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5668A1 -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 Google Patents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5668A1
WO2014185668A1 PCT/KR2014/004195 KR2014004195W WO2014185668A1 WO 2014185668 A1 WO2014185668 A1 WO 2014185668A1 KR 2014004195 W KR2014004195 W KR 2014004195W WO 2014185668 A1 WO2014185668 A1 WO 20141856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eeding
baby
bottle
infant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1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은영
Original Assignee
Oh Eun-Ye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13611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3768A/ko
Application filed by Oh Eun-Yeong filed Critical Oh Eun-Yeong
Priority to US14/890,90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089307A1/en
Publication of WO20141856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56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61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attachable to other devices or furniture, e.g. crib, commode or stroll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3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 A61J9/0638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for supporting in a feeding posi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ety of infant supplies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product in the nursing process of the infant, and is prepared by mounting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which is a means for mounting the feeding bottle when the infant formula or baby food feeding on the infant supplies It relates to a baby product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aby products, and more specifically, when feeding with a formula or breastfeeding, even when breastfeeding using the bottle, the feeding operation does not borrow the hand of the nursing person, or the nursing person is in a space movement situation or daily
  •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eeding bottle feeding aid, which is a supplementary means for allowing feeding to be carried out very easily without any limitation in the state of carrying out tasks, and a baby product including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as a component. It relates to a baby product mounted.
  • This known feeding bottle feeding aid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moved together with infants when feeding, and as an independent body, it takes a certain space to store and acts as an aesthetic inhibitory factor due to external exposure. It has various management disadvantages such as risk.
  • the infant supplie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pecifically a baby carrier, infant hip ⁇ , infant carrying waist ⁇ , infant sofa, infant chair, infant assistant chair, infant nursing cushion, infant car safety seat, infant stroller Including the infant bed, infant bed bed, infant walk, and the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trast, the infant feeding carrier, baby sofa, baby sofa, baby feeding Examples include private cushions, cribs, baby safety seats, baby seats, and baby stroller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long-term feeding activities repeated daily in the nursing process of infants and infants.
  •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nd the feeding bottle is a means for positioning the face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baby article and the nipple of the bottle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being fixed at a constant state.
  • the baby feeding aid device and the baby care product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ffect of allowing the mother's prenatal life style to remain unchanged.
  • the infant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feeding apparatus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physical pains including shoulder pain, back pain, leg pain, back pain, etc., caused by being suppressed by a fixed feeding position of the mother. It provides a preventive effect.
  • the baby feeding aid and the baby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preventing household activity deterioration, work performance deterioration, and mental fatigue due to lack of sleep of the mother during feeding time. To provide.
  • the infant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dependently fed without a mother's help when feeding is necessary, especially in the case of a baby car safety seat, when driving is necessary.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risk of an accident, it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top driving a car for feeding if only the mother and infant are operating.
  • Baby feeding equipment and the baby care equipment i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by bottle in the case of a baby carriage or a baby carrier, can be mounted on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nd the baby can be fed while the baby is seated on the baby product.
  • all day-to-day activities such as eating, drinking tea, answering phone calls, talking, shopping, etc. are not limited, and the baby feeding device is also mounted while walking the infant in the stroller. Feeding by feeding a bottle on top of the feeding does not need to go to a specific place for feeding provides economic savings.
  • the baby car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by care equipment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nursing device a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infant mattress (or a crib), in which a baby bottle is placed on the baby feeding apparatus mounted on the baby mattress and the infant is laid down. Because it can be fed as it is in the mother's physical movement is not restricted, it is possible to work, housework, hobbies, etc. during the feeding time, as well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hysical pain.
  • Baby feeding equipment and the baby care equipment i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aby feeding equipment and the baby care equipment i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feeding bottle can be placed on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mounted on an infant sofa, and the baby can be fed as it is.
  • Baby feeding equipment and the baby care equipment i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baby bottle in the case of a baby carriage, a baby bottle can be mounted on the baby feeding support device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and the baby can be fed as it is while the baby is seat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move to a specific place for feeding while providing a economical saving effect. Of course, since the mother's help is not required, the mother's activity is free.
  • the baby feeding aid and the baby feeding equipment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feeding aid on each infant's product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when feeding. To provide.
  • the baby care feeding apparatus and the baby care fee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nur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baby feeding nursing aid may be built on the baby goods,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may not be apparent. It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assistive device and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infant injuries.
  • the baby feeding aid device and the baby care feeding device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on the baby feeding aid device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nfants grow and feed through the baby feeding aid device. Provides the effect of continued use of baby products even when feeding is no longer required.
  •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aby care equipment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are configured so that all the components on the feeding aid are operated similarly to mom's hansd. To provide.
  • FIG. 1 is an embodiment of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bottle fixing part (1-10), arm (arm / 1-20), something as a main component.
  •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bottle holding means tilt control means (10-5).
  • Figure 3 includes a bottle holding means tilt control means on the horizontal arm
  •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configuration by short-coupled the bottle holder and the horizontal arm using a screw-type connecting means (10-11).
  •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by short-circuit coupling the bottle holder and the horizontal arm using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 Figure 6 is an embodiment of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ttle fixing means fixing stand (10-2).
  • FIG. 7 is a height adjustment means (10-9) of the bottle fixing means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shaft (20-9-1), a fixing means (20-9-2), the inlet space (20-9-3) as a component
  • An embodiment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configuration comprising a.
  • FIG. 8 is an embodiment of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vertical tilt control means (20-1-1).
  • FIG. 9 is an embodiment of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rotatable connecting means as a means for extending the horizontal arm and the vertical arm, showing the arm foldable means 20-8.
  • Fig. 12 is an embodiment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horizontal rotating means 20-6, which is configured as a rotating short-circuit coupling means.
  • Figure 13 is a feeding bottl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eeding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that is a container for embedding all or a part of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of all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ample.
  • a feeding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that is a container for embedding all or a part of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of all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ample.
  • Figure 14 shows the procedure of using the bottle feeding aid.
  • Fig. 15 shows an infant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baby feeding aid 1 is mounted.
  • Fig. 16 shows a baby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backrest angle adjusting means 9 mounted thereon.
  • 17 is a detailed view of the infant feeding mattress C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by feeding ai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5, and further showing the side fixing body guard 5.
  • 18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infant mattress.
  • Fig. 19 shows an infant mattress with a bow arm 1-20.
  • FIG. 26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arm portions 1-20 of the baby feeding aid 1.
  • Figure 27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ottle holder.
  • 28A i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ating seat 40, the front safety guard 42, the rear safety guard 44.
  • B is an infant carrier having a seating seat 40, a front safety guard 42, a side safety guard 43, a rear safety guard 44, a baby feeding aid 1 as a main component,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w-shaped arm 20-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rear safety guard 44 of the baby carrier is shown.
  • Figure 29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er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shows a baby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is formed behind the seating sheet 40. As shown in Figs.
  • FIG. 31 i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inding means 41-1 of the shoulder tow strap 4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sheet 40. As shown in FIG.
  • FIG 32 shows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nti-overturning support 46.
  • Figure 33 shows a baby carrier comprising a seating seat 40, shoulder strap 41, front safety guard 42 as a component.
  • FIG. 34 shows a baby carrier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 40, a shoulder tow 41, a front safety guard 42, a vest safety guard 45 and a feeding bottle support device 1.
  • 35 is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manufactured by using two or more resin foam bead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product as an idea for the purpose of allowing lactation can be made without the help of caregivers during infant rearing
  • the feeding and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is a means for positioning the face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baby article and the nipple of the bottle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fixing the state continuously.
  • the baby bottle fixing part which fixes the baby bottle by enclosing the whole or part of the baby bottle body except the nipple or by binding to a binding means which is a further component on the baby bottle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the baby bottle and the baby feeding aid.
  • a bent or bent member comprising at least one rectangular member as a component and capable of realizing an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and having the bent or bent member. At least one of the two ends selected is a selected point on the baby care product (or additional component configured for mounting the feeding device) and the extension of the remaining rod except the speech and one end to be spoken. Extension of the remaining rods except both ends to be extended to the space located on the front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baby goods, but must pass through the space located in front of the face of the infant.
  • An arm configured to address the baby bottle on the rod passing through the front of the infant's face;
  • An additional component configured to form on the at least one selected end of the two ends of the arm for the purpose of mounting the arm on the infant article (or infant feeding aid) It relates to a baby feeding device and baby supplie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nding means for binding to the phase).
  • Feeding posture The infant is placed on the baby supplies for feeding.
  • Feeding position The bottle feeding aid is waiting for full feeding through the operation of up, unfolding, etc.
  • FIG. 1 shows a feeding bottle assi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feeding bottle fixing unit 1-10 and a female arm / 1-20 as main components.
  • the baby bottle fixing part 1-1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by bottle fixing means 10-1 as a main component of the baby bottle on the arm / 1-20. It is a component for holding the body of the bottle so that it can be fixed.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1) 1) a part of the horizontal arm 20-2 is transformed into a bottle fixing means of the desired form or 2) a baby bottle fixing means produced in a desired form through an independent process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binding using an additional binding means at a desired point on the horizontal arm.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1) is 1) the configuration of the form or the shape surrounding the bottle body or 2) coupling means formed on the body of the bottle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bottle and a pair thereof Coupling means to form may also be made of a configuration (not shown) of the form of mutual binding.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is a bottle holder (shown as 1-10 below) shown in FIG. 1 a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wrap the whole or part of the bottle body' as a preferred embodiment It may include.
  • the arm of FIG. 1 includes a horizontal arm 20-2 and a vertical arm 20-1. It shows a female rock.
  • the horizontal arm is a component across the face of an infant who is breastfeeding and is a component to which the baby bottle fixing unit is mounted at a selected position.
  • the vertical arm refers to an arm that is bent to form an internal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with the horizontal arm is fixed on the baby articl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and 'vertical' are not necessarily interpreted as corresponding relationships with the ground.
  • the horizontal arm 20-2 and the vertical arm 20-1 may be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m.
  • an embodiment of the former 1) may include, for example, a bellows member, a cobra member, a resin molding member, a wood molding member, a wire bending member, and in this configuration, the vertical arm 20-1.
  • the horizontal arm (20-2) can be judged in the state that the bottle feeding aid (1) fully deployed to the feed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rod extension section of the arm passing through the space on the face front of the infant feeding posture
  • the included section may be classified as a horizontal arm, and an extension section of the arm except the section may be divided into a vertical arm.
  • the cabinet formed by the vertical arm 20-1 and the horizontal arm 20-2 at the feeding posi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 a right angle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satisfied by forming a maximum of less than 180 degrees.
  • the shape of the member is one of the resin molding, wood moldings, metal bending (wire) bending moldings, bellows member, cobra-shaped member manufactured to achieve a desired cabinet It can be made of
  • the joining method of each member is one or at least one of a joining type of rotary folding type, large contact folding type, slide folding type, retractable folding type, and joint rotating folding type.
  • Two or more merged configurations or one selected from the rotary foldable, face-to-fold, slide-folded, retractable foldable, articulated foldable type, and selected one of bellows type, cobra type as a merged configuration Can be.
  • Arms of type A, B, and C of the above embodiment comprise one or more rectangular members as components.
  • One end of the arm (arm / 1-2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int selected on the baby product (or feeding bottle storage means or feeding bottle storage space) and the other end (horizontal arm / 20-2)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baby bottle fixing unit (1-10) to be mounted on the top. (A in FIG.
  • a arm crosses from side to side the body of an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a baby article, and both ends of the arm are fixed on the baby article and face the position of the oral cavity of the infant on the arm rod (horizontal arm)
  •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baby bottle fixing unit to be mounted on
  • the arm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infant supplies so that one end is fix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baby bottle fixing unit can be mounted on the other end.
  • the whole of the arm (arm) made of a cobra-type arm can include a preferred example that the whole of the arm (arm) made of a cobra-type arm, and other configurations, such as a molded body formed of a type A, B, C-type, bent metal yarn may also be included as a preferred example.
  • type A One side end of the arm portion on a predetermined point (or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or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storage space) selected on the baby supplies in the state that the arm (arm) is deployed to the feeding position It is fixed so that the baby bottle fixing part can be mounted on the other end (horizontal arm).
  • Type B Cross the body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infant supplies in the state that the arm (arm) deployed in the feeding positio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m to be fixed on the infant supplies and extend the arm
  • the baby bottle fixing unit can be mounted on the point (horizontal rock) facing the infant's face from the rod.
  • the arm is inse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infant on the front of the infant's body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on the infant supplies in the deployed state to the feeding position and the bottle on the other end It means that the fixed portion is made of one selected from the configuration to be mounted.
  •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arm (arm) is one of the combination of rotary folding type, large contact folding type, slide folding type, bellows folding type, articulated rotating folding type, retractable folding type, cobra folding type
  • at least two or more structures may be formed in parallel.
  • the binding device to achieve this is further configured.
  •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see description below
  • the baby bottle fixing part is mounted on the point located in front of the infant's face from the rod.
  • One end of the arm is fixed on the speech and the other end of the ar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nfant's hip is seated on the selected component on the infant article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body of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Corresponds to the selected one of the additionally mounted configuration.
  • the baby bottle fixing part (1-1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aby bottle fixing part (1-1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eeding bottle fixing means (10-2), feeding bottle fixing means tilt control means (10-5), feeding bottle fixing means (10-6), feeding bottle fixing means horizontal rotation means (10-7), feeding bottle fixing means Means 10-8, the bottle fixing means height adjustment means 10-9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components.
  • the bottle holding means tilt adjusting means (10-5) is a component for chang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bottle holder (10-1).
  • the bottle holding means tilt control means (10-5) is an embodiment of the bottle holding means tilt control means (10-5)
  • the bottle holder fixing means 10-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ttle holder 10-1 as the bottle holder 10-1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arm 20-2 is the horizontal arm 20-2. It is shown that 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threaded coupling means in a state of being fitted in a groove formed on the end of the.
  •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bottle holding means tilt adjustment means (10-5) is an embodiment of the form in which the bottle holder 10-1 is connected horizontally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horizontal arm (20-2) 1) Short-circuit-coupled configuration using a screw-type fitt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ottle holder 10-1 and the horizontal arm 20-2, which are separated and manufactured through an independent proces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lected component of the arm 20-2 or the bottle holder 10-1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is short-circuited while being fit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other component.
  • the horizontal arm 20-2 and the bottle holder 10-1 may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a horizontal structure 20-2 and a bottle holder 10-1 are manufactured by retracting structures of inner and outer cylinders, respectively. .
  • tilt control means (10-5) is divided into two horizontal arm (20-2) as shown in Figure 3 and the rotary fastening arm (10-5) sandwiched therebetween Ways can also be included in preferred embodiments.
  • FIGS. 4 and 5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FIGS. 4 and 5.
  • the bottle fixing means horizontal rotating means (10-7) is a component for changing the horizontal angle of the bottle holder (10-1).
  • FIG. 4 shows an embodiment constructed by short-acting the bottle holder and the horizontal arm using the threaded connection means 10-11.
  • FIG. 5 shows the shape of the bottle holder 10-1 freely rotating through the bottle fixing means horizontal rotating means 10-7 as the progress of the arrow. It shows an embodiment configured by short-circuit coupling the bottle holder and the horizontal arm.
  •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It is a connecting device for coupling so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bottle holder and the horizontal arm.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horizontal rotating means (10-7) of the configuration allows the baby bottle to move togeth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of the head when the baby's head moves from side to side during feeding, so that the nipple is displac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infant during feeding.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bottle holder (10-1) and the bottle holder fixing means (10-2) vertical angle control function, horizontal rotation function to the bottle holder (10-2) In this case, it is a component that can be usefully used when additionally providing forward and backward functions.
  •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is a componen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addressed to the bottom of the bottle holder (10-1) selected from the bottle holder (10-2) integrally or assembled. It can be made in one configuration.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6), one end of the speech on the bottom of the bottle holder (10-1) and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arm (20-2) or the bottle fixing means (10-2) Speech on the subject see FIGS. 1 and 5).
  • the speech method can be freely selected from the short-circuit coupling method and the one-piece coupling method.
  • ⁇ short-circuit coupling method to speak two or more components in a separated form without mutual bonding.
  • ⁇ integral coupling Method: Jo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gether, or connecting them together by making them integrally during molding.
  • the short-circuit coupling method is to enable the bottle fixing means fixed shaft (10-6) can operate in a variety of directions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give a different operating function to the bottle holder (10-1) is a preferred configuration (For details on the operation function, refer to the bottle holder tilt adjustment function, bottle holder horizontal rotation function, bottle holder forward and backward function, etc.)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2) is a component that can be added if you want to give a variety of functions on the baby bottle fixing portion (1-10) as the pedestal of the bottle holder (10-1).
  •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2) is located on the space of the back of the bottle holder (10-1) in more detail connection of the bottle holder (10-1) and the horizontal arm (20-2) It is formed between the section or the bottle fixing means fixed axis and the horizontal arm.
  • the bottle holding means holder (10-2) is to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tilt adjustment function, horizontal rotation function, forward and backward function, etc. in the bottle holder as shown in Figure 6 Since the structure may be somewhat complicated, it may be more advantageous in the process to manufacture through an independent process to connect with the horizontal arm 20-2. However, by changing a part of the horizontal arm 20-2 may be manufactured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in this case,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2 may be deleted.
  • Figure 6 A, B, C is a bottle fixing means horizontal rotation means (10-7), bottle fixing means forward and backward means (10-8) mounted bottle fixing means fixing stand (10-) 2) is shown. That is, when i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Figure 6 is a rail 10-3 is formed on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2 and the spacer 10-10 is added on the rail (10-3). The baby bottle holder 10-1 in which the baby bottle holder 10-1 having the formed configuration is engaged with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is short-circuited on the rod of the rail 10-3. And this explains that the bottle holder (10-2) can have a horizontal rotation function, forward and backward functions.
  • the spacing composition 10-10 is a spacing composition means configured to extend the rear end of the bottle holder (10-1).
  • This separation composition (10-10) provides a provision for expand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baby bottle fixing section (1-10) and the infant so that the infant does not hit the baby bottle fixing section (1-10) during the collision of the bottle and the infant.
  • FIG. 6A shows that the bottle holder 10-1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operating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by the force P applied from the front.
  • FIG. C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cking means 10-3-1 and the restoring means 10-3-1-1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rail 10-3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 the locking means (10-3-1) is a function to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fixed shaft (10-6) step by step within a certain period, which is somewhat more than the case of A and B described abov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strong force is required, the overall function can be regarded as the same.
  • the locking means 10-3-1 after the movement of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by applying a restoring force to the locking means 10-3-1 of the restoring means 10-3-1-1.
  • a spring is shown.
  • the leftmost part of C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10-2 and the baby bottle holder 10-1 are connected as the baby bottle fixing means fixing shaft 10-6 is deleted.
  • a height adjustment means (10-9) of the bottle fixing means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shaft (20-9-1), a fixing means (20-9-2), the inlet space (20-9-3) as a component Is shown.
  • Fig. 7A shows the feeding bottle feeding apparatus in which the feeding bottle fixing means height adjusting means 10-9 is deleted.
  • B and C show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bottle fixing means height adjusting means (10-9) according to the present configuration.
  • the height adjusting shaft 20-9-1 is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le holder 10-1 and extending outwardly, and having an entrance space formed on the bottle fixing means fixing stand 10-2. 20-9-3) is short-circui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ttle through the operation of drawing in and out of the space.
  • the height adjustment shaft (20-9-1) is fixed at a height set by the fixing means 20-9-2 after the height is set.
  • Female part (1-20) is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vertical tilt adjusting means (20-1-1), arm foldable means (20-8).
  • Fig. 8 shows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vertical tilt adjusting means 20-1-1.
  •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vertical tilt control means (20-1-1) has a function to rotate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1) in a vertical direction coupled to the baby supplies feeding bottle feeding aid during lactation ( It is a component to adjust the vertical tilt of 1) or to keep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close to the baby supplies after feeding.
  • FIGS. 8A and 8B show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vertical tilt adjusting device 20-1-1 using a screw-coupling means, which is a short-circuit coupling mea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ng the screw-coupling means. It is shown that 10 can be developed at different angles.
  • A is a bottle feeding aid that is deploy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e ground, and B at an angle of 45 degrees to the ground.
  • Fig. 9 shows the arm fold-out means 20-8, which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rotary connecting means is used as the means for extending the horizontal arm and the vertical arm.
  • threaded connection means can also be included in the preferred examples.
  • the arm foldable means (20-8) allow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ms to fold when stored after feeding,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to facilitate storage and impart an aesthetic appearance.
  • Element. A, B, and C of FIG. 8 are embodiments showing such a folding process.
  • the anti-injury auxiliary arm 20-3 is an enlarged structure of the outer cylinder and short-circuited o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arm 20-2 by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bottle fixing means forward and backward means 10-8.
  • the injury prevention auxiliary arm (20-3) is backed by using the space inside the outer cylinder to prevent the injury of the infant. .
  • the inn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forms a polygon.
  • FIG. 10 shows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in which the horizontal arm 20-2 and the bottle holder 10-1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n the case shown in FIG. 1) If the present configuration is to be applied to the feeding and feeding aid 1 of Figs. 8 and 14, the horizontal arm 20-2 of Figs. By constructing it to bend, this can be easily realized (not shown).
  • the injury prevention auxiliary arm (20-3) is to expand the function of the bottle holding means forward and backward means (10-8)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
  • the distance that the bottle holder 10-1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FIG. 6 i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he spaced apart composition 10-10 and the rail 10-3.
  •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composition (10-10) and the rail (10-3) is extended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bottle fixing portion (1-10) to which the two components belong to the entire bottle feeding aid (1)
  • the volume of is also increased so that it can not be seen as a preferred configuration.
  • the length thereof is similar to that of the horizontal arm 20-2, and thus the bottle holder ( 10-1) the forward and backward distances can also be extended to a rang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arm (10-2) and the volume increase of the entire bottle feeding aid (1) does not occur.
  • the separation between the infant and the baby bottle fixing station (1-10) during the collision can be a very preferred embodiment because it allows the infant to be more securely protected from impact.
  • this configuration provides the baby bottle feeding aid (1) can be mounted on a longer distance from the infant seated in a feeding position to provide an advantag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safety of the infant.
  • the bottle feeding aid height adjustment means (20-5) is a component that changes the height of the bottle feeding aid (1)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arm (20-1).
  • the bottle feeding aid height adjustment means (20-5) is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vertical arm (20-1) and the height adjustment arm 20 of the structure short-circuited with the outer cylinder (20-11) on the space.
  • -5-1 / inner cylinder)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 B is an enlarged view of A.
  • Feeding bottle feeding aid height adjustment means (20-5) of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height of the bottle can be adjusted to fit the sitting height of the infant seated in the feeding position.
  •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horizontal rotating means 20-6 configured as the rotary short-circuit coupling means is shown.
  • the bottle feeding aid horizontal rotating means (20-6) is to bind the two members formed by dividing the selected point on the vertical arm (20-2) horizontally in a short-circuit state using a rotatable binding means in the outer semicircle section It is configured to enable horizontal rotation in the.
  • Inner semicircle Space located between the horizontal arm (20-2) and a seated infant.
  • Outer semicircle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emicircle. Dividing: One member divided into two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x.
  • the bottle feeding aid horizontal rotating means (20-6) is to prevent the injury of the infant by rotating the bottle feeding aid (1) naturally in the impact progression direction when the infant hits the bottle or horizontal arm (20-2). It provides an advantage.
  • the bottle feeding aid of any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Figures 1 to 12 can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accordingly.
  • Fig. 13 shows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device case / 2 that is a container that houses all or a part of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of all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 FIG. 13A is a component of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 the storage container 2-1, the binding means 2-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3 are shown.
  • B, C, and D show a process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device 1 is housed inside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 the storage container (2-1) is a container for embedding the bottle feeding aid (1),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and part of the component that can embed the entire component of the bottle feeding aid (1) It can be made through a selected one of the configuration can be.
  • the binding means (2-2) is a means for binding the bottle feeding and support device (1) and the hydraulic container (2-1) can be used both intermittent binding means or rotary binding means.
  • another binding means may be additionally required to erect the feeding and feeding aid 1 vertically in the receiving container 2-1.
  •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can be mounted at any position desired by the manufacturer, such as the front, side, back, deep parts of the baby products, as well as another feeding means storage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It can also be installed latent so that it is built in.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baby feeding device storage means (case / 2) can be freely changed to a synthetic resin molding material, fabric material, leather material, wood, iron material, laminated fabric material and the like.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3) is a component that closes the opening of the storage container (2-1) and may be configured as a variety of materials, in particular, may be covered with the outer edge by using a fabric laminated filler. 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3 can be deleted if necessary.
  •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to increase the durability by preventing damage of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mounted on the infant supplies is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to the outside Not to be exposed to improve the apparent beauty as well as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the infant can be prevented when the infant collides with the bottle feeding aid (1).
  • the baby care fee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eeding means for feeding the baby feeding feeding device and the baby care feeding device and the baby feeding assisting device as the main component.
  •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which is the main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a female part (1-10) and a bottle feeding unit (1-20),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1)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baby product are combined; 2) The arm part (1-10), the bottle fixing part (1-20) and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of the said structure ( 1) and through the one selected from th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the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baby products as the main component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le feeding aid described above.)
  • the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by goods infant car safety seat, infant stroller, infant bed, infant mattress, infant carrier, infant hip ⁇ , infant carrying waist ⁇ , infant sofa, infant chair, infant auxiliary chair, infant nursing cushion , Baby shakers, beds, baby walkers, and feeding cradles.
  • infant car safety seat infant stroller, infant bed, infant mattress, infant carrier, infant hip ⁇ , infant carrying waist ⁇ , infant sofa, infant chair, infant auxiliary chair, infant nursing cushion , Baby shakers, beds, baby walkers, and feeding cradles.
  • Infant carrying hips A simple carrier that consists of a waist belt worn on the mother's waist and a seating seat for an infant's hip, and a child assistive chair: A chair with a seat belt for keeping an infant independent at home or a restaurant)
  • the baby goods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baby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which is an engraved space that forms an opening at a predetermined point selected on the baby goods and toward the core of the baby goods main body.
  • the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4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space (4-1) as a main component, and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means (4-2)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4-3). have.
  • the binding means 4-2 is a component for fixing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n the storage space 4-1.
  • the bottle feeding aid includes both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and a configuration that is not.
  • CASE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 the storage space 4-1 may be freely configured at a desired position, such as the front, back, side, and deep parts of the baby grief, and may include all or a part of the baby feeding aid 1 in the space.
  • the bottle feeding aid includes both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and a configuration that is not.
  • the storage space (4-1) is to be embedded in the baby bottle feeding aid (1) inside the main body of the baby care supplies to protect the bottle feeding aid (1) to improve durability and provide ease of storage, as well as It prevents the injuries of infants and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infant products with a simple appearance.
  • the storage space (4-1)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4-3) for closing the opening, in this case,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is the interior of the baby article body Since it is lurking in the device can not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will increase the aesthetics of baby products.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3 may be coated with a surface containing a filler if necessary.
  • the binding means 4-2 is a means for fixing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n the receiving space 4-1.
  • Figure 14 shows the procedure of using the bottle feeding aid.
  • FIG. 15 shows an infant mattres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which is a kind of infant article equipped with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which is a kind of infant article equipped with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 they include a body fixing guard 5, a head fixing guard 6, and a mattress placing means 7 as additional components.
  • the torso fixing guard (5)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support function for preventing the infant seated in the feeding position to slide the body from side to side or sliding during feeding.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form of partially wrapp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fant's torso, the form of auditing the torso and the crotch at the same time, the inclined pedestal sandwiched between the crotch of the infant. In addition, it can be changed to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such as synthetic resin, rubber, textile, leather.
  • the head fixed guard 6 has a high jaw on both sides of the infant's head as shown a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support function for preventing the infant of low age from tilting from side to side in a seated position.
  • the pillow type of the formed structure can be mentioned as a preferable example. Infants use the bottle as a means of feeding, and during this period, infan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within 3 to 4 months after birth, cannot hold their heads and require a fixed head guard (6). Done.
  • the mattress placing means (7) is a component that can be conveniently pulled when you want to set up the infant mattress at the desired angle during feeding.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configurable as a hand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to an electronic driving device using an automatic gear device as necessary.
  • A is a baby mattress with a bottle feeding aid.
  • a is an embodiment equipped with a bottle feeding aid, the main component of the bottle fixing part, the female part, the binding means.
  • b is a baby feeding aid device includ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nd a baby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as a main component, mounted in a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infant mattress.
  • a baby feeding aid device includ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nd a baby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as a main component, mounted in a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on the front left side of the infant mattress.
  • c is an embodiment in which a bottle feeding aid including a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case (case), and an opening / clos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is mounted in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 B is a baby mattress with a side feeding device, with a feeding bottle, a female part and a bind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 a is an embodiment in which a baby feeding aid device hav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cobra type arm part and a bind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is mounted on a side of a baby mattress.
  • b is a baby feeding device includ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nd a baby feeding aid storage device (case / 2) as a main component, which is mounted in the baby feeding device storage space on the side of the infant mattress. Baby mattresses.
  • c is a state in which b is deployed to a feeding position.
  • C is a baby mattress with a bottle feeding aid mounted on the front bottom.
  • a is a baby feeding device includ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nd a baby feeding aid storage means (csae) as a main component, which is mounted in a baby feeding device storage space formed at the center of a lower part of a baby mattress.
  • a baby feeding aid storage means csae
  • b i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3) in the a.
  • D is an infant mattres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having an arch arm part.
  • a is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nclud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n active arm part), and a bind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fant mattress.
  • b is a state in which a is deployed to a feeding position.
  • c is a state in which the baby bottle 8 is mounted on b.
  • d is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by bottle fixing part which is a part of the baby feeding aid is embedded in the baby feeding aid storage case.
  • e and f are embodiments of an infant mattress having a female part (bow of deformation), a baby bottle fixing part, a binding means, and a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deformation).
  • E shows an infant mattress equipped with a latent feeding nursing aid.
  • a is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ttle feeding aid compris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nd a bind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is concealed in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formed transversely to a core of a baby mattress.
  • a bottle feeding aid comprising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nd a binding means as a main component is concealed in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formed transversely to a core of a baby mattress.
  • b is a state in which a is deployed to a feeding position.
  • Fig. 16 shows an infant mattress equipped with a back angle adjusting means 9, which is a component for erecting the back portion of the infant mattress at a desired angle.
  • A shows a baby mattress lying completely on the floor.
  • 17 is a detailed view of the infant feeding mattress C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by feeding ai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5, and further showing the side fixing body guard 5.
  • A is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infant mattress is a baby feeding aid consisting of a baby bottle fixing part, a female part, a binding means, a baby feeding aid storage means (csae) as a main component (4) The embodiment of the structure mounted in the inside is shown.
  • FIG. B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further included in a.
  • C is a side view of the infant mattress (C) equipped with a bottle feeding aid at the bottom front
  •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comprising a female part (1-20), bottle fixing part (1-1), binding means, bottle feeding aid storage means (CASE / 2) as a main component (4) ), An infant mattres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which is mounted on an infant mattress including a torso fixing guard 5 and a head fixing guard 6 as a partial component.
  • D is a torso fixing guard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ain body band (5-1), detachable means (5-2),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5-3), the crotch support (5-4) of the main component ( 5) is shown.
  • the torso fixing guard 5 is a component used as a means for fixing the torso so that the torso of a nursing infant does not incline to the left or right of the mattress or slips forward.
  • the body fixing guard 5 may be manufactured using any desired components, such as fabric, plastic, leather.
  • the torso fixing guard (5) has a variety of forms, such as to wrap the body, to form a member to form a slant between the crotch, to wrap the crotch and waist at the same time, seat belt type across the shoulder, vest form, etc. It may be made in the form.
  • the torso band 5-1 is a means for wrapping and fixing the torso of an infant.
  • the detachable means (5-2) is a means for fixing the body band (5-1) on the mattress using a Velcro tape, rail (11-7) tape, buckle, hooks and the like.
  • the automatic winding device (5-3) ha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winding or unfolding the body band (5-1) can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rolled up when the user unfolds and released by the hand pulling operation. .
  • the crotch support part 5-4 is an inclined member sandwiched between the crotch of the infant and is a means for fixing the inclined member so that the infant does not slip in all directions.
  •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used as a preferred example.
  • 18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infant mattress.
  • A is for home use.
  • B is an infant mattress in which a plurality of infant mattresses ar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use in an infant nursery, a department store nursing room, or an in-house nursery facility.
  • Fig. 19 shows an arm type arm 1-20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20-12 and a locking hole 20-13 as a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feeding and feeding apparatus having an arm type arm.
  • Arm portion of this configuration is made as a combination of the outer cylinder formed with the engaging hole (20-13) and the inner cylinder form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0-12)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ttle feeding aid by pulling or pressing the outer cylinder. It is.
  • the infant bed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nfigured by mounting the above-described infant feeding mattress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ssisting device on the infant bed.
  • the configur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frame constituting the bed may be included in this configuration.
  • A is a normal baby car safety seat.
  • B is a child car safety seat of the configuration that i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1) on the outer edge of the safety guard.
  •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having an arm composed of one member.
  • C is a baby car safety seat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1) is built on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safety guard.
  • it is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having a cobra type cancer.
  • D is a baby car safety seat of the configuration that i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support device (1) on the side of the baby car safety seat.
  • a folding bottle feeding and assisting device 1 having an arm composed of two or more members.
  • A is a normal baby carriage.
  • B is a baby carriage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device 1 is mounted on the feeding bottle storage space formed on the safety guard.
  • C is a baby carriag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lding bottle feeding and assisting device 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by carriage.
  • D is a baby carriage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by bottle feeding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on the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stroller handle.
  • the baby bottle feeding assistance device 1 is mounted on the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stroller handle.
  • it is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having a cobra type cancer.
  • a baby carriage having a structure having an arm part (an active arm part) which crosses the front of a baby carriage. (Not shown)
  • the arm part (active arm part) can be stored by moving to the back of the baby carriage.
  • Baby carrier is a baby article of the configuration newly propos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Details on this will be explained later.)
  • A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er, and shows a baby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by feeding aid is mounted in the baby feeding aid storage space 4 installed on the seating seat side of the baby carrier.
  •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is concealed in the feeding bottle storage space 4.
  • B shows an infant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eeding and feeding aid 1 having a vertical cancer part in front of the infant carrier is mounted using a binding means.
  • the feeding and feeding aid 1 having a vertical cancer part in front of the infant carrier is mounted using a binding means.
  • it is a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configured to be deployed at a regular feeding position.
  • FIG. C shows an infant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is mounted in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installed on the seating sheet front surface of the baby carrier.
  •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is concealed in the feeding bottle storage space 4.
  • Feeding cradle is made through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seating basket 30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aid (1) as a main component as a baby article newly pres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eding cradle may be configur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wheels, which are the moving means 31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basket for convenient movement.
  • the seating basket 30 is one of th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backrest angle control means (not shown) that can be set up at a predetermined angle or a backrest portion which is part of the bottom surface is set at a predetermined angle. It can be done through.
  • A is a feeding cradle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having an arm portion (an active arm part) across the seating basket 30, the left side of which is configured to have the moving means 31 removed, and the right side of which comprises the moving means 31.
  • An embodiment of the is shown.
  • B is a feeding cradle in which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1 is mounted inside the feeding bottle storage means 4 formed on the safety guard, the left side of the feeding means 31 is deleted, and the right side moves.
  •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means 31 is shown.
  • a baby sofa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folding bottle feeding aid 1 is mounted on a side of a sofa is shown.
  • the bottle feeding aid is mounted on the front, back, and core of the sofa, and the bottle feeding aid is configured on the top of the back of the sofa. It can also be stored over the back of the sofa during non-feeding.
  • FIG. 26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arm portions 1-20 of the baby feeding aid 1.
  • the female part of the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non-foldable type, and synthetic resin molding, wood molding, metal molding, metal sand bending, etc., which are formed as one member, may be included as a preferred embodiment. .
  • FIG. 27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ottle holder, and more specifically, constitutes one bottle holder completed by the combination of two member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a bottle is mounted between the two members.
  •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le to be mounted by the action of the pressure member (spring / 10-1-2) installed on the end, thereby chang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pressure member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bottle to be mounted.
  • a bottl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standard bottle.
  • FIGS. 1-27 were demonstrated.
  •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ating seat 40, the front safety guard 42, shoulder shoulder strap 41 as a main component.
  •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side safety guard 43, the rear safety guard 44 as additional components as necessary for the configuration and the If the rear safety guard and the side safety guard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replaced by the vest safety guard 45.
  •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feeding bottle supplement device as an additional component.
  • the seating sheet 40 is a component for seating a hip of an infant as a main component of a baby carrier.
  • the front safety guard 42 is a three-dimensional planar member that wraps around the abdomen of the infant to prevent the front fall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ing seat 40 at the edge of the seating seat front. It consists of two through-holes in which the two legs of the standing and infant can be fitted.
  • the shoulder shoulder strap 41 is a component for binding the baby carrier to the mother carrier.
  • the shoulder dog strap 41 is to prevent the inclination in any direction including the left, right, front, r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baby carrier is bound to the mother to bala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by carrier I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and is usually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body is fixed through the shoulder and back of the mother and the one end of the two shoulder shoulder straps 41 is the left (or right) of the front of the carrier body
  • a binding means configured to bind the two shoulder braids to reach a single coupling point from the back of the mother.
  • the lateral safety guard 43 is a component that is placed on both side edges of the seating seat as a three-dimensional planar member that surrounds both waist areas in order to prevent lateral fall of the infant from the seating seat 40.
  • the front safety guard and the side safety guard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can be replaced by the front side safety guard configured by integrating each of the components. That is, the front side safety guard is the front of the seating seat And a component that simultaneously wraps the side as one member.
  • the rear safety guard 44 is a component that is placed in the rear edge of the seating seat as a three-dimensional planar member surrounding the back portion to prevent the rear fall of the infant from the seating seat 40.
  • the side rear safety guard is the side of the seat seat It is a component that encloses both the back and the rear as a member at the same time.
  • the vest safety guard 45 The vest safety guard 45
  • the front end of the vest is addressed on the front edge of the seating seat or on the upper edge of the front safety guard. The end is the component that is spoken on the rear edge of the seating seat.
  • the belt-shaped safety guard (not shown)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traps, one end of each of the straps on the front safety guard extends to the back of the infant in the state of speech and seating, the other end i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rear edge of the infant carrier A component that is addressed in the form of ll or X. This may replace the vest safety guard 44-1.
  • the front side safety guard (not shown) is a three-dimensional planar member which simultaneously wraps the abdomen and waist of the infant in order to prevent the infant's anterior fall from the seating seat 40. There is only one member at the edge.
  • the side rear safety guard (not shown) is a three-dimensional face member which simultaneously wraps the waist and the back of the infant to prevent the infant's lateral rear fall from the seating seat 40. It is a member which is entered as one member at the edge.
  • all the guards including the seating sheet 40 may be composed of a resin foam molding or a resin foam particle molding, the surface of the resin foam molding or resin foam particle molding is a fabric coating, leather coating, fiber locking The method may be coated through any of the selected methods.
  • the main body of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 particles may be used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esin foam.
  • the resin foam (resin foam and resin foam particles) includes both a single color or mixed color.
  • the resin foam may be coated by the outer edge of the cloth coating, resin film coating, fiber locking coating method as needed.
  • the water support charge for preparing the resin foam includes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S (polystyrene) as a preferred example.
  • the resin foamed particles include EPP (EXPENDED-PP BEADS), EPE (EXPENDED-PE BEADS), and EPS (EXPENDED-PS BEADS).
  • EPP EXPENDED-PP BEADS
  • EPE EXPENDED-PE BEADS
  • EPS EXPENDED-PS BEAD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ed particles manufactured by using a raw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raw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synthetic resin, synthetic elastomers, and rubber resins as additional raw materials. It may include all.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S polystyrene
  • urethane adhesive epoxy adhesive, etc. can be easily used as an adhesive.
  • the resin foam particles are manufactured by injecting (EXPENDED BEADS) foaming gas (GAS) filled with a particulate water support material into a hot water tank and heat-foaming them. It can be used as an aesthetic factor in manufacturing.
  • a predetermined amount is put into a molding mold of the type to be prepared for the water support fee or EPP, EPE, and the opening is closed and the molding is performed.
  • the mold may be manufactured as a seating seat, a front safety guard art, a lateral safety guard, a rear safety guard, or the like by heating and expanding the mold to a vapor pressure of about 1.5 to 4 cm / kgf.
  • the water support material or the resin foam particles of 1) to 5) is composed of a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colors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manufactured by heat compress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 the main body of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 particles may be used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esin foam.
  • the resin foam (resin foam and resin foam particles) includes both a single color or mixed color.
  • the resin foam may be coated by the outer edge of the cloth coating, resin film coating, fiber locking coating method as needed.
  • the water support charge for preparing the resin foam includes PP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S (polystyrene) as a preferred example.
  • the resin foamed particles include EPP (EXPENDED-PP BEADS), EPE (EXPENDED-PE BEADS), and EPS (EXPENDED-PS BEADS).
  • EPP EXPENDED-PP BEADS
  • EPE EXPENDED-PE BEADS
  • EPS EXPENDED-PS BEADS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resin foam and the resin foamed particles manufactured by using a raw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raw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 least one synthetic resin, synthetic elastomers, and rubber resins as additional raw materials. It may include all.
  • PP polypropylene
  • PE polyethylene
  • PS polystyrene
  • urethane adhesive epoxy adhesive, etc. can be easily used as an adhesive.
  • the resin foam particles are manufactured by injecting (EXPENDED BEADS) foamed gas (GAS) -filled particulate water support material into a hot water bath and heat-foaming them. It can be used as an aesthetic factor in manufacturing.
  • a predetermined amount is put into a molding mold of the type to be prepared for the water support fee or EPP, EPE, and the opening is closed and the molding is performed.
  • the mold may be manufactured as a seating seat, a front safety guard art, a lateral safety guard, a rear safety guard, or the like by heating and expanding the mold to a vapor pressure of about 1.5 to 4 cm / kgf.
  • the water support material or the resin foam particles of 1) to 5) is composed of a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colors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manufactured by heat compression molding or compression molding.
  • A i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 40, the front safety guard 42, the rear safety guard 44.
  • B is an infant carrier having a seating seat 40, a front safety guard 42, a side safety guard 43, a rear safety guard 44, a baby feeding aid 1 as a main component,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ow-shaped arm 20-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rear safety guard 44 of the baby carrier is shown.
  • Figure 29 is a side view of the baby carrier equipped with the baby feeding aid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0 shows a baby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is formed behind the seating sheet 40. As shown in Figs.
  • FIG. 3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41-1 of the shoulder tow strap 4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sheet 40.
  • the fastening means forms an opening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sheet 40.
  • FIG. 3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41-1 of the shoulder tow strap 4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sheet 40.
  • the fastening means forms an opening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sheet 40.
  • FIG. 32 shows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dditional anti-overturning support 46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infant carrier such that the infant carrier is not overturned rearward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ground.
  • A shows a baby carrier comprising a seating seat 40, shoulder strap 41, front safety guard 42 as a component.
  • B shows a baby carrier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 40, shoulder strap 41, front safety guard 42, vest safety guard 45.
  • FIG. 34 shows a baby carrier i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 40, a shoulder tow 41, a front safety guard 42, a vest safety guard 45 and a feeding bottle support device 1.
  • A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ating sheet 40.
  • B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is mounted using a binding device on the front of the seating sheet 40.
  • C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bottle feeding aid device 1 is mounted in the bottle feeding aid storage space 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ing sheet 40.
  • 35 is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er manufactured by using two or more resin foam beads.
  •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1 as a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reely installed at any position including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baby carrier.
  • the baby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ing a shade device for screening sunlight.
  • the infant supplies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far infrared radiation device, phytoncide spraying device, voice reproducing device as a componen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health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during feeding It may also be through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comprises the element as needed.
  • the baby care product is equipped with a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 or on a predetermined section selected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esla tape, artificial jewelry, hot fix (HOT FIX), sequins to enhance the aesthetic elements It can also be produced through bonded construction.
  • a baby feed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r or on a predetermined section selected one or more components selected from Tesla tape, artificial jewelry, hot fix (HOT FIX), sequins to enhance the aesthetic elements It can also be produced through bonded construction.
  • the feeding bottle assisting device is a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of milk which may occur when the nipple is separated from the oral cavity of the infant during feeding. It is also possible to use milk configured to discharge out of the nipple only when the nipple is bitten and pressurized (eg vivi nipple).
  • the feeding and fee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feeding device for pets and patients.
  • the baby care product equipped with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as a toy for children by reducing the shape of the bab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ety of infant supplies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product in the nursing process of the infant, and is prepared by mounting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and the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which is a means for mounting the feeding bottle when the infant formula or baby food feeding on the infant supplies It is available in the field of baby products equipped with a feeding bottle feed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유아 양육 중 보호자의 도움이 없이도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의 착안으로서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 된 유아의 안면과 젖병의 젖꼭지가 소정의 이격을 이루며 마주보도록 공간상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그 상태가 고정도록 하는 수단이 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본 발명은 유아의 양육과정에서 보조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아용품 상에 분유 또는 이유식 수유시 젖병을 장착시키는 수단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시켜 제조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제식을 수유받거나 또는 모유를 수유받는 경우에도 젖병을 사용하여 수유하는 경우 그 수유작업이 수유자의 손을 빌리지 않거나 또는 수유자가 공간이동 상황이거나 또는 일상의 작업들을 영위하는 상태에서도 어떠한 제약도 없이 매우 용이하게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수단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유아용품 포함하는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스텐드형으로서
이러한 공지의 이동형의 젖병수유보조장치는 수유시 유아와 함께 동반이동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독립체로서 보관에 일정 공간을 점유 및 외부노출에 따른 미관상의 저해요소로 작용 상시 노출되어 있음에 따른 파손의 위험 등 다양한 관리 상의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용케리어, 유아용힙쌕, 유아운반용허리쌕, 유아용소파, 유아용의자, 유아용보조의자, 유아용수유쿠션,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 유아용유모차, 유아용침대, 유아용흔들이침대, 유아용보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조적으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연설되지 않은 종래 구성의 유아용케리어, 유아용소파, 유아용소파, 유아용수유전용쿠션, 유아용침대, 유아용안전시트, 유아용보조의자, 유아용유모차를 예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기술 상에는 유아의 수유를 돕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제공되고 있지 않아 수유시 수유자의 활동의 제약, 인체상의 통증, 시간활용에 따른 제약, 공간이동의 제약 등 많은 불편을 야기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양육과정에서 매일 반복되는 장시간의 수유활동으로 인해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착안된 것으로 수유 중 모체가 억압되므로써 겪게되는 시간활용의 제약, 이동의 제약, 고정된 수유자세로 인한 다양한 신테부위의 통증 등이 해소될 수 있도록 설계된 수단을 유아용품 상에 결합시킨 새로운 구성의 유아용품을 제공하므로써 모체가 출산이전에 영위하였던 일상의 생활패턴이 변경 없이 영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에, 전술된 과제의 실현을 위한 본 발명은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 된 유아의 안면과 젖병의 젖꼭지가 소정의 이격을 이루며 마주보도록 공간상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그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 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모체의 출산전 라이프스타일이 변함 없이 영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모체가 고정된 수유자세로 억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어깨통증, 등통증, 다리통증, 허리통증 등을 포함하는 모든 신체적통증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수면 시간 중 수유에 따른 모체의 수면부족으로 인한 가사활동능력저하, 업무수행행능력저하, 정신적 피로감 등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인 경우 운행 중 수유가 필요한 경우 모체의 도움이 없이도 독립적으로 수유가 가능하므로 안전벨트의 해제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모체와 유아 둘 만 운행하는 경우 수유를 위하여 자동차의 운행을 중지하여야만 하는 불편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유모차 또는 유아용케리어인 경우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 상에 젖병을 장착하고 유아용품 상에 유아를 그대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유할 수 있으므로 유아와 동반외출 한 경우에도 수유가 매우 편리해지며 모체가 자유로으므로 식사하기, 차마시기, 전화받기, 대화하기, 쇼핑하기 등 외출시 행해지는 모든 일상활동이 제한받지 않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유모차에 유아를 안착시켜 도보로 이동하는 중에도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 상에 젖병을 장착시켜 수유할 수 있으므로 수유를 위하여 특정한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지출의 절감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유아용매트리스(또는 유아용침대)인 경우 유아용매트리스 상에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에 젖병을 장착하고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그대로 수유할 수 있으므로 모체의 신체움직임이 제약을 받지 않아 수유 시간 중 업무, 가사, 취미활동 등이 가능함은 물론 신체통증의 유발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수면시간 중 수유로 인한 모체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아 수면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상기 스트레스로 인한 체력저하, 업무능력저하, 가사활동능력저하, 건강저하 등의 다양한 손실이 예방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유아용소파(또는 의자)인 경우 유아용소파 상에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에 젖병을 장착하고 유아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대로 수유할 수 있으므로 모체의 신체움직임이 자유로워지므로 업무, 가사, 취미활동 등이 가능함은 물론 신체통증의 유발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하며 소파(또는 의자)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모체의 시야 내에 있도록 하므로써 유아의 안전을 시각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일(업무, 가사, 취미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특히, 유모차인 경우 유모차 상에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에 젖병을 장착하고 유아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그대로 수유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로 이동 중에도 수유를 위하여 특정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모체의 도움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모체의 활동이 자유로워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가 각 유아용품 상에 장착되어 있어 수유시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이동시켜 사용하여야만 하는 불편을 해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품 상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장치가 외관상 드러나지 않아 외관의 심플함이 유지되는 것은 물론 젖병수유보조장치의 내구성을 높이고 유아의 부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유아용품 상에 잠복시켜 보관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영유아가 성장하여 젖병수유보조장치를 통한 수유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은 경우에도 유아용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 상의 모든 구성요소가 엄마의 손동작(mom's hansd)과 유사하게 동작되도록 구성되므로 수유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젖병고정부(1-10), 암부(arm/1-20), 뭔가하나의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2는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3은 수평암 상에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4는 나사형연결수단(10-11)을 사용하여 젖병홀더와 수평암을 단락결합시키므로써 구성된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5는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을 사용하여 젖병홀더와 수평암을 단락결합시키므로써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은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를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7은 높낮이조절축(20-9-1), 고정수단(20-9-2), 인입공간(20-9-3)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10-9)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8은 젖병수유보조장치수직기울기조절수단(20-1-1)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9는 암부접철수단(20-8)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암과 수직암의 연설수단으로서 회전식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10은 외통(20-10),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 걸림수단(20-3-1)을 포함하는 구성의 수평암(20-2)을 구성요소로 하는 부상방지보조암(20-3)이 장착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11은 외통(20-11), 높낮이조절암(20-5-1/=내통), 높낮이조절암고정수단(20-5-2)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수직암(20-1)을 구성요소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12는 회전형 단락결합수단으로써 구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20-6)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13은 상기 전술된 모든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전체 또는 일부를 내장시키는 용기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실시예이다.
도14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사용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16은 등받이각도조절수단(9)이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17은 도15를 통해 전술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전면 하단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C)'의 상세도로서 측면도와 몸통부고정가아드(5)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도18은 유아용매트리스의 사용도이다.
도19는 활형의 암부(1-20)를 갖는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20 <유아용침대> 실시예.
도21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 실시예.
도22 <유모차> 실시예.
도23 <유아용케리어> 실시예.
도24 <수유요람> 실시예.
도25 <유아용 소파> 실시예.
도26은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암부(1-2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젖병홀더의 변경 실시예이다.
도28의 A는 안착시트(40), 전방안전가아드(42), 후방안전가아드(44)를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이다.
B는 안착시트(40), 전방안전가아드(42), 측방안전가아드(43), 후방안전가아드(44),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로서 특히, 활형의 암부(20-1)가 유아용케리어의 후방안전가아드(44)의 측면에 장착된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된 유아용케리어의 측면도이다.
도30은 안착시트(40) 후방에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를 형성시킨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31은 안착시트(40) 저면에 어깨용견인끈(41)의 결속수단(41-1)을 형성시킨 구성의 실시예이다.
도32는 전복방지용지지대(46)를 포함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3은 안착시트(40), 어깨용견인끈(41), 전방안전가아드(42)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34는 안착시트(40), 어깨용견인끈(41), 전방안전가아드(42), 조끼형안전가아드(45)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포함하는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35는 둘 이상의 색상의 수지발포비즈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유아용케리어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유아 양육 중 보호자의 도움이 없이도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의 착안으로서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 된 유아의 안면과 젖병의 젖꼭지가 소정의 이격을 이루며 마주보도록 공간상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그 상태가 고정도록 하는 수단이 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젖꼭지를 제외한 젖병 본체의 전체 또는 부분을 감싸거나 또는 젖병과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젖병 상에 추가 구성시킨 구성요소인 결속수단에 결속시키므로써 젖병을 고정하는 젖병고정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방형부재를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며 180도 미만의 내각의 실현이 가능한 절곡형(折曲形) 또는 가절곡형(可折曲形)의 부재로서 상기 절곡형 또는 가절곡형의 부재가 갖는 두 개의 단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가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지점(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을 위해 구성시킨 추가의 구성요소)과 연설 및 상기 연설될 일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의 연장부(또는 연설될 양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의 연장부)가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상태의 유아의 정면 상에 위치한 공간상으로 연장되어 이어지되 반드시 유아의 안면의 정면에 위치한 공간을 지나도록 구성 및 상기 유아 안면의 정면을 지나는 로드 상에 젖병고정부를 연설시키는 구성의 암부(arm)와
상기 암부(arm)의 두 단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상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기 암부(arm)를 유아용품 (또는 유아용품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시킨 추가의 구성요소)상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을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에 관한 것이다.
(※수유자세:유아가 수유를 위하여 유아용품 상에 안착된 상태.
수유위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세움, 펼침 등의 작동을 통해 완전한 수유가능 상 태로 대기 중인 것)
아래로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도1을 참조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도시한 것이며 젖병고정부(1-10), 암부(arm/1-20)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주요구성요소인 젖병고정부(1-10)는 젖병고정수단(10-1)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으로 암부(arm/1-20) 상에 젖병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젖병의 몸체를 잡아주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젖병고정수단(10-1)은 1)수평암(20-2)의 일부를 원하는 형태의 젖병고정수단으로 변형시킨 형태 또는 2)독립된 공정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제작된 젖병고정수단을 수평암 상의 원하는 지점에 추가의 결속수단을 사용하여 결속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10-1)은 1)젖병본체의 전체 또는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구성 또는 2)젖병고정을 목적으로 젖병의 본체 상에 추가로 형성시킨 결합수단 그리고 그와 한 쌍을 이루는 결합수단이 상호결속되는 형태의 구성(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은 상기 '젖병본체의 전체 또는 부분을 감싸는 구성'의 실시예로서 본 도1 상에 도시된 형태인 젖병홀더(※이하, 1-10으로 표시함)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젖병고정부(10-1)의 주요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암부(ARM/1-20)의 주요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도1의 암부는 수평암(20-2)과 수직암(2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Figure PCTKR2014004195-appb-I000001
자형의 암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평암은 수유자세인 유아의 안면을 가로지르는 암으로서 선택된 위치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 수직암은 상기 수평암과 180도 미만의 내각을 이루는 상태로 절곡되어 유아용품 상에 고정되는 암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 및 '수직'이 반드시 지면과 대응하는 관계로서 해석되지는 않는다.
또, 상기 수평암(20-2)과 수직암(20-1)은 그들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형태에 따라 두 가지의 양태로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1)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하나의 부재로써 수평암과 수직암을 동시에 형성시킨 구성2)두 개의 장방형부재를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시킨 구성을 포함한다.
또, 상기 중 전자인 1)의 실시예로는 예컨데, 자바라형 부재, 코브라형 부재, 수지성형부재, 목재성형부재, 철사(wire)절곡부재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구성에서 수직암(20-1)과 수평암(20-2)의 구분은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수유위치로 완전히 전개시킨 상태에서 판단하게 되며 이 때, 수유자세인 유아의 안면 정면 상의 공간을 지나는 암의 로드 연장구간이 포함된 구간을 수평암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상기 구간을 제외한 암의 연장구간을 수직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유위치에서 상기 수직암(20-1)과 수평암(20-2)이 이루는 내각은 도1과 같이 반드시 직각상태를 이룰 필요는 없으며 최대 180도 미만을 이루는 것으로도 충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암부가 하나의 장방형 부재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부재의 형상은 원하는 내각을 이루도록 제조된 수지성형물, 목재조형물, 금속사(wire) 절곡조형물, 자바라형부재, 코브라형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상기 암부가 둘 이상의 장방형 부재의 결합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각 부재의 결합방식은 회전식접철형, 대면접철형, 슬라이드접철형, 인입식접철형, 관절식회전접철형의 결합형태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병합된 구성이거나 또는 회전식접철형, 대면접철형, 슬라이드접철형, 인입식접철형, 관절식회전접철형 중 선택된 하나와 자바라형, 코브라형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이 병합된 구성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전술된 도1의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암부를 가시적 실시예를 통해 다시 한 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Figure PCTKR2014004195-appb-I000002
(※상기 초록색표시 부분은 유아용품 상에 고정되는 단부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A형, B형, C형의 암부(arm)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방형 부재를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의 내용과 같다.
<A형, B형, C형의 구성이 하나의 장방형부재를 구성요소로 하는 경우>
A형)
*암부(arm/1-20)의 일측단부가 유아용품 상에 선택된 소정의 지점(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에 고정 및 타측단부(수평암/20-2) 상에 젖병고정부(1-1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도2의 A의 a, B의 a, E의 a, b)
B형)
암부(arm)가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암부의 양측단부가 유아용품 상에 고정 및 상기 암부 로드 상의 수유아의 구강의 위치와 마주보는 지점(수평암)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
(도2의 D의 a~f)
C형)
암부(arm)가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에 그 일측단부가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입설되며 그 타측단부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
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암부(arm)의 전체가 코브라형암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의 A형, B형, C형 단일체로 성형시킨 성형체, 금속사을 절곡시킨 구성 역시도 바람직한 예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 <A형, B형, C형의 구성이 둘 이상의 장방형부재를 구성요소로 하는 경우> 이는 둘 이상의 장방형부재가 결합되어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A형, B형, C형의 구성 중 하나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즉, A형)상기 암부(arm)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에서 유아용품 상에 선택된 소정의 지점(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상에 상기 암부의 일측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며 타측단부(수평암)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
B형)상기 암부(arm)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에서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상기 암부의 양측단부가 유아용품 상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암부를 연장하는 로드로부터 수유아의 안면과 마주보는 지점(수평암)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
C형)상기 암부(arm)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에서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에 유아의 안착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입설되며 그 타측단부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구성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암부(arm)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결합방식이 회전식접철형, 대면접철형, 슬라이드접철형, 자바라접철형, 관절식회전접철형, 인입식접철형, 코브라접철형의 결합형태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조가 병행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결합 완료된 암부(ARM)의 양측 단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상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유아용품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과 결속을 이루기 위한 결속장치가 추가 구성되게 된다.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하기 설명 참조)
상기를 다시 한 번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암부의 구성은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수유위치로 전개시킨 상태에서
1)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좌측, 우측, 정면, 두 다리 사이, 머리 위 중 선택된 하나의 지점에 위치하는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유아용품의 표면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에 암부의 일측단부가 연설 및 타측단부(수평암)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2)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 상에 위치한 공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암의 양측단부가 유아용품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각 각 연설 및 상기 암의 연장로드로부터 유아의 안면의 정면에 위치하는 지점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3)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 상에 위치하는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된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암의 일측단부가 연설 및 그 타측단부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해당된다.
이상, 도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젖병고정부(1-10)와 암부(1-20)의 주요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도2~도13을 통해 젖병고정부(1-10)와 암부(1-20)의 추가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주요구성요소인 젖병고정부(1-10)는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10-7),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10-8),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10-9)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2와 도3을 참조한다.
상기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은 젖병홀더(10-1)의 수직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2는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의 실시예로서 젖병홀더(10-1)가 수평암(20-2)과 직교하는 형태로서 젖병홀더(10-1)의 하단에 형성시킨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이 수평암(20-2)의 단부 상에 형성시킨 홈 내에 끼워진 상태로 나사형의 결합수단으로 상호결속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 나사형 결합방식이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의 단락상태를 유지시켜줌으로써 도면의 좌측 및 우측과 같이 젖병홀더(10-1)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내용 참조.※단락상태: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상호 접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상태로 결속되어 있음)
도3은 상기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젖병홀더(10-1)를 수평암(20-2)의 연장선 상에 수평으로 연결시킨 형태의 실시예로서 1)독립된 공정을 통해 분리제작된 젖병홀더(10-1)의 일측면과 수평암(20-2)의 일측면을 상호연접시킨 상태에서 나사형 걸합수단을 사용하여 단락결합시킨 구성 2)수평암(20-2) 또는 젖병홀더(10-1)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요소가 나머지 하나의 구성요소의 내측공간 상에 끼워진 상태로 단락결합시킨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후자는 그 예로서 수평암(20-2)과 젖병홀더(10-1)를 각 각 내통과 외통의 인입식구조로 제작하여 상호 결합시킨 구성을 그 바람직한 예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10-5)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3과 같이 수평암(20-2)을 이분할하고 그 사이에 회전식체결암(10-5)을 끼워 결합시키는 방식 역시 바람직한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한다.
상기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10-7)은 젖병홀더(10-1)의 수평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도4는 나사형연결수단(10-11)을 사용하여 젖병홀더와 수평암을 단락결합시키므로써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5는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10-7)을 통해 젖병홀더(10-1)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모양을 화살표의 진행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을 사용하여 젖병홀더와 수평암을 단락결합시키므로써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젖병고정수단고정축:젖병홀더와 수평암 간에 소정의 이격이 형성되도록 결합시키는 연결장치이다.)
상기 구성의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10-7)은 수유 중 아기의 머리가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머리의 움직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젖병이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주므로써 수유 중 젖꼭지가 유아의 구강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기 설명될 도6을 참조한다.)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은 젖병홀더(10-1)와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젖병홀더(10-2)에 수직각도조절기능, 수평회전기능, 전후진기능 등을 추가로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은 젖병홀더(10-1)의 저면에 연설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젖병홀더(10-2)와 일체형 또는 조립형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은 일측단부는 젖병홀더(10-1)의 저면에 연설 및 그 타측단부는 수평암(20-2) 또는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 상에 연설되게 된다(도1 및 도5 참조).
또, 상기 연설방식은 단락식결합방식과 일체식결합방식 중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단락식결합방식: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상호접합하지 않고 떨어져 있는 형태로 연설시키는 것. ※일체식결합방식:둘 이상의 구성요소를 상호접합하거나 또는 성형시 일체형으로 제조하므로써 서로 붙어있는 상태로 연결시키는 것.)
한편, 상기 단락식결합방식은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이 여러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줌으로써 결론적으로 젖병홀더(10-1)에 여러 동작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 있다.(동작기능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젖병홀더기울기조절기능, 젖병홀더수평회전기능, 젖병홀더전후진기능 등을 참조한다)
이하, 도6를 참조한다.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는 젖병홀더(10-1)의 받침대로서 젖병고정부(1-10) 상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는 젖병홀더(10-1)의 배면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홀더(10-1)와 수평암(20-2)의 연결구간 또는 젖병고정수단고정축과 수평암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 상기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는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젖병홀더에 기울기조절기능, 수평회전기능, 전후진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탑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해 질 수 있으므로 독립공정을 통해 제조하여 수평암(20-2)과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이 공정상 보다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평암(20-2)의 일부를 변경설계하므로써 상기한 기능들을 수행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가 삭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성의 실시예로서 도6의 A, B, C는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10-7),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10-8)이 탑재된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시예 도6은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 상에는 레일(10-3)이 조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10-3) 상에는 이격조성부(10-10)를 추가 형성시킨 구성의 젖병홀더(10-1)가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과 결합된 상태로 레일(10-3)의 로드 상에 단락고정되어 있는 젖병고정대(1-10)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로써 젖병홀더(10-2)가 수평회전기능, 전후진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해 주고 있다.
한편, 상기 이격조성부(10-10)는 젖병홀더(10-1)의 후미를 연장시켜 구성한 이격조성수단이다. 이러한 이격조성부(10-10)는 젖병과 유아의 충돌시 유아가 젖병고정부(1-10)에 부딪히지 않도록 젖병고정부(1-10)와 유아 간의 이격을 확대시키는 잠정을 제공한다.)
본 도6의 A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젖병홀더(10-1)가 정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힘(P)에 의해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을 작동시켜 전후진 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충격P가 가해지면 A의 우측 그림과 같이 젖병홀더가 후진하게 된다. 또, 충격이 해소되면 젖병홀더는 다시 전방향으로 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B는 상기한 구성에 따른 젖병홀더(10-1)가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힘(P)에 의해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을 작동시켜 좌우로 회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 충격이 해소되면 젖병홀더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C는 상기 구성에 따른 레일(10-3) 상에 걸림수단(10-3-1)과 복원수단(10-3-1-1)을 추가형성시킨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걸림수단(10-3-1)은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의 전후진을 일정구간 내에서 단계적로 이루어지도록 제재하는 기능을 하는데 다만, 이는 전술된 A 및 B의 경우보다 다소 강한 힘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상이함이 있으나 전체적인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복원수단(10-3-1-1)의 상기 걸림수단(10-3-1)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의 이동 후 걸림수단(10-3-1)이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그 예로서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C의 맨 좌측은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와 젖병홀더(10-1)가 젖병고정수단고정축(10-6)이 삭제된 구성으로서 연결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한다.
본 도7은 높낮이조절축(20-9-1), 고정수단(20-9-2), 인입공간(20-9-3)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10-9)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7의 A는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10-9)이 삭제된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B 및 C는 본 구성에 따라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10-9)을 포함하는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축(20-9-1)은 젖병홀더(10-1)의 저면으로부터 연설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서 젖병고정수단고정대(10-2) 상에 형성된 인입공간(20-9-3) 내에 단락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 상에 인입 및 인출되는 동작을 통해 젖병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축(20-9-1)은 높낮이가 설정된 후에는 고정수단(20-9-2)에 의해 설정된 높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상으로 젖병고정부(1-10)의 추가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암부(ARM/1-20) 상의 추가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부(1-20)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직기울기조절수단(20-1-1), 암부접철수단(20-8).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20-6), 부상방지보조암(20-3)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한다.
도8은 젖병수유보조장치수직기울기조절수단(20-1-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직기울기조절수단(20-1-1)은 유아용품 상에 결합된 상태의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수유 중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수직기울기를 조절하거나 수유 후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유아용품 상에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성요소이다.
본 도8의 A 및 B는 단락식결합수단인 나사식결속수단이 사용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직기울기조절수단(20-1-1)으로서 나사식결속수단을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젖병수유보조장치(10)가 각 각 상이한 각도로 전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는 지면과 90도 각도, B는 지면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상태로 전개되어 있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이다.
이하, 도9를 참조한다.
도9는 암부접철수단(20-8)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암과 수직암의 연설수단으로서 회전식연결수단이 사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나사식연결수단도 바람직한 예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암부접철수단(20-8)은 수유 후 보관시 수평암과 수직암을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해 주므로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 상의 심미성을 부여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도8의 A, B, C는 그러한 접철의 과정을 보여주는 실시예이다.
이하, 도10을 참조한다.
도10은 외통(20-10),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 걸림수단(20-3-1)을 포함하는 구성의 수평암(20-2)을 구성요소로 하는 부상방지보조암(20-3)이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부상방지보조암(20-3)은 전술된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10-8)의 기능을 확대한 것으로 수평암(20-2)의 내부에 형성시킨 공간 상에 외통과 단락된 구조의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이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에, 부상방지보조장(20-3)의 전면에서 충격(P)이 발생하는 경우 부상방지보조암(20-3)이 외통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후진하게 되어 유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과 외통(20-10)의 단부 상에 걸림수단(20-3-1)을 형성시켜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이 외통 밖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내통과 외통은 그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한다.
본 도10의 A는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이 외통(20-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충격이 발생되어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이 후진된 상태)
B는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이 외통의 밖으로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수유 중 또는 부상방지보조암(20-3/=내통)에 가해진 충격이 해소되어 복원된 상태) 그러나 본 도10은 수평암(20-2)과 젖병홀더(10-1)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1) 즉, 도15의 C와 같은 경우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에 적용되는 것으로 만일 도8, 도14의 젖병수유보조장치(1) 상에 본 구성을 적용하고자 하면 도8, 도14의 수평암(20-2)을 지면과 수평하는 U자형태로 휘어지도록 구성하므로써 이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미도시).
한편, 부상방지보조암(20-3)은 전술된 구성요소인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10-8)의 기능을 확대시킨 것이다.
예컨데, 전술된 도6에서 젖병홀더(10-1)가 전후진 할 수 있는 거리는 이격조성부(10-10)와 레일(10-3)의 길이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만일 전후진거리의 확대를 위하여 상기 이격조성부(10-10)와 레일(10-3)의 길이를 연장하게 되면 상기 두 구성요소가 속하는 젖병고정부(1-10)의 부피가 따라서 증가하게 되어 전체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부피 역시도 증가되게 되므로 이를 바람직한 구성으로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도10의 부상방지보조암(20-3)을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10-8)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길이가 수평암(20-2)의 길이와 유사하고 이에 젖병홀더(10-1)의 전후진 거리 역시 수평암(10-2)의 길이와 유사한 범위로 확대될 수 있으며 전체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부피증가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충돌시 유아와 젖병고정부(1-10) 간의 이격이 확대되어 유아가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해 주므로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은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수유자세로 안착상태인 유아로부터 더욱 먼 거리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유아의 안전을 더욱 강화시키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11을 참조한다.
본 도11은 외통(20-11), 높낮이조절암(20-5-1/=내통), 높낮이조절암고정수단(20-5-2)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수직암(20-1)을 구성요소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은 수직암(20-1)의 높낮이 변경을 통해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높낮이를 변경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은 수직암(20-1)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 및 상기 공간 상에 외통(20-11)과 단락된 구조의 높낮이조절암(20-5-1/=내통)이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암(20-5-1/=내통)과 외통(20-11)의 단부 상에 높낮이조절암고정수단(20-5-2)을 형성시켜 높낮이조절암(20-5-1/=내통)이 외통 밖으로 완전히 빠지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높낮이조절암(20-5-1/=내통)과 외통(20-11)은 그 단면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한다.
본 도11의 A는 외통(20-11)으로부터 높낮이조절암(20-5-1/=내통)이 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상기 A의 확대도이다.
본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20-5)은 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앉은키에 맞게 젖병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도 12를 참조한다.
본 도12는
상기 회전형 단락결합수단으로써 구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20-6)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20-6)은 수직암(20-2) 상의 선택된 지점을 수평 2분할하여 구성한 두 부재를 회전가능한 결속수단을 사용하여 단락상태로 상호 결속시키되 외측반원 구간 내에서 수평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된다.
(※내측반원:수평암(20-2)과 안착상태인 유아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 외측반원:내측반원과 대응하는 공간. 2분할:하나의 부재를 길이방향으로 두 개의 부재로 나누어 구성함.)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20-6)은 유아가 젖병이나 수평암(20-2)에 부딪히는 경우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자연스럽게 충격진행방향으로 회전시켜줌으로써 유아의 부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주요구성요소 그리고 젖병수유보조장치 의 추가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도1~도12의 설명에 따른 모든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는 그에 따른 추가의 구성으로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도13을 참조한다.
본 도13은 상기 전술된 모든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전체 또는 일부를 내장시키는 용기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도시하고 있다.
본 도13의 A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의 구성요소인 수납용기(2-1), 결속수단(2-2), 개폐수단(2-3)을 도시하고 있다.
B,C,D는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의 내부에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수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납용기(2-1)은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내장시키는 용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구성요소 전체를 내장시킬 수 있는 구성과 구성요소의 일부를 내장시킬 수 있는 구성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2-2)은 젖병수유보조장치(1)와 수압용기(2-1)를 결속하는 수단으로 단속형결속수단 또는 회전형결속수단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단속형결속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용용기(2-1)내에서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하여 또 다른 하나의 결속수단이 추가 요구될 수도 있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은 유아용품의 전면, 측면, 배면, 심부 등 제조자가 원하는 어떠한 위치라도 장착가능한 것은 물론 하기 설명될 또 다른 수납수단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내장되도록 잠복형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구성하는 소재는 합성수지성형재, 직물재, 가죽재, 목재, 철재, 충전재가 적층된 직물재 등으로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수단(2-3)은 수납용기(2-1)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구성요소이며 다양한 소재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충전재가 적층된 직물을 사용하여 그 외연을 피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폐수단(2-3)은 필요에 따라 삭제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은 유아용품 상에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것은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견상의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젖병수유보조장치(1)에 유아가 충돌하는 경우 유아를 부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단속수단:단순히 결합하는 수단. 회전형결속수단:회전기능이 있는 결합수단)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모든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된 모든 구성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단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유아용품 그리고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유아용품을 연결하는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주요구성요소인 젖병수유보조장치(1)는 1)암부(1-10)와 젖병고정부(1-20), 상기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와 유아용품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구성 또는 2)암부(1-10)와 젖병고정부(1-20)와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 상기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와 유아용품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구성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전술된 젖병수유보조장치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주요구성요소인 유아용품은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 유아용유모차, 유아용침대, 유아용매트리스, 유아용케리어, 유아용힙쌕, 유아운반용허리쌕, 유아용소파, 유아용의자, 유아용보조의자, 유아용수유쿠션, 유아용흔들이침대, 유아용보행기, 수유요람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아운반용힙쌕: 모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와 유아엉덩이안착시트로서 이루어진 간편형 케리어, 유아용보조의자:가정 또는 식당 등에서 유아를 독립 상태로 앉혀 두기 위한 것으로 안전벨트가 있는 의자)
상기 유아용품은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소정의 지점에 개방구를 형성 및 유아용품 본체의 심부로 향하는 음각된 공간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은 수납공간(4-1)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며 결속수단(4-2)과 개폐수단(4-3)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결속수단(4-2)은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수납공간(4-1)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때, 젖병수유보조장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를 포함하는 구성과 그렇지 않은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4-1)은 유아용픔의 전면, 배면, 측면, 심부 등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공간 내에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전체 또는 일부의 구성요소를 내장시킬 수 있다.(※이 때, 젖병수유보조장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를 포함하는 구성과 그렇지 않은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또, 상기 수납공간(4-1)은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유아용품 본체의 내부로 내장되도록하므로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보관에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유아의 부상을 방지하며 심플한 외관으로써 유아용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 상기 수납공간(4-1)은 그 개방구를 폐쇄하는 개폐수단(4-3)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유아용품 본체의 내부에 잠복되게되므로 장치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어 유아용품의 심미성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상기 개폐수단(4-3)은 필요한 경우 그 표면을 충전재가 포함된 외피로서 피복될 수도 있다.
상기 결속수단(4-2)은 상기 수납공간(4-1) 내에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 도14를 참조한다.
도14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사용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A(유아 수유위치로 안착)→B(젖병수유보조장치 수유위치)→C(젖병장착)→D(수유)→E(수유 종료)
이하, 도 15를 참조한다.
본 도15는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된 유아용품의 일종인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또, 이들은 추가의 구성요소로서 몸통부고정가아드(5), 두부고정가아드(6), 매트리스입설수단(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고정가아드(5)는 수유위치로 안착상태인 유아가 수유 중 몸이 좌우로 기울거나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유아몸통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 몸통과 가랑이부를 동시에 감사는 형태, 유아의 가랑이 사이에 끼우는 경사형 받침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합성수지재, 고무재, 직물재, 가죽재 등 다양한 소재와 구조로서 변경가능하다.
상기 두부고정가아드(6)는 월령이 낮은 유아가 수유위치로 안착상태에서 머리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아의 머리 좌우 양측에 높은 턱을 형성시킨 구조의 베개형의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할 수 있다. 유아가 젖병을 수유수단으로 사용하는 시기는 출생시점~3년으로서 본 기간 중 특히, 출생 후 3~4개월 이내의 발달과정에 있는 유아는 고개를 가누지 못하므로 두부고정가아드(6)를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매트리스입설수단(7)은 수유시 유아용매트리스를 원하는 각도로 세우고자 하는 경우 편리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한 구성요소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형태로서 구성가능하나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자동기어장치를 이용한 전자식 구동장치로 변경될 수도 있다.
A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전면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이다.
a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실시예.
b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전면좌측에 형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내에 장착된 실시예.
c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 개폐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내에 장착된 실시예.
B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측면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이다.
a는 젖병고정부와 코브라형의 암부,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측면에 장착된 실시예.
b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측면의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유아용매트리스.
c는 상기 b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
C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전면 하단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이다.
a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sae)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하단부 중심에 형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실시예.
b는 상기 a에 개폐수단(3)을 더 포함시킨 구성의 실시예.
D는 활형암부를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이다.
a는 젖병고정부, 암부(활형암부),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상단면에 장착(밀착)되어 있는 구성의 실시예.
b는 상기 a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
c는 상기 b에 젖병(8)이 장착되어 있는 상태.
d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일부인 젖병고정부가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에 내장된 구성의 실시예.
e 및 f는 암부(변형의 활형), 젖병고정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변형)을 갖는 구성의 유아용매트리스의 실시예.
(e는 변형된 활형암부를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젖병고정부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상단부에 형성시킨 공간인 변형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 f는 상기 e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
E는 잠복형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a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심부에 가로로 형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잠복되어 있는 구성의 실시예. 특히, 코브라형암을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가로로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상기 a가 수유위치로 전개된 상태.
이하, 도16을 참조한다.
도16은 유아용매트리스의 등받이부를 원하는 각도로 세우기 위한 구성요소인 등받이각도조절수단(9)이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A는 바닥에 완전히 누운 상태의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B는 등받이각도조절수단(9)을 사용하여 원하는 각도로 세워진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17을 참조한다.
도17은 도15를 통해 전술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전면 하단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C)'의 상세도로서 측면도와 몸통부고정가아드(5)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A는 젖병고정부, 암부,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sae)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유아용매트리스의 하단부 중심에 형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상기 a에 개폐수단을 더 포함시킨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C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전면 하단에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C)'의 측면도이다
암부(1-20), 젖병고정부(1-1), 결속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2)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몸통고정가아드(5), 두부고정가아드(6)을 부분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유아용매트리스 상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를 도시하고 있다.
D는 상기C의 몸통밴드(5-1), 탈부착수단(5-2), 자동감김장치(5-3), 가랑이지지부(5-4)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의 몸통고정가아드(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몸통고정가아드(5)는 수유 중인 유아의 몸통이 매트리스좌우로 기울거나 앞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몸통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 상기 몸통고정가아드(5)는 직물재, 플라스틱재, 가죽재 등 원하는 모든 구성재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상기 몸통고정가아드(5)는 몸통을 감싸는 형태, 경사를 이루는 부재를 가랑이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한 형태, 가랑이와 허리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 어깨를 가로지르는 안전벨트식 형태, 조끼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밴드(5-1)는 유아의 몸통을 감싸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탈부착수단(5-2)은 상기 몸통밴드(5-1)를 벨크로테이프, 레일(11-7)테이프, 버클, 고리 등을 사용하여 매트리스 상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자동감김장치(5-3)는 몸통밴드(5-1)를 자동으로 감거나 펼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펼쳐지고 손을 놓았을때 자동으로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랑이지지부(5-4)는 유아의 가랑이 사이에 끼우는 경사형부재로서 유아가 전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경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한 예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18을 참조한다.
도18은 유아용매트리스의 사용도이다.
A는 가정용.
B는 유아보육시설, 백화점수유실, 사내보육시설 등에서 사용하기 적합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유아용매트리스가 연결되어진 구성의 유아용매트리스.
이하, 도19를 참조한다.
도19는 활형암부를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높낮이조절수단으로서 걸림돌기(20-12)와 걸림홀(20-13)을 포함하는 구성의 활형의 암부(1-20)를 도시한 것이다.
본 구성의 암부는 걸림홀(20-13)이 형성된 외통과 걸림돌기(20-12)가 형성된 내통의 결합으로서 이루어지며 외통을 잡아당기거나 누르는 동작을 통해 젖병수유보조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서에 따른 유아용매트리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기로부터는 상기 유아용매트리스와 마찬가지로 전술된 내용을 통해 적시된 모든 종류의 구성을 적용시킬 수 있는 기타의 유아용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20을 참조한다.
<유아용침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침대는 전술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매트리스'를 유아침대용 침대 상에 장착시키므로써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구성도 본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21을 참조한다.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
A는 통상의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이다.
B는 안전가아드의 외연에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이다. 특히, 하나의 부재로써 이루어진 암을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1)이다.
C는 안전가아드의 내부에 형성시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내장시킨 구성의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이다. 특히, 코브라형암을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1)이다.
D는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의 측면에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이다. 특히, 둘 이상의 부재로서 이루어진 암을 갖는 접철식의 젖병수유보조장치(1)이다.
이하, 도22를 참조한다.
<유모차>
A는 통상의 유모차이다.
B는 안전가아드 상에 형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장착시킨 구성의 유모차이다.
C는 유모차의 측면에 접철식의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장착시킨 구성의 유모차이다.
D는 유모차 핸들의 내부에 형성시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된 구성의 유모차이다. 특히, 코브라형암을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1)이다.
E.유모차의 전면을 가로지르는 암부(활형암부)를 갖는 구성의 유모차이다.(미도시)
비수유시에는 상기 암부(활형암부)를 유모차의 배면으로 이동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도23을 참조한다.
<유아용케리어>
유아용케리어는 본 발명을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구성의 유아용품이다. (이에 대한상세한 구성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A는 유아용케리어의 측면도로서 유아용케리어의 안착시트 측면 상에 설치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비수유시 젖병수유보조장치(1)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내에 잠복된다.
B는 유아용케리어의 전면에 수직형암부를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결속수단을 사용하여 장착된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상시 수유위치로 전개되어 있도록 구성된 젖병수유보조장치이다.
C는 유아용케리어의 안착시트 전면 상에 설치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비수유시 젖병수유보조장치(1)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내에 잠복된다.
이하, 도24를 참조한다.
<수유요람>
수유요람은 본 발명을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유아용품으로서 안착바구니(30)와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수유요람은 이동이 편리하도록 안착바구니의 하단에 이동수단(31)인 다수개의 바퀴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안착바구니(30)는 바닥면의 일부인 등받이부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져 있는 구성 또는 등받이부를 원하는 각도로 세울 수 있는 등받이각도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A는 안착바구니(30)를 가로지르는 암부(활형암부)를 갖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수유요람으로서 좌측은 이동수단(31)이 삭제된 구성, 우측은 이동수단(31)을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B는 안전가아드 상에 형성시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4)의 내부에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장착시킨 구성의 수유요람으로서 좌측은 이동수단(31)이 삭제된 구성, 우측은 이동수단(31)을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25를 참조한다.
<유아용 소파>
소파의 측면 상에 접철식의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의 유아용소파를 도시하고 있다.
그 외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소파의 전면, 배면, 심부 상에도 장착시킨 구성 및 활형암부를 갖는 구성의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소파의 등받이 상단에 장착 및 상기를 소파의 전면 상에 수유위치로 전개하여 사용하고 비수유시에는 소파의 등받이 배면으로 넘겨 보관할 수도 있다.
이하, 도26을 참조한다.
도26은 젖병수유보조장치(1)의 암부(1-20)를 구성하는 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은 모두 접철가능한 것으로 A코브라형, B 회전접철형, C 자바라형, D 관절식접철형, E 인입식접철형, F 접이식접철형, G 슬라이드식접철형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의 암부는 비접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부재로서 이루어진 합성수지성형물, 목재성형물, 금속성형물, 금속사(wire) 절곡물 등이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27을 참조한다.
도27은 젖병홀더의 변경 실시예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양측으로 나뉘는 두 개의 부재의 결합으로 완성된 하나의 젖병홀더를 구성 및 상기 두 부재 사이에 젖병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좌우 각 부재의 아래측 단부 상에 설치된 압력부재(스프링/10-1-2)의 작용으로 장착된 젖병의 좌우변에 압박이 가해지므로써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써 장착될 젖병의 직경에 따라 압력부재의 이동거리를 변화시키므로써 다양한 규격의 젖병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 도1~도27을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첨부된 도28~35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는 안착시트(40), 전방안전가아드(42), 어깨용견인끈(41)을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는 상기 구성에 필요에 따른 추가의 구성요소로서 측방안전가아드(43), 후방안전가아드(44)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후방안전가아드와 측방안전가아드가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 이들은 조끼형안전가아드(45)로써 대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는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추가의 구성요소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시트(40)는 유아용케리어의 주요구성요소로서 유아의 엉덩이를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전방안전가아드(42)는 상기 안착시트(40) 상에 안착상태인 유아의 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배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안착시트 전면의 가장자리부에 입설 및 유아의 두 다리가 끼워질 수 있는 두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깨용견인끈(41)은 유아용케리어를 운반자인 모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 상기 어깨용견인끈(41)은 유아용케리어가 모체에 결속된 상태에서 좌측, 우측, 전방, 후방을 포함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유아용케리어의 무게 중심이 고려되어 설계되며 통상적으로 본체의 좌우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모체의 어깨 및 등과 허리를 지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두 개의 어깨용견인끈(41)의 일측단부는 케리어본체 전방의 좌측(또는 우측)에 각 각 연설 및 상기 각 각의 타측단부는 모체의 허리 뒷쪽에서 하나의 결합점을 이르러 두 어깨용견인끈을 결속시키기 위해 구성된 결속수단을 사용하여 상호 결속되게 된다.
상기 측방안전가아드(43)는 안착시트(40)로부터 유아의 측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허리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양측면가장자리에 입설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전방안전가아드 및 측방안전가아드가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일체화시켜 구성한 전측방안전가아드로써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측방안전가아드는 안착시트의 전방 및 측방을 하나의 부재로써 동시에 감싸는 구성요소이다.-미도시)
상기 후방안전가아드(44)는 안착시트(40)로부터 유아의 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후면가장자리에 입설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측방안전가아드 및 후방안전가아드가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 각의 구성요소를 상호 일체화시켜 구성한 측후방안전가아드로써 대체될 수 있다. 즉, 상기 측후방안전가아드는 안착시트의 측방과 후방을 하나의 부재로써 동시에 감싸는 구성요소이다.-미도시)
상기 조끼형안전가아드(45)는
유아의 두부가 통과하는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 및 유아의 몸통 전체를 감싸는 조끼형의 것으로 상기 조끼의 전면단부가 안착시트의 전방가장자리 상에 연설되거나 또는 전방안전가아드의 상측가장자리 상에 연설 및 배면단부가 안착시트의 후방가장자리 상에 연설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띠형안전가아드(미도시)는 좌우 한 쌍의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방안전가아드 상에 각 끈의 일측단부가 연설 및 안착상태인 유아의 등뒤로 연장되며 그 타측단부는 유아용케리어의 후면가장자리부 좌우에 ll 또는 X 의 형태로써 연설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조끼형안전가아드(44-1)를 대체할 수 있다.
전측방안전가아드(미도시)는 안착시트(40)로부터 유아의 전측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배와 허리부를 동시에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전방 및 측방의 가장자리에 하나의 부재이다.
측후방안전가아드(미도시)는 안착시트(40)로부터 유아의 측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허리와 등을 동시에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측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에 하나의 부재로써 입설되는 부재이다.
한편, 상기 안착시트(40)를 포함하는 모든 가아드들은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발포입자성형체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발포입자성형체의 표면은 직물피복, 가죽피복, 섬유후로킹의 방법 중 선택된 소정의 방법을 통해 피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성의 유아용케리어의 주요구성요소 및 추가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 유아용케리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의 본체는 수지발포체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발포체의 구성재로는 수지발포폼과 수지발포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발포체(수지발포폼과 수지발포입자)는 단색 또는 혼색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발포체는 필요에 따라 그 외연이 직물피복, 수지필름피복, 섬유후로킹피복 방법을 통해 피복될 수 있다.
(※본체:안착시트를 포함 및 상기 구성에 전방안전가아드, 측방안전가아드, 후방안전가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구성/ 섬유후로킹:피복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킨 후 그 표면에 섬유입자를 접착시켜 피복시키는 방법),
상기 수지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원료는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틸렌)를 바람직한 예로 포함한다.
또, 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로는 EPP(EXPENDED -PP BEADS), EPE(EXPENDED -PE BEADS), EPS(EXPENDED -PS BEADS)를 포함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원료에 추가의 원료로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류, 합성수지엘라스토머류, 고무수지류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를 더 첨가시킨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폼 및 수지발포입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에 무해한 원료로 알려진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틸렌)가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또, 접착제로는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등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반드
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발포입자는 (EXPENDED BEADS) 발포용 가스(GAS)가 충진된 미립자형의 수지원료를 열수조에 투입하여 가열발포시키므로써 제조된 것으로 원하는 모든 색상의 비즈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유아용케리어를 제조하는데 심미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수지원료 또는 수지발포입자원료를 사용하여 유아용케리어의 구성요소를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수지원료 또는 EPP, EPE를 제조하고자 하는 형태의 성형몰드에 소정량을 투입하고 개방구를 폐쇄 및 상기 성형몰드를 약 1.5~4cm/kgf의 증기압으로 가열팽창시키는 방법을 통해 안착시트, 전방안전가아트, 측방안전가아드, 후방안전가아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수지발포체로써 이루어진 유아용케리어 상의 각 구성요소의 실시예이다.
1)수지원료를 발포팽창시킨 수지발포프리폼을 원하는 형태로 절삭한 것.
2)수지원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의 성형몰드 내에 투입 및 가열팽창시킨 것,
3)미립자형 수지원료를 가열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 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를 가열팽창시켜 제조한 수지발포입자프리폼을 원하는 형태로 절삭한 것,
4)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를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몰드 내에 투입하여 가열압착 성형한 것,
5)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와 접착제의 혼합물을 원하는 형상의 성형몰드 내에 투입 및 압착성형 또는 가열압착성형한 것.
6)상기 1)~5)의 수지원료 또는 수지발포입자는 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원료가 상호혼합되어 있는 구성의 것으로 이를 가열압착성형 또는 압착성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
(※ 수지발포프리폼, 수지발포입자프리폼:판상 또는 벌크상의 발포체)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구성의 유아용케리어의 주요구성요소 및 추가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 유아용케리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의 본체는 수지발포체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발포체의 구성재로는 수지발포폼과 수지발포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수지발포체(수지발포폼과 수지발포입자)는 단색 또는 혼색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발포체는 필요에 따라 그 외연이 직물피복, 수지필름피복, 섬유후로킹피복 방법을 통해 피복될 수 있다.
(※본체:안착시트를 포함 및 상기 구성에 전방안전가아드, 측방안전가아드, 후방안전가아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구성/ 섬유후로킹:피복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킨 후 그 표면에 섬유입자를 접착시켜 피복시키는 방법),
상기 수지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원료는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틸렌)를 바람직한 예로 포함한다.
또, 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로는 EPP(EXPENDED -PP BEADS), EPE(EXPENDED -PE BEADS), EPS(EXPENDED -PS BEADS)를 포함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원료에 추가의 원료로서 1종 이상의 합성수지류, 합성수지엘라스토머류, 고무수지류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원료를 더 첨가시킨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폼 및 수지발포입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에 무해한 원료로 알려진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틸렌)가 원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또, 접착제로는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등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반드
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지발포입자는 (EXPENDED BEADS) 발포용 개스(GAS)가 충진된 미립자형의 수지원료를 열수조에 투입하여 가열발포시키므로써 제조된 것으로 원하는 모든 색상의 비즈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유아용케리어를 제조하는데 심미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수지원료 또는 수지발포입자원료를 사용하여 유아용케리어의 구성요소를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수지원료 또는 EPP, EPE를 제조하고자 하는 형태의 성형몰드에 소정량을 투입하고 개방구를 폐쇄 및 상기 성형몰드를 약 1.5~4cm/kgf의 증기압으로 가열팽창시키는 방법을 통해 안착시트, 전방안전가아트, 측방안전가아드, 후방안전가아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수지발포체로써 이루어진 유아용케리어 상의 각 구성요소의 실시예이다.
1)수지원료를 발포팽창시킨 수지발포프리폼을 원하는 형태로 절삭한 것.
2)수지원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형상의 성형몰드 내에 투입 및 가열팽창시킨 것,
3)미립자형 수지원료를 가열팽창시킴으로써 제조된 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를 가열팽창시켜 제조한 수지발포입자프리폼을 원하는 형태로 절삭한 것,
4)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를 제조하고자 하는 성형몰드 내에 투입하여 가열압착 성형한 것,
5)수지발포입자(EXPENDED BEADS)와 접착제의 혼합물을 원하는 형상의 성형몰드 내에 투입 및 압착성형 또는 가열압착성형한 것.
6)상기 1)~5)의 수지원료 또는 수지발포입자는 둘 이상의 색상을 갖는 원료가 상호혼합되어 있는 구성의 것으로 이를 가열압착성형 또는 압착성형시킴으로써 제조된 것.
(※ 수지발포프리폼, 수지발포입자프리폼:판상 또는 벌크상의 발포체)
하기로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유아용케리어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 도28을 참조한다.
A는 안착시트(40), 전방안전가아드(42), 후방안전가아드(44)를 포함하는 구성의 실시예이다.
B는 안착시트(40), 전방안전가아드(42), 측방안전가아드(43), 후방안전가아드(44),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주요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로서 특히, 활형의 암부(20-1)가 유아용케리어의 후방안전가아드(44)의 측면에 장착된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9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1)가 장착된 유아용케리어의 측면도이다.
도30은 안착시트(40) 후방에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를 형성시킨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하고 있다.
도31은 안착시트(40) 저면에 어깨용견인끈(41)의 결속수단(41-1)을 형성시킨 구성의 실시예로서 특히, 상기 결속수단이 안착시트(40)의 저면에 개구부를 형성 및 그 내부로 내장시킨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32는 유아용케리어의 후방에 유아용케리어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전복되지 않도록 추가의 전복방지용지지대(46)를 형성시킨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33은
A는 안착시트(40), 어깨용견인끈(41), 전방안전가아드(42)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B는 안착시트(40), 어깨용견인끈(41), 전방안전가아드(42), 조끼형안전가아드(45)를 포함하는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34는 안착시트(40), 어깨용견인끈(41), 전방안전가아드(42), 조끼형안전가아드(45)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포함하는 구성의 유아용케리어를 도시한 것이다.
A는 안착시트(40)의 측면에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형성시킨 실시예이다.
B는 안착시트(40)의 전면에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시킨 실시예이다.
C는 안착시트(40)의 전면 형성시킨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4) 내에 젖병수유보조장치(1)를 장착시킨 실시예이다.
도35는 둘 이상의 색상의 수지발포비즈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유아용케리어의 실시예이다.
이상, 전술된 내용을 통해 적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인 젖병수유보조장치(1)는 유아용케리어의 본체의 표면 또는 내부를 포함하는 어떠한 위치에도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케리어는 햇빛을 가리기 위한 그늘막장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수유 중 유아의 건강증진과 정서함양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의 구성요소로서 원적외선방사장치, 피톤치드분무장치, 음성재생장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심미적요소의 강화를 위하여 테슬테이프, 인조보석, 핫픽스(HOT FIX), 스팽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선택된 소정의 구간 상에 봉재 또는 접착된 구성을 통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는 수유시 수유아의 구강으로부터 젖꼭지가 이탈되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우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장착시킬 젖병의 젖꼭지를 샘방지젖꼭지(유아가 입에 젖꼭지를 물고 압력을 가하였을 때에만 우유가 젖꽂지 밖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예; vivi젖꼭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젖병수유보조장치는 반려동물용 및 환자용 유동식공급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은 그 형상을 축소성형시키므로써 어린이용장난감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아의 양육과정에서 보조용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아용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아용품 상에 분유 또는 이유식 수유시 젖병을 장착시키는 수단인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시켜 제조된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분야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20)

  1. 젖꼭지를 제외한 젖병 본체의 전체 또는 부분을 감싸거나 또는 젖병과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젖병 상에 추가 구성시킨 구성요소인 결속수단에 결속시키므로써 젖병을 고정하는 젖병고정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방형부재를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지며 180도 미만의 내각의 실현이 가능한 절곡형(折曲形) 또는 가절곡형(可折曲形)의 부재로서 상기 절곡형 또는 가절곡형의 부재가 갖는 두 개의 단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가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지점(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을 위해 구성된 추가의 구성요소)과 연설 및 상기 연설될 일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의 연장부(또는 연설될 양측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로드의 연장부)가 유아용품 상에 수유자세로 안착된 상태의 유아의 정면 상에 위치한 공간상으로 연장되어 이어지되 반드시 유아의 안면의 정면에 위치한 공간을 지나도록 구성 및 상기 유아 안면의 정면을 지나는 로드 상에 젖병고정부를 연설시키는 구성의 암부(arm)와
    상기 암부(arm)의 두 단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부 상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상기 암부(arm)를 유아용품 (또는 유아용품 상에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시킨 추가의 구성요소)상에 결속시키기 위한 결속수단을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2. 1항의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을 위해 구성된 추가의 구성요소'는 젖병수유보조장치 상의 구성요소 전체 또는 일부를 내장시키며 필요시 인출 또는 인입시키기 위한 수납용 수단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인 것으로 이를 추가의 구성요소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3. 1항 또는 2항의 젖병수유보조장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의 비사용시 그 길이 또는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젖병고정부, 암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접철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4. 1항 또는 2항의 암부는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수유위치로 전개시킨 상태에서
    1)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좌측, 우측, 정면, 두 다리 사이, 머리 위 중 선택된 하나의 지점에 위치하는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유아용품의 표면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에 암부의 일측단부가 연설 및 타측단부(수평암)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수유위치로 전개시킨 상태에서
    2)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 상에 위치한 공간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암의 양측단부가 유아용품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각 각 연설 및 상기 암의 연장로드로부터 유아의 안면의 정면에 위치하는 지점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수유위치로 전개시킨 상태에서
    3)수유자세로 안착된 유아의 몸체의 정면 상에 위치하는 유아용품 상의 선택된 구성요소 상에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된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암의 일측단부가 연설 및 그 타측단부 상에 젖병고정부가 장착된 구성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5.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암부는 하나의 장방형 부재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부재가 형상은 원하는 내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로 제조된 수지성형물, 목재조형물, 금속사(wire) 절곡성형물, 자바라형부재, 코브라형부재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6.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암부는 둘 이상의 장방형 부재의 결합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각 부재의 결합방식은 회전식접철형, 대면접철형, 슬라이드접철형, 인입식접철형, 관절식회전접철형의 결합형태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이 병합된 구성이거나 또는 회전식접철형, 대면접철형, 슬라이드접철형, 인입식접철형, 관절식회전접철형 중 선택된 하나이상과 자바라형, 코브라형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이 병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7.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젖병고정부는 젖병고정수단고정대, 젖병고정수단고정축, 젖병고정수단기울기조절수단, 젖병고정수단수평회전수단, 젖병고정수단전후진수단, 젖병고정수단높낮이조절수단, 젖병홀더이격조절수단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8.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암부(arm)는 젖병수유보조장치기울기조절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높낮이조절수단(=수직암길이조절수단), 젖병수유보조장치수평회전수단, 수평암길이조절수단, 부상방지보조암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9.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유아용품은 유아용매트리스, 유아용침대, 유아용자동차안전시트, 유모차, 유아용케리어, 유아용힙쌕, 유아용허리쌕, 유아용소파, 유아용보조의자, 유아용수유쿠션, 유아용흔들이침대, 유아용보행기, 수유용받침대, 수유요람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10. 9항에 있어서,
    유아용품은 젖병수유보조장치의 비사용시 유아용품 상에 장착된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유아용품의 내부에 잠복시켜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아용품의 전면, 측면, 배면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성요소의 표면에 개구부를 형성 및 심부로 연장되어 음각형의 공간인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11. 2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수단(case) 또는 젖병수유보조장치수납공간은 그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12. 9항에 있어서,
    유아용매트리스는 하나의 매트리스 상에 하나의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장착시킨 단일 구성의 매트리스 또는 단일구성의 매트리스가 다수개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복합형 매트리스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13. 9항에 있어서,
    유아용매트리스는 등받이각도조절수단, 두부고정가아드, 몸체부고정가아드, 매트리스입설손잡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14. 유아용케리어에 있어서,
    유아의 엉덩이를 안착시키는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입자발포성형체인 안착시트와 상기 안착시트 상에 안착상태인 유아의 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배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안착시트 전면의 가장자리부에 입설 및 유아의 두 다리가 끼워질 수 있는 두 개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입자발포성형체인 전방안전가아드와 유아용케리어를 운반자인 모체에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수단인 어깨용견인끈을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케리어.
  15. 14항의 유아용케리어는
    안착시트로부터 유아의 측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허리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양측면가장자리에 입설되는 측방안전가아드,
    안착시트로부터 유아의 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등부위를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후면가장자리에 입설되는 후방안전가아드,
    유아의 두부가 통과하는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 및 유아의 몸통 전체를 감싸는 조끼형의 것으로 상기 조끼의 전면단부가 안착시트의 전방가장자리 상에 연설되거나 또는 전방안전가아드의 상측가장자리 상에 연설 및 배면단부가 안착시트의 후방가자자리 상에 연설되는 구성의 조끼형안전가아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시킨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입자발포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케리어.
  16. 14항의 유아용케리어는
    안착시트로부터 유아의 전측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배와 허리부를 동시에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전방 및 측방의 가장자리에 하나의 부재로써 입설되는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입자발포성형체인 전측방안전가아드,
    안착시트로부터 유아의 측후방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아의 허리와 등을 동시에 감싸는 3차원의 면상(面像)부재로서 상기 안착시트의 측방 및 후방의 가장자리에 하나의 부재로써 입설되는 수지발포성형체 또는 수지입자발포성형체인 측후방안전가아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시킨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케리어.
  17. 14항, 15항, 16항 중 선택된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아용케리어는 그 표면이 직물피복, 가죽피복, 섬유후로킹피복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을 통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케리어.
  18. 14항, 15항, 16항 중 선택된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아용케리어는 젖병수유보조장치를 추가의 구성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케리어.
  19. 1항, 2항, 10항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항의 구성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장난감.
  20. 1항, 2항, 10항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항의 구성에 따른 젖병수유보조장치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산부인과용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PCT/KR2014/004195 2013-05-12 2014-05-09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WO20141856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90,907 US20160089307A1 (en) 2013-05-12 2014-05-09 Auxiliary bottle feeding apparatus and baby product to which auxiliary bottle feeding apparatus is moun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496 2013-05-12
KR10-2013-0053496 2013-05-12
KR10-2013-0136119 2013-11-11
KR20130136119A KR20140133768A (ko) 2013-05-12 2013-11-11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668A1 true WO2014185668A1 (ko) 2014-11-20

Family

ID=51898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195 WO2014185668A1 (ko) 2013-05-12 2014-05-09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8566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6551A (en) * 1986-11-20 1988-02-23 Jb&J, Inc. Baby bottle holder
US4735388A (en) * 1986-02-27 1988-04-05 Marks Stephen A Baby bottle holde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US5192041A (en) * 1991-06-17 1993-03-09 Bryant Sheree M Baby bottle holder
KR0138502Y1 (ko) * 1994-12-09 1999-04-01 김휘욱 요람침대의 가변장치
US6003821A (en) * 1998-10-29 1999-12-21 Fabian; Bob Decorative holder for a baby bottle
KR20000017395U (ko) * 1999-02-25 2000-09-25 임계화 아기보기멜빵
JP2005118471A (ja) * 2003-10-20 2005-05-12 Combi Corp 子守帯
US20100200581A1 (en) * 2009-02-12 2010-08-12 Maltz Lawrence J Box that is held and opened with one han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5388A (en) * 1986-02-27 1988-04-05 Marks Stephen A Baby bottle holde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US4726551A (en) * 1986-11-20 1988-02-23 Jb&J, Inc. Baby bottle holder
US5192041A (en) * 1991-06-17 1993-03-09 Bryant Sheree M Baby bottle holder
KR0138502Y1 (ko) * 1994-12-09 1999-04-01 김휘욱 요람침대의 가변장치
US6003821A (en) * 1998-10-29 1999-12-21 Fabian; Bob Decorative holder for a baby bottle
KR20000017395U (ko) * 1999-02-25 2000-09-25 임계화 아기보기멜빵
JP2005118471A (ja) * 2003-10-20 2005-05-12 Combi Corp 子守帯
US20100200581A1 (en) * 2009-02-12 2010-08-12 Maltz Lawrence J Box that is held and opened with one h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7661A1 (ko) 알람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11027953A1 (ko) 머리 받침구
WO2019107659A1 (ko) 에어 베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19050080A1 (ko)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 및 에어 매트리스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9107657A1 (ko) 에어 베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9107660A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0096382A1 (ko)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2134117A2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오염 감지 센서 부재, 흡입 감지 센서, 선택 부재, 기화 부재, 흡입 장치용 외피,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속눈썹 고데 유닛 및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유닛에 연결되는 휴대 전화 연결 유닛
WO2019107658A1 (ko)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매트리스 시스템
WO2010068070A2 (ko) 양면날면도기
WO2019177260A1 (ko) 동작 모드에 따라 자세가 제어되는 근력 보조 장치
WO2019124683A1 (ko) 작업용 의자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CN100504002C (zh) 拐角帆布卷轴和拐角遮篷装置
WO2014185668A1 (ko)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WO2021080099A1 (ko) 변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
KR20170003426U (ko)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WO2019045184A1 (ko) 기립 보조 의자 및 휠체어
WO2015083897A1 (ko) 관절보호대
WO2020235705A1 (ko) 액션 로봇
WO2014027746A1 (ko) 피복 또는 가방, 윗옷, 바지, 옷, 윗옷 또는 모자, 모자, 세척용기, 텐트, 흙
GB2314506A (en) Attitude support systems
WO2019240319A1 (ko) 접이식 힙 시트
WO2021075695A1 (ko) 방사선 치료를 위한 브래지어
WO2011055977A9 (ko) 흡수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97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90907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97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