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4617A1 -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4617A1
WO2014084617A1 PCT/KR2013/010884 KR2013010884W WO2014084617A1 WO 2014084617 A1 WO2014084617 A1 WO 2014084617A1 KR 2013010884 W KR2013010884 W KR 2013010884W WO 2014084617 A1 WO2014084617 A1 WO 20140846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dget
smart device
changing
cont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8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3700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7292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201370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8039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라
Priority to JP201554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502199A/ja
Priority to CN201380062509.2A priority patent/CN104823145A/zh
Publication of WO20140846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4617A1/ko
Priority to US14/724,566 priority patent/US201503390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sma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widget installed on a screen of a smart device.
  • Smartphones do not simply function as mobile phones, but as small computers in the palm of your hand, enabling a variety of functions not previously see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new services.
  • Smart devices have many features, but their screens are small, requiring different designs for the user interface.
  • Various icons were placed on the screen. Some icons invoke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on a smart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Some icons call and execute software that sets the functionality of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Some icons function as a kind of widget, which allows you to access and use specific content without going through a browser.
  • the distribution of mobile content takes place in two ways.
  • One is how the application server that provides the content pushes it to the device. This is most often done via email, sending a message with a link, or using a specific application screen running on the device.
  • Much o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push method is perceived as spam, which may cause psychological discomfort for the user.
  • Another method is a pull method in which a user accesses a page with content. Due to the spontaneity of the user, the content is distributed, which does not cause the user's psychological discomfort.
  • there was a limit in terms of the wide distribution of content because it had to be included in a “voluntary choice” among numerous contents.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egan to study the 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user. Because there is a psychological driver of the user's behavior,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some psychological reason for executing a series of events using the device. In addition, the series of user behaviors in the device environment was analyzed to be based on one of (1) interest from curiosity, (2) the expectation of a new event, and (3) the expectation of economic compensa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search efforts to relate it to the content distribution of the pull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access and distribution of the content by providing the content in conjunction with the new concept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device that functions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such a system.
  •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 content in response to a widget that is visually changing on the smart device screen:
  • the visibl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may be a form of the changing widget.
  • the visibl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may be a color of the changing widget.
  • the visibl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is such that the changing widget is located on a user screen. It may be to change the coordinate value.
  • the smart device is a smart phone
  • the changing widget is It may be displayed on a preset area of the unlock screen and change visually.
  • the smart device is a smart phone
  • the changing widget is It may be visually changed while being displayed on a preset area of the home screen.
  • the content that is called in the step (c)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 the conten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hape, color, or position of the changing widget at the time of the selection event of step (b).
  • the content is called in the step (c) is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May be one of a mobile coupon, an information page, advertisement content, giveaway content, and message conten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corresponding reward to an account of the smart device.
  • the smart device is preferably a smartphone, tablet PC or smart TV.
  •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above method
  • a module for displaying a changing widget that is visually changed on a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 a module for recognizing a selection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of the input means of the smart device
  • a module for calling and displa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ing widget to a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And a module for calling and displa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ing widget to a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 a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 content in response to a widget that is visually changing on a smart device screen:
  • a smart device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executes a changing widget which is visually changed and displayed on a user screen;
  • An application server for providing and managing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to the smart device.
  •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 servers that register content in advance through the application server and provid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event to the smart device as a selection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occurs; Including;
  • the content that is called to the user screen of the smar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hange an environment.
  •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device
  • a display having a user interface
  • Input means and output means for performing input and output via the display
  •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processor executes a changing widge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and visually changes the changing widget on the user screen of the display.
  • the input means When the input means generates a selection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ing widget is called and displayed on the user screen of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event.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reated a user environment that can maximize the spontaneity of the user.
  • the user is “voluntarily” accessing the hidden content by “voluntarily” selecting a widget that is attracted from curiosity and interest and is visible on the screen of their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by visibly changing the widget and causing the content to change in response to the change event,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tent that can be enjoyable to the user, and associating the possibility with chance, It has a greatly increased advantage.
  • the user wakes up the smartphone which is habitually asleep for no particular reason. Many are just habits. And this habit comes from the expectation, "Is there anything new (message or information)?"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rings a new user experience because it can provide that 'something'.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electron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various changes of the changing widge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a position of a user screen on which the changing widge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hanging widget 150 and their visible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6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widget 150 and the content 170 that is called while changing corresponding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of FIG. 6 in more detail.
  • FIG. 8 is a flow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overall process configuration of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changing widget” refers to a widget whose shape, color, and / or location are changed randomly 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on a smart device display screen.
  • the widget 150 is installed in an area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installed changing widget 150 changes its shape, color, and / or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by a predetermined rule or randomly.
  • the application server 200 provides this changing widget 150 and builds a plurality of databases.
  • the database 210 may record information about the user device on which the changing widget 150 is installed.
  • the database 220 may record a history of selection events for the changing widget 150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database 230 may store and manage the content 230 provided to the smar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hanging widget 150.
  • a databas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content provider servers 300, 301, and 302 that provide content, and a database for recording user reward or billing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application server 200 manages a changing widget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device, updates data, and adds, changes, or deletes an installed function.
  • the smart device 100 connects to the application server 200 and installs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on the device.
  • a selection event such as the input means touching the changing widget 150 occurs
  •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event time is displayed on the device screen.
  • thi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event of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executed by connecting to the application server 200.
  • the application server 200 can be executed by recording only the content history and directly connecting the site of the content provider server 300, 301, 302 that provides the content.
  • the content provider server 300, 301, or 302 may register content in advance with the application server 200. You can register the content directly, or you can register the link.
  • the content here may be a combination of text, image, and sound.
  • the content may be accessing a web page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servers 300, 301, and 302.
  • the content may be moving image content.
  • the content may be data or a medium having some information. For example, coupons or tickets.
  •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3G and LTE or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 a smart device is a comput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mart TV linked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nd a smartphone or a tablet PC.
  • the input device 109 receives an input event executed by the input means.
  • the input device 109 is a touch screen and transmits a touch event to the processor.
  • the input device 109 of the smart TV may use input means of a smartphone or tablet PC to which the smart TV is linked.
  • the input device 109 of the smart TV may be a remote controller communicating wirelessly or a mouse executing a remote controller function.
  • the communication module 108 exchanges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input / output events via the changing widget is proce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08.
  •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 GPS module 107.
  •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display and execution of the changing widget, and in particular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ensures th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in the GUI element and controls it to be executed by the application software.
  • the internal memory 120 of the smart device generally provides a place for storing computer code and data used in the device.
  • the internal memor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ource 122 necessary for executing and managing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121 and the changing widget, and a database 123 storing various histories and downloaded content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hanging widget. ) Can be stored.
  • the content called in response to the changing widget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120 of the device.
  • the content to be called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widget may be a content built in the database of the external server, that is, the application server 200 or the content provider server (300, 301, 302).
  • the processor 110 executes computer code together with an operating system to generate and use data.
  • the processor 110 may also receive and process input and output data between components of the smart device using a series of instructions.
  • the processor 110 serves as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oftware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 the processor 110 executes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 device, and executes a function to visually change the changing widget on the user screen of the display.
  • the input unit when the input unit generates a selection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it executes a function of call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ing widget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event and displaying the content on the user screen of the display.
  • the display 106 and the speaker 105 of the smart device function as an output device of the smart device.
  • the changing widget is placed in some layer on the user interface of the display 106.
  • the changing widget 15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change its shape, color, and / or loc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randomly according to a rule set by the application server. That is, although only one widget is installed on the device screen, the widget 1 may be changed into a widget 1 151, a widget 2 152, a widget 3 153, and a widget N 154 according to a change event.
  • the selection event occurs by the input means 50 forming the touch point 51 on one of the widgets of the changing widget 150.
  • the changing widget 150 has been changed to a certain widget 151.
  •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dget 1 151 is displayed on the device.
  • Content corresponding to other widgets is not displayed.
  • the user can only know that the widget 150 is being changed, and not knowing what content is hidden,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user's curiosity and interest can be induced.
  • FIG. 4 illustrates two embodiments related to the location where the changing widge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smart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mobile device.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ize, specific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widget.
  • 4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anging widget 150 is displayed on the unlock screen
  • FIG. 4B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hanging widget 150 i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 the changing widge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nlock screen 101.
  • the unlock screen 101 is called.
  • the changing widget 150 is also called.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position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unlock screen 101, preferably at the top of the unlock screen 101 to change its shape, color, and position.
  •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may access a module of the operating system software of the smart device 100 to acquire a function displayed at the top of the unlock screen 101.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displayed as a launcher (Laucher) on the unlock screen 101.
  • the content display area is acquired on the unlock screen 101 and the content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display area is acquired.
  • a process of displaying or (2) a process of transitioning to a screen displaying content registered in advance while executing a touch release of the touch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executed.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dispos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home screen 101a of the smart device 100.
  • the home screen 101a may have a plurality of pages, and if the changing widget 150 is located on a sub-screen (a screen which is only visible by a user's touch gesture) rather than the main screen (a screen that is visualized when unlocked), the user accessibility Since this is greatly limited, it may be configured that the changing widget 105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top of the main screen.
  • the other widgets 149 ie, icons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have various designs. Various shapes may be designed such as geometric shapes, colors, icons consisting of letters or symbols, and stereoscopic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changing widget 150 is particularly limited in design if it is an application component having means for recognizing a selection event of an input means, means for changing its shape and / or color, and means for providing pre-registered content to a user screen. It doesn't work.
  • FIG. 5 (a) shows that the color of the changing widget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color is indicated by hatching due to the format of the patent drawing).
  • the shape of the changing widget does not change, but it can be displayed with a predetermined rule or a random color change. Each time a widget of a different color is selected, different content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ly.
  • the changing widge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ccompanied by various visual changes such as color change or brightness of color.
  • FIG. 5B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geometry of the changing widget located on the user screen is changed.
  •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widget may indicate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widget has changed. Since the geometric shapes are almost unlimited, the shapes shown in the figures are merely exemplary. There will be various applications.
  • a balloon-shaped change widget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embodiment of FIG. 5B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balloon.
  • the embodiment of FIG. 5B may be combin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5A.
  • Emoticons are a widely used design for users in computer networks, so they can be highly utilized as graphical user interfa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may be informed that the changed content exists due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emoticon.
  • the changing widget may be configured as a corporate logo.
  • This embodiment provides a user experience in which the changing widget can act as an advertising medium. By selecting the logo represented by the changing widget, you can access the advertising content of the company that uses the logo.
  • the changing widge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3D image, and the changing widget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may be configured to function as an interface of content that is correspondingly changed by rotating or chang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while changing the azimuth angle.
  •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changing widget of FIG. 5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 Another variation may be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changing widget.
  • the changing widget in a specific position (Position 1) of the user screen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Position 2)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cheduling.
  • the change widget located on the upper right side changes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 on the user screen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upper left side as time passes.
  • This change in location means a visible change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will also change.
  • the visibility of th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may be increased.
  •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includes a module of the application scheduler 160.
  • the application scheduler 160 may execute a real-tim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15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e.
  • the shape, color, and / or position of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chang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may be acquired and the shape, color, and / or location of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 the changing widget 150 may be changed at random.
  •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change method of the changing widget 150.
  • the application server may update the scheduling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cheduler 160.
  • the change of the changing widget 150 may involve an event in which the content 170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widget 150 is changed. That is, the changing widget 150 and the corresponding content 170 have matching relationship inform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scheduler 160 may be understood as performing a scheduling function of the content 170 that matches the changing widget 150. Whenever the registered content changes, the matching relationship will also change.
  • the changing widget 150 will display a visual change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while changing its shape or color in real time as described above.
  • the user will then fire some selection event while recognizing the change.
  • the prese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event.
  • the user may touch the changing widget 15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 the user's finger becomes technical means acting as an input means.
  • detecting a touch point where a touch event occurs is an input means.
  • the input means may include an input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pen.
  • the mobile “coupon” 171 may be displayed as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user screen.
  • the user can download the coupon to the memory, and can use it economically.
  • a mobile coupon a user can use a drink ticket, a performance ticket, a lodging ticket, a gas ticket, a discount ticket, and the like.
  • the changing widget 150 has been changed. Selecting this widget may be content 172 that provides some information this time. Preferably it may be news information. In addition, fortune-telling information, texts that contain sayings or proverbs, or other content may be provi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user. In other words, the content at this time is an information page.
  • the changing widget 150 has been changed again. Selecting this widget may be advertising content 173 this time. It may be advertisement content produced by a video or an image, and may also be connected to an advertiser's site where a link is registere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record an event of execut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173, and provide a preset reward for each event to the account of the smart device.
  • reward model advertising techniques are known in the art. However, not all users have access to advertising content with simple rewards. Most users have tended to ignore advertising content because of psychological discomfort rather than small rewards. However,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iosity about what the changing widget 150 contains, and the reward itself can be combined with this curiosity, which can lead to a greater att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vertising content can be more easily voluntarily accessed and spread.
  • the changing widget 150 is selected, but “Sorry. None this time ”may pop up.
  • “nothing” can also be acted as a content. It's a kind of message content.
  • the changing widget 150 has been changed again. Selecting this widget can present the giveaway content 174 this time. The user may download the prize content 174 into the memory and receive the prize.
  • the smart device will have a changing widget application installed.
  • the user can set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changing widget application. For example, whether the application is running, execution time, and changing conditions of the changing widget.
  • the smart device displays the changing widget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user screen (S100).
  • the changing widget of step S100 may be displayed on the unlock screen.
  • the changing widget of step S100 may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 the changing widget of step S100 may change its shape, color, and / or position as described above.
  • the input means of the smart device generates a selection event on the changing widget (S110).
  • a touch event may occur in a mobile device and a selection event in a remote place in a smart TV.
  •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hanging widget at the time of selection is called and output through the screen of the smart device (S120). This may be simply displaying or playing content on the screen. It may also be to access a linked site.
  • the content simply provides information only, and there may be no special content.
  • the content may give a financial reward to the user.
  • the smar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ward in response to the event in which the user accesses the corresponding content (S130).
  • the reward event is provided to the smart device account and recorded (S140).
  • a method of providing different content in response to a widget that is visually changed on a smart device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to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software module for executing a process as described above.
  • a module includes a module for displaying a changing widget that is visually changed on a user screen of a smart device, a module for recognizing a selection event for the changing widget of an input means of the smart device, and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ing widget. It includes a module to call and display the user screen of the device.
  • each block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compris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 a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 the functions not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 th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execut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을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콘텐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설치된 위젯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계통과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서 광범위한 콘텐트가 유통되고 있다. 콘텐트의 유통은 전통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활성화되었다. 중심이 되는 하드웨어는 PC였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보급과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점점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콘텐트의 유통이 중시되고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시장이 모바일 산업의 중심을 차지하자, 종래의 피처 폰 중심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단순히 휴대 전화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손 안의 작은 컴퓨터로 기능함으로써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었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는 수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화면이 작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여러 가지 설계가 필요했다. 다양한 아이콘들이 화면에 배치되었다. 어떤 아이콘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기능을 실행한다. 어떤 아이콘은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설정하는 소프트웨어를 호출하여 실행한다. 또 어떤 아이콘은 일종의 위젯(widget)으로 기능하면서 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특정한 콘텐트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모바일 콘텐트의 이용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인기도는 결국 아이콘이나 위젯을 얼마나 자주 사용자가 선택하여 실행하느냐에 달려 있다. 문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다양하고 많은 아이콘과 위젯이 설치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런 아이콘과 위젯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이미지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미지 차별성”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어떤 “유혹”도 없었다.
모바일 콘텐트의 유통은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나는 콘텐트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디바이스로 푸시하는 방법이다. 이런 방법은 대부분 이메일을 통한 통신, 링크를 포함한 메시지의 전송, 디바이스에서 실행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이용한 전송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푸시 방법으로 제공되는 콘텐트의 상당수는 스팸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심리적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사용자가 콘텐트가 있는 페이지에 접근하는 풀(Pull) 방법이다. 사용자의 자발성에 기인하여 콘텐트가 유통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심리적 불쾌감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수많은 콘텐트 중에서 “자발적인 선택”에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콘텐트의 광범위한 유통 관점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의 즐거움은 존중되어야 한다. 단기적인 효과를 위해서 콘텐트를 푸시했지만 그것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한다면 지속적인 콘텐트 유통은 불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풀 방식의 콘텐트 유통이 바람직한 방법으로 선호될 것이다. 두 가지의 해결 방안이 강구될 수 있다. 첫째 푸시 방법을 선택하되 사용자의 개인정보, 즉 성별, 연령, 위치, 분석된 행동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맞춤 콘텐트를 푸시하는 방법이다. 둘째 풀 방법을 선택하되 사용자의 자발적인 선택을 유인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후자의 방법을 택함으로써 풀 방식의 종래 콘텐트 제공 방법의 단점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사용자의 심리학적인 행동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사용자의 행동에는 심리적인 동인이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일련의 이벤트를 실행할 때에도 어떤 심리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그리고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사용자들의 일련의 행위는 (1) 호기심으로부터 비롯된 흥미, (2) 새로운 이벤트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 (3) 경제적인 보상에 대한 기대 중 어느 하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를 풀 방식의 콘텐트 유통과 연관시키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 이벤트를 유인하는 새로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트를 호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콘텐트를 제공함으로써 콘텐트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과 유통의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런 시스템의 필수 구성요소로 기능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을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형태가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색상이 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이 사용자 화면에서 위치하는 좌표값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체인징 위젯은 잠금해제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며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체인징 위젯은 홈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면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상기 (b) 단계의 선택 이벤트 시점의 체인징 위젯의 형태, 색상 또는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 콘텐트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모바일 쿠폰, 정보 페이지, 광고 콘텐트, 경품 콘텐트, 메시지 콘텐트 중 어느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d)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리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계정으로 해당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위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모듈;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의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모듈; 및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며 표시되는 체인징 위젯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상기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콘텐트를 미리 등록하며,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복수의 콘텐트 제공자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되는 상기 콘텐트도 달라지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출력을 실행하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 모듈;
내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서 체인징 위젯을 가시적으로 변동시키며,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자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기심과 흥미로부터 유인되어 자신의 디바이스 화면 위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을 “자발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숨어 있는 콘텐트에 "자발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모든 콘텐트가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웹과 앱 상에서 존재하는 헤아리기 많을 정도로 많은 콘텐트의 수를 볼 때, 단지 콘텐트가 불만족스럽다고 해서 사용자가 무조건 외면한다고 보기 어렵다. 어떤 콘텐트는 “우연히” 그리고 다른 콘텐트는 필연적으로 사용자를 만족시킬 것이다. 그러나 모든 콘텐트로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젯을 가시적으로 변화시키고, 그 변화 이벤트에 대응하여 콘텐트 또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기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콘텐트의 가능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그 가능성을 우연성과 연관시킴으로써 활용가능성을 크게 높인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잠들어 있는 스마트폰을 깨운다. 상당수는 단지 습관에서 비롯된 행위이다. 그리고 이 습관은 “혹시 뭔가 새로운 것(메시지 혹은 정보)이 없나?”라는 기대감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그 '뭔가'를 제공할 수 있는 까닭에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불러온다.
이로써 콘텐트의 유통은 더욱 확산될 것이다. 광고 콘텐트조차 예외가 되지 않는다. 심리적 불쾌감보다는 자기가 선택한 우연적 행위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 전자적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체인징 위젯(150)의 다양한 변화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징 위젯(150)이 표시되는 사용자 화면의 위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징 위젯(150)과 그것들의 가시적인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체인징 위젯(150)과 그에 대응하여 바뀌면서 호출되는 콘텐트(170)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먼저 본 발명의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배지 또는 위젯으로서, 입력수단이 그것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콘텐트를 제공하거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콘텐트를 제공하는 소형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컴포넌트는 본 명세서에서 모두 “위젯”으로 통칭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홈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은 본 명세서 모두 “위젯”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체인징 위젯”은 스마트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가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서 또는 랜덤하게 변경되는 위젯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어떤 영역에 위젯(150)이 설치되며, 설치된 체인징 위젯(150)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또는 랜덤하게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서 그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를 변경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이 체인징 위젯(150)을 제공하며,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210)는 체인징 위젯(150)을 설치한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체인징 위젯(150)에 대한 선택 이벤트의 이력을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체인징 위젯(150)의 실행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제공되는 콘텐트(230)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밖에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 서버들(300, 301, 302)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리워드 또는 과금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며, 설치된 기능을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접속하여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에 설치한다. 체인징 위젯(150)을 입력수단이 터치하는 등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되면, 선택 이벤트 시점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디바이스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체인징 위젯(150)의 체인징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 콘텐트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접속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콘텐트 이력만을 기록하고, 디바이스(100)가 해당 콘텐트를 제공하는 콘텐트 제공자 서버(300, 301, 302)의 사이트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콘텐트 제공자 서버(300, 301, 30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콘텐트를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콘텐트를 직접 등록할 수도 있으며, 링크를 등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의 콘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들의 조합일 수 있다. 콘텐트는 콘텐트 제공자 서버(300, 301, 302)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일 수 있다. 콘텐트는 동영상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어떤 정보를 갖는 데이터 혹은 매체일 수 있다. 예컨대 쿠폰이나 티켓 등이 그러하다.
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3G, LTE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인터넷 등의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컴퓨팅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연동되는 스마트 TV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 전자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입력장치(109)는 입력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는 입력장치(109)는 터치스크린이며, 터치 이벤트를 프로세서에 전달한다. 스마트 TV의 입력장치(109)는 연동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TV의 입력장치(109)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리모콘이나 리모콘 기능을 실행하는 마우스일 수 있다.
통신 모듈(108)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한다. 체인징 위젯을 매개로 하는 각종 입출력 이벤트의 송수신은 통신 모듈(108)을 통해 처리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GPS 모듈(107)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체인징 위젯의 설치, 표시 및 실행에 관련한 프로세스의 처리를 제어하며, 특히 GUI 요소에서의 체인징 위젯의 변화를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보장하고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120)에는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 메모리(120)는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121)과 체인징 위젯을 실행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리소스(122)와, 체인징 위젯의 실행에 따른 다양한 이력과 다운로드 된 콘텐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3)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체인징 위젯에 대응해서 호출되는 콘텐트는 디바이스의 내부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인징 위젯에 대응해서 호출되는 콘텐트는 외부 서버, 즉 애플리케이션 서버(200) 또는 콘텐트 제공자 서버(300, 301, 302)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콘텐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운영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일련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110)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서 체인징 위젯을 가시적으로 변동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입력수단이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06)와 스피커(105)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출력 장치로 기능한다. 체인징 위젯은 디스플레이(10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어떤 계층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체인징 위젯(150)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스마트 디바이스(100) 화면에 체인징 위젯(150)이 표시된다. 체인징 위젯(15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서 설정된 규칙에 따라서 그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를 정해진 시간 간격 혹은 랜덤하게 변경할 것이다. 즉, 디바이스 화면에 설치된 위젯은 1개이지만 변동 이벤트에 따라서 위젯 1(151), 위젯 2(152), 위젯 3(153), 위젯 N(154)로 바뀔 수 있다.
예컨대 입력수단(50)이 체인징 위젯(150) 중 어느 하나의 위젯 위에 터치 지점(51)을 형성함으로써 선택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그 시점에서 체인징 위젯(150)은 어떤 위젯(151)으로 변경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위젯 1(151)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디바이스에 표시된다. 다른 위젯들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위젯(150)이 변경되고 있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 어떤 콘텐트가 숨어 있는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호기심과 흥미가 유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체인징 위젯(150)이 스마트 디바이스(100),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위치에 관련한 두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 위젯의 크기, 구체적인 배치와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는 잠금해제화면에서 체인징 위젯(150)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 4(b)는 홈 화면에서 체인징 위젯(150)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체인징 위젯(150)은 잠금해제화면(10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슬립 모드에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해 입력수단을 누르면 이와 같이 잠금해제화면(101)이 호출된다. 이때 체인징 위젯(150)도 함께 호출된다. 잠금해제화면(101)의 특정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잠금해제화면(101)의 상단에 체인징 위젯(150)이 위치하여 그 형태, 색상,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의 모듈에 접근하여 잠금해제화면(101)의 상단에 표시되는 기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체인징 위젯(150)이 잠금해제화면(101) 위에서 런처(Laucher)로 기능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입력수단이 체인징 위젯(150)에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1) 잠금해제화면(101) 위에서 콘텐트 표시 영역을 획득하여 해당 콘텐트 표시 영역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프로세스, 또는 (2) 체인징 위젯(150)에 대한 터치 이벤트가 잠금해제를 실행하면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행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홈화면(101a)의 특정 위치에 체인징 위젯(150)이 배치될 수 있다. 홈화면(101a)는 복수의 페이지를 가질 수 있고, 메인화면(잠금해제가 되면 가시화되는 화면)이 아닌 서브 화면(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서만 가시화되는 화면)에 체인징 위젯(150)이 있으면 사용자 접근성이 크게 제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메인화면의 상단에 체인징 위젯(105)이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위젯(149, 즉 아이콘)과 함께 배열되면서 상단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혹은 다른 위젯(149)이 이격되어 배열되면서 구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체인징 위젯(150)의 형태/색상 변화를 예시하였다. 체인징 위젯(150)은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 색상, 문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아이콘, 화면 위에 표시되는 입체적 영상 등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체인징 위젯(150)은 입력수단의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수단, 그 형태 및/또는 색상을 변경하는 수단, 그리고 미리 등록되어 있는 콘텐트를 사용자 화면에 제공하는 수단을 갖는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라면 그 디자인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는 체인징 위젯의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특허도면의 포맷으로 인해 색상을 빗금으로 나타냈다). 체인징 위젯의 형태는 변화하지 않지만 미리 정해진 규칙 혹은 랜덤하게 색상이 바뀌면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이한 색상의 위젯을 선택할 때마다 그것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인징 위젯의 색채가 바뀌거나 색상의 명도가 바뀌는 등의 다양한 시각적 변화를 동반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 화면에 위치한 체인징 위젯의 기하학적 형태가 변경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위젯의 형태가 변했다는 것은 그것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기하학적 형태는 거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도면에 표시된 형태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다양한 응용예가 있을 것이다. 예컨대 풍선 형태의 체인징 위젯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위치하는데, 풍선의 크기가 바뀌는 것으로 도 5(b)의 실시예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b)의 실시예는 도 5(a)의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다.
도 5(c)의 실시예는 이모티콘의 형태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모티콘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높은 활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모티콘의 형태 변화로 변화된 콘텐트가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5(d)는 체인징 위젯이 기업의 로고로 구성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다. 본 실시예는 체인징 위젯이 광고 매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체인징 위젯이 나타내는 로고를 선택함으로써 그 로고를 사용하는 회사의 광고 콘텐트에 접근할 수 있다.
도 5(e)의 실시예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 체인징 위젯에 관한 예시이다. 3D 이미지 형태로 체인징 위젯이 구성될 수 있고, 이 입체적 형상의 체인징 위젯이 방위각을 변경하면서 회전하거나 입체적 형태를 바꿈으로써 그것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콘텐트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도 5의 체인징 위젯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그밖에 다른 변형예가 가능함을 첨언한다. 다른 변형예로서 체인징 위젯의 위치 이동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화면의 특정 위치(Position 1)에 있는 체인징 위젯이 스케줄링에 따라 화면에서의 위치(Position 2)를 변경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체인징 위젯이 시간이 흐르니 좌측 상단에 위치하도록 그 사용자 화면에서의 위치 좌표값을 변경한다. 이러한 위치 변경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가시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위치 변동에 따른 대응하는 콘텐트도 변경될 것이다. 전술한 형태 및/또는 색상의 변화와 위치 변동이 결합되면 체인징 위젯의 변화에 대한 가시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체인징 위젯(150)과 이에 대응하는 체인징 콘텐트(170)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160)의 모듈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160)는 체인징 위젯(150)의 실시간 변동을 정해진 스케줄에 맞게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체인징 위젯(150)의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습득하고, 그 정보에 대응하여 체인징 위젯(150)의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인징 위젯(150)을 랜덤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은 체인징 위젯(150)의 변경 방법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160)의 스케줄링 기능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인징 위젯(150)의 변경은 그것에 대응하는 콘텐트(170)가 변경되는 이벤트를 수반할 수 있다. 즉 체인징 위젯(150)과 대응 콘텐트(170)는 서로 매칭관계의 정보를 갖는다.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스케줄러(160)는 체인징 위젯(150)과 매칭되는 콘텐트(170)의 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등록되는 콘텐트가 변경될 때마다 매칭관계도 변경될 것이다.
도 7은 체인징 위젯(150)과 대응 콘텐트들(171, 172, 173, 174)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체인징 위젯(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그 형태를 바꾸거나 색채를 바꾸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각적인 변경을 표시할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그 변경을 인식하면서 어떤 선택 이벤트를 실행할 것이다.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콘텐트가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된 체인징 위젯(150)을 터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입력수단으로 작용하는 기술수단이 된다. 터치스크린의 관점에서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터치지점을 감지하는 것이 곧 입력수단이 된다. 이러한 핑거터치 이외에 입력수단은 전자펜과 같은 입력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사용자 화면으로 모바일 “쿠폰”(171)이 대응하는 콘텐트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쿠폰을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인 활용을 할 수 있다. 모바일 쿠폰으로 사용자는 음료권, 공연티켓, 숙박권, 주유권, 할인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체인징 위젯(150)이 변경되었다. 이 위젯을 선택하면 이번에는 어떤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트(172)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뉴스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운세정보, 명언이나 속담을 수록한 텍스트, 기타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트일 수 있다. 즉 이때의 콘텐트는 정보 페이지이다.
체인징 위젯(150)이 또 변경되었다. 이 위젯을 선택하면 이번에는 광고 콘텐트(173)일 수 있다. 동영상이나 이미지로 제작된 광고 콘텐트일 수 있으며, 또한 링크 등록되어 있는 광고주의 사이트로 접속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은 광고 콘텐트(173)를 실행한 이벤트를 기록하며, 이벤트마다 미리 설정된 리워드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워드 모델 광고 기법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기술이다. 그러나 모든 사용자가 단순한 리워드만으로 광고 콘텐트에 접근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소액의 리워드보다 심리적 불편함 때문에 광고 콘텐트를 외면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체인징 위젯(150)이 무엇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고, 리워드 그 자체도 이런 호기심과 결합함으로써 더 큰 유인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광고 콘텐트는 더 용이하게 자발적으로 접근되며 확산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체인징 위젯(150)을 선택했으나 “죄송합니다. 이번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무것도 없음”도 하나의 콘텐트로 작용될 수 있다. 일종의 메시지 콘텐트라고 할 수 있다.
체인징 위젯(150)이 또 변경되었다. 이 위젯을 선택하면 이번에는 경품 콘텐트(174)가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경품 콘텐트(174)를 메모리에 다운로드 받고 경품을 수령할 수 있다.
도 8은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실행 여부, 실행시간, 체인징 위젯의 변경 조건 등이 그러하다.
먼저,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용자 화면의 특정 위치에서 체인징 위젯을 표시한다(S100).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서 S100 단계의 체인징 위젯은 잠금해제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S100 단계의 체인징 위젯은 홈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S100 단계의 체인징 위젯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형태, 색상 및/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 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 위에서 선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110).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터치 이벤트가, 스마트 TV에서는 원격에서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 시점의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호출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S120). 이것은 콘텐트를 화면에 단순히 표시하거나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링크된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트에는 단순히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있고, 특별한 내용이 없는 것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콘텐트에는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보상을 줄 수도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해당 콘텐트에 사용자가 접근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만일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보상이 있다면, 스마트 디바이스 계정으로 리워드를 제공하고 기록하는 리워드 이벤트를 실행한다(S1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전술한 바와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그런 모듈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모듈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의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모듈과,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면의 표시와 관련하여,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표시되었음을 첨언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21)

  1. (a)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을 선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형태가 변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색상이 변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이 사용자 화면에서 위치하는 좌표값을 변경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체인징 위젯은 잠금해제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며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체인징 위젯은 홈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면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상기 (b) 단계의 선택 이벤트 시점의 체인징 위젯의 형태, 색상, 위치의 변화에 따라 상이한 콘텐트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호출되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모바일 쿠폰, 정보 페이지, 광고 콘텐트, 경품 콘텐트, 메시지 콘텐트 중 어느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리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계정으로 해당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체인징 위젯을 표시하는 모듈;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의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인식하는 모듈; 및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2.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며 표시되는 체인징 위젯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상기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콘텐트를 미리 등록하며,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 선택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복수의 콘텐트 제공자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으로 호출되는 상기 콘텐트도 달라지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형태, 색상,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이 변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모바일 쿠폰, 정보 페이지, 광고 콘텐트, 경품 콘텐트, 메시지 콘텐트 중 어느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트 제공자 서버는 광고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체인징 위젯 선택 이벤트가 광고 콘텐트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트 제공자 서버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계정으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인,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17. 스마트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출력을 실행하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 모듈;
    내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설치된 체인징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서 체인징 위젯을 가시적으로 변동시키며,
    상기 입력수단이 상기 체인징 위젯에 대한 선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해당 선택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징 위젯의 가시적인 변화는 상기 체인징 위젯의 형태, 색상,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이 변하는 것인,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트는, 모바일 쿠폰, 정보 페이지, 광고 콘텐트, 경품 콘텐트, 메시지 콘텐트 중 어느 하나의 콘텐트가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체인징 위젯에 대응하는 콘텐트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 통신을 통해 콘텐트를 제공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것인,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TV인, 사용자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표시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PCT/KR2013/010884 2012-11-29 2013-11-28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WO20140846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45360A JP2016502199A (ja) 2012-11-29 2013-11-28 スマートディバイス画面で可視的に変化するウィジェットに対応して相異なる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
CN201380062509.2A CN104823145A (zh) 2012-11-29 2013-11-28 在智能设备的屏幕上提供与视觉上改变的微件相对应的不同内容的方法
US14/724,566 US20150339009A1 (en) 2012-11-29 2015-05-28 Providing dynamic contents using widg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006 2012-11-29
KR10-2012-0137005 2012-11-29
KR1020120137005A KR101572928B1 (ko) 2012-11-29 2012-11-29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KR20120137006A KR101480398B1 (ko) 2012-11-29 2012-11-29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724,566 Continuation-In-Part US20150339009A1 (en) 2012-11-29 2015-05-28 Providing dynamic contents using widg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617A1 true WO2014084617A1 (ko) 2014-06-05

Family

ID=5082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884 WO2014084617A1 (ko) 2012-11-29 2013-11-28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39009A1 (ko)
JP (1) JP2016502199A (ko)
CN (1) CN104823145A (ko)
WO (1) WO20140846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6207A (zh) * 2016-06-16 2016-11-16 奇酷软件(深圳)有限公司 桌面信息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5233S1 (en) * 2013-12-30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KR20150126196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감성 활동 기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4407592B (zh) * 2014-11-27 2018-11-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调整智能家居设备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US10521070B2 (en) * 2015-10-23 2019-12-31 Oath Inc. Method to automatically update a homescreen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DK202070608A1 (en) 2020-03-10 2021-11-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EP4273676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421A (ko) * 2007-04-10 2009-01-0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광고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광고 제공 방법
KR20090116932A (ko) * 2008-05-08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6201A (ko) * 2009-02-05 2011-10-25 디지맥 코포레이션 휴대 전화용 tv 위젯의 텔레비전 기반 광고 및 배포
KR101203741B1 (ko) * 2009-12-09 2012-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기반 위젯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5149A1 (en) * 2008-03-17 2009-09-17 Robert Frohwein Method and Apparatus to Operate Different Widgets From a Single Widget Controller
KR101680044B1 (ko) * 2008-08-19 2016-11-28 디지맥 코포레이션 콘텐트 처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US20130041725A1 (en) * 2011-08-11 2013-02-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vendor rewards programs
WO2013086710A1 (en) * 2011-12-14 2013-06-20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different visual variants of objects via user interfaces
KR101819513B1 (ko) * 2012-01-2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421A (ko) * 2007-04-10 2009-01-09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광고 위젯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광고 제공 방법
KR20090116932A (ko) * 2008-05-08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16201A (ko) * 2009-02-05 2011-10-25 디지맥 코포레이션 휴대 전화용 tv 위젯의 텔레비전 기반 광고 및 배포
KR101203741B1 (ko) * 2009-12-09 2012-11-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마트카드 기반 위젯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스마트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6207A (zh) * 2016-06-16 2016-11-16 奇酷软件(深圳)有限公司 桌面信息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02199A (ja) 2016-01-21
US20150339009A1 (en) 2015-11-26
CN104823145A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4617A1 (ko)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WO2021093429A1 (zh) 群聊方法及电子设备
Hoober et al. Designing mobile interfaces: Patterns for interaction design
Davies et al. Using bluetooth device names to support interaction in smart environments
WO2013168885A1 (ko) 락 스크린의 제공 방법 및 그 제공 방법이 구현된 단말 장치
WO20191393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features associated with applications
US9436767B2 (en) Serving content items based on device rotational orientation
WO2012121555A2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AU2013204567A1 (en) Advertising on computing devices
Friday et al. Reflections on long-term experiments with public displays
CN109408150A (zh) 一种快应用加载方法及移动终端
US9674685B2 (en) Data toll subsidy management
JP7393561B2 (ja) 情報展示方法、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WO2016129811A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공식계정의 리치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08322593A (zh) 应用图标动态更新显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3119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n animation in a mobile terminal
WO2018182057A1 (ko) 사용자의 할일 목록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061495A1 (zh) 一种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6216205B2 (ja) 携帯装置、携帯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11274363A (zh) 提供活动通知的方法及其设备
WO201713135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istory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N109976859A (zh) 截图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250482A (zh) 屏蔽广告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4171613A1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CN111913614A (zh) 多画面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82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4536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13.10.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82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