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23377A1 - 공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23377A1
WO2014123377A1 PCT/KR2014/001037 KR2014001037W WO2014123377A1 WO 2014123377 A1 WO2014123377 A1 WO 2014123377A1 KR 2014001037 W KR2014001037 W KR 2014001037W WO 2014123377 A1 WO2014123377 A1 WO 20141233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toilet
space
contaminated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10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지녕
노태식
Original Assignee
Roh Ji Nye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Roh Ji Nyeong filed Critical Roh Ji Nyeong
Priority to US14/766,73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60256B2/en
Priority to CN201480007429.1A priority patent/CN104968867B/zh
Priority to JP2015555928A priority patent/JP6116708B2/ja
Priority to EP14749196.3A priority patent/EP2955289A4/en
Priority to AU2014215853A priority patent/AU2014215853B2/en
Publication of WO20141233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233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Definitions

  •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toilet bowl.
  • the toilet is provided with a ventilator to ventilate the interior of the toilet.
  • a ventilator to ventilate the interior of the toilet.
  • the ventilator even if the ventilator is operated, only the inside of the toilet can be ventilated, not even the inside of the toilet hall of the toilet installed in the toilet.
  • the odor and bacteria remain in the toilet space inside the multiplier.
  • odors and bacteria inside the toilet hole are spread throughout the toilet to contaminate the air of the toilet.
  • odors and bacteria inside the toilet hall spread not only the toilet but also the whole house, contaminating the entire house air. Therefore, the indoor environment is unsanitary, an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easily infected with germs such as the elderly and children.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treating contaminated air in a contaminated space, such as a toilet hole.
  •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afte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 an air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air passage uni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taminated space; A first air inlet that introduces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into the first air passage;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oilet reservoir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an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and communicating with a space in the partition wall and discharging the polluted air into the partition wall. It includes a first air processing unit including.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air outlet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air outlet.
  • the air treatment device may adjust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contaminated space.
  • the air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secon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space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first external space; And a second air inlet unit for introducing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wall into the second air passage unit.
  • the second air suction unit may adjust the suction strength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taminated air discharged into the partition wall or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 the partition wall, the top plate is formed in the toilet bowl; And a side plate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upper plate, the end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lowest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 the contaminated space may be at least one of a toilet hall, a toilet, a kitchen, a living room, a veranda, a smoking room, a resting room, a garbage storage, an office, a laboratory, a reading room, and a place where an oxygen concentr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the air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second air treatment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ir treatment part in the toilet bowl; A third air passag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a second external spac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n air outlet of the second air treatment part; A third air inlet unit for introducing air from the second external space into the third air passage unit; A fourth air passage part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indoor space; And a fourth air inlet unit for introducing air in the partition wall of the second air processor to the fourth air passage unit.
  • the third air intake unit may filter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passage part and then flow it into the second air processor.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in which the polluted air is dissolved as the user uses the toilet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in the toilet reservoir Since the new washing water is replaced, it is possible to easily handl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 the air treatment apparatus discharges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to the outer space or the toilet tank while being blocked from the outside, the contaminated air can be blocked from entering the room from the outside.
  • the contaminated air after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or yellow dust in the outside ai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resh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s have been remove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ai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treatment unit formed in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is the maximum level in the ai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contaminated air in a toilet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is the lowest level in the ai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6 the air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this is only an exemplary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G. 1 is a view showing an ai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treatment device 100 includes a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a first air intake portion 104, an air treatment portion 106, a second air passage portion 108, and a second air. It includes a suction unit (110).
  • first air passage part 102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s connected to the contaminated sp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s connected to the air treatment part 106.
  •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a duct, a pipe, a hose,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Various tools for moving air may be used.
  • the contaminated space refers to a region in which air is contaminated due to bad smell and various bacteria.
  • the contaminated space may be the toilet 150 in the bathroom.
  •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connected to the toilet hole 151.
  • the toilet cover 153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hole 151.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spreads to the entire toilet to contaminate the entire toilet.
  • the polluted air gradually spreads out of the toilet to contaminate the whole house.
  • the bad smell and various bacteria gradually grow in the toilet hole 151 to become a pollution source polluting the house.
  •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serves to suck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and introduce it into the first air passage unit 102.
  • the first air intake 104 may include, for example, a suction fan that sucks air.
  • at least one first air intake unit 104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air passage unit 10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may include a pump to more strongly inhal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may adjust the intake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toilet hole 151 (that is, the contaminated space).
  • the air processor 106 is formed in the toilet cistern 155 of the toilet 150.
  • the washing water is stored in the toilet bowl 155.
  • the toilet bowl lid 157 is formed on the top of the toilet bowl 155 to be opened and closed.
  • the toilet cistern 155 communicates with the toilet 151 through a connecting passage 159.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151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treatment unit formed in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air treatment unit 106 may be formed at a corn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155.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air treatment unit 106 is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ir treatment unit 106 includes a partition wall 121 and an air discharge unit 124.
  • the partition wall 121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toilet bowl 155 is installed.
  • the partition wall 121 includes an upper plate 121-1 and a side plate 121-2.
  • the upper plate 121-1 may be fixed to an inner wall of the toilet cistern 155 at an upper end of the toilet cistern 155.
  • the side plate 121-2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upper plate 121-1 to the lower side, respectively.
  • the end of the side plate 121-2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15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1 is formed to be open. That is, the partition wall 121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pace in the toilet bowl 155. In this case, the wash water of the toilet bowl 155 also enters the partition 121.
  • the end of the side plate 121-2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lowest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That is, the end of the side plate 121-2 is formed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at the lowest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 the lowest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refers to the water level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151.
  • the air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always in a state of being blocked from the air in the toilet bowl 155.
  • the air treatment unit 106 may have an independent space in the toilet bowl 155 through the partition wall 121.
  • the partition wall 121 is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pillar shape, th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12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is.
  • the partition wall 12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ilet cistern 15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upled to the toilet cistern 155 after being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toilet cistern 155.
  • the air discharge part 124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21.
  • the air discharge part 124 may be formed along the depth direction of the toilet bowl 155.
  • the air discharge part 124 may be fixed in the toilet bowl 155 through the fixing part 127.
  •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rt 124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part 124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9.
  • the interior of the air outlet 124 is formed in a hollow shape.
  • the washing water also enters the air discharge part 124.
  • At least one through hole 131 may be formed in the air discharge part 124.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1 may be formed along the air outlet 124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air outlet 124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gap between the through holes 131 may be formed to be const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131 may be formed uniformly or differently.
  •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131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maximum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 the air discharge part 124 discharges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into the toilet bowl 155.
  •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air discharge unit 124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unit 102 may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unit 108. d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external space may be outdoor (for example, a rooftop,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ernal space may be an internal space of a tool for discharging dirt or the like, such as a sewer.
  • a tool for discharging dirt or the like such as a sewer.
  • the second air passage 108 for example, a duct, a pipe, a hose, or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Various tools for moving air may be used.
  •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serves to inhal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air treatment unit 106 an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108.
  •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uction fan that sucks air.
  • at least one second air intake unit 110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air passage unit 108.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may include a pump to more strongly inhale contaminated air in the air treatment unit 106.
  • the pump is used as the first air intake 104 and the second air intake 110, the first air intake 104 and the second air intake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maximum level of the washing water refers to the maximum level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back into the toilet bowl after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04. Then,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moves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and flows into the air discharge portion 124 (2).
  •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moves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and flows into the air discharge portion 124 (2).
  • most of the air outlet 124 remains in the washing water.
  •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strongly inhales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 the contaminated air is spouted from one side of the air discharge unit 124 to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in the air discharge unit 124. (3).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155 in which the polluted air is melted is discharged to the toilet hole 151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159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4).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hole 15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5).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is gradually polluted as the polluted air melts.
  •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155 is discharged into the toilet hole 151 several times a day as the user uses the toilet 150 and is naturally replaced with new washing water, the washing in the toilet reservoir 155 is cleaned. There is no need to artificially replace the numbers.
  •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pollu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is melted is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several times a da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oilet 150 by the user, the air in the toilet can be kept clean.
  •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air outlet 124 through the through-hole 131 It may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in the partition wall 121.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is the lowest level in the ai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toilet hole 151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through the first air inlet 104. Then,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moves along the first air passage portion 102 and flows into the air discharge portion 124 (2 ').
  • the through hole 131 of the air outlet 124 is exposed in the air. In this case,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air outlet 124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in the partition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3 ').
  •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into the space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in the space within the partition wall 121. It will remain blocked. At this time, some of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121 may be dissolved in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bowl 155.
  • the washing water of the toilet reservoir 155 in which the polluted air is melted is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through 4 and 5 processes as shown in FIG. 3.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108 through the second air inlet 110 (4 ′). Then,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 the polluted air in the polluted space can be discharged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the polluted air from the outside space into the room.
  • the air treatment apparatus 100 may include a level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 a level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 the air discharge par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Through 124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contaminated air discharged.
  • the pollution level in the contaminated space is high, when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reservoir 155 is adjusted to the minimum level, all the through holes 131 are exposed to the air in the partition 121, so that a large amount of The contaminat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in the partition wall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131. At this tim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wall 121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 the suction strength of the second air intake 110 is increased to rapidly transfer the contaminated air in the partition 121 to the second air passage 108. It can flow in.
  •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the contaminated space, thereby enabling the discharge of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Then, the polluted air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djusting the suction strength of the second air intake unit 110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into the partition 121 (or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toilet bowl 155). can do.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side of the first air passage part 102 may be branched into several branches and connected to contaminated spaces such as a toilet hall, a toilet, a kitchen, and the like.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such as a toilet hall, a toilet, a kitchen, or the like, enters the air treatment unit 106 through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and is discharged into a toilet tank (not shown) or a second air intake unit ( It is discharged to the outer space through the 104 and the second air passage (108).
  • contaminated spaces are shown as contaminated spac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other spaces (for example, a living room, a veranda, a garbage storage, a smoking room, a resting room, an office, a laboratory, a reading room, and an oxygen concentration)
  • various other spaces for example, a living room, a veranda, a garbage storage, a smoking room, a resting room, an office, a laboratory, a reading room, and an oxygen concentration
  • the location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be applied.
  •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ai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wo air treatment units 106-1 and 106-2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oilet bowl 155.
  • the first air treatment unit 106-1 discharges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unit 102 and the first air intake unit 104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Or discharge to the first external space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08 and the second air intake 110.
  • the third air passage portion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treatment portion 106-2 (more specifically,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air treatment portion 106-2), and the third air passage portion ( The other side of 16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space.
  • the second external space may be a separate space from the first external spa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external space may be a space outside the building.
  • the third air inlet 164 introduces air from the second external space into the third air passage 162.
  •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may include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rosin powder, dust powder, and the like.
  •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may be introduced as it is, or may be introduced after filtering (or purifying)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That is, the third air suction unit 164 first filters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yellow dust, dust powder, rosin powder, pollen, etc.) included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and then the second air processor 106-2. Can be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suction unit 164 may adjust the suction strength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f the second external space.
  • foreign substances for example, yellow dust, dust powder, rosin powder, pollen, etc.
  • the fourth air passage part 168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rocessor 106-2 (more specifically,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of the second air processor 106-2), and the fourth air passage part 168 is provided.
  • the other side of is connected to the indoor space.
  • the indoor space may be a room, a study room, a living room, a kitchen, a bathroom, a lounge, or the like.
  • the fourth air suction unit 170 introduces air in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106-2 into the fourth air passage unit 168.
  •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106-2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62 and the third air intake unit 164, the air contained in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is included.
  • the foreign matter for example, yellow dust, rosin powder, dust powder, etc.
  •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 is dissolved is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through the toilet hole 151. Then, the air of the second external space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remains in the second air treatment unit 106-2.
  • the fourth air suction unit 170 introduces air from the second external space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n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106-2 is removed into the fourth air passage unit 168, and discharges the air into the indoor space. In this case, fresh and clean air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 the second air treatment unit 106-2 cleans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including the foreign matter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indoor space. That is, even if the air outside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place where the air is considered to be clean, such as the countryside), the air often contains foreign substances such as yellow dust, rosin powder, and dust powder. If air containing these foreign substances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s it is, it may adversely affect the health of residents. Therefore, by purifying the air in the second external space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through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106-2 and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indoor residents to drink fresh and clean air.
  •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ntaminated space is discharged to the toilet tank (not shown) or the first external space through the first air processor 106-1 to treat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second air processor 106-2 is used. Through)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of the second external space, and then discharge to the indoor space to provide fresh air.
  • first air processing unit 106-1 and the second air processing unit 106-2 are both formed in the toilet bowl 15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ir processing unit is disposed in the toilet bowl 155. Only one of the 106-1 and the second air treatment unit 106-2 may be formed.
  • air treatment device 102 first air passage portion
  • first air intake unit 106 air processing unit
  • side plate 124 air exhaust
  • connecting passage 162 third air passage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공기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격벽 및 격벽 내에 형성되고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격벽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오염 공기를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처리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저수조를 이용한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화장실 내부를 환기시키기 위해 환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환풍기를 작동시킨다 하더라도 화장실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을 뿐,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의 변기홀 내부 공기까지 환기시킬 수는 없다. 그리고,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더라도 변기홀 내부 공간에는 악취 및 세균들이 그대로 남아 증식하게 된다. 이때,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 전체로 퍼져 화장실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변기홀 내부의 악취 및 세균들은 화장실뿐만 아니라 집안 전체로까지 퍼져 집안 전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실내 환경이 비위생적이 되어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쉽게 병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시설의 경우, 공동 주택 간에 각 환풍기들의 통로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환풍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환풍기를 통해 이웃 주택의 오염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정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167호(2002.03.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기홀과 같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중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 공기를 상기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공기 배출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기 공기 배출부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기 통로부; 및 상기 격벽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상기 격벽 내로 배출된 오염 공기의 양 또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흡입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종단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종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하단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공간은, 변기 내의 변기홀, 화장실, 부엌, 거실, 베란다, 흡연실, 휴게실, 쓰레기 저장소, 사무실, 연구실, 독서실, 및 산소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서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처리부; 일측이 제2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제3 공기 통로부; 상기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3 공기 흡입부; 일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제4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 내의 공기를 상기 제4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4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로 유입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필터링 한 후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저수조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함에 따라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자연스럽게 변기 탱크로 배출되고, 변기 저수조 내에는 새로운 세정수가 교체되므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처리 장치에서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외부 공간 또는 변기 탱크로 배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오염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공기 중 분진이나 황사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부가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처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처리 장치(100)는 제1 공기 통로부(102), 제1 공기 흡입부(104), 공기 처리부(106),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포함한다.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오염 공간과 연결되고,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은 공기 처리부(106)와 연결된다. 제1 공기 통로부(102)는 예를 들어, 덕트, 파이프,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오염 공간은 악취 및 각종 세균 등으로 인해 공기가 오염된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오염 공간은 화장실 내의 변기(150)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변기홀(151)과 연결될 수 있다. 변기홀(151)의 상부에는 변기 커버(15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커버(153)가 열려 있는 경우,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는 화장실 전체로 퍼져 화장실 전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때, 오염 공기는 화장실 밖으로 점차 퍼져나가 온 집안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고, 변기 커버(153)가 닫혀 있는 경우, 변기홀(151) 내에서는 악취 및 각종 세균들이 점차로 번식하여 집안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게 된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1 공기 통로부(102)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예를 들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공기 흡입부(104)는 제1 공기 통로부(102)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하기 위해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04)는 변기홀(151)(즉, 오염 공간) 내의 오염도에 따라 흡입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150)의 변기 저수조(155) 내에 형성된다. 변기 저수조(155) 내에는 세정수가 저장된다. 변기 저수조(155)의 상단에는 변기 저수조 뚜껑(157)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변기 저수조(155)는 연결 통로(159)를 통해 변기홀(151)과 연통된다.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기홀(151)로 배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부가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처리부(106)의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처리부(106)는 격벽(121) 및 공기 배출부(124)를 포함한다.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의 내벽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격벽(121)은 상부판(121-1) 및 측면판(121-2)을 포함한다. 상부판(121-1)은 변기 저수조(155)의 상단에서 변기 저수조(155)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측면판(121-2)은 상부판(121-1)의 종단에서 하부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121)의 하부는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공간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격벽(121) 내부에도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가 들어오게 된다.
이때,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된다. 즉, 측면판(121-2)의 종단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 시 세정수에 잠기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변기홀(151)로 배출되었을 때의 수위를 말한다. 이 경우, 격벽(121) 내의 공기는 항상 변기 저수조(155) 내의 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격벽(121)을 통해 공기 처리부(106)는 변기 저수조(155) 내에서 독립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는, 격벽(121)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격벽(12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1)은 변기 저수조(15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저수조(155)와 별개로 제조된 후, 변기 저수조(155) 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공기 배출부(124)는 격벽(121) 내에 형성된다. 공기 배출부(124)는 변기 저수조(155)의 깊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는 고정부(127)를 통해 변기 저수조(15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은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과 연결된다. 이때,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은 연결부(129)를 통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의 내부는 중공(中空)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내부에도 세정수가 들어오게 된다. 공기 배출부(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은 공기 배출부(12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공기 배출부(124)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들 간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통홀(131)들의 크기는 일정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31)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배출부(124)는 제1 공기 통로부(102)로부터 유입된 오염 공기를 변기 저수조(155) 내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 통로부(102)를 통해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에 녹아들거나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공기 통로부(108)의 일측은 공기 처리부(106)에 연결되고, 제2 공기 통로부(108)의 타측은 외부 공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공간은 실외(예를 들어, 옥상 등)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공간은 하수구와 같이 오물 등을 배출하는 도구의 내부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제2 공기 통로부(108)는 예를 들어, 덕트, 파이프, 호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제2 공기 통로부(108) 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예를 들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제2 공기 통로부(108) 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처리부(106) 내의 오염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하기 위해 펌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04)와 제2 공기 흡입부(110)로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제1 공기 흡입부(104)와 제2 공기 흡입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세정수의 최대 수위는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변기홀로 배출된 이후 변기 저수조 내로 세정수가 다시 공급되어 차오를 때의 최대 수위를 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시킨다(①). 그러면,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통로부(102)를 따라 이동하다가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다(②).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최대 수위인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대부분은 세정수에 잠긴 상태로 있게 된다. 제1 공기 흡입부(104)가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는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일측에서 오염 공기가 뿜어져 나오면서 공기 배출부(124) 내의 세정수에 녹아들게 된다(③). 그리고,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 통로(159)를 통해 변기홀(151)로 배출되게 된다(④). 다음으로, 변기홀(151)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변기 탱크(미도시)로 빠져나가게 된다(⑤).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오염 공기가 녹아들수록 점차 오염된다. 그러나,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는 사용자가 변기(150)를 사용함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변기홀(151)로 배출되고 새로운 세정수로 자연스럽게 교체가 되기 때문에,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를 인위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변기홀(151)의 오염 공기가 녹아든 세정수가 사용자의 변기(150) 사용에 따라 하루에도 몇 번씩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장실 내의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 배출부(124)의 관통홀(131)이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대 수위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관통홀(131)을 통해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에서,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변기홀 내의 오염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변기홀(151) 내의 오염 공기를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시킨다(①'). 그러면, 제1 공기 통로부(102)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통로부(102)를 따라 이동하다가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다(②'). 여기서,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가 최저 수위인 경우, 공기 배출부(124)의 관통홀(131)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공기 배출부(124)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관통홀(131)을 통해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③'). 격벽(121)의 측면판(121-2)은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된 오염 공기는 격벽(121) 내의 공간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 중 일부는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에 녹아들수 있다. 오염 공기가 녹아든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④ 및 ⑤ 과정을 통해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를 제2 공기 통로부(108)로 유입시킨다(④'). 그러면,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제2 공기 흡입부(110)가 작동하지 않는 동안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는 격벽(121) 내의 공간에서 밀폐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가 화장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격벽(121) 내에 존재하는 외부 공간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흡입부(110)가 동작하면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다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 공간에서 실내로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처리 장치(100)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31)이 공기 배출부(12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공기 배출부(124)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경우,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 배출부(124)를 통해 배출되는 오염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오염 공간 내의 오염도가 높은 경우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최저 수위로 조절하면, 모든 관통홀(131)들이 격벽(121) 내에서 공기 중에 노출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오염 공기가 관통홀(131)을 통해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는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격벽(121) 내의 공간으로 많은 양의 오염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제2 공기 흡입부(110)의 흡입 세기를 강하게 하여 격벽(121) 내의 오염 공기를 신속하게 제2 공기 통로부(108)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 공간 내의 오염도에 따라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격벽(121) 내로 배출된 오염 공기의 양(또는 변기 저수조(155) 내의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제2 공기 흡입부(110)의 흡입 세기를 조절하여 오염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기 통로부(102)의 일측은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오염 공간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는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공기 처리부(106)로 유입되어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거나 제2 공기 흡입부(104) 및 제2 공기 통로부(108)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는 오염 공간으로 변기홀, 화장실, 부엌 등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공간(예를 들어, 거실, 베란다, 쓰레기 저장소, 흡연실, 휴게실, 사무실, 연구실, 독서실, 및 산소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장소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기 저수조(155) 내에 두 개의 공기 처리부(106-1, 106-2)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처리부(106-1)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부(102) 및 제1 공기 흡입부(104)를 통해 유입된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하거나 제2 공기 통로부(108) 및 제2 공기 흡입부(110)를 통해 제1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제3 공기 통로부(162)의 일측은 제2 공기 처리부(106-2)에 연결(보다 자세하게는 제2 공기 처리부(106-2)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고, 제3 공기 통로부(162)의 타측은 제2 외부 공간에 연결된다. 이때, 제2 외부 공간은 제1 외부 공간과는 별개의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외부 공간은 건물 외부의 공간일 수 있다. 제3 공기 흡입부(164)는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3 공기 통로부(162)로 유입시킨다. 이때, 제2 외부 공간의 공기에는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의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킬 때,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그대로 유입시킬 수도 있고,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필터링(또는 정화)한 후 유입시킬 수도 있다. 즉, 제3 공기 흡입부(164)는 제2 외부 공간에 포함된 이물질(예를 들어, 황사, 분진 가루, 송진 가루, 꽃가루 등)을 1차 필터링한 후 제2 공기 처리부(106-2)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제3 공기 흡입부(164)는 제2 외부 공간의 오염도에 따라 흡입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4 공기 통로부(168)의 일측은 제2 공기 처리부(106-2)에 연결(보다 자세하게는 제2 공기 처리부(106-2)의 격벽에 연결)되고, 제4 공기 통로부(168)의 타측은 실내 공간에 연결된다. 여기서, 실내 공간은 안방, 공부방, 거실, 부엌, 화장실, 휴게실 등이 될 수 있다. 제4 공기 흡입부(170)는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의 공기를 제4 공기 통로부(168)로 유입시킨다.
여기서, 제3 공기 통로부(162) 및 제3 공기 흡입부(164)를 통해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2 공기 처리부(106-2)로 유입시키면, 제2 외부 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예를 들어,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은 시간이 지날수록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에서 변기 저수조(155)의 세정수로 가라 앉아 세정수에 녹아들게 된다. 이때, 이물질이 녹아든 세정수는 변기홀(151)을 거쳐 변기 탱크(미도시)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면,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가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제4 공기 흡입부(170)가 제2 공기 처리부(106-2) 내의 이물질이 제거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제4 공기 통로부(168)로 유입시켜 실내 공간으로 배출한다. 이 경우, 실내 공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게 된다.
제2 공기 처리부(106-2)는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건물 외부(예를 들어, 시골과 같이 공기가 깨끗하다고 여겨지는 장소)의 공기라 하더라도 공기 중에는 황사, 송진 가루, 분진 가루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그대로 실내로 유입시키면 오히려 거주자의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공기 처리부(106-2)를 통해 이물질이 포함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한 후에 실내 공간으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거주자가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시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공기 처리부(106-1)를 통해서는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변기 탱크(미도시) 또는 제1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여 오염 공기를 처리하도록 하고, 제2 공기 처리부(106-2)를 통해서는 제2 외부 공간의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변기 저수조(155) 내에 제1 공기 처리부(106-1) 및 제2 공기 처리부(106-2)가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기 저수조(155) 내에는 제1 공기 처리부(106-1) 및 제2 공기 처리부(106-2)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0 : 공기 처리 장치 102 : 제1 공기 통로부
104 : 제1 공기 흡입부 106 : 공기 처리부
108 : 제2 공기 통로부 110 : 제2 공기 흡입부
121 : 격벽 121-1 : 상부판
121-2 : 측면판 124 : 공기 배출부
127 : 고정부 129 : 연결부
131 : 관통홀 150 : 변기
151 : 변기홀 153 : 변기 커버
155 : 변기 저수조 157 : 변기 저수조 뚜껑
159 : 연결 통로 162 : 제3 공기 통로부
164 : 제3 공기 흡입부 168 : 제4 공기 통로부
170 : 제4 공기 흡입부

Claims (10)

  1.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오염 공간과 연결되는 제1 공기 통로부;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1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 공기를 상기 격벽 내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제1 공기 처리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공기 배출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상기 공기 배출부를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는, 공기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상기 오염 공간 내의 오염도에 따라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일측이 상기 격벽 내의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제2 공기 통로부; 및
    상기 격벽 내의 오염 공기를 상기 제2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상기 격벽 내로 배출된 오염 공기의 양 또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수위에 따라 흡입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 형성되는 상부판; 및
    상기 상부판의 종단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종단이 상기 변기 저수조의 하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하단은,
    상기 변기 저수조 내의 세정수의 최저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는, 공기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염 공간은,
    변기 내의 변기홀, 화장실, 부엌, 거실, 베란다, 흡연실, 휴게실, 쓰레기 저장소, 사무실, 연구실, 독서실, 및 산소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미만인 장소 중 적어도 하나인, 공기 처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처리 장치는,
    상기 변기 저수조 내에서 상기 제1 공기 처리부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공기 처리부;
    일측이 제2 외부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공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제3 공기 통로부;
    상기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3 공기 흡입부;
    일측이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내 공간과 연결되는 제4 공기 통로부; 및
    상기 제2 공기 처리부의 격벽 내의 공기를 상기 제4 공기 통로부로 유입시키는 제4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기 흡입부는,
    상기 제3 공기 통로부로 유입된 제2 외부 공간의 공기를 필터링 한 후 상기 제2 공기 처리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처리 장치.
PCT/KR2014/001037 2013-02-07 2014-02-06 공기 처리 장치 WO201412337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66,736 US10760256B2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CN201480007429.1A CN104968867B (zh) 2013-02-07 2014-02-06 空气处理装置
JP2015555928A JP6116708B2 (ja) 2013-02-07 2014-02-06 空気処理装置
EP14749196.3A EP2955289A4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AU2014215853A AU2014215853B2 (en) 2013-02-07 2014-02-06 Air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895A KR101446577B1 (ko) 2013-02-07 2013-02-07 공기 처리 장치
KR10-2013-0013895 2013-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3377A1 true WO2014123377A1 (ko) 2014-08-14

Family

ID=51299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1037 WO2014123377A1 (ko) 2013-02-07 2014-02-06 공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60256B2 (ko)
EP (1) EP2955289A4 (ko)
JP (1) JP6116708B2 (ko)
KR (1) KR101446577B1 (ko)
CN (1) CN104968867B (ko)
AU (1) AU2014215853B2 (ko)
WO (1) WO2014123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69B1 (ko) * 2018-05-14 2020-07-03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702004B1 (ko) * 2018-08-21 2024-09-03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KR102475264B1 (ko) * 2019-09-02 2022-12-08 노태식 공기 정화 처리 장치
CN114364849B (zh) * 2019-09-02 2024-08-09 盧泰植 空气净化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53A (ja) * 1996-09-24 1998-04-14 Denso Corp 便器用脱臭装置
KR200262167Y1 (ko) 2001-09-04 2002-03-18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JP2012207488A (ja) * 2011-03-30 2012-10-25 Lixil Corp 便器洗浄装置
KR20130002392A (ko) * 2011-06-29 2013-01-08 김형선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970A (en) * 1971-11-15 1974-02-12 Pk Prod Inc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US4166298A (en) * 1976-02-20 1979-09-04 Pearson Raymond H Deodorizer for toilets
US4165544A (en) * 1978-05-15 1979-08-28 Barry Bill H Odorless toilet stool
US4251888A (en) * 1979-04-20 1981-02-24 Turner William F Ventilating toilet seat
US4232406A (en) * 1979-05-18 1980-11-11 Beeghly Lester R Water closet ventilating system with vacuum breaker valve
US4318192A (en) * 1979-10-31 1982-03-09 Williams Jack D Ventilated toilet
US4590629A (en) * 1984-07-27 1986-05-27 Lusk Leonard A Toilet ventilating device
US4864664A (en) * 1988-10-07 1989-09-12 Higgins Dale C Vent system
US5010600A (en) * 1990-02-16 1991-04-30 Anthony Prisco Toilet odor removal system
JPH0594375U (ja) * 1992-05-27 1993-12-2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脱臭装置
US5361422A (en) * 1993-05-21 1994-11-08 Ray T. Vincent Toilet ventilating system
US5321856A (en) * 1993-09-30 1994-06-21 Ignacio Gastesi Flush toilet exhaust system
US5369813A (en) * 1993-12-10 1994-12-06 Goddard; Lewis W. Self-contained toilet venting system
US5727262A (en) * 1994-07-29 1998-03-17 Littlejohn; George C. Bathroom ventilator
US5519899A (en) * 1994-09-26 1996-05-28 Taylor; Raymond J. Toilet odor venting apparatus with improved retrofit capability
US5718005A (en) * 1995-10-06 1998-02-17 Ng; Kamsik Foul air remover for toilet system
JP3038666U (ja) * 1996-12-11 1997-06-24 明風 梁 便器除臭装置
US6202226B1 (en) * 2000-06-29 2001-03-20 Albert Glenn Shoptaugh Portable waste odor collection apparatus
US20020194670A1 (en) * 2000-12-20 2002-12-26 Hashemi Amin H. Ventilation system for malodorous air removal
CN2553019Y (zh) * 2002-07-03 2003-05-28 丁正吉 一种即时排出便臭气味的座便器
JP4994089B2 (ja) * 2007-04-04 2012-08-08 株式会社Lixil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
US20080307570A1 (en) * 2007-06-14 2008-12-18 Howard Marks Toilet odor elimination device
US20090056007A1 (en) * 2007-08-27 2009-03-05 Pham Hoang V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KR20100071633A (ko) * 2008-12-19 2010-06-29 김원길 냄새 배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US20130086736A1 (en) * 2010-06-11 2013-04-11 Rene Larouche Toilet ventilation device
CN202450599U (zh) * 2011-06-25 2012-09-26 胡怡 水箱盖式马桶抽臭气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53A (ja) * 1996-09-24 1998-04-14 Denso Corp 便器用脱臭装置
KR200262167Y1 (ko) 2001-09-04 2002-03-18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JP2012207488A (ja) * 2011-03-30 2012-10-25 Lixil Corp 便器洗浄装置
KR20130002392A (ko) * 2011-06-29 2013-01-08 김형선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55289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76885A1 (en) 2015-12-31
CN104968867A (zh) 2015-10-07
JP2016511020A (ja) 2016-04-14
EP2955289A1 (en) 2015-12-16
EP2955289A4 (en) 2016-10-05
JP6116708B2 (ja) 2017-04-19
CN104968867B (zh) 2016-11-09
US10760256B2 (en) 2020-09-01
KR101446577B1 (ko) 2014-10-07
KR20140100760A (ko) 2014-08-18
AU2014215853A1 (en) 2015-08-20
AU2014215853B2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8919A1 (ko) 화장실 환풍 시스템
WO2014123377A1 (ko) 공기 처리 장치
WO2020105887A1 (ko) 양돈시설 환기시스템
CN104652565B (zh) 一种抽风除臭便器及其抽风除臭装置
WO2018139832A1 (ko) 분뇨 건조식 화장실
CN106522333A (zh) 一种厕所除臭系统
WO2014021684A2 (ko) 환기 시스템
WO2022124579A1 (ko) 살균정화장치
CN108624491B (zh) 一种可移动式pcr实验室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CN207113080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空气净化装置
WO2022015040A1 (ko) 기체 정화 장치
WO2022131456A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CN213348918U (zh) 一种带可检测前窗气流装置的生物安全柜
CN213728455U (zh) 一种环保型实验室通风柜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CN206625312U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系统
KR100976169B1 (ko) 공기정화 살균시스템
WO2021045490A2 (ko) 공기 정화 처리 장치
WO2017222091A1 (ko) 배출관로를 이용한 내장형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200034384A (ko) 실내공기 청정기
CN216722656U (zh) 一种水流扩散均匀的禽类负压隔离器
CN221255647U (zh) 一种无臭化卫生间排气系统
CN210772526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220083226U (zh) 一种社区公共卫生除异味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9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49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55928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66736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21585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40206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