to a display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n the first map data through a touch recognizer and analyzing the received touch input through a touch analyzer; A third step of outputting second map data obtained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first map data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the received touch input is analyzed as being an enlargement or reduction input to the first map data; And a fourth step of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roads included in the second map data through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 a traffic summary map display method based on a map display area, the control unit outputting preset map data to a display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n the map data through a touch recognizer and analyzing the received touch input through a touch analyzer; And analyzing the received touch input as a drag input, extracting a road corresponding to the drag input path,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the extracted road through a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It includes a third step.
  • a method of displaying a summary map based on a map display area the control unit outputting preset map data to a display unit; Receiving a touch input on the map data through a touch recognizer and analyzing the received touch input through a touch analyzer; A third step of set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input when the received touch input is analyzed as a sequential two-point touch or a drag input using one or more touches;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a route search according to the set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through a route search unit,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on a rout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route search through a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 step 3 when the touch input is a touch of two sequential touches, the controller sets a relatively first touch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a relatively later touch point as a destination, and the touch input is a drag input.
  • the first touch point is set as a starting point
  • the arrival point of the drag input is set as a destination.
  • the method for displaying a traffic summary map based on the map display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route based on a touch on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and generates a traffic summary map according to the set rout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view the traffic summary map. It is effective to make sure that.
  •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by only touching the touch of the screen on which the map data is output, and recognizes the dragging and sets the request path, so that the starting point, the destination or the request path are not set through a separate operation.
  • the route can be searched and a traffic summary map can be generated using the searched route.
  • the present invention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map data by recognizing a double click on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and receiving the starting point, the destination or the predicted route from the enlarged or reduced map data by touching and dragging, Another effect is that the user can easily generate the traffic summary map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based on the touch input to the map data output on the screen, to find a variety of functions provided by the terminal, such as navigation to solv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input another It works.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ffic summary map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irst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traffic summary map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ffic summary map display apparatus 100 may include a touch screen configured to output a map data unit 120 storing map data, map data, or a traffic summary map, and to receive a touch input.
  • the traffic summary map display apparatus 100 analyzes the touch input by the touch analyzer 140 to determine whether the touch input is a touch input for enlarging or reducing the map data, a drag input for route marker, or a starting point / It determines whether it is a touch / drag input for setting a destination and a path marker.
  • the route search unit 160 and the route search unit 160 for searching the route using the corresponding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for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or a traffic summary map using the searched route or the map data or the path markers output to the display 110.
  •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map data stored in the map data unit 120 to the display unit 110.
  • the map data may be output in various sizes, and the map data of the area where the detailed road including the provincial road is output may be output as well as the map data of the nationwide area mainly outputted on the highway.
  • the controller 150 outputs map data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110, and outputs a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map data on the other sid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110.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may include a traffic summary map of the corresponding road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map data, and may also include a road name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rker set according to the user's drag input. It may also include a road name corresponding to the route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starting point / destination set by the.
  • the path marker indicates a path input by dragging from the user, and means that the path that the user wants to move on the map data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drag input of the user.
  • the controller 150 may extract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location of the path marker, and specifically,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the road located within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path dragged from the user.
  • the map data output to the display 110 may be enlarged or reduced according to a simple touch or drag input of the user, and the controller 150 enlarges or reduces the corresponding map in response to the touch or drag input. Output to 110.
  • the touch recognizer 130 receives the touch input
  • the touch analyzer 140 receives the received touch input. Analyze what type of touch or type of drag input.
  • the touch analyzer 140 determines the position or movement (drag) of the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110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so that the controller 150 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To be able to execute
  • the type of touch input received through the touch recognition unit 13 may vary. That is, the user touches a point, touches two spaced points apart, touches and drags a point, or touches two or more points at the same time and drags the touch input to the display 110 in various ways. I can deliver it.
  • the controller 150 based on the touch input analyzed by the touch analyzer 140, after touching one point, touching two points spaced apart, dragging one point, or simultaneously touching two adjacent points. According to the drag input, a traffic summary map list is generated based on the output map data.
  • the analysis result of the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analyzer 140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at is, the analysis result touch input includes an input for enlarging or reducing map data, an input for setting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and an input for setting a route marker.
  • the controller 150 enlarges or reduces the corresponding map data and, through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within the enlarged or reduced map data. Create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for the included roads.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at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is an enlarged or reduced input on the map data.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at the touch input is an enlarged input to the map data and includes a relatively narrow range. If the above-described touch is recognized while the map data is output, the touch input is analyzed as being a reduced input to the map data.
  • the controller 150 When the user's touch input is analyzed to be an enlarged or reduced input for the map data, the controller 150 enlarges or reduces the map data output on the display 110 and re-outputs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A traffic summary map list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about roads in the re-printed map data is generated and output.
  • roads according to the type of road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cale are output to the map data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oad type is included in the map data according to each scale. .
  • the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map data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example, if Gyeonggi-do double-clicks (touches) the map data of the nationwide area, the map data of the Gyeonggi-do area is enlarged and output, and if Yongin-si double-clicks (touches) the map data of the Gyeonggi-do area. If the map data of the Yongin-si region is enlarged and output, and the map data of the Yongin-si region is outputted, when Giheung-gu is double-clicked (touched), the map data of the Giheung-gu region is expanded and output.
  • the reduction of the map data it is preferable that the reduction of the map data be expanded in administrative units.
  • the controller 150 searches for a route moving from the departure point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route search unit 160, and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unit 170. Creates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for the route.
  • the controller 150 sets a relatively first touch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a relatively later touch point as a destination, and sets a path.
  • the path is searched through the search unit 160.
  • each touch twice recognized is spaced apart spatially or temporally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value.
  • the spatial separation interval or temporal separation interval can be free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 the controller 150 sets the first touch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sets the arrival point of the drag input as a destination, but the drag input path is a user. Recognizes the desired route and extracts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ag input route from the map data.
  • the controller 150 sets the touch point due to the touch of two points as a starting point and sets the arrival point of the drag input as a destination. It may be set to, and the drag input path is recognized as a desired path by the user to extract a roa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rag input path from the map data.
  • one of the two touch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set as a starting point or a destination, or set an intermediate point for a plurality of touch points as the starting point or the destination.
  • the function can be set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touch type.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may be genera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ouch input.
  • the type of the touch input for easily generating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unction for generating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is released, it may be set to various touch inputs.
  • the controller 150 extracts a road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rker, and the traffic related to the extracted road through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Create a summary map list.
  •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path marker includes a road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the drag input input by the user and is located within a critical distance from the drag input path.
  • the map marker dragging along the Han River is output from the map data, and the map data representing Seoul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adjacent to the Han River.
  • 'Olympic Boulevard', 'Gangbyeonbuk-ro' and 'Nodeul-gil' located on the right side can be extracted as roads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rkers.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irst diagram of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50 outputs preset map data to one side of the display 110 (S100).
  • the range of map data output may be set in advance.
  • the map data may be map data including a range spaced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distance from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having the traffic summary map display device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p data to be output based on various criteria may be set.
  • controller 150 may output not only the map data but also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of the road included in the map data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110.
  • the touch recognizer 130 recognizes the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ontent to the touch analyzer 140 (S120).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e received touch input (S13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a touch input for zooming in or out of the map according to the analyzed content (S140), the controller 150
  • the map data output to the display 110 is enlarged or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zed content and re-outputted to the display 110 (S150).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generates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roads included in the screen area of the corresponding map data according to the enlarged or reduced map data (S160), and displays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110. Output (S170).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may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list including road names according to road types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enlarged or reduced map data.
  • a traffic summary map list 220 including a highway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corresponding map data is output.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220 may display a traffic summary map provided by a broadcaster or a traffic information service company, not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requested by the user. That is,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220 is a link for outputting a traffic summary map corresponding to the road typ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map data 210 output on the display 110, and among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220. When one road is selected,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ad may be additionally output.
  • the map data of the nationwide region is expanded to the Busan region through a user's touch or drag input
  • the map data of the Busan region is output to the region of the map data 310, and the corresponding Busan is output.
  • a traffic summary map list 320 corresponding to the map data area of the region is output.
  • the type of road displayed on the map data 310 is set to at least one of highways, high-speed national highways, or main roads in the Busan region.
  • a traffic summary map list 320 about a road displayed on the map data 310 of the corresponding Busan region is output.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320 of the Busan region is not a road corresponding to the national region, but a road located in the Busan region, which is an area displayed on the map data 310, and the scale of the corresponding map data 310 is output. If it is changed,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320 according to the road type corresponding to the scale to be changed may be output.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irst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second exemplary view for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150 outputs map data to one side of the display 110 (S210).
  • controller 150 may output not only the map data but also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of the road included in the map data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110.
  • the touch recognizer 130 recognizes the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ontent to the touch analyzer 140 (S220).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e received touch input (S23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a drag input according to the analyzed content (S240), the controller 150 displays a path marke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drag input. Is output on the map data (S250).
  • the path marker indicates a path input by dragging from the user, and means that the path that the user wants to move on the map data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drag input of the user.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generates a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rker (S260), and outputs the generated traffic summary map list to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110.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rker extracts a roa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from the map data in response to the route marker having a directionality and generates the extracted road using the extracted road.
  • the extracted road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route marker output on the map data and is a road adjacent to the position of the route marker (within the critical distance).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e drag input 510 and transmits the analyzed content to the controller 150.
  • the controller 150 outputs a path marker corresponding to the drag input on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analyzed drag input 510.
  • the path marker is output 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drag input in the form of 'S' to be identical to the shape of the drag input 510,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path marker is formed in the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unit 170 extracts a roa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national map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the output route marker.
  • the drag input starts near Seoul, moves downward, move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central region, and moves downward in the eastern province, toward Busan.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unit 170 may extract a road matching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route marker, and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list using the extracted road.
  • roads moving south from Seoul may include the West Coast Highway, Gyeongbu Expressway, and Central Expressway, and the roads moving from the West Central Region to the Eastern Region are Gyeongbu Expressway and Yeongdong Expressway.
  • roads moving from the eastern part to Busan may include Gyeongbu Expressway, Busan Ulsan Expressway, and Daegu Busan Expressway.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unit 170 may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list by extracting a road matching the route of the corresponding route marker.
  • FIG. 6 (b) shows that the drag input 520 is moved south from the vicinity of Gwangju to the vicinity of Gwangju, and then is moved to the east direction near Busan, and generates a path marker corresponding thereto and outputs it to the map data. do.
  • roads moving south from the vicinity of Seoul include Gyeongbu Expressway, West Coast Expressway, Cheonan Nonsan Expressway, Honam Expressway, Chubu Expressway, Tongyeong Daejeon Expressway, and 2nd Jungbu Expressway.
  • Roads moving from the southern region to Busan may include Yeongam Suncheon Expressway, Namhae Expressway, 88 Olympic Expressway, and Honam Expressway.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unit 170 may generate a road summary map list by extracting a road matching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route marker.
  • FIG. 6 (c) shows map data of the Busan area.
  • a route marker corresponding to the drag input is output to the map data, and Busa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the extracted roads by extracting roads moving from the western region to the eastern region.
  • the path marker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drag made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touch is started (Seoul)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touch is terminated (Busan) corresponds to the movement route that the user wants to move, You can create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 the traffic summary map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at the touch input for generating the traffic summary map is a touch input.
  • the traffic summary map display device 100 which is operated by being included in a navigation system or the like is set or has a function for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 the function when the function is se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traffic summary map list for the matching route marker by receiving a drag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but if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function is not set.
  • the user In order to set the function, the user must select a complicated menu added to the navigation and the like to perform the function.
  •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7 relates to an operation of touching and dragging two adjacent points in map data output to the display 110 even when the corresponding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function is not set. And drag and analysis can be generated to create a route marker through which the summary map can be generated.
  • (a), (b), and (c) are embodiments for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using map data output while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on function is turned off, and (a) shows two points.
  • the touch 610 the drag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Seoul to switch the direction to perform a drag in the Daejeon direction, and then the touch was terminated in Busan by performing a direction change of the drag in the direction of Busan near Pohang.
  • a path marker using a drag form from the vicinity of Seoul, the area where two points are touched, to the vicinity of Busan where the touch is completed, is generated, and the Gyeongbu Expressway corresponding to the drag form may be set as a user request path.
  • (a) may output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the drag marker from the vicinity of Seoul to the vicinity of Busan in a list form on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 (b) generates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using movement paths from the vicinity of Seoul to the vicinity of Busan, extracts roads matching the route markers generated by the form of dragging, and uses the extracted roads.
  • the list can be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in the form of a list.
  • (c) is a map data indicating the Busan area by expanding the map data, touch the two points in the map data representing the Busan area (630), and when dragging to the right direction, the touch of the two points Creates a list of traffic summary maps using the route from west Busan to eastern Busan.
  • the map data is searched for the route by setting the road corresponding to the form of the drag as the user's requested rout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map data representing the Busan area, and the searched one,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the above route can be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in the form of a list.
  • Path markers generated by touching and dragging two points shown in FIGS. 7A to 7C and ending the touch may be recognized using one of two points or through two touched points. Can be generated using the median of each position specified.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lis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the controller 150 outputs map data to one side of the display 110 (S310).
  • the touch recognizer 130 recognizes the touch input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ontents to the touch analyzer 140 (S320).
  • the analysis of the touch input determines a position (touch) or movement (drag) of a touch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10, and transmits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to perform a corresponding command. To help.
  • the touch analyzer 140 analyzes the received touch input (S330), and when the analyzed content is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S340), the controller 150 uses the route search unit 160 to determine starting and destination information. To perform a path search according to (S250).
  • the touch input analyzed as a starting point and a destination may be set as a drag input using two consecutive touch points or one or more touch points.
  • the controller 150 sets a relatively first touch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a relatively later touch point as a destination.
  • the controller 150 sets the first touch point as a starting point and sets the arrival point of the drag input as a destination.
  •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traffic summary map list on the route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route search through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or 170 (S360), and displays the generated traffic summary map list on the display 110.
  • (a) touches a point 411 corresponding to Seoul on the map data (national area) output on the display 110, and then another point 412 corresponding to Busan. This is the case when you touch.
  • one point 411 corresponding to Seoul is set as a starting point
  • the other point 412 corresponding to Busan is set as a destination
  • a route search is performed, and a traffic summary regarding roads included in the found route is provided.
  • the map list is created.
  • a traffic summary map corresponding to each road search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tarting point (Seoul) and the destination (Busan) may be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 (b) corresponds to a case where one point 421 corresponding to Gangneung is touched on the map data (national area) output on the display 110 and then another point 422 corresponding to Seoul is touched. do.
  • one point 421 corresponding to Gangneung is set as a starting point, and the other point 422 corresponding to Seoul is set as a destination, and a route search is performed, and traffic is performed using a road included in the found route.
  • the summary map list is created.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corresponding to each road search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starting point (Gangneung) and the destination (Seoul) may be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 each traffic summary map list generated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routes searched according to the touch is upd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output to the display 110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routes.
  •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is displayed.
  • FIG. 10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traffic summary map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raffic summary map list for a road reflecting a road type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map data is output for the map data output at different scales
  • the user is in the traffic summary map list.
  • a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oad may be output.
  • map data indicating a nationwide area is output,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roads corresponding to the country area is output.
  •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h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yeongbu Expressway 710 as shown in (a-2). Output to 110.
  • map data indicating a map of the Busan area is output, and a traffic summary map list of roads corresponding to the Busan area is output to the other side of the map data.
  • the controller 150 displays the traffic summary map including th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ayaro 720. Output to 110.
  • (a-1) shows map data of the whole country
  • (b-1) shows map data of the Busan area.
  • the map data of the corresponding Busan area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shown in (b-1).
  • the user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starting point of Seoul to the destination Busan using the searched route and the generated traffic summary map, the user double-clicks the Busan area in the map data of the whole country to generate the traffic summary map in Busan. Touch to enlarge and output the map data of the Busan area,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map data of the Busan area while generating a traffic summary map for the road included in the map data.
  •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ng device 100 or receive and use it from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provided outside. It may be used by using the traffic summary map generating device 100 and a traffic information server (not sh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제1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한 제2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단계 및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본 발명은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데이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에 대응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을 생성하되, 입력되는 터치를 분석하여 출발지, 목적지 또는 요청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통요약맵을 생성하기 위한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행 중에 필요한 교통정보는 방송국에서 출력하는 전파에 기초하여 라디오 또는 TV(DMB 포함) 등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교통정보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 또는 교통정보 생성업체에서 생성하는 정보구조로 제공되고 있으며,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못한 불편함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3191호(2008.12.03 등록)인 "요약맵 형태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의해 경로가 탐색되는 경우, 탐색된 경로를 이용한 요약맵을 별도로 요청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요약맵을 요청하는 일련의 과정은 내비게이션 등의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복잡한 기능 메뉴를 통해 수행되고, 복수의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과정을 요청했을 때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 또는 생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반드시 다수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는 명령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없으며, 요약맵과 지도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적지 변경 등을 통해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잡한 메뉴를 선택하여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터치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에 의해 교통요약맵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의 터치를 인식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고, 드래그하는 것을 인식하여 요청 경로로 설정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더블 클릭 등의 방법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지도 데이터에서 출발지, 목적지 또는 예상 경로를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입력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해당 지도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을 생성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등의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찾아서 입력하지 않고,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교통요약맵을 생성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제1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한 제2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단계; 및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드래그(Drag)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추출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 또는 한 점 이상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Drag)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경로탐색부를 통해 상기 설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경로탐색 결과 생성되는 경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인 경우 상대적으로 먼저 터치된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나중에 터치된 터치점을 목적지로 설정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최초의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의 도착점을 목적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경로에 의해 교통요약맵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통요약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화면의 터치에 대한 터치만으로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고, 드래그하는 것을 인식하여 요청 경로로 설정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을 통해 출발지, 목적지 또는 요청 경로를 설정하지 않아도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된 경로를 이용하여 교통요약맵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 대한 더블 클릭 등을 인식하여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지도 데이터에서 출발지, 목적지 또는 예상 경로를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교통요약맵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해당 지도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을 생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교통요약맵을 생성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등의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찾아서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는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 지도 데이터부(120), 지도 데이터 또는 교통요약맵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10), 디스플레이부(110)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인식부(130), 터치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기 위한 터치 분석부(140) 및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는 터치 분석부(140)에서 터치 입력된 내용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의 확대 또는 축소를 위한 터치 입력인지, 경로 표식을 위한 드래그 입력인지 또는 출발지/목적지 설정과 경로 표식을 위한 터치/드래그 입력인지 등을 판단한다.
분석 결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출발지/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출발지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경로 탐색부(160)와 경로 탐색부(160)에서 탐색된 경로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 또는 경로 표식을 이용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 또는 교통요약맵을 생성하기 위한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지도 데이터부(1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한다. 지도 데이터는 다양한 크기로 출력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위주로 출력되는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방도로를 포함하는 세부 도로가 출력되는 지역의 지도 데이터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일측에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타측에는 출력된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출력한다.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해당 지도 데이터에 표시되는 도로의 종별에 따라 해당 도로의 교통요약맵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설정된 경로 표식에 대응하는 도로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목적지에 따른 경로탐색 결과에 대응하는 도로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경로 표식은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된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를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경로 표식의 방향 및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된 경로로부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도로를 포함하여 추출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는 사용자의 단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며,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부(150)는 해당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터치 인식부(13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140)는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어떠한 형태의 터치 또는 어떠한 형태의 드래그 입력인지 분석한다.
터치 분석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의 위치 또는 이동(드래그)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150)가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터치 인식부(13)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점을 터치하거나, 서로 이격된 두 점을 터치하거나, 한 점을 터치 후 드래그하거나 또는 두 점 이상을 동시에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10)로 터치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터치 분석부(140)를 통해서 분석되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한 점의 터치, 서로 이격된 두 점의 터치, 한 점의 터치 후 드래그 또는 서로 인접한 두 점의 동시 터치 후 드래그 입력에 따라,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터치 분석부(140)를 통한 터치 입력의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분석 결과 터치 입력은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입력,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및 경로 표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첫째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는 해당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통해서, 확대 또는 축소한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분석부(140)는 지도 데이터 상에 드래그, 더블 클릭 또는 트리플 클릭 등의 터치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한다.
이 때, 터치 분석부(140)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전술한 터치가 인식되면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입력인 것으로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전술한 터치가 인식되면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에 대한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재출력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통해서 상기 재출력되는 지도 데이터 내의 도로에 관한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는 현재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의 종별에 따른 도로가 출력되며, 각각의 축척에 따른 지도 데이터에는 해당 도로 종별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경우, 행정구역에 따라 지도 데이터의 확대 또는 축소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경기도가 더블 클릭(터치)되면 경기도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확대되어 출력되고, 경기도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용인시가 더블 클릭(터치)되면 용인시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확대되어 출력되며, 용인시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기흥구가 더블 클릭(터치)되면 기흥구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확대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를 위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보다 광역을 포함하는 "전국"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좁은 영역을 포함하는 "구"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지도 데이터를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지도 데이터의 축소의 경우도 확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정구역 단위로 확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 제어부(150)는 경로탐색부(160)를 통해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통해서 해당 경로에 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분석된 터치 입력이 서로 이격되며, 시간 차이를 두고 터치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먼저 터치된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나중에 터치된 터치점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경로탐색부(160)를 통해서 경로를 탐색한다.
이 때, 동일한 위치에 대한 터치를 두 번의 터치로 인식하는 에러를 줄이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두 번 인식되는 각각의 터치는 미리 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터치에 대한 공간적 이격 간격이나 시간적 이격 간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분석된 터치 입력이 한 점을 터치하여 드래그 후 터치를 종료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최초의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의 도착점을 목적지로 설정하되, 드래그 입력된 경로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로 인식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해당 드래그 입력된 경로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한다.
이때, 드래그를 사이에 두고 인식되는 티치 입력으로부터 터치 종료까지는 일정 시간 터치가 유지되는 경우에 출발지 및 목적지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분석된 터치 입력이 서로 인접한 두 점을 터치하여 드래그 후 두 점의 터치를 종료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50)는 두 점의 터치로 인한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의 도착점을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고, 드래그 입력된 경로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로 인식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해당 드래그 입력된 경로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한다.
이때, 서로 인접한 두 터치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터치점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설정하거나, 복수의 터치점에 대한 중간점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은 항상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기능 설정이나 해제가 가능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이 설정된 경우 뿐만 아니라 해당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터치 종류에 기초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해제시켰다가 해당 기능을 다시 설정하도록 메뉴를 찾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이 해제된 경우에도 사용자로부터 두 점 이상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이 수행되면, 해당 터치 입력을 통해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이 해제된 상황에서 간편하게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 입력의 종류는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터치 입력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경로 표식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인 경우에 제어부(150)는 해당 경로 표식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통해서 상기 추출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경로 표식에 대응되는 도로는 사용자가 입력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과 일치하고, 드래그 입력된 경로로부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한 도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가 경로 표식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예를 들어, 서울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사용자가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래그 입력한 경우, 지도 데이터에서 한강을 따라 드래그 입력된 경로 표식이 출력되고, 한강에 인접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위치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노들길' 등이 경로 표식에 대응되는 도로로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경로 표식이 여의도 부근에서 시작되어 잠실에서 종료되는 경우, '노들길'은 잠실까지 연결되지 않아 경로 표식에 대응되는 도로로 추출되지 않으나, '노들길'에서 '올림픽대로'로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함께 교통요약맵 리스트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미리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S100).
구체적으로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범위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일례로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만큼 이격된 범위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기준으로 출력할 지도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지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타측에출력된 지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함께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지도 데이터 화면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터치 인식부(13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내용을 터치 분석부(140)로 전송한다(S120).
터치 분석부(14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고(S130), 분석된 내용에 따라 터치 입력이 지도의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기 위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S140),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분석된 내용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재출력한다(S150).
한편,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확대 또는 축소된 지도 데이터에 따라 해당 지도 데이터의 화면 영역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고(S160), 디스플레이부(110)의 타측에 출력한다(S170).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확대 또는 축소된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종별에 의한 도로명을 포함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210)가 전국 지역인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210)에 표시되는 도로의 종별은 고속도로 위주가 되며, 지도 데이터(210)의 타측에는 해당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따른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220)가 출력된다.
교통요약맵 리스트(22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교통요약맵에 대한 리스트가 아닌, 방송사 또는 교통정보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되는 교통요약맵을 표시할 수 있다. 즉, 교통요약맵 리스트(2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210)의 축척에 따른 도로 종별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을 출력하기 위한 링크이며, 교통요약맵 리스트(2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로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의 입력을 통해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부산지역으로 확대되는 경우, 지도 데이터(310)의 영역에는 부산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고, 해당 부산지역의 지도 데이터 영역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320)가 출력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310)가 부산지역 지도인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310)에 표시되는 도로의 종별이 부산지역의 고속도로, 고속국도 또는 주요도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설정되어 표시되며, 지도 데이터(310)의 타측에는 해당 부산지역의 지도 데이터(310)에 표시된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320)가 출력된다.
즉, 부산지역의 교통요약맵 리스트(320)는 전국 지역에 대응하는 도로가 아닌, 지도 데이터(310)에 표시되는 영역인 부산지역에 위치한 도로가 출력되며, 해당 지도 데이터(310)의 축척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 종별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320)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예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S210).
또한, 제어부(150)는 지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타측에출력된 지도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함께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0)의 지도 데이터 화면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터치 인식부(13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내용을 터치 분석부(140)로 전송한다(S220).
터치 분석부(14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고(S230), 분석된 내용에 따라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S240), 제어부(150)는 드래그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로 표식을 지도 데이터상에 출력한다(S250).
이 때, 경로 표식은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된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를 대략적으로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이후,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경로 표식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고(S260), 생성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의 타측에 출력하도록 한다.
경로 표식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방향성을 가지는 경로 표식에 대응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도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이 때, 추출되는 도로는 지도 데이터상에 출력된 경로 표식의 방향과 일치하며, 경로 표식의 위치에 인접한(임계거리 이내) 도로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전국 지도가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타측에는 전국 지도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출력되어 있을 때, 사용자로부터 서울에서 부산까지 'S'자 형태의 드래그 입력(510)이 수신되는 경우, 터치 분석부(140)는 해당 드래그 입력(510)을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을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분석된 드래그 입력(510)에 따라 해당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경로 표식을 지도 데이터 상에 출력한다. 이 때, 경로 표식은 드래그 입력(510)의 형태와 동일하도록 'S'자 형태로 드래그 입력의 위치에 매칭하여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경로 표식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출력된 경로 표식의 방향과 위치에 대응하는 전국 지도의 축척에 따른 도로를 추출한다. 도 6의 (a)에서는 드래그 입력이 서울 부근에서 시작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중부 지방에서 우측 하단으로 사선 이동되며, 동부 지방에서는 부산 방향으로 하측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해당 경로 표식의 방향과 매칭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를 이용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울 부근에서 남쪽으로 이동되는 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서중부지방에서 동부지방으로 이동하는 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88올림픽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당진영덕고속도로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동부지방에서 부산 부근으로 이동되는 도로는 경부고속도로, 부산울산고속도로, 대구부산고속도로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해당 경로 표식의 방항과 매칭되는 도로를 추출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b)는 드래그 입력(520)이 서울 부근에서 광주 부근까지 남쪽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에 부산 부근의 동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형태이며, 이에 대응하는 경로 표식을 생성하여 지도 데이터에 출력한다.
이 경우에, 도 6의 (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울 부근에서 남쪽으로 이동되는 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천안논산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 제2중부고속도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남부지방에서 부산 부근으로 이동되는 도로는 영암순천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88올림픽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는 해당 경로 표식의 방향과 매칭되는 도로를 추출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c)는 부산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드래그 입력(530)이 부산의 서부에서 동부로 이동되는 형태인 경우, 해당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는 경로 표식을 지도 데이터에 출력하고, 부산의 서부지역에서 동부지역으로 이동되는 도로를 추출하여 추출된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전국 지역)에서 서울 지역의 위치에 두 개의 점을 터치하고 드래그하여 부산지역으로 이동하고 터치를 종료하는 경우, 처음 두 개의 점이 터치된 위치(610)로부터 드래그 후 터치가 종료된 위치까지의 드래그 형태를 경로 표식으로 생성하여 지도 데이터에 출력한다.
이 때, 터치가 시작된 위치(서울)로부터 터치가 종료된 위치(부산)까지 이루어진 드래그의 형태에 따른 경로 표식은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경로에 해당하며, 해당 드래그 형태에 대응하는 도로를 사용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두 개의 점을 터치하고 동시에 드래그하여 두 개의 점을 이동한 후 터치를 종료하는 실시예는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에서 교통요약맵의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50) 및 터치 분석부(140)가 교통요약맵의 생성을 위한 터치 입력임을 인식하기 위한 용도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내비게이션 등에 포함되어 동작되는 교통요약맵 표시 장치(100)는 교통요약맵을 생성하기 위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거나, 설정이 해제되어 있다. 이때, 기능이 설정된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행받아 매칭하는 경로 표식에 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나, 교통요약맵 생성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내비게이션 등에 부가된 복잡한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해당 교통요약맵 생성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에서 인접한 두 개의 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입력된 터치 및 드래그를 분석하여 경로 표식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a), (b), (c)는 교통요약맵 생성 기능이 해제된 상태에서 출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요약맵을 생성하는 실시예로써, (a)는 두 점을 터치(610)한 후, 서울의 하측 방향으로 드래그 하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대전 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고, 이후 포항 근처에서 부산 방향으로 드래그의 방향전환을 수행하여 부산에서 터치가 종료되었다.
이 때, 두 점이 터치된 지역인 서울 부근으로부터 터치가 종료된 부산 부근까지의 드래그 형태를 이용한 경로 표식이 생성되며, 해당 드래그 형태에 대응하는 경부고속도로 등이 사용자 요청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a)는 해당 서울 부근에서 부산 부근까지의 드래그 형태의 경로 표식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리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b)는 두 점을 터치(620)한 후, 서해안 측인 수직 방향으로 드래그가 진행되다가 광주 부근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의 방향전환을 수행하여 부산에서 터치가 종료되었다. 이때, 서울이 출발지로 설정되고, 부산이 목적지로 설정되며, 해당 드래그 형태에 대응하는 서해안고속도로 및 남해고속도로가 사용자 요청 경로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b)는 서울 부근으로부터 부산 부근까지의 이동 경로를 이용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되, 드래그의 형태에 의해 생성된 경로 표식에 매칭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를 이용하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리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c)는 지도 데이터를 확대하여 부산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이며, 부산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에서 두 점을 터치(630)한 후, 우측방향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는 경우, 해당 두 점의 터치가 시작된 부산 서부 지역으로부터 부산 동부지역까지의 경로를 이용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때, 지도 데이터는 부산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따라 해당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의 종별에서 드래그의 형태에 대응하는 도로를 사용자 요청 경로로 설정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하나 이상의 경로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리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된 두 점을 터치하여 드래그하고 터치를 종료함에 따라 생성되는 경로 표식은 두 개의 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점을 이용하거나, 두 개의 터치된 점을 통해 인식된 각각 위치의 중간값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생성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일측에 지도 데이터를 출력한다(S310).
이 때,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에 터치 입력이 인식되는 경우, 터치 인식부(130)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내용을 터치 분석부(140)로 전송한다(S320).
터치 입력의 분석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입력하는 터치의 위치(터치) 또는 이동(드래그)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터치 분석부(140)는 수신된 터치 입력을 분석하고(S330), 분석된 내용이 출발지 및 목적지인 경우(S340), 제어부(150)는 경로탐색부(160)를 통해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경로탐색을 수행한다(S250).
한편, 출발지 및 목적지로 분석되는 터치 입력은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 또는 한 점 이상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터치 입력이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인 경우 상대적으로 먼저 터치된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나중에 터치된 터치점을 목적지로 설정한다.
또한,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에 제어부(150)는 최초의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의 도착점을 목적지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교통요약맵 생성부(170)를 통해서 경로탐색 결과 생성되는 경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고(S360), 생성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a)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전국 지역)에서 서울에 해당하는 어느 한 점(411)을 터치 한 후, 부산에 해당하는 다른 한 점(412)을 터치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서울에 해당하는 어느 한 점(411)은 출발지로 설정되고 부산에 해당하는 다른 한 점(412)은 목적지로 설정되어 경로탐색이 수행되며, 탐색된 경로에 포함된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생성된다.
따라서 (a)의 경우 해당 출발지(서울) 및 목적지(부산)에 따라 탐색된 각각의 도로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을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출력할 수 있다.
(b)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된 지도 데이터(전국 지역)에서 강릉에 대응하는 어느 한 점(421)을 터치한 후, 서울에 해당하는 다른 한 점(422)을 터치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 강릉에 해당하는 어느 한 점(421)은 출발지로 설정되고 서울에 해당하는 다른 한 점(422)는 목적지로 설정되어 경로탐색이 수행되며, 탐색된 경로에 포함된 도로를 이용하여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생성된다.
따라서 (b)의 경우 해당 출발지(강릉) 및 목적지(서울)에 따라 탐색된 각각의 도로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a)는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각각의 도로 종별에 따른 도로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도로 종별을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b)는 강릉과 서울을 연결하는 각각의 도로 종별에 따른 도로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도로 종별을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해당 터치(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탐색된 하나 이상의 경로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각각의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 업데이트되어 해당 각각의 경로에 대응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출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교통요약맵을 나타내기 위한 화면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다른 축척으로 출력되는 지도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종별이 반영된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교통요약맵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도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도로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요약맵이 출력될 수 있다.
(a-1)에는 전국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으며,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는 전국 지역에 대응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출력된다. 이 때, 교통요약맵 리스트 중에서 경부고속도로(710)가 선택되면, (a-2)에서와 같이 제어부(150)는 해당 경부고속도로(710)에 대응하는 교통정보가 포함된 교통요약맵을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한다.
(b-1)에는 부산 지역의 지도를 나타내는 지도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으며, 지도 데이터의 타측에는 부산 지역에 대응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가 출력된다. 이 때, 교통요약맵 리스트 중에서 가야로(720)가 선택되면, (b-2)에서와 같이 제어부(150)는 해당 가야로(720)에 대응하는 교통정보가 포함된 교통요약맵을 디스플레이부(110)에 출력한다.
또한, (a-1)은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b-1)은 부산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a-1)의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에서 부산 지역을 더블 클릭(터치)하는 경우, (b-1)과 같이 해당 부산 지역의 지도 데이터가 확대되어 화면에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탐색된 경로 및 생성된 교통요약맵을 사용하여 출발지인 서울에서 목적지인 부산으로 이동한 경우, 부산에서의 교통요약맵을 생성하기 위해서 전국 지역의 지도 데이터에서 부산 지역을 더블 클릭(터치)하여 부산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확대 출력함으로써, 부산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해당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생성되는 교통요약맵은 교통요약맵 생성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거나 외부에 구비된 교통정보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요약맵 생성 장치(100) 및 교통정보 서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제1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지도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한 제2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3 단계; 및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지도 데이터 내에 포함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하나 이상의 터치 또는 하나 이상의 드래그(Dr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터치 분석부는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상기 제1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입력인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상기 제2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종별에 의한 도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도로종별에 의한 도로명을 포함하는 상기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출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도로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되는 도로명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정보는 상기 도로명에 대응되는 지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6.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드래그(Drag)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에 대응되는 도로를 추출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추출되는 도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전에,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를 상기 지도 데이터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에 대응되는 도로는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로부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도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종별에 의한 도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종별에 의한 상기 도로명을 포함하는 상기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출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도로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되는 도로명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정보는 상기 도로명에 대응되는 지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2.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계;
    터치 인식부를 통해서 상기 지도 데이터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분석부를 통해서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분석하는 제2 단계;
    상기 수신되는 터치 입력이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 또는 한 점 이상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Drag)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출발지 및 목적지를 설정하는 제3 단계;
    경로탐색부를 통해 상기 설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교통요약맵 생성부를 통해서 상기 경로탐색 결과 생성되는 경로에 관한 교통요약맵 리스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순차적인 두 점의 터치인 경우 상대적으로 먼저 터치된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나중에 터치된 터치점을 목적지로 설정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최초의 터치점을 출발지로 설정하고 드래그 입력의 도착점을 목적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전에, 상기 두 점의 터치로 인한 복수의 터치점, 또는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를 상기 지도 데이터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따라 경로탐색을 수행할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된 경로로부터 임계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도로를 포함하여 상기 경로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요약맵 리스트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에 대응하는 도로종별에 의한 도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종별에 의한 상기 도로명을 포함하는 상기 교통요약맵 리스트의 출력에 대응하여 어느 하나의 도로명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되는 도로명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되는 교통정보는 상기 도로명에 대응되는 지체 또는 정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두 점 이상의 터치를 이용한 드래그 입력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된 두 점 이상의 터치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터치점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설정하거나, 상기 터치된 두 점 이상의 터치점에 대한 중간점을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PCT/KR2014/007045 2013-11-01 2014-07-31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WO20150648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88 2013-11-01
KR1020130131988A KR102069026B1 (ko) 2013-11-01 2013-11-01 지도표시 영역을 기반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891A1 true WO2015064891A1 (ko) 2015-05-07

Family

ID=5300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7045 WO2015064891A1 (ko) 2013-11-01 2014-07-31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9026B1 (ko)
WO (1) WO2015064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022B1 (ko) * 2015-06-30 2022-05-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지도 축적 변화에 따른 웹 벡터 지도 표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63B1 (ko) * 2006-01-1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 및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에서교통정보 출력방법
KR20110068582A (ko) * 2009-12-16 2011-06-22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터치스크린 주변검색방법
KR20110084715A (ko) * 2010-01-18 2011-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자동 지도 확대 및 축소 방법
WO2013042072A1 (en) * 2011-09-23 2013-03-28 Sisvel Technology S.R.L. Method for managing a map of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device thereof
US20130103313A1 (en) * 2011-06-03 2013-04-2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mparing and selecting alternative navigation rout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005A (ja) 2004-08-11 2006-02-23 Hitachi Ltd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地図表示端末
KR20120136732A (ko) * 2011-06-10 2012-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0341B1 (ko) * 2011-09-09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63B1 (ko) * 2006-01-11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 및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에서교통정보 출력방법
KR20110068582A (ko) * 2009-12-16 2011-06-22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터치스크린 주변검색방법
KR20110084715A (ko) * 2010-01-18 2011-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의 자동 지도 확대 및 축소 방법
US20130103313A1 (en) * 2011-06-03 2013-04-2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mparing and selecting alternative navigation routes
WO2013042072A1 (en) * 2011-09-23 2013-03-28 Sisvel Technology S.R.L. Method for managing a map of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256A (ko) 2015-05-12
KR102069026B1 (ko)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7850A2 (ko) 실시간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WO2010131842A2 (ko) 내비게이션 장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들의 동작 방법
EP2348394B1 (en) Map display system, map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3054957A1 (en) Input interfac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102189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WO2012020929A2 (ko) 관심지점 표시장치 및 방법
WO2014069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ebpage in terminal device by using cloud server
WO2021085771A1 (ko) 하이브리드 교통신호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04776A (ja) 道路データ作成装置、道路データ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17764A1 (ko)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5099387A1 (ko) 지능형 교통 관리 시스템
WO2019107782A1 (ko)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WO2019054593A1 (ko) 기계학습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지도 제작 장치
WO2015064892A1 (ko) 시간대별 내비게이션 사용자의 관심지점을 강조하는 방법 및 경로안내 서버
WO2014107071A1 (ko) Gis 기반의 경로 이동에 따른 cctv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4178582A1 (ko) 도로 네트워크에서 움직이는 영역 질의의 안전 출구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
WO2015064891A1 (ko) 지도표시 영역에 기초한 교통요약맵 표시 방법
WO2019132504A1 (ko) 목적지 안내 장치 및 방법
WO2013058495A1 (ko) 단일 도로 체계를 이용한 보행경로 내비게이션
WO2013141598A1 (en) User terminal,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66576A (ja) タクシー運転手案内システム、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タクシー運転手案内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転手案内方法
WO2012124930A2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WO2015174623A1 (ko) 입력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22059878A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4030842A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570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5703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