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4813A1 -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4813A1
WO2015064813A1 PCT/KR2013/010308 KR2013010308W WO2015064813A1 WO 2015064813 A1 WO2015064813 A1 WO 2015064813A1 KR 2013010308 W KR2013010308 W KR 2013010308W WO 2015064813 A1 WO2015064813 A1 WO 20150648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ink
top plate
drying rack
fixing
auxiliary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3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일 filed Critical (주)천일
Publication of WO20150648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48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dish drying shelf formed on the top plate of a sink, and more preferably, after washing a large amount of dishes and the like in the countertop of the sink, a large amount of dishes can be placed and dried.
  • a large amount of dishes can be placed and dried.
  • the space is not enough, it is to be able to dry up by placing dishes and the like to take out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rising and descending from one side of the kitchen counter.
  • the sink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kitchen, the conventional sink structure has a main body that can store the seasoning, and the top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serving as a kitchen counter, and the top plate It is formed and has a certain internal space is made of a number made to wash dishes and the like.
  • the dishes, vegetables, etc. are wash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ink, and the dishes are moved to a dry space separately provided in order to remove water.
  • the tableware when the tableware is placed in a separate dry space, when there is not enough storage space, the tableware may be placed at the periphery of the sink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appearance.
  • a separate drying rack may be installed to dry the dishes after washing.
  • the drying rack is bulky and occupies a space, a shelf for installing and storing the washed dishes on the upper side of the sink is widely used. It is used.
  • a conventional shelf includes a fixing plate 2 capable of fixing screws 4 or the like to the bottom of the sink 1, a supporting rod 6 supported by the fixing plate 2, and the above.
  •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rod 6 is provided with a vessel loading part 5 having a lattice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fter washing a large amount of dishes in the sink of the upper plat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ink, when there is insufficient space to place the dishes on the drying table, Take out the auxiliary dish drying shelf formed on one side and fix it with a fixed stand, and then put on the countertop and put the remaining dishes on the auxiliary dish drying shelf to d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djust the withdrawal height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 the purpose is to allow the dishes to be dried in an orderly state because the dishes are placed on the drying table of the auxiliary table.
  • the sink 21 for washing dishes and the upper plate 20 on which the countertop 22 is formed so as to be cooked on one side of the sink 21 are provided.
  • a support piece 33 protruding obliquely to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31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to form an insertion hole 32;
  •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formed by the support piece 3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to move up and down on the fixing rod 40 so as to fix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drawn out to the top A fixed piece 41 formed to be incli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uppor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31 to adjust the height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drawn out to the upp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ntertop 2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ce 33 is config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end side of the concave-convex portion 3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dish drying shelf 30, the surface is formed by the concave-convex portion 34 to the tableware 70 as the concav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sink 21 to guide the water flowing in.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withdrawal rod 61 is inserted and withdrawn in the interior of the holder 60, can be fixed to the extraction rod 61 with a fixing bolt 62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holder 6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 the auxiliary dish drying rack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ntertop is simply moved upward. Withdrawal has the effect of drying dishes and tidy up.
  • one side of the sink can be used to withdraw only when necessary, so that a large amount of tableware can be arranged and dried in a small space.
  •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onventionally used drying rack can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ink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plate drying shelf is mounted on the top plate of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top plate,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top plate.
  • the sink 21 for washing dishes and the upper plate 20 on which the countertop 22 is formed so as to be cooked on one side of the sink 21 are provided.
  • a support piece 33 protruding obliquely to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31 formed by bending one side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to form an insertion hole 32;
  •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formed by the support piece 3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to move up and down on the fixing rod 40 so as to fix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drawn out to the top A fixed piece 41 formed to be inclined,
  •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ashing a large amount of dishes 70 in the sink 21 of the top plate 2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ink 10, put on the countertop 22 for drying the remaining dishes 70
  • the space is not enough, take out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3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ntertop 22 of the top plate 20 and fix it with the fixing table 60 to put the remaining tableware 70 in order to dry them It is configured to be.
  • this invention comprises the upper board 20 in the upper part of the sink 10.
  • the top plate 20 has a sink 21 for washing dishes 70 on one side, and a countertop 22 for cooking on one side of the sink 21 is formed.
  • the insertion hole 23 is drilled in one side of the countertop 22, and the insertion hole 23 is configured by inserting the elbow-typ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30 is inserted.
  •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is bent in an elbow shape to form a support 31, and the support piece 33 is inclined dow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31.
  • the uneven part 34 is formed in the surface, and the end side of the uneven part 34 is inclined downward.
  • the fixing piece 41 is attached to the fixed rod 40 and has elasticity and is movable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fixing rod 40 is configured to be fixed across the sink (10).
  • the rotating rod 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ntertop 22 of the upper plate 20, and the fixing rod 60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rotating rod 50 to b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ting rod 50.
  • the fixing rod 60 is formed inside the withdrawal rod 61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and configured to fix the withdrawal rod 61 with a fixing bolt 62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fixing rod 60.
  • the support 31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of the support piece 33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31 while being drawn upwar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3.
  • the fixed piece 41 is retracted to the upper side because it is fixed and fixed to the fixing rod 40.
  • the fixing piece 41 which is folded upward is elastic and is formed by the support piece 33 of the support 31 being folded downward. Since the insert 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 to fix the support 31, the auxiliary table drying shelf 30 is fixed in the state drawn out.
  • the fixing table 60 integr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rod 5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untertop 22 It rotates to the upper side and is fixed by supporting the end side of the uneven
  • the holder 60 may also be fixed by tightening the drawer rod 62 having a height adjusted by a fixing bolt 62 by drawing out the drawer rod 61 inserted into the holder 60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upporter 31. .
  • the tableware 70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30 may be dried.
  •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table drying rack 3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he water flowing from the tableware 70 placed on the surface is guided to the recessed portion formed by the uneven portion 34 and the sink 21 along the inclined surface. Will be discharged.
  • the fixing piece 4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formed by the support piece 33 of the support 31. ) Is inserted.
  • the auxiliary dish drying rack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ntertop is simply moved upward. Withdrawal has the effect of drying dishes and tidy up.
  • one side of the sink can be used to withdraw only when necessary, so that a large amount of tableware can be arranged and dried in a small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21)와, 개수대(21)의 일측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대(22)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20)을 상부측에 형성한 싱크대(10)와. 상기 상판(20) 조리대(22)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장착된 후, 상부로 인출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게 엘보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와,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지지대(31)의 내부면에 경사지게 돌출하여 삽입구(32)를 형성한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40)에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을 갖추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편(41)과, 상기 조리대(22)의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단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조리대(22)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대(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Description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싱크대 상판의 개수대에서 많은 양의 식기 등을 세척하고 난 후, 많은 양의 식기 등을 올려놓고 건조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때, 조리대의 일측에서 승, 하강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를 상부로 인출하여 식기 등을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일반 가정의 주방에는 설거지나 채소를 씻기 위하여 싱크대가 구비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그에 맞도록 제작 설치되는데, 통상적인 싱크대의 구조는 양념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조리대의 역할을 하는 상판과, 이 상판에 형성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개수대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 혹은 채소 등을 세척하는 경우, 개수대의 내부공간에서 식기, 채소 등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식기 등을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으로 이동하여 적치하게 된다.
그러나, 물기 제거를 위하여 식기, 채소 등을 개수대로부터 별도의 건조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번거로우며, 이 경우, 식기 등으로부터 물기가 떨어져 싱크대가 어지럽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에 식기 등을 적치하는 경우, 수용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식기 등을 싱크대 주위에 임으로 적치하게 되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식기 등을 세척한 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건조대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건조대는 부피가 커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개수대의 상측에 설치하여 세척된 그릇을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는 선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선반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크대(1)의 저면에 나사(4)등을 매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판(2)과, 그 고정판(2)에 의해서 지지되는 지지봉(6) 및 상기 지지봉(6)의 하단부에 격자형상을 갖는 그릇 적재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선반은 나사(4)를 이용하여 고정판(2)을 싱크대(1)의 저면에 부착시킨 후 상기 고정판(2)에 지지봉(6)을 결합하면 선반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선반은 그 크기가 소형으로 많은 양의 그릇을 보관할 때에는 별도의 건조대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296946호
2.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 실1998-0625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싱크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의 개수대에서 많은 양의 식기 등을 세척하고 난 후, 식기 등을 건조대에 올려놓을 공간이 부족할 때, 조리대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를 상부로 인출하여 고정대로 고정시켜 놓은 다음, 조리대 등에 올려놓고 남은 식기 등을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에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의 인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에 식기 등을 올려놓기 때문에 식기 등을 정리 정돈된 상태에서 건조시길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21)와, 개수대(21)의 일측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대(22)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20)을 상부측에 형성한 싱크대(10)와.
상기 상판(20) 조리대(22)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장착된 후, 상부로 인출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게 엘보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와,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지지대(31)의 내부면에 경사지게 돌출하여 삽입구(32)를 형성한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40)에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을 갖추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편(41)과,
상기 조리대(22)의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단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조리대(22)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대(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대(22)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23)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다수개의 지지편(3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4)의 단부측을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표면을 요철부(34)로 형성하여 요부로 식기(7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하여 개수대(21)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대(60)의 내부에는 삽입 및 인출되는 인출봉(61)을 형성하고, 고정대(60)의 단부측에 형성된 고정볼트(62)로 인출봉(6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판 개수대에서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하고 난 후, 식기 등을 건조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할 때, 조리대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를 간단하게 상부로 인출하여 식기 등을 정리 정돈 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건조대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도 개수대의 일측에서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식기를 정리정돈하여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된 건조대를 싱크대 상부에 설치할 수 있게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상판에 보조식기 건조선반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식기 건조선반대가 상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식기 건조선반대가 상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21)와, 개수대(21)의 일측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대(22)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20)을 상부측에 형성한 싱크대(10)와.
상기 상판(20) 조리대(22)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장착된 후, 상부로 인출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게 엘보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와,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지지대(31)의 내부면에 경사지게 돌출하여 삽입구(32)를 형성한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40)에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을 갖추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편(41)과,
상기 조리대(22)의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단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조리대(22)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대(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20)의 개수대(21)에서 많은 양의 식기(70)를 세척하고 난 후, 조리대(22)에 올려놓고 남은 식기(70)를 건조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할 때, 상판(20)의 조리대(22) 일측에 형성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상부로 인출하여 고정대(60)로 고정해서 남은 식기(70)를 정리정돈하여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대(10)의 상부에는 상판(20)이 구성된다. 상기 상판(20)에는 일측에 식기(70)를 세척할 수 있는 개수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수대(21)의 일측에는 요리할 수 있는 조리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리대(22)의 일측에는 삽입공(23)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23)에는 엘보형의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보형으로 표면의 일측을 절곡하여 지지대(31)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31)의 내측면에는 하부로 경사지게 지지편(33)을 형성하여 삽입구(32)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또 표면에는 요철부(34)를 형성하고, 요철부(34)의 단부측은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1)의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상판(20)의 조리대(22) 상부로 인출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40)에 장착되어 탄성을 갖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고정편(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봉(40)은 싱크대(10)에 가로질러 고정되게 구성된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상판(20) 조리대(22)의 타측에는 회전봉(5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는 회전봉(50)과 일체로 회전하는 고정대(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60)의 내부에는 삽입 및 인출되는 인출봉(61)을 형성하고, 고정대(60)의 단부측에 형성된 고정볼트(62)로 인출봉(6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의 작동 상태에 대한 실시 예를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싱크대(10)의 상판(20) 개수대(21)에서 많은 양의 식기 등을 세척한다. 세척된 식기를 개수대(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리대(22)에 올려놓거나 별도로 상판(20)의 상부측에 형성된 건조대에 식기 등을 올려놓고도 공간이 부족하여 남은 식기 등을 올려놓기 위하여, 조리대(22)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미리 조리대(22)의 상부로 인출한다.
이때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지지대(31)는 삽입공(23)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면서 지지대(31)의 내측면에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편(33)의 삽입구(32)에 삽입된 고정편(41)은 고정봉(40)에 탄성을 갖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로 지지대(31)를 인출하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게 되면 상부로 젖혀져 있던 고정편(41)은 탄성을 갖고 하부로 젖혀지면서 지지대(31)의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지지대(31)를 고정하게 되므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는 상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4)의 단부측이 약하기 때문에 조리대(22)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대(60)를 상부로 회전시켜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4)의 단부측을 받쳐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대(60)도 지지대(31)의 높낮이에 맞추어 고정대(60)의 내부에 삽입된 인출봉(61)을 인출하여 고정볼트(62)로 높낮이 조절된 인출봉(62)을 조여서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에 남은 식기(70)를 올려놓고 건조시키면 된다. 이때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은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올려진 식기(70)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요철부(34)로 형성된 요부로 안내되어 경사면을 따라 개수대(21)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에서 식기(70)를 건조하고 나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봉(50)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대(60)를 하부로 젖혀준 후, 지지대(31)를 삽입공(23)으로 눌러 주게 되면, 지지대(31)가 하향하면서 삽입이 된다. 이때 지지대(31)의 지지편(33)은 고정편(41)을 하부로 젖혀준다. 또한, 지지대(31)가 완전히 삽입공(23)으로 삽입이 되면 하부로 젖혀져 있던 고정편(41)은 다시 탄성을 갖고 상부로 회전하여 지지대(31)의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32)에 삽입이 된다.
이와 같이 고정편(41)은 상부나 하부로 회전하여 젖혀져 있다가 지지대(31)가 고정하게 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지지대(31)의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구(32)에 삽입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상판 개수대에서 많은 양의 식기를 세척하고 난 후, 식기 등을 건조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할 때, 조리대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를 간단하게 상부로 인출하여 식기 등을 정리 정돈 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건조대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도 개수대의 일측에서 필요시에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서도 많은 양의 식기를 정리정돈하여 올려놓고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개수대(21)와, 개수대(21)의 일측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대(22)를 형성하고 있는 상판(20)을 상부측에 형성한 싱크대(10)와.
    상기 상판(20) 조리대(22)의 일측에 천공된 삽입공(23)에 삽입되어 장착된 후, 상부로 인출되어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게 엘보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와,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일측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지지대(31)의 내부면에 경사지게 돌출하여 삽입구(32)를 형성한 지지편(33)과,
    상기 지지편(33)에 의해 형성된 삽입구(32)에 삽입되어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봉(40)에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탄성을 갖추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편(41)과,
    상기 조리대(22)의 상부로 인출된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단부측을 고정할 수 있게, 조리대(22)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봉(50)의 양단부측에 일체로 결합된 고정대(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대(22)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23)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31)의 내부면에 다수개의 지지편(3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식기 건조선반대(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4)의 단부측을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표면을 요철부(34)로 형성하여 요부로 식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하여 개수대(21)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내부에는 삽입 및 인출되는 인출봉을 형성하고, 고정대의 단부측에 형성된 고정볼트로 인출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PCT/KR2013/010308 2013-10-28 2013-11-13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WO20150648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241 2013-10-28
KR1020130128241A KR101507587B1 (ko) 2013-10-28 2013-10-28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4813A1 true WO2015064813A1 (ko) 2015-05-07

Family

ID=5300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308 WO2015064813A1 (ko) 2013-10-28 2013-11-13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7587B1 (ko)
WO (1) WO2015064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517A (zh) * 2018-06-28 2018-11-16 张养志 一种模仿人甩动沥干外加风干的居家用盘子沥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78A (ja) * 2000-07-12 2002-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切り棚付き流し台
KR20040017561A (ko) * 2002-08-22 2004-02-27 안민아 싱크대용 선반
US7207074B1 (en) * 2005-01-11 2007-04-24 Stewart Kim C Dish drying rack system
JP2007244917A (ja) * 2007-07-04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式収納装置
JP2012125351A (ja) * 2010-12-14 2012-07-05 Kawano:Kk 昇降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2707A (ja) * 1985-10-18 1987-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大形計算機の電源給電構造
JP4023481B2 (ja) 2004-10-14 2007-12-19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式収納装置
JP4371075B2 (ja) * 2005-04-18 2009-11-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昇降式収納装置
KR200408195Y1 (ko) * 2005-11-24 2006-02-07 우기주 식기 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78A (ja) * 2000-07-12 2002-01-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水切り棚付き流し台
KR20040017561A (ko) * 2002-08-22 2004-02-27 안민아 싱크대용 선반
US7207074B1 (en) * 2005-01-11 2007-04-24 Stewart Kim C Dish drying rack system
JP2007244917A (ja) * 2007-07-04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式収納装置
JP2012125351A (ja) * 2010-12-14 2012-07-05 Kawano:Kk 昇降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517A (zh) * 2018-06-28 2018-11-16 张养志 一种模仿人甩动沥干外加风干的居家用盘子沥水装置
CN108814517B (zh) * 2018-06-28 2020-05-01 林少忠 一种模仿人甩动沥干外加风干的居家用盘子沥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87B1 (ko)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0355A1 (en) Rack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WO2015064813A1 (ko) 싱크대의 상판에 형성되는 보조식기 건조선반대
WO2011049254A1 (ko) 냉장식탁에 있어서 상판과 승강판의 부착장치
KR200470156Y1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CN201019608Y (zh) 一种炊具挂架
CN211242390U (zh) 一种便于灵活使用的柜体
CN207767852U (zh) 一种衣柜
CN200973652Y (zh) 锅盖架
CN206670195U (zh) 卫浴品干燥柜
CN216147914U (zh) 一种碗碟架
CN218832604U (zh) 一种厨房置物架
CN206933789U (zh) 炉具埋入式家用防油橱柜
CN216316482U (zh) 一种防污隐藏式厨房用品收纳架
CN214736800U (zh) 一种可收纳酒店晾衣架
CN217743590U (zh) 一种橱柜的存储框架结构
CN219781983U (zh) 一种模块组合式家用壁挂橱柜
CN202567103U (zh) 一种多功能橱柜
CN212591815U (zh) 一种厨房用碗碟放置装置
CN216019978U (zh) 一种内侧发光的全铝板式拉篮
CN214341913U (zh) 挂式备菜盘
CN220631474U (zh) 一种便于组装的置物架
CN103654499A (zh) 一种间距可调且可旋转的烹饪调料架
WO2016024775A1 (en) Dishwasher
CN214231105U (zh) 一种锅盖用放置架
CN219720024U (zh) 一种便于户外携带炊具的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6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62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