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4120A1 -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4120A1
WO2014204120A1 PCT/KR2014/005042 KR2014005042W WO2014204120A1 WO 2014204120 A1 WO2014204120 A1 WO 2014204120A1 KR 2014005042 W KR2014005042 W KR 2014005042W WO 2014204120 A1 WO2014204120 A1 WO 20142041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sheet film
powder
weight
film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0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현
Original Assignee
Jo Hye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o Hyeon filed Critical Jo Hyeon
Publication of WO20142041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4120A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et film containing green te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eet film used to make a zipper bag, a plastic bag, a roll bag, a kimjang bag, etc., including hygiene gloves in contact with food and beverage.
  • Sheet film containing green tea improved by using anticancer func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 to improve eco-friendliness and human friendliness, increase hygiene and lower adsorption resistance, or easy to pinch or peel off when it is in the form of gloves It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 hygiene gloves worn on the hand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hands from hygiene or various seasonings are usually made of vinyl, and cut into two unfolded hands. It is produced by joining two vinyls along the cut line.
  • Patent No. 1137549 Patent No. 0478231 and the like.
  •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re formed because they are formed into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30 ⁇ m.
  • the proximal ends are so close to each other that it is not easy to open the openings, and even if the hands can be opened, if the hands have some sweat or moisture, they are adsorbed as soon as they touch the thin film. It is never easy to wear it, and if you try to wear it a little bit, you will see a frustration that the glove film stretches or tears.
  • the supplier is always asking for the precautions to be worn after removing the hand and sweat, or even supplying sanitary gloves that are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and of the consumer, I have no choice but to have looseness.
  • Patent Publication No. 2004-0018756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a hygroscopic pad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anitary gloves to absorb sweat or moisture, bu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manufacturing is complicated, difficult, and antimicrobial is inferior. It was not a fundamental solution.
  • the sanitary gloves that is, the sanitary glove including the household hygiene vinyl gloves, food storage zipper bags, food storage plastic bags, food storage roll bags, kimjang bags, etc.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ese are the sheets mainly made of polyethylene resin It is produced by processing a film.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anti-cancer function and antimicrobial inherent in green tea in the sheet film, such as food packaging zipper bag, plastic bag, roll bag, kimjang bag, etc.
  • the sheet film containing green tea improved to be easy to pinch or peel off when i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gloves by increasing the hygroscopicity by maximizing eco-friendliness and human friendliness while increasing the hygiene while using the function.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weight, green tea powder 15-25%, acid seaweed powder 1-5%, hyaluronic acid 2-4% and the remaining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 sanitary gloves cont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lverizing step of pulverizing the green tea and acid seabak to have a particle size of 140-74 ⁇ m; 15-25% by weight of green tea powder pulverized in the above crushing step was added to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which is a main component, and stirred for 10-20 minutes, while 1-5% by weight of acidic powder and 2-4% by weight of hyaluronic acid were sequentially added.
  • the antibacterial function of green tea is expressed, hygiene is improved, and the wearability is good even if it is used or worn for a long time, and it is not slippery, the fingers are not easily barked, and do not stick, so that the effect is easy to get off and get off. Can be.
  • pollution resistance is increased, hygiene is maximized by preventing bacterial propagation, and when it is commercialized in the form of a glove, skin soothing action around the finger as well as housewife eczema can be ob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density polyethylene as a main component, it contains green tea powder, acid seaweed powder and hyaluronic acid to implement antimicrobial and adsorption resistance, when the product is eco-friendly and gloves to promote moisturizing and sedation of the skin of the finger
  • a sheet film configured to prevent major eczema.
  • the sheet film containing green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weight percent, green tea powder 15-25%, acid seaweed powder 1-5%, hyaluronic acid 2-4% and the remaining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 green tea as it is well known, when given as a tea to give mental vitality to refresh the mood, inhibit the growth of various bacteria, and prevent poisoning and cold, after-tea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growth of bacteria in the mouth.
  • green tea should be added in powder form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green tea and express its function as it is, and the preferred particle size should have a particle size of 100-200 mesh, that is, 140-74 ⁇ m.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kneaded and extruded to make a sheet film, the extrusion property is improved while the dispersing force is increased to enable smooth molding without clogging.
  • the green tea powder must be kept dry in a water content of 200 ppm or less to extrude to smoothly form the film.
  • the acid panbakula (Cynanchum paniculatum) powder is added with the green tea powder to enhance the sedation, it should also be pulverized to have the same range of particle size as the green tea powder.
  • the acid seaweed powder should be added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and the addition of the acid seaweed powder itself does not need to be added excessively, since it is added to assist the function of green tea, in particular, to implement an analgesic function. It should be added in the above range.
  • the hyaluronic acid is one of a complex polysaccharide consisting of amino acids and uronic acid, a high molecular compound consisting of N-acetylglucosamine and glucuronic acid, and is present in the vitreous body and the umbilical cord of the eye, and prevents invasion of bacteria and infiltration of poisons.
  • Crosslinked with the powder particles and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which is the main component, is added to form an integration 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each other.
  • hyaluronic acid should be added 2-4% by weight, if less than 2% by weight can not be expected to cross-linking efficiency between the powder and the resin is poor adhesiveness, when exceeding 4% by weight is extruded due to the excessive addition of the sheet Since molding is difficult, it should be limited to the above range.
  • green tea powder and acid seaweed powder are added as fine powders while express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hen they are manufactured as hygienic gloves, they minimize the phenomenon of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surface and the palm or fingers when worn and increase the feeling of separation. It is easy to put on and take off because it does not stick.
  • the low-density polyethylene resin is a resin commonly used in the art because it can be stretched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film at an appropriate line, and the remaining composition after adding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constitutes the main component of the sheet film.
  • Sheet film containing green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such a composition is produced by the following manufacturing method.
  • a pulverization step of pulverizing green tea and acidic seaweed to have a particulate size of 140-74 ⁇ m is performed.
  • the green tea powder and the acid seaweed powder are kneaded with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and then processed into the particle size so that the watertightness is sufficiently maintained so that little voids are generated when extruded.
  • the green tea powder is sufficiently stirred, followed by mixing while adding acidic foil powder and hyaluronic acid. This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effect by inducing the dispersion of the acid seaweed powder, which is added to supplement the green tea powder while maintain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green tea powder to be dispersed again between the green tea powder.
  • a pellet processing step of pelletizing the resin mixture into an extruder is performed.
  • the pellet processing step is necessary because it is easy to make a pellet film in the form of pellets when manufacturing sanitary gloves containing green tea.
  • the sheet film forming step of extruding the pellets to form a sheet film is performed.
  • the product may be further added to the production step, which may be processed into a commercially available sheet film, such as a zipper bag, a roll bag, a plastic bag, a kim jang bag, a sanitary glove, and the like. .
  • a commercially available sheet film such as a zipper bag, a roll bag, a plastic bag, a kim jang bag, a sanitary glove, and the like.
  • composition of the sheet film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percent, 20% green tea powder, 3% acid seaweed powder, 4% hyaluronic acid and the composition consisting of the remaining low-density polyethylene resin was process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containing green tea. Sanitary gloves were made.
  • one of the hygienic gloves products currently on the market for comparison was used as a conventional material, the conventional material did not include any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green tea.
  • green tea powder and hyaluronic acid were remov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and sanitary gloves (comparative materials) were prepared using 30% by weight of acid seaweed powder and 70%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it is easy to put on and take off and whether barking occurs when worn for a long time.
  • the population for the control was limited to 10 women in their 40s, and the presence of barking including housewife eczema was investigated in advance. Women with no abnormalities were selected.
  • the bark was checked whether the moisture during finger movement inside the sanitary gloves, in the case of the invention, 2 women who answered that the moisture was full, 10 of the conventional materials, 6 of the comparative materials.
  • the sanitary gloves containing green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asy to wear because they do not stick to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as well as to prevent barking by inhibiting internal mois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량%로, 녹차분말 15-25%, 산해박 분말 1-5%, 히알루론산 2-4% 및 나머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차에 의한 항균 기능이 발현되므로 위생성이 향상되고, 친환경성은 물론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이 좋고, 미끌리지 않으며, 장갑 형태로 가공했을 때 착용시 손가락이 쉽게 짖무르지 않고, 달라 붙지 않아 끼고 벗기 쉬우며, 손가락 주변의 피부 진정작용은 물론 주부습진 방지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식음료와 접촉하는 위생장갑을 포함한 지퍼백, 비닐백, 롤백, 김장용 백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시트 필름에 녹차 고유의 항암기능과 항균기능을 이용하되 친환경성 및 인체 친숙성을 극대화시켜 위생성을 증대시키면서 흡착성을 낮춰 내오염성을 높이거나 혹은 장갑 형태의 것일 경우에는 끼거나 벗기 쉽도록 개선된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을 만들 때 위생상 또는 각종의 양념 등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에 착용하는 위생장갑은 통상 비닐로 제조되며, 2장의 비닐을 펼친 손 모양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을 따라 2장의 비닐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위생장갑을 끼고 사용하면 음식물이 손에 묻지 않게 되어 위생적일 뿐 아니라 장갑이 얇은 비닐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장갑을 낀 상태로 일을 해도 큰 불편 없이 일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137549호, 등록특허 제047823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적인 위생장갑들은 단지 일회용이라는 것에, 또는 초저가 제품이라는 것에만 안주하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잠재된 불만들을 외면하고 있다.
보통, 수요자들은 50-100개가 팩인(Pack In)되어 있는 디스펜스로부터 필요에 따라 위생장갑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나, 그 두께가 10-30㎛의 얇은 필름으로 성형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측 각 개구 기단부들은 서로 완전 밀착되어 있어 개구부를 개방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손을 넣을 수 있는 개구부가 개방 되었다 하더라도 손에 다소간의 땀이나 물기 등이 묻어 있으면, 얇은 필름과 닿자마자 바로 흡착되어 버리기 때문에 위생장갑을 착용하기란 결코 쉽지 않으며, 다소 무리를 하여 착용하려든다면 장갑필름이 늘어나거나 찢어지게 되는 낭패를 보게 된다.
따라서, 공급업체에서는 항상 손의 물기와 땀을 제거토록 한 뒤에 착용하도록 하는 사용상의 주의를 요구하거나, 아예 수요자들의 손의 크기보다 다소 큰 사이즈의 위생장갑을 공급하여 해소하려 하고 있으나, 오히려 착용상의 헐거움을 가질 수밖에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수요자들의 이러한 불편은 착용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생장갑의 특성상 기밀성과 수밀성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착용과 동시에 공기유통이 되지 않아 손에 땀이 배어나올 수밖에 없으므로 손에 위생장갑이 쩍쩍 달라붙는 매우 불쾌하고 축축한 느낌의 착용감을 갖게 되며, 통기성이 없고 항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자의 경우 주부습진, 짖무름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4-0018756호에서는 위생장갑 내부에 흡습패드를 부착하여 땀이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예가 있으나,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제조가 복잡하고 난해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떨어져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였다.
아울러, 상기 위생장갑, 즉 가사용 위생비닐장갑을 포함하여 유관 제품군으로, 식품보관용 지퍼백, 식품보관용 비닐백, 식품보관용 롤백, 김장용 백 등이 시판되고 있는데, 이들은 폴리에틸렌수지를 주원료한 시트 필름을 가공하여 제조된다.
하지만, 대부분 폴리에틸렌수지 자체만을 가지고 비닐 형태의 제품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위생장갑의 예와 같이 얇은 시트 필름 내부에서 흡착성이 높아져 부착물에 의한 오염성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최근 웰빙의 개념에 맞지도 않아 친환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위생장갑을 포함한 식품포장용 지퍼백, 비닐백, 롤백, 김장백 등의 재료인 시트 필름에 녹차 고유의 항암기능과 항균기능을 이용하되 친환경성 및 인체 친숙성을 극대화시켜 위생성을 증대시키면서 착용시 흡착성을 떨어뜨려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고, 장갑 형태로 제조될 경우에는 끼거나 벗기 쉽도록 개선된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량%로, 녹차분말 15-25%, 산해박 분말 1-5%, 히알루론산 2-4% 및 나머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위생장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와 산해박을 분쇄하여 140-74㎛의 입자상 크기를 갖도록 미분화하는 분쇄단계; 주성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에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녹차분말 15-25중량%를 투입하여 10-20분간 교반하고, 산해박 분말 1-5중량%, 히알루론산 2-4중량%를 순차로 투입하면서 각각 10-20분간 교반 혼합하여 수지혼합물을 만드는 혼련단계; 혼련이 완료되며, 수지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면서 펠릿화하는 펠릿가공단계; 상기 펠릿을 다시 압출성형하여 시트 필름을 만드는 시트 필름성형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녹차에 의한 항균 기능이 발현되므로 위생성이 향상되고, 친환경성은 물론 장시간 사용하거나 착용하더라도 착용감이 좋고, 미끌리지 않으며, 손가락이 쉽게 짖무르지 않고, 달라 붙지 않아 끼고 벗기 쉬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오염성이 증대되고, 세균 번식을 막아 위생성이 극대화되며, 장갑 형태로 제품화 될 경우에는 손가락 주변의 피부 진정작용은 물론 주부습진 방지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녹차분말, 산해박 분말 및 히알루론산을 함유시켜 항균성, 내흡착성을 구현하며, 친환경적이고 장갑 형태로 제품화 될 경우에는 손가락 피부 보습 및 진정작용까지 도모하여 주부습진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트 필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은 중량%로, 녹차분말 15-25%, 산해박 분말 1-5%, 히알루론산 2-4% 및 나머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녹차는 주지된 바와 같이, 차로 복용하였을 때 정신적인 활력을 주어 기분을 상쾌하게 만들어 주고 각종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며 중독과 감기를 예방하여 식후의 차는 입안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청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켜 고혈압과 동맥경화의 발병을 억제함은 물론, 암을 예방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와 간장의 독성물질을 분해 배설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녹차에 함유된 발암억제 물질인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녹차 속 카테킨이 몸속 중금속이나 니코틴과 결합해 체외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음식을 과다섭취해 쌓이는 글리코겐을 분해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어 체중을 줄이는 비만방지 효과까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녹차는 지금껏 복용하는 용도로만 활용되었지 위생장갑을 비롯한 지퍼백, 비닐백, 롤백, 김장백 등에 적용된 예는 없었는데, 이 녹차를 식음료와 접촉되는 각종 백류 혹은 피부와 접촉되는 위생장갑에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항균 기능 촉진과 함께 피부 트러블 방지, 피부 진정작용을 함께 구현토록 하여 비록 항상 착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착용시에라도 손가락 피부에 좋은 영향을 주도록 하고, 시판 중인 타 제품들과의 차별성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본 발명의 핵심 사항이다.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녹차의 변형을 막고 그 기능을 그대로 표출시키기 위해 녹차를 분말 형태로 첨가해야 하는데, 바람직한 입도는 100-200메쉬, 즉 140-74㎛의 입자상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는 시트 필름을 만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들을 혼련하여 압출할 때 압출성을 좋게 하면서 분산력을 높여 막힘없이 원활한 성형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수밀성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녹차분말은 함수율 200ppm 이하로 건조 처리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압출하여 필름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이러한 녹차분말을 15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녹차가 갖는 항균성, 트러블 방지, 손가락 짖무름 등의 특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2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분말 함량이 많아져 압출성이 떨어짐은 물론 점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시트 구현이 불량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분말은 진정작용을 강화하기 위해 녹차분말과 함께 첨가되는데, 이또한 상기 녹차분말과 동일 범위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되어야 한다.
이러한 산해박은 서장경이라고도 하는 박주가리과로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며 마디 사이가 길고, 개화기는 8∼9월경이며 연한 황갈색을 띠며, 산해박의 뿌리를 한방에서는 서장경(徐長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진통·진정·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해박 분말을 1-5중량%로 첨가해야 하는데, 산해박 분말 자체의 첨가는 녹차의 기능을 보조하면서, 특히 진통 기능을 더 구현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므로 과량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범위로 첨가되어야 한다.
다만, 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진통 기능이 발현되지 않고, 5중량%를 넘어서면 녹차분말과 함께 분말량이 많아져 압출성과 성형가공성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알루론산은 아미노산과 우론산으로 이루어지는 복잡한 다당류의 하나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화합물이며, 눈의 초자체나 탯줄 등에 존재하는데, 세균의 침입이나 독물의 침투를 막고, 분말 입자들과 주성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와 가교되게 하여 상호간의 접착성을 높여 일체화를 이루도록 첨가된다.
이때, 히알루론산은 2-4중량% 첨가되어야 하는데, 2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점착성이 떨어져 분말과 수지간의 가교 효능을 기대할 수 없고, 4중량%를 초과하면 과량 첨가됨으로 인해 압출성이 떨어져 시트 성형이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녹차분말, 산해박 분말들이 개별적인 특성을 발현하면서 미세한 분말 상으로 첨가되기 때문에 위생장갑으로 제품화 될 경우, 착용시 표면과 손바닥 혹은 손가락 사이에서 정전기 현상을 극소화시키고 분리감을 높여 쉽게 달라 붙지 않게 하기 때문에 끼고 벗기 편리하게 된다.
다만, 분말상의 입자들이 박혀 있는 형태로만 이루어진다면 압출 후 이들이 탈거되면서 수밀성 측면에서 불리하게 되므로 상기 히알루론산이 분말상 입자들의 결합력 혹은 결속력을 강화시켜 그러한 문제를 극소화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는 필름의 강도를 적정선으로 유지한 채 연신이 가능하므로 당해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이며, 상술한 조성들을 첨가하고 남은 나머지를 구성하므로 시트 필름의 주성분이 된다.
이와 같은 조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녹차와 산해박을 분쇄하여 140-74㎛의 입자상 크기를 갖도록 미분화하는 분쇄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분쇄단계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녹차분말과 산해박 분말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와 혼련된 후 압출성형되었을 때 공극이 거의 생기지 않도록 하여 수밀성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상기 입도로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어, 주성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에 녹차분말 15-25중량%를 투입하여 10-20분간 교반하고, 산해박 분말 1-5중량%, 히알루론산 2-4중량%를 순차로 투입하면서 각각 10-20분간 교반 혼합하여 수지혼합물을 만드는 혼련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혼련단계는 녹차분말이 충분히 교반된 다음에 산해박 분말과 히알루론산이 첨가되어 교반되면서 혼합되어야 한다. 이는 녹차분말의 분산성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 이의 보충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인 산해박 분말이 분산되면서 녹차분말 사이 사이로 재차 분산되게 유도함으로써 효능 저하를 막기 위한 것이다.
혼련이 완료되며, 수지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면서 펠릿화하는 펠릿가공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펠릿가공단계가 필요한 이유는 녹차를 함유한 위생장갑 제조시 펠릿 형태의 것이 시트 필름으로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
이후, 펠릿을 다시 압출성형하여 시트 필름을 만드는 시트 필름성형단계가 수행된다.
아울러, 필요하다면 이어 더하여 제품화 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시트 필름을 제품에 맞게 가공하여 시판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이를 테면 지퍼백, 롤백, 비닐백, 김장백, 위생장갑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조성범위 내에서 시트 필름을 만들고, 그 시트 필름을 이용하여 위생장갑을 제조한 후 이를 테스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를 위한 시트 필름의 성분 조성은 중량%로, 녹차분말 20%, 산해박 분말 3%, 히알루론산 4% 및 나머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상술한 방법 대로 가공하여 녹차를 함유한 위생장갑(발명재)을 만들었다.
아울러, 비교를 위해 기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위생장갑 제품 중 하나를 구매하여 종래재로 활용하였는데, 종래재에는 녹차를 포함한 본 발명 성분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비교를 위해 상기 발명재의 조성중에서 녹차분말과 히알루론산을 빼고, 산해박 분말 30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를 70중량%로 하여 위생장갑(비교재)를 만들었다.
이후, 발명재, 종래재, 비교재의 표면에 진균(Gliocladium virens ATCC 9645),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시험한 결과, 발명재의 경우는 99.90%의 항균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종래재의 경우에는 49.20%의 항균효과가 있었고, 비교재의 경우에는 90.25%의 항균효과가 있었다.
아울러, 끼고 벗기 편리함 여부, 장시간 착용시 짖무름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대조를 위한 모집단은 40대 여성 10명으로 한정하였고, 주부습진을 포함한 짖무름 유무를 사전에 조사하여 이상이 없는 여성을 선택하였다.
이때, 끼고 벗기 편리함 여부는 위생장갑 착용시 달라 붙은 정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게 하였고, 짖무름 발생여부는 위생장갑을 3시간 연속 착용한 상태에서 30분 간격으로 손가락 운동을 2분간 실시하도록 하여 위생장갑 내부에서 습기가 찬 정도를 모집단으로 하여금 개별적으로 체크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관능평가 결과, 발명재의 경우에는 착용시 달라 붙지 않고 착용하기 편리하다고 답한 여성이 8명, 보통이라고 한 여성이 2명이었고, 종래재의 경우에는 보통이 3, 나머지는 달라붙어 매우 불편하다고 답하였으며, 비교재의 경우에는 보통이 5, 나머지는 달라 붙는다고 답하였다.
또한, 짖무름 여부는 위생장갑 내부에서 손가락 운동시 습기가 차는지 여부를 통해 확인하였는데, 발명재의 경우는 습기가 찼다고 답한 여성이 2, 종래재는 10명 모두, 비교재는 6명 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녹차를 함유한 위생장갑이 항균성은 물론 착용시 달라 붙지 않아 착용하기 쉽고, 내부 습기 참을 억제하여 짖무름 방지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2)

  1. 중량%로,
    녹차분말 15-25%,
    산해박 분말 1-5%,
    히알루론산 2-4% 및 나머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2. 녹차와 산해박을 분쇄하여 140-74㎛의 입자상 크기를 갖도록 미분화하는 분쇄단계;
    주성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수지에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녹차분말 15-25중량%를 투입하여 10-20분간 교반하고, 산해박 분말 1-5중량%, 히알루론산 2-4중량%를 순차로 투입하면서 각각 10-20분간 교반 혼합하여 수지혼합물을 만드는 혼련단계;
    혼련이 완료되며, 수지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면서 펠릿화하는 펠릿가공단계;
    상기 펠릿을 다시 압출성형하여 시트 필름을 만드는 시트 필름성형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제조방법.
PCT/KR2014/005042 2013-06-20 2014-06-09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42041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58A KR101439036B1 (ko) 2013-06-20 2013-06-20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13-0070958 2013-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120A1 true WO2014204120A1 (ko) 2014-12-24

Family

ID=5175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042 WO2014204120A1 (ko) 2013-06-20 2014-06-09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9036B1 (ko)
WO (1) WO2014204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762B1 (ko) 2016-07-22 2017-03-22 (주)엔키스 명월초를 이용한 천연 비닐위생용품의 제조 방법
WO2021261638A1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카드네이션 플라스틱 카드 제조용 항균 오버레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955A1 (en) * 1999-08-19 2001-03-01 Lavipharm S.A. Film forming polymers, methods of use, and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2173563A (ja) * 2000-12-06 2002-06-21 Yasumasa Morita 抗菌、防臭効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2005088985A (ja) * 2003-09-12 2005-04-07 Tamai Kasei Kk 気体透過性包装体
KR20060124927A (ko) * 2005-06-01 2006-12-06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6Y1 (ko) * 2004-09-22 2004-12-14 이제완 신경통, 손 저림, 관절염 및 아토피성 피부병 치료에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이 장입된 기능성 장갑
KR101042696B1 (ko) * 2010-12-02 2011-06-20 김용태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955A1 (en) * 1999-08-19 2001-03-01 Lavipharm S.A. Film forming polymers, methods of use, and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JP2002173563A (ja) * 2000-12-06 2002-06-21 Yasumasa Morita 抗菌、防臭効果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
JP2005088985A (ja) * 2003-09-12 2005-04-07 Tamai Kasei Kk 気体透過性包装体
KR20060124927A (ko) * 2005-06-01 2006-12-06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6842A (ko) * 2011-10-28 2013-05-08 주식회사 제닉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036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31555A3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skin discoloration
WO2009014781A3 (en) Metal-containing materials for treatment of bacterial conditions
CN105088766A (zh) 一种面料防霉抗菌剂
WO2007106723A3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mprising polyanionic materials and zinc-based preservatives
WO2007030581A3 (en) Neuroprotectants
CN101744962A (zh) 一种润肠通便保健食品配方
WO2007120170A3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gram positive bacterial infection in a mammalian subject
WO2014204120A1 (ko) 녹차를 함유한 시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9108A (ko) 생분해능과 항균능을 갖는 부직포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개인용품
CN107385991A (zh) 一种抗菌防霉包装纸
CN102119765A (zh) 一种大黄鱼成鱼用的免疫增强剂
CN107828559A (zh) 一种抗菌功能皂及其制作方法
CN101999508B (zh) 重麻酥糖及制作工艺
KR20110047379A (ko) 펄감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973970A (zh) 一种抗菌保鲜型食品用塑料薄膜
CN105265471B (zh) 一种含灵芝多糖和噻虫胺的抗病防虫组合物
US20090192232A1 (en) Supplementary Food Composition For Reducing Body Odor
CN202375094U (zh) 一种一次性pvc抑菌手套
WO2008030512A3 (en) Polystyrene sulfonate polymer tablets, their preparation and use
CN106758231A (zh) 一种抑菌脱敏手套
KR101607073B1 (ko) 천연 성분이 함유된 비닐위생장갑의 제조방법
CN105796434A (zh) 一种保湿口红
CN203555461U (zh) 一种红豆杉缓释蚕丝被
DE202010016475U1 (de) Funktionsschal
WO2010142400A3 (de) Zusammensetzungen auf basis von chitosan-oligosacchar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33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33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